맨위로가기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은 1798년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을 틈타 영국, 오스트리아, 러시아, 오스만 제국 등이 프랑스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한 동맹이다. 나폴레옹의 부재와 프랑스의 스위스, 이탈리아 개입으로 동맹은 결성되었으나, 오스트리아의 이기심, 각국의 이해관계 대립 등으로 인해 실패했다. 1799년 이탈리아에서 프랑스군은 고전했으나, 나폴레옹의 귀환과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후 군대를 재편하여 반격에 나섰다. 1800년 마렝고 전투에서 승리하고, 호엔린덴 전투에서 오스트리아에 결정타를 입히면서 뤼네빌 조약을 체결했다. 이후 영국과의 아미앵 조약, 오스만 제국과의 파리 조약으로 동맹은 해체되었고, 프랑스는 라인강 좌안을 확보하고 위성국들을 인정받았다. 이로 인해 유럽의 세력 균형이 변화하고, 나폴레옹의 권력이 강화되었으며, 이후 나폴레옹 전쟁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1년 분쟁 - 프랑스 혁명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은 1792년 프랑스 혁명 정부가 오스트리아에 선전 포고를 하며 시작되어 프랑스와 유럽 강대국들이 유럽 전역과 식민지 등에서 싸운 전쟁으로, 프랑스는 국가총동원령과 군사적 혁신으로 전세를 역전시켜 유럽의 정치적 지형을 바꾸고 나폴레옹의 등장과 몰락, 유럽 질서 재편에 영향을 주었다.
  • 1801년 분쟁 - 이집트-시리아 원정
    이집트-시리아 원정은 1798년부터 1801년까지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이집트를 점령하고 시리아로 진격하려 했던 군사 원정으로, 영국 견제와 인도 식민지 연결 차단, 맘루크 세력 종식 및 오스만 제국 지원을 명분으로 했으나, 군사적 실패와는 별개로 이집트학 발전과 오리엔탈리즘 형성에 기여했다.
  • 1802년 분쟁 - 프랑스 혁명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은 1792년 프랑스 혁명 정부가 오스트리아에 선전 포고를 하며 시작되어 프랑스와 유럽 강대국들이 유럽 전역과 식민지 등에서 싸운 전쟁으로, 프랑스는 국가총동원령과 군사적 혁신으로 전세를 역전시켜 유럽의 정치적 지형을 바꾸고 나폴레옹의 등장과 몰락, 유럽 질서 재편에 영향을 주었다.
  • 1802년 분쟁 - 슈테클리크리크
    슈테클리크리크는 1802년 프랑스 철수 후 헬베티아 공화국에 대한 반란으로 시작되어 연방주의자들의 봉기와 반유대주의 폭력 사태를 겪었으며, 나폴레옹의 중재로 스위스 연방 재건의 계기가 된 스위스의 내전이다.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 1798년 아일랜드 반란
    1798년 아일랜드 반란은 영국 지배에 대한 불만으로 아일랜드 통합단원회를 중심으로 가톨릭 해방과 의회 개혁을 요구하며 일어났으나, 프랑스의 지원 실패와 영국군의 진압으로 실패하고 아일랜드는 영국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 오스트라흐 전투
    오스트라흐 전투는 1799년 3월 21일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오스트라흐 인근에서 프랑스 도나우 군이 오스트리아 군에게 저지당해 슈토카흐로 후퇴한 전투로, 프랑스군의 진격을 늦추고 이후 전투에 영향을 미쳤다.
제2차 대프랑스 동맹 - [전쟁]에 관한 문서
전쟁 개요
분쟁 명칭제2차 대프랑스 동맹
분쟁의 부분프랑스 혁명 전쟁, 대프랑스 동맹
시기1798년 11월 29일 – 1802년 3월 25일
장소유럽, 중동, 지중해, 카리브해
결과프랑스-동맹국 승리
상세 결과뤼네빌 조약 체결
아미앵 조약 체결
프랑스 제1공화국 존속
프랑스의 이전 합병 승인
1803년 프랑스와 동맹국에 대항하는 제3차 대프랑스 동맹 결성으로 적대 행위 재개
영토 변화트리니다드, 실론, 몰타를 영국이 차지
파르마와 루이지애나를 프랑스가 차지
토스카나를 부르봉 왕가가 차지
체프탈로니아 공화국 설립
포르투갈의 올리벤사가 스페인으로 넘어감
제국 대표자 주요 결의안
교전 세력
제2차 대프랑스 동맹(1801년까지)
토스카나 대공국




(1801년까지)

사르데냐
공동 교전국(유사 전쟁, 1800년까지)
프랑스 및 동맹국
스페인
프랑스 괴뢰 공화국:

치살피나 공화국
헬베티아 공화국
리구리아 공화국
지휘관 및 지도자
제2차 대프랑스 동맹프란츠 2세
페르디난도 1세
마리아 카롤리나 폰 외스터라이히
셀림 3세
마리아 1세
주앙 6세
파벨 1세 (1799년까지)
페르디난도 3세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
조지 3세
윌리엄 피트 (1801년까지)
헨리 애딩턴, 초대 시드머스 자작 (1801년부터)
페르디난트 폰 홈페슈 추 볼하임
루카 공화국 곤팔로니에르
프랑스 및 동맹국폴 바라스 (1799년까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1799년부터)
카를로스 4세
전력
오스트리아 제국200,000명 사상 및 부상, 140,000명 포로
오스만 제국50,000명 사상 및 부상
프랑스 제1 공화국75,000명 전투 중 사망, 140,000명 포로

2. 배경

1789년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주변 유럽 국가들은 혁명의 확산을 우려하여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였다. 그러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끄는 프랑스군은 이탈리아 원정에서 승리하는 등 연전연승을 거두며 동맹군을 격퇴하였다. 이로 인해 프랑스의 영향력은 더욱 확대되었고, 이는 주변국들의 더 큰 경계심을 불러일으켜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2. 1.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의 실패

1792년 4월 20일, 프랑스 입법 의회는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를 했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1792–1797)에서 프랑스는 영국, 포르투갈, 프로이센 등 국경을 접한 대부분의 국가와 싸웠다. 동맹군은 전쟁 초반에 여러 차례 승리했지만, 결국 프랑스 영토에서 격퇴되었고, 이후 프랑스에게 상당한 영토를 잃었다. 프랑스는 점령지에 괴뢰 공화국을 세우기 시작했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북부 이탈리아 전역에서의 활약으로 오스트리아군은 물러났고, 레오벤 조약 (1797년 4월 18일)과 캄포 포르미오 조약 (1797년 10월)의 협상으로 이어졌다.[12] 이로 인해 영국은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와 홀로 싸워야 했다.

2. 2. 나폴레옹의 부상과 이집트 원정



1798년, 이탈리아 원정에서 승리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영국과 인도의 연결을 끊기 위해 이집트 원정을 시작했다.[14]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한 육전에서는 승리를 거듭했지만, 나일 해전에서 프랑스 함대는 호레이쇼 넬슨이 이끄는 영국 함대에 패배하여 나폴레옹은 이집트에 고립되었다.[14]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은 여러 나라가 프랑스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고, 결국 1798년 12월 24일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는 결과를 낳았다.

3. 동맹의 형성과 참가국

1798년 나폴레옹이 영국인도의 연락을 끊기 위해 이집트 원정을 떠난 사이, 나폴레옹의 부재를 기회로 여긴 여러 나라들은 12월 24일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했다.[18] 주요 참전국은 오스트리아,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등이었다.

3. 1. 동맹 참가국

1798년 12월 24일에 결성된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의 참가국은 다음과 같다.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은 여러 달에 걸쳐 형성되었다. 나폴리오스트리아(1798년 5월 19일) 및 러시아 제국(11월 29일)과 동맹을 맺으면서 동맹이 시작되었다.[18] 영국의 총리 피트와 오스트리아 국무장관 투구트는 프로이센을 동맹에 가입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 영국과 오스트리아는 공식적인 합의 없이 "임시적인" 협력에 의존했다. 이후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12월 23일) 및 영국(12월 26일)과 동맹을 맺고 프랑스의 이오니아 제도를 공격했다. 12월 1일까지 나폴리 왕국은 러시아와 영국 모두와 동맹을 체결했다.[19]

3. 2. 동맹 결성 과정에서의 갈등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은 여러 달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나폴리 왕국오스트리아(1798년 5월 19일) 및 러시아 제국(11월 29일)과 동맹을 맺는 것으로 시작되었다.[18] 이후 영국의 총리 소(小) 윌리엄 피트와 오스트리아 국무장관 투구트는 프로이센 왕국(1795년 4월 바젤 조약으로 제1차 동맹에서 탈퇴)을 동맹에 가입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18] 영국과 오스트리아는 이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가 영국에 진 채무를 해결할 차관 협정에 합의하지 못해 동맹을 공식화할 수 없었고, 다가오는 전쟁에 대한 영국 보조금 문제는 더더욱 어려웠다. 이들은 공식적인 합의 없이 "임시적인" 협력에 의존했다.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12월 23일) 및 영국(12월 26일)과 동맹을 맺는 동시에 프랑스의 이오니아 제도를 공격했다.[18] 12월 1일까지 나폴리 왕국은 러시아와 영국 모두와 동맹을 체결했다.[19]

11월 29일,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나폴리에서 복무 중인 카를 마크 장군이 나폴리 군과 함께 교황의 권위를 회복하려는 목적으로 로마를 점령하면서 동맹 하의 첫 군사 행동이 시작되었다. 페르디난트 1세 왕은 아내 마리아 카롤리나 여왕(마리 앙투아네트의 여동생)과, 그의 연인이자 영국 대사의 아내인 엠마 해밀턴 부인을 통해 호레이쇼 넬슨에게 압박을 받았다.[20] 이들은 장비와 지휘 체계가 허술한 나폴리 군이 로마 밖에서 곧 패배하여 밀려났을 뿐만 아니라, 1월 23일 나폴리 자체가 프랑스에 점령되면서 무모한 도박을 한 셈이 되었다. 왕, 영국 관리, 그리고 여성들은 시칠리아로 겨우 도망쳤다.[21]

나폴리에 진입하는 프랑스군

4. 주요 전역

1798–1799년 유럽과 지중해에서의 작전 개요


다비드의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


프랑스 혁명 정부는 라인 강 상류 계곡, 독일 남서부, 스위스를 방어에 중요한 지역으로 여겼다.[15] 특히 스위스의 고갯길은 북부 이탈리아로 가는 길목이었기 때문에 중요했다. 이 고갯길을 장악하면 군대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었다.[15]

1798년 11월, 장바티스트 조르당 원수는 프랑스 국경을 감시하는 임무를 맡은 '관찰군'을 이끌고 위닝겐에 도착했다. 조르당은 군대의 상황을 파악하고 필요한 물자와 인력을 확인했다. 그러나 군대는 인력, 물자, 탄약, 훈련 등 모든 면에서 부족했다. 대부분의 자원은 이미 북부 이탈리아 주둔군, 영국 주둔군, 이집트 원정군에 투입된 상태였다. 조르당은 이러한 문제점을 총재 정부에 보고했지만, 추가 지원은 거의 없었다.[16]

조르당의 목표는 군대를 독일로 진격시켜 보덴 호수 서쪽의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앙드레 마세나는 헬베티아 군(스위스) 사령관으로서 생고타르 고개, 펠트키르히 위 고갯길, 마이엔펠트, 취리히, 빈터투어 등 스위스의 주요 지점을 장악해야 했다. 이 지역들을 장악하면 동맹군이 북부 이탈리아와 독일 사이에서 병력을 이동하는 것을 막고, 프랑스가 비엔나로 진격하는 길을 확보할 수 있었다. 마인츠 군은 북쪽으로 진격하여 북부나 영국에서 비엔나로 가는 길을 차단할 예정이었다.[17]

1799년부터 1800년까지 이탈리아와 스위스를 중심으로 전투가 벌어졌으며, 나폴레옹의 귀환 이후 프랑스가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이탈리아-스위스 전역 및 수보로프의 스위스 원정 참고)

4. 1. 이탈리아 전역 (1799-1800년)

1799년부터 1800년까지 이탈리아 전역은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의 중요한 전장이었다. 1799년, 알렉산드르 수보로프가 이끄는 오스트리아와 러시아 연합군은 북부 이탈리아에서 프랑스군을 압박하여 제노바까지 후퇴시켰다. 그러나 나폴레옹이 이집트에서 귀환하여 브뤼메르 18일의 쿠데타로 정권을 잡으면서 상황이 반전되었다.

나폴레옹은 군대를 재편하고 1800년 5월, 알프스 산맥의 생베르나르 고개를 넘어 북이탈리아로 진격했다. 이 진격은 자크 루이 다비드의 그림 생베르나르 고개를 넘는 나폴레옹에 잘 묘사되어 있다. 나폴레옹의 군대는 오스트리아군의 배후를 공격하여 밀라노파비아를 점령했으나, 제노바를 포위했던 프랑스군은 항복해야 했다.

6월 14일, 마렝고 전투에서 나폴레옹은 오스트리아군과 격돌했다. 초기에는 프랑스군이 밀렸으나, 루이 샤를 앙투안 드제가 이끄는 별동대의 지원으로 역습에 성공하여 승리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드제는 전사했다.[26]

한편, 장 빅토르 마리 모로가 이끄는 프랑스군은 라인강 방면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고 뮌헨까지 진격했다. 결국 오스트리아는 호엔린덴 전투에서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고 강화를 요청했다.

4. 1. 1. 1799년 전황

1799년 북부 이탈리아에서 오스트리아군의 공세로 프랑스군은 궁지에 몰렸다. 러시아의 원수 알렉산드르 수보로프가 합세하면서 프랑스군은 더욱 열세에 처했고, 이탈리아 원정군 사령관 장 빅토르 마리 모로는 8월 제노바까지 후퇴했다.[22]

라인강 방면에서는 카를 대공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과 라인 방면 군사령관 장바티스트 주르당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충돌했다. 3월 25일, 슈토카흐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이 승리했다. 주르당은 해임되고, 앙드레 마세나가 새로운 사령관이 되었다. 이후, 라인 강 대치가 계속되었다.[22]

스위스 (헬베티아 공화국)에서는 러시아-오스트리아 동맹군과 프랑스군이 일진일퇴의 공방을 계속했다. 9월 25일, 제2차 취리히 전투에서 마세나가 동맹군을 격파하여 수보로프가 이끄는 러시아군은 글라루스에서 일란츠로 알프스 산맥을 넘어 스위스에서 퇴각했다.[22] 러시아는 이듬해에는 프랑스와 화평을 맺고, 동맹에서 탈락했다.[22]

그 해 말 나폴레옹은 이집트에서 프랑스로 귀환하여 브뤼메르 18일의 쿠데타로 제1집정관이 되어 정권을 잡았다. 나폴레옹은 프랑스 군대를 재편하여 다음 해의 공세에 대비했다.[23]

아크레 공방전의 보나파르트 장군

4. 1. 2. 1800년 전황

자크 루이 다비드의 그랑 산 베르나르 고개를 넘는 나폴레옹 (실제로는 노새를 타고 알프스를 넘었다.)


1800년 5월, 나폴레옹은 제네바에 군대를 집결시키고 3만 7천 명을 이끌고 그랑 산 베르나르 고개를 넘어 북이탈리아로 진출했다. (자크 루이 다비드의 작품 『생베르나르 고개를 넘는 나폴레옹』은 이때의 상황을 묘사한 것이다.) 당시 오스트리아군은 제노바에서 앙드레 마세나가 지휘하는 프랑스군 부대를 포위하고 있었다. 나폴레옹은 오스트리아군의 배후로 진출하여 밀라노파비아를 점령했지만, 제노바의 프랑스군은 한계에 도달하여 6월 4일에 성문을 열었다. 오스트리아군 주력은 토리노에 집결했다.

프랑스군에 의해 퇴로가 차단된 오스트리아군 사령관 Michael von Melas|멜라스영어는 동진을 결의했다. 6월 14일, 양군은 알레산드리아 근교 마렝고에서 마렝고 전투를 벌였다. 프랑스군은 궁지에 몰렸지만, 드제의 별동대가 증원되어 역습에 성공했다. 그러나 드제는 승리의 대가로 목숨을 잃었다.[26]

라인강 방면에서는 이탈리아 방면군 사령관에서 라인 방면군 사령관이 된 장 빅토르 마리 모로가 6월 19일 횔슈테트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에게 승리하고, 7월에는 뮌헨까지 육박했다. 프랑스와 오스트리아는 7월 15일에 휴전했다.

이 사이에 강화 회담이 열렸지만, 협상은 결렬되었다. 11월 13일 휴전 기한이 만료되자 양군은 다시 전투를 시작했다. 모로는 공세를 재개하여 12월 3일, 호엔린덴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입혔다.[24] 이로 인해 오스트리아는 전의를 상실하고 강화를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25]

5. 전후 처리 및 결과

1801년 뤼네빌 조약1802년 아미앵 조약 체결로 전쟁은 종결되었으며, 프랑스는 유럽 대륙에서의 지배권을 확립하였다.

1800년 7월/8월의 연합법 이전에는 아일랜드는 영국 왕실과의 인적 연합으로 자체 의회를 가진 별도의 왕국이었다. 1798년 연합 아일랜드인의 반란에 대응하여 1801년 1월 1일부터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오스트리아는 1801년 1월 16일 트레비소 휴전에 서명하여 북부 이탈리아에서의 전쟁을 종식시켰다.[25] 이집트에서는 오스만 제국과 영국이 침공하여 카이로와 알렉산드리아가 함락된 후 프랑스군이 항복했다.[27]

영국은 해상에서 전쟁을 계속했다. 프로이센, 러시아, 덴마크-노르웨이, 스웨덴을 포함한 비교전국 동맹이 영국의 봉쇄로부터 중립 선박을 보호하기 위해 참여하여 넬슨이 코펜하겐 해전에서 항구에 정박해 있던 덴마크 함대를 기습 공격하는 결과를 낳았다.[28]

코펜하겐 해전


프랑스와 스페인은 오렌지 전쟁에서 포르투갈을 침공하여 포르투갈이 바다호스 조약에 서명하도록 강요했다.

러시아는 1801년 10월 8일 파리 조약을 통해 프랑스와 정식으로 평화 조약을 맺고 이틀 후 비밀 동맹을 맺었다.[29]

1801년 12월 프랑스는 1791년 아이티 혁명 이후 독립한 옛 식민지 생도밍그(현재 아이티)를 재점령하기 위해 생도밍그 원정을 파견했다. 여기에는 3만 명이 넘는 군대가 포함되었고 많은 경험이 풍부한 정예 참전 용사들이 있었지만 참혹한 실패로 끝났다. 1802년 말까지 약 15,000~22,000명이 질병과 황열병으로 사망했는데, 여기에는 나폴레옹의 매제인 샤를 르클레르 장군도 포함되었다.

이 동맹의 목적은 프랑스 공화국의 확대를 저지하고, 프랑스에 군주제를 되찾는 것이었다. 그러나 대프랑스 동맹은 프랑스의 혁명 체제를 뒤엎는 데 실패했고, 프랑스가 1793년에 획득한 영토를 재차 승인하게 되었다.

참가한 국가는 영국, 오스트리아, 러시아 외에 오스만 제국, 포르투갈, 나폴리, 독일의 여러 군주제 국가, 스웨덴이 포함되었다.

5. 1. 뤼네빌 조약 (1801년)

1801년 2월 9일, 뤼네빌 조약이 체결되었다. 오스트리아이탈리아네덜란드에 건국된 프랑스의 위성국을 승인하고, 프랑스의 라인란트 영유도 인정했다. 이 조약으로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되었고, 영국만이 전쟁을 계속하게 되었다.[1]

5. 2. 아미앵 조약 (1802년)

1801년 2월 9일, 뤼네빌 조약이 체결되면서 오스트리아이탈리아네덜란드에 건국된 프랑스의 위성국을 승인하고, 프랑스의 라인란트 영유도 인정했다. 이로써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되었고, 영국만이 전쟁을 계속하게 되었다. 그러나 영국도 1802년 3월 27일 프랑스와 아미앵 조약을 체결하고 강화했다.[25]

1802년 3월 25일, 영국과 프랑스는 아미앵 조약을 체결하여 영국의 전쟁 참여를 종결했다. 1801년 10월 9일 파리에서 체결된 예비 조약 이후, 1802년 6월 25일 파리 조약은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의 마지막 구성국이었던 프랑스와 오스만 제국 간의 전쟁을 종식시켰다. 이 평화 조약들은 라인강 좌안을 프랑스에 할양하고, 치스알피나 공화국, 바타비아 공화국, 헬베티아 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했다. 이로써 1792년부터 1815년까지의 기간 중 가장 긴 평화기가 시작되었다.

1801년뤼네빌 조약에서 프랑스는 이전에 획득한 지역에 더하여 새롭게 토스카나와 이탈리아를 획득한 반면, 오스트리아는 베네치아달마티아 연안을 승인받았다. 영국은 1802년 3월에 아미앵 조약을 맺어 유럽에 일시적인 평화가 찾아왔지만, 14개월밖에 지속되지 못했다.

5. 3. 전략적 분석(추가)

미국 역사학자 폴 W. 슈로더는 피어스 매키를 비롯한 대부분의 역사가들이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의 실패 원인을 "오스트리아를 믿을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한 상황에서 영국과 러시아가 오스트리아를 신뢰해야 했던 것" 때문이라고 지나치게 단순하게 비난했다고 주장했다.[1] 이들은 오스트리아가 프랑스를 침공하고 혁명을 종식시키며, 부르봉 왕정을 복원하려는 동맹의 공동 목표에 따라 행동하지 못한 것은 빈이 너무 이기적이고 영토 확장에 지나치게 탐욕스러웠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1]

슈로더는 문제가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오스트리아의 주요 전쟁 목표가 프랑스 공화국 전복은 아니었지만, 빈이 프랑스와의 전쟁에 참여하기 위한 자체적인 조건을 설정하는 것은 합리적이었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에서 여전히 남아있던 막대한 재정적 부채는 합스부르크 왕가가 프랑스를 격파할 수 있는 군대를 동원하는 능력을 위태롭게 했을 뿐만 아니라, 오스트리아 내부에서 혁명을 초래할 수 있는 하이퍼인플레이션과 내부 불안정을 야기했다.[2] 합스부르크 군주의 생존 자체가 위태로운 상황이었고, 따라서 황제 프란츠 2세와 튀구트는 프랑스를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격파하기 위해 전쟁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오스트리아가 전쟁 전에 비해 더 강해지도록 하려고 결심했다.[2]

슈로더는 제2차 동맹을 결성하기 위해 협상 중이던 다른 모든 강대국들, 즉 러시아, 프로이센(결국 중립을 유지), 영국, 오스만 제국이 모두 이중적이었다고 추론했다. 각국은 전쟁에서 최대한의 이득을 얻고 다른 국가들이 거의 이득을 얻지 못하거나 실제로는 전후 권력 균형에서 약화되도록 서로를 두려워하고 음모를 꾸몄다.[3]

6. 영향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의 실패는 나폴레옹의 권력 강화를 가져왔고, 유럽의 정치 지형을 변화시켰다.

참조

[1] 문서 treaty of Paris (August 1801)
[2] 문서 treaty of Amiens
[3] 문서 treaty of Paris
[4] 문서 Treaty of Paris (1802)
[5] 문서 Treaty of Florence
[6] 문서 Treaty of Badajoz (1801)
[6] 문서 Treaty of Madrid (1801)
[7] 문서 The Piedmontese Republic
[8] 문서 Polish Legions (Napoleonic period)
[8] 문서 Mamluks
[9]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McFarland 2008
[10]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11] 문서 Clodfelter, p. 115
[12] 서적 The French Revolutionary Wars
[13] 문서 Blanning, pp. 230–32
[14] 서적 Napoleon's enfant terrible: General Dominique Vandamm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08
[15] 서적 Napoleon's Great Adversaries: Archduke Charles and the Austrian Army, 1792–1914 Spellmount 2007
[16] 문서 Jourdan, pp. 60–90
[17] 문서 Jourdan, pp. 50–60; Rothenberg, pp. 70–74
[18] 문서 'Encarta Winkler Prins Encyclopaedia'
[19] 문서 Emerson Kent
[20] 문서 Emerson Kent
[21] 문서 Emerson Kent
[22] 서적 Eagles over the Alps: Suvorov in Italy and Switzerland, 1799 1999
[23]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Volume II: from 1793 to 1799 1964
[24] 서적 1800 Marengo and Hohenlinden 2009
[25] 간행물 The Negotiations Preceding the Peace of Lunéville 1901
[26] 서적 Napoleon: The Man Behind the Myth https://www.goodread[...] William Collins Books 2018
[27] 서적 British Victory in Egypt, 1801: The End of Napoleon's Conquest https://www.questia.[...] 1995
[28] 서적 The Great Gamble: Nelson at Copenhagen 1972
[29] 서적 Germany, 1789–1919: A Political History Methuen
[30] 문서 명목상신성로마제국,오스트리아령오란다와밀라노공국은오스트리아의지배하에있었다.다른주변의이탈리아제국들도토스카나대공국처럼합스부르크의국가였다.
[31] 문서 공식적으로는중립이었지만,덴마크의함대는코펜하겐의해전에서영국에공격당했다.
[32] 문서 중립적인교황령은한번폐지된후,1799년에부활했다.
[33] 문서 1799년에나폴리왕국에대체되었기때문에이국가는미미하게존재했다.
[34] 서적 The French Revolutionary Wa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