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시리아 원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시리아 원정은 나폴레옹이 영국을 견제하고 인도 식민지를 탈취하기 위해 1798년부터 1801년까지 이집트와 시리아 지역에서 벌인 프랑스의 군사 원정이다. 프랑스는 맘루크의 지배에서 이집트 민중을 해방시키고 오스만 제국의 정당한 지배를 돕는다는 명분으로 이집트를 침공했다. 그러나 나일 해전에서 프랑스 함대가 격파되면서 보급로가 끊기고, 현지인들의 저항과 역병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나폴레옹은 이집트를 탈출하고, 이후 프랑스군은 영국과 오스만 제국에 항복하며 철수했다. 원정에는 학술 조사단이 동행하여 로제타석을 발견하고 이집트학 성립에 기여했으며, 에드워드 사이드는 이 원정이 유럽 오리엔탈리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시리아 원정 - [전쟁]에 관한 문서 | |
|---|---|
| 이집트-시리아 원정 | |
![]() | |
| 분쟁의 부분 | 프랑스 혁명 전쟁 |
| 날짜 | 1798년 7월 1일 – 1801년 9월 2일 |
| 장소 | 이집트, 레반트 |
| 결과 | 오스만-영국군의 승리 프랑스-오스만 동맹의 종결 프랑스의 시리아 원정 실패 이집트에서 맘루크의 지배 종결 |
| 교전 세력 | |
| 교전국 1 | 오스만 제국 이집트 속주 맘루크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영국 () |
| 교전국 2 | 프랑스 제1공화국 |
| 지휘관 및 지도자 | |
| 지휘관 1 | 셀림 3세 유수프 지야위딘 무함마드 알리 무스타파 파샤 자자르 파샤 압둘라 파샤 알아즘 무라드 베이 이브라힘 베이 압달라 베이 하임 파르히 랄프 아베크롬비 고든 드러먼드 새뮤얼 그레이엄 존 무어 로지 램지 존 헬리허친슨 윌리엄 베레스포드 시드니 스미스 허레이쇼 넬슨 안토닌 드 펠리포 |
| 지휘관 2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장바티스트 클레베르 토마알렉상드르 뒤마 자크 프랑수아 므누 장 란 루이 샤를 앙투안 드제 조아킴 뮈라 루이 니콜라 다부 안 장 마리 르네 새버리 장앙투안 베르디에 장바티스트 베시에르 프랑수아 폴 드 브뤼에 피에르 빌뇌브 앙투안 샤를 루이 드 라살 외젠 드 보아르네 루이 보나파르트 |
| 병력 규모 | |
| 병력 1 | 오스만 제국: 220,000명 이집트 군: 80,000명 로도스 군: 20,000명 시리아 군: 20,000명 동부 군: 30,000명 제2차 이집트 침공 군: 60,000명 영국: 30,000명 |
| 병력 2 | 40,000명 (육군) |
| 사상자 및 피해 | |
| 사상자 1 | 사망 및 부상: 50,000명 포로: 15,000명 |
| 사상자 2 | 사망 및 부상: 15,000명 포로: 8,500명 |
2. 배경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은 프랑스가 대륙 봉쇄령을 통해 영국을 견제하려는 목적과 관련이 깊었다. 인도에 중요한 식민지를 둔 영국은 본국과의 연락을 위해 이집트를 경유했는데, 프랑스가 이집트를 장악하면 영국과 인도 사이의 연결을 끊을 수 있었다.
당시 이집트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 있었으나, 중앙 정부의 통제력은 약화된 상태였다. 실질적인 권력은 코카서스 출신의 노예 전사들인 맘루크에게 있었다. 프랑스는 맘루크의 지배로부터 이집트 민중을 해방하고, 우방인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돕는다는 명분을 내세웠다.[2]
2. 1. 영국의 견제
나폴레옹이 이집트로 원정하게 된 것은 대륙 제패를 꾀하던 프랑스에게 바다 건너편에 있어 손을 쓸 수 없었던, 말하자면 눈엣가시였던 영국을 견제하기 위해서였다. 인도에 중요한 식민지를 가진 영국은 식민지와 본국 간 연락을 취할 때 이집트를 경유했다. 따라서 이집트를 점령하는 것은 영국 본국과 인도 식민지, 더 나아가 인도와 지중해의 관계를 끊는 것이었으며, 이는 인도의 식민지를 탈취하는 데까지 이어질 수 있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일이었다.[2]2. 2. 오스만 제국의 약화와 맘루크의 지배
18세기 말, 이집트는 300년 동안 오스만 제국의 통치를 받고 있었지만, 이스탄불 중앙 정부의 지배력은 약화된 상태였다.[2] 실질적인 권력은 24개 주로 나뉜 이집트 각 지역을 다스리는 맘루크 유력자(파샤)들이 쥐고 있었다. 맘루크는 코카서스의 체르케스인 등 비(非)아랍계 백인 노예 출신 용병으로, 이집트로 끌려와 노예 전사로 활동했지만 점차 토착화하여 콥트인 등 이집트 원주민을 지배하는 세력으로 성장했다. 프랑스는 이러한 맘루크의 지배로부터 이집트 민중을 해방시키고, 우방인 오스만 제국의 정통적인 지배를 돕는다는 명분을 내세워 이집트를 침공했다.[2]2. 3. 프랑스 혁명과 이집트 원정
나폴레옹이 이집트로 원정한 이유는 대륙 제패를 추진하던 프랑스에게 눈엣가시 같았던 영국을 견제하기 위해서였다. 인도에 중요한 식민지를 가지고 있던 영국은 식민지와 본국을 연결할 때 이집트를 거쳤다. 따라서 이집트를 점령하면 영국 본국과 인도 식민지, 나아가 인도와 지중해의 연결을 끊을 수 있었다. 또한, 운이 좋으면 인도의 식민지를 빼앗는 것까지 이어질 수 있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했다.한편, 이집트는 300년 동안 오스만 제국의 통치를 받았지만, 오랜 통치로 인해 이스탄불의 제국 정부가 행사하는 지배력은 약해졌다. 이집트는 24개 현을 다스리는 맘루크의 유력자(파샤)가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다. 코카서스의 체르케스인 등 비아랍계 백인 노예로 구성된 맘루크는 노예 전사로 이집트에 온 외래 용병이었으나, 토착화하여 이집트 현지인을 지배하는 세력을 갖게 되었다. 프랑스는 이러한 맘루크의 지배로부터 이집트 민중을 해방하고, 우호국[2]인 오스만 제국의 정당한 지배를 돕는다는 명분을 내세워 이집트를 침공했다.
3. 경과
1798년 7월 3일, 프랑스군은 아부키르 항구에 상륙하여 다음 날 알렉산드리아를 점령했다. 이후 카이로로 진격하여 7월 21일 피라미드 전투에서 맘루크 군을 격파하고, 7월 25일 카이로에 입성했다. 그러나 8월 1일 나일 해전에서 프랑스 함대가 호레이쇼 넬슨이 이끄는 영국 함대에 패배하면서 보급로가 끊겼다.
1798년 10월 21일에는 카이로에서 대규모 봉기가 발생하여 프랑스군과 이집트인 양측에 큰 피해를 보았다. 1799년 프랑스군은 시리아로 진격하여 야파를 점령했지만, 아코 공략에는 실패하고 철수했다. 이 과정에서 페스트가 유행하여 많은 프랑스군 병사들이 목숨을 잃었다.
1799년 7월 25일 아부키르 전투에서 오스만 군을 격퇴하였으나, 8월 22일 나폴레옹은 소수의 측근과 함께 이집트를 몰래 빠져나갔다. 이후 프랑스군은 보급 부족, 현지인 저항, 전염병 등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1801년 영국과 오스만 제국에 항복하고 프랑스로 귀국했다.
3. 1. 프랑스군의 이집트 상륙과 초기 전투
1798년 7월 3일, 프랑스군은 아부키르 항구에 상륙하여 다음 날 지중해 연안의 중요 도시인 알렉산드리아를 점령했다. 프랑스군은 이집트의 수도 카이로로 빠르게 진격하기 위해 사막을 가로질러 행군했고, 7월 21일 카이로 근교 나일강변 마을 엠바베에서 맘루크 군대와 전투를 벌였다.피라미드가 있는 기자에서 불과 15km 떨어진 곳에서 벌어진 이 전투는 "피라미드 전투"로 알려져 있다. 화려한 복장을 한 맘루크 기병이 돌격해 왔지만, 총검으로 무장한 프랑스 보병은 방진 대형을 이루어 맘루크 기병의 돌격을 저지하고 일제 사격으로 큰 피해를 입혔다. 프랑스군은 맘루크 군을 격파하고 카이로로 진격했다.
7월 25일, 나폴레옹은 카이로에 입성하여 이집트 점령을 거의 완료하는 듯 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하고 제2차 대프랑스 동맹에 가입했다. 8월 1일, 호레이쇼 넬슨이 이끄는 지중해 함대가 나일 해전에서 프랑스 함대를 격파하여 프랑스군의 보급과 퇴로를 차단했다. 또한, 상 이집트에서는 맘루크 세력이 저항을 계속했다.
프랑스군은 이집트인들에게 스스로를 "해방자"라고 선전했지만, 10월 21일 카이로에서 폭동이 일어나 프랑스군과 이집트인 양측에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프랑스군은 종교 시설을 공격하고, 지역 명사들을 모아 평의회를 조직하는 등 이집트인들의 반감을 무마하려 했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1799년, 프랑스군은 시리아 지역으로 북진하여 야파를 점령했지만, 아코 공략에는 실패하고 철수했다. 이 과정에서 프랑스군 내에 페스트가 유행하여 많은 병사들이 사망했다.
3. 2. 나일 해전과 프랑스군의 고립
1798년 8월 1일, 호레이쇼 넬슨이 이끄는 지중해 함대가 아부키르에서 프랑스 함대를 격파하면서(나일 해전) 프랑스군의 보급과 퇴로는 차단되었다. 상 이집트(이집트 남부)에서는 카이로에서 도망친 맘루크들이 재기를 꾀하며 저항을 계속했다.3. 3. 이집트 내 저항과 반란
프랑스군은 이집트 점령 기간 동안 콥트교도를 중용하고, 현지 명사들을 모아 평의회(디완)를 조직하는 등 회유책을 폈다. 그러나 군의 물자 약탈, 병사들의 음주, 종교적 소수자인 콥트교도의 중용은 이집트인들의 반감을 샀다. 프랑스군은 스스로를 "해방자"로 칭하며 포고문을 발표했지만, 이집트인들은 프랑스군을 점령자로 여겼다.[1]1798년 10월 21일, 카이로에서 대규모 봉기가 발생하여 프랑스 병사 300명이 살해되었고, 이집트인도 2,500명 이상이 사망했다. 프랑스군은 반란을 진압하면서 아즈하르 모스크 등 종교 시설을 공격하여 이집트인들의 더 큰 반감을 샀다. 저명한 역사가이자 디완의 일원이었던 자발티는 자신의 연대기에서 프랑스 지배를 비판적으로 기록했다.[1]
3. 4. 시리아 원정과 아코 공방전
1799년, 프랑스군은 오스만 제국 군을 격퇴하기 위해 시리아 지방으로 북진하여 팔레스타인의 야파를 점령했지만(야파 공방전), 아크(아코) 공략에는 실패하고 철수했다(아크 포위전 (1799년)). 이 때 야파의 프랑스군 내에서는 페스트가 유행했고, 나폴레옹이 많은 페스트 환자를 버려두고 죽게 했다는 사실이 현대 역사가들 사이에서 비난받고 있지만, 일설에는 아편을 투여하여 안락사시켰다고 한다. 나폴레옹은 이후 그 책임을 물을 것을 예상하여, 당시에는 감히 만질 수도 없었던 페스트 환자를 스스로 위문하는 그림을 그리게 했다. 그 그림이 앙투안장 그로가 그린 『나병 환자를 방문하는 나폴레옹』이다. --3. 5. 나폴레옹의 귀국과 프랑스군의 철수
1799년 8월 22일, 나폴레옹은 프랑스 국내 상황 악화로 소수의 측근과 함께 이집트를 몰래 탈출하여 프랑스로 돌아갔다. 이집트에 남은 프랑스군은 보급이 끊긴 채 현지인의 저항과 전염병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드제가 이끄는 별동대가 맘루크 수장 무라드 베이를 항복시키는 데 성공했지만, 지휘관이 없는 프랑스군은 영국과 오스만 제국의 공세에 저항하기 어려웠다. 결국 1801년, 2년간의 전투 끝에 생존한 15,000명의 프랑스군은 영국과 오스만 제국에 항복하고 프랑스로 귀국했다.4. 학술적 업적

나폴레옹은 이집트 원정에 167명의 학자, 예술가, 기술자들로 구성된 학술 조사단을 동행시켰다. 수학자 가스파르 몽주가 조사단의 지도적 역할을 담당했고, 조제프 푸리에와 화학자 클로드 베르톨레 등이 포함되었다. 이들은 이집트의 지형과 산물을 조사하고, 고대 유적을 조사하는 임무를 맡았다.
조사단은 룩소르의 카르나크 신전과 왕가의 계곡을 세계 최초로 학술적으로 기록하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이러한 업적들은 훗날 《''Description de l' Egypte''》에 정리되었다.
4. 1. 로제타석 발견과 이집트학의 탄생
나폴레옹은 이집트 원정에 167명의 과학자와 건축 기술자로 구성된 학술조사단을 동행시켰다. 수학자 가스파르 몽주가 조사단의 지도적 역할을 수행했다. 그 외에도 수학자 조제프 푸리에와 화학자 클로드 베르톨레 등이 포함되었다. 그들은 이집트의 지세와 물산 조사를 비롯해 고대 유적 조사를 담당했다.
조사단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로제타석 발견이다. 또한 드제와 동행하여 상이집트로 향한 일행은 룩소르의 카르나크 신전과 왕가의 계곡을 세계 최초로 학술적으로 기록했다. 이러한 업적은 후에 1809년부터 1828년에 걸쳐 간행된 『이집트지』 ''Description de l'Egypte''에 정리되어 이집트학 성립에 크게 기여했다.
에드워드 사이드는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과 『이집트지』 탄생이 유럽 오리엔탈리즘 형성의 계기 중 하나라고 보고 있다.
4. 2.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영향
에드워드 사이드는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과 이집트지의 탄생이 유럽의 오리엔탈리즘 형성에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보았다.참조
[1]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2]
문서
[3]
서적
오리엔탈리즘
平凡社ライブラリー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