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5대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대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는 1175년에 태어나 1218년에 사망한 프랑스의 귀족이다. 그는 제4차 십자군에 참여했으나 자라 공격에 반대하며, 알비 십자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카타리파와 툴루즈의 레몽 6세에 대항하여 싸웠다. 1218년 툴루즈 포위전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장남은 프랑스 영지를, 차남은 레스터 백작 지위를 상속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포르가 - 제6대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
    13세기 잉글랜드 귀족이자 군인인 제6대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는 프랑스 귀족 가문 출신으로 레스터 백작 작위를 주장하여 헨리 3세의 신임을 얻어 인정받았으나, 이후 왕과의 갈등, 옥스퍼드 조례를 통한 의회 정치 개혁 추진, 남작 전쟁 주도, 루이스 전투 승리, 이브셤 전투 전사 등의 행적을 거치며 대의 민주주의의 아버지로 평가받는 동시에 유대인 박해 책임에 대한 비판도 받는다.
  • 제4차 십자군 - 산마르코의 말
    산마르코의 말은 고대에 제작된 네 마리의 구리 말 조각상으로, 콘스탄티노플에서 베네치아로 약탈되어 산 마르코 대성당에 설치되었으며 현재는 대기 오염으로 인해 내부에 보관, 복제품이 외부에 전시되고 있다.
  • 알비 십자군 관련자 - 루이 8세
    루이 8세는 필리프 2세의 아들로 1223년부터 1226년까지 프랑스 왕으로 재위하며 잉글랜드 침공과 알비 십자군을 지원하고 푸아투를 점령했으며, 몽팡시에 성에서 이질로 사망했다.
  • 알비 십자군 관련자 - 교황 인노첸시오 3세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중세 유럽에서 교황권이 가장 강력했을 때 재임하며 정치적, 종교적 권위를 확고히 하고 제4차 십자군 원정, 알비 십자군,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 등을 통해 유럽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 교황청 권력의 정점기에 있던 인물이다.
제5대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
기본 정보
시몽 드 몽포르의 문장
이름시몽 드 몽포르
다른 이름시몽 드 몽포르 엘더
칭호제5대 레스터 백작
영지몽포르-라모리 영주
툴루즈 백작
베지에 및 카르카손 자작
출생1164년 ~ 1175년 사이
출생지프랑스, 몽포르-라모리
사망1218년 6월 25일 (42-43세)
사망 장소툴루즈 백작령, 툴루즈 공성전
매장 장소카르카손, 성 나자리우스-성 켈수스 대성당 (이후 몽포르-라모리로 이장)
가문
가문몽포르 가문
어머니아미시 드 보몽
배우자알릭스 드 몽모렌시
자녀아모리 드 몽포르
시몽 드 몽포르
기 드 몽포르
아미시 드 몽포르
페트로닐라
경력
직업귀족
레스터 백작
재임 기간1206년 – 1218년
군사 경력
주요 활동알비 십자군 지도자

2. 생애

시몽 드 몽포르는 1175년프랑스 몽포르 백작 시몽 4세의 아들로 태어났다.[6] 1190년 몽모랑시의 알릭스와 결혼했다.[6] 제4차 십자군에 참가했으나 자라 공략에 반대하여 사라센과 싸우다 1205년 귀환했고,[7] [8] 이듬해 아버지의 죽음으로 영지를 계승받았다.[6]

1204년 그의 어머니 아미시의 형제인 레스터 백작 로베르 드 보몽 4세가 사망하자, 아미시는 영지의 절반과 레스터 백작위에 대한 권리를 상속받았다. 1207년 초 영지 분할이 이루어져 백작위 권리는 아미시와 시몽에게 할당되었다. 그러나 잉글랜드 국왕 존은 1207년 2월 프랑스 귀족들의 잉글랜드 내 영지를 몰수하며 시몽의 영지를 직접 차지하고 수입을 몰수했다. 1215년 시몽의 사촌 체스터 백작 라눌프 드 메쉬네스 4세가 이 땅을 차지했다.[6]

2. 1. 초기 생애

1175년 몽포르 백작 시몽 4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일 드 프랑스의 남작 가문 몽포르 라모리 가문의 일원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몽포르 라모리 영주 시몽 드 몽포르였고, 어머니는 앵글로-노르만 귀족이자 레스터 백작 로베르 드 보몽 3세의 딸인 아미시였다. 1188년 아버지 시몽 드 몽포르가 사망하자 가문을 이었지만, 프랑스와 잉글랜드의 대립에 바로 참여하지 않았다. 신중한 성격과 플랑드르 백작령에서 이루어진 군사 원정, 레스터 백작령에 대한 권리 유지가 그 이유였다. 1188년 지조르에서 열린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와 잉글랜드 왕 헨리 2세의 회담에서 정치적인 모습을 보인 것이 그의 첫 등장이었다.[13]

1190년 몽모랑시 가문의 알릭스 드 몽모렌시와 결혼했다.[13] 알릭스는 필리프 2세의 첫 번째 왕비 이자벨 드 에노와 사촌 관계였다.[13] 종교적 신념이 깊었던 알릭스는 남편의 원정에 동행하기도 했다.[6]

1199년 에크리쉬르엔에서 열린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샹파뉴 백작 티보 3세와 함께 제4차 십자군에 참여했다. 십자군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통제하에 아드리아 해의 자라로 향했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십자군에게 기독교인을 공격하지 말라고 경고했지만, 대부분의 프랑크 영주들은 베네치아에 빚을 지고 있었기 때문에 공격을 지지했고, 1202년 도시는 약탈당했다. 시몽은 이 공격에 반대하며 베네치아를 지원하지 않겠다고 주장했고, 자다르 대표단에게 항복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그는 보 드 세르네의 기 수도원장을 포함한 동료들과 함께 알렉시우스 4세 앙겔루스를 동로마 제국 황위에 앉히기로 한 결정에 반대하여 십자군을 떠났다. 시몽과 그의 추종자들은 헝가리 국왕 임레의 궁정을 거쳐 아코로 갔다.[8]

1204년 그의 어머니 아미시의 형제인 레스터 백작 로베르 드 보몽 4세가 사망하자, 아미시는 영지의 절반과 레스터 백작위에 대한 권리를 상속받았다. 1207년 초 영지 분할이 이루어져 백작위 권리는 아미시와 시몽에게 할당되었다. 그러나 잉글랜드 국왕 존은 프랑스 내 영지를 잃자 프랑스 남작들의 잉글랜드 내 소유지를 몰수했다. 1215년 시몽의 사촌 체스터 백작 라눌프 드 메쉬네스 4세가 이 땅을 차지했다.

2. 2. 알비 십자군

1209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알비 십자군을 선포하자 시몽은 십자군 총사령관이 되었다.[14] 그는 카타리파와 그에 협력하는 툴루즈의 레몽 6세에 대항하여 싸웠다.[17] 1213년 무레 전투에서 레몽 6세를 지원하기 위해 온 아라곤의 페드로 2세를 격파하고 전사시켰다.[9] 1215년 랑그도크 대부분 지역을 점령했으나, 이듬해부터 레몽 6세가 주도한 봉기에 맞서 싸웠다.

시몽은 1209년 알비 십자군의 초기 원정에 참여하여 카르카손 함락 후 십자군의 지도자로 선출되었고, 레몽-로제 트랑카벨 가문의 몰수된 영지를 받았다. 툴루즈의 레몽 6세로부터 정복한 영토를 하사받아 이론적으로 옥시타니에서 가장 중요한 지주가 되었다.

시몽은 무자비함으로 악명이 높았다. 1210년 미네르브 마을에서 개종을 거부한 카타르파 신자 140명을 화형에 처하기도 했다. 브람 마을에서는 포로들의 눈을 도려내고 귀, 코, 입술을 자르는 잔혹 행위를 저지르기도 했다.

시몽의 십자군 참여는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다. 필리프 2세는 잉글랜드의 왕으로부터 노르망디를 획득한 후, 인노첸시오 3세에게 십자군 지휘를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 필리프는 존 왕과 잉글랜드, 신성 로마 제국, 플랑드르 간의 동맹에 맞서 자신의 이익을 방어하는 데 집중했다.

일부 역사가들은 필리프 2세가 몽포르와 다른 북부 남작들을 파견한 것이 르 미디에서 프랑스 왕가의 권위를 재확인하기 위한 작전이라고 보기도 한다. 필리프는 결혼 문제로 파문당한 후 교황의 비위를 맞추고, 툴루즈 백작 가문과 관계를 맺고 있던 잉글랜드 존 왕의 모험을 막으려는 의도도 있었을 것이다.

시몽은 도미니코회에 깊이 헌신하고 이단 근절에 힘쓴 종교적 정통성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 훗날 성 도미니크가 된 도미니크 구즈만은 전쟁 기간 동안 시몽의 본부였던 파유에서 여러 해를 보냈다.

시몽은 활발하게 군대를 이동시켜 자신과 신의를 깨뜨린 자들을 공격했다. 미디는 작은 요새와 툴루즈, 카르카손, 나르본과 같은 요새화된 도시들이 섞여 있는 지역이었다. 시몽은 배반한 자들에게 잔혹하고 대담하게 대처했다. 1213년 무레 전투에서 아라곤의 페드로 2세를 격파한 후, 정복 전쟁을 계속하여 1215년 툴루즈 백작이자 나르본 공작으로 임명되었다.

2. 3. 죽음

1218년 알비 십자군 원정 중 툴루즈 포위전에서 투석기에 맞아 전사했다.[1] 그의 프랑스 지역 영지는 아들 아모리 6세 드 몽포르에게, 레스터 백작령과 잉글랜드 시종장관 직은 동명이인이자 영국 의회의 시조인 아들 시몽 드 몽포르에게 넘어갔다.[1]

3. 평가

시몽 드 몽포르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도미니코회에 헌신하며 이단 근절에 앞장섰다. 특히 알비 십자군에 참여하여 카타리파 이단을 척결하는 과정에서 잔혹한 행위를 저질렀는데, 이는 오늘날까지도 논란의 대상이다.[9] 미네르브 마을에서 개종을 거부한 카타리파 신자 140명을 화형에 처하고,[9] 브람 마을에서는 포로들의 눈을 도려내고 귀, 코, 입술을 자르는 등 무자비한 모습을 보였다.[9]

그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무레 전투에서 아라곤의 페드로 2세를 격파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세웠지만, 지나치게 잔혹하고 무자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9] 배신자에게는 가혹하고 잔인한 모습을 보였다.[9]

한편, 그의 아들 시몽 드 몽포르는 잉글랜드에서 의회 정치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4. 가족

Alix de Montmorency|알릭스 드 몽모랑시프랑스어와 사이에 다음 자녀를 두었다.

이름설명
아모리 드 몽포르비에누아의 베아트릭스와 결혼하여 남작 십자군에서 돌아오던 중 1241년에 사망했다.
제6대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잉글랜드의 엘레노어와 결혼하여 1265년 8월 4일 이베샴 전투에서 사망했다.
비고르 백작 기 드 몽포르비고르 백작부인 페트로닐라와 1216년 11월 6일에 결혼했으며, 카스텔노다리 포위 공격 중 1220년 7월 20일에 사망했다.
아미시 드 몽포르조니의 고셰와 결혼하여 몽타르지에 수도원을 세웠으며, 1252년에 그곳에서 사망했다.
페트로닐라시토 수도원의 생 앙투안 수도원장이 되었다.
아모리 (1191년 - 1241년)레스터 백작
기 (1195년 - 1220년)비고르 백작 베아트리스와 결혼하여 공동 통치자가 됨
로베르1226년 사망
시몽 (1208년 - 1265년)레스터 백작
아미시 (1253년 사망)샤토-르나르 영주 고셰 드 조아니의 아내. 후에 몽타르지의 도미니코 수도원을 창설
1227년 사망. 피키니 영주 제라르 3세와 결혼
페트로니유수녀. 후에 파리의 생탕투안 수도원 원장이 됨


참조

[1] 서적 The Complete Peerage https://archive.org/[...] St Catherine Press 1929
[2] 웹사이트 Battle of Toulouse https://www.britanni[...] 2019-06-05
[3]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4] 서적 A History of the Art of War: The Middle Ages from the Fourth to the Four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Tales End Press 2012
[5] 서적 The Occitan War: A Military and Political History of the Albigensian Crusade, 1209–121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6] 서적 Simon de Montf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City of Fortune: How Venice won and lost a Naval Empire Bloomsberry House
[8] 간행물 The Fourth Crusade and the Sack of Constantinople 2004
[9] 서적 The Albigensian Crusade https://archive.org/[...] Faber 1978
[10] 문서 Chanson de la Croisade Albigeoise
[11] 문서 "Chanson de la Croisade Albigeoise; Peter of les Vaux-de-Cernay, Historia Albigensis"
[12] 웹사이트 MedLands http://fmg.ac/Projec[...]
[13] 웹사이트 « Alix de Montmorency » https://fmg.ac/Proje[...] 2017-12-25
[14] 문서 先の十字軍とはその精神がかなり異なるが、この遠征はアルビジョワ十字軍の名を採用した。初期の十字軍の目的は、聖地に赴き、東方のキリスト教徒を守り、コンスタンティノープルを脅かすトルコを撃退することだった。だが、目的地をコンスタンティノープルに変えられた第4回十字軍の参加者たちは、キリスト教徒たち([[正教会]])と戦ったことで大義を失い、崩壊する寸前にあった。アルビジョワ十字軍の経過から、我々は十字軍の概念の変化を目の当たりにしている。この概念は、[[フリードリヒ2世 (神聖ローマ皇帝)|フリードリヒ2世]]に対する十字軍、対アラゴン王国、対[[フス派]]十字軍において再び取り上げられることになる。
[15] 문서 男爵にとって、オクシタニアへの遠征は聖地遠征よりも安上がりだったので、アルビジョワ十字軍は彼らにとって贖罪と神の免罪が低価格で手に入れられるという恩恵があった
[16] 기타 1988
[17] 기타 1988
[18] 기타 voir 1988
[19] 기타 1988
[20] 문서 널리 믿어지고있는 설과는 달리 시몬이 아니라 올바르게 교황 특사 아모리가 "그들을 모두 살해하라. 신이 그것을 승인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당시 시몬은 상스 대주교, 클레르 몬트 주교, [[부르고뉴 공국 | 부르고뉴 공]], 누베르 백작과 같은 주요 십자군 참가자보다 훨씬 지위가 낮았다.
[21] 문서 왕비 [[인게보르크 (프랑스 왕비) | 인게보르크]]와의 이혼이 승인되지 않은 채, [[아니에스 드 멜라니]]를 후첨에 맞이했기 때문에 필립 2세는 중혼 상태에 있었다.
[22] 문서 curatum more galli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