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사회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젠더사회학은 성별과 관련된 사회 현상을 연구하는 사회학의 한 분야이다. 페미니스트 이론, 성별과 사회화, 성별과 분업, 교차성, 남성성, 세계화와 성별, 세 번째 성별, 성별과 폭력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페미니스트 이론은 여성의 권리와 사회적 평등을 강조하며, 1960~70년대 여성 운동의 기폭제가 된 베티 프리단의 저서 『여성의 신비』를 시작으로 여러 물결을 거치며 발전해왔다. 성별과 사회화는 사회가 개인에게 성 역할을 가르치는 과정을 의미하며, 부모, 미디어, 비전형적인 가정 환경 등이 영향을 미친다. 성별과 분업은 산업화 이후 노동 시장에서 성별에 따른 역할 분담과 불평등을 다루며, 성별 임금 격차, 유리천장 등의 문제를 보여준다.
교차성은 인종, 계급, 성별 등 여러 정체성이 겹쳐 불평등과 억압이 발생하는 현상을 분석하는 이론이다. 남성성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성 역할 정체성으로,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지배적인 형태를 띤다. 세계화는 성별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미치며, 비서구 국가의 여성 노동력 증가 등의 변화를 가져온다. 또한, 제3의 성별에 대한 개념은 역사적으로 존재해 왔으며,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성별과 폭력은 성별에 기반한 폭력의 유형과 원인을 분석하며, 특히 여성에 대한 폭력의 심각성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 특권 - 화이트리스트
화이트리스트는 특정 대상만 허용하고 나머지는 차단하는 접근 제어 목록으로, 정보보안, 무역,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목록 선정 기준의 불명확성, 사회적 문제점 등의 위험성으로 투명하고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 사회 특권 - 현상 유지 편향
현상 유지 편향은 손실 회피, 보유 효과, 인지적 제약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현재 상태를 선호하고 변화를 꺼리는 심리적 경향을 말하며, 개인의 의사 결정은 물론 사회, 경제, 정치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 젠더와 사회 - 부권제
부권제는 가부장제라고도 불리며 남성이 권력을 쥐고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제도로,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여성을 억압하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로 규정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고 비판적으로 고찰된다. - 젠더와 사회 - 성별격리
성별격리는 남녀의 생물학적 차이에 근거하여 법률, 사회적 압력, 역사적 관행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분리 현상으로, 물리적 공간 분리, 특정 직업 배제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안전, 종교, 교육 등 여러 이유로 정당화되지만 성차별, 불평등,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논쟁의 대상이 된다. - 사회 구성주의 - 토마스 루크만
토마스 루크만은 슬로베니아 출신 독일 사회학자로, 알프레드 슈츠의 영향을 받아 현상학적 사회학을 발전시켰으며, 피터 L. 버거와 함께 사회학 고전으로 평가받는 《사회적 실재의 구성》을 저술하고, 현대 사회 종교의 사사화 현상을 분석한 《보이지 않는 종교》를 발표하는 등 지식사회학, 종교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 공헌했다. - 사회 구성주의 - 프레이밍
프레이밍은 정보 제시 방식이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커뮤니케이션,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 젠더사회학 | |
|---|---|
| 젠더의 사회학 | |
![]() | |
| 주요 개념 | |
| 젠더 | 사회적으로 구성된 성별 역할 및 정체성 |
| 성 역할 | 사회에서 성별에 따라 기대되는 행동 및 태도 |
| 성차별 | 성별에 따른 불평등 및 차별 |
| 가부장제 | 남성이 사회 권력을 지배하는 시스템 |
| 여성주의 | 성 평등을 추구하는 이론 및 운동 |
| 남성성 | 사회적으로 구성된 남성 역할 및 정체성 |
| 성적 지향 | 성적으로 끌리는 대상 |
| 연구 분야 | |
| 가족 | 가족 내 성 역할 및 역학 관계 연구 |
| 직업 | 직업 시장에서의 성별 분리 및 임금 격차 연구 |
| 교육 | 교육 제도 내 성별 편견 및 성과 차이 연구 |
| 미디어 | 미디어가 성별 역할에 미치는 영향 연구 |
| 정치 | 정치 참여 및 권력 구조에서 성별 불평등 연구 |
| 스포츠 | 스포츠 내 성별 역할 및 차별 연구 |
| 폭력 | 성폭력 및 가정 폭력의 사회적 원인 연구 |
| 건강 | 건강 불평등 및 의료 서비스 접근에서 성별 영향 연구 |
| 이론적 관점 | |
| 구조기능주의 | 성 역할이 사회 안정에 기여한다는 관점 |
| 갈등 이론 | 성별 불평등이 사회 권력 불균형에서 비롯된다는 관점 |
|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 젠더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된다는 관점 |
| 여성주의 이론 | 여성 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를 분석하는 다양한 이론 |
| 퀴어 이론 | 이분법적 성별 구분을 비판하는 이론 |
| 포스트구조주의 | 젠더를 고정된 범주가 아닌 유동적인 것으로 보는 이론 |
| 관련 용어 | |
| 성정체성 | 자신의 성별에 대한 내적 인식 |
| 성별 표현 | 자신의 성별을 외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
| 젠더 스테레오타입 |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 |
| 교차성 | 인종, 계급 등 다른 사회적 범주와 젠더가 교차하며 발생하는 불평등 |
| 성소수자 | 사회적으로 소수자에 해당하는 성별 및 성적 지향을 가진 사람 |
| 일본어 명칭 | |
| 로마자 표기 | Jendā no shakaigaku |
| 일본어 표기 | ジェンダーの社会学 |
| 한국어 명칭 | |
| 로마자 표기 | Jendeo ui sahoe hak |
| 한국어 표기 | 젠더의 사회학 |
2. 페미니스트 이론
베티 프리단의 저서 『여성의 신비 The Feminine Mystique』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여성운동의 기폭제가 되었으며,[6] 여성들이 가정에서 벗어나 정치, 직장, 가족, 성 등 삶의 모든 영역에서 평등한 권리와 개인적 자유를 추구하도록 이끌었다.[7] 전국여성기구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NOW)는 베티 프리단, 폴리 머레이, 셜리 치좀, 뮤리얼 폭스 등 여성 권리 운동가들에 의해 설립되어 여성의 정치적, 사회적 평등을 옹호했다.[7]
초기 페미니스트 운동은 백인 중산층 여성의 평등에 초점을 맞추었고, 흑인 여성을 비롯한 다른 소수 여성들은 배제되었다.[9] 시간이 흐르면서 페미니즘은 여러 물결로 구분되었으며, 각 물결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평등과 관련된 고유한 목표를 가졌다.[10]
제1차 물결은 여성 참정권 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주로 백인 여성의 투표권 획득에 초점을 맞추었다.[11] 제2차 물결은 성차별과 생식권을 다루며,[11] 평등권 수정안 Equal Rights Amendment (ERA) 통과를 위해 노력했다.[8] 하지만, ERA는 반페미니즘자들의 비판을 받았고,[8] 결국 비준에 실패하였다.
제3차 물결은 사회가 여성과 그들의 사회적 위치에 대해 가지는 주된 생각을 논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젠더의 경계는 사람들이 젠더의 유동성을 실험할 수 있도록 재구성되었다.[11]
제4차 물결은 2013년에 시작되었으며 성희롱, 강간 문화, 그리고 바디 쉐이밍을 중심으로 한다.[12] 사회적 매체와 인터넷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파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투 운동 Me Too movement은 이 물결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12]
2. 1. 페미니즘의 물결
베티 프리단의 저서 『여성의 신비 The Feminine Mystique』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여성운동의 기폭제가 되었으며,[6] 여성들이 가정에서 벗어나 정치, 직장, 가족, 성 등 삶의 모든 영역에서 평등한 권리와 개인적 자유를 추구하도록 이끌었다.[7] 전국여성기구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NOW)는 베티 프리단, 폴리 머레이, 셜리 치좀, 뮤리얼 폭스 등 여성 권리 운동가들에 의해 설립되어 여성의 정치적, 사회적 평등을 옹호했다.[7]초기 페미니스트 운동은 백인 중산층 여성의 평등에 초점을 맞추었고, 흑인 여성을 비롯한 다른 소수 여성들은 배제되었다.[9] 시간이 흐르면서 페미니즘은 여러 물결로 구분되었으며, 각 물결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평등과 관련된 고유한 목표를 가졌다.[10]
제1차 물결은 여성 참정권 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주로 백인 여성의 투표권 획득에 초점을 맞추었다.[11] 제2차 물결은 성차별과 생식권 reproductive rights을 다루며,[11] 평등권 수정안 Equal Rights Amendment (ERA) 통과를 위해 노력했다.[8] 하지만, ERA는 반페미니즘자들의 비판을 받았고,[8] 결국 비준에 실패하였다.
제3차 물결은 사회가 여성과 그들의 사회적 위치에 대해 가지는 주된 생각을 논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젠더의 경계는 사람들이 젠더의 유동성을 실험할 수 있도록 재구성되었다.[11]
제4차 물결은 2013년에 시작되었으며 성희롱 sexual harassment, 강간 문화 rape culture, 그리고 바디 쉐이밍 body shaming을 중심으로 한다.[12] 사회적 매체와 인터넷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파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투 운동 Me Too movement은 이 물결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12]
2. 2. 다양한 페미니즘 이론
베티 프리단의 저서 ''여성의 신비 The Feminine Mystique''는 1960년대 여성 권리 운동을 촉발시킨 주요 출판물 중 하나로, 여성들이 가정에서 벗어나 더 큰 개인적 자유와 평등한 권리를 추구하도록 고무했다.[6] 여성 해방 운동으로도 알려진 이 운동은 정치, 직장, 가족, 성 등 삶의 모든 영역에서 평등을 추구했다.[7]자유주의 페미니즘은 개인이 자신의 재능을 개발하고 이익을 추구할 자유가 있어야 한다고 믿으며, 사회적 장벽을 제거하여 평등을 확대하고자 한다.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자본주의가 소수의 손에 부와 권력을 집중시켜 가부장제를 강화한다고 비판하며, 집단 혁명을 통해 전통적인 가족 구조를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급진적 페미니즘은 가부장제가 사회에 깊이 뿌리 박혀 있어 사회학적 혁명으로도 끝낼 수 없다고 보며, 사회는 젠더 자체를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초기 페미니즘 이론은 성과 젠더, 그리고 이러한 젠더 범주에 기반한 불의를 목표로 했지만, 주로 백인 중산층 여성의 평등에 초점을 맞추고 흑인 여성을 포함한 다른 소수 여성들을 배제했다는 한계가 있었다.[9]
3. 성별과 사회화
사회화는 한 사회의 규범, 가치, 규칙을 배우는 과정으로, 그 안에서 제 기능을 하는 구성원이 된다. 사회화 이론은 성 정체성 획득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제공한다. 유아는 빈 종이로 인식되며 환경에 따라 기록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자신들과 가까운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그들 사회의 가치에 대한 노출을 통해, 유아들은 성이 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떤 역할을 배우기를 기대하는지를 배운다. 강화는 (성별로 적절한 행동을 보상하고 일탈적으로 보일 수 있는 행동을 처벌함으로써) 아이들을 그들의 성별에 사회화시킨다.[22]
아이들에게 사회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부모이다. 어린 나이에 아이들은 특정한 성별에 대한 사회적 규칙과 규범을 배운다. 성 역할이라고도 알려진 이러한 규범은 남성과 여성에게서 기대되는 바를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출생 순간부터 앞으로, 그들의 아이에 대한 부모의 기대는 그들의 성별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부모들은 그들의 딸들보다 거친 육체적 놀이에 그들의 아들과 관여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고, 장기적인 결과가 뒤따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23] 부모와 가족은 아이가 성별에 대한 관점을 발달시키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영향에는 부모의 태도와 남성과 여성 자녀에 대한 치료의 차이가 포함될 수 있다. 수잔 위트(Susan Witt) 연구원은 부모가 태어난 때부터 성별과 관련된 특정 장난감, 색상, 이름을 통해 아이를 성별에 노출시키기도 한다고 주장한다. 윗은 성별에 대한 부모의 태도가 남자 아이마다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태도는 아이가 태어나면 빠르게 발전한다고 말한다.[24] 부모들은 아이들이 가정에서 행동하고 생각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아이들이 그러한 생각과 믿음을 강화하는 환경에 노출되는 현실 세계로 옮겨진다.[25]
아이들이 세 살이 될 때까지, 많은 사람들은 그들 자신을 남성 또는 여성으로 확고히 인식하고 평생 동안 남아 있는 성 정체성을 갖게 될 것이다.[29][30] 게다가, 많은 미취학 아동들은 특정한 활동이나 옷가지들이 여자아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고 남자아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성 고정관념에 대한 확고한 인식을 발달시킨다. 하지만 성별 정체성이 생물학적 성에서 자동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29][30]
유년기 내내 가르치는 규범은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어릴 때 부모들에 의해 전형적으로 가르쳐지는 성별에 대한 생각이 집 밖에서 강화되기 때문이다.[24] 믹 커닝햄 박사의 연구에서 아이들이 관찰하는 규범적인 행동과 태도가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자신의 가정을 구성하기 위해 성장하는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32] 규범적인 성 역할은 가구 밖에서 강화될 수 있으며, 성별에 대한 이러한 패권적 관념에 힘을 더할 수 있다. 재니스 맥케이브가 21세기 아동 도서를 분석한 결과, 아동 매체의 이 특별한 방식은 상징적으로 여성을 전멸시키며, 여성의 절반 정도를 대표한다. 이와 같은 과소 표현은 아이들과 그들의 성별 관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3] 디즈니, 니켈로디언, 카툰 네트워크와 같은 어린이 TV 방송국들은 베스 헨지스와 킴 케이스가 실시한 연구에서 각각의 쇼에서 남성과 여성의 불균형한 표현을 보여주었다. 헨지와 케이스에 따르면, 세 명의 어린이 방송망에는 모두 여성 캐릭터가 적다. 하지만 만화 네트워크와 니켈로데온에서는 디즈니보다 고정관념적인 성 행동이 더 많이 전파되고 있다.[34]
3. 1. 부모의 영향
부모는 사회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22] 부모는 아이에게 성별에 따른 특정 장난감, 색상, 이름을 제공하고,[24] 성별에 따라 다른 양육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성 역할 사회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부모들은 딸들보다 거친 육체적 놀이에 아들과 관여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23] 부모의 태도와 남녀 자녀에 대한 치료의 차이는 아이가 성에 대한 관점을 발달시키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24] 수잔 그라이스하버(Susan Grieshaber)는 부모가 아이의 성별을 알게 된 후 임신에 대한 태도가 변하며, 이에 따라 태어나지 않은 아이에 대한 부모의 태도도 변한다고 주장한다.[26] 카라 스미스(Kara Smith)는 자신의 아이가 남성임을 알게 된 후 아이에 대한 태도가 변했다고 결론지었다.[27]아이들은 세 살이 될 때까지 자신을 남성 또는 여성으로 확고히 인식하고 평생 동안 남아 있는 성 정체성을 갖게 된다.[29][30] 또한, 많은 미취학 아동들은 특정한 활동이나 옷가지들이 여자아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고 남자아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성 고정관념에 대한 확고한 인식을 발달시킨다. 그러나 성별 정체성이 생물학적 성에서 자동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29][30]
성인은 남녀의 의사소통 노력에 다르게 반응한다. 13개월 된 유아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남자아이가 공격적으로 행동하거나 울거나 징징거리거나 비명을 지르는 등 주의를 요구할 때 주의를 받는 경향이 있었다. 반대로, 성인은 여자아이가 언어, 제스처 또는 부드러운 접촉을 사용할 때만 반응하는 경향이 있었다.[31]
어릴 때 부모들에 의해 전형적으로 가르쳐지는 성별에 대한 생각은 집 밖에서 강화되기 때문에 어린 시절 동안 가르치는 규범은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24]
3. 2. 미디어의 영향
미디어는 성 역할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33][34] 아동 도서[33], TV 프로그램[34] 등은 남성과 여성의 불균형한 표현을 보여주며, 이는 아이들의 성별 관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3]제니스 맥케이브(Janice McCabe)가 21세기 아동 도서를 분석한 결과, 아동 매체는 여성을 과소 대표하며, 이는 아이들의 성별 관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3] 디즈니, 니켈로디언, 카툰 네트워크와 같은 어린이 TV 방송국들은 각 쇼에서 남성과 여성의 불균형한 표현을 보여주었다. 특히 카툰 네트워크와 니켈로디언에서는 디즈니보다 고정관념적인 성 행동이 더 많이 나타났다.[34]
미디어는 사회의 성 불평등을 반영하며, 여성에게 비현실적인 미의 기준을 강요한다는 비판을 받는다.[8] 이는 젊은 여성들의 자존감을 낮추고 섭식 장애에 기여할 수 있다.[8] 또한, 미국 미디어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묘사하는 이미지를 보여준다는 비판을 받는다.[8]
미디어는 미의 신화 개념을 강화하는데, 이는 나오미 울프(Naomi Wolf)가 저서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여성에 대한 비현실적인 미의 기준을 의미한다.[13] 주류 미디어가 남성을 지배적인 존재로 묘사함으로써 이성애적 남성성(hetero-masculinity) 개념을 영속화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14] 또한, 미디어가 여성과 이성애 규범(heteronormative)에 속하지 않는 남성을 대상화하고 억압한다는 주장도 있다.[15]
매체를 통해 남성들은 둔감하고 폭력적이며 신체적으로 강한 초남성적인 모습을 보이도록 교육받는다. 광고, 할리우드 영화 산업, 비디오 게임 등은 남성들이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이상에 부합하지 않는 다른 남성들을 억압하도록 부추긴다.[16]
역사적으로 여성들은 미디어 기관에서 배제되어 왔으며, 이는 18세기 초 유럽과 북미의 여권운동에서 이미 강조된 주요 문제였다.[17] 여성들은 여권운동을 통해 여성의 문제와 업적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체 미디어 매체를 구성하였다. 기존 뉴스 매체의 가부장적인 시스템으로 인해 여성들은 스스로 미디어 매체를 만들어야 했다.[17] 20세기에 이르러 여성과 페미니즘 문제에 관한 정보가 다양한 뉴스 매체에 발표되어 여성들의 현안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여성의 권리 평등과 보호를 확대했다.[17]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5호(SDGs)의 일환으로, 유엔 여성 미디어 협약이 설립되어 미디어 매체 내의 평등을 증진하고 활성화하고 있다.[18]
여성의 대상화는 여성을 획득하고 소유할 수 있는 무생물적 대상으로 보는 매체 속 사례들을 가리킨다.[19] 대부분의 대상화 사례는 남성의 성적 욕망에서 비롯되지만, 대상화가 항상 성적인 것은 아니다.[20] 매체에서 여성의 광범위한 대상화는 여성의 자존감 저하와 섭식 장애와 같은 사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1]
3. 3. 비전형적인 가정 환경의 영향
사회화는 한 사회의 규범, 가치, 규칙을 배우는 과정이며, 이를 통해 개인은 사회 구성원으로 기능한다.[35] 사회화 이론은 성 정체성 획득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며, 유아는 빈 종이와 같아서 환경에 따라 기록되기를 기다린다고 본다.[35] 아이들은 가까운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및 사회 가치에 대한 노출을 통해 성의 영향과 역할을 배운다. 강화는 성별에 적절한 행동을 보상하고 일탈적인 행동을 처벌함으로써 아이들을 성별에 사회화시킨다.[35] 부모는 아이들에게 사회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어린 나이에 아이들은 특정한 성별에 대한 사회적 규칙과 규범을 배운다.[35] 이러한 규범은 성 역할이라고도 하며, 남성과 여성에게서 기대되는 바를 개괄한다.일부 아이들은 전통적인 성 역할에 도전하는 비전형적인 가정 환경에서 자란다. 자다 티드웰의 연구에 따르면,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어머니(미혼모와 부부 모두)가 있는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의 놀이를 관찰한 결과, 비전형적인 환경이 아이들의 삶과 사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35] 헤게모니적인 문화적 관념에 도전하는 가정은 이성애적 양육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과는 다른 성에 대한 관점을 아이들에게 제공한다.[35] 이 가족들의 아이들은 전형적인 성 역할을 지지하고 동시에 도전하는 아이디어를 보고했다.[35] 애비 골드버그의 연구에서는 부모가 동성인 아이들은 이성애 가정의 아이들보다 전형적인 성 역할에 덜 고착된 방식으로 놀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36] 수잔 위트는 양성적 성 역할을 옹호하며, 환경이 성에 대해 더 개방적이고 아들과 딸 모두에게 격려적이라고 주장한다.[24]
4. 성별과 분업
산업화 이전에는 농업, 수공업 등을 중심으로 한 경제 활동이 가구 단위로 조직되었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젊든 늙든 가구 구성원들은 가족의 생계에 기여했다. 지역과 계층에 따라 여성은 특정한 유형의 일을, 남성은 다른 유형의 일을 했을 수 있지만, 남성은 생계 부양자이고 여성은 주부라는 구분은 산업화 이전의 노동 분업의 특징이 아니었다.[1]
산업화는 많은 생산 활동을 공장, 상점, 사무실로 이동시켰다. 이러한 일터와 가정의 분리는 성 관계와 성 담론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가정은 가족 기업의 장소가 아니라, 업무 세계로부터의 피난처로 이해되기 시작했다. 여성은 가정의 관리자로 정의되었는데, 그 이유는 여성은 상품이나 서비스가 아니라 조화와 덕을 창출하는 것이 본성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이었다. 전근대 사회는 남성과 여성 사이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노동력에서 성 역할에 의존했다. 남성에게는 사냥꾼 역할이, 여성에게는 가정적인 역할이 할당되었다. 남성은 가족을 위한 식량과 거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었고, 여성은 자녀와 가정을 돌보는 역할을 했습니다. 수세기가 지나면서 이러한 상황은 지속되었고 노동에서 성 역할의 분열을 초래했다. 여성은 생계를 제공하는 남성에게 의존하게 되었고, 이러한 의존성으로 인해 사회에서 남성의 역할이 더욱 가치 있게 여겨졌으며, 이는 21세기에도 여전히 남아 있다.[1]
노동 분업은 특정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에 도움이 되도록 특정 직업에 종사하게 한다. 여성이 노동력에 어떻게 참여하고 사회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는 남성과 여성의 성 고정관념의 차이에 영향을 받았다. 고정관념에 기반하여 남성은 최고 직책에 더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반면 여성은 그렇지 않습니다. 여성은 관리직이나 CEO 직책과 같은 남성 중심 직업에 필요한 자질이 부족하다고 여겨진다.[38] 최근 몇 년 동안 여성의 노동 참여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성은 여전히 노동 시장을 지배하고 있으며 여성은 여전히 열등하게 여겨진다.[39] 전통적으로 남성 직업에서 여성에 대한 끊임없는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연구에 따르면 여성은 남성을 위한 것으로 간주되는 과제에 자신감과 자존감이 낮은 상태로 접근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38] 이는 그들이 그러한 과제를 완수할 만큼 충분히 유능하지 않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는 점점 더 많은 여성이 노동 시장에 진출함에 따라 평등한 대우를 보장하기 위해 제7조와 1964년 시민권법이 통과되었습니다.[10] 그러나 여성은 여전히 농담부터 협박까지 다양한 형태의 성희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10] 가장 흔한 성희롱의 형태는 여성이 불안하고 불편함을 느끼도록 하는 "적대적인 환경"입니다.[10] 이러한 성희롱은 남성이 여성에 대한 우월성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작용하며, 직장에서 가장 두드러진 성 불평등의 한 형태입니다. 직장 내 여성은 유리천장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41] 전통적 여성 직종의 남성은 유리 에스컬레이터 효과를 경험한다.[43] 또한 성별 임금 격차가 존재하며,[44] 이는 직업 분리, 이중 부담, 직업적 성차별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45] 월마트 대. 듀크스 사건 (Dukes v. Wal-Mart Stores, Inc.)에서는 월마트의 성차별적 채용 및 승진 관행이 문제 제기되기도 했다.
고액 연봉 직책에 여성이 많을수록 우울 증상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데,[46][47] 이는 직장 내 사회적 고립이나 부정적 사회적 상호작용과 같은 부정적인 사회적 경험이 원인으로 지적된다.
중국에서는 간접적인 차별을 나타내는 직무 요건을 근거로 여성이 성별에 따른 차별을 경험하기도 한다.[49]
4. 1. 성별 고정관념과 노동 시장
산업화 이전 시대에는 농업, 수공예 등 가구 단위 경제활동에서 남녀노소 모두 가족 생계에 기여했다. 지역과 계급에 따라 역할 분담이 있었지만, 남성 생계 부양자와 여성 주부라는 구분은 산업화 이전 노동 분업의 특징은 아니었다.[1]산업화는 생산 활동을 공장, 상점, 사무실로 이동시키면서 일터와 가정을 분리시켰고, 성 관계와 성 담론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가정은 업무 세계로부터의 피난처로, 여성은 조화와 덕을 창출하는 본성을 가진 가정의 관리자로 정의되었다. 전근대 사회는 성 역할에 기반한 노동 분업으로 남녀 간 균형을 이루려 했다. 남성은 사냥꾼, 여성은 가정 돌봄 역할을 맡았고,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성별 분업으로 이어졌다. 여성의 남성 의존은 사회에서 남성 역할을 더 가치 있게 만들었으며, 이는 21세기에도 남아있다.[1]
노동 분업은 특정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특정 직업에 종사하게 한다. 남녀 성별 고정관념은 여성이 노동 시장과 사회에 기여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고정관념에 따르면 남성은 최고 직책에 더 적합하고, 여성은 관리직이나 CEO 직책 등 남성 중심 직업에 필요한 자질이 부족하다고 여겨진다.[38] 최근 여성의 노동 참여 증가에도 불구, 남성은 여전히 노동 시장을 지배하고 여성은 열등하게 여겨진다.[39]
미국에서는 여성의 노동 시장 진출 증가에 따라 제7조와 1964년 시민권법이 통과되어 평등한 대우를 보장했다.[10] 그러나 여성은 여전히 다양한 형태의 성희롱에 시달리고 있으며,[10] 이는 남성이 여성에 대한 우월성을 강화하는 수단이자 직장에서 가장 두드러진 성 불평등의 한 형태이다. 직장 내 여성은 유리천장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41] 전통적 여성 직종의 남성은 유리 에스컬레이터 효과를 경험한다.[43] 또한 성별 임금 격차가 존재하며,[44] 이는 직업 분리, 이중 부담, 직업적 성차별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45] 월마트 대. 듀크스 사건 (Dukes v. Wal-Mart Stores, Inc.)에서는 월마트의 성차별적 채용 및 승진 관행이 문제 제기되기도 했다.
고액 연봉 직책에 여성이 많을수록 우울 증상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데,[46][47] 이는 직장 내 사회적 고립이나 부정적 사회적 상호작용과 같은 부정적인 사회적 경험이 원인으로 지적된다.
중국에서는 간접적인 차별을 나타내는 직무 요건을 근거로 여성이 성별에 따른 차별을 경험하기도 한다.[49]
4. 2. 성별 임금 격차
산업화 이전 사회는 남성과 여성 사이의 평형을 만들기 위해 노동력에서 성적인 역할에 의존했다. 남자는 사냥꾼, 여자는 가정 역할이 할당되었다. 남성은 가족을 위해 음식과 쉼터를 제공하고, 여성은 아이들과 가정을 돌봤다. 이러한 의존성은 21세기에도 여전히 남아 있는 사회에서 남성들의 역할이 더 가치 있게 되었다.[41]노동 분업은 특정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에 혜택을 주기 위해 특정 직업에 종사하도록 보장한다. 여성들이 어디에서 노동에 적합한지 그리고 여성들이 사회에 어떻게 혜택을 주는지는 남성과 여성의 성별 고정관념의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고정관념에 따르면, 남자들은 높은 지위에 더 적합하다고 인식되는 반면 여자들은 그렇지 않다.[41] 여성들은 관리직이나 CEO직과 같은 남성 중심 직업을 얻는데 필요한 자질이 부족하다고 여겨진다. 최근 몇 년 동안 직장에 들어가는 여성의 수가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남성들은 계속해서 노동력을 지배하고 있고 여성들은 여전히 열등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그들이 그러한 일을 완수할 능력이 없다는 믿음 때문이다.[41]
그러나, 점점 늘어나는 여성의 노동력 유입에 대해 동등한 대우를 보장하기 위해 미국에서는 1964년 시민권법이 통과되었다. 하지만 여성들은 여전히 농담에서 위협까지 이르는 성희롱의 형태를 받고 있다. 성희롱의 가장 흔한 형태는 여성들을 불안하고 불편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적대적인 환경"이다.[41] 직장 내 여성과 남성은 서로 다른 유형의 이동성을 경험한다. 예를 들어, 여성은 기업 사다리를 오르는 것을 막는 보이지 않는 장벽인 유리천장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다.[41] 간호, 초등학교 교사, 사회복지와 같이 전통적으로 여성이 담당해 온 직종의 남성들은 관리자나 교장이 되는 등 직위 계층을 빠르게 상승하는 "유리 에스컬레이터" 효과를 경험한다.[43]
성별 임금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이며, 직업 분리, 이중 부담, 직업적 성차별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45] 직업 분리는 임금 차별이 아니라 남성과 여성을 성별 특유의 고용 형태로 몰아넣는다.[45] 이중 부담은 여성이 유급 일자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무급 아동 양육 및 가사 노동을 수행하는 현상이다.[45] 직업적 성차별은 전통적인 가장의 지위 때문에 남성을 승진시키는 것을 선호하는 것이다.[45] 2001년 집단 소송인 ''월마트 대. 듀크스 사건 (Dukes v. Wal-Mart Stores, Inc.)''에서는 월마트가 성차별적인 채용 및 승진 관행을 했다고 주장했다.
고액 연봉 직책에 여성이 많을수록 우울 증상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우울증이 직장 내 사회적 고립이나 부정적인 사회적 상호 작용과 같은 부정적인 사회적 경험으로 인해 권위 있는 직책의 여성의 정신 건강을 약화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그것은 남성이 직장에서 여성보다 더 높은 가치를 지닌다는 점을 언급했다.[46][47] 이러한 사회적 상호 작용은 문화적인 성역할에 의해 발생했을 것이다.[48]
중국에서는 간접적인 차별을 나타내는 직무 요건을 근거로 여성이 성별에 따른 차별을 경험했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에게 공개된 구인 광고에서 해당 직무에 필요하지 않은 특정 무게를 들거나 특정 신장을 요구하는 것이다.[49]
또한, 직장 내 트랜스젠더 개인의 등장은 남성과 여성의 성별 이분법을 깨기 시작했다.[50]
미국에서는 기업들이 임신 중 및 출산 후 여성이 육아휴직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정책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결과적으로 전반적인 모성 건강 개선, 산모의 정신 건강 개선, 모자 간 상호 작용 증진과 같은 많은 긍정적인 건강상의 이점이 있다.[51] 그러나 미국은 출산 후 유급 육아휴직을 허용하지 않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51]
미국의 육아휴직 정책은 남성에 대한 초점이 부족하고 출산휴가를 포함하지 않는다. 1995년부터 2005년까지 평균 약 1만 3천 명의 남성이 출산휴가를 사용한 반면 여성은 27만 3천 명이었습니다.[52] 남성 근로자의 출산휴가 사용률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가정에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그중 일부는 "산모의 출산 회복 지원...[및] 아버지의 참여 장려"를 포함합니다. 캐나다와 스웨덴과 같이 출산휴가를 제공하는 국가는 영아 사망률이 낮고 모성 건강(정신적 및 신체적)이 더 좋다. 이러한 국가들은 또한 출산휴가가 경제적으로 가능함을 보여줍니다.[53] 그러나 사회에는 남성 근로자의 출산휴가 사용을 억제하는 기존의 인식이 존재합니다. 전통적인 남성성에 대한 사회적 규범은 남성이 여성의 일로 여겨지는 가정 생활보다 직장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믿습니다.[52]
4. 3. 직장 내 성차별
산업화 이전 사회에서는 남녀 모두 가구의 생계에 기여했지만, 산업화는 생산 활동을 가정 밖으로 이동시키면서 성 역할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켰다.[41] 여성은 가정의 수호자로 여겨졌고, 남성은 생계를 책임지는 역할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노동 분업에 영향을 미쳐, 남성이 높은 지위에 더 적합하다는 고정관념을 낳았다.[41]1964년 미국에서는 시민권법이 통과되어 여성의 노동력 유입에 대한 동등한 대우를 보장하려 했지만, 여성들은 여전히 직장 내에서 성희롱과 같은 차별을 경험했다.[41] 여성은 기업 사다리를 오르는 것을 막는 보이지 않는 장벽인 유리천장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었다.[41] 스웨덴의 한 연구에서는 여성 임원 수보다 남성 임원 수가 통계적으로 더 많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이는 미국과 같은 다른 국가에서도 나타났다.[42] 반면, 간호, 초등학교 교사, 사회복지와 같이 전통적으로 여성이 담당해 온 직종의 남성들은 관리자나 교장이 되는 등 직위 계층을 빠르게 상승하는 "유리 에스컬레이터" 효과를 경험한다.[43]
성별 임금 격차는 여성의 임금이 남성의 77% 수준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44] 이는 직업 분리, 이중 부담, 직업적 성차별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45] 2001년 집단 소송인 ''월마트 대. 듀크스 사건 (Dukes v. Wal-Mart Stores, Inc.)''에서는 월마트가 성차별적인 채용 및 승진 관행을 했다고 주장했다.
고액 연봉 직책에 여성이 많을수록 우울 증상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데,[46][47] 이는 직장 내 사회적 고립이나 부정적인 사회적 상호 작용과 같은 부정적인 사회적 경험이 원인으로 지목되었다.[46] 이러한 사회적 상호 작용은 문화적인 성역할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48]
중국에서는 간접적인 차별을 나타내는 직무 요건을 근거로 여성이 성별에 따른 차별을 경험했다.[49] 예를 들어, 모든 사람에게 공개된 구인 광고에서 해당 직무에 필요하지 않은 특정 무게나 신장을 요구하는 것이다.
직장 내 트랜스젠더 개인의 등장은 남성과 여성의 성별 이분법을 깨기 시작했으며,[50] 혼합된 성 정체성을 만들어냄으로써 포스트젠더리즘으로의 움직임에 대한 개념을 제시한다.
5. 교차성
교차성은 계급, 인종, 성별에 대한 사회 분석의 비판 이론에서 비롯된 신마르크스주의 개념이다. 교차성 이론은 "불평등, 억압, 특권"의 형태가 상호 연결된 정체성의 축에 의해 형성되며, 자본주의, 가부장제, 제도화된 이성애 규범과 같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구조와 사회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호 강화된다고 주장한다.[54] 교차성 이론은 인종, 계급, 성별 및 기타 정체성 표식이 사회적 구성물이라고 주장한다.[55] 이 이론은 권력 관계 시스템이 규범적이며 개인의 성격과 노력에 대해 개인을 책임질 수 있다는 가정에 반대한다.[54]
다른 사회학자들은 계급, 인종, 성별의 교차성에 대해 글을 썼다. 조앤 에이커는 교차점의 네 가지 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첫 번째 절차에는 성별과 인종에 따른 계층 구조가 포함된다. 또 다른 것은 사회적 이미지와 아이디어가 성 제도를 묵인하는 과정이다. 세 번째는 의사소통을 통해 성별을 창출하는 개인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의 과정이다. 네 번째는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성적인 페르소나에 대한 내부 표시이다.[56] 에블린 나카노 글렌은 억압받는 여성의 인종적 차이를 무시하는 성 가부장제 모델과 성차이를 무시한 소수민족 중심의 내부 식민주의 모델을 모두 비판한다.[57]
웨스트와 펜스터메이커는 1995년 논문 ''차이 짓기(Doing Difference)''에서 성별, 인종, 계급을 별개의 축으로 생각하는 모델은 개인의 전체 경험이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제한적이라고 제시한다. 예를 들어, 그들은 전체가 부분의 합보다 크거나 작지 않을 것이라는 덧셈 모델을 비판한다. 각 정체성 표식을 개별적 특성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이러한 표식의 상호 연결 효과를 무시한다.[54]
5. 1. 성별화된 과정 (조앤 에이커)
조앤 에이커(Joan Acker)는 계급, 인종, 성별의 교차성에 대해 연구한 사회학자이다. 에이커는 교차점의 네 가지 성 과정을 제시했다. 첫째는 성별과 인종에 따른 계층 구조, 둘째는 사회적 이미지와 아이디어가 성 제도를 묵인하는 과정, 셋째는 의사소통을 통해 성별을 창출하는 개인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넷째는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성적인 페르소나에 대한 내부 표상이다. 에블린 나카노 글렌(Evelyn Nakano Glenn)은 억압받는 여성의 인종적 차이를 무시하는 성 가부장제 모델과 성차이를 무시한 소수민족 중심의 내부 식민주의 모델을 모두 비판한다.교차성은 계급, 인종, 성별에 대한 비판적 사회 분석에서 비롯된 신 마르크스주의 개념이다. 교차성 이론은 불평등, 억압, 특권의 형태가 정체성의 상호 연결된 축에 의해 형성되고, 자본주의, 가부장제, 제도화된 이질성과 같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구조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호 강화된다고 주장한다. 교차성 이론은 인종, 계급, 성별, 그리고 다른 정체성의 표시들이 사회적 구성이라고 주장하며, 권력 관계 체계가 규범적이며 개개인이 자신의 성격과 노력에 대해 책임을 지게 할 수 있다는 가정에 반기를 든다.
6. 남성성
남성성은 수행되는 성 역할 정체성으로, 성이나 성적 지향과는 다르다. 남성성의 내용과 실행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되고 재현된다.[69] 웨스트와 지머먼은 성이 책무성을 통해 유지된다고 강조하며, 남성들은 남성성을 자연스러운 것처럼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한 남자의 지위는 그의 실적에 달려있다. 그러나 남성성은 어떠한 성별에도 의해 수행될 수 있다.[69][70][71][72]
사회학자 마이클 김멜(Michael Kimmel)은 2008년 저서 ''가이랜드(Guyland)''에서 남성성을 지지하는 세 가지 문화를 설명한다.[69]
- 권리 의식의 문화: 남성은 자신이 무언가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느끼도록 자랐다. 그들은 권력, 성, 여성에 대한 권리를 느낀다.
- 침묵의 문화: 남성은 음주, 괴롭힘, 강간 또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동료의 남성성 수행에 대해 외부인(남성성 문화에 포함되지 않은 사람들)과 이야기해서는 안 된다. 말을 하면 남자답지 않은 배신자로 보일 것이다.
- 보호의 문화: 공동체는 의심스럽고 불법적인 행동에 대해 남성에게 책임을 묻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은 아이들이 결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눈을 감는다. 다른 사람들은 위험한 행동을 "사내아이들은 원래 그렇다"라고 핑계댄다.[69]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종종 미디어와 문화를 통해 복제되고 강화된다. "남성에 대한 언론의 표현은 종종 남성의 신체적 힘, 대담한 태도, 정력, 감정적 거리 사용을 미화한다."[75] 현대 랩 음악은 전시된 남성성의 두드러진 예이다. 래퍼들은 여성에 대한 성적 정복, 부, 권력 그리고 폭력을 자랑한다.[75]
6. 1. 헤게모니적 남성성
남성성은 수행되는 성역할 정체성으로, 성이나 성적 지향과는 다르다. 남성성의 내용과 실행은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일상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재생산된다.[69] 웨스트와 지머먼은 성이 책무성을 통해 유지된다고 강조하며, 남성들은 남성성을 자연스러운 것처럼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69][70][71][72]헤게모니적 남성성은 사회에서 남성성의 지배적인 형태이다. 남성들은 자신의 남성으로서의 지위를 증명하기 위해 끊임없이 이를 수행하며,[73] 여성성에 대한 반대 개념이자 다른 모든 성 정체성에 대해 지배적인 위치를 점한다. 남성들은 태어날 때부터 행동과 상징을 통해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수행하도록 사회화된다.[69][74]
사회학자 마이클 김멜(Michael Kimmel)은 그의 저서 ''가이랜드(Guyland)''에서 남성성을 지지하는 세 가지 문화를 설명한다. 첫째는 권리 의식의 문화로, 남성은 권력, 성, 여성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고 느낀다. 둘째는 침묵의 문화로, 문제가 될 수 있는 행동에 대해 외부인에게 말하지 않는다. 셋째는 보호의 문화로, 공동체는 남성의 의심스러운 행동에 책임을 묻지 않는다.[69]
서구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권력, 성적 지배, 부, 공격성, 독립성, 감정 부족 등을 특징으로 한다.[69] 통제 이론에 따르면, 남성성의 규범은 매우 엄격하여 남성들은 벗어날 여지가 거의 없고 끊임없이 재생산한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미디어를 통해 강화되기도 하는데, 현대 랩 음악에서 래퍼들은 여성에 대한 성적 정복, 부, 권력, 폭력을 과시한다.[75]
6. 2. 남성성을 지지하는 문화 (마이클 키멜)
남성성은 성과적 특성을 띄는 성 정체성으로, 성별이나 성적 지향과는 같지 않다.[69] 남성성의 내용과 실천은 일상적 상호작용을 통해, 특히 미시적인 규모로 구성되고 재현된다.[69] 이론가 웨스트(West)와 지머먼(Zimmerman)은 성별은 책무성을 통해 유지된다고 강조했다.[69][70][71][72] 남자들은 남성성이 귀화될 정도로 남성성을 발휘해야 하며, 한 남자의 지위는 그의 실적에 달려있다. 그러나 남성성은 어떠한 성별에도 의해 수행될 수 있다.[69][70][71][72]사회학자 마이클 김멜(Michael Kimmel)은 2008년 저서 ''가이랜드(Guyland)''에서 남성성을 지지하는 세 가지 문화를 설명한다.[69]
- 권리 의식의 문화: 남성은 자신이 무언가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느끼도록 자랐다. 그들은 권력, 성, 여성에 대한 권리를 느낀다.
- 침묵의 문화: 남성은 음주, 괴롭힘, 강간 또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동료의 남성성 수행에 대해 외부인(남성성 문화에 포함되지 않은 사람들)과 이야기해서는 안 된다. 말을 하면 남자답지 않은 배신자로 보일 것이다.
- 보호의 문화: 커뮤니티는 의심스럽고 불법적인 행동에 대해 남성에게 책임을 묻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은 아이들이 결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눈을 멀게 한다. 다른 사람들은 위험한 행동을 "소년은 소년이 될 것"이라고 쓴다.[69]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종종 미디어와 문화를 통해 복제되고 강화된다. "남성에 대한 언론의 표현은 종종 남성의 신체적 힘, 대담한 태도, 정력, 감정적 거리 사용을 미화한다."[75] 현대 랩 음악은 전시된 남성성의 두드러진 예이다. 래퍼들은 여성에 대한 성적 정복, 부, 권력 그리고 폭력을 자랑한다.[75]
7. 세계화와 성별
세계화는 문화, 사람, 그리고 경제 활동의 점점 더 글로벌해지는 관계를 의미한다. 세계화는 크고 국제적인 규모에서 여성 평등에 부정적이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국제 관계의 지속적인 변화와 더불어 서구와 비서구 사회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은 자주 수정된다. 다른 문화와 국가의 페미니스트 개혁에 대한 공로를 서구 사회가 항상 인정받는 것은 아니므로, 세계 페미니즘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에서 서구적 편향을 경계하는 것이 중요하다.[84]
페미니스트 정서 – 또는 성평등을 위한 노력 – 는 서구 사회의 수출된 신념에 따른 것이 아니라 국가별 상황의 결과로 나타난다. 여성의 평등과 지위 향상은 종종 국가 단위의 그룹이나 기업이 아닌 개인과 소규모 그룹의 결과이다.
세계화의 결과 중 하나는 비서구 국가에서 여성 공장 노동자의 증가이다. 멕시코에서는 여성 노동자가 온순하고 저렴한 노동력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이상적이다. 아름다움, 가정적 성격, 온순함과 같은 전형적인 여성적 특성은 과장되고 상품 생산에 이용된다.[85] 이러한 성별 특성은 직업 영역을 넘어 여성의 행동을 규정한다. 페미니즘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및 사회적 이동성의 부족으로 인해 많은 국가의 여성들은 사회에서 동등한 지위를 갖지 못한다.
세계적인 성 불평등을 없애기 위한 해결책 중 하나는 빈곤 여성들에게 자원과 자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성들은 이를 교육과 사업 활동에 활용할 것이다. 세계 경제는 교육받은 여성을 노동력에 편입시킴으로써 엄청난 이익을 얻을 수 있다.[86] 세계 경제가 이러한 변화로부터 이익을 얻을 뿐만 아니라 여성들은 사회에 참여하고 원하는 대로 활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8. 세 번째 성별
역사를 통틀어,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제3의 성에 대한 개념은 존재해왔다. 북미 원주민 문화의 투 스피릿은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이 달랐다.[39] 좀 더 구체적으로, 나바호족 사회에서, 세 번째 성별은 나들(nadle)로 알려져 있다. Nadle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공통적인 일을 하는 성별이지만, 현재 그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에 따라 옷을 입기도 한다.[39] 멕시코 남부의 뮤크세(muxe)는 수컷도 암컷도 아닌 수컷이다. 사모아에서 파파핀(Fa'afafine)은 암컷으로 식별되는 생물학적 수컷이다. 인도 사회에서 히즈라는 여성을 동일시하는 생물학적 남성이다. 그들은 성적 욕망을 포기하고 희생적 무력화 또는 고환과 음경을 제거함으로써 성행위에 참여한다.[39] 그들은 그들 사회에서 외부인으로 간주되고 그들만의 언어를 형성했다.[87] 미국에서, 제3의 성별에 대한 개념이 설득력을 얻기 시작하고 있다. 캘리포니아는 이제 운전면허증에서 성별을 "non-binary"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88]
9. 성별과 폭력

성별 기반 폭력이란 사회적 성규범을 배경으로 개인에게 가해지는 신체적, 성(性)적 또는 정서적 해악이나 고통을 말한다.[76] 폭력은 권력, 통제, 지배와 관련이 있으며, 불평등과 억압 시스템이 상호 작용하여 특정 집단을 폭력에 특히 취약하게 만든다.[76] 성차별적 폭력은 한 이데올로기(남성성)가 다른 이데올로기(여성성)를 지배하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권력 역학 속에서 발생한다.[76]
남성이 범죄자 비율이 불균형적으로 높고 여성이 피해자 비율이 불균형적으로 높다.[77] 폭력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은 대부분 남성이다. 강간(98%), 무장 강도(92%), 음주운전(90%), 살인(88%), 폭행(87%), 방화(86%), 가정폭력(83%) 등이 그 예이다.[77] 마이클 김멜에 따르면,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여성에 대한 폭력을 사실상 정상화하고 폭력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억압하는 권리 의식, 침묵, 보호 문화를 조성한다.[78]
폭력 철폐 선언은 폭력이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세 가지 사회적 영역을 정의한다.[79] (1) 가족 내 – 가정 폭력, 영아 살해, 여성 할례, 족쇄, 자살방화 등의 전통 관습을 포함한다; (2) 지역사회 내 – 강간, 성폭행, 성희롱, 성노예, 노동 착취, 여성 이주 노동자 등의 상업적 폭력을 포함한다; (3) 국가에 의한 – 구금 중 여성에 대한 폭력, 체계적인 전시 강간과 같은 무력 충돌 상황 등을 포함한다.[79]
성폭력은 인종 정체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유색인종 여성은 일반 인구보다 가정 폭력과 성폭행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경향이 있다.[80] 실종 및 살해된 원주민 여성, 소녀, 투 스피릿 운동은 "원주민 여성의 끔찍한 실종, 학대 및 살인을 막기 위한 법 집행 기관의 실패를 비난한다".[83] 또한 유색인종 여성은 종종 학대를 받는 가정 내 노동 환경에 갇히는 경우가 많다.[83]
참조
[1]
서적
Gender Roles: A Sociolog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0-14
[2]
서적
Gendered Media: The Influence of Media on Views of Gender
Wadsworth Publishing
[3]
학술지
An Examination of Some Basic Sexual Concepts: The Evidence of Human Hermaphroditism
Johns Hopkins University
1955-10
[4]
서적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https://archive.org/[...]
[5]
서적
Sexing the Body: Gender Politics and the Construction of Sexuality
https://archive.org/[...]
Basic Books
[6]
백과사전
Women's Rights Movement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9-02-13
[7]
웹사이트
Research Guides: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Home
https://guides.libra[...]
2020-11-17
[8]
백과사전
Women's Rights Movement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9-02-13
[9]
학술지
Culture and gender role differences
https://www.ceeol.co[...]
2015
[10]
서적
You May Ask Yourself: an introduction to thinking like a sociologist
W.W. Norton
[11]
웹사이트
Four Waves of Feminism
https://www.pacificu[...]
2019-10-16
[12]
백과사전
Feminism: The Fourth Wave
www.britannica.com/e[...]
Encyclopædia Britannica
[13]
서적
The Beauty Myth: how images of beauty are used against women
Perennial
[14]
서적
Guyland: The Perilous World Where Boys Become Men
HarperCollins
[15]
서적
Never Just Pictur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학술지
Hegemonic masculinity in media contents
https://unesdoc.unes[...]
2014
[17]
서적
Global Women's Issues: Women in the World Today, extended version. Chapter 10
Bureau of International Information Program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2-01
[18]
웹사이트
UN Women Media Compact Partnerships: Media collaboration
https://www.unwomen.[...]
2021-04-18
[19]
웹사이트
Definition of OBJECTIFY
http://www.merriam-w[...]
2023-10-21
[20]
서적
Objectification: on the Difference Between Sex and Sexism
Routledge
[21]
학술지
The Objectification and Dismemberment of Women in the Media
http://www.kon.org/u[...]
[22]
서적
Gender Play: Girls and Boys in School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23]
학술지
Parent-child physical play
[24]
학술지
Parental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ization to Gender Roles
1997-06
[25]
학술지
Parental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ization to gender roles.
1997
[26]
서적
Gender in Early Childhood
https://archive.org/[...]
[27]
학술지
Prebirth Gender Talk: A Case Study in Prenatal Socialization
2005
[28]
학술지
Sibling influences on gender development in middl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A longitudinal study
2001-01
[29]
학술지
The Five Sexes, Revisited
2000
[30]
서적
Paradoxes of Gender
Yale University Press
[31]
학술지
Differential reactions to assertive and communicative acts by toddler boys and girls
[32]
학술지
Parental Influences on the Gendered Division of Housework
2001-04
[33]
학술지
Gender in Twentieth-Century Children's Books
2011-03-31
[34]
학술지
Gender Representations on Disney Channel, Cartoon Network, and Nickelodeon Broadcasts in the United States
2013-08
[35]
논문
Gender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Atypical Parental Socialization: An Example of Lesbian Feminist Mothers
ProQuest Information & Learning
[36]
논문
Gender-Typed Play Behavior in Early Childhood: Adopted Children with Lesbian, Gay, and Heterosexual Parents
2012-08-14
[37]
서적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8
[38]
논문
Gender stereotypes and workplace bias
2012-01
[39]
서적
You May Ask Yourself: an Introduction to Thinking like a Sociologist
W.W. Norton
2019
[40]
웹사이트
Women and Men in the Classroom: Inequality and Its Remedies
http://isites.harvar[...]
Derek Bok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Harvard University
2013-06-23
[41]
논문
The Glass Ceiling Effect
2001-12-01
[42]
논문
Beyond the Glass Ceiling: Does Gender Matter?
2012-02
[43]
논문
The Glass Escalator: The Hidden Advantages for Men in the "Female" Professions
[44]
논문
The U.S Gender Pay Gap in the 1990s: Slowing Convergence
http://arks.princeto[...]
2006
[45]
서적
Family Man: Fatherhood, Housework, and Gender Equ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46]
논문
Gender, Status, and Leadership
2001
[47]
논문
Sexual Harassment, Workplace Authority, and the Paradox of Power
2012
[48]
논문
Gender, Job Authority, and Depression
2014-12
[49]
논문
Legal protection against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in China
2009-07
[50]
논문
Doing, Undoing, or Redoing Gender?
2010-01-28
[51]
논문
Divergent Trends in US Maternity and Paternity Leave, 1994-2015
2017
[52]
논문
Fathers' Paternity Leave-Taking and Children's Perceptions of Father-Child Relationships in the United States
[53]
뉴스
Countries Around The World Beat The U.S. On Paid Parental Leave
www.npr.org/2016/10/[...]
NPR
2016-10-06
[54]
논문
Doing Difference
1995
[55]
논문
Doing Gender
2016-06-30
[56]
논문
From Sex Roles to Gendered Institutions
1992
[57]
논문
Racial Ethnic Women's Labor: The Intersection of Race, Gender and Class Oppression
2016-08-18
[58]
서적
Gender: Short Introductions
Blackwell Publishers, Inc.
2002
[59]
서적
The Gendered Society
Oxford Press
2011
[60]
서적
Twilight Zones: The Hidden Life of Cultural Images from Plato to O.J.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
[61]
논문
Constructions of Gender in Sport
2016-06-30
[62]
서적
The Gender of Sexuality
Pine Forge Press
1998
[63]
논문
Interchanges: Gender, sexuality and heterosexuality: The complexity (and limits) of heteronormativity
2006-04-01
[64]
논문
Hetero-Romantic Love and Heterosexiness in Children's G-Rated Films
http://digitalcommon[...]
2009-04-21
[65]
논문
Compulsory Heterosexuality and Lesbian Existence
1980-07
[66]
논문
State of our Unions
2009-02
[67]
서적
The Contexts Reader
W.W. Norton
2008
[68]
서적
Origin of the Family, Private Property, and the State
https://www.marxists[...]
1884
[69]
논문
Doing gender
https://campus.fsu.e[...]
SAGE
1987-06
[70]
논문
Masculinity and crime: a quantitative exploration of Messerschmidt's hypothesis
http://www.sociology[...]
ICAAP
2003-07
[71]
서적
Guyland: The Perilous World Where Boys Become Men
https://archive.org/[...]
Harper
[72]
저널
Doing difference
Sage
1995-02-00
[73]
저널
Hegemonic masculinity: rethinking the concept
http://xyonline.net/[...]
Sage
2005-12-00
[74]
저널
Doing, undoing, or redoing gender? Learning from the workplace experiences of transpeople
Sage
2010-02-00
[75]
저널
Misogyny in rap music: a content analysis of prevalence and meanings
http://www.gwu.edu/~[...]
Sage
2009-10-00
[76]
비디오
Killing Us Softly 3: Advertising's Image of Women
[77]
서적
The Gendered Society
Oxford Press
[78]
서적
Guyland: the Perilous World Where Boys Become Men
Harpercollins
[79]
웹사이트
Women and Violence
http://www.un.org/ri[...]
United Nations
2011-11-26
[80]
웹사이트
The impact of gender-based violence on women of color
https://www.blackbur[...]
Blackburn Center
2022-10-13
[81]
웹사이트
For many black survivors, reporting raises complicated issues
https://www.rainn.or[...]
RAINN
2022-10-13
[82]
비디오
Unveiling the silence: No! The Rape Documentary
[83]
웹사이트
The links between racialized and gender-based violence: News & commentary
https://www.aclu.org[...]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2022-10-13
[84]
서적
Globalization and Feminism: Opportunities and Obstacles for Activism in the Global Arena
New York University Press
[85]
서적
Genders in Production: Making Workers in Mexico's Global Factor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6]
뉴스
The Women's Crusad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8-17
[87]
참고자료
[88]
뉴스
Californians Will Soon Have Nonbinary as a Gender Option on Birth Certificat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10-19
[89]
저널
Doing gender
https://campus.fsu.e[...]
Sage
1987-06-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