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마르크스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마르크스주의는 기존의 마르크스주의가 해결하지 못한 사회적, 정치적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 발전한 이론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흐름으로 나타났지만, 20세기 후반 냉전 시기에는 부정적인 의미로 인식되어 신마르크스주의라는 용어 사용을 꺼리는 경향이 있었다. 주요 사상가로는 테오도어 아도르노, 루이 알튀세르, 허버트 마르쿠제 등이 있으며, 신마르크스주의는 페미니즘,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신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은 독과점 자본주의의 성격을 강조하며, 종속 이론 및 세계 시스템 이론과 관련하여 제국주의 연구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마르크스주의 - 프랑크푸르트 학파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펠릭스 바일이 설립한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를 중심으로 활동한 마르크스주의 사상가 집단으로, 비판 이론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문화 산업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했으며 다양한 분야를 융합한 연구를 수행하며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이론과 실천의 간극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신마르크스주의 - 세계체제론
    세계체제론은 이매뉴얼 월러스틴이 대표적인 이론으로, 국가가 아닌 세계를 분석 단위로 삼아 국가의 흥망성쇠 등을 설명하려 하며 핵심, 반주변, 주변 국가로 이루어진 세계 경제 체제를 분석하는 접근 방식이지만, 경제에 치중하고 문화를 간과한다는 비판도 있다.
  • 신좌파 - 리베라시옹
    리베라시옹은 1968년 프랑스 5월 혁명 당시 학생운동 선전지를 기원으로 1973년 창간된 프랑스의 좌파 일간지로, 장 폴 사르트르와 세르주 쥘리가 발행인과 초대 편집장을 맡아 노동자 경영 참여와 시민 참여를 시도하는 등 진보적인 운영 방식으로 주목받았으나, 경영난, 언론 독립성 논란, 내부 갈등, 발행 부수 감소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신좌파 - 프랑크푸르트 학파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펠릭스 바일이 설립한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를 중심으로 활동한 마르크스주의 사상가 집단으로, 비판 이론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문화 산업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했으며 다양한 분야를 융합한 연구를 수행하며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이론과 실천의 간극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마르크스주의 이론 - 모순
    모순은 논리학, 철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주장이나 사실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특히 헤겔과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사물의 내재적 대립으로서 역사 발전의 원동력으로 간주된다.
  • 마르크스주의 이론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신마르크스주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야마르크스주의
주요 특징마르크스주의 이론을 수정 및 확장하여 사회, 문화, 정치 현상을 분석
영향 받은 사상마르크스주의
비판 이론
프랑크푸르트 학파
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
주요 관심사자본주의
제국주의
계급
문화
이데올로기
국가
종속
세계체제
지배
소외
억압
노동
주요 이론가
초기테오도어 아도르노
발터 벤야민
에리히 프롬
루트비히 폰 미제스
막스 호르크하이머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안토니오 그람시
루이 알튀세르
현대위르겐 하버마스
프레드릭 제임슨
임마누엘 월러스틴
데이비드 하비
에바 코슬린스키
마이클 하트
안토니오 네그리
슬라보이 지제크
주요 학술지
학술지스펙트르 저널]]
역사적 유물론]]
마르크스주의 재고]]
비판적 사회학]]
샐비지]]
문화 논리]]
관련 단체
연구 그룹킹스 칼리지 런던 현대 마르크스주의 연구 그룹]]

2. 역사

신마르크스주의는 기존의 마르크스주의 이론이 충분히 해결하지 못한 사회적, 정치적 문제들로 인해 발전하였다.[2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부 신마르크스주의자들은 반대 의견을 제시했고, 나중에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형성하였다.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스스로를 신마르크스주의자라고 규정하지 않았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신마르크스주의와 다른 마르크스주의 이론들은 민주적이고 자본주의적인 서구 문화권에서 파문되었으며, 붉은 공포 시대에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그 이후의 동일한 이념을 가진 사회 이론가들은 신마르크스주의라는 용어와 거리를 두는 경향이 있었다.[23]

2. 1. 태동

신마르크스주의는 기존의 마르크스주의 이론이 충분히 해결하지 못한 사회적, 정치적 문제들로 인해 발전하였다.[2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부 신마르크스주의자들은 반대 의견을 제시했고, 나중에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형성하였다.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스스로를 신마르크스주의자라고 규정하지 않았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신마르크스주의와 다른 마르크스주의 이론들은 민주적이고 자본주의적인 서구 문화권에서 파문되었으며, 붉은 공포 시대에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그 이후의 동일한 이념을 가진 사회 이론가들은 신마르크스주의라는 용어와 거리를 두는 경향이 있었다.[23]

2. 2. 20세기 후반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부 신마르크스주의자들은 반대 의견을 제시했고, 나중에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형성하였다.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스스로를 신마르크스주의자라고 규정하지 않았다.[22]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신마르크스주의와 다른 마르크스주의 이론들은 민주적이고 자본주의적인 서구 문화권에서 파문되었으며, 붉은 공포 시대에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그 이후의 동일한 이념을 가진 사회 이론가들은 신마르크스주의라는 용어와 거리를 두는 경향이 있었다.[23]

3. 주요 사상가


  • 테오도어 아도르노(Theodor W. Adorno)[24]
  • 루이 알튀세르(Louis Althusser)[25]
  • 사미르 아민(Samir Amin)[26]
  • 마이클 애플(Michael Apple)[27]
  • 에티엔 발리바르(Étienne Balibar)[28]
  •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29]
  • 티티 바타차리야(Tithi Bhattacharya)[30]
  • 제임스 오코너(James O'Connor (academic))[31]
  • 지. 에이. 코헨(G. A. Cohen)[32]
  • 로버트 콕스(Robert W. Cox)[33]
  • 기 드보르(Guy Debord)[34][35]
  • 코스타스 두지나스(Costas Douzinas)[36]
  • 파울로 프레이레(Paulo Freire)[37][38][39]
  • 에리히 프롬(Erich Fromm)[40]
  • 노먼 제러스(Norman Geras)[41][42]
  •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43]
  • 스튜어트 홀(Stuart Hall (cultural theorist))[44]
  •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45]
  • 막스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46]
  • 시.엘.알. 제임스(C. L. R. James)[47]
  • 프레드릭 제이미슨(Fredric Jameson)[48][49]
  • 밥 제소프(Bob Jessop)[50]
  • 앙리 레페브르(Henri Lefebvre)[51]
  • 안드레아스 말름(Andreas Malm)[52]
  • 허버트 마르쿠제(Herbert Marcuse)[53]
  • 차이나 미에빌(China Miéville)[54]
  • 랠프 밀리밴드(Ralph Miliband)[55]
  • 에릭 올린 라이트(Erik Olin Wright)[9]
  • 리오 파니치(Leo Panitch)[56]
  • 아담 프셰보르스키(Adam Przeworski)[57][58]
  • 니코스 풀란자스(Nicos Poulantzas)[59]
  • 모이셰 포스톤(Moishe Postone)[60]
  • 장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61]
  • 닉 스르니체크(Nick Srnicek)[62]
  • 폴 스위지(Paul Sweezy)[63]
  •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64]
  • 레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65][66][67]
  • 엘렌 메이킨스 우드(Ellen Meiksins Wood)[1]

4. 신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의 일부는 '신마르크스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68][69] 이 사상은 지식, 문화, 교육의 수단이 특권적인 인식론의 일부라고 믿는다. 신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비판이론에 크게 의존하며, 정치적, 문화적 변화의 수단으로서 정신치료에 그 이론들을 적용하려고 한다. 테레사 맥도웰(Teresa McDowell)과 리아 알메이다(Rhea Almeida)는 "해방 기반 치유(liberation based healing)"라는 치료법에 이러한 이론들을 사용한다.[69][70][71][68]

5. 신마르크스주의 경제학

"신마르크스주의", "후마르크스주의", "급진적 정치경제학"이라는 용어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마르크스 경제학 사상에서 비롯된 독특한 경제 이론 전통을 가리키는 데 처음 사용되었다. 주로 좌파 성향의 ''월간 리뷰'' 학파와 관련이 깊다. 신마르크스주의적 개발경제학 접근 방식은 종속 이론과 세계 시스템 이론과 관련이 있으며, 착취는 고전 마르크스주의의 '내부적' 착취가 아니라 외부적인 것이다.[4][72]

산업경제학에서 신마르크스주의적 접근 방식은 경쟁적 자본주의보다는 독과점 및 과두제적인 자본주의의 성격을 강조한다.[73] 이와 관련하여 미하우 칼레츠키,[74] 폴 A. 바란, 폴 스위지가 있다.[75][73]

새뮤얼 보울스,[76][77] 데이비드 고든, 존 로머, 허버트 긴티스, 존 엘스터, 아담 프셰보르스키 등은 게임 이론과 수학적 모델링을 포함한 신고전 경제학의 기법을 채택하여 계급 투쟁과 같은 마르크스주의적 개념을 증명하려 했다.[78]

신마르크스주의는 조앤 로빈슨과 같은 포스트 케인지언들과 피에로 스라파의 신리카르도주의 학파로부터 비마르크스주의적 경제학을 통합했다. 미하우 칼레츠키, 로자 룩셈부르크, 헨리크 그로스만, 아담 프셰보르스키, 오스카 랑게는 특히 불충분 소비 이론을 개발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대부분의 공식 공산주의 정당이 신마르크스주의 이론을 "부르주아 경제학"으로 규탄했지만, 일부 신마르크스주의자들은 사회주의 국가 또는 제3세계 개발도상국 정부의 고문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신마르크스주의 이론은 제국주의 연구에도 영향을 주었다.

5. 1. 주요 특징

대기업은 비용 절감, 광고 및 제품 마케팅 경쟁을 하면서도 판매 가격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실제 독점(당시 벨 시스템과 같이)을 제외하고는 소수의 대규모 자본 형성이 다양한 시장을 공유하면서 일반적으로 경쟁은 제한적이다. 그 결과 발생하는 경제적 잉여는 소비자의 소비 증가를 통해 흡수될 수 없다. 따라서 기업 엘리트의 손에 집중된 잉여는 제국주의적이고 군국주의적인 정부 성향으로 이어져야 하며, 이는 잉여 생산 능력을 활용하는 가장 쉽고 확실한 방법이다.

착취는 저임금 노동자와 국내, 특히 소수 민족 집단에 집중된다. 평균 소득자들은 생산 추진의 압력이 인간 관계를 파괴하는 것을 보고 더 큰 소외와 적대감으로 이어진다. 개인이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더라도 궁극적인 체제 목표는 합리적이지 않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은 대체로 비합리적이다. 케인스주의 완전 고용 정책이 추진되는 한 시스템은 계속 작동하지만, 덜 발전된 국가들이 신 식민지 지배의 제약을 벗어나면서 안정성에 대한 지속적인 위협이 있다.

5. 2. 주요 개념

대기업은 비용 절감, 광고 및 제품 마케팅 경쟁을 하면서도 판매 가격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실제 독점(당시 벨 시스템과 같이)을 제외하고는, 소수의 대규모 자본 형성이 다양한 시장을 공유하면서 일반적으로 경쟁은 제한적이다. 그 결과 발생하는 경제적 잉여는 소비자의 소비 증가를 통해 흡수될 수 없다. 따라서 기업 엘리트의 손에 집중된 잉여는 제국주의적이고 군국주의적인 정부 성향으로 이어져야 하며, 이는 잉여 생산 능력을 활용하는 가장 쉽고 확실한 방법이다.

착취는 저임금 노동자와 국내, 특히 소수 민족 집단에 집중된다. 평균 소득자들은 생산 추진의 압력이 인간 관계를 파괴하는 것을 보고 더 큰 소외와 적대감으로 이어진다. 개인이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더라도 궁극적인 체제 목표는 합리적이지 않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은 대체로 비합리적이다. 케인스주의 완전 고용 정책이 추진되는 한 시스템은 계속 작동하지만, 덜 발전된 국가들이 신 식민지 지배의 제약을 벗어나면서 안정성에 대한 지속적인 위협이 있다.

폴 A. 바란은 독점 자본의 지배로 인해 제기되는 새로운 복잡성, 특히 독점 자본주의가 낮은 생산능력 활용률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이론적 예측, 따라서 잠재적 잉여가 실현된 잉여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예측에 대처하기 위해 잠재적 ‘경제적잉여’ 개념을 도입했다. 바란은 폴 스위지와 함께 이러한 혁신의 중요성, 마르크스의 노동 가치 개념(가치)과의 일관성, 그리고 마르크스의 잉여가치 범주와의 보완적 관계를 상세히 설명했다.[79]

바란의 범주에 따르면:

  • 실제 경제적 잉여: "사회의 실제 현재 생산량과 실제 현재 소비량의 차이" 따라서 현재 저축 또는 축적과 같다.
  • 잠재적 경제적 잉여: "고용 가능한 생산 자원의 도움으로 주어진 자연 및 기술 환경에서 생산할 수 있는 생산량과 필수적 소비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의 차이"


바란은 또한 계획된 잉여 개념을 도입했는데, 이는 합리적으로 계획된 사회주의 사회에서만 작동할 수 있는 범주이다. 이것은 "계획된 '최적' 자원 활용 조건 하에서 역사적으로 주어진 자연 및 기술 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사회의 '최적' 생산량과 선택된 '최적' 소비량의 차이"로 정의되었다.[80]

바란은 그의 저서 ''성장의 정치경제''에서 잉여 개념을 사용하여 저개발 경제(현재는 더 낙관적으로 "개발도상국 경제"라고 부름)를 분석했다.[80]

6. 관련 학술지


  • '''스펙터'''[81]
  • '''역사적 유물론'''[82]
  • '''마르크시즘 재고찰'''[83]
  • '''자본과 계급'''[84]
  • '''살베이지'''[85]
  • '''문화 논리'''[86]
  • '''현대 마르크시즘 세미나'''[87]
  • '''급진적 철학'''[88]

참조

[1] 논문 The Changing Nature of Neo-Marxist Theory: A Metatheoretical Analysis 1991
[2]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Sociology John Wiley & Sons
[3] 백과사전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CQ Press 2011
[4] 논문 Neo-Marxist approaches to development and underdevelopment 1973-01-01
[5] 웹사이트 Neo-Marxism https://newdiscourse[...] 2023-03-14
[6] 논문 The Neo-Marxist Contribution 1987-03-01
[7] 백과사전 Political Science, History of CQ Press 2011
[8] 백과사전 Protest Music CQ Press 2011
[9] 서적 Approaches to Class Analysis
[10] 사전 neo-Marx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1] 서적 Critical Theories of the State: Marxist, Neomarxist, Postmarxist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3
[12] 웹사이트 IV. Marxisms and Neo-Marxisms Cultural Politics https://culturalpoli[...]
[13] 웹사이트 Hardt & Negri's 'Multitude': the worst of both worlds https://www.opendemo[...]
[14] 서적 Revolutionary Subjectivity in Post-Marxist Thought: Laclau, Negri, Badiou Routledge 2016
[15] 웹사이트 Spectre Journal https://spectrejourn[...]
[16] 웹사이트 About Us Historical Materialism https://www.historic[...]
[17] 웹사이트 Rethinking Marxism http://rethinkingmar[...]
[18] 웹사이트 Sagepub https://journals.sag[...]
[19] 웹사이트 About https://salvage.zone[...]
[20] 웹사이트 About the Journal Cultural Logic: A Journal of Marxist Theory & Practice https://ojs.library.[...]
[21] 웹사이트 Contemporary Marxism Research Group https://www.kcl.ac.u[...]
[22] 웹사이트 The Crisis of Marxism (1977) https://viewpointmag[...] 2017-12-15
[23] 서적 Crime, Criminality & Social Revolution Clok
[24] 뉴스 A little help from my neo-Marxist philosopher: was Adorno the fifth Beatle? https://www.theguard[...] 2019-09-10
[25] 웹사이트 Althusser and the Renewal of Marxist Social Theory https://publishing.c[...]
[26] 논문 Samir Amin as a Neo-Marxist 1985
[27] 논문 Michael Apple, Social Theory, Critical Transcendence, and the New Sociology: An Essay 2013-01-09
[28] 웹사이트 Balibar Étienne https://ifdt.bg.ac.r[...] 2023-04-19
[29] 뉴스 The Headquarters of Neo-Marxism https://www.nybooks.[...]
[30] 웹사이트 Tithi Bhattacharya http://www.tithibhat[...]
[31] 논문 Review of Accumulation Crisis https://www.jstor.or[...] 1985
[32] 서적 Republic of Equals
[33] 논문 Robert W. Cox and Critical The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2009-10-01
[34] 서적 Encyclopedia of Social Theory https://sk.sagepub.c[...] Sage Publishing 2005
[35] Masters Spectacle, Consumer Capitalism, and the Hyperreality of the Mediated American Jury Trial: the French Perspective on O.J. Simpson, Casey Anthony, and Dominique Strauss-Kahn https://trace.tennes[...] University of Tennessee 2015-05-01
[36] 논문 Review of The End of Human Rights 2001
[37] 논문 The Problem of Individualism and Community in Neo-Marxist Educational Thought 1984-01
[38] 서적 Leaders in Critical Pedagogy
[39] 웹사이트 Marxian Perspectives on Educational Philosophy: From Classical Marxism to Critical Pedagogy by Douglas Kellner https://pages.gseis.[...] 2023-05-17
[40] 논문 The Neo-Marxist Framework of Erich Fromm https://www.jstor.or[...] 1978
[41] 논문 The Changing Nature of Neo-Marxist Theory: A Metatheoretical Analysis https://www.jstor.or[...] 1991
[42] 웹사이트 Literature of Revolution https://www.versoboo[...] 2023-05-24
[43] 논문 The Specificity of Marxist Sociology in Gramsci's Theory 1975
[44] 웹사이트 'Selected Writings on Marxism' by Stuart Hall reviewed by Christian Lotz https://marxandphilo[...] 2023-05-17
[45] 논문 How the visual is spatial: Contemporary spatial history, neo-Marxism, and the ghost of Braudel 2020-09
[46] 웹사이트 The Frankfurt School https://pages.gseis.[...] 2023-05-17
[47] 논문 C.L.R. James, Blackness, and the Making of a Neo-Marxist Diasporan Historiography http://imid.uk/docs/[...] 1998
[48] 논문 Fredric Jameson's American Neo-Marxism and the Dialectics of Totality and Difference 2001
[49] 웹사이트 Fredric Jameson, biography by Douglas Kellner https://pages.gseis.[...] 2023-05-17
[50] 논문 Bringing the State Back In (Yet Again): Reviews, Revisions, Rejections, and Redirections 2001-07
[51] 웹사이트 Lefebvre, Henri (1901–91) -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www.rep.rout[...] 2023-05-17
[52] 웹사이트 Ecology & Marxism: Andreas Malm {{!}} Historical Materialism https://www.historic[...] 2023-05-17
[53] 논문 Herbert Marcuse as a Critical Intellectual: The New Left and Alternative Socialist Futures 2022-01-02
[54] 논문 Speculative fiction and international law: The Marxism of China Miéville 2006-11
[55] 논문 The Neo-Marxist Theory of the State 1978
[56] 논문 Tribute to Leo Panitch, Organic Intellectual (1945–2021) 2021
[57] 논문 Marxism and Rational Choice http://journals.sage[...] 1985-12
[58] 논문 From Necessary Illusion to Rational Choice?: A Critique of Neo-Marxist Rational-Choice Theory https://www.jstor.or[...] 1986
[59] 논문 In-itself for-itself: Towards second-generation neo-Marxist class theory 2018-06
[60] 웹사이트 Moishe Postone (1942-2018) {{!}} Historical Materialism https://www.historic[...] 2023-05-21
[61] 서적 Encyclopedia of Social Theory
[62] 웹사이트 Los Angeles Review of Books https://lareviewofbo[...] 2023-05-18
[63] 웹사이트 Monopoly capitalism and neo-Marxism https://www.national[...] 2023-05-17
[64] 웹사이트 Chapter 8: Marxism And Neo-Marxism {{!}} Online Resources https://study.sagepu[...] 2023-05-17
[65] 웹사이트 Neo-Marxism and the British New Left https://www.marxists[...] 2023-05-17
[66] 웹사이트 Raymond Williams and Education https://www.bloomsbu[...] 2023-05-17
[67] 간행물 Notes on British Marxism since 1945 https://newleftrevie[...]
[68] 논문 Class and Classism in Family Therapy Praxis: A Feminist, Neo-Marxist Approach 2012-04
[69] 서적 Cultural Context Model: A Liberation Based Healing Paradigm
[70] 간행물 Unsettling white stream pedagogy The Great White Project
[71] 문서 Valuing Ideas of Social Justice in MFT Curricula
[72] 학술지 Neo-Marxism and Underdevelopment — A sociological phantasy 1974-01
[73] 서적 Capital as power: a study of order and creorder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74] 학술지 Class Struggle and the Distribution of National Income [Lucha de clases y distribución del ingreso]
[75] 서적 Monopoly Capital: An Essay on the American Economic and Social Order Monthly Review Press
[76] 학술지 Post-Marxian economics: labour, learning and history 1985-09
[77] 학술지 Marxism and Post-Marxism 1986
[78] 서적 Political economy: a comparative approach https://books.google[...] ABC-CLIO 1998
[79] 잡지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http://monthlyreview[...] 2012-07-01
[80]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Growth https://archive.org/[...] Monthly Review Press
[81] 웹사이트 Spectre Journal https://spectrejourn[...] 2023-05-17
[82] 웹사이트 About Us Historical Materialism https://www.historic[...] 2023-05-22
[83] 웹사이트 Rethinking Marxism http://rethinkingmar[...] 2023-05-22
[84] 웹사이트 Sagepub https://journals.sag[...]
[85] 웹사이트 About https://salvage.zone[...] 2023-05-24
[86] 웹사이트 About the Journal Cultural Logic: A Journal of Marxist Theory & Practice https://ojs.library.[...] 2023-07-15
[87] 웹사이트 Contemporary Marxism Research Group https://www.kcl.ac.u[...] 2023-05-22
[88] 웹사이트 Radical Philosophy https://www.radicalp[...] 2024-09-29
[89] 간행물 제3부 네오마르크시즘 : 신마르크스주의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