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스티븐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스티븐슨은 1781년 영국에서 태어난 '철도의 아버지'로 불리는 발명가이자 토목 기사이다. 그는 가난한 환경 속에서도 증기 기관차 연구에 매진하여 1814년 석탄 운반용 기관차를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1825년에는 세계 최초의 여객 철도인 스톡턴-달링턴 철도를 건설하고, '로코모션' 기관차를 운행하며 철도 시대를 열었다. 이후 리버풀-맨체스터 철도 건설을 주도하며 '로켓호'를 개발, 증기 기관차의 가치를 입증했다. 그는 안전등 개발에도 기여했으며, 여러 철도 노선 건설에 참여하여 산업 혁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848년 흉막염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기계공학자 - 클리퍼드 휴 더글러스
클리퍼드 휴 더글러스는 사회 신용 이론을 창시한 영국의 엔지니어이며, 생산된 상품 가치가 임금, 급여, 배당금의 합보다 많다는 것을 발견하고 국민 배당금과 공정 가격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 철도 선구자 - 존 스티븐스 (발명가)
존 스티븐스는 미국의 발명가, 변호사, 사업가로서 증기선과 철도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특히 스크류 추진 방식의 증기선 개발과 미국 최초의 철도 특허 획득, 그리고 미국의 특허법 제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철도 선구자 - 이점바드 킹덤 브루넬
이점바드 킹덤 브루넬은 템스 터널, 클리프턴 현수교,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 대형 증기선 등을 설계하며 산업 혁명 시대에 큰 영향을 미친 영국의 토목 기사이자 기계 기술자이다. - 잉글랜드의 토목공학자 - 로버트 스티븐슨
로버트 스티븐슨은 아버지 조지 스티븐슨과 함께 초기 철도 건설에 기여하고 런던-버밍엄 철도, 하이버 다리, 브리타니아 다리 등 주요 철도 및 교량 건설을 주도했으며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한 영국의 토목 기사이다. - 잉글랜드의 토목공학자 - 제임스 브린들리
제임스 브린들리는 혁신적인 운하 건설 공헌으로 잉글랜드 주요 강들을 연결하는 "그랜드 크로스" 계획을 구상하고 퍼들 점토 기술을 개발하여 영국 운하 건설 붐을 일으키는 데 기여한 영국의 엔지니어이다.
조지 스티븐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781년 6월 9일 |
출생지 | 위람, 노섬벌랜드 주, 잉글랜드 |
사망일 | 1848년 8월 12일 |
사망지 | 체스터필드, 더비셔, 잉글랜드 |
안장지 | 홀리 트리니티 교회 |
직업 | 기술자, 발명가 |
배우자 | 프랜시스 헨더슨 (1802년–1806년) 엘리자베스 힌드마시 (1820년–1845년) 엘렌 그레고리 (1848년) |
자녀 | 로버트 스티븐슨 프랜시스 스티븐슨 (유아기에 사망) |
경력 및 업적 | |
별칭 | 철도의 아버지 |
주요 업적 | 철도 시스템 개발 및 증기 기관차 개선 |
기타 |
2. 생애
조지 스티븐슨은 뉴캐슬 근처 와이램 탄광촌에서 태어나 가난 때문에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아버지와 함께 탄광에서 일했다. 그러나 어려움 속에서도 기계를 연구하여 1814년 최초의 석탄 운반용 기관차를 개발했다. 1825년 스톡턴-달링턴 간 철도를 부설, 세계 최초의 여객 철도용 기관차 로커모션 호를 운행했다. 1829년에는 리버풀-맨체스터 간 철도를 개통하고, 최초의 실용적인 기관차 로켓호를 개발하여 증기 철도의 가치를 입증했다.
이후 여러 철도 부설에 참여하며 '철도의 아버지'로 불렸고, 그의 증기 기관차는 영국 산업 혁명과 세계 교통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39]
2. 1. 초기 생애
뉴캐슬어폰타인에서 서쪽으로 약 15km 떨어진 노섬벌랜드(잉글랜드)주 와이럼에서 탄광 노동자인 아버지 로버트와 어머니 메이블 사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39] 아버지 로버트는 와이럼 탄광에서 낮은 임금을 받는 기관부였고, 부모 모두 글을 읽거나 쓸 줄 몰랐기 때문에 조지는 학교에 다닐 수 없었다. 대신, 조지는 아버지의 조수로 일하며 기술을 익혔다. 17세에 뉴번 탄광의 기관사가 되었지만, 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18세까지 문맹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야간 학교에 다니며 읽기, 쓰기, 산수를 배웠다.1801년에는 블랙컬러턴 탄광에서 수직 갱의 권상 기어를 제어하는 "제동수"로 일하기 시작했다.[5] 1802년에는 프랜시스 헨더슨과 결혼하여 뉴캐슬 동쪽 윌링턴 키로 이사했고, 허름한 주택의 한 칸에서 살면서 제동수로 일했다. 그는 수입을 보충하기 위해 신발과 시계 수리도 병행했다.
1803년에는 아들 로버트가 태어났고, 1804년에는 가족과 함께 킬링워스 근교 웨스트무어로 이사하여 킬링워스 탄광에서 제동수로 일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딸이 태어났지만, 생후 몇 주 만에 사망했다. 1806년에는 아내 프랜시스가 결핵으로 사망했다. 이후 조지는 스코틀랜드 몽트로즈에서 일자리를 찾기 위해 아들을 이웃에게 맡기고 떠났으나, 몇 달 후 아버지의 탄광 사고 소식을 듣고 돌아왔다. 그는 웨스트무어의 집으로 돌아왔고, 미혼인 누나 엘리노어가 아들 로버트를 돌보기 위해 함께 살았다.
1811년, 킬링워스의 하이 피트 펌핑 엔진이 고장나자 스티븐슨은 이를 수리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는 성공적으로 수리를 마쳤고, 킬링워스 탄광의 모든 엔진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기계 기술자로 승진하며 증기 구동 기계 분야의 전문가가 되었다.[7]
2. 2. 탄광 기술자 시절
George Stephenson영어는 뉴캐슬 부근 와이램 탄광촌에서 태어나, 가난 때문에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아버지와 함께 탄광에서 일했다.[1] 그러나 어려움 속에서도 기계를 연구하여, 1811년 킬링워스의 하이 피트 펌핑 엔진 수리에 성공하면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1] 이후 킬링워스 탄광의 기계 기술자로 승진, 증기 기관 관련 기술 전문가로 성장하며 탄광 안전 문제 해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3. 안전등 개발
당시 탄광에서는 불을 피워 조명을 사용했기 때문에 폭발이 자주 발생했다. 1815년, 스티븐슨은 폭발을 일으키지 않는 안전한 램프의 실험을 시작했다. 같은 시기, 콘월 출신의 저명한 과학자 험프리 데이비도 같은 문제의 해결책을 찾고 있었다. 과학 지식이 부족했던 스티븐슨은 시행착오 끝에 작은 구멍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램프를 고안했다. 두 명의 증인과 함께 탄광 내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고 있는 틈새에 그 램프를 들이대어 폭발이 일어나지 않음을 실증했다. 그로부터 한 달 뒤 데이비가 왕립 학회에 자신의 설계한 램프(데이비 램프)를 제시했다. 두 사람의 설계는 달랐는데, 데이비 램프는 가는 철망으로 덮여 있었지만, 스티븐슨의 안전등은 유리로 덮여 있었다. 이 발명으로 데이비는 2000GBP를 받았지만, 스티븐슨은 데이비의 아이디어를 훔쳤다는 비난을 받았다.[8] 지역 위원회가 조사한 결과, 스티븐슨이 독자적으로 발명했다는 것이 증명되어 스티븐슨은 석방되었고, 데이비가 받은 2000GBP의 절반을 스티븐슨에게 넘겨주도록 명령했지만, 데이비와 그의 지지자들은 이를 거부했다. 그들은 스티븐슨과 같은 무학한 남자가 그런 발명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1833년, 영국 하원의 위원회는 안전등의 발명자로 스티븐슨에게도 동등한 권리가 있다고 판결했다. 데이비는 그전에 스티븐슨이 그의 아이디어를 훔쳤다고 믿은 채 사망했다. 스티븐슨의 안전등은 주로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었고, 다른 지역에서는 데이비 램프가 사용되었다. 이 경험으로 스티븐슨은 런던을 기반으로 하는 과학자들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었다[40]。
잉글랜드 북동부의 타인강 유역 사람들을 "조디"(Geordies)라고 부르는 것은 스티븐슨과 관련이 있다는 설도 있다. 스티븐슨의 안전등은 조디 램프라고 불렸고, 거기에서 조디 램프를 사용하는 광부를 조디라고 부르게 되었고, 1866년에는 잉글랜드 북동부의 사람들 전체를 조디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다[41]。
4. 초기 기관차 개발
리처드 트레비식이 1801년에 증기 기관차를 최초로 실용화했지만, 조지 스티븐슨은 이를 개선하여 더욱 실용적인 기관차를 개발했다. 1814년, 킬링워스 탄광에서 석탄 운반용 기관차 '블뤼허'를 제작하여, 플랜지 휠 접착 방식의 실용적인 기관차 개발에 성공했다. 이 기관차는 4mi/h의 속도로 언덕을 따라 30톤의 석탄을 운반할 수 있었다.
이후 스티븐슨은 킬링워스와 헤튼 탄광 등에서 사용할 여러 대의 기관차를 제작하며 기술력을 발전시켰다. 초기 기관차는 무거워서 나무 레일에 부적합했고, 주철 레일은 강도가 약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스티븐슨은 윌리엄 로시와 협력하여 주철 레일의 설계를 개선하고, 증기 스프링과 다륜 대차를 사용하여 기관차의 무게를 분산시키는 등 기술적 문제 해결에 노력했다.
5. 주요 철도 건설
1821년, 스톡턴 앤 달링턴 철도(S&DR) 건설 법안이 가결되면서, 더럼주 스톡턴온티스의 티스 강까지 연결되는 총 연장 약 40km의 철도 건설이 시작되었다. 달링턴을 경유하는 이 철도는 당초 마차 철도로 석탄을 운반할 계획이었지만, 철도 회사 사장 에드워드 피스가 조지 스티븐슨과 만나 증기 기관차를 사용하기로 계획을 변경했다. 스티븐슨은 1821년 노선 부지 조사를 할 때 18세 아들 로버트 스티븐슨을 조수로 참여시켰다.[40]
이 철도를 위해 증기 기관차가 필요하게 되자, 피스와 스티븐슨은 뉴캐슬에 증기 기관 제조 회사인 로버트 스티븐슨 앤 컴퍼니를 공동 설립했다. 아들 로버트가 상무이사로 참여했고, 네 번째 파트너는 베들링턴 철공소의 마이클 롱리지였다.[40] 1825년 9월, 최초의 증기 기관차인 로코모션 1호가 완성되었고, 이후 "Hope", "Diligence", "Black Diamond"가 뒤를 이었다. 1825년 9월 27일, 스티븐슨이 운전하는 로코모션호는 80톤의 석탄을 견인하여 2시간 만에 15km를 주행했으며, 최고 시속은 39km에 달했다. 최초의 여객용 차량 ''Experiment''도 연결되어 세계 최초의 증기 기관차 여객 수송이 이루어졌다.[40]
이 철도에는 연철제 선로가 채용되었고, 스티븐슨이 채택한 궤간 1,435mm는 표준궤가 되었다.[40]
스티븐슨은 킬링워스에서의 실험을 통해 증기 기관차의 힘이 경사에 따라 크게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하고,[48] 철도를 가능한 한 평탄하게 부설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볼턴 앤 리 철도(Bolton and Leigh Railway) 및 리버풀 앤 맨체스터 철도(L&MR) 건설에 이 지식을 활용하여 평탄한 선로를 만들었다. 당초 예정했던 노선은 지주의 방해로 측량이 불완전하여 의회에서 법안이 부결되기도 했으나, 이후 수정안이 가결되었다. 이 노선에는 채트 모스(Chat Moss)를 횡단해야 하는 난제가 있었는데, 스티븐슨은 나무 가지 등을 깔고 압축하여 기초를 다지는 방법으로 해결했다.[40]
1829년, L&MR에서 사용할 증기 기관차 선정을 위해 레인힐 트라이얼이 개최되었다. 스티븐슨은 아들 로버트 스티븐슨과 공동으로 설계·제작한 로켓호로 참가하여 우승했다. 로버트는 리버풀에서 선로 건설을 감독하는 아버지 조지를 도우며 기관차 공장을 경영했고, 마크 세갱이 발명한 연관 보일러를 채택하는 등 기술 혁신을 이루었다.[40]
1830년 9월 15일, L&MR 개통식에는 웰링턴 공을 비롯한 정부와 산업계 거물들이 참석했다. 이날, 윌리엄 허스키슨이 로켓호에 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철도는 대성공을 거두었고, 스티븐슨은 유명해져 다른 철도에서도 기술자 자리를 제안받았다.[40]
5. 1. 스톡턴-달링턴 철도
1821년, 스톡턴 앤 달링턴 철도(S&DR) 건설을 허가하는 의회 법안이 통과되었다. 이 철도는 비숍 오클랜드 근처의 탄광과 티스 강의 스톡턴온티스를 연결하며, 도중에 달링턴을 통과했다. 원래 계획은 금속 레일 위에서 말이 석탄 수레를 끄는 것이었지만, 회사 이사 에드워드 피스가 스티븐슨을 만난 후 계획을 변경했다. 스티븐슨은 1821년에 노선을 측량했고, 18세 아들 로버트의 도움을 받아 같은 해에 건설이 시작되었다.[7]철도용 기관차 공급을 위해 피스와 스티븐슨은 뉴캐슬에 로버트 스티븐슨 앤 컴퍼니를 공동 설립했다. 조지의 아들 로버트가 전무 이사였고, 네 번째 파트너는 베들링턴 제철소의 마이클 롱리지였다.[7] 1825년 9월, 뉴캐슬 포스 스트리트 작업장에서 철도용 첫 번째 기관차를 완성했다. 원래 '액티브'로 명명되었지만, '로코모션'으로 변경되었고, '호프', '딜리전스', '블랙 다이아몬드'가 뒤따랐다. 스톡턴 & 달링턴 철도는 1825년 9월 27일에 개통되었다. 스티븐슨이 운전한 '로코모션'은 80톤의 석탄과 밀가루를 2시간 만에 운반했으며, 한 구간에서는 24mph의 속도에 도달했다. 최초의 여객차인 '익스페리먼트'가 연결되어 개통 여정에 고위 관계자를 태웠다. 이는 증기 기관차 철도에서 여객 운송이 이루어진 최초의 사례였다.[7]
철도에 사용된 레일은 존 버킨쇼가 베들링턴 제철소에서 생산한 연철이었다. 연철 레일은 주철보다 더 긴 길이로 생산할 수 있었고, 무거운 기관차의 무게로 인해 균열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었다. 워커 제철소의 윌리엄 로쉬는 스티븐슨과 주철 레일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생각했지만, 스티븐슨의 결정으로 그들 사이에 영구적인 균열이 생겼다. 스티븐슨이 철도에 선택한 궤간은 약 1.22m였으며, 이는 이후 영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철도의 표준궤로 채택되었다.[7]
5. 2. 리버풀-맨체스터 철도
스티븐슨은 리버풀 앤 맨체스터 철도(Liverpool and Manchester Railway, L&MR) 건설에 참여하여, 노선을 평탄하게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킬링워스에서의 실험을 통해 1/260 정도의 경사만 있어도 기관차 동력의 절반이 소모된다는 것을 확인했기 때문에,[48] 철도를 가능한 한 평평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이를 위해 어려운 절개, 제방 및 석조 고가교를 건설했다.[17]L&MR의 원래 노선에 대한 측량은 부실했고, 일부 토지 소유주들의 반발을 샀다. 특히 에드워드 홀 앨더슨(Edward Hall Alderson)의 반대 심문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법안은 부결되었다.[17] 이후 수정된 노선에 대한 법안이 통과되었는데, 이 노선은 겉보기에 밑바닥이 없는 이탄 늪인 채트 모스(Chat Moss)를 건너야 했다. 스티븐슨은 존 메트칼프(John Metcalf)가 사용했던 방법과 유사하게, 헤더와 나뭇가지를 기초로 놓고 그 위에 돌층을 놓아 선로를 띄우는 독특한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17]
1829년 L&MR이 완공에 가까워지자, 기관차를 선정하기 위한 레인힐 트라이얼이 개최되었다. 스티븐슨은 '로켓'호를 출품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로켓'호의 상세 설계는 그의 아들 로버트 스티븐슨이 담당했지만, 스티븐슨은 아버지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많은 제안을 했다. 특히, L&MR의 재무 담당자였던 헨리 부스(Henry Booth)의 제안으로 프랑스 엔지니어 마르크 세갱(Marc Seguin)이 발명한 화관 보일러를 채택하여 열 교환 효율을 높였다.[40]
1830년 9월 15일, 아서 웰즐리 1세 웰링턴 공작(Arthur Wellesley, 1st Duke of Wellington) 등 저명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L&MR의 개통식이 열렸다. 이날 8개의 열차가 리버풀에서 출발하는 행렬이 이어졌는데, 스티븐슨이 운전하는 노섬브리안(Northumbrian)이 선두를 이끌었다. 그러나 리버풀 (영국 국회의원 선거구)(Liverpool)의 국회의원 윌리엄 허스키슨이 '로켓'호에 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스티븐슨은 허스키슨을 그레이터 맨체스터주 이클스(Eccles, Greater Manchester)로 후송했지만, 그는 결국 사망했다.[40]
6. 스티븐슨의 사교 아치교
1830년 리버풀 앤 맨체스터 철도의 레인힐 구간에 건설된 사교 아치교는 철도를 비스듬하게 건너는 최초의 다리였다.[18] 이 다리는 석조 구조가 위에서 볼 때 평행사변형 모양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었는데, 이는 아치를 평평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었다. 해결책은 아치를 형성하는 벽돌을 교대(아치가 놓이는 교각)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이었다. 이 기술은 아치 석조에서 나선형 효과를 내어 각진 교대를 보완하고 아치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한다.[19]
이 다리는 현재 레인힐 역에서 사용 중이며, A57 (워링턴 로드)의 교통량을 처리한다. 이 다리는 지정 건축물이다.
7. 말년과 평가
조지 스티븐슨은 말년에 여러 철도 건설에 참여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그러나 증기 기관차의 성능에 대한 보수적인 견해로 인해, 조지프 로크와 같은 경쟁자들에게 일부 노선 건설을 빼앗기기도 했다. 예를 들어, 웨스트 코스트 간선 건설에서 스티븐슨은 울버스턴과 화이트헤븐을 경유하는 해안 노선을 주장했지만, 로크는 랭커스터와 칼라일 사이의 직선 경로를 선택하여 결국 건설되었다.[40]
스티븐슨은 비용 추산과 서류 작업에 소홀한 경향이 있었다. 그랜드 정션 철도 건설에서 로크와 함께 일하며 노선의 절반씩을 담당했지만, 그의 능력 부족이 드러나 결국 사임하게 되었다. 이 사건으로 두 사람의 관계는 회복되지 못했다.[40]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스티븐슨은 노스 미들랜드 노선, 요크와 노스 미들랜드 노선, 맨체스터와 리즈 등 다양한 노선 건설에 참여했다.[40]
1847년, 스티븐슨은 기계 기술자 협회의 초대 회장으로 취임하여 그의 업적을 인정받았다. 그는 노스 미들랜드 철도 터널 공사 중 발견된 석탄층을 활용하여 채굴 사업을 벌이는 등 사업가로서의 면모도 보였다.
1848년 8월 12일, 스티븐슨은 흉막염으로 탭턴 하우스에서 6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체스터필드 성 삼위일체 교회에 안장되었다.[7]
7. 1. 후세에 미친 영향
조지 스티븐슨은 '철도의 아버지'로 불리며, 그의 업적은 영국의 산업 혁명을 촉진하고 세계 교통 체계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다.[26] 스톡턴-달링턴 철도와 리버풀-맨체스터 철도에서의 그의 작업은 아들 로버트 스티븐슨, 조수 조셉 로크, 이삼바드 킹덤 브루넬과 같은 후대 철도 기술자들의 길을 열었다.스티븐슨은 건설 중인 개별 노선이 결국 연결될 것이며, 동일한 표준 궤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되는 표준 궤는 그의 업적 덕분이다.
2002년, 스티븐슨은 BB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100명의 위대한 영국인'' 목록에서 65위에 선정되었다.[26] 빅토리아 시대의 자조 옹호자 새뮤얼 스마일스는 1857년에 조지 스티븐슨의 첫 번째 전기를 출판했는데, 이는 경쟁자들뿐만 아니라 그의 아들에게도 불리하게 조지를 편애한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인기를 얻어 1904년까지 25만 부가 판매되었다.
7. 2. 개인적인 삶
스티븐슨은 세 번 결혼했다. 1802년 11월 28일, 뉴번 교회에서 첫 번째 아내 프랜시스 헨더슨(애칭 패니)과 결혼했다. 이들은 로버트(1803년생)와 패니(1805년생) 두 자녀를 낳았지만, 딸 패니는 몇 달 만에 사망했다. 조지의 아내 프랜시스는 1806년에 사망했는데, 결핵으로 추정된다.[6] 조지가 스코틀랜드에서 일하는 동안, 아들 로버트는 여러 이웃들과 그의 미혼 여동생 엘리너(넬리)에 의해 양육되었다.1820년 3월 29일, 조지는 두 번째 아내 베티 힌드마시와 뉴번에서 결혼했다. 베티는 조지가 젊은 시절 사랑에 빠졌던 여인이었으나, 그녀의 아버지가 광부라는 낮은 신분 때문에 결혼을 반대했었다. 이 결혼 생활은 행복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자녀는 없었고 베티는 1845년 8월 3일에 사망했다.[22]
1848년 1월 11일, 슈루즈베리의 세인트 채드 교회에서[24][25] 조지는 그의 하녀였던 엘렌 그레고리와 세 번째로 결혼했다.[23] 엘렌 또한 더비셔의 베이커웰 출신의 농부의 딸이었다. 결혼 7개월 후인 1848년 8월 12일, 조지는 흉막염에 걸려 더비셔주 체스터필드에 있는 탭턴 하우스에서 6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체스터필드 성 삼위일체 교회에 그의 두 번째 아내 옆에 묻혔다.[7]
스티븐슨은 첫 번째 아내와의 사이에서 아들 로버트를 두었다. 아들 로버트는 1829년 6월 17일 프랜시스 샌더슨과 결혼했지만, 자녀 없이 1859년에 사망했다. 로버트 스티븐슨은 아버지의 업적을 이어받아 뛰어난 철도 기술자가 되었다.
스티븐슨은 평생 열렬한 정원사로, 탭턴 하우스에서 마지막 몇 년 동안 온실을 지어 조지프 팩스턴과 경쟁하기도 했다. 그는 사고나 불운으로 사망한 사람들의 아내와 가족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등 자선 활동에도 적극적이었다.[7]
스티븐슨 가문의 후손들은 현재까지도 그의 출생지인 와이럼과 더비셔 등에 살고 있으며, 일부는 오스트레일리아 퍼스와 미국 미네소타 등으로 이주하여 생활하고 있다.
8. 기념
조지 스티븐슨의 생가는 내셔널 트러스트에 의해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더비셔 주 체스터필드의 체스터필드 박물관에는 스티븐슨 기념관이 있으며, 그가 곧게 자라는 오이를 재배하기 위해 발명한 유리 튜브 등이 전시되어 있다.[33] 박물관 근처에는 스티븐슨 기념 홀이 있고,[53] 스티븐슨이 마지막으로 살았던 집과 묘가 있으며, 그의 집은 현재 체스터필드 칼리지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다. 리버풀에서 그가 살았던 집에는 기념 명판이 설치되어 있다.
1990년부터 2003년까지 사용된 5파운드 지폐에는 그의 초상화가 등장했다.[36]
더럼 대학교의 퀸즈 캠퍼스(스톡턴온티스)에는 2001년에 스티븐슨 칼리지가 설립되었다. 킬링워스에는 조지 스티븐슨 고등학교가, 하우든에는 스티븐슨 기념 초등학교가 있다. 노스 쉴즈에는 스티븐슨 철도 박물관이 있다.
2005년 10월 28일, 체스터필드 기차역에 스티븐슨의 청동상이 세워졌다. 제막식에서는 로켓호의 실물 크기 복제품이 공개되었다. 뉴캐슬 기차역 근처에도 존 그레이엄 로프가 1862년에 조각한 스티븐슨 동상이 있다.[35]
참조
[1]
웹사이트
'George Stephenson | Biography, Locomotiv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05
[2]
웹사이트
"Plaque unveiled for 'Father of Railways' George Stephenson"
https://www.bbc.co.u[...]
BBC
2015-12-09
[3]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Lives of the Engineers: The Locomotive: George and Robert Stephenson
John Murray
[5]
웹사이트
Miner's lamp
http://england.prm.o[...]
University of Oxford
2021-08-04
[6]
웹사이트
Robert Stephenson, Engineer 1803–1859
https://www.ice.org.[...]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2016-09-10
[7]
서적
George Stephenson
Weidenfeld and Nicolson
[8]
웹사이트
Miner's lamp
http://england.prm.o[...]
University of Oxford
[9]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Richard Trevithick introduces his "Puffing Devil"
https://www.history.[...]
2024-04-05
[11]
웹사이트
Richard Trevithick
https://www.asme.org[...]
2024-04-05
[12]
문서
Smiles (1857)
[13]
서적
Early Railways 2: papers from the Second International Early Railways Conference
Newcomen Society
2003
[14]
서적
The Railway Engineers
Batsford
[15]
서적
The Rocket Men
Mortons Media Group
2013
[16]
서적
Steaming through Britain
Conway
[17]
문서
'{{harvnb|Smiles|1857|p=404}}'
[18]
웹사이트
Railway History
http://rainhillparis[...]
[19]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British railway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
문서
The Life of George & Robert Stephenson by Samuel Smile 1857
[21]
문서
Samuel Smiles disputes this account, saying that Miss Hindmarsh's brother assured him that she didn't meet him before 1818 or 1819. See ''Lives of the Engineers'' 1862 vol 3. p116 (footnote).
[22]
웹사이트
Engineering Timelines – George Stephenson
http://www.engineeri[...]
[23]
웹사이트
Engineering Timelines – George Stephenson
http://www.engineeri[...]
2021-08-04
[24]
뉴스
Marriages
1848-01-21
[25]
웹사이트
"George Stephenson, 11 January 1848, St Chad, Shrewsbury, in ''England Marriages, 1538-1973,'' database"
https://www.familyse[...]
2024-09-17
[26]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Britons: lots of pop, not so much circumstance
http://www.theguardi[...]
2002-08-22
[27]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Britons: lots of pop, not so much circumstance
http://www.theguardi[...]
2021-08-04
[28]
서적
The Rocket Men: George and Robert Stephenson
Morton's Media
[29]
웹사이트
Notes recently withdrawn from circulation
http://www.bankofeng[...]
Bank of England
2013-12-24
[30]
웹사이트
Join the railway revolution (about us)
http://www.twmuseums[...]
Stephenson Railway Museum
2014-03-20
[31]
웹사이트
NZ2770: Dial Cottage (George Stephenson's Cottage), Westmoor
https://www.geograph[...]
[32]
문서
https://www.flickr.com/photos/pinzac55/7267455114/ Flickr image taken inside Dial Cottage in 1994.
[33]
웹사이트
SK3871: Stephenson Memorial Hall
https://www.geograph[...]
Geograph
2011-05-13
[34]
웹사이트
New Stephenson Building gets ready to welcome students
https://www.ncl.ac.u[...]
2024-02-14
[35]
웹사이트
George Stephenson Monument
http://www.northumbr[...]
[36]
웹사이트
Withdrawn banknotes reference guide
http://www.bankofeng[...]
Bank of England
2008-10-17
[37]
웹사이트
The Mark of the Rani
http://www.bbc.co.uk[...]
BBC
2015-04-28
[38]
백과사전
George Stephenson British inventor
https://www.britanni[...]
[39]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40]
서적
[4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43]
간행물
George Stephenson's 1819 Llansamlet locomotive
Newcomen Society
[44]
서적
[45]
서적
The Railway Engineers
Batsford
[46]
서적
ラルース 図説 世界史人物百科
原書房
[47]
서적
Steaming through Britain
Conway
[48]
서적
[49]
웹사이트
Railway History
http://rainhillparis[...]
Rainhill Parish Council
2012-12-13
[50]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British railway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51]
서적
[52]
뉴스
100 great Britons - A complete list
http://www.dailymail[...]
Daily Mail
2012-08-02
[53]
웹사이트
SK3871: Stephenson Memorial Hall
http://www.geograph.[...]
Geograph
2011-05-13
[54]
웹사이트
Withdrawn banknotes reference guide
http://www.bankofeng[...]
Bank of England
2008-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