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피바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피바디는 1795년 매사추세츠주에서 태어나 런던에서 활동한 미국의 금융가이자 자선가이다. 그는 극심한 가난을 딛고 사업가로 성공하여, 런던에서 은행업을 운영하며 미국 주들의 채권 발행을 도왔다. 1862년 런던 빈민을 위한 주택 기금을 설립하는 등, 교육과 빈곤 구제를 위한 자선 활동에 800만 달러 이상을 기부하여 '현대 자선 활동의 아버지'로 불린다. 피바디의 자선 정신은 앤드루 카네기, 존 D. 록펠러 등 후대 자선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다양한 기념 사업이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회 명예 훈장 수훈자 - 밥 돌
밥 돌은 미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캔자스주를 대표하는 연방 상원의원을 지냈으며 상원 원내대표를 역임했고, 대통령 후보로도 출마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이자 정계 은퇴 후에는 로비스트, 작가, 연설가, 자선 활동가로 활동했다. - 의회 명예 훈장 수훈자 - 로자 파크스
로자 파크스는 1955년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촉발시킨 버스에서의 용기 있는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의 핵심 인물이 된 미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박물관 설립자 - 앤드루 카네기
스코틀랜드 출신 미국 기업가 앤드루 카네기는 철강 산업에서 부를 축적하여 "철강왕"으로 불리며, 카네기 철강 회사를 설립하여 미국 철강 산업을 지배하고 막대한 재산을 교육 및 과학 발전에 기여했지만, 노동 착취와 독점적 사업 관행에 대한 비판과 부유층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철학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박물관 설립자 - 아사 그레이
아사 그레이는 19세기 미국의 영향력 있는 식물학자로, 하버드 대학교의 자연사 교수로서 그레이 허바리움을 설립하여 식물학과 발전에 기여했으며, 다윈의 진화론을 옹호하고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 동부 식물상의 유사성을 연구했다. - 1869년 사망 -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조지 제프리 스미스스탠리는 영국의 정치가, 귀족, 지주로서 보수당 당수와 총리를 역임했으며, 휘그당에서 시작하여 보수당으로 당적을 옮겨 빅토리아 시대 주요 정치인으로서 선거법 개정에 기여했다. - 1869년 사망 - 에드윈 M. 스탠턴
에드윈 M. 스탠턴은 미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링컨 대통령 시절 전쟁장관을 역임하며 남북 전쟁 북군 승리에 기여하고 노예 해방 선언에 영향을 미쳤으며, 존슨 대통령 재임 시절 탄핵 과정에 등장한 후 대법관에 지명되었으나 사망했다.
조지 피바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795년 2월 18일 |
출생지 | 매사추세츠주 사우스댄버스 |
사망일 | 1869년 11월 4일 |
사망지 | 잉글랜드 런던 이튼 스퀘어 80번지 |
묻힌 곳 | 웨스트민스터 사원, 런던 (1869–1870) 하모니 그로브 묘지, 매사추세츠주 세일럼, 매사추세츠 (1870년 이후) |
직업 | 금융인 은행가 기업가 |
부모 | 토머스 피바디와 주디스 닷지 |
![]() | |
경력 | |
종교 | 유니테리언주의 |
순자산 | 사망 시 1,600만 달러 (미국 국민총생산의 약 1/556에 해당) |
2. 생애
조지 피바디는 1795년 매사추세츠주 사우스 댄버스(현재의 피바디)에서 태어났다.[51] 가난한 가정 환경에서 자라 정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했지만, 볼티모어와 런던에서 활동하며 국제적인 금융가로 크게 성공했다. 그는 자신의 은행인 'George Peabody and Company'를 통해 미국 주 정부 채권 거래 등을 중개하며 미국의 해외 신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9]
특히 그는 막대한 부를 쌓은 후 이를 교육, 주택 개선 등 다양한 자선 사업에 기부하며 현대적 박애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1837년부터 런던에 거주하며 활동했으며,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2] 1869년 런던에서 7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영국 해군 함선에 의해 미국으로 운구되어 고향인 매사추세츠주 세일럼에 안장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성장
조지 피바디는 1795년 당시 매사추세츠주 사우스 댄버스(현재의 피바디)에서 태어났다.[51] 그의 가족은 그 주에 청교도 조상을 두고 있었으며, 가난한 집안의 일곱 자녀 중 한 명이었다. 어려운 가정 환경으로 인해 그는 학교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몇 년 동안만 다닐 수 있었다.
그가 십 대였을 때 아버지 토마스 피바디(Thomas Peabodyeng)가 세상을 떠났고, 홀어머니 주디스 닷지(Judith Dodgeeng)와 여섯 형제자매를 부양하기 위해 형의 가게에서 일해야만 했다.[1] 그는 훗날 "나는 어린 시절의 큰 궁핍을 결코 잊은 적이 없으며 결코 잊을 수 없다"고 회고했다.[62][1] 궁핍과 가난으로 얼룩졌던 그의 어린 시절 경험은 훗날 그의 검소함과 자선 활동에 대한 헌신에 큰 영향을 미쳤다.[1]
1816년, 그는 메릴랜드주 볼티모어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사업가이자 금융가로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고, 이후 20년 동안 볼티모어에서 살았다.
2. 2. 사업 성공
1812년 미영 전쟁에 자원병으로 참전했던 조지 피바디는 1814년 엘리샤 릭스(Elisha Riggs)를 만나 그의 자금 지원을 받아 도매 건화물 회사인 'Riggs, Peabody & Co.'를 설립했다. 이 회사는 영국으로부터 건화물을 수입하는 것을 전문으로 했으며, 1816년 피바디는 볼티모어로 이주하여 사업가이자 금융가로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회사는 1822년 뉴욕과 필라델피아에도 지점을 열었다. 1829년 릭스가 은퇴하자 회사 이름은 'Peabody, Riggs & Co.'로 변경되었고 피바디가 최고 파트너가 되었다.피바디는 1827년 처음으로 영국을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고 랭커셔에서 미국산 목화 판매를 협상했으며, 미국 주 정부의 채권 발행을 중개하여 교통 인프라 건설 자금을 조달하고자 했다. 이후 리버풀에 지점을 개설하는 등(1835년[1]) 영국 사업은 점차 중요해졌다. 그는 1837년 런던에 영구 거주지를 정하고 개인 계좌로 거래하는 은행 사업을 시작했다.[6]
1840년대 메릴랜드주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자, 메릴랜드 증권의 상당 부분을 유럽 투자자들에게 판매했던 피바디는 런던에서 평판이 나빠졌다. 그는 베어링스 은행과 협력하여 메릴랜드 주가 부채 상환을 재개하도록 로비 활동을 벌였다. 이 과정에는 선전 활동과 정치인 다니엘 웹스터 등에게 뇌물을 제공하는 것도 포함되었다.[1][8] 이 시도가 성공하여 메릴랜드 주 등이 지불을 재개하자, 피바디는 이전에 저렴하게 매입했던 채권을 통해 상당한 이익을 얻었다.[8]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그가 "미국의 해외 신용 확립에 기여했다"고 평가한다.[9]
1851년 피바디는 미국 철도 증권에 대한 수요 증가에 부응하기 위해 '조지 피바디 & 컴퍼니'라는 은행을 공식적으로 설립했다.[7] 이 은행은 건화물 거래도 계속했지만 점차 정부와 대기업 자금 조달을 전문으로 하는 상업 은행 업무에 집중하며 런던 최고의 미국계 은행으로 성장했다.[6]
1854년 그는 주니어스 스펜서 모건(J. P. 모건의 아버지)을 파트너로 영입하여 '피바디, 모건 & 컴퍼니'를 설립했다. 두 사람은 피바디가 1864년 은퇴할 때까지 함께 일했다. 1857년 은행에 대한 뱅크런이 발생했을 때, 피바디는 영국 은행으로부터 80만파운드의 대출을 받아 위기를 극복했다. 피바디는 1864년 1000만달러 이상(당시 약 200만파운드)의 자본을 가지고 은퇴했다. 그의 은퇴 후 회사는 'J.S. 모건 & 컴퍼니'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 회사는 훗날 모건 그렌펠 은행(현재 도이체방크의 일부), JP모건 체이스, 모건 스탠리 등 세계적인 금융 기업들의 모태가 되었다.[11]
2. 3. 런던 생활과 국제적 활동
피바디는 1827년 처음으로 영국을 방문하여 미국 주들의 채권 발행을 판매하고, 각 주의 교통 인프라 건설과 같은 "내부 개선" 사업 자금을 조달하고자 했다. 이후 10년 동안 네 차례 더 대서양을 횡단했으며, 1835년에는 리버풀에 지사를 설립했다.[1] 마침내 1837년에는 런던에 정착하여 평생을 그곳에서 살았다. 런던에서는 'George Peabody & Company|조지 피바디 앤드 컴퍼니영어'(훗날 J.S. 모건 & 코.[63][1])라는 은행 회사를 설립했다.1840년대에 메릴랜드 주가 채무 불이행 상태에 빠지자, 주 채권의 상당 부분을 유럽 투자자들에게 판매했던 피바디는 런던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런던 타임스는 피바디가 훌륭한 인품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부채를 이행하지 않는 나라의 시민이라는 이유로 회원제 클럽 가입이 거부되었다고 보도했다.[1] 피바디는 처음에는 볼티모어 지인들에게 편지를 보내 주 정부가 이자 지급을 재개하도록 촉구하고, 주에 우호적인 기사를 쓴 기자들에게 약간의 사례금을 지급했다.[1]
결국 1845년, 피바디는 베어링스 은행과 협력하여 메릴랜드 주가 채무를 상환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이들은 부채 상환을 지지하는 여론을 조성하고 관련 입법자를 선출하기 위한 정치 자금을 비밀리에 지원했으며, 심지어 유명 정치인 대니얼 웹스터에게 부채 상환 연설을 하도록 설득(뇌물 제공 포함)하기도 했다.[1] 이러한 노력은 성공을 거두어 부채 상환을 지지하는 휘그당이 선거에서 승리했고, 런던의 은행가들은 이자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 과정은 국제 금융 시장에서 미국의 신뢰 회복에 기여했지만, 윤리적으로 논란의 소지가 있는 방법을 동원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플로리다와 미시시피는 채무 상환에 소극적이었기에 피바디의 후원 대상에서 제외되었다.[1]
피바디는 런던에서 활발한 사교 활동을 펼쳤다. 런던을 방문하는 미국인들을 위해 자주 만찬을 열고 소개장을 제공했으며, 특히 미국 독립기념일을 기념하여 미국 외교관과 저명인사들을 초청한 영미 만찬으로 유명해졌다. 이는 당시 영국과 미국 간의 관계 증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1854년 독립기념일 만찬에서는 프랭클린 피어스 미국 대통령보다 빅토리아 여왕을 위해 먼저 건배를 제안하여 참석한 미국인들의 반감을 사기도 했다. 당시 주런던 대사였던 제임스 뷰캐넌은 이에 항의하며 자리를 떠났다.[64][3]
1851년 런던의 수정궁에서 열린 만국 박람회 당시, 미국 의회가 미국 전시관 지원을 거부하자 피바디는 사비 £3000 (당시 1.5만달러, 2022년 가치로 약 55만달러)[1]를 기부하여 전시관을 개선하고 미국의 국가적 명성을 지켰다.
개인적으로 피바디는 1838년 영국 브라이턴에서 잠시 약혼했으나 결혼으로 이어지지는 않았고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2] 말년에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통풍으로 고생했다.[65][4] 1867년에는 앤드루 존슨 대통령으로부터 재무장관직을 제안받았으나, 72세의 고령을 이유로 사양했다.[5]
2. 4. 말년과 죽음
조지 피바디는 말년에 류마티스 관절염과 통풍으로 고생하기 시작했다.[4][65] 1867년 2월, 그의 나이 72세 때 앤드루 존슨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미국 재무장관직을 제안받았으나, 고령을 이유로 정중히 거절했다.[5]1869년 7월, 런던 왕립거래소 옆에는 조각가 윌리엄 웻모어 스토리가 제작한 그의 동상이 세워졌고, 당시 웨일스 공이었던 에드워드 7세가 제막식에 참석했다. 그러나 피바디 자신은 건강 악화로 인해 이 행사에 참석하지 못했다.[40]
얼마 지나지 않아, 1869년 11월 4일, 조지 피바디는 런던에서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 이후,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대주교의 희망과 빅토리아 여왕의 승인에 따라 그의 시신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임시로 안치되었다. 하지만 피바디는 생전에 고향인 매사추세츠주 사우스 댄버스(현 피바디)에 묻히기를 원했다. 이에 윌리엄 글래드스톤 영국 수상은 영국 해군의 최신예 함선이었던 HMS 모나크를 이용해 그의 유해를 미국으로 운구하도록 지시했다. 그의 유해는 최종적으로 매사추세츠주 세일럼에 안장되었다.
3. 자선 활동
조지 피바디는 개인적으로는 검소했지만, 공공 사업에는 매우 관대하게 기부했다.[12] 그는 현대 자선 활동의 아버지이자 선구자로 널리 인정받으며,[13][14][15][16][47][49][50] 존스 홉킨스, 앤드루 카네기, 존 D. 록펠러, 빌 게이츠와 같은 후대의 자선 사업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31] 그의 자선 활동은 미국과 영국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나타났는데, 미국에서는 주로 교육 분야에 집중했고, 영국에서는 노동자 계층을 위한 주택 공급에 힘썼다.
미국에서는 뉴잉글랜드와 미국 남부 등 여러 지역에 교육 기관 설립을 지원했으며, 특히 남북 전쟁 이후에는 피보디 교육 기금을 설립하여 남부의 빈곤한 어린이들의 교육을 장려했다.[17][18][54] 영국에서는 1862년 런던의 빈민들을 위한 주택을 제공하기 위해 피보디 기증 기금(Peabody Donation Fund)을 설립했는데, 이는 오늘날 피보디 트러스트(Peabody Trust)로 이어져 운영되고 있다.[56]
피바디는 생애 동안 총 800만달러 이상(2023년 가치로 약 2.4억달러[19])을 기부했으며, 대부분은 그의 생전에 이루어졌다. 런던 빈민 구제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1862년 7월 10일 미국인 최초로 런던 시 명예 시민권으로 선정되었고,[56] 1869년에는 왕립 거래소 옆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
3. 1. 자선 사업의 철학
조지 피바디는 현대 자선 활동의 아버지이자 선구자로 평가받는다.[13][14][15][16][47][49][50] 그는 존스 홉킨스, 앤드루 카네기, 존 D. 록펠러, 빌 게이츠와 같은 후대의 자선 사업가들이 따르게 될 기틀을 마련했다.[31]피바디의 자선 철학은 단순한 기부를 넘어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그는 자신의 빈곤했던 어린 시절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 세대의 가난한 청소년들에게 교육과 문화적 기회를 제공하여 미국 사회의 평등을 증진하고자 했다.[31] 이는 정치적 평등을 추구했던 잭슨 민주주의와 비견될 수 있으며, 피바디는 도서관, 학교, 박물관, 대학 설립을 통해 교육과 문화적 평등을 이루려 했다.[31] 그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직접 현금을 나누어 주는 것은 일시적인 방편일 뿐이며, 지속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영구적인 기관을 설립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믿었다.[31] 이러한 신념은 벤자민 프랭클린에게서 영향을 받은 성실함, 검소함, 그리고 강한 공공 정신과 맞닿아 있었다.[31]
그의 자선 활동은 지역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미국에서는 주로 교육 분야에 집중하여 뉴잉글랜드, 남부 등지에 여러 교육 기관을 설립하고 지원했다.[54] 특히 남북 전쟁 이후에는 "남부 주의 빈곤한 어린이들의 지적, 도덕적, 산업적 교육을 장려하기 위해" 피보디 교육 기금을 설립했다.[17][18][54] 반면 영국에서는 런던의 가난한 노동자 계층을 위한 주거 환경 개선에 힘썼다. 1862년 설립된 피바디 기증 기금(피보디 트러스트)은 오늘날까지도 런던에 저렴하고 품위 있는 주택을 제공하고 있다.[56]

피바디 교육 기금은 남부 공립학교 개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당시 만연했던 인종 차별의 한계 속에서도 흑인 빈민들에게 백인과 동등한 조건으로 지원을 제공한 최초의 주요 자선 기관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31][32][33]
더 나아가 피바디는 자선 사업의 운영 방식에서도 혁신을 보여주었다. 그는 유럽 귀족들이 상속 재산을 통해 자선 활동을 하던 방식과 달리, 자수성가한 백만장자가 직접 전문적이고 영구적인 재단을 설립하여 운영하는 미국식 자선 사업 모델을 제시했다.[31] 이 재단들은 당대 최고의 지침을 따르고 자선 사업 전문가들에 의해 운영되어 효율성과 지속성을 높였다. 이는 후대의 자선 재단 설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31][32][33]
3. 2. 주요 자선 활동


조지 피바디는 생전에 검소한 생활을 했지만, 공익 사업에는 매우 관대하게 기부했다.[12] 그는 현대적 의미의 자선 활동을 개척한 인물로 평가받으며,[13][14][15][16] 그의 활동은 이후 존스 홉킨스, 앤드루 카네기, 존 D. 록펠러, 빌 게이츠와 같은 자선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미국에서는 주로 교육 분야에 기여했으며, 영국에서는 빈곤층을 위한 주택 공급에 힘썼다.
피바디는 뉴잉글랜드와 미국 남부 등 여러 지역에 교육 기관을 설립하고 지원했다. 특히 남북 전쟁 이후에는 남부의 가난한 어린이들을 위한 지적, 도덕적, 산업 교육을 장려하기 위해 1867년 피보디 교육 기금을 설립했다.[17][18] 그의 자선 활동 중 가장 큰 규모는 그가 사업적으로 성공을 거둔 도시인 볼티모어에서 이루어졌다.
1862년에는 런던의 노동자 계층 빈민들에게 양질의 주택을 제공하기 위해 피보디 기증 기금(Peabody Donation Fund)을 설립했다. 이 기금은 오늘날 피보디 트러스트(Peabody Trust)로 이어져 계속 운영되고 있다. 트러스트가 처음으로 지은 주택은 건축가 헨리 다비셔(H. A. Darbyshire)가 설계하여 1864년 2월 런던 스피털필즈의 커머셜 스트리트에 문을 열었다.
피바디는 생애 동안 총 800만달러 이상(2023년 가치로 약 2.4억달러[19])을 기부했다. 그의 주요 기부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기부처 | 주요 내용 / 현재 상태 | 기부액 (USD) |
---|---|---|---|
1852 | 피보디 연구소 | 피보디 연구소 도서관, 피바디, 매사추세츠주 | 21.7만달러[20][57] |
1856 | 피보디 연구소 | 피보디 연구소 댄버스 도서관, 댄버스, 매사추세츠주 | 10만달러[21][58] |
1857 | 피보디 연구소 | 존스 홉킨스 대학교 피보디 연구소, 볼티모어, 메릴랜드주. 도서관, 음악 아카데미, 미술관을 포함하여 볼티모어 시민들의 도덕적, 지적, 예술적 기회 증진을 목표로 함.[22] | 140만달러 |
1862 | 피보디 기증 기금 (Peabody Donation Fund) | 런던 빈민을 위한 주택 제공 (피보디 트러스트). | 250만달러 |
1866 | 피보디 고고학 및 민족학 박물관 | 하버드 대학교, 캠브리지, 매사추세츠주 | 15만달러 |
1866 | 피보디 자연사 박물관 | 예일 대학교, 뉴헤이븐, 코네티컷주. 조카이자 고생물학자인 오스니엘 찰스 마쉬의 제안.[23] | 15만달러 |
1866 | 조지타운 피보디 도서관 | 조지타운, 매사추세츠주의 공공 도서관 | 확인 불가 |
1866 | 세트퍼드 공공 도서관 | 세트퍼드, 버몬트주 | 5천달러 |
1867 | 피보디 과학 아카데미 | 현재 피보디 에섹스 박물관, 세일럼, 매사추세츠주 | 14만달러 |
1867 | 피보디 연구소 | 현재 피보디 룸, 조지타운 지점, DC 공공 도서관, 조지타운, 워싱턴 D.C. | 1.5만달러 |
1867 | 피보디 교육 기금 | 남북 전쟁 이후 남부 빈곤층 아동 교육 지원.[17][18] | 200만달러 |
1875 | 피보디 교사 대학 | 현재 밴더빌트 대학교 피보디 대학, 내슈빌, 테네시주. 피보디 교육 기금에서 지원. | 피보디 교육 기금에서 지원 |
1877 | 피보디 고등학교 | 트렌턴, 테네시주. 피보디 교육 기금에서 지원. | 피보디 교육 기금에서 지원 |
1901 | 피보디 기념 도서관 | 샘 휴스턴 주립 대학교, 헌츠빌, 텍사스주 | 확인 불가 |
1913 | 조지 피보디 빌딩 | 미시시피 대학교, 옥스퍼드, 미시시피주[24][59] | 확인 불가 |
1913 | 피보디 홀 | 교육과정 및 지도학과, 아칸소 대학교, 페이엣빌, 아칸소주[25][60] | 4만달러 |
1913 | 피보디 홀 | 교육대학 (현 철학 및 종교학과), 조지아 대학교, 애선스, 조지아주[26][61] | 4만달러 |
1913 | 피보디 홀 | 교사 대학 (현 크라이서 학생 서비스 센터 일부), 플로리다 대학교, 게인즈빌, 플로리다주[27] | 4만달러 |
확인 불가 | 피보디 홀 | 인간과학 및 교육대학, 루이지애나 주립 대학교, 배턴루지, 루이지애나주 | 확인 불가 |
1914 | 피보디 홀 | 커리 기념 교육대학 (현 학장실 및 입학처), 버지니아 대학교, 샬러츠빌, 버지니아주 | 확인 불가 |
4. 유산과 영향
피바디는 1869년 11월 4일, 74세의 나이로 런던에서 친구인 커티스 램프슨 경(커티스 램프슨)의 집에서 사망했다. 웨스트민스터 사원장의 요청과 빅토리아 여왕의 승인으로, 그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장례식을 치르고 임시로 안장되었다.[28] [29] 그의 유언에 따라 유해는 영국 해군 군함 HMS ''Monarch''에 실려 미국으로 옮겨졌고, 메인주 포틀랜드에서 미국 해군 제독 데이비드 퍼러거트의 영접을 받았다. 1870년 2월 8일, 그는 고향인 매사추세츠주 세일럼의 하모니 그로브 묘지(하모니 그로브 묘지)에 안장되었다. 피바디의 사망과 두 번의 장례식은 새로 개통된 대서양 횡단 전신 케이블을 통해 국제적인 뉴스가 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그의 마지막 길을 함께했다.[30]
역사가 로더릭 내시는 피바디가 당대의 다른 백만장자들과 달리 석유, 철도 등 눈에 띄는 사업보다는 식료품과 부동산으로 조용히 부를 축적했으며, 벤자민 프랭클린처럼 성실함, 검소함, 시간 엄수, 강한 공공 정신을 가졌다고 평가했다. 그의 가장 큰 유산은 자선 활동에 있다. 그는 자수성가한 백만장자가 스스로 자선가가 되는 미국식 자선 모델을 개척했으며, 이는 앤드루 카네기, 존 D. 록펠러 등 후대 자선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31] 피바디는 일시적 구호보다는 교육과 문화 발전을 위한 영구적인 기관 설립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고자 했으며, 이는 자신의 경험에서 비롯된 신념이었다.[31] 특히 피보디 교육 기금 설립 등 그의 활동은 전문적인 재단을 통한 체계적인 자선 활동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1][32][33]
4. 1. 근대 자선 사업의 선구자
조지 피바디는 근대 자선 사업의 아버지로 널리 인정받으며,[13][14][15][16][47][49][50] 이후 존스 홉킨스, 앤드루 카네기, 존 D. 록펠러, 빌 게이츠와 같은 인물들이 따르게 될 자선 활동의 기틀을 마련했다.[12] 그는 자신의 부를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졌으며, 특히 일시적인 현금 지원보다는 교육 기관이나 문화 시설 같은 영구적인 기관 설립을 통해 지속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31] 이는 그가 어린 시절 겪었던 가난과 독학으로 공부해야 했던 경험에 바탕을 둔 것으로, 다음 세대의 가난한 청소년들에게 교육과 문화적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적 평등을 증진시키고자 했다.[31]
피바디의 자선 활동은 미국과 영국 양쪽에서 이루어졌다. 미국에서는 주로 교육 분야에 집중하여 남북 전쟁 이후 어려움을 겪던 남부 지역의 교육 발전을 위해 힘썼다. 1867년에서 1868년 사이, 그는 "남부 주의 빈곤한 어린이들의 지적, 도덕적, 산업적 교육을 장려하기 위해" 약 350만달러 규모의 피보디 교육 기금을 설립했다.[17][18][54] 이 기금은 남부 공립학교 개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당시 인종 차별의 한계 속에서도 흑인 빈민들에게 백인과 동등한 조건으로 지원한 최초의 주요 자선 기관 중 하나였다.[31] 또한 그는 자신이 사업적으로 크게 성공했던 볼티모어에도 많은 기부를 했다.
영국에서는 주로 빈곤층을 위한 주택 문제 해결에 기여했다. 1862년 4월, 그는 런던의 노동자 계층 빈민들에게 저렴하고 품위 있는 주택을 제공하기 위해 피보디 기증 기금(Peabody Donation Fund)을 설립했다.[12] 이 기금은 오늘날 피보디 트러스트로 이어져 계속 운영되고 있다. 첫 번째 피보디 주택 단지는 건축가 헨리 다비셔(Henry Darbyshire)가 설계하여 1864년 2월 런던 스피털필즈의 커머셜 스트리트에 문을 열었다.
피바디는 런던 빈민 구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862년 7월 10일, 미국인 최초로 런던 시 명예 시민권(Freedom of the City)을 받았다.[56] 1869년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동상이 왕립 거래소 옆에 세워져 에드워드 7세에 의해 공개되었다.
피바디는 생전에 총 800만달러 이상(2023년 가치로 약 2.4억달러[19])을 기부했으며, 주요 기부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수혜 기관 | 기부액 (USD) |
---|---|---|
1852년 | 피보디 연구소, 매사추세츠주 피바디 | 21.7만달러[20][57] |
1856년 | 피보디 연구소, 매사추세츠주 댄버스 | 10만달러[21][58] |
1857년 | 피보디 연구소 (현 존스 홉킨스 대학교 피보디 연구소),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 140만달러[22] |
1862년 | 피보디 기증 기금 (피보디 트러스트), 런던 | 250만달러 |
1866년 | 피보디 고고학 및 민족학 박물관, 하버드 대학교,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 | 15만달러 |
1866년 | 피보디 자연사 박물관, 예일 대학교, 코네티컷주 뉴헤이븐 | 15만달러 |
1866년 | 조지타운 피보디 도서관, 매사추세츠주 조지타운의 공립 도서관 | 명시되지 않음 |
1866년 | 세트퍼드 공공 도서관, 버몬트주 세트퍼드 | 5천달러 |
1867년 | 피보디 과학 아카데미 (현 피보디 에섹스 박물관), 매사추세츠주 세일럼 | 14만달러 |
1867년 | 피보디 연구소 (현 DC 공공 도서관 조지타운 지점 피보디 룸), 워싱턴 D.C. 조지타운 | 1.5만달러 |
1867년 | 피보디 교육 기금 | 200만달러 |
1875년 | 피보디 교사 대학 (현 밴더빌트 대학교 피보디 대학), 테네시주 내슈빌 | 피보디 교육 기금에서 지원 |
1877년 | 피보디 고등학교, 테네시주 트렌턴 | 피보디 교육 기금에서 지원 |
1901년 | 피보디 기념 도서관, 샘 휴스턴 주립 대학교, 텍사스주 헌츠빌 | 명시되지 않음 |
1913년 | 조지 피보디 빌딩, 미시시피 대학교, 미시시피주 옥스퍼드[24][59] | 명시되지 않음 |
1913년 | 피보디 홀, 아칸소 대학교[25][60] | 4만달러 |
1913년 | 피보디 홀, 조지아 대학교[26][61] | 4만달러 |
1913년 | 피보디 홀, 플로리다 대학교[27] | 4만달러 |
시기 미상 | 피보디 홀, 루이지애나 주립 대학교 | 명시되지 않음 |
1914년 | 피보디 홀, 버지니아 대학교 | 명시되지 않음 |
피바디의 자선 활동 방식, 즉 전문적인 영구 재단을 설립하고 전문가들이 운영하도록 하여 지속적인 사회 발전을 추구하는 모델은 이후 미국 자선 사업의 표준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는다.[31][32][33] 그는 단순히 부를 축적하는 것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부를 환원하는 선구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4. 2. 한국에 주는 시사점
조지 피바디의 생애는 현대 한국 사회에도 여러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는 어려운 가정 환경 속에서 자수성가하여 막대한 부를 이루었지만, 자신의 부를 사회에 환원하는 데 힘썼다. 어린 시절 경험했던 궁핍함은 그가 후에 자선 활동에 헌신하게 된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62] 이는 경제 발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불평등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함을 보여준다.또한 피바디는 국제 사회에서 활동하며 민간 외교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 1851년 런던 만국 박람회 당시 미국 의회가 자국 전시관 지원을 거부하자, 그는 자비 3000GBP(당시 1.5만달러 상당)를 들여 전시관을 개선하고 미국의 국가 이미지를 지켰다.[64] 또한 런던에서 미국 독립기념일 만찬을 주최하는 등 미국과 영국 간의 우호 증진에도 기여했다. 이러한 활동은 국가 간의 상호 이해와 협력을 증진하고, 국제 사회에서 긍정적인 국가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민간의 역할이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조지 피바디의 삶은 부의 사회적 책임 이행, 교육과 문화 등 공익 분야에 대한 투자, 그리고 활발한 국제 교류가 개인의 성공을 넘어 사회 전체의 발전과 통합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오늘날 한국 사회가 지향해야 할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볼 지점을 제공한다.
4. 3. 기념
피바디의 자선 활동은 그의 생애 말년에 많은 찬사를 받았다. 그는 윌리엄 글래드스톤 수상과 작가 빅토르 위고와 같은 유럽 동시대인들에게 칭찬을 받았으며, 빅토리아 여왕은 그에게 준남작 작위를 제안했지만 그는 거절했다.[34]1854년, 극지 탐험가 엘리샤 케인은 피바디가 자신의 탐험을 후원한 것을 기념하여 그린란드 북서부 해안의 수로 이름을 "피바디 만"이라고 지었다. 이 수로는 나중에 케인 분지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피바디 만이라는 이름은 분지 동쪽의 작은 만 이름으로 남아 있다.[35]
1862년 7월 10일, 그는 런던시(City of London)의 자유 시민(Freeman of the City of London)이 되었는데, 이는 찰스 리드가 런던 빈민에 대한 그의 재정적 기여를 인정하여 제안한 것이었다.[36] 그는 이 상을 받은 두 명의 미국인 중 한 명이며, 다른 한 명은 34대 대통령이자 장군인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이다. 1867년 3월 16일에는 미국 의회 금메달을[37], 하버드 대학교에서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명예 민법 박사 학위를 받았다.[38] 1867년 3월 24일, 피바디는 미국 고고학회(American Antiquarian Society) 회원으로 선출되었다.[39]
피바디의 출생지인 매사추세츠주 사우스 댄버스는 1868년 그의 공적을 기려 피바디라는 이름의 마을(현재는 시)로 이름을 바꾸었다. 1869년에는 테네시주 멤피스에 있는 피바디 호텔(Peabody Hotel)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미국에는 피바디를 기념하여 여러 개의 피바디 초등학교(Peabody Elementary School)와 피바디 고등학교(Peabody High School)가 있다.

윌리엄 웻모어 스토리가 조각한 동상은 1869년 7월 웨일스 공 에드워드 7세에 의해 공개되었으며, 런던 왕립거래소 옆에 세워졌다. 피바디 자신은 건강이 좋지 않아 행사에 참석할 수 없었고, 4개월도 채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40] 1890년에 세워진 같은 동상의 복제품은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마운트 버논(Mount Vernon) 지역에 있는 마운트 버논 공원(Mount Vernon Park)의 피바디 연구소 옆에 있다.
1900년, 피바디는 당시 뉴욕 대학교 캠퍼스(현재 브롱크스 커뮤니티 칼리지)에 위치한 미국 위인 명예의 전당에 선출된 최초의 29명 중 한 명이었다.
피바디시의 워싱턴 스트리트 205번지에 있는 그의 출생지는 현재 조지 피바디 하우스 박물관으로 운영 및 보존되고 있으며, 그의 삶과 유산을 알리는 데 전념하고 있다.[52][53] 그가 런던에서 사망한 집인 벨그라비아 이튼 스퀘어(Eaton Square) 80번지에는 1976년에 청색 표지판(blue plaque)이 세워졌다.[41]
워싱턴 D.C.의 조지타운 지역 도서관(조지타운 이웃 도서관)에는 피바디가 설립한 원래의 지역 피바디 도서관 이름을 딴 피바디실(Peabody Room)이 있다. 피바디실에는 조지타운 지역에 대한 역사적 정보가 담겨 있다.
2018년 3월 16일, 구글은 피바디가 미국 의회 금메달을 받은 151주년을 기념하여 구글 두들로 피바디를 기념했다.[42][43] 구글 두들에 재현된 벽화는 샌프란시스코의 조지 피바디 초등학교(George Peabody Elementary School) 식당에 실제로 있다.[44]
참조
[1]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10-01-19
[2]
문서
Parker 1995
[3]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10-01-19
[4]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10-01-19
[5]
문서
Parker 1995
[6]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10-01-19
[7]
문서
Burk (1989)
[8]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10-01-19
[9]
웹사이트
George Peabody American merchant, financier, and philanthropist
http://www.britannic[...]
2016-05-18
[10]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10-01-19
[11]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archive.org/[...]
Atlantic Monthly Press
1990
[12]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10-01-19
[13]
서적
All the Money in the World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14]
웹사이트
George Peabody
http://www.philanthr[...]
The Philanthropy Hall of Fame
[15]
서적
One Thousand Buildings of London
Black Dog Publishing
[16]
웹사이트
Peabody Hall Stands as Symbol of University's History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Arkansas
2009-12
[17]
웹사이트
George Peabody Library History
https://web.archive.[...]
Johns Hopkins University
2010-03-12
[18]
서적
Negro Year Book: An Annual Encyclopedia of the Negro ....
https://books.google[...]
[19]
웹사이트
Measuring Worth - Result in Table
https://www.measurin[...]
2024-11-23
[20]
웹사이트
Peabody Institute Library
https://web.archive.[...]
2018-03-17
[21]
웹사이트
administration/pilhistlong2
https://web.archive.[...]
2018-03-17
[22]
간행물
The Peabody Institute: Ideas Implicit in Its Founding
1971
[23]
서적
King of the Dinosaur Hunters : the life of John Bell Hatcher and the discoveries that shaped paleontology.
Pegasus Books
2018
[24]
웹사이트
About UM – History – University Buildings | Spring 2017-18 | UM Catalog
http://catalog.olemi[...]
2018-03-17
[25]
문서
University of Arkansas
[26]
웹사이트
Peabody Hall | Buildings & Locations | A–Z | University of Georgia
https://www.uga.edu/[...]
2018-03-17
[27]
웹사이트
Historic Campus - Peabody Hall
https://web.archive.[...]
2018-03-17
[28]
서적
Historical Memorials of Westminster Abbey
John Murray
[29]
뉴스
Funeral of George Peabody at Westminster Abbey
https://query.nytime[...]
1869-11-13
[30]
간행물
The Funeral of George Peabod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Taylor & Francis Group)
1966-07
[31]
문서
Peabody, George
[32]
간행물
George Peabody's Influence on Southern Educational Philanthropy
[33]
서적
The Foundation of the Peabody Traditi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34]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10-01-19
[35]
웹사이트
Biography – KANE, ELISHA KENT – Volume VIII (1851–1860) – Dictionary of Canadian Biography
http://www.biographi[...]
2016-05-18
[36]
웹사이트
London People: George Peabody
http://www.london-fo[...]
2010-03-12
[37]
웹사이트
Congressional Gold Medal Recipients
http://history.house[...]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2016-05-10
[38]
서적
Parker 1995
[39]
웹사이트
MemberListP
http://www.americana[...]
2018-03-17
[40]
문서
A detailed account of the commissioning, erection and reception of the statue
[41]
웹사이트
George Peabody Blue Plaque
http://openplaques.o[...]
openplaques.org
2013-11-23
[42]
웹사이트
Google doodle honors philanthropist George Peabody
https://www.cnet.com[...]
2018-03-16
[43]
웹사이트
Google Doodle Just Honored George Peabody, Financier-Turned-'Father of Modern Philanthropy'
http://fortune.com/2[...]
2018-03-16
[44]
웹사이트
George Peabody Elementary School
https://web.archive.[...]
2018-03-17
[45]
서적
The Wealthy 100: From Benjamin Franklin to Bill Gates—A Ranking of the Richest Americans, Past and Present
Carol Publishing Group
1996
[46]
뉴스
GEORGE PEABODY.; Death of the Great Philanthropist—His Last Hours Passed in London—His Career and Benefactions
https://select.nytim[...]
2014-02-18
[47]
서적
All the Money in the World
Random House
[48]
웹사이트
George Peabody
http://www.philanthr[...]
[49]
서적
One Thousand Buildings of London
Black Dog Publishing
[50]
웹사이트
Peabody Hall Stands as Symbol of University's History
http://coehp.uark.ed[...]
University of Arkansas
2010-03-12
[51]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10-01-19
[52]
웹사이트
Steps in Probate Process: Brief Overview
http://www.georgepea[...]
George Peabody House Museum
2018-03-16
[53]
웹사이트
George Peabody House Museum & Peabody Leather Workers Museum - Peabody Visitor Center
https://essexheritag[...]
ESSEX NATIONAL HERITAGE AREA
2018-03-16
[54]
웹사이트
George Peabody Library History
http://www.peabodyev[...]
Johns Hopkins University
2010-03-12
[55]
웹사이트
ロンドンの名誉市民権(称号)を受けるグラント将軍/(General Grant receiving the freedom of the city of London.)
http://db.nichibun.a[...]
日文研データベース
[56]
웹사이트
London People: George Peabody
http://www.london-fo[...]
2010-03-12
[57]
웹사이트
Peabodylibrary.org
http://www.peabodyli[...]
[58]
웹사이트
Danverslibrary.org
http://www.danversli[...]
[59]
웹사이트
http://catalog.olemi[...]
[60]
웹사이트
University Of Arkansas
https://en.wikipedia[...]
[61]
웹사이트
https://www.uga.edu/[...]
[62]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10-01-19
[63]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10-01-19
[64]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10-01-19
[65]
서적
The House of Morgan: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10-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