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과는 기독교에서 잠자리에 들기 전에 드리는 예배 또는 기도 형식이다. 초기 교회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로마 가톨릭교회, 성공회, 루터교, 동방 정교회 등 다양한 교파에서 고유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시간 전례의 일부로, 성가, 시편, 성경 독서 등으로 구성된다. 성공회에서는 저녁 기도에 통합되어 있으며, 루터교와 동방 정교회에서도 각 교파의 예배서와 기도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거행된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평화의 시간과 휴식의 시간을 종과와 유사하게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공회 전례 - 성공회 기도서
성공회 기도서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 과정에서 가톨릭 교회의 성무일도에서 파생되어 예배, 기도, 성례 등의 절차를 담은 규칙서로, 영어 예배와 성서학 및 고전문헌학 발달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성공회에서는 '성공회 기도서' 또는 '기도서'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 성공회 전례 - 성작
성작은 기독교 성찬례에서 포도주를 담는 데 사용되는 잔을 의미하며,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에서는 예배의 상징으로, 위카와 신이교주의에서는 의식에 사용되는 잔으로, 퀘벡 프랑스어에서는 욕설로 사용되기도 하고, 문장학 및 체코의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종과 | |
---|---|
개요 | |
종류 | 시간 전례 |
라틴어 명칭 | Completorium |
한국어 명칭 | 끝기도 |
의미 | 하루를 마무리하는 기도 |
시간 | 잠자리에 들기 전 |
역사 | |
기원 | 베네딕도 규칙 |
발전 | 수도원에서 평신도를 위한 기도 |
구성 (로마 가톨릭) | |
시작 기도 | 하느님, 저를 도우소서. 주님, 저를 빨리 도와주소서. |
시편 | 4편 91편 134편 |
찬미가 | 밤이 저물어 |
성경 봉독 | 해당 없음 |
응송 | 주님, 저희와 함께 머무소서. |
마리아의 노래 | 내 영혼이 주님을 찬양하며 |
시메온의 노래 | 주님, 이제는 당신의 말씀대로 |
마침 기도 | 주님, 저희에게 평안한 밤을 주소서. |
성모 찬송 | 하늘의 여왕님, 기뻐하소서 구세주의 어머니 하늘의 여왕 모후이신 성모님 |
2. 역사적 발전
초기 교회 시대부터 7번의 정해진 기도 시간을 지키는 관습이 가르쳐져 왔다. ''사도 전승''에서 로마의 히폴리투스는 기독교인들에게 "일어날 때, 저녁 등불을 켤 때, 잠자리에 들 때, 자정"과 "그리스도의 수난과 관련된 시간인 하루 중 3시, 6시, 9시"에 하루에 일곱 번 기도하도록 지시했다.[6][7][8][9]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종과는 시간 전례의 한 부분으로, 도입부, 양심 성찰 또는 참회 예식, 성가, 시편과 성가, 성경 독서, 응송, 시메온의 칸티클, 결론 기도, 축복, 복되신 동정 마리아에 대한 마지막 성가 등으로 구성된다.[12]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는 더 복잡한 형태였으나, 현재는 간소화되었다.
성공회 전통에서 종과는 원래 공동 기도서의 저녁 기도를 구성하기 위해 만도와 병합되었다. 미국의 미국 성공회 1914년 ''사무실 기도서'', 잉글랜드 교회의 1928년 제안된 기도서, 스코틀랜드 성공회의 1929년 스코틀랜드 기도서, 캐나다 성공회의 1959/1962 기도서, 아일랜드 교회의 2004년 ''공동 기도서'',[14] 웨일스 교회의 2009년 ''매일 기도서''[15]는 성공회 예배에 종과 형식을 복원했다.
루터교에서는 성무일과가 예배서 및 기도서에 포함되어 있으며, 평신도가 집전할 수 있도록 약간 수정된 형태의 종과를 사용한다.[13]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의 종과는 시편, 죄의 고백, 성경 봉독, 응송, 기도, 누크 디미티스, 축도 등으로 구성된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종과를 '''저녁 식사 후'''라는 뜻의 그리스어 Ἀπόδειπνον (아포디프논), 슬라브어 повечеріе (포베체리에)라고 부른다. 종과는 그 길이에 따라 '''소 종과'''와 '''대 종과''' 두 가지 형식이 있다.[10]
종과(compline)의 기원은 전례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분분하다. 과거에는 이 전례 시각의 기원을 6세기 초의 성 베네딕토에게 돌리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이었다. 그러나 쥘 파르고아(Jules Pargoire)와 A. 반데피테(A. Vandepitte)는 그 기원을 성 바실에게서 찾았다. 반데피테는 바실이 375년 카이사레아가 아니라 폰토스 (358–362)의 그의 은둔처에서 종과를 제정했는데, 이 시각은 그의 시대 이전, 즉 4세기 중반 직후까지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프랑수아 플레인|François Pலைன்프랑스어 또한 종과의 기원을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 유세비우스의 한 구절과 성 암브로시우스의 또 다른 구절, 그리고 요한 카시아누스에서도 그것에 대한 언급을 찾았다. 이 텍스트들은 잠자리에 들기 전에 기도를 드리는 개인적인 관습을 증언한다. 이것이 종과의 정식 시간은 아니었지만, 분명히 그 시간으로 향하는 예비 단계였다. 같은 작가들은 종과가 4세기 더 이전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파코미우스의 규칙에 종과가 있었다고 믿는 폴린 라데즈와 장-마르시알 베스|Jean-Martial Besse프랑스어의 의견을 거부한다.[10]
가톨릭 백과사전은 성 바실이 동방 기독교를 위해 종과의 시간을 제정하고 조직했다면, 서방 교회를 위해 성 베네딕토가 그랬던 것처럼, 성 키프리아누스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시대부터 잠들기 전에 기도를 읊는 관습이 존재했으며, 이것이 종과의 원래 기원으로 여겨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10]
3. 로마 가톨릭 교회의 종과
일반적으로 베네딕토회의 종과 형태가 서방 전례에서 가장 오래된 형식으로 여겨지지만, 플레인과 같은 일부 학자들은 그 당시 로마 성무일도서에 나오는 종과 시각이 베네딕토회 성무일도보다 앞선다고 주장했다.[10] 성 베네딕토는 처음으로 서방에서 기념하게 된 종과의 기본 구조를 제공했는데, 세 개의 시편(4, 90, 133) (불가타 성경 번호), 성가, 독서, 경구 ''자비송'', 축복, 파견이다.
로마 성무일도의 종과는 단순한 베네딕토회의 시편보다 더 풍부하고 복잡해졌다. 네 번째 시편인 ''In te Domine speravi'' (시편 30, 불가타 성경)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독서와 함께 축복의 엄숙한 도입이 추가되었는데, 고백과 죄의 사면이 포함되었다.
로마 종과의 특징적인 성격과 더 큰 엄숙함은 응송인 "In manus tuas, Domine" ("주님, 당신 손에")에서 비롯되며, 복음서 칸티클 시메온의 노래와 특히 특징적인 성가가 함께 한다.[11]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로마 성무일도서에 나타난 종과 시각은 시작 또는 도입부, 시편, 성가, ''장'', 응답, ''시메온의 노래'', 기도, 축복 등 여러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974년의 로마 가톨릭 시간 전례에서 종과는 도입부, 선택적인 양심 성찰 또는 참회 예식, 성가, 시편과 그에 따른 성가, 성경 독서, 응송, 시메온의 칸티클, 결론 기도, 축복, 복되신 동정 마리아에 대한 마지막 성가 (''구원송'' 등)로 구성된다.[12]
4. 성공회의 종과
미국 1979년 ''공동 기도서'', 캐나다 성공회의 ''대안 예배서'', 잉글랜드 교회의 ''공동 예배''를 포함한 여러 현대 전례 텍스트는 이 예배의 현대적 형태를 제공한다. 전통적인 형태는 1991년 성공회 예배서에 제공된다. ''공동 예배''는 시작 구절, 죄의 고백, 시편 및 기타 성경 구절, 시므온의 노래, 축도를 포함한 기도로 구성된다. 요일과 기독교력 절기를 위한 승인된 대안이 있다.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처럼, 종과는 루터교 사용과 매우 유사하게 평신도가 인도할 수 있는 공적인 예배이다.
5. 루터교의 종과
6. 동방 정교회의 종과
두 형식 모두 전례에 사용되는 정경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옥토에코스에 있는 테오토코스의 정경을 사용한다. 그러나 특정 전례 축일과 파스카 시기에는 다른 정경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새롭게 시성된 성인이나 지역적으로 숭배되는 성인(또는 성상)의 전례로 인해 그날의 성인 전례가 대체될 경우, 대체된 정경이 사용된 후 저녁 기도에 규정된 스찌히라가 삽입되기도 한다.
종과는 항상 서로 용서를 구하는 것으로 끝맺는다. 러시아 등 일부 전통에서는 종과가 끝날 때 저녁 기도(잠자리에 들기 전 기도)를 드린다.[10] 아토스 산과 다른 수도원에서는 종과가 끝날 때 참석한 모든 사람이 교회 안의 유물과 성상에 경배하고 사제의 축복을 받는 고대 관습이 내려오고 있다.
6. 1. 소 종과
소 종과는 1년 중 대부분의 밤에 거행되며, 부제 없이 단독 사제가 주례한다.
전례는 3개의 시편(50, 69, 142편), 소영광송, 니케아 신경, 아시온 에스틴에 이어지는 정경,[16] 트리사기온, 오늘의 트로파리아, ''키리에 엘레이손'' (40번), 시간 기도, 수도사 바울의 탄원 기도, 그리고 수도사 안티오쿠스의 예수 그리스도께 드리는 기도로 구성된다.[17] 이어서 서로의 용서와 사제의 최종 축복, 그리고 사제의 연도 낭송이 이어진다.
철야 기도 전에는 그리스 전통에서 소 종과가 대 만과 전에 거행되어 대 향유 중에 봉독되는 반면, 러시아 전통에서는 간단히 소 만과 후에 거행된다.
6. 2. 대 종과
대(大) 꼼플린은 사육주간의 화요일과 목요일 밤(사순절 전 주), 사순절의 월요일부터 목요일 밤[18], 사순절의 금요일 밤[19], 성주간의 월요일과 화요일, 성탄절 단식, 사도 단식, 성모 승천 단식과 같은 작은 단식 기간의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20], 그리고 성탄 축일, 주현절, 수태고지과 같은 특정 대축일 전야 철야 기도의 일부로 봉헌되는 참회 예식이다.
소(小) 꼼플린과 달리 대(大) 꼼플린은 성가대가 부르는 전례 부분이 있으며[21], 사순절 동안에는 성 에프렘의 기도를 엎드려 절하며 드린다. 사순절 첫 주 동안에는 크레테의 성 안드레의 대 카논이 4부분으로 나뉘어 월요일부터 목요일 밤에 봉독된다.
대(大) 꼼플린의 참회적 성격으로 인해 사제는 전례 중에 고해성사를 듣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대(大) 꼼플린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오, 와서 경배합시다..."라는 기도 권고로 시작한다.
7. 동방 기독교의 종과
초기 교회 시대부터 하루 7번의 정해진 기도 시간을 지키는 관습이 있었다. ''사도 전승''에서 로마의 히폴리투스는 기독교인들에게 하루에 일곱 번 기도하도록 지시했다.[6][7][8][9]
종과(compline)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었다. 과거에는 성 베네딕토가 6세기 초에 제정했다는 의견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성 바실이 폰토스의 은둔처에서 제정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유세비우스, 성 암브로시우스, 요한 카시아누스의 글에서 종과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데, 이들은 잠자리에 들기 전 개인적인 기도를 드리는 관습을 언급했으며, 이는 종과의 예비 단계로 볼 수 있다.
가톨릭 백과사전에 따르면, 동방 기독교에서 성 바실이 종과의 시간을 제정하고 조직했다면, 서방 교회에서는 성 베네딕토가 같은 역할을 했다. 성 키프리아누스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시대부터 잠들기 전 기도를 읊는 관습이 있었으며, 이것이 종과의 기원으로 여겨질 수 있다.[10] 동방 기독교에서는 하루 중 일곱 번의 정해진 시간에 동쪽 방향으로 정시 기도를 드리기 위해 Agpeya와 Shehimo 성무일과서를 사용한다.[26]
7. 1. 시리아 정교회, 인도 정교회, 마르 토마 시리아 교회
시리아 정교회, 인도 정교회, 마르 토마 시리아 교회 (동방 개신교 교파)에서는 만과(Compline) 예식이 '''수토로'''라고도 불리며, 오후 9시에 셰히모 성무일과서를 사용하여 기도한다.[25][26]7. 2. 콥트 정교회
콥트 정교회는 동방 정교회 교파로, 잠자리에 들기 전 오후 9시에 아그페야 기도서를 사용하여 저녁 기도를 드린다.[27][28]7. 3.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에서는 해 질 녘과 잠들기 전에 각각 평화의 시간과 휴식의 시간이라는 두 가지 예식을 거행한다.[29] 이 두 예식은 별개의 공동 예배 전례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두 예식을 하나로 결합하여 약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평화의 시간은 콤플린과 관련된 예식으로, 하느님의 영과 더불어 하느님의 말씀이 무덤에 묻히고 하데스로 내려가 영들에게 평화를 가져다준 것을 기념한다. 휴식의 시간은 평화 시간 이후에 거행되는 하루의 마지막 기도로, 콤플린과 유사하며 하느님 아버지의 보호를 기념한다.
7. 3. 1. 평화의 시간
평화 시간(Խաղաղական Ժամ|카가하칸 잠hy)은 다른 기독교 전례에서 콤플린과 관련된 예식이다.아르메니아 시간의 책 또는 자마기르크에서는 평화 시간이 하느님의 영뿐만 아니라 "그가 무덤에 묻히고 하데스로 내려가 영들에게 평화를 가져다주었을 때" 하느님의 말씀을 기념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평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순서 | 내용 |
---|---|
1 | 계단의 노래가 낭송되는 경우: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찬양합니다. 아멘. 우리 아버지 … 아멘." ; 시편 34:1–7: "내가 항상 주님을 찬양하리라(awrhnets`its` zTērhy)"…; "영광이 아버지께(항상 지금과 영원히 … 아멘.과 함께); 그리고 다시 평화롭게 주님께 기도합시다… ; 아버지께 축복과 영광을… 아멘.; 계단의 노래: 시편 120:1–3: "내가 고통 중에 부르짖었네 (I neghout`ean imoumhy)"…; "영광이 아버지께…" |
2 | 계단의 노래가 불리지 않는 경우: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찬양합니다. 아멘. 우리 아버지 … 아멘"; 시편 88:1–2 "나의 구원의 하나님 (Astouats p`kkout`ean imoyhy)"…; "영광이 아버지께…"; "그리고 다시 평화롭게 주님께 기도합시다…"; "아버지께 축복과 영광을… 아멘."; "모두에게 평화를." |
3 | 어느 경우든 전례는 여기에서 계속: 시편 4, 6, 13, 16, 43, 70, 86:16–17; "영광이 아버지께…"; 노래: "우리에게 허락하소서(Shnorhea mezhy)…"; "영광이 아버지께…"; 환호: "어둠이 다가올 때 (I merdzenal erekoyishy)…"; 선포: "그리고 다시 평화롭게… 주님께 감사합시다 (Gohats`arouk` zTearnēhy)…"; 기도: "자비로운 주님 (Tēr Barerarhy)…"; 시편 27 "주는 나의 빛이시라 (Tēr loys imhy)…"; "영광이 아버지께…"; 노래: "사랑으로 내려다보소서(Nayats` sirovhy)…"; 환호: "주여, 당신의 얼굴을 돌리지 마소서 (Tēr mi dartzouts`anerhy)…"; 선포: "그리고 다시 평화롭게… 전능하신 하나님께 간청합시다 (Aghach`ests`ouk` zamenakalhy)…"; 기도: "은혜로 베푸시는(Shnorhatou bareats`hy)"… |
4 | 금식이 아닌 날에는 전례가 여기서 끝나며: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찬양합니다. 아멘. 우리 아버지 … 아멘". |
5 | 금식일에는 여기에서 계속: 시편 119; "영광이 아버지께—"; 찬송가: "우리가 당신께 간청합니다 (I k`ez hayts`emk`hy)…" |
6 | 대금식 기간 동안: 저녁 찬트(다름); 환호: "안식하는 영들에게 (Hogvovn hangouts`elots`hy)…"; 선포: "그리고 다시 평화롭게… 영혼의 안식을 위해 (Vasn hangouts`ealhy)…;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세 번); 기도: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K`ristos Ordi Astoutsoyhy})…;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찬양합니다. 아멘. 우리 아버지… 아멘." |
7. 3. 2. 휴식의 시간
Հանգստեան Ժամ|hangstean zhamhy은 평화 시간 이후에 거행되며 하루의 마지막 기도이다. 로마 전례의 콤플린과 내용 면에서 유사하다. 하느님 아버지의 보호를 기념한다. 시편, 복음, 환호, 선포, 기도 등으로 구성된다.[1]아르메니아 시간의 책에 따르면, 많은 필사본에서 휴식 시간은 "밤의 어둠 속에서 외아들의 보호하는 팔을 통해 우리를 보호하시도록" 하느님 아버지를 기념한다고 명시되어 있다.[1]
휴식 시간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1]
-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찬양합니다. 아멘. 주님의 기도… 아멘.
- 시편 43:3–5: 주님, 당신의 빛과 당신의 진실을 보내소서(Arak`ea Tēr)…
- 영광이 성부께…; 그리고 다시 평화롭게 주님께 기도합시다…; 영광과 찬미가 성부께… 아멘.
- 시편 119:41–56, 119:113–120, 119:169–176, 91, 123, 54, 다니엘 3:29–34, 누가 2:29–32, 시편 142:7, 86:16–17, 138:7–8, 누가 1:46–55
- 영광이 성부께…
- 환호: 제 영혼을 당신의 손에 맡깁니다(Andzn im I tzers k`o)…
- 선포: 그리고 다시 평화롭게… 전능하신 하느님께 간청합시다(Aghach`ests`ouk` zamenakaln)…
- 기도: 우리 하느님 주님(Tēr Astouats mer)…
종료:[1] 시편 4; 복음서 이전 시퀀스; 요한 12:24 이하; 우리 하느님, 당신께 영광을; 선포: 거룩한 십자가로(Sourb khach`ivs…)…; 기도: 우리를 보호하소서(Pahpannea zmez)…;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찬양합니다. 아멘. 주님의 기도… 아멘.
금식 기간 중 종료는 다음과 같다.[1]
- 환호: 우리는 당신 앞에 엎드립니다(Ankanimk` araji k`o)…
- 나레크의 성 그레고리오스의 12번째 묵상
- 나레크의 성 그레고리오스의 94번째 묵상
- 나레크의 성 그레고리오스의 41번째 묵상
- 기도: 믿음으로 고백합니다(Havatov khostovanim)… 은혜로운 성 네르세스
- 환호: 당신의 거룩하고 흠 없는 동정녀 어머니를 통하여(Vasn srbouhvoy)…
- 선포: 거룩하신 하느님의 낳으신 이(Sourb zAstouatsatsinn),
- 기도: 주님, 받아주소서(Unkal, Tēr)…
-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찬양합니다. 아멘. 주님의 기도… 아멘.
8. 같이 보기
- 만도
- 성무일과
- 시간경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ccel.org/[...]
2007-01-03
[2]
웹사이트
http://www.ccel.org/[...]
2007-01-03
[3]
웹사이트
http://www.ccel.org/[...]
2007-01-03
[4]
웹사이트
http://www.ccel.org/[...]
2007-01-03
[5]
서적
The Ultimate Quest: A Geek's Guide to (The Episcopal) Church
Church Publishing Incorporated
2017-02-01
[6]
서적
Origen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6
[7]
서적
The Early Church
Penguin
1993
[8]
서적
The Syriac Version of the Old Testa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7-07
[9]
서적
The Early Church: History and Memory
A&C Black
2010-02-17
[10]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Compline
http://www.newadvent[...]
[11]
문서
The Catholic Encyclopedia says: "It would be difficult to understand why St. Benedict, whose liturgical taste favoured solemnity in the Office, would have sacrificed these elements—especially the evangelical canticle—if, as Plaine theorizes, his form of the Office were a later development."
[12]
웹사이트
http://www.ewtn.com/[...]
2019-07-05
[13]
서적
Gathered guests : a guide to worship in the Lutheran Church
https://www.worldcat[...]
Concordia Pub. House
2009
[14]
웹사이트
2004 Texts
https://www.ireland.[...]
[15]
PDF
https://churchinwales.contentfiles.net/media/documents/Gweddi_Ddyddiol_-_Daily_Prayer2009.pdf
2022-08
[16]
문서
Certain canons call for ''Axion Estin'' to be replaced by the [[Irmos]] of the Ninth [[Canticle|Ode]].
[17]
문서
Here follow the Evening Prayers in places where they are said at compline.
[18]
문서
Except for Wednesday of the Fifth Week. The Great Canon of [[Saint Andrew of Crete]] is read the evening before, and so Small Compline is appointed for that Wednesday night.
[19]
문서
Among the Greeks, Small Compline is served on every Friday evening of Great Lent; the Russians, however, serve Great Compline on Fridays, with some modifications (see n. 7, below). On Friday night of the Fifth Week of Great Lent, the [[Akathist]] to the Theotokos is solemnly chanted, so Small Compline on that night is either read privately or suppressed.
[20]
문서
In some places, Great Compline is only served on the first night of each of the Lesser Fasts.
[21]
문서
Except on Friday night, when most of these parts are read. There are also fewer prostrations on Friday night.
[22]
문서
On Monday through Thursday of the First Week of Great Lent, the service begins with Psalm 69, followed by the appropriate section of the Great Canon (in which case, Psalm 69 is omitted in the Third Part).
[23]
문서
Or, if it is the eve of a Great Feast, the [[Kontakion]] of the day.
[24]
문서
On [[Great Feasts]], the order of Great Compline ends here, and we continue the [[All-Night Vigil]] with the [[Lity (Orthodox Vespers)|Litia]].
[25]
웹사이트
My Life in Heaven & on Earth
http://www.stthomass[...]
St. Thomas Malankara Orthodox Church
2020-08-02
[26]
서적
The Indian Christians of St. Thomas: Otherwise Called the Syrian Christians of Malabar: a Sketch of Their History and an Account of Their Present Condition as Well as a Discussion of the Legend of St. Thomas
Bemrose
1908
[27]
웹사이트
Coptic Church Prayers
https://www.stabanou[...]
St. Abanoub Coptic Orthodox Church
2020-09-05
[28]
서적
The Agpeya
St. Mark Coptic Orthodox Church
[29]
웹사이트
The Armenian Church - Մայր Աթոռ Սուրբ Էջմիածին
https://www.armenian[...]
[30]
문서
『日本聖公会祈祷書』(1991年)の「朝夕の祈り」中の「就寝前の祈り」。祈りの内容には[[詩篇]]19篇、31篇、91篇、[[シメオンの讃歌]]、詩篇134篇などが含ま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