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종로동 (서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로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조선 시대 도성 건설 당시 계획된 도로에서 유래했다. 처음에는 '운종가'로 불리다가 종각 설치 후 '종로'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상업 지역으로 발전했다. 종로동은 세종로, 청진동 등 여러 법정동으로 구성되며, 종로1가부터 6가까지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 서울 지하철 1, 3, 4, 5호선이 지나며, 종로구청, 종로세무서, 보신각, 인사동, 낙원상가 등 주요 기관 및 명소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종로구의 행정 구역 - 청운동
    청운동은 청풍계와 백운동에서 유래된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 구역으로,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 북부 지역이었으며, 서울청운초등학교, 청와대, 경복궁 등을 포함하고 최규식 경무관 동상 등의 기념물과 장의문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종로구의 행정 구역 - 삼청동
    삼청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이름의 유래는 삼청전 또는 산, 물, 사람의 맑음에서 비롯되었으며, 조선시대 진장방 지역이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는 주요 기관과 유적이 위치하고 안국역이 인근에 있다.
  • 서울 도심 - 대한민국 금융위원회
    대한민국 금융위원회는 금융 정책, 금융기관 감독, 자본시장 관리, 금융소비자 보호 등을 담당하는 국무총리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위원회를 통해 금융 관련 주요 의사결정을 하며 금융정보분석원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있다.
  • 서울 도심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 대한민국의 동 - 남영동
    남영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하며, 과거 군영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재는 주한미8군 용산기지가 위치하고 있으며, KTX, 경부선, 경의선 등이 지나는 서울역과 지하철 1호선 남영역, 4호선 숙대입구역 등의 주요 교통시설이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 대한민국의 동 - 행정동
    행정동은 법정동을 기준으로 설치되며, 행정력 효율성을 위해 법정동을 통합하거나 분할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다.
종로동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종로동
한글 표기종로동
한자 표기鍾路洞
로마자 표기Jongno-dong
면적 (종로1·2·3·4가동)2.36 km²
면적 (종로5·6가동)0.60 km²
인구 (2013년)8,797명
인구 (종로1·2·3·4가동, 2022년 8월)7,217명
인구 (종로5·6가동, 2022년 8월)5,081명
세대수 (종로1·2·3·4가동, 2022년 1월 31일)5,258
세대수 (종로5·6가동, 2022년 1월 31일)3,379
인구 밀도 (종로1·2·3·4가동, 2012년)3,807 명/km²
인구 밀도 (종로5·6가동, 2012년)10,730 명/km²
남자 인구 (종로1·2·3·4가동, 2012년)5,190명
남자 인구 (종로5·6가동, 2012년)3,466명
여자 인구 (종로1·2·3·4가동, 2012년)3,794명
여자 인구 (종로5·6가동, 2012년)2,972명
행정 구역
국가대한민국
광역시도서울특별시
시군구종로구
법정동 (종로1·2·3·4가동)세종로
청진동
서린동
수송동
중학동
종로1가
공평동
관훈동
견지동
와룡동
권농동
운니동
익선동
경운동
관철동
인사동
낙원동
종로2가
훈정동
묘동
봉익동
돈의동
장사동
관수동
종로3가
인의동
예지동
원남동
종로4가
법정동 (종로5·6가동)연지동
효제동
종로5가
종로6가
충신동
통 (종로1·2·3·4가동)21
통 (종로5·6가동)15
반 (종로1·2·3·4가동)91
반 (종로5·6가동)96
주민센터 정보
주소 (종로1·2·3·4가동)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30길 47
주소 (종로5·6가동)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5가길 19
홈페이지 (종로1·2·3·4가동)종로1·2·3·4가동 행정복지센테 홈페이지
홈페이지 (종로5·6가동)종로5·6가동 행정복지센테 홈페이지
이미지
종로1·2·3·4가동 주민센터
종로5·6가동 주민센터

2. 역사와 유래

한성부조선 왕조의 도성 역할을 하기 위해 계획 도시로 건설되었고, 종로 또한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도로였다. 조선 시대 종로는 영조척(營造尺)으로 폭 56척, 양옆의 수구(水溝)는 각각 폭 2척이었다.

처음에는 특별한 이름이 없었으나, 조정에서 공인한 여섯 군데 큰 상점인 육의전이 있어 사람들이 구름처럼 많이 왕래한다는 뜻으로 ‘'''운종가'''(雲從街)라 불렸다. 이후 종각이 설치되면서 ‘종로’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그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세종대로[4]가 정치적 중심지였던 것에 비해, 종로는 육의전을 비롯한 많은 상점이 있던 상업 지역이었다. 조선 후기로 오면서 도로변을 잠식하는 가건물 및 상점들이 늘어나 도로 폭이 점차 줄어들었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까지 이어져 양품점, 서점, 제과점을 비롯하여 동대문시장까지 분포하는 대형 상업 지역을 이루게 된 근간이 되었다.

일제 시대의 종로2가

2. 1. 조선 시대

한성부조선 왕조의 도성 역할을 하기 위해 계획 도시로 건설된 곳이다. 종로 또한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도로였다. 조선시대의 종로는 영조척(營造尺)으로 폭 56척, 양옆의 수구(水溝)는 각각 폭 2척의 넓이였다.

처음에는 특별히 붙은 이름이 없었으나, 조정에서 공인을 받은 여섯 군데 큰 상점인 육의전이 있어 사람들이 구름처럼 많이 왕래한다는 뜻으로 ‘'''운종가'''(雲從街)라 불리었다. 나중에 종각이 설치된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로’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그것이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세종대로[4]가 정치적 중심 지역이었던 것에 반하여, 종로는 육의전을 비롯하여 많은 상점들이 분포하였던 상업지역이었다. 종로는 동서를 횡단하는 도성 내 간선 도로였으나, 조선 후기로 오면서 도로변을 잠식하는 가건물 및 상점들이 늘어나 도로 폭이 점차 줄어들었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까지 지속되어 양품점·서점·제과점을 비롯하여 동대문시장까지 분포하는 대형 상업 지역을 이루게 된 근간이 되었다.

2. 2. 일제 강점기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종로동 (서울)' 문서의 '일제 강점기' 섹션 내용은 빈칸으로 둡니다.)

2. 3. 현대

한성부는 처음부터 조선 왕조의 도성 역할을 하기 위해 계획 도시로 건설되었으며, 종로 또한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도로였다. 조선시대의 종로는 영조척(營造尺)으로 폭 56척, 양옆의 수구(水溝)는 각각 폭 2척의 넓이였다.

처음에는 특별히 붙은 이름이 없었으나, 조정에서 공인을 받은 여섯 군데 큰 상점인 육의전이 있어 사람들이 구름처럼 많이 왕래한다는 뜻으로 ‘'''운종가'''’(雲從街)라 불리었다가, 나중에 종각이 설치된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로’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그것이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세종대로[4]가 정치적 중심 지역이었던 것에 반하여, 종로는 육의전을 비롯하여 많은 상점들이 분포하였던 상업지역이었다. 종로는 동서를 횡단하는 도성 내 간선 도로였으나, 조선 후기로 오면서 도로변을 잠식하는 가건물 및 상점들이 늘어나 도로 폭이 점차 줄어들었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까지 지속되어 양품점·서점·제과점을 비롯하여 동대문시장까지 분포하는 대형 상업 지역을 이루게 된 근간이 되었다.

3. 법정동

종로구의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3]

법정동
세종로
청진동
서린동
수송동
중학동
종로1가
공평동
관훈동
견지동
와룡동
권농동
운니동
익선동
경운동
관철동
인사동
낙원동
종로2가
훈정동
묘동
봉익동
돈의동
장사동
관수동
종로3가
인의동
예지동
원남동
종로4가
연지동
효제동
종로5가
종로6가
충신동


3. 1. 종로1·2·3·4가동

3. 2. 종로5·6가동

연지동, 효제동, 종로5가, 종로6가, 충신동

4. 교통

5. 주요 기관 및 명소

6. 사건사고

참조

[1] 웹사이트 2012년 四半期 住民登録人口(2012年12月31日現在) http://www.jongno.go[...]
[2] 웹사이트 2012년 四半期 住民登録人口(2012年12月31日現在) http://www.jongno.go[...]
[3] 웹사이트 洞住民センター http://www.jongno.go[...]
[4] 서적 주례 〈고공기〉
[5] 뉴스 골목길, 그곳엔 삶이 있었네 http://h21.hani.co.k[...] 한겨레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