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유 (소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유는 신나라 말기, 녹림군 출신으로 경시제 정권에서 대사마를 지냈다. 유씨가 아니면 왕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며 공신들의 왕 작위를 반대했으나, 경시제의 불신을 사 좌대사마로 좌천되었다. 이후 낙양을 지키다 광무제에게 항복하여 평적장군, 소부 등을 역임하고 부구후에 봉해졌다.

2. 생애

주유는 녹림군에 가담하여 활동하다가, 경시제를 옹립하고 대사마에 임명되었다. 경시 2년(24년) 장안으로 천도한 이후 교동왕에 봉해졌으나 사양했고, 좌대사마가 되었다. 경시제의 명령으로 이일과 함께 낙양을 방어하다가 광무제 군대에 포위되자, 잠팽의 설득으로 항복했다. 광무제는 주유를 평적장군(平狄將軍)·부구후(扶溝侯)로 삼았고, 관직은 소부까지 올랐으며 자손들은 대대로 작위를 이어받았다.[6]

2. 1. 녹림군 시절

녹림군의 일원으로, 지황 3년(22년) 녹림군이 근거지에 역병이 돌아 흩어질 때, 왕광, 왕봉, 마무 등과 함께 장앙 등을 따라 전수군(前隊郡, 한의 남양군)으로 들어갔다. 이쪽 녹림군의 분파를 신시병(新市兵)이라 한다.[1]

이해 겨울 전한 용릉절후 가문의 유인이 용릉병을 일으키자 그 부름에 응해 용릉병과 또다른 녹림군의 분파 평림병의 진목(陳牧) 등과 함께 남양군 극양현을 함락했다.[2] 지황 4년(23년), 녹림군에서 한나라 종실로 황제를 추대할 때 신시병과 평림병은 경시제를 추천했고,[3] 하강병의 지도자 왕상과 남양군의 사대부들이 유인을 추천했으나 장앙 등과 함께 반대하여[4] 결국 음력 2월, 다른 녹림군들의 지도자들과 함께 경시제를 추대했다.[1][2]

성명주유
시대 - 후한 시대
생몰년불명
자·별호불명
본관·출신지 등연주회양군
직관녹림군 부장 → 신시군 부장 → 대사마 (경시) → 좌대사마 (경시) → 평적장군 (후한) → 소부 (후한)
작위·호 등교동왕 (경시, 사퇴) → 부구후 (후한)
진영·소속 등왕광경시제광무제
가족·일족불명


2. 2. 경시 정권 시절

녹림군의 일원으로, 지황 3년(22년) 녹림군이 근거지에 역병이 돌아 흩어질 때, 왕광, 왕봉, 마무 등과 함께 장앙 등을 따라 전수군(한의 남양군)으로 들어갔다. 이쪽 녹림군의 분파를 신시병(新市兵)이라 한다.[1]

이해 겨울 전한 용릉절후 가문의 유인이 용릉병을 일으키자 그 부름에 응해 용릉병과 또 다른 녹림군의 분파 평림병의 진목(陳牧) 등과 함께 남양군 극양현을 함락했다.[2]

지황 4년(23년), 녹림군에서 한나라 종실로 황제를 추대할 때 신시병과 평림병은 경시제를 추천했고,[3] 하강병의 지도자 왕상과 남양군의 사대부들이 유인을 추천했으나 장앙 등과 함께 반대해[4] 결국 음력 2월, 다른 녹림군들의 지도자들과 함께 경시제를 추대했다.[1][2] 경시제에게서 대사마로 임명되었다.[1]

이해 음력 5월에 대사도 유인은 전수군의 치소 완현을 함락하고, 유인의 동생 유수는 음력 6월에 곤양 전투에서 신나라를 무찔러 형제의 위명이 드높아지므로 경시제는 이들을 두려워했다. 한번은 유인을 죽이려 했으나 우물쭈물하여 계획을 실행하지 못했다. 그러던 차에 유인의 장수 유직(劉稷)이 경시제에게 반항해 경시제가 유직을 죽이려 하는데 유인이 다투니, 이일(李軼)과 함께 이를 기회로 유인을 사로잡아 그날 바로 죽이게 했다.[1]

10월, 경시제가 낙양으로 천도한 후, 하북을 원정할 장군을 찾으니 유인의 후임 대사도 유사가 유수를 추천했을 때 반대했고 경시제도 의심했는데, 유사가 강력히 권해 결국 유수는 하북으로 출정했다.[5]

유인이 죽은 후 유인의 교위였던 잠팽을 자기 교위로 거느렸고, 신나라의 양주목 이성(李聖)을 무찔러 죽여 회양을 평정한 후 잠팽을 회양교위로 추천했다.[6][2]

경시 2년(24년) 장안으로 천도한 이후 이송, 조맹 등이 공신들을 왕으로 세울 것을 주장하자 고제의 명령에 따라 유씨가 아니면 왕이 될 수 없다고 반대했으나, 경시제는 동성제후왕과 이성제후왕을 모두 세우고 주유도 교동왕에 봉했다. 유씨 종실이 아니므로 왕이 될 수 없다고 한사코 사양하니, 도리어 경시제의 눈밖에 나 대사마를 셋으로 나눠 자신은 좌대사마가 되고 유사가 전대사마를 맡고 조맹은 우대사마를 맡았다. 경시제가 조맹을 신임하여 정사가 어지러워지자 무음왕(舞陰王) 이일과 함께 산동을 천단했다.[1]

경시제의 명령으로 이일과 늠구왕(廩丘王) 전립(田立)과 백호공(白虎公) 진교(陳僑)와 함께 호왈 30만 군대를 거느리고 하남태수 무발(武勃)과 함께 낙양을 지켰다. 광무제는 이들에 맞서 하내군을 지킬 사람으로 풍이를 맹진장군으로 삼고 구순을 하내태수로 삼았다.범엽|판엽중국어 : 《후한서》 권17 풍잠가열전 중 풍이범엽|판엽중국어: 《후한서》 권16 등구열전 중 구순 구순은 이일을 꾀는 편지를 보냈고, 이일이 이에 응했는데, 광무제가 이일을 믿지 못해[7] 이일이 구순과 내통한 편지를 공개하자 사실을 알게 되고 화를 내 사람을 보내 이일을 찔러 죽였다. 이일의 무리들은 붕괴되어 많이 광무제에게 투항했다.

광무제가 북쪽으로 갔고 하내는 고립되었다고 여겨, 경시 3년(25년) 봄, 토난장군(討難將軍) 소무(蘇茂)와 부장 가강(賈彊)에게 3만 여명을 거느리고 온현을 치게 했고, 자신은 수만 명을 거느리고 평음현을 쳤다. 그러나 구순과 풍이가 보낸 교위에게 소무가 지고 가강은 전사했고, 이내 자신도 풍이와 구순의 공격을 받아 낙양으로 달아났다. 낙양성은 두려움에 빠져 낮에도 성문을 걸어잠갔다. 음력 3월에는 경시제가 보낸 승상 이송과 함께 적미군홍농군 모향에서 싸웠으나 대패했다.[1]

음력 7월, 낙양에서 후한의 대사마 오한, 대사공 왕량(王梁), 건의대장군 주우(朱祐), 정위 잠팽, 우장군 만수, 집금오 가복(賈復), 효기장군 유식(劉植), 양북장군(揚北將軍) 견담(堅鐔), 적사장군(積射將軍) 후진(侯進), 편장군 풍이, 채준, 왕패(王霸) 열두 장수들에게 포위됐고,[6][8] 음력 8월에는 전립이 후한에 투항했다.[8] 그러나 낙양성을 몇 달 동안 굳게 지켜내 함락되지 않게 했다.[6]

10월 28일, 광무제는 주유의 옛 교위인 잠팽을 보내 주유를 설득하게 했고, 둘은 노고를 주고받으며 환담을 했다. 그러나 잠팽이 항복을 권하자 일단 거절했다.

“대사도(광무제의 형 유인)가 해를 입었을 때 이 (주)유도 공모했습니다. 또 경시제가 소왕(광무제의 당시 작호)을 북벌하도록 보내는 것도 반대했지요. 제 죄가 매우 큼을 압니다.”

잠팽에게 이 말을 전해들은 광무제는 답했다.

“큰 일을 세우려는 자는 작은 원한을 꺼리지 않는다. (주)유가 지금 만약 항복하면, 관작을 지켜 주겠으니, 하물며 주벌하겠느냐? 하수에 걸고 말한다. 나는 말을 먹지[식언(食言)하지] 않는다.”

잠팽에게 광무제의 대답을 전해 듣자, 성 위에서 밧줄을 내리고 말했다.

“믿을 만하다면, 이 밧줄을 잡고 올라오오.”

잠팽이 밧줄을 잡고 올라가려 하니, 그 진실함을 보고 투항했다. 5일 후, 경기병을 이끌고 잠팽에게 찾아갔고, 남은 장수들에게는 성을 굳게 지키면서 자기가 돌아오지 못하면 언왕(郾王 - 윤존)에게 귀부하도록 명령했다. 그리고 면박하고 잠팽과 함께 하양으로 갔다. 광무제는 주유의 결박을 풀고 만나본 후, 다시 주유와 함께 성으로 돌아갔다. 다음날 아침, 성 중의 무리와 함께 투항했다.[6] 11월 3일(음력 9월 신묘일)이었다.[8]

2. 3. 낙양 방어와 후한 투항

녹림군하남 태수 무발(武勃)과 연합하여 30만 대군으로 낙양을 방어할 때, 광무제는 풍이를 맹진장군으로, 구순을 하내태수로 삼아 이에 맞섰다. 구순이 이일에게 내통하는 편지를 보내자 이일이 이에 응했으나, 광무제는 이일을 믿지 않고 편지를 공개했다.[7] 이 사실을 알게 된 주유는 분노하여 이일을 찔러 죽였고, 이일의 무리는 붕괴되어 많이 광무제에게 투항했다.

경시 3년(25년) 봄, 주유는 토난장군(討難將軍) 소무(蘇茂)와 부장 가강(賈彊)에게 3만여 명을 주어 온현을 공격하게 하고, 자신은 수만 명을 거느리고 평음현을 공격했다. 그러나 소무는 구순과 풍이가 보낸 교위에게 패하고 가강은 전사했으며, 주유 자신도 풍이와 구순의 공격을 받아 낙양으로 달아났다. 낙양성은 두려움에 빠져 낮에도 성문을 걸어 잠갔다. 같은 해 음력 3월에는 경시제가 보낸 승상 이송(李松)과 함께 적미군홍농군 모향에서 싸웠으나 대패했다.[1]

음력 7월, 낙양은 후한의 오한, 왕량, 주우, 잠팽, 만수, 가복, 유식, 견담, 후진, 풍이, 채준, 왕패(王霸) 등 열두 장수에게 포위되었고,[6][8] 음력 8월에는 전립이 후한에 투항했다.[8] 그러나 주유는 몇 달 동안 낙양성을 굳게 지켜 함락되지 않게 했다.[6]

음력 10월 28일, 광무제는 주유의 옛 교위였던 잠팽을 보내 주유를 설득했다. 잠팽과 환담을 나누던 주유는 항복을 권유받자, 자신이 유인을 죽이는 데 가담했고 광무제의 북벌을 반대했기에 죄가 크다며 거절했다. 잠팽에게서 이 말을 전해 들은 광무제는 큰일을 하는 사람은 작은 원한을 신경 쓰지 않으며, 항복하면 관작을 보장하겠다고 답했다. 광무제의 답을 들은 주유는 성 위에서 밧줄을 내리고 믿을 만하면 잡고 올라오라고 했다. 잠팽이 밧줄을 잡고 올라가려 하자, 주유는 그의 진실함을 보고 투항했다.

5일 후, 주유는 경기병을 이끌고 잠팽에게 갔고, 남은 장수들에게는 성을 굳게 지키면서 자신이 돌아오지 않으면 언왕(윤존)에게 귀부하도록 명령했다. 그리고 면박하고 잠팽과 함께 하양으로 갔다. 광무제는 주유의 결박을 풀고 만나본 후, 다시 주유와 함께 성으로 돌아갔다. 다음날 아침, 주유는 성 안의 무리와 함께 투항했다.[6] 음력 9월 신묘일(11월 3일)이었다.[8]

2. 4. 후한에서의 활동

녹림군의 일원으로, 지황 3년(22년) 녹림군이 근거지에 역병이 돌아 흩어질 때, 왕광, 왕봉, 마무 등과 함께 장앙 등을 따라 전수군(한의 남양군)으로 들어갔다. 이쪽 녹림군의 분파를 신시병(新市兵)이라 한다.[1] 이해 겨울 전한 용릉절후 가문의 유인이 용릉병을 일으키자 그 부름에 응해 용릉병과 또다른 녹림군의 분파 평림병의 진목(陳牧) 등과 함께 남양군 극양현을 함락했다.[2] 지황 4년(23년), 녹림군에서 한나라 종실로 황제를 추대할 때 신시병과 평림병은 경시제를 추천했고,[3] 하강병의 지도자 왕상과 남양군의 사대부들이 유인을 추천했으나 장앙 등과 함께 반대해[4] 결국 음력 2월, 다른 녹림군들의 지도자들과 함께 경시제를 추대했다.[1][2] 경시제에게서 대사마로 임명되었다.[1]

이해 음력 5월에 대사도 유인은 전수군의 치소 완현을 함락하고, 유인의 동생 유수는 음력 6월에 곤양 전투에서 신나라를 무찔러 형제의 위명이 드높아지므로 경시제는 이들을 두려워했고, 한번 유인을 죽이려 했으나 우물쭈물하여 계획을 실행하지 못했다. 그러던 차에 유인의 장수 유직(劉稷)이 경시제에게 반항해 경시제가 유직을 죽이려 하는데 유인이 다투니, 이일과 함께 이를 기회로 유인을 사로잡아 그날 바로 죽이게 했다.[1] 10월, 경시제가 낙양으로 천도한 후, 하북을 원정할 장군을 찾으니 유인의 후임 대사도 유사가 유수를 추천했을 때 반대했고 경시제도 의심했는데, 유사가 강력히 권해 결국 유수는 하북으로 출정했다.[5] 유인이 죽은 후 유인의 교위였던 잠팽을 자기 교위로 거느렸고, 신나라의 양주목 이성(李聖)을 무찔러 죽여 회양을 평정한 후 잠팽을 회양교위로 추천했다.[6][2]

경시 2년(24년) 장안으로 천도한 이후 이송, 조맹 등이 공신들을 왕으로 세울 것을 주장하자 전한 고제의 명령에 따라 유씨가 아니면 왕이 될 수 없다고 반대했으나, 경시제는 동성제후왕과 이성제후왕을 모두 세우고 주유도 교동왕에 봉했다. 유씨 종실이 아니므로 왕이 될 수 없다고 한사코 사양하니, 도리어 경시제의 눈밖에 나 대사마를 셋으로 나눠 자신은 좌대사마가 되고 유사가 전대사마를 맡고 조맹은 우대사마를 맡았다. 경시제가 조맹을 신임하여 정사가 어지러워지자 무음왕(舞陰王) 이일과 함께 산동을 천단했다.[1]

경시제의 명령으로 이일과 늠구왕(廩丘王) 전립(田立)과 백호공(白虎公) 진교(陳僑)와 함께 호왈 30만 군대를 거느리고 하남태수 무발(武勃)과 함께 낙양을 지켰다. 광무제는 이들에 맞서 하내군을 지킬 사람으로 풍이를 맹진장군으로 삼고 구순을 하내태수로 삼았다. 구순은 이일을 꾀는 편지를 보냈고, 이일이 이에 응했는데, 광무제가 이일을 믿지 못해[7] 이일이 구순과 내통한 편지를 공개하자 사실을 알게 되고 화를 내 사람을 보내 이일을 찔러 죽였다. 이일의 무리들은 붕괴되어 많이 광무제에게 투항했다. 광무제가 북쪽으로 갔고 하내는 고립되었다고 여겨, 경시 3년(25년) 봄, 토난장군(討難將軍) 소무(蘇茂)와 부장 가강(賈彊)에게 3만 여명을 거느리고 온현을 치게 했고, 자신은 수만 명을 거느리고 평음현을 쳤다. 그러나 구순과 풍이가 보낸 교위에게 소무가 지고 가강은 전사했고, 이내 자신도 풍이와 구순의 공격을 받아 낙양으로 달아났다. 낙양성은 두려움에 빠져 낮에도 성문을 걸어잠갔다. 음력 3월에는 경시제가 보낸 승상 이송과 함께 적미군홍농군 모향에서 싸웠으나 대패했다.[1]

음력 7월, 낙양에서 후한의 대사마 오한, 대사공 왕량(王梁), 건의대장군 주우(朱祐), 정위 잠팽, 우장군 만수, 집금오 가복(賈復), 효기장군 유식(劉植), 양북장군(揚北將軍) 견담(堅鐔), 적사장군(積射將軍) 후진(侯進), 편장군 풍이, 채준, 왕패(王霸) 열두 장수들에게 포위됐고,[6][8] 음력 8월에는 전립이 후한에 투항했다.[8] 그러나 낙양성을 몇 달 동안 굳게 지켜내 함락되지 않게 했다.[6] 10월 28일, 광무제는 주유의 옛 교위인 잠팽을 보내 주유를 설득하게 했고, 둘은 노고를 주고받으며 환담을 했다. 그러나 잠팽이 항복을 권하자 일단 거절했다.

“대사도(광무제의 형 유인)가 해를 입었을 때 이 (주)유도 공모했습니다. 또 경시제가 소왕(광무제의 당시 작호)을 북벌하도록 보내는 것도 반대했지요. 제 죄가 매우 큼을 압니다.”

잠팽에게 이 말을 전해들은 광무제는 답했다.

“큰 일을 세우려는 자는 작은 원한을 꺼리지 않는다. (주)유가 지금 만약 항복하면, 관작을 지켜 주겠으니, 하물며 주벌하겠느냐? 하수에 걸고 말한다. 나는 말을 먹지[식언(食言)하지] 않는다.”

잠팽에게 광무제의 대답을 전해듣자, 성 위에서 밧줄을 내리고 말했다.

“믿을 만하다면, 이 밧줄을 잡고 올라오오.”

잠팽이 밧줄을 잡고 올라가려 하니, 그 진실함을 보고 투항했다. 5일 후, 경기병을 이끌고 잠팽에게 찾아갔고, 남은 장수들에게는 성을 굳게 지키면서 자기가 돌아오지 못하면 언왕(郾王 - 윤존)에게 귀부하도록 명령했다. 그리고 면박하고 잠팽과 함께 하양으로 갔다. 광무제는 주유의 결박을 풀고 만나본 후, 다시 주유와 함께 성으로 돌아갔다. 다음날 아침, 성중의 무리와 함께 투항했다.[6] 11월 3일(음력 9월 신묘일)이었다.[8]

참조

[1] 서적 후한서 권11 유현유분자열전 중 유현
[2] 서적 한서 권99 하 왕망전제69 하
[3] 서적 후한서 권14 종실삼왕사후열전 중 제무왕
[4] 서적 후한서 권15 이왕등내열전 중 왕상
[5] 서적 후한서 권14 종실삼왕사후열전 중 안성효후
[6] 서적 후한서 권17 풍잠가열전 중 잠팽
[7] 서적 동관한기
[8] 서적 후한서 권1 상 광무제기제1 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