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구 (울산광역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 중구는 신라 시대 굴아화현의 일부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85년 울산시 구제 실시로 설치되었다.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으로 자치구가 되었고, 2009년 옥교동과 성남동을 중앙동으로 합하는 등 행정동 통폐합이 이루어졌다. 현재 12개의 행정동과 18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울산 중구청, 울산방송, 울산문화방송 등 주요 시설과 국도, 광역시도가 지나간다. 전라남도 나주시, 충청북도 음성군 등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및 우호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 중구 - 울산중앙시장
    울산중앙시장은 울산 지역의 재래시장 중 하나이며, 신선한 농수산물과 상품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인기가 높다.
  • 울산 중구 - 울산교통방송
    울산교통방송은 FM 104.1MHz로 울산광역시와 인근 지역에 방송을 송출하는 대한민국의 교통 전문 라디오 방송국이다.
  • 울산광역시의 구 - 남구 (울산광역시)
    울산 남구는 1985년 설치된 울산광역시의 자치구로, 14개의 행정동과 1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생포 고래 박물관, 태화강, 울산대공원 등의 관광지를 포함한다.
  • 울산광역시의 구 - 동구 (울산광역시)
    울산 동구는 울산광역시 동쪽에 위치하며 동해안과 접해 조선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이 위치한 경제 중심지이자 일산해수욕장, 대왕암공원 등의 관광 명소와 동축사 같은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9개의 동으로 이루어진 구이다.
중구 (울산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중구
현지 이름중구 (중구)
현지 이름 (언어)ko
한자 표기
로마자 표기 (Revised Romanization)Jung-gu
로마자 표기 (McCune–Reischauer)Chung-gu
위치
일반 정보
국가대한민국
지역영남
광역 자치 단체울산광역시
하위 행정 구역14개 행정동
면적37km2
인구 (2003년)234,875명
방언경상도
웹사이트중구청 웹사이트
추가 정보
인구 (2023년)208,668명
남자 인구105,547명
여자 인구103,121명
하위 행정 구역 (동)12개 동
정치
구청장김영길 (국민의힘)
국회의원박성민 (국민의힘, 중구)
상징
구목대나무
구화벚꽃
구조 (구의 새)

2. 역사

신라 시대에는 굴아화현(屈阿火縣)의 일부였다. 굴아화현은 757년에 하곡현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에 우풍현, 동진현과 통폐합하여 흥례부가 되었다. 흥례부는 995년에 공화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018년에 다시 울주로 승격하고, 1413년에 울산군이 되었다. 울산에 면이 설치되면서 중구 지역(1997년에 북구에 편입된 진장·효문·양정동 지역 포함)은 '''부내면'''(府內面)이 되었다. 조선 숙종 34년(1708년)에 부내면을 '''상부내면'''(上府內面)과 '''하부내면'''(下府內面)으로 분리하고, 조선 정조 5년(1781년)에 상부내면을 '''부내면'''(府內面)으로, 하부내면을 '''내상면'''(內廂面)으로 개칭하였다. 조선 고종 1년(1864년)에 내상면 일부를 '''부남면'''(府南面)으로 분리하고, 조선 고종 31년(1894년)에 부내면을 '''상부면'''(上府面)으로, 부남면을 '''하부면'''(下府面)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 1914년 4월 1일 상부면은 내현면(남구 일부)과 통합하여 '''부내면'''(府內面)이 되고, 하부면과 내상면을 '''하상면'''(下廂面)으로 통합하였다. 부내면사무소는 학산동 123번지(현재의 중앙동 주민센터)에, 하상면사무소는 서동에 두었다가 얼마 후 하상면사무소를 남외리(현재의 병영1동 주민센터)로 이전하였다.

  • 1917년 10월 1일 부내면을 울산면으로 개칭하였다.
  • 1931년 11월 1일 울산면이 울산읍으로 승격하였다.
  • 1962년 6월 1일 울산군 울산읍·하상면이 신설 울산시에 편입되었다. 하상면은 화봉동·송정동을 편입하여 병영출장소가 되었고, 울산읍은 폐지되었다가 1963년 11월 1일 옛 울산읍 지역에 다운동 등을 편입하여 중앙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76년 4월 20일 중앙출장소와 병영출장소가 폐지되었다.[3]


1985년 7월 15일 울산시 구제 실시로 태화강 이북지역을 관할로 중구가 설치되고, 방어진출장소가 중구에 편입되었다. 1985년 8월 10일 중구 방어진출장소가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되었고, 1988년 1월 1일 방어진출장소가 동구로 승격하여 중구에서 완전히 분리되었다.

1991년 12월 24일 중구청 소재지를 학산동 123번지에서 복산동 180-1번지로 이전하였다. 1992년 1월 20일 반구동을 반구1·2동으로, 1992년 9월 20일 병영동을 병영1·2동으로 분동하였다. 1995년 3월 2일 복산동을 복산1·2동으로, 태화동을 태화동·다운동으로 분동하였다.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되어 자치구로 승격하고, 일부 지역을 동구북구에 편입하였다. 2009년 1월 1일 옥교동·성남동을 중앙동으로 합동하였다.

2014년 9월 1일 북정동(행정동)이 폐지, 북정동(법정동)은 중앙동에 편입되고, 성안동(법정동)북부순환도로 북쪽의 교동(법정동)이 신설 성안동(행정동)에 편입되었다. 2024년 1월 1일 복산1동·복산2동을 복산동으로 합동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가토 기요마사가 축조한 울산왜성은 현재 울산 중구 학성공원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2. 1. 구 설치 이전

신라 시대에는 굴아화현(屈阿火縣)의 일부였다. 굴아화현은 757년에 하곡현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에 우풍현, 동진현과 통폐합하여 흥례부가 되었다. 흥례부는 995년에 공화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018년에 다시 울주로 승격하고, 1413년에 울산군이 되었다. 울산에 면이 설치되면서 중구 지역(1997년에 북구에 편입된 진장·효문·양정동 지역 포함)은 '''부내면'''(府內面)이 되었다. 조선 숙종 34년(1708년)에 부내면을 '''상부내면'''(上府內面)과 '''하부내면'''(下府內面)으로 분리하고, 조선 정조 5년(1781년)에 상부내면을 '''부내면'''(府內面)으로, 하부내면을 '''내상면'''(內廂面)으로 개칭하였다. 조선 고종 1년(1864년)에 내상면 일부를 '''부남면'''(府南面)으로 분리하고, 조선 고종 31년(1894년)에 부내면을 '''상부면'''(上府面)으로, 부남면을 '''하부면'''(下府面)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 1914년 4월 1일 상부면은 내현면(남구 일부)과 통합하여 '''부내면'''(府內面)이 되고, 하부면과 내상면을 '''하상면'''(下廂面)으로 통합하였다. 부내면사무소는 학산동 123번지(현재의 중앙동 주민센터)에, 하상면사무소는 서동에 두었다가 얼마 후 하상면사무소를 남외리(현재의 병영1동 주민센터)로 이전하였다.

  • 1917년 10월 1일 부내면을 울산면으로 개칭하였다.
  • 1931년 11월 1일 울산면이 울산읍으로 승격하였다.
  • 1962년 6월 1일 울산군 울산읍·하상면이 신설 울산시에 편입되었다. 하상면은 화봉동·송정동을 편입하여 병영출장소가 되었고, 울산읍은 폐지되었다가 1963년 11월 1일 옛 울산읍 지역에 다운동 등을 편입하여 중앙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76년 4월 20일 중앙출장소와 병영출장소가 폐지되었다.[3]

2. 2. 구의 역사


  • 1985년 7월 15일 울산시 구제 실시로 태화강 이북지역을 관할로 중구가 설치되고, 방어진출장소가 중구에 편입되었다. (구 직할-15동, 방어진출장소-7동)[1]

개편 전개편 후
울산시 학성동, 반구동, 복산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우정동, 태화동, 병영동, 약사동, 진장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송정동울산시 중구 학성동, 반구동, 복산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우정동, 태화동, 병영동, 약사동, 진장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송정동
울산시 방어동, 일산동, 전하1동, 전하2동, 남목1동, 남목2동, 주전동(방어진출장소)울산시 중구 방어동, 일산동, 전하1동, 전하2동, 남목1동, 남목2동, 주전동(방어진출장소)


개편 전개편 후
울산시 중구 학성동, 반구1동, 반구2동, 복산1동, 복산2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 염포동,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울산광역시 중구 학성동, 반구1동, 반구2동, 복산1동, 복산2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
울산광역시 동구 염포동
울산광역시 북구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 2009년 1월 1일 옥교동·성남동을 중앙동으로 합동하였다.(13동)[1]
  • 2014년 9월 1일 북정동(행정동)이 폐지, 북정동(법정동)은 중앙동에 편입되고 성안동(법정동)북부순환도로 북쪽의 교동(법정동)이 신설 성안동(행정동)에 편입되었다. 교동(법정동)의 일부가 성남동(법정동)에 편입되었다.[1]

개편 전개편 후
행정동법정동행정동법정동
울산광역시 중구 북정동북정동, 성안동울산광역시 중구 성안동교동, 성안동
울산광역시 중구 중앙동학산동, 옥교동, 성남동, 교동울산광역시 중구 중앙동학산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교동

2. 3. [[울산왜성]]과 [[가토 기요마사]]

임진왜란 당시 가토 기요마사가 축조한 울산왜성은 현재 울산 중구 학성공원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3. 정치·행정

중구의회 의원 정수는 11명(지역구 9명+비례대표 2명)이다.[1]

정당별 의석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1]
합계자유한국당더불어민주당민중당
11821
지역구711
비례대표1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 8명, 더불어민주당 2명, 민중당 1명이 당선되었다.[1] 2024년 현재 국민의힘 소속 의원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2]

중구는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4명을 선출한다.[1] 제5회 지방 선거부터 4명을 선출하기 시작했다.[1]

3. 1. 구청장

역대 구청장 정보는 울산 중구청장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3. 2. 구의회

울산광역시 중구의회 의원 정수는 11명(지역구 9명+비례대표 2명)이다.[1]

정당별 의석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1]
합계자유한국당더불어민주당민중당
11821
지역구711
비례대표1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 8명, 더불어민주당 2명, 민중당 1명으로 구성되었다.[1] 2024년 현재, 국민의힘 소속 의원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2]

3. 3. 국회의원

현재 중구의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소속 박성민 의원이다.

3. 4. 광역의원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4명을 선출한다.[1] 제5회 지방 선거부터 4명을 선출하기 시작했다.[1]

4. 행정 구역

울산 중구는 12개의 행정동과 18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4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면적은 37km2이며, 인구는 92,545세대, 241,407명(외국인 포함)이다.[4] 2003년 4월 30일 기준으로 옥교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남성의 수가 여성보다 많았다.[1]

4. 1. 상세 행정구역 (행정동-법정동)

울산광역시 중구는 12개의 행정동과 18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4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중구의 면적은 37km2이며, 인구는 92,545세대, 241,407명(외국인 포함)이다.[4]

중구의 행정구역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학성동鶴城洞0.93km25,21411,658
반구1동伴鷗1洞1.12km26,91516,750
반구2동伴鷗2洞0.5km24,17910,218
복산동福山洞1.37km27,75519,731
중앙동中央洞1.83km28,24217,395
우정동牛亭洞1.5km29,18923,349
태화동太和洞5.53km211,92534,878
다운동茶雲洞8.96km211,37429,524
병영1동兵營1洞1.45km29,74026,872
병영2동兵營2洞3.99km28,03721,688
약사동藥泗洞2.8km22,5247,895
성안동聖安洞7.14km27,45121,449
중구中區37.12km292,545241,407



행정동법정동
학성동학성동
반구1동, 반구2동반구동
복산동복산동
중앙동학산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교동
우정동우정동
태화동유곡동, 태화동
다운동태화동, 다운동
병영1동남외동
병영2동동동, 서동, 장현동
약사동약사동
성안동교동, 성안동


5. 인구

울산광역시한국어 중구의 인구는 1985년 중구 설치 당시 20만 명에서 1995년 28만 명으로 증가했으나, 북구 분리 등으로 2000년대 초반 감소하였다. 이후 혁신도시 개발 등으로 인구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2020년부터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연도총인구비고
1985년206,462명
1990년257,490명
1995년285,414명
2000년227,244명울산 북구 분리
2005년225,810명
2010년221,373명
2015년236,988명
2020년217,595명



2003년 4월 30일 기준으로 울산 중구에는 234,875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이 중 한국 남성은 120,077명, 한국 여성은 114,349명, 외국인 남성은 153명, 외국인 여성은 296명이었다.[1] 옥교동에서만 여성의 수가 남성보다 많았다.[1]

6. 교육 기관

학교 급학교 수학교 이름
대학교2개교한국방송통신대학교 울산지역대학, 한국폴리텍대학 울산캠퍼스
고등학교10개교다운고, 성신고, 약사고, 울산고, 울산스포츠과학고, 울산애니원고, 울산중앙고, 울산중앙여고, 학성여고, 함월고
특수학교1개교울산혜인학교


7. 주요 시설

8. 교통

대한민국의 도로
7번 국도
북부순환도로
14번 국도다운로
31번 국도북부순환도로, 명륜로
60번 광역시도강북로
61번 광역시도번영로
70번 광역시도염포로
71번 광역시도화합로


9. 도시 간 교류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友好交流|여우자오자오류중국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우호 교류' 또는 '우호 도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울산광역시 중구는 국외 도시들과 우호 교류 관계를 맺고 있다.

9. 1. 자매 도시

국가도시체결일
나주시
음성군
옌타이시 즈푸구2006년 10월 19일[6]
스마랑2016년 11월 25일[6]


9. 2. 우호 도시


  • Невельск|네벨스크ru (2014. 09. 06)[6]
  • Bergamo|베르가모it (2015. 03. 02)[6]
  • 河南省 许昌市|허난성 쉬창시중국어 (2015. 04. 27)[6]

참조

[1] 웹사이트 Jung Gu Website English Population Page https://web.archive.[...] 2007-05-09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3] 문서
[4] 웹사이트 통계조회 및 다운로드 http://stat.kosis.kr[...] 2014-10-18
[5] 웹인용 울산광역시 중구청 https://www.junggu.u[...] 2023-05-05
[6] 웹인용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https://www.gaok.or.[...] 2023-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