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은 1912년부터 1949년까지 35개의 성, 2개의 지방, 1개의 특별행정구, 12개의 원할시로 구성되었다. 1949년 국공 내전으로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으로 이전한 후에도 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정통 국가임을 주장하며 당시 행정 구역을 유지했으나, 2005년에 폐지되었다. 현재 중화민국이 실효적으로 통치하는 지역은 대만 지구로, 6개의 직할시, 3개의 시, 13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 정부 기능은 사실상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향 (행정 구역)
향은 동아시아 국가에서 사용된 행정 구역 명칭으로, 한국 고려 시대에는 천민 거주 지역을 의미했으나 조선 시대에 철폐되었고, 중국에서는 진나라 시대부터 현재까지 존속하며,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 율령제 하에 지방 행정의 최하위 단위로 사용되었다.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현 (행정 구역)
현은 동아시아의 행정 구역 단위로, 중국 춘추전국시대부터 사용되어 진나라 군현제 이후 최하급 행정 구역으로 자리 잡았으며, 한국에서는 신라부터 조선 시대까지 사용되다 갑오개혁 이후 폐지되었고, 현대에는 중국, 대만, 베트남 등에서 사용되며 유럽 일부 국가에도 상응하는 행정 구역이 존재한다.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타오위안시
타오위안시는 타이완 북서부에 위치한 직할시로, 평포족 거주지에서 객가인 이주와 복숭아나무 재배를 거쳐 발전, 2014년 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는 대만 북부의 주요 산업 및 교통 중심지이다.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저장성 (중화민국)
저장성은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1955년 대천도 철수까지 현재의 저장성 대부분을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국공 내전 패배 후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도서 지역을 관할하다 폐지되었으며, 청나라 절강성의 행정 구역을 계승하여 도제와 행정독찰제도를 시행했다.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
---|---|
개요 | |
국가 | 중화민국 |
위치 | 대만, 펑후 제도, 진먼 현, 롄장 현 등 |
타이완 지구의 행정 구역 (1955년 - 현재) | |
직할시 | 타이베이시 신베이시 타오위안시 타이중시 타이난시 가오슝시 |
성 (허성화) | 타이완 푸젠 |
타이완 성 산하 시 | 지룽시 신주시 자이시 |
타이완 성 산하 현 | 이란 현 신주 현 먀오리 현 장화 현 난터우 현 윈린 현 자이 현 핑둥 현 타이둥 현 화롄 현 펑후 현 |
푸젠 성 산하 현 | 진먼 현 롄장 현 |
대륙 지구를 포함한 전 영역의 행정 구역 (1912년 - 2005년) | |
직할시 | 난징 한커우시 광저우 충칭 베이핑 타이베이시 가오슝시 |
성 | 안후이 장시 장쑤 후난 후베이 저장 쓰촨 윈난 광둥 구이저우 광시 타이완 푸젠 허난 허베이 간쑤 산시 산시 산둥 쑤이위안 차하얼 닝샤 러허 안둥 지린 싱안 허장 헤이룽장 쑹장 눈장 랴오베이 랴오닝 칭하이 시캉 신장 |
특별행정구 | 하이난 |
지방 | 시짱 몽골 |
왕징웨이 정권의 행정 구역 | |
중앙정부 직할 지역 성 | 안후이 광둥 장시 장쑤 후난 후베이 저장 화이하이 중위안 |
중앙정부 직할 지역 특별시 | 난징 상하이 샤먼 |
중앙정부 직할 지역 지구 | 쑤베이 지구 저장둥 특별구 루산 특별구 |
화북정무위원회 관할 지역 성 | 허난 허베이 산시 산둥 |
화북정무위원회 관할 지역 특별시 | 칭다오 톈진 베이징 |
몽골연합자치정부 관할 지역 아이마크(맹) | |
몽골연합자치정부 관할 지역 성 | 쉬안화 다퉁 |
몽골연합자치정부 관할 지역 특별시 | 허허 장자커우 바오터우 |
2.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1912년 ~ 1949년)
1912년 북양정부 시대부터 1949년 국민정부 시대까지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945년 일본 제국의 괴뢰 국가였던 만주국이 중화민국에 흡수되면서 랴오베이 성(遼北省), 안둥 성(安東省), 허장 성(合江省), 쑹장 성(松江省), 넌장 성(嫩江省), 싱안 성(興安省)이 신설되었고, 같은 해 대만이 중화민국에 편입되면서 타이완 성(臺灣省)이 신설되었다. 1949년에는 하이난 특별행정구가 신설되었다.
1946년 중화민국은 몽골의 독립을 승인했지만, 1953년 중소 우호 동맹 조약이 파기되면서 독립 승인을 철회했다. 1949년 당시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은 35개 성(省), 2개 지방(地方), 1개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12개 원할시(院轄市)로 구성되어 있었다.
1949년 국공 내전으로 인해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으로 옮겨진 뒤에도 중화민국은 명목상 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정통 국가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1949년 당시의 행정 구역은 그대로 남았다. 이들 행정 구역은 2005년을 기해 폐지되었다.
2. 1. 북양정부 시대 (1912년 ~ 1928년)
1912년 북양정부 시대부터 1928년까지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은 22개 성(省), 4개 지방(地方), 4개 특별구(特別區), 3개 구역(區域)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28년 국민정부 수립과 함께 러허 성(熱河省, 열하성), 차하얼 성(察哈爾省, 찰합이성), 쑤이위안성(綏遠省, 수원성), 시캉 성(西康省, 서강성), 닝샤 성(寧夏省, 영하성), 칭하이 성(靑海省, 청해성)이 신설되었다.2. 2. 국민정부 시대 (1928년 ~ 1949년)
1912년부터 1928년까지 북양정부 시대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은 22개 성(省), 4개 지방(地方), 4개 특별구(特別區), 3개 구역(區域)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28년 국민정부 수립과 함께 러허 성(熱河省, 열하성), 차하얼 성(察哈爾省, 찰합이성), 쑤이위안성(綏遠省, 수원성), 시캉 성(西康省, 서강성), 닝샤 성(寧夏省, 영하성), 칭하이 성(靑海省, 청해성)이 신설되었다.1945년 일본 제국의 괴뢰 국가였던 만주국이 중화민국에 흡수되면서 랴오베이 성(遼北省, 요북성), 안둥 성(安東省, 안동성), 허장 성(合江省, 합강성), 쑹장 성(松江省, 송강성), 넌장 성(嫩江省, 눈강성), 싱안 성(興安省, 흥안성)이 신설되었고 같은 해에 대만이 중화민국에 편입되면서 타이완 성(臺灣省, 대만성)이 신설되었다. 1949년에는 하이난 특별행정구가 신설되었다.
1946년 중화민국은 몽골의 독립을 승인했지만 1953년 중소 우호 동맹 조약이 파기되면서 독립 승인을 철회했다. 1949년까지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은 35개 성(省), 2개 지방(地方), 1개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12개 원할시(院轄市)로 구성되어 있었다.
2. 3. 몽골의 독립 승인과 철회
1946년 중화민국은 몽골의 독립을 승인했지만, 1953년 중소 우호 동맹 조약이 파기되면서 독립 승인을 철회했다.2. 4. 국공내전과 중화민국 정부의 대만 이전 (1949년)
1946년 중화민국은 몽골의 독립을 승인했지만 1953년 중소 우호 동맹 조약이 파기되면서 독립 승인을 철회했다. 1949년까지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은 35개 성(省), 2개 지방(地方), 1개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12개 원할시(院轄市)로 구성되어 있었다.1949년 국공 내전으로 인해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으로 옮겨진 뒤에도 중화민국은 명목상 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정통 국가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1949년 당시의 행정 구역은 그대로 남았다. 이들 행정 구역은 2005년을 기해 폐지되었다.
3. 중화민국의 실효 통치 지역 행정 구역 (1949년 ~ 현재)
1949년 이후 중화민국 정부가 실효 통치하고 있는 지역(타이완 지구)의 행정 구역이다. 현재 성(省) 정부 기능은 사실상 폐지되어 직할시와 성할시는 동급으로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