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할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할시는 중화민국(대만)의 행정 구역 단위 중 하나로, 1920년대 일본 통치 시대에 처음 설치되었다. 이후 중화민국 시 조직법에 따라 성할시가 되었으며, 1930년에는 원할시와 성할시로 나뉘어졌다. 1945년 대만 반환 이후, 현할시가 추가되면서 성할시, 현할시, 진, 향으로 행정 구역이 개편되었다. 현재는 지방 자치법에 따라 3개의 성할시, 즉 자이시, 신주시, 지룽시가 존재한다. 과거에는 타이베이시, 가오슝시, 타이중시, 타이난시 등이 성할시였으나 직할시로 승격되거나 현과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행정 구역 - ISO 3166-2:TW
ISO 3166-2:TW는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을 식별하는 ISO 3166-2 표준 코드로, 'TW'와 세 글자로 구성되며 직할시, 시, 현을 나타내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을 자국 성으로 간주하여 'CN-TW' 코드를 할당하여 논쟁이 있다.
성할시 | |
---|---|
개요 | |
명칭 | 자치시 (自治市) |
로마자 표기 | Tzuchih shih |
영문 명칭 | Autonomous municipality |
유형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유형 |
관할 정부 | 시 정부 |
의회 | 시 의회 |
통계 | |
현재 개수 | 3 |
통계 기준 시점 | 2019년 |
인구 범위 | 267,772 – 448,207명 |
면적 범위 | 60 – 133 km² |
하위 행정 구역 | |
종류 | 구 |
기타 정보 | |
관련 행정 구역 | 직할시, 현, 시 |
2. 역사
"시"라는 명칭의 첫 행정 구역은 1920년대 타이완이 일본의 통치하에 있을 때 설립되었다. 이 당시 시는 현의 관할 아래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정부가 설치한 11개의 현청 소재 도시 중 9개가 성할시로 개편되었다. 이들의 로마자 표기는 일본어에서 중국어로의 공식 언어 변화를 반영하여 변경되었지만, 한자는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글자 | 일본어 (1945년 이전) | 중국어 (1945년 이후) | rowspan=6| | 글자 | 일본어 (1945년 이전) | 중국어 (1945년 이후) |
---|---|---|---|---|---|
臺北zh-tw | 타이호쿠 | 타이베이 | 嘉義zh-tw | 카기 | 자이 |
基隆zh-tw | 키룬 | 지룽 | 臺南zh-tw | 타이난 | 타이난 |
新竹zh-tw | 신치쿠 | 신주 | 高雄zh-tw | 타카오 | 가오슝 |
臺中zh-tw | 타이추 | 타이중 | 屏東zh-tw | 헤이토 | 핑둥 |
彰化zh-tw | 쇼카 | 장화 |
이러한 개편은 중화민국의 ''시 조직법''에 따른것이다. 성할시가 되기 위한 기준에는 성도이면서 인구가 20만 명 이상이거나,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진 경우 10만 명 이상이 포함되었다.
광둥 군정부는 광저우를 독립된 행정 구획으로 할 것을 계획하고, 관련 법령 제정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1921년, 광둥성 의회는 "광저우시 잠정 조례"를 가결했다. 이 조례는 같은 해 2월 15일에 시행되어 광저우시가 정식으로 성립되었고, 쑨커가 초대 시장에 취임했다. 같은 해 3월에는 "산터우시 잠정 조례"가 제정되어 산터우도 시제를 시행했다.
같은 해 7월 3일, 베이징 정부는 "시 자치제"를 공포하고, 시를 "보통 시"와 "특별시"의 두 종류로 구분했다. 보통 시는 현에 속하고, 특별시는 현과 동격으로 규정되었다. 특별시의 설치는 대총통의 명령에 따라 내무부가 진행했다. 징도 특별시(현: 베이징시)와 칭다오 특별시의 2개 시가 설치되었고, 수도인 징도 특별시는 내무총장의 직접 감독 하에 놓였다.
1928년, 중국 국민당이 이끄는 국민 정부는 북벌을 완료한 후, '시 조직법'과 '특별시 조직법'을 공포하여 시의 최고 행정 기관을 '시 정부', 최고 입법 기관을 '시 참의회'로 명명했다. 1930년에는 새로운 '시 조직법'이 제정되어 시는 '원할시(현: 직할시)'와 '성할시'의 두 종류로 재편되었다. 원할시는 성과, 성할시는 현과 동격으로, 원할시 설치 요건은 인구 100만 명 이상, 성할시는 20만 명 이상으로 규정되었다. 시 아래에는 구가, 구 아래에는 보, 그 아래에 갑이 설치되었으며, 10~30호를 1갑, 10~30갑을 1보, 10~30보를 1구로 했다.
1945년, 일본의 항복에 따라 국민 정부가 대만을 접수(대만 광복)했을 때, 대만 총독부가 설치했던 시를 성할시, 진, 향 중 하나로 개편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민의의 영향을 받아 대만성 내 한정 행정 구획으로 성할시와 진 사이에 현할시가 새로 설치되었고, 현할시 아래에는 구 대신 리가 설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정부가 설치한 11개의 현청 소재 도시 중 9개가 성할시로 개편되었다. 이들의 로마자 표기는 일본어에서 중국어로의 공식 언어 변화를 반영하여 변경되었지만, 한자는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글자 | 일본어 (1945년 이전) | 중국어 (1945년 이후) | rowspan=6| | 글자 | 일본어 (1945년 이전) | 중국어 (1945년 이후) |
---|---|---|---|---|---|
타이베이/臺北zh-tw | 타이호쿠/台北일본어 | 타이베이/台北중국어 | 자이/嘉義zh-tw | 카기/嘉義일본어 | 자이/嘉義중국어 |
지룽/基隆zh-tw | 키룬/基隆일본어 | 지룽/基隆중국어 | 타이난/臺南zh-tw | 타이난/台南일본어 | 타이난/台南중국어 |
신주/新竹zh-tw | 신치쿠/新竹일본어 | 신주/新竹중국어 | 가오슝/高雄zh-tw | 타카오/高雄일본어 | 가오슝/高雄중국어 |
타이중/臺中zh-tw | 타이추/台中일본어 | 타이중/台中중국어 | 핑둥/屏東zh-tw | 헤이토/屏東일본어 | 핑둥/屏東중국어 |
장화/彰化zh-tw | 쇼카/彰化일본어 | 장화/彰化중국어 |
1945년의 행정 구역 개편은 일본과 중국 시스템 간의 일부 타협을 거쳐, 기준 인구 미달의 도시 중 일부가 여전히 성할시로 지정되었다.
1949년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베이로 이전한 후, 타이완성의 성할시 인구 기준은 1981년에 통과된 ''타이완성 각 현시 지방 자치 실시 지침''(臺灣省各縣市實施地方自治綱要)에서 50만 명으로 상향 조정되었다.[4] 이후 다시 60만 명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1998년 성의 통폐합 이후, 성할시는 모두 중앙 정부 직할이 되었으며, 단순히 '''시'''로 지칭된다.[4]
1994년(민국 83년), ""이 제정되어, 원할시는 직할시로, 성할시는 '''시'''로 개칭되었다. "성현자치법 제3조"에서는, 시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인구 60만 명 이상의 지구에 설치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1999년(민국 88년), 정부는 각 행정 구획에 관한 법령을 집약하여 새로이 ""을 제정했다. 또한, 허성화(성의 기능 축소)에 따라 시의 자치 권한이 조정되었다.[4] 허성화 이전의 시는 성 정부의 관할 하에 있었지만, 현재는 행정원의 각 부의 중부 사무실이나 각지에 설치되어 있는 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10년 타이중시와 타이난시는 폐지되었고, 각각 타이중현・타이난현과 합병하여 직할시로 승격되었다.[15][16]
현행 "지방 제도법"에서는, 시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인구 50만 명 이상 125만 명 미만의 지구에 설치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지룽시, 신주시, 자이시는, 모두 "지방 제도법" 제정 이전에 "시 조직법"이나 "타이완성 각 현시 실시 지방 자치 강요"에 근거하여 설치된 시이므로, 모두 인구가 50만 명에 미치지 못한다.
날짜 | 추가 | 제거 | 번호 | 설명 |
---|---|---|---|---|
1945-10 | 장화, 자이, 신주, 가오슝, 지룽, 핑둥, 타이중, 타이난, 타이베이[4] | 9 | 일본 통치 시대의 현 관할 시에서 재편.[4] | |
1950-08-16 | 자이 | 8 | 자이현으로 병합되어 현 관할 시가 됨 | |
1951-12-01 | 장화, 신주, 핑둥 | 5 | 현 관할 시로 강등 | |
1967-07-01 | 타이베이 | 4 | 직할시로 승격 | |
1979-07-01 | 가오슝 | 3 | 직할시로 승격 | |
1982-07-01 | 자이, 신주 | 5 | 현 관할 시에서 승격 | |
2010-12-25 | 타이중, 타이난 | 3 | 타이중현 및 타이난현과 병합, 직할시로 승격 | |
현재 시: 자이, 신주, 지룽 (3). |
2. 1. 중화민국 초기
1920년대 타이완은 일본의 통치하에 있었으며, "시"라는 명칭의 첫 행정 구역이 설립되었다. 이 당시 시는 현의 관할 아래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정부가 설치한 11개의 현청 소재 도시 중 9개가 성할시로 개편되었다. 이들의 로마자 표기는 일본어에서 중국어로의 공식 언어 변화를 반영하여 변경되었지만, 한자는 동일하게 유지되었다.글자 | 일본어 (1945년 이전) | 중국어 (1945년 이후) | rowspan=6| | 글자 | 일본어 (1945년 이전) | 중국어 (1945년 이후) |
---|---|---|---|---|---|
타이호쿠 | 타이베이 | 카기 | 자이 | ||
키룬 | 지룽 | 타이난 | 타이난 | ||
신치쿠 | 신주 | 타카오 | 가오슝 | ||
타이추 | 타이중 | 헤이토 | 핑둥 | ||
쇼카 | 장화 |
이러한 개편은 중화민국의 ''시 조직법''에 따른것이다. 성할시가 되기 위한 기준에는 성도이면서 인구가 20만 명 이상이거나,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진 경우 10만 명 이상이 포함되었다.
광둥 군정부는 광저우를 독립된 행정 구획으로 할 것을 계획하고, 관련 법령 제정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1921년, 광둥성 의회는 "광저우시 잠정 조례"를 가결했다. 이 조례는 같은 해 2월 15일에 시행되어 광저우시가 정식으로 성립되었고, 쑨커가 초대 시장에 취임했다. 같은 해 3월에는 "산터우시 잠정 조례"가 제정되어 산터우도 시제를 시행했다.
같은 해 7월 3일, 베이징 정부는 "시 자치제"를 공포하고, 시를 "보통 시"와 "특별시"의 두 종류로 구분했다. 보통 시는 현에 속하고, 특별시는 현과 동격으로 규정되었다. 특별시의 설치는 대총통의 명령에 따라 내무부가 진행했다. 징도 특별시(현: 베이징시)와 칭다오 특별시의 2개 시가 설치되었고, 수도인 징도 특별시는 내무총장의 직접 감독 하에 놓였다.
2. 2. 국민정부 시대
1928년, 중국 국민당이 이끄는 국민 정부는 북벌을 완료한 후, '시 조직법'과 '특별시 조직법'을 공포하여 시의 최고 행정 기관을 '시 정부', 최고 입법 기관을 '시 참의회'로 명명했다. 1930년에는 새로운 '시 조직법'이 제정되어 시는 '원할시(현: 직할시)'와 '성할시'의 두 종류로 재편되었다. 원할시는 성과, 성할시는 현과 동격으로, 원할시 설치 요건은 인구 100만 명 이상, 성할시는 20만 명 이상으로 규정되었다. 시 아래에는 구가, 구 아래에는 보, 그 아래에 갑이 설치되었으며, 10~30호를 1갑, 10~30갑을 1보, 10~30보를 1구로 했다.1945년, 일본의 항복에 따라 국민 정부가 대만을 접수(대만 광복)했을 때, 대만 총독부가 설치했던 시를 성할시, 진, 향 중 하나로 개편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민의의 영향을 받아 대만성 내 한정 행정 구획으로 성할시와 진 사이에 현할시가 새로 설치되었고, 현할시 아래에는 구 대신 리가 설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정부가 설치한 11개의 현청 소재 도시 중 9개가 성할시로 개편되었다. 이들의 로마자 표기는 일본어에서 중국어로의 공식 언어 변화를 반영하여 변경되었지만, 한자는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글자 | 일본어 (1945년 이전) | 중국어 (1945년 이후) | rowspan=6| | 글자 | 일본어 (1945년 이전) | 중국어 (1945년 이후) |
---|---|---|---|---|---|
타이베이/臺北zh-tw | 타이호쿠/台北일본어 | 타이베이/台北중국어 | 자이/嘉義zh-tw | 카기/嘉義일본어 | 자이/嘉義중국어 |
지룽/基隆zh-tw | 키룬/基隆일본어 | 지룽/基隆중국어 | 타이난/臺南zh-tw | 타이난/台南일본어 | 타이난/台南중국어 |
신주/新竹zh-tw | 신치쿠/新竹일본어 | 신주/新竹중국어 | 가오슝/高雄zh-tw | 타카오/高雄일본어 | 가오슝/高雄중국어 |
타이중/臺中zh-tw | 타이추/台中일본어 | 타이중/台中중국어 | 핑둥/屏東zh-tw | 헤이토/屏東일본어 | 핑둥/屏東중국어 |
장화/彰化zh-tw | 쇼카/彰化일본어 | 장화/彰化중국어 |
1945년의 행정 구역 개편은 일본과 중국 시스템 간의 일부 타협을 거쳐, 기준 인구 미달의 도시 중 일부가 여전히 성할시로 지정되었다.
2. 3. 중화민국 정부의 대만 이전 이후
1949년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베이로 이전한 후, 타이완성의 성할시 인구 기준은 1981년에 통과된 ''타이완성 각 현시 지방 자치 실시 지침''(臺灣省各縣市實施地方自治綱要)에서 50만 명으로 상향 조정되었다.[4] 이후 다시 60만 명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1998년 성의 통폐합 이후, 성할시는 모두 중앙 정부 직할이 되었으며, 단순히 '''시'''로 지칭된다.[4]1994년(민국 83년), ""이 제정되어, 원할시는 직할시로, 성할시는 '''시'''로 개칭되었다. "성현자치법 제3조"에서는, 시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인구 60만 명 이상의 지구에 설치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1999년(민국 88년), 정부는 각 행정 구획에 관한 법령을 집약하여 새로이 ""을 제정했다. 또한, 허성화(성의 기능 축소)에 따라 시의 자치 권한이 조정되었다.[4] 허성화 이전의 시는 성 정부의 관할 하에 있었지만, 현재는 행정원의 각 부의 중부 사무실이나 각지에 설치되어 있는 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10년 타이중시와 타이난시는 폐지되었고, 각각 타이중현・타이난현과 합병하여 직할시로 승격되었다.[15][16]
현행 "지방 제도법"에서는, 시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인구 50만 명 이상 125만 명 미만의 지구에 설치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지룽시, 신주시, 자이시는, 모두 "지방 제도법" 제정 이전에 "시 조직법"이나 "타이완성 각 현시 실시 지방 자치 강요"에 근거하여 설치된 시이므로, 모두 인구가 50만 명에 미치지 못한다.
2. 4. 일제강점기 타이완의 영향
"시"라는 명칭의 첫 행정 구역은 1920년대 타이완이 일본의 통치하에 있을 때 설립되었다.[4] 이 당시 시는 현의 관할 아래 있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정부가 설치한 11개의 현청 소재 도시 중 9개가 성할시로 개편되었다.[4] 이들의 로마자 표기는 일본어에서 중국어로의 공식 언어 변화를 반영하여 변경되었지만, 한자는 동일하게 유지되었다.[4]글자 | 일본어 (1945년 이전) | 중국어 (1945년 이후) | rowspan=6| | 글자 | 일본어 (1945년 이전) | 중국어 (1945년 이후) |
---|---|---|---|---|---|
臺北/타이호쿠일본어 | 臺北/타이베이zh-tw | 嘉義/카기일본어 | 嘉義/자이zh-tw | ||
基隆/키룬일본어 | 基隆/지룽zh-tw | 臺南/타이난일본어 | 臺南/타이난zh-tw | ||
新竹/신치쿠일본어 | 新竹/신주zh-tw | 高雄/타카오일본어 | 高雄/가오슝zh-tw | ||
臺中/타이추일본어 | 臺中/타이중zh-tw | 屏東/헤이토일본어 | 屏東/핑둥zh-tw | ||
彰化/쇼카일본어 | 彰化/장화zh-tw |
이러한 개편은 중화민국의 ''시 조직법'' ()에 따른것이다. 성할시가 되기 위한 기준에는 성도이면서 인구가 20만 명 이상이거나,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진 경우 10만 명 이상이 포함되었다. 1945년의 행정 구역 개편은 일본과 중국 시스템 간의 일부 타협을 거쳐, 기준 인구 미달의 도시 중 일부가 여전히 성할시로 지정되었다.
1949년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베이로 이전한 후, 타이완성의 성할시 인구 기준은 변경되었다.1998년 성의 통폐합 이후, 성할시는 모두 중앙 정부 직할이 되었으며, 단순히 ''시''로 지칭된다.
중화인민공화국 (PRC)은 타이완을 자국의 23번째 성으로 간주하며, 모든 성할시를 현급시로 분류한다.
날짜 | 추가 | 제거 | 번호 | 설명 |
---|---|---|---|---|
1945-10 | 장화, 자이, 신주, 가오슝, 지룽, 핑둥, 타이중, 타이난, 타이베이[4] | 9 | 일본 통치 시대의 현 관할 시에서 재편.[4] | |
1950-08-16 | 자이 | 8 | 자이현으로 병합되어 현 관할 시가 됨 | |
1951-12-01 | 장화, 신주, 핑둥 | 5 | 현 관할 시로 강등 | |
1967-07-01 | 타이베이 | 4 | 직할시로 승격 | |
1979-07-01 | 가오슝 | 3 | 직할시로 승격 | |
1982-07-01 | 자이, 신주 | 5 | 현 관할 시에서 승격 | |
2010-12-25 | 타이중, 타이난 | 3 | 타이중현 및 타이난현과 병합, 직할시로 승격 | |
현재 시: 자이, 신주, 지룽 (3). |
3. 현재의 시
현재 내정부의 ''지방 자치법''이 ''시''의 설치에 적용되며, 시는 50만에서 125만 사이의 인구를 가져야 하고 주요 정치, 경제 및 문화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5] 세 개의 기존 ''시'' 모두 인구 요건을 충족하지 않지만, 역사적 이유로 건설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현재 세 개의 ''시''가 있으며, 모두 타이완성에 위치해 있다.이름[6] 중국어 한어
병음웨이드-자일스 통용
병음민난어
백화자객가어
백화자면적 시청 소재지 설립 자이시 자이 시/嘉義市zh-tw Jiāyì Chia¹-i⁴ Jiayì Ka-gī Kâ-ngi 60.03 km2 동구 동구/東區zh-hant 1982-07-01 신주시 신주 시/新竹市zh-tw Xīnzhú Hsin¹-chu² Sinjhú Sin-tek Sîn-chuk 104.10 km2 북구 북구/北區zh-hant 1982-07-01 지룽시 지룽 시/基隆市zh-tw Jīlóng Chi¹-lung² Jilóng Ke-lâng Kî-lùng 132.76 km2 중정구 중정구/中正區zh-hant 1945-10-25
''지방 자치법''에 의해 규제되는 자치 단체 (행정부 및 입법부)는 다음과 같다.시명 지도 시 기 시 휘장 인구
(2023년 12월)면적
(km²)인구 밀도
(인/km²)구 수 시청 소재지 시장 지룽시 362,255 132.7589 2,728.67 7 중정구 셰궈량 신주시 456,475 104.1526 4,382.75 3 북구 가오훙안 자이시 263,584 60.0256 4,391.19 2 동구 황민혜
3. 1. 지룽시
지룽시는 타이완 북부에 위치한 항구 도시이다.[5] 1945년 10월 25일에 설치되었으며, 타이완성에 속해 있다.[6] 면적은 132.76km2이며, 시청 소재지는 중정구이다.
이름 | 중국어 | 한어 병음 | 웨이드-자일스 | 통용 병음 | 민난어 백화자 | 객가어 백화자 | 면적 | 시청 소재지 | 설립 | |
---|---|---|---|---|---|---|---|---|---|---|
지룽시 | Jīlóng | Chi¹-lung² | Jilóng | Ke-lâng | Kî-lùng | 132.76 km2 | 중정구 | 1945-10-25 |
지룽시의 행정부는 지룽시 정부이며, 시장은 지룽 시장인 셰궈량이다. 입법부는 지룽시 의회이며, 의석수는 32석이다.
이름 | 행정부 | 입법부 | |||
---|---|---|---|---|---|
정부 | 시장 | 현 시장 | 시 의회 | 의석수 | |
지룽시 | 지룽시 정부 | 지룽 시장 | 셰궈량 | 지룽시 의회 | 32 |
2023년 12월 기준 인구는 362,255명, 면적은 132.7589km², 인구 밀도는 2,728.67명/km²이다. 시는 7개의 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청 소재지는 중정구이다.
시명 | 지도 | 시 기 | 시 휘장 | 인구 (2023년 12월) | 면적 (km²) | 인구 밀도 (인/km²) | 구 수 | 시청 소재지 | 시장 |
---|---|---|---|---|---|---|---|---|---|
지룽시 | |100px]] | |100px]] | |100px]] | 362,255 | 132.7589 | 2,728.67 | 7 | 중정구 | 린유창/林右昌중국어 |
3. 2. 신주시
신주시는 타이완 북서부에 있는 도시로, 과학 기술 산업 단지로 유명하다.[5] 내정부의 ''지방 자치법''에 따라 설치된 시는 50만에서 125만 사이의 인구를 가져야 하고 주요 정치, 경제 및 문화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지만,[5] 신주시는 인구 요건을 충족하지 않지만 역사적 이유로 설치되었다.현재 타이완성에 속해 있다.[6]
이름[6] | 중국어 | 한어 병음 | 웨이드-자일스 | 통용 병음 | 민난어 백화자 | 객가어 백화자 | 면적 | 시청 소재지 | 설립 | |
---|---|---|---|---|---|---|---|---|---|---|
신주시 | 신주 시/新竹市zh-tw | Xīnzhú | Hsin¹-chu² | Sinjhú | Sin-tek | Sîn-chuk | 104.10 km2 | 북구 | 북구/北區zh-hant | 1982-07-01 |
''지방 자치법''에 의해 규제되는 자치 단체 (행정부 및 입법부)는 다음과 같다.
3. 3. 자이시
자이시는 타이완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1982년 7월 1일에 시로 설립되었다.[5] 면적은 60.03km2이며, 동구와 서구의 2개 구로 구성되어 있다.[6] 시청 소재지는 동구이다.[6]
자이시의 행정부는 자이시 정부이며, 입법부는 자이시 의회이다. 현재 시장은 황민혜이고, 시 의회 의석수는 24석이다.
이름 | 행정부 | 입법부 | |||
---|---|---|---|---|---|
정부 | 시장 | 현 시장 | 시 의회 | 의석수 | |
자이시 | 자이시 정부 | 자이 시장 | 황민혜 | 자이시 의회 | 24 |
시명 | 지도 | 시 기 | 시 휘장 | 인구 (2023년 12월) | 면적 (km²) | 인구 밀도 (인/km²) | 구 수 | 시청 소재지 | 시장 |
---|---|---|---|---|---|---|---|---|---|
자이시 | |100px]] | |100px]] | |100px]] | 263,584 | 60.0256 | 4,391.19 | 2 | 동구 | 황민혜 |
4. 폐지된 성할시
과거에는 더 많은 성할시가 존재했으나, 직할시 승격, 현과의 통합 등으로 폐지되었다.
타이베이시는 1945년 성할시로 개편되었으나, 1967년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폐지 당시 인구는 1,118,852명, 면적은 66.98km², 인구 밀도는 16,704.27명/km²이었다. 폐지 당시 젠청 구에 시 정부 소재지가 있었다.
가오슝시는 1945년에 성할시로 개편되었다. 1979년 7월 1일,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폐지 당시 인구는 1,941,364명, 면적은 114.16km², 인구 밀도는 17,005.64명/km²이었다. 폐지 당시 10개의 구가 있었으며, 옌청 구에 시 정부 소재지가 있었다.
타이중시는 1945년 성할시로 개편되었다. 2010년 12월 25일, 타이중현과 합병하여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폐지 당시 인구는 1,082,163명, 면적은 163.43km², 인구 밀도는 6,621.57명/km²이었다. 8개의 구를 관할했으며, 시 정부 소재지는 시 구였다.
타이난시는 1945년에 성할시로 개편되었다. 2010년 12월 25일, 타이난현과 합병하여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폐지 당시 인구는 772,066명, 면적은 175.65km², 인구 밀도는 4,395.48명/km²이었다. 폐지 당시 6개의 구가 있었으며, 시 정부 소재지는 안핑 구였다.
는 1945년 타이완으로 관할이 변경되면서 성할시로 개편되었으나, 1951년 장화현 관할시로 강등되었다.
는 1945년에 성할시로 개편되었으나, 1951년 11월 30일에 핑둥현 관할시로 강등되었다. 폐지 당시 인구는 109,645명, 면적은 220.70km², 인구 밀도는 496.80명/km²이었다. 폐지 당시 시 정부 소재지는 중 구였다.
1945년 일본 제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한 이후, 타이완은 중화민국에 반환되었다. 타이완 통치에 대한 의견 불일치와 중화민국의 타이완에 대한 가혹한 통치는 타이완 원주민들의 불만을 야기했고, 타이완에서 중화민국에 대항하는 저항운동이 시작되었다. 1945년 10월 25일, 타이완은 중화민국에 반환되었고, 같은 날 타이완성 행정장관공서가 설치되면서, 일본 제국 시기 자이시는 타이완성 관할의 성할시인 자이시로 개편되었다. 자이시는 6개의 구로 구성되었으며, 신베이 구에 시 정부 청사가 위치했다.
1946년 1월 7일, 자이 시청이 정식으로 설립되었다. 1946년 1월 29일, 신베이 구의 자이 지방법원 검찰청에서 2·28 사건의 전조인 자이 3·1 사건이 발생했다. 1950년 8월 16일, 타이완성은 행정 구역을 조정하였고, 자이시는 폐지되어 자이현에 편입되었다.
신주시는 1951년 12월 1일에 폐지되었다. 폐지 당시 인구는 126,216명, 면적은 222.45km², 인구 밀도는 567.39명/km²이었다. 폐지 당시 4개의 구가 있었으며, 베이 구에 시 정부 소재지가 있었다.
4. 1. 타이베이시 (성할시)
1945년 성할시로 개편되었으나, 1967년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폐지 당시 인구는 1,118,852명, 면적은 66.98km², 인구 밀도는 16,704.27명/km²이었다. 폐지 당시 젠청 구에 시 정부 소재지가 있었다.4. 2. 가오슝시 (성할시)
가오슝시는 1945년에 성할시로 개편되었다. 1979년 7월 1일,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폐지 당시 인구는 1,941,364명, 면적은 114.16km², 인구 밀도는 17,005.64명/km²이었다. 폐지 당시 10개의 구가 있었으며, 옌청 구에 시 정부 소재지가 있었다.
4. 3. 타이중시 (시)
타이중시는 1945년 성할시로 개편되었다. 2010년 12월 25일, 타이중현과 합병하여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폐지 당시 인구는 1,082,163명, 면적은 163.43km², 인구 밀도는 6,621.57명/km²이었다. 8개의 구를 관할했으며, 시 정부 소재지는 시 구였다.4. 4. 타이난시 (시)
타이난시는 1945년에 성할시로 개편되었다. 2010년 12월 25일, 타이난현과 합병하여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폐지 당시 인구는 772,066명, 면적은 175.65km², 인구 밀도는 4,395.48명/km²이었다. 폐지 당시 6개의 구가 있었으며, 시 정부 소재지는 안핑 구였다.
4. 5. 장화시 (성할시)
1945년 타이완으로 관할이 변경되면서 성할시로 개편되었으나, 1951년 장화현 관할시로 강등되었다.4. 6. 핑둥시 (성할시)
는 1945년에 성할시로 개편되었으나, 1951년 11월 30일에 핑둥현 관할시로 강등되었다. 폐지 당시 인구는 109,645명, 면적은 220.70km², 인구 밀도는 496.80명/km²이었다. 폐지 당시 시 정부 소재지는 중 구였다.4. 7. 자이시 (1945년-1950년)
1945년 일본 제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한 이후, 타이완은 중화민국에 반환되었다. 타이완 통치에 대한 의견 불일치와 중화민국의 타이완에 대한 가혹한 통치는 타이완 원주민들의 불만을 야기했고, 타이완에서 중화민국에 대항하는 저항운동이 시작되었다. 1945년 10월 25일, 타이완은 중화민국에 반환되었고, 같은 날 타이완성 행정장관공서가 설치되면서, 일본 제국 시기 자이시는 타이완성 관할의 성할시인 자이시로 개편되었다. 자이시는 6개의 구로 구성되었으며, 신베이 구에 시 정부 청사가 위치했다.1946년 1월 7일, 자이 시청이 정식으로 설립되었다. 1946년 1월 29일, 신베이 구의 자이 지방법원 검찰청에서 2·28 사건의 전조인 자이 3·1 사건이 발생했다. 1950년 8월 16일, 타이완성은 행정 구역을 조정하였고, 자이시는 폐지되어 자이현에 편입되었다.
5. 시 목록 (2024년 기준)
현재, 내정부의 ''지방 자치법''에 따라 ''시''는 50만에서 125만 사이의 인구를 가져야 하고 주요 정치, 경제 및 문화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5] 그러나 역사적 이유로 설치된 세 개의 기존 ''시''는 인구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
타이완성에는 현재 세 개의 ''시''가 있다.
이름[6] | 중국어 | 한어 병음 | 웨이드-자일스 | 통용 병음 | 민난어 백화자 | 객가어 백화자 | 면적 | 시청 소재지 | 설립 | |
---|---|---|---|---|---|---|---|---|---|---|
자이시 | 자이 시/嘉義市zh-tw | Jiāyì | Chia¹-i⁴ | Jiayì | Ka-gī | Kâ-ngi | 60.03 km2 | 동구 | 둥 구/東區zh-hant | 1982-07-01 |
신주시 | 신주 시/新竹市zh-tw | Xīnzhú | Hsin¹-chu² | Sinjhú | Sin-tek | Sîn-chuk | 104.10 km2 | 북구 | 베이 구/北區zh-hant | 1982-07-01 |
지룽시 | 지룽 시/基隆市zh-tw | Jīlóng | Chi¹-lung² | Jilóng | Ke-lâng | Kî-lùng | 132.76 km2 | 중정구 | 중정 구/中正區zh-hant | 1945-10-25 |
''지방 자치법''에 의해 규제되는 자치 단체 (행정부 및 입법부)는 다음과 같다.
시명 | 지도 | 시 기 | 시 휘장 | 인구 (2023년 12월) | 면적 (km²) | 인구 밀도 (인/km²) | 구 수 | 시청 소재지 | 시장 |
---|---|---|---|---|---|---|---|---|---|
지룽시 | 362,255 | 132.7589 | 2,728.67 | 7 | 중정구 | 셰궈량 | |||
신주시 | 456,475 | 104.1526 | 4,382.75 | 3 | 북구 | 가오훙안 | |||
자이시 | 263,584 | 60.0256 | 4,391.19 | 2 | 동구 | 황민혜 |
참조
[1]
웹사이트
POLITICAL SYSTEM
http://www.taiwan.go[...]
2023-03-28
[2]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s
https://english.pres[...]
2020-11-30
[3]
웹사이트
Taiwan combined
https://garymarks.we[...]
2020-11-01
[4]
웹사이트
Taiwan Review - Rezoning Taiwan
http://taiwanreview.[...]
2014-03-30
[5]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Act
https://law.moj.gov.[...]
2023-12-28
[6]
웹사이트
Glossary of Names for Admin Divisions
http://placesearch.m[...]
The Ministry of Interior of ROC
2015-06-06
[7]
문서
但し、[[1998年]]に機能が凍結([[台湾省政府功能業務・組織調整|虚省化]])されて以降、省は名目上の行政区画となっている。
[8]
문서
《國民政府公報》第45號,1928年12月17日,p. 8。
[9]
문서
《國民政府公報》第452號,1930年4月24日,p. 5。
[10]
문서
《國民政府公報》第689號,1931年2月4日,p. 7。
[11]
간행물
〈臺灣州制、臺灣廳地方費令、臺灣市制、臺灣街庄制施行ノ件〉
http://ds3.th.gov.tw[...]
2021-09-19
[12]
웹사이트
認識嘉義-歷史沿革
http://www.chiayi.go[...]
嘉義市政府
2011-02-13
[13]
웹사이트
臺灣建制市的市轄區變遷
http://www.aiplus.id[...]
臺灣建制市的市轄區變遷
2017-02-05
[14]
웹사이트
本縣的發展-1945年二戰後迄今-嘉義縣政府
http://www.cyhg.gov.[...]
嘉義縣政府
2017-04-23
[15]
웹사이트
教育部.五都改制相關自治法規適用公告
http://webarchive.nc[...]
2019-11-12
[16]
뉴스
五都升格 營建、水泥起高樓
http://www.libertyti[...]
自由電子報
2010-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