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찜기는 수천 년 동안 사용되어 온 조리 도구로, 음식을 증기로 익히는 데 사용된다. 고대 중국에서는 도자기 찜기를 사용했으며, 한국에서는 청동기 시대부터 시루가 사용되었다. 찜기는 재료, 형태, 사용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대나무, 금속, 실리콘, 도자기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찜기는 영양소 파괴가 적고 기름 없이 조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건강식단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리용기 - 솥
솥은 물이나 국을 끓이고 밥을 짓는 데 사용되는 그릇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재질, 형태,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한국, 중국, 일본 등 각 문화권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조리용기 - 시루
시루는 청동기 시대부터 곡물을 찌는 데 사용된 조리 도구로, 옹기나 곱돌로 만들어지며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떡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콩나물 재배, 술 제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 조리기구 - 전자레인지
전자레인지는 극초단파 에너지를 이용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기기로, 마그네트론과 유전 가열 방식을 사용하며, 금속 용기 사용 등에 주의해야 한다. - 조리기구 - 탄두르
탄두르는 흙으로 만든 원통형 오븐으로,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는 데 사용되며, 탄두리 치킨과 같은 요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찜기 | |
---|---|
찜기 | |
종류 | 주방 기구 |
용도 | 찜 요리 |
역사 | |
기원 | 고대 중국 |
작동 원리 | |
가열 방식 | 증기 발생 간접 가열 |
특징 | 수분 유지 |
형태 | |
재료 | 나무 금속 플라스틱 실리콘 |
구조 | 솥 찜판 뚜껑 |
사용법 | |
준비 | 물 붓기 |
조리 | 재료 올리기 |
마무리 | 가열 시간 조절 |
종류별 특징 | |
대나무 찜기 | 통기성 우수 |
금속 찜기 | 내구성 우수 |
전기 찜기 | 자동 조절 기능 |
2. 역사
찜기는 수천 년 동안 사용되어 왔다. 고대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도자기로 만든 찜기를 사용한 기록이 발견된다.[1][2][3] 한국에서는 청동기 시대부터 시루라는 전통 찜기를 사용했다.[1] 일본에서도 고대에 토기로 만든 증기솥(こしき|고시키일본어)을 사용하여 쌀을 쪘다. 이 찜기는 물을 넣고 가열하는 솥(鬲|かなえ|가나에일본어) 위에 올려 사용되었다.
2. 1. 고대 중국
고대 중국에서는 도자기 찜기를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했다. 고고학 발굴 조사를 통해 ''연(Yan)'' 찜기로 알려진 도자기 조리 용기가 발견되었다. ''연''은 구멍이 뚫린 바닥을 가진 ''증(Zeng)''과 삼발이 받침대와 뚜껑이 있는 솥이나 가마솥으로 구성되었다. 기원전 약 5000년경의 가장 오래된 ''연'' 찜기는 반포(Banpo) 유적에서 발굴되었다.[1] 하류 양자강 지역에서는 ''증'' 솥이 허무두 문화(Hemudu culture) (기원전 5000~4500년)와 량주 문화(Liangzhu culture) (기원전 3200~2000년)에서 처음 등장하여 쌀을 찌는 데 사용되었으며, ''연'' 찜기도 남쪽 장쑤성의 추오둔(Chuodun)과 로둔(Luodun) 유적에서 발견된 3개를 포함하여 여러 량주 유적에서 발굴되었다.[2] 서쪽 산둥성의 천왕(Tianwang)에 있는 룽산 문화(Longshan culture) (기원전 3000~2000년) 유적에서는 3개의 큰 ''연'' 찜기가 발견되었다.[3]2. 2. 한국

한국에서는 청동기 시대부터 시루가 사용되었다.[1] 시루는 떡이나 밥 등을 찌는 데 사용되는 한국의 전통적인 찜기이다.
3. 종류
찜기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주로 만드는 데 사용된 재료, 형태, 사용 방식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
3. 1. 재료에 따른 분류
찜기는 만드는 데 사용된 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대나무 찜기: 대나무나 나무를 엮어 만든 찜기이다.[5] せいろ|세이로일본어라고도 불리며, 둥근 중국식 찜기나 네모난 일본식 찜기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대부분 여러 층으로 쌓아 올리는 구조이지만, 한 층짜리도 있다. 딤섬과 같은 아시아 요리에 주로 사용되며, 조리 후 그대로 식탁에 내놓아 식기로 사용하기도 한다.
- 금속 찜기: 스테인리스강이나 알루미늄 등 금속으로 만든 찜기이다. 여러 층으로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며, 가스레인지 등의 열원에 직접 올려 사용한다. 내구성이 좋고 세척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 도자기 찜기: 도자기나 강화유리 등으로 만든 찜기이다. 전자레인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도 있으며, 보온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이 있다.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하는 타진 냄비는 재료 자체의 수분만으로 찜 요리를 만드는 도자기 냄비의 일종이다.
3. 2. 형태에 따른 분류
찜기(せいろ|세이로일본어)는 주로 대나무나 나무를 엮어 만들며, 형태에 따라 크게 둥근 모양과 네모난 모양으로 나눌 수 있다.- 둥근 찜기: 주로 중국 요리에서 사용되는 형태로, 여러 층으로 쌓아 올릴 수 있는 구조가 많다. 딤섬 등을 찔 때 흔히 볼 수 있다.
- 네모난 찜기: 주로 일본 요리에서 사용된다. 찜 요리뿐만 아니라 그대로 식탁에 내놓아 식기로 사용하기도 한다.
찜기는 대부분 여러 층으로 되어 있지만, 한 층으로 된 것도 있다. 찜 요리를 할 때는 물을 담은 냄비나 가마 위에 찜기를 올려 사용한다.
3. 3. 사용 방식에 따른 분류
찜기는 사용 방식과 구조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일반 찜기'''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물을 담은 냄비나 솥, 가마솥 위에 올려놓고 물을 끓여 발생하는 증기를 이용해 음식을 찌는 방식이다. 대나무나 나무를 엮어 만들거나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등 금속으로 만든 것이 일반적이다. 중국식의 둥근 찜기, 일본식의 네모난 찜기 등 모양은 다양하며, 보통 여러 층으로 되어 있지만 한 층짜리도 있다. 찜기 자체를 식탁에 내놓아 식기로 사용하기도 한다.
구조는 크게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넣는 '''물통''', 재료를 넣는 바닥이 채반 형태인 '''몸체''', 그리고 '''뚜껑'''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각각 분리할 수 있다. 몸체가 여러 층인 경우 한 번에 많은 재료를 찔 수 있지만, 장시간 조리 시에는 위아래 층의 익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어 중간에 위치를 바꿔주는 것이 좋다. 일본 대분현의 온천 지역에서는 온천 증기를 이용하는 지옥솥에 일본식 찜기를 올려 "지옥찜" 요리를 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전자레인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금속이 아닌 강화유리나 도자기로 만든 찜기나, 내열 실리콘으로 만든 실리콘 스티머도 등장했다.
'''열원 일체형 찜기'''
전기나 가스 등 자체 열원을 내장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찜기이다. 주로 한 번에 많은 양의 음식을 조리해야 하는 식당 등 업무용으로 사용된다. 편의점에서 볼 수 있는 찐빵용 쇼케이스 겸용 찜기는 일본의 이무라야 그룹이 팥찐빵 판매 촉진을 위해 고안한 것이다.
'''부속 찜기'''
일반 냄비나 프라이팬 등에 부속품을 추가하여 찜기 기능을 하도록 만든 것이다. 다리가 달리고 바닥에 구멍이 뚫린 접시 형태의 '눈망'이나 짧은 다리가 달린 삼발이(다리(조리기구)) 등을 냄비 안에 넣어 재료가 물에 직접 닿지 않게 하여 찐다. 깊은 냄비나 중국식 웍, 압력솥 등 다양한 조리도구에 활용될 수 있다. 어떤 크기의 냄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크기 조절이 가능한 "프리사이즈 찜기"와 같은 제품도 판매된다. 큰 냄비와 작은 접시를 조합하여 임시로 찜기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5]
'''타진냄비'''
북아프리카의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유래한 도자기 냄비이다. 식재료 자체의 수분만을 이용하여 찜 요리를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원뿔 형태의 높은 뚜껑이 수증기를 다시 아래로 떨어뜨려 물 없이도 재료를 촉촉하게 익힐 수 있다. 밀폐성이 높아 수증기 손실이 적다. 비슷한 원리의 요리는 뚝배기나 프라이팬으로도 가능하지만, 타진 냄비가 수분 보존에 더 효과적이다. 쿠스쿠스를 찔 때 사용하는 쿠스쿠스기도 비슷한 원리를 이용한다.
'''기타 찜기'''
4. 장점
찜 요리는 다른 조리법에 비해 여러 장점을 가진다.
- 영양소 손실 최소화: 증기로 음식을 익히기 때문에 식재료의 영양소 파괴가 적다. 많은 찜기에는 조리 과정에서 증기와 함께 흘러나오는 영양소가 포함된 국물(주스)을 모으는 받침(주스 받이)이 있어, 이를 통해 영양소 손실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반면, 끓이는 방식 등 다른 조리법에서는 영양소가 물에 녹아 나와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4]
- 건강한 조리: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 조리할 수 있어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 데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찜기는 미누르 요리, 일부 생식 식단, 오키나와식 다이어트, 매크로바이오틱 식단, CRON 다이어트와 같이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식단에서 널리 사용된다.
- 쾌적한 주방 환경: 조리 과정에서 주방으로 방출되는 열기가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특히 더운 여름철에 주방을 비교적 시원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5. 사진 갤러리
참조
[1]
서적
Early Chinese Work in Natural Science
Hong Kong University Press
1995
[2]
간행물
On the Diet in the Liangzhu Culture
2005
[3]
서적
Craft Production and Social Change in Northern China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002
[4]
웹사이트
Does Heat Destroy Nutrients in Fruits & Vegetables?
https://www.livestro[...]
2019-08-28
[5]
웹사이트
http://www.tbs.co.jp[...]
[6]
웹인용
찜통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7-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