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스퍼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찰스 스펄전은 1834년 영국에서 태어난 침례교 목사이자 설교가이다. 그는 1850년 회심 후 침례를 받고 목회자의 길을 걸었으며, 런던의 뉴 파크 스트리트 채플과 메트로폴리탄 태버내클에서 목회하며 명성을 얻었다. 스펄전은 칼뱅주의 신학을 따르고, 사회 개혁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스톡웰 고아원, 목회자 대학 등을 설립했다. 그는 '설교자의 왕'으로 불리며, 드와이트 L. 무디, 오스왈드 챔버스 등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스펄전은 3,600편에 가까운 설교를 남겼으며, 1892년 프랑스에서 요양 중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설교 - 강해설교
강해설교는 성경 본문 내용을 충실히 해석하고 설명하여 본문에 나타난 내용을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는 설교 방식으로, 종교 개혁 시대에 부활하여 현대 복음주의 설교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본문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본래 의미를 드러내는 데 집중한다. - 설교 - 내러티브 설교
내러티브 설교는 명제 설교와 달리 성경 본문을 탐구하는 과정을 따라가도록 하여 청중이 스스로 의미를 찾게 하며, 이야기 자체를 요점으로 삼아 청중의 삶을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목사 - 데이비드 딕슨
데이비드 딕슨은 스코틀랜드의 칼뱅주의 신학자이자 목사로, 글래스고 대학교 철학 교수, 어바인 목사, 글래스고 총회 서기, 글래스고 및 에든버러 대학교 신학 교수를 역임하며 스코틀랜드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고, 퍼스 조항 반대 및 언약 운동 참여, 《신앙 고백에 대한 강의》, 《거룩한 치료》 등의 저술 활동을 펼쳤다. - 목사 - 헤르만 혹세마
헤르만 혹세마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미국에서 활동한 개혁주의 신학자이자 목사이며, 은혜 언약을 강조하고 행위 언약을 비판하는 독자적인 신학 사상을 전개했다.
찰스 스퍼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목사 |
본명 | 찰스 해던 스펄전 |
국적 | 영국 |
출생일 | 1834년 6월 19일 |
출생지 | 켈베던, 영국 |
사망일 | 1892년 1월 31일 |
사망지 | 망통, 프랑스 |
배우자 | 수잔나 톰프슨 |
부모 | 존과 엘리자 스펄전 |
자녀 | 찰스와 토마스 스펄전 (쌍둥이) (1856년) |
![]() | |
직업 | |
직업 | 목사, 작가 |
소속 교단 | |
교단 | 침례교 |
2. 생애
찰스 스퍼전은 후대에 '설교자의 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설교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개혁주의 침례교 전통을 굳게 지키며 1689년 런던 침례교 신앙고백을 옹호했고, 자유주의적이고 실용주의적인 신학 경향에는 반대했다. 청교도적 설교로 유명하며, 존 번연의 천로역정을 가장 많이 인용했다.
스펄전의 생애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연도 | 사건 |
---|---|
1834년 | 회중교회 목사의 아들로 에식스 주 켈베던에서 출생. |
1849년 | 침례교 신자가 운영하는 학교에서 보조 교사직 시작. |
1850년 | 갑작스러운 눈보라로 인해 작은 예배당에서 원시 감리교 신도의 설교를 듣고 회심. 이사야 45장 22절 말씀에 감명. |
1851년 | 회중교회 전통을 버리고 침례를 받고 신앙 고백. 케임브리지로 이주하여 세인트 앤드루스 스트리트 침례교회로 전적. |
1852년 | 워터비치 침례교회 목사로 취임. 1년 만에 교회가 400명으로 성장. |
1854년 | 런던 뉴 파크 스트리트 침례교회 목사로 취임. |
1856년 | 서리 가든 음악당에서 12,000명에게 설교. |
1857년 | 런던 크리스탈 팰리스에서 23,654명에게 설교. |
1861년 | 런던 남부 뉴잉턴에 메트로폴리탄 태버내클 교회 건립. |
1874년 | 쌍둥이 아들에게 침례를 줌. 아들 찰스 주니어는 그리니치에서 목사가, 토마스는 아버지의 뒤를 이음. |
1892년 | 남프랑스 망통에서 사망. |
2. 1. 초기 생애 (1834-1850)
1834년 에식스 주 켈비돈에서 회중교회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7] 10개월 때 가족과 함께 콜체스터로 이사했다.[7] 어린 시절부터 신앙심이 깊었으며, 청교도 문학에 심취했다.1849년에는 침례교 신자가 경영하는 학교에 보조교사로 취직했다.[9]
1850년 1월 6일, 15세의 나이에 콜체스터 뉴타운의 아티러리 스트리트에 있는 원시 감리교 교회 예배당에서 회심을 경험했다.[9] 약속 장소로 가던 중 폭풍을 만나 예정된 여정을 단축하고 원시감리교회 예배당으로 들어가게 되었는데, 그곳에서 하나님께서 그의 마음을 구원의 메시지로 열어주셨다고 믿었다.[9] 이때 스펄전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 성경 구절은 이사야서 45장 22절("땅 끝들아, 모두 나에게 돌아와 구원을 받아라. 나는 하나님, 다른 이가 없다.")이었다.[9] 그해 4월 4일, 그는 뉴마켓 교회에 입교했고, 5월 3일 아일햄의 라크강에서 침례를 받았다. 그해 말 그는 케임브리지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나중에 주일학교 교사가 되었다.
1850년부터 1851년 겨울, 친구를 대신하여 테버샴의 한 작은 집에서 첫 설교를 했다. 스펄전의 목회 초창기부터 그의 스타일과 능력은 평균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2. 2. 목회 활동 (1851-1892)
1851년 5월 3일, 스펄전은 회중교회 전통을 버리고 침례를 받아 신앙을 고백했다. 케임브리지로 이주하여 세인트앤드루스 스트리트 침례교회로 교적을 옮겼다.[10] 1852년, 워터비치 침례교회 목사로 취임하여 1년 만에 교회를 크게 부흥시켰다.[10]1854년, 19세의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런던 뉴 파크 스트리트 채플(New Park Street Chapel)의 목사로 부임하여 뛰어난 설교로 명성을 얻었다.[10] 이 교회는 사우스워크에 있었으며, 이전에는 엄격 침례교의 벤자민 키치와 신학자 존 길이 목사로 섬겼던 곳이다. 당시 런던에서 가장 큰 침례교회였지만, 수년 동안 교인 수가 줄어들고 있었다. 스펄전은 런던에서 동료 목사들과 친구가 되었는데, 그 중에는 웨스트볼스 그로브 교회의 윌리엄 가렛 루이스가 있었다. 루이스는 스펄전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이었으며, 스펄전과 함께 런던 침례교 협회를 설립했다.[10] 그의 설교는 매주 인쇄물로 출판되었고 높은 판매 부수를 기록했다.[10] 1892년 사망할 때까지 그는 거의 3,600편의 설교를 했고, 49권의 주석, 어록, 일화, 삽화 및 묵상집을 출판했다.[10]

스펄전의 설교는 내용 면에서 혁명적이지는 않았지만, 사람들에게 솔직하고 직접적으로 호소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숙고하도록 성경을 사용했다.[10] 언론의 비판은 그의 생애 동안 지속되었다.[10] 회중은 곧 교회 건물을 초과하여 엑서터 홀로 옮겨갔고, 이후 서리 뮤직 홀로 옮겨갔다.[10]
1856년, 서리 가든 음악당에서 12,000명에게 설교했다.[10] 그러나 이 집회에서 "불이야!"라는 외침으로 인해 발생한 사고로 여러 명이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10] 스펄전은 이 사건으로 인해 정서적으로 큰 충격을 받았다.[10]

월터 손버리는 "올드 앤드 뉴 런던"(1898)에서 서리에서 열린 다음 회의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1857년, 런던 수정궁에서 23,654명에게 설교하여 당시 최대 규모의 집회를 인도했다.[11] 스펄전은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1861년, 런던 뉴잉턴(Newington)에 메트로폴리탄 태버내클을 건립하고, 이곳에서 31년간 목회하며 수많은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했다.[13] 엘리펀트 앤드 캐슬에 위치한 메트로폴리탄 태버내클은 당시 가장 큰 교회 건물이었다.[13] 스펄전은 설교가 끝날 때 결신 권유를 한 적은 없지만, 일요일 설교를 통해 그리스도를 찾는 데 관심을 갖게 된 사람이 있다면 월요일 아침에 그의 서재에서 만날 수 있다는 초대를 항상 했다.[12]

스펄전은 태버내클에서 초교파 중국 내륙 선교회의 설립자인 제임스 허드슨 테일러와 친구가 되었다.[15] 스펄전은 선교 사업을 재정적으로 지원했고 많은 선교사 후보자들이 테일러와 함께 봉사하도록 안내했다.[15] 그는 또한 "무언의 책"을 홍보함으로써 다른 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는 사업을 도왔다.[15]
1876년, 목사가 된 지 22년 만에 스펄전은 "메트로폴리탄 태버내클: 그 역사와 사업"을 출판했다.[18]


해당 책의 내용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구빈원: 뉴 파크 스트리트 채플 부지를 매각하여 태버내클이 구빈원과 학교를 건설할 수 있게 된 경위를 설명한다.
- 스톡웰 고아원: 1867년 240명의 남자아이들을 위해 문을 열었고, 1879년 여자아이들을 위해서도 열렸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폭격을 받을 때까지 런던에서 계속 운영되었다. 고아원 설립은 조지 뮬러 방문에서 영감을 얻었다.[19][20][21]
- 콜포타지 협회: 콜포터는 집집마다 성경, 좋은 책, 정기간행물을 판매하기 위해 고용되었다.
- 태버내클과 관련된 기타 기관.
스펄전의 50번째 생일 기념식에서 '협회 및 기관'의 업데이트된 목록이 낭독되었다.[31] 스펄전의 지원으로 '메트로폴리탄 태버내클: 그 역사와 사업'에 나열된 24개 단체는 69개로 늘어났다.[31]
스펄전은 스톡웰 고아원에 진료소를 지었다. 또한 가난한 사람들이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메트로폴리탄 병원 선데이 기금의 지지자이기도 했다. 그는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34]

2. 3. 사회 참여와 신학 논쟁
스펄전은 노예 제도에 대해 매우 강경하게 반대했다.[44] 이러한 입장 때문에 남침례교의 지지를 잃었고, 그의 설교 판매량이 줄었으며, 협박과 모욕적인 내용의 편지를 받기도 했다.[45] 그는 성공회의 세례 재생 교리에 반대하여 설교하기도 했다.[14]1887년, 스펄전은 ''더 소드 앤 트로웰''(The Sword & the Trowel)에 "다운그레이드"라는 첫 번째 기사를 게재하면서 침례교도들 사이에 논쟁을 일으켰다.[35] 이어진 "다운그레이드 논쟁"에서 메트로폴리탄 태버내클은 침례교 연합(Baptist Union)에서 탈퇴했다. 스펄전은 이 논쟁을 문서설#벨하우젠 가설(Graf-Wellhausen) 가설, 찰스 다윈의 진화론 등이 침례교 연합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하며, [38][39][40] 그 결과 나타난 새로운 신학이 하나님과 인간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41]
2. 4. 말년과 죽음 (1891-1892)
스펄전은 건강이 좋지 않아 자주 요양을 해야 했다. 33세 때 이미 통풍을 앓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으며,[53] 1871년, 37세 때에는 의사들이 건강을 위해 도시를 떠날 것을 권고했다.[54] 그는 휴식을 위해 프랑스 남부 망통을 자주 찾았으며,[55] 그곳에서 지역 교회에서 설교하거나 글을 쓰기도 했다.[58]1891년, 스펄전은 망통에서 3개월 동안 요양했지만,[60] 회복하지 못하고 1892년 57세의 나이로 망통에서 통풍과 신장 울혈로 사망했다.[61] 그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1만 통이 넘는 위로와 문의 편지가 쏟아졌다.
스펄전의 시신은 영국으로 돌아와 메트로폴리탄 태버내클에 안치되었다.[62] 장례식 전 이틀 동안 네 번의 추모 예배가 열렸으며, 수많은 인파가 몰려들어 경찰이 질서 유지를 위해 배치되었다. 장례식 날에는 800명의 경찰이 추가로 배치되어 장례 행렬 경로를 따라 질서를 유지했다.[63] 장례 행렬에는 수많은 마차와 차량이 참여했으며, 그 길이는 거의 2마일에 달했다.[64]

장례 행렬이 스톡웰 고아원을 지날 때 아이들이 스펄전이 가장 좋아했던 찬송가 중 하나를 불렀다.[67] 스펄전의 장례식에는 총 10만 명이 참석하거나 조문한 것으로 추산된다.

스펄전은 웨스트 노우드 묘지에 안장되었으며, 그의 묘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방문을 받고 있다. 그의 아들 톰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메트로폴리탄 타버내클의 목사가 되었다.
3. 신학
스펄전은 칼뱅주의적 개혁주의 신학을 따랐으며, 1689년 런던 침례교 신앙고백을 지지하고 옹호했다.[35] 그는 청교도 신학의 영향을 깊게 받았으며, 특히 존 번연의 천로역정을 자주 인용하였다.[10] 유아 세례를 인정하지 않는 침례교 신학을 고수했으며, 성경의 무오성과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원칙을 강조했다. 문서설#벨하우젠 가설(Graf-Wellhausen) 가설과 찰스 다윈의 진화론과 같이 성경의 권위를 약화시키는 사상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비판했다.[38][39][40]
세대주의에는 반대했지만,[50][51] 유대인들의 약속의 땅 거주 복원은 예상했다.[52] 유대인들이 먼저 회복되고 나중에 개종할 것인지, 아니면 먼저 개종하고 나중에 회복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이론을 세우지 않았지만, 그들이 회복될 것이며 또한 개종될 것이라고 확신했다.[3]
침례교의 계승성을 주장하며 유아 세례를 인정하지 않는 침례교는 칼뱅주의 개신교의 영향을 받았다. 스펄전은 독학으로 신학을 공부했지만, 종교 개혁가와 청교도들의 저서가 그의 학문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12,000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었으며, 그 중 3분의 1은 미주리주 리버티의 윌리엄 주얼 칼리지에 전시되어 있다.
4. 사회 공헌
스펄전은 사회 개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태버내클 교회를 중심으로 35개의 다양한 자선 단체를 설립하고 지원했다.[18] 이러한 조직을 지원하기 위해 사재를 털어 사용했으며, 사망 당시에는 자택 외에는 거의 재산이 없었다.[32] 그가 설립한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스톡웰 고아원(Stockwell Orphanage),[19][20][21] 목회자 대학(Pastors' College, 현재의 스펄전 칼리지), 콜포타지 협회(Colportage Association) 등이 있다.[18]
1876년 스펄전은 '메트로폴리탄 태버내클: 그 역사와 사업'을 출판하여 '협회 및 기관'에 할애된 5개의 장에서 그가 관련된 사업을 설명했다.[18] 8년 후, 스펄전의 50번째 생일 기념식에서 '협회 및 기관'의 업데이트된 목록이 낭독되었는데, 스펄전의 강력한 격려와 지원으로 24개 단체에서 69개로 늘어났다.[31]
스펄전은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구제 활동에 헌신했으며, 그의 사역은 런던 빈민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조지 뮬러의 고아원을 방문한 것을 계기로 1867년 스톡웰 고아원을 설립하여 240명의 남자아이들을 위해 문을 열었고, 1879년에는 여자아이들을 위해서도 열었다.[19][20][21] 이 고아원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폭격을 받을 때까지 런던에서 계속 운영되었다.[19] 스펄전은 자신의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매년 기금 모금 행사를 열었고,[24] 생일 선물로 받은 돈을 모두 고아원에 기부했다.[29] 고아원 합창단과 종을 치는 사람들은 기금 모금을 위해 콘서트를 열었다.[30] 고아원은 1937년에 스펄전 아동 복지 센터로,[22] 2005년에는 다시 스펄전스로 이름을 변경했다.[22][23]
콜포터(Colportage)는 집집마다 성경, 좋은 책, 정기간행물을 판매하기 위해 고용되었으며, 병든 사람들을 방문하고 회의를 열었다.[18] 스펄전은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찰스워스 씨의 두 개의 성경반이 런던 거리에 성경 마차를 가진 형제를 지원하기로 관대하게 동의했습니다. 다른 젊은이들의 공동체도 그들이 사는 지역에서 일하는 자신들만의 사람을 갖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생각해 보세요."라며 다른 사람들의 기부를 장려했다.[33]
스펄전은 스톡웰 고아원에 진료소를 지었을 뿐만 아니라, 가난한 사람들이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메트로폴리탄 병원 선데이 기금의 열렬한 지지자이기도 했다. 그는 "우리는 더 많은 병원이 필요합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정부의 도움을 받기 위해 죽도록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됩니다."라고 말했다.[34]
5. 저술 활동 및 출판
스펄전은 평생 동안 3,600편에 가까운 설교를 남겼으며, 그의 설교는 매주 출판되어 널리 읽혔다.[12] 그의 주간 설교는 한 편당 1페니에 판매되었는데, 이는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저술 중 하나로 꼽힌다. 스펄전은 설교 전에 설교문을 완전히 작성했지만, 강단에는 개요만 적힌 메모 카드만 지참했다. 속기사들이 그의 설교를 받아 적었고, 스펄전은 다음 날 즉시 출판할 수 있도록 필사본을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다.[12]
스펄전은 설교 외에도 여러 찬송가를 작곡했으며, 1866년에는 "우리 자신의 찬송가 책"이라는 새로운 예배 찬송가 모음집을 출판했다. 또한 49권에 달하는 주석, 어록, 일화, 삽화, 묵상집 등을 저술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다윗의 보고(The Treasury of David)』, 『아침과 저녁(Morning and Evening)』, 『제자들에게 보내는 강의(Lectures to My Students)』 등이 있다.
스펄전의 저서는 브라유 점자 및 문(Moon) 문자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72]
제목 | 내용 |
---|---|
『다윗의 보고 (The Treasury of David)』 | 시편 주석 |
『아침과 저녁 (Morning and Evening)』 | 묵상집 |
『제자들에게 보내는 강의 (Lectures to My Students)』 | 목회자 지망생을 위한 강의 |
『우리 자신의 찬송가 책』 | 예배 찬송가 모음 |
『영혼을 얻는 자 (The Soul Winner)』 | 전도 지침서 |
6. 영향
스펄전은 "설교자의 왕"으로 불릴 만큼 설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개혁주의 침례교 전통을 따랐으며, 청교도적 설교로 유명했다. 특히 존 번연의 천로역정을 자주 인용했다.[53] 그의 설교는 매주 인쇄되어 60권 이상의 설교집으로 간행되었다.
스펄전은 종교 개혁가와 청교도들의 저서에 영향을 받아 12,000권의 장서를 소장했다. 이 중 3분의 1은 미주리주 리버티의 윌리엄 주얼 칼리지에 전시되어 있다. 그는 드와이트 L. 무디, 오스왈드 챔버스, G. 캠벨 모건, F. B. 마이어, 레떼 카우먼, 윌리엄 화이트 등 후대 인물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스펄전은 사회 개혁에도 적극 참여하여 태버내클 교회를 통해 35개의 자선 단체를 설립하고 지원했다. 그는 사재를 털어 이 단체들을 지원했으며, 사망 당시에는 자택 외에 거의 재산이 없었다. 그가 시작한 신학교인 파스터스 칼리지는 오늘날에도 영국에서 많은 신학생들이 공부하는 곳이다.
7. 스펄전 관련 단체
스펄전과 관련된 단체는 다음과 같다.
'''스펄전 칼리지(Spurgeon's College)'''
스펄전이 1856년에 '파스터스 칼리지'라는 이름으로 설립한 목회자 양성 기관이다. 현재까지도 영국에서 가장 많은 신학생이 재학 중인 신학교 중 하나이다.[18]
'''스펄전스(Spurgeons)'''
1867년 스펄전이 설립한 스톡웰 고아원(Stockwell Orphanage)의 후신이다. 조지 뮬러의 고아원을 방문한 것이 스펄전에게 고아원 설립의 계기가 되었다.[19][20][21] 1867년 남자아이들을 위한 시설로 시작하여, 1879년에는 여자아이들도 받기 시작했다. 런던에서 운영되던 고아원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으로 운영이 중단되었다.[19][20][21] 이후 1937년 스펄전 아동 복지 센터로,[22] 2005년에는 스펄전스로[22][23] 이름을 변경하여 현재는 아동 복지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메트로폴리탄 태버내클(Metropolitan Tabernacle)'''
엘리펀트 앤드 캐슬에 위치한 메트로폴리탄 태버내클은 1861년에 완공되었으며, 당시 가장 큰 교회 건물이었다.[12] 5,000명을 수용할 수 있고, 추가로 1,000명이 서 있을 수 있는 규모였다. 스펄전은 이곳에서 31년 동안 매주 여러 번 설교했다.[12] 스펄전은 설교 후 결신 권유는 하지 않았지만, 그리스도를 찾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 월요일 아침에 만남을 가졌다.[12]
'''기타 단체'''
스펄전은 사회 개혁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태버내클 교회는 35개의 다양한 자선 단체를 시작했다. 스펄전의 강력한 격려와 지원으로, 이러한 단체들은 69개까지 늘어났다.[31] 예를 들어, 교회의 가난한 구성원들에게 매년 약 800GBP를 분배하는 자선 기금과, 빈민을 위한 옷을 만들고 '구제'하는 여사 친목회(수입 105GBP) 등이 있었다.
참조
[1]
서적
Charles Haddon Spurgeon, A Biography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Tabernacle
https://web.archive.[...]
2009-01-20
[3]
간행물
Charles Haddon Spurgeon: The Greatest Victorian Preacher
https://web.archive.[...]
AG
2007-01
[4]
서적
Christian Hymn-writers
Evangelical Press of Wales
[5]
서적
The Baptist Hymn Book
Psalms and Hymn Trust
[6]
서적
Spurgeon: A New Biography
[7]
서적
Charles Haddon Spurgeon: A Biography
Moody Press
[8]
웹사이트
Charles H. Spurgeon: Did you know?
https://christianhis[...]
[9]
웹사이트
Charles Spurgeon's Conversion in a Primitive Methodist Chapel
https://www.thegospe[...]
[10]
백과사전
Spurgeon, Charles Haddon
[11]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 Education, Volume 3
Rowman & Littlefield
[12]
서적
Spurgeon: Prince of Preachers
Kregel Publications
[13]
웹사이트
The First Sermon at the Metropolitan Tabernacle
https://web.archive.[...]
2014-12-19
[14]
웹사이트
Baptismal Regeneration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The Wordless Book
https://web.archive.[...]
Spurgeon.org
[16]
웹사이트
Accidents, Not Punishments
https://web.archive.[...]
[17]
서적
Charles Haddon Spurgeon: A Biography
http://www.spurgeon.[...]
[18]
서적
The Metropolitan Tabernacle: Its History and Work
[19]
웹사이트
Brief history
https://web.archive.[...]
Spurgeon's child care
2005-09-10
[20]
웹사이트
Birchington history
https://web.archive.[...]
The Birchington roundabout
2005-09-10
[21]
웹사이트
Orphanage
https://archive.toda[...]
Vauxhall Society
[22]
기타
Charity Commission for England and Wales. Charity Number 1081182-1
[23]
웹사이트
Home
https://spurgeons.or[...]
[24]
뉴스
The Standard
1883-06-15
[25]
뉴스
The Bristol Mercury and Daily Post
1883-06-21
[26]
뉴스
The Pall Mall Gazette
1882-01-04
[27]
뉴스
Lloyd’s Weekly Newspaper
1882-06-25
[28]
뉴스
The Standard
1890-06-14
[29]
뉴스
Liverpool Mercury
1881-06-23
[30]
뉴스
The Royal Cornwall Gazette
1884-06-06
[31]
문서
Mr Spurgeon's Jubilee. Charles Spurgeon
[32]
뉴스
Nottingham Evening Post
1892-03-31
[33]
서적
Metropolitan Tabernacle: Its History and Work
[34]
뉴스
The Hospital
1887-06-25
[35]
서적
The "Down Grade" Controversy
https://web.archive.[...]
Pilgrim Publications
2009
[36]
간행물
Preface
http://www.spurgeon.[...]
1887-08-00
[37]
웹사이트
The Down Grade Controversy
http://www.reformedr[...]
2010-08-21
[38]
서적
Spurgeon: A New Biography
The Banner of Truth Trust
1985-09-00
[39]
서적
Spurgeon and the Modern Church
Presbyterian & Reformed
1985-06-00
[40]
서적
Living By Revealed Truth The Life and Pastoral Theology of Charles Haddon Spurgeon
Christian Focus
2013-07-21
[41]
서적
The "Down Grade" Controversy
http://www.spurgeon.[...]
Pilgrim Publications
[42]
간행물
The Down Grade Controversy and Evangelical Boundaries
http://www.narnia3.c[...]
Narnia 3
[43]
간행물
The Judgement Seat of Christ
http://www.febc.edu.[...]
Far Eastern Bible College
2000-07-00
[44]
웹사이트
The Best War Cry
http://www.newsforch[...]
2014-12-26
[45]
서적
A Marvelous Ministry: The Story of C.H. Spurgeon's Sermons: 1855–1905
http://grace-ebooks.[...]
Pilgrim publications
[46]
뉴스
Spurgeon on Slavery
http://fair-use.org/[...]
1860-02-17
[47]
간행물
Christian Watchman and Reflector
Ford, Olmstead
[48]
웹사이트
The Reason Why America Burned Spurgeon's Sermons and Sought to Kill Him
https://www.spurgeon[...]
2016-09-21
[49]
서적
The Life and Work of Charles Haddon Spurgeon
[50]
설교
Jesus Christ Immutable
http://www.ccel.org/[...]
[51]
서적
The Origins of Christian Zionism: Lord Shaftesbury And Evangelical Support For A Jewish Home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1-02
[52]
간행물
Sermon preached in June 1864 for the British Society for the Propagation of the Gospel among the Jews
http://www.ccel.org/[...]
1864-06-00
[53]
뉴스
Sheffield and Rotherham Independent
1867-06-15
[54]
뉴스
The Bury and Norwich Post
1871-05-09
[55]
뉴스
Bristol Mercury and Daily Post
1879-02-22
[56]
뉴스
Bristol Mercury and Daily Post
1879-04-03
[57]
뉴스
Daily News
1887-12-14
[58]
뉴스
Glasgow Herald
1880-02-06
[59]
뉴스
The Pall Mall Gazette
1890-02-01
[60]
뉴스
The Times
1892-02-11
[61]
뉴스
Aberdeen Journal, and General Advertiser for the North
1892-02-12
[62]
뉴스
Western Mail
1892-02-12
[63]
뉴스
Western Mail
1892-02-12
[64]
뉴스
Daily News
1892-02-12
[65]
뉴스
Glasgow Herald
1892-02-12
[66]
뉴스
The Guardian
1892-02-12
[67]
뉴스
Daily Mail
1892-02-12
[68]
뉴스
Daily Mail
1892-09-12
[69]
웹사이트
Library
MBTS
[70]
웹사이트
Spurgeon Library: Home page
http://spurgeon.org/
[71]
간행물
Library
http://library.samfo[...]
Samford
[72]
웹사이트
Spurgeon's Writings
http://www.spurgeon.[...]
2009-01-13
[73]
웹인용
The Down-Grade Controversy, Christian History Magazine
https://christianhis[...]
2020-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