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벌 (심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처벌(심리학)은 조작적 조건화의 한 유형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다. 처벌은 정적 처벌과 부적 처벌로 나뉘며, 정적 처벌은 혐오 자극을 제시하여, 부적 처벌은 가치 있는 자극을 제거하여 행동을 감소시킨다. 처벌은 강화의 거울 효과가 아니며, 일시적인 행동 감소 효과를 보일 수 있지만, 부작용과 한계가 존재한다. 체벌은 인지 능력 저하, 낮은 자존감, 정신 건강 문제 등 지속적인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처벌은 사건연속성과 근접성에 영향을 받으며,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데 대안으로 소거법, 차등 강화, 노출 및 반응 방지 등이 제시된다. 처벌은 법률 시스템, 학교, 가정 등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적용되며, ABA 치료, 심리 조작과 같은 윤리적 문제와 관련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리적 조작 - 카리스마
카리스마는 특정 개인의 비범한 능력이나 그에 대한 숭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막스 베버는 이를 사회학적 개념으로 정립하여 지배의 한 유형으로 제시했으며, 종교적, 정신의학적 용어로도 사용된다. - 심리적 조작 - 협박
협박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에게 해악을 가할 것을 알려 공포심을 일으키는 행위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며 대한민국 형법상 협박죄로 처벌받고, 다른 범죄의 수단이 되거나 민사상 책임이 발생할 수 있다. - 행동주의 - 이반 파블로프
이반 파블로프는 조건반사 연구로 유명한 러시아의 생리학자, 심리학자, 의사이며, 190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고, 개의 타액 분비 실험을 통해 고전적 조건화 개념을 정립했다. - 행동주의 - 행동 수정
행동 수정은 학습 원리를 활용하여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심리 치료 기법으로,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기반하여 발전했으며 인지 행동 치료를 거쳐 개인의 경험과 가치에 대한 수용을 강조하는 3세대 행동 치료로 발전하여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와 행동 장애 치료에 활용된다. - 형벌 - 사형
사형은 국가가 범죄자에게 내리는 가장 오래된 최고 형벌로, 존폐 여부와 집행 방법을 둘러싸고 범죄 예방 효과, 사법 오류 가능성, 인권 침해 등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형벌 - 과료
과료는 한국과 일본의 재산형으로 벌금보다 가벼운 형벌이며, 한국에서는 2천 원 이상 5만 원 미만, 일본에서는 1천 엔 이상 1만 엔 미만의 금액을 징수하고, 미납 시 노역장에 유치되어 경미한 범죄에 적용된다.
처벌 (심리학) | |
---|---|
개요 | |
분야 | 행동 심리학, 동물 심리학 |
하위 유형 | 긍정적 약화 부정적 약화 |
작용 메커니즘 | |
작용 | 특정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킴 |
관련 개념 | 강화 |
예시 | |
긍정적 약화 예시 | 아이가 뜨거운 스토브를 만진 후 화상을 입음 |
부정적 약화 예시 | 늦게까지 파티를 즐긴 후 운전면허 정지 처분을 받음 |
관련 정보 | |
윤리적 고려 사항 | 체벌 학대 |
효과적인 사용 | 일관성, 즉시성, 적절성 |
부작용 | 두려움 분개 공격성 |
대안 | 강화, 소거, 차별 강화 |
2. 처벌의 유형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에 따르면, 처벌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 '''정적 처벌''' (반응형 처벌, 유형 I 처벌): 혐오스러운 자극을 제시하여 특정 행동을 억제한다. (예: 동물에게 전기 충격 가하기)
- '''부적 처벌''' (제거적 처벌, 유형 II 처벌): 가치 있는 자극을 제거하여 특정 행동을 억제한다. (예: 먹이통 치우기)
처벌은 강화의 반대 효과가 아니며, 실험 동물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처벌은 이전에 강화된 반응의 가능성을 일시적으로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처벌은 다른 "정서적" 행동 (예: 비둘기의 날갯짓)과 생리적 변화 (예: 심박수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25][26]
일부 행동 심리학자들은 처벌을 강화와는 별개의 독립적인 학습 현상 ("1차 과정")으로 간주하는 반면, 다른 심리학자들은 처벌을 부적 강화의 한 범주로 보기도 한다. 즉, 처벌을 피하는 모든 행동이 강화되는 상황을 만든다는 것이다.
2. 1. 정적 처벌 (Positive Punishment)
정적 처벌(positive punishment)은 부가 처벌 또는 제1형 처벌이라고도 하며, 혐오스러운 자극을 주어 특정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줄이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길에 뛰어들 때 부모가 소리를 지르는 것이나, 뜨거운 아스팔트를 맨발로 걸을 때 고통을 느끼는 것이 정적 처벌에 해당한다.[25]2. 1. 1. 정적 처벌의 문제점
정적 처벌은 일시적으로 행동을 억제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효과는 미미할 수 있다는 것이 심리학자들의 주된 견해이다.[25][26] 또한, 처벌과 보상이 동시에 주어지는 경우 행동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27]스키너(Skinner) 등은 처벌이 일반적으로 약하거나 일시적인 효과를 보인다고 주장했지만,[6] 다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처벌은 처벌받은 행동을 억제하는 강력하고 지속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7][8] 게다가 더 심한 처벌이 더 효과적이며, 매우 심한 처벌은 완전한 억제를 낳을 수도 있다.[9] 그러나 강력하고 지속적인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행동을 처벌하기 위해 사용된 혐오 자극은 처벌받지 않은 행동을 억제하고 고전적 조건형성을 통해 상황적 자극과 연관될 수 있는 강력한 정서적 반응을 유발할 수도 있다.[10]
특히 체벌은 지속적인 부작용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모는 자녀의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체벌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체벌이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체벌의 지속적인 부작용으로는 인지 능력 저하, 낮은 자존감, 자녀의 정신 건강 문제 증가 등이 있다. 일부 부작용은 반사회적 행동과 같은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체벌과 같은 물리적 폭력을 포함하는 처벌에 대한 지지로 나타나기도 한다.[11]
처벌은 신뢰도가 높은 사회에서 신뢰도가 낮은 사회보다 협력을 증진시키는 데 더 효과적이며,[12] 협력에 대한 강력한 규범, 높은 부, 고도로 민주적인 국가에서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더 효과적이었다.[12]
2. 2. 부적 처벌 (Negative Punishment)
'''부적 처벌'''('''제거 처벌''', '''제2형 처벌''')은 가치 있는 자극을 제거하여 특정 행동의 빈도를 줄이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먹이 그릇을 제거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1]일부 행동 심리학자들은 처벌을 강화와는 완전히 독립적인 학습 현상인 "1차 과정"으로 간주한다. 반면, 다른 심리학자들은 처벌을 부적 강화의 한 범주로 보기도 한다. 즉, 처벌을 피하는 모든 행동(심지어 가만히 서 있는 것)이 강화되는 상황을 만든다는 것이다.[1]
2. 2. 1. 부적 처벌의 효과
부적 처벌은 반응에 따라 자극이 제거되고, 유사한 상황에서 그 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이 미래에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 10대 자녀가 통금 시간을 어기고 늦게 귀가했을 때, 부모가 휴대전화 사용과 같은 특권을 빼앗는다. 자녀가 늦게 귀가하는 빈도가 줄어들면, 특권은 점차 회복된다. 이처럼 휴대전화를 빼앗는 것은 부모가 즐거운 자극(휴대전화)을 빼앗아 자녀가 더 일찍 집에 돌아오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때문에 부적 처벌에 해당한다.
- 예시: 아이가 아이스크림을 원하며 고집을 부릴 때, 엄마가 아이를 무시하면 아이가 무언가를 원할 때 앞으로 고집을 부릴 가능성이 줄어든다. 이는 엄마의 관심이라는 즐거운 자극이 제거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부적 처벌의 예시이다.
부적 강화는 반응에 따라 자극의 감소가 일어나고, 그 반응이 미래에 유사한 상황을 일으킬 확률을 감소시키는 경우에 발생한다. 부적 처벌과 부적 강화는 용어는 비슷하지만, 다른 결과를 초래한다.
- 예: 10대 소년이 통금 시간을 어기면 부모는 그에 대한 특권(휴대폰 사용 등)을 박탈한다고 하자. 통금 시간 위반 빈도가 감소했다면, 이 특권은 점차 회복시킨다. 이 경우, 부모가 즐거운 자극(휴대폰)을 제거하여 아이가 집에 일찍 돌아오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있으므로, 휴대폰 압수는 부적 강화로 간주할 수 있다.
3. 처벌의 효과와 한계
조작적 조건형성에서 처벌은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처벌의 효과는 행동과 처벌 사이의 관계, 즉 사건연속성(사건들의 의존성)과 근접성(시간 및/또는 공간에서 사건들의 근접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13]
- 사건연속성: 처벌이 특정 행동에 얼마나 의존적인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쥐가 레버를 누를 때마다 전기 충격을 받는다면, 레버 누르기(행동)와 전기 충격(처벌) 사이에 명확한 사건연속성이 존재한다. 이처럼 처벌은 행동과 처벌자 사이에 사건연속성이 있을 때 가장 효과적이다.
- 근접성: 원치 않는 행동과 처벌 사이의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처벌 효과는 커진다. 시간 지연이 길어지면, 그 사이에 다른 행동이 나타나 의도하지 않은 행동이 처벌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즉각적인 처벌이 지연된 처벌보다 효과적이다.
하지만 언어적 설명 제공, 행동 재연, 처벌 강도 증가 등의 방법을 통해 지연된 처벌의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13]
학습이론 관점에서 보면, 처벌자는 피처벌자의 행동 변화를 통해 처벌 행동을 강화받을 수 있다. 또한, 처벌과 보상이 동시에 주어지는 경우처럼 행동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일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현상에서 내성강화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
심리학자들은 행동 이면에 숨겨진 강화물을 찾아 수정된 대안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소거법, 차등강화(차별강화), 노출및반응방지 등을 제시한다.[28][29][30]
3. 1. 처벌의 심리적 영향
처벌은 불안, 공포, 우울, 공격성 등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아동기에 경험한 가혹한 처벌은 자존감 저하, 대인 관계 어려움, 정신 건강 문제 등 장기적인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0][11]스키너(Skinner) 등은 처벌이 일반적으로 약하거나 일시적인 효과를 보인다고 주장했지만,[6] 다수의 연구 결과는 처벌이 처벌받은 행동을 억제하는 강력하고 지속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7][8] 더 심한 처벌은 더 효과적이며, 매우 심한 처벌은 완전한 억제를 낳을 수도 있다.[9] 그러나 강력하고 지속적인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행동을 처벌하기 위해 사용된 혐오 자극은 처벌받지 않은 행동을 억제하고 고전적 조건형성을 통해 상황적 자극과 연관될 수 있는 강력한 정서적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10]
이러한 부작용은 행동 수정에 처벌을 사용할 때 주의와 자제를 시사한다. 특히 체벌은 지속적인 부작용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모는 자녀의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체벌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체벌이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체벌의 지속적인 부작용으로는 인지 능력 저하, 낮은 자존감, 자녀의 정신 건강 문제 증가 등이 있으며, 일부 부작용은 반사회적 행동과 같은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고, 체벌과 같은 물리적 폭력을 포함하는 처벌에 대한 지지로 나타나기도 한다.[11]
처벌은 신뢰도가 높은 사회에서 신뢰도가 낮은 사회보다 협력을 증진시키는 데 더 효과적이다.[12] 또한 처벌은 협력에 대한 강력한 규범, 높은 부, 고도로 민주적인 국가에서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더 효과적이었다.[12]
3. 2. 처벌과 억압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은 처벌이 행동을 일시적으로 억압하는 효과를 가질 뿐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25][26] 처벌과 보상이 동시에 주어지는 경우, 행동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기도 한다.[27] 억압된 행동은 스트레스나 변산성의 맥락에서 더 수용하기 어려운 행동이나 공격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스키너 등은 처벌이 일반적으로 약하거나 일시적인 효과를 보인다고 주장했지만,[6] 다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처벌은 처벌받은 행동을 억제하는 강력하고 지속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7][8] 더 심한 처벌이 더 효과적이며, 매우 심한 처벌은 완전한 억제를 낳을 수도 있다.[9] 그러나 강력하고 지속적인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행동을 처벌하기 위해 사용된 혐오 자극은 처벌받지 않은 행동을 억제하고 고전적 조건형성을 통해 상황적 자극과 연관될 수 있는 강력한 정서적 반응을 유발할 수도 있다.[10] 이러한 부작용은 행동 수정에 처벌을 사용할 때 주의와 자제를 시사한다. 특히 체벌은 지속적인 부작용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모는 자녀의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체벌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체벌이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체벌의 지속적인 부작용으로는 인지 능력 저하, 낮은 자존감, 자녀의 정신 건강 문제 증가 등이 있다. 일부 부작용은 반사회적 행동과 같은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체벌과 같은 물리적 폭력을 포함하는 처벌에 대한 지지로 나타나기도 한다.[11]
4. 처벌의 대안
대부분 심리학자들은 처벌이 행동을 줄이는 데 일시적인 효과만 있을 뿐이며, 장기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25][26] 처벌은 문제 행동을 억누를 수는 있지만, 그 행동의 근본적인 이유를 해결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처벌은 스트레스를 일으키고, 때로는 더 심한 문제 행동이나 공격성을 일으킬 수도 있다.
그래서 심리학자들은 처벌보다 더 나은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문제 행동 뒤에 숨겨진 원인을 찾고, 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소거법, 차등강화, 노출및반응방지 같은 방법을 써서 바람직한 행동을 이끌어내고 문제 행동을 줄일 수 있다.
4. 1. 강화 (Reinforcement)
강화물은 행동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반면, 처벌물은 행동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적 강화물은 대상이 얻으려고 노력하는 자극이며, 부적 강화물은 대상이 제거하거나 끝내려고 노력하는 자극이다.[4]학습이론에서 처벌자는 처벌을 통해 피처벌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강화받을 수 있다. 처벌과 보상이 동시에 주어지는 경우처럼 행동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일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내성강화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
처벌자는 환경이나 외부 반응일 수 있으며, 이러한 자극이 피처벌자에게 입력된 후 문제 해결 효과를 수반하는 반응으로 출력되는 과정은 환경이 행동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입력과 출력 과정에서 근접성과 수반성으로 획득되는 보상 효과는 보상시스템(Compensation System)에 기반하며, 정적 강화뿐만 아니라 부적 강화에도 작용한다.
심리학자들은 행동 이면에 숨겨진 강화물을 찾아 수정된 대안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소거법, 차등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노출및반응방지(response prevention) 등을 제시한다.[28][29][30]
4. 1. 1. 정적 강화 (Positive Reinforcement)
정적 강화는 대상이 얻으려고 노력하는 자극이다.[4]보상 (유쾌한) 자극 | 혐오 (불쾌한) 자극 | |
---|---|---|
추가/제시 | 정적 강화 | 정적 처벌 |
제거/없앰 | 부적 처벌 | 부적 강화 |
4. 1. 2. 부적 강화 (Negative Reinforcement)
부적 강화는 불쾌한 자극을 제거하여 특정 행동의 빈도를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부적 강화는 반응에 따라 불쾌한 자극이 감소하고, 그 반응이 미래에 유사한 상황을 일으킬 확률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발생한다.[4]예를 들어, 10대 소년이 통금 시간을 어겼을 때 부모가 휴대폰 사용과 같은 특권을 박탈한다고 가정해 보자. 만약 통금 시간 위반 빈도가 감소했다면, 이 특권은 점차 회복시킨다. 이 경우, 부모가 불쾌한 자극(잔소리)을 없애고 아이가 집에 일찍 돌아오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있으므로, 휴대폰 압수는 부적 강화로 간주할 수 있다.[4]
강화물은 행동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반면, 처벌물은 행동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적 강화물은 대상이 얻으려고 노력하는 자극이며, 부적 강화물은 대상이 제거하거나 끝내려고 노력하는 자극이다.[4]
4. 2. 행동 수정 기법
처벌과 보상이 동시에 주어지는 경우처럼 행동이 지속적으로 점진적 증가 추세를 보일 때,[27] 행동 감소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보다 세밀한 관찰과 원인 이해를 통해 수용 가능한 행동 개선 및 유도를 위한 대안 확보가 필요하다. 억압에 따른 소거는 스트레스 및 변산성 맥락에서 더 수용하기 어려운 행동이나 공격성을 유발할 수 있다.이러한 맥락에서 심리학자들은 행동이나 반응 이면에 숨겨져 있을 수 있는 강화물을 찾아 수정된 대안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에는 소거법, 차등강화(차별강화), 물리적 환경을 제어하는 노출및반응방지 등이 있다.[28][29][30]
5. 처벌의 사회적 적용
처벌은 가정, 학교, 직장, 법률 시스템 등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사용된다. 학습이론에서 처벌자는 처벌을 통해 피처벌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강화받을 수 있다. 한편, 처벌과 보상이 동시에 주어지는 경우처럼 행동이 지속적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일정 수준에 도달해 유지되는 경우에는 내성 강화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31][32][33][34]
5. 1. 제도적 처벌
제도적 처벌에서 법적 처벌은 입법기관의 절차를 거쳐 명문화되어 사전에 고시되고 발효 기간을 거친다. 교통법규 위반에 따른 과태료, 벌금 등이 관례적으로 시행 및 부과되고 있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당사자들 간의 직접적인 처벌 적용은 사전 동의 절차, 명문화 과정 부재, 정서적 반응 평가 등에서 취약하고 비공정한 절차적, 심리적 요인을 내포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31][32][33][34] 무반응 차등강화는 이러한 처벌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5. 2. 학교에서의 처벌
이전 출력은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의 내용이 섹션 제목(`section-title`) 및 요약(`summary`)과 일치하지 않아, `source` 기반으로 작성할 수 없다는 점을 설명하고, `source`가 관련 내용을 포함했을 경우를 가정한 예시를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수정할 내용이 없다.만약 원본 소스(`source`)가 변경되거나 추가적인 관련 자료가 제공된다면, 그 내용을 바탕으로 지시사항에 맞게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다.
5. 3. 가정에서의 처벌 (훈육)
학습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처벌자는 처벌을 통해 피처벌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으로부터 강화받을 수 있다. 한편, 처벌과 보상이 동시에 주어지는 경우처럼 행동이 지속적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일정 수준에 도달하여 현상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내성 강화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1]6. 처벌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처벌은 인간의 존엄성과 권리를 침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윤리적 문제가 제기된다. 특히 아동, 장애인, 정신 질환자 등 취약 계층에 대한 처벌은 더욱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6. 1. 응용 행동 분석 (Applied Behavior Analysis, ABA)과 자폐증 치료
응용 행동 분석(ABA)에서 처벌은 극단적인 경우에만 사용되며, 주로 어린이 또는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머리 박기나 물기와 같이 위험한 행동을 보일 때 사용된다. 처벌은 자폐증 치료의 윤리적 문제 중 하나로 여겨지며,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이는 행동 분석 전문화의 주요 쟁점이기도 하다.[14] 행동 분석을 전문화하면 소비자와 가족이 분쟁을 제기할 수 있는 위원회가 설립되고, 이러한 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도 이루어질 것이다.ABA에 대한 논란은 자폐증 커뮤니티에서 계속되고 있다. 2017년 한 연구에 따르면 ABA 치료를 받는 자폐 스펙트럼 환자의 46%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BA 치료를 받지 않은 사람(28%)보다 86% 높은 수치이다.[14] 연구자들은 ABA 노출 후 환자의 나이와 관계없이 PTSD 발병률이 증가했다고 밝혔다.[14] 그러나 이 연구의 질에 대해 다른 연구자들이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15]
6. 2. 심리 조작 (Psychological Manipulation)
브레이커는 조작자가 희생자를 통제하는 다음과 같은 방식을 확인했다.[16]- 긍정적 강화: 칭찬, 피상적인 매력, 피상적인 공감(악어의 눈물), 과도한 사과, 돈, 승인, 선물, 관심, 억지웃음이나 미소와 같은 표정, 그리고 대중적 인정을 포함한다.
- 부정적 강화: 부정적인 상황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 간헐적 또는 부분적 강화: 부분적 또는 간헐적인 부정적 강화는 효과적인 공포 분위기와 의심을 만들 수 있다. 부분적 또는 간헐적인 긍정적 강화는 희생자가 지속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도박 형태에서 도박꾼은 이따금 이길 가능성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돈을 잃게 된다.
- 처벌: 잔소리, 고함, 침묵 요법, 협박, 위협, 욕설, 정서적 협박, 죄책감 심리, 샐쭉거림, 울음, 그리고 피해자 코스프레를 포함한다.
- 외상적 일회 학습: 언어적 학대, 폭발적인 분노 또는 기타 위협적인 행동을 사용하여 지배력 또는 우월성을 확립한다. 그러한 행동의 한 번의 사건만으로도 희생자가 조작자를 화나게 하거나, 대항하거나, 반박하는 것을 피하도록 고전적 조건화하거나 훈련시킬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10 Signs of Trauma Bonding: Understanding and Breaking Free from Toxic Attachments
https://www.thenewho[...]
2023-08-14
[2]
웹사이트
10 Signs of Trauma Bonding: Understanding and Breaking Free from Toxic Attachments
https://www.thenewho[...]
2023-08-14
[3]
간행물
The treatment of stuttering in school age children
http://dx.doi.org/10[...]
Psychology Press
2008-06-03
[4]
서적
Learning Processes: Instrumental Conditioning
The Macmillan Company
[5]
논문
Behavioral and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punishment: implications for psychiatric disorders
2018
[6]
서적
Science and Human Behavior
McMIllan
1953
[7]
논문
Punishment
1964
[8]
논문
On the status of knowledge for using punishment implications for treating behavior disorders
2002
[9]
논문
Effects of punishment intensity during variable-interval reinforcement
1960-04
[10]
서적
Psychology of Learning and Behavior
Norton
2002
[11]
논문
Spanking and child outcomes: Old controversies and new meta-analyses
2016-06
[12]
논문
Trust, Punishment, and Cooperation Across 18 Societies: A Meta-Analysis
http://journals.sage[...]
2013
[13]
논문
Increasing the suppressive effect of delayed punishers: a review of basic and applied literature.
2012-07
[14]
논문
Evidence of increased PTSD symptoms in autism exposed to applied behavior analysis.
2018
[15]
논문
Evaluating Kupferstein's claims of the relationship of behavioral intervention to PTS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2018-10
[16]
서적
Who's Pulling Your Strings ? How to Break The Cycle of Manipulation
McGraw Hill Professional
[17]
논문
Traumatic Bonding: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attachments in battered women and other relationships of intermittent abus
1981
[18]
서적
Counselling survivors of domestic abus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08
[19]
논문
Time-out as a punishment for stuttering
1968-09
[20]
논문
The effects of time-out on stuttering in a 12 year old boy
1970-12
[21]
논문
Operant techniques used in stuttering therapy: A review
1984-09
[22]
논문
The influence of stutterer's expectancies of improvement upon response to time-out
1974-03
[23]
논문
A quantitative examination of punishment research
https://linkinghub.e[...]
2015
[24]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Ethics of Punishment-Based Procedur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ttp://journals.sage[...]
2021
[25]
문서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response and punishment.
1967
[26]
문서
(Timeout punishment: Rate of reinforcement and delay of timeout
1970-11-13
[27]
문서
(ATTACK, AVOIDANCE, AND ESCAPE REACTIONS TO AVERSIVE SHOCK
1967-03
[28]
문서
Differential reinforcement as treatment for behavior disorders: procedural and functional variations
https://www.scienced[...]
1992
[29]
서적
Exposure Therapy for Anxiety: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2011-03-14
[30]
간행물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https://psychiatryon[...]
2007-07
[31]
문서
Permanent effects of punishment during extinction.
1967
[32]
문서
재가치매환자의 공격행동과 주간호자의 대처행동
[33]
문서
Differential Reinforcement Procedures of Low Rates of Responding (DRL)
https://link.springe[...]
[34]
문서
Differential Reinforcement Procedures of Other Behavior (DRO)
https://link.sprin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