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욕설은 상대방을 모욕하거나 비난하기 위해, 또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 표현이다. 욕설은 속어나 비어와 달리, 대응하는 일반적인 표현이 없고 단어나 구, 절의 형태로 존재한다. 욕설은 개인을 향하는 혐오 표현과는 달리, 화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며 분노, 좌절, 경멸 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욕설은 다양한 문화권에서 존재하며, 각 언어와 문화에 따라 독특한 형태와 사용법을 보인다. 욕설은 사회적, 법적 규제를 받으며, 뇌의 언어 처리와 감정 처리 영역 모두와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욕설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저속한 말 상스러운 말 비어 속어 |
영어 | swear word |
종류 | |
의미에 따른 분류 | 신성 모독적 욕설 비하적 욕설 성적 욕설 배설 관련 욕설 기타 사회적 금기 관련 욕설 |
강도에 따른 분류 | 약한 욕설 강한 욕설 극심한 욕설 |
형태에 따른 분류 | 단어 욕설 구 욕설 문장 욕설 |
사회적 측면 | |
사용 이유 | 분노 표출 좌절감 표현 스트레스 해소 친밀감 과시 유머 표현 권위 과시 불쾌감 표현 |
사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 | 문화적 차이 존재 특정 상황에서 사용 자제 공공장소에서의 사용 제한 미디어에서의 사용 규제 교육에서의 사용 금지 |
사용에 따른 법적 제재 | 모욕죄 명예훼손죄 증오심 표현죄 |
언어적 측면 | |
어원 | 종교적 금기, 사회적 금기와 관련 |
의미 변화 | 특정 단어가 욕설로 변질 특정 욕설의 강도 변화 세대별 사용 빈도 변화 |
기타 | |
관련 문화 | 욕설을 유머 소재로 활용 욕설을 예술 작품에 활용 욕설을 스포츠 응원에 활용 특정 욕설을 사회적 저항 수단으로 활용 |
2. 개념
욕설은 상대방을 모욕하거나 비난하기 위해, 또는 혼자 열 받았을 때 주로 사용된다. 장난칠 때나 말버릇으로 쓰는 사람들도 있다.[3] 욕설은 대응하는 일반적인 표현이 없고, 단어나 구뿐만 아니라 절 형식인 것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속어나 비어와 다르다.[4] 어떤 표현이든 모욕이나 비난의 의도로 사용되었다면 그 맥락에서는 욕설이다.[5] 한편, 사전에 등재되는 욕설은 실제로 사용되는 욕설의 수보다 그리 많지 않다.[6]
욕설은 공격적인 언어, 욕, 금기어 등으로 묘사될 수 있다.[1] "맹세하다(swearing)"는 욕설을 사용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언어적 용어이며, 서약과 관련이 없더라도 사용된다.[2] "저주하다(cursing)"는 원래 누군가에게 저주를 내리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특별히 가리켰다.[3] 다양한 유형의 욕설을 분류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지만, 널리 받아들여지는 유형론은 없다.[4]
욕설은 주로 개개인을 향하는 것으로 어떤 집단의 특징이나 정체성을 공격 대상으로 하는 혐오 표현과는 다르다. 예를 들어, '씨발'이란 욕은 들은 사람들이 듣는 순간에만 반응하고 다음부터는 아무도 '씨발'에 관심이 없지만 '찐따'란 욕설은 '찐따'의 의미 자체에 관심을 가지며 적극적인 방어를 넘어 심지어 미화 따위를 시도하는 집단을 가질 수도 있다.
욕설은 공격적인 언어, 욕, 금기어 등으로 묘사될 수 있다.[7] "신성을 더럽히는 말"은 고전 라틴어 profanus|프로파누스la에서 유래했는데, 문자 그대로 pro|프로la(밖의)와 fanum|파눔la(성전, 신성한 장소)을 의미한다.[1][2] 이것은 중세 영어에서 "성전을 더럽히다"라는 의미로 더 발전했다.[8] 영어에서 "맹세하다(swearing)"는 욕설을 사용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언어적 용어이며, 서약과 관련이 없더라도 사용된다.[9] 욕설과 서약 모두에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다른 언어는 프랑스어 (jurer프랑스어), 캐나다 프랑스어 (), 스웨덴어 (svärasv)뿐이다.[10]
영어는 특히 미국에서 "저주하다(cursing)"를 "맹세하다(swearing)"와 유사하게 사용한다. "저주하다(cursing)"는 원래 누군가에게 저주를 내리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특별히 가리켰고,[11] 미국 영어에서는 여전히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기를 바라는 것과 일반적으로 관련이 있다.[12] "저주하다(cursing)"와 같은 의미의 단어는 덴마크어 (bandeda), 이탈리아어 (imprecareit), 노르웨이어 (banneno)에서 유사하게 사용된다.[13] "맹세하다(swearing)"와 "저주하다(cursing)"라는 용어는 분노 속에서 욕설을 사용하는 것과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14] 다양한 유형의 욕설을 분류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지만, 널리 받아들여지는 유형론은 없으며 용어는 서로 바꿔 사용된다.[15]
"신성 모독"과 "음란"은 "욕설"과 유사하게 사용되지만, "신성 모독"은 종교적 의미를 유지하고 있다.[16] "감탄사"는 욕설을 사용하는 또 다른 영어 용어이며, 문장의 길이를 바꾸면서 의미는 바꾸지 않는 단어를 추가하는 원래 의미에서 유래했다.[17] "감탄사"의 사용은 때때로 감탄사로서의 욕설을 특별히 가리킨다.[18][19] "욕설"은 특정인을 향한 욕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20] 일부 언어는 욕설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가 없고, 대신 "나쁜 언어를 사용하다"라는 구절로 설명한다. 여기에는 만다린어 (), 포르투갈어 (palavraopt), 스페인어 (decir palabrotases), 터키어 (küfur etmektr)가 포함된다.[21]
욕설은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가지지만, 마음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므로, 문자 그대로의 표현(denotation)과는 대조적으로 단어와 관련된 함축(connotation)과 감정적 연상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한다.[22][23] 욕설의 함축적 기능은 명시적 의미가 더 쉽게 변화하도록 허용하여,[24] 단어의 의미가 원래 의미와 무관해지거나 의미와 영향력을 완전히 상실할 때까지 변화하게 한다.[25]
현대 욕설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종교, 성 또는 인체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고상한 종교적 욕설과 저속한 해부학적 욕설의 이분법을 만든다.[26][27] 언어와 문화는 욕설의 주제에 대해 다른 강조를 한다. 예를 들어, 폴란드어에서는 해부학적 욕설이 흔하지만, 네덜란드어에서는 질병을 언급하는 욕설이 더 일반적이다.[28] 배설물과 엉덩이에 대한 단어는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저속한 변형어를 가지고 있다.[29] 종교적 욕설이 역사적으로 더 심각했지만, 세계 대부분의 현대 사회에서는 성적이고 해부학적인 욕설이 더 저속한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30][31] 일반적인 저속한 표현은 때때로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하나 이상의 욕설 범주를 포함한다. 스페인어 표현 me cago en Dios y en la Puta Virgen|나는 신과 창녀인 성모 마리아를 욕한다es는 배설물, 종교 및 성적 욕설을 불러일으킨다.[32] 다른 욕설은 영어의 ''bloody''(저속한 의미로 사용될 때)와 같이 어떤 주제도 언급하지 않는다.[33]
모든 금기어가 욕설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많은 단어가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만 사용된다.[34] 신체 기능과 성행위에 대한 임상적 또는 학술적 용어는 욕설과 구별된다. 여기에는 영어의 ''excrement''(배설물)과 ''copulate''(교미하다)와 같은 단어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단어는 일반적으로 욕설로 사용되지 않는다.[35] 욕설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저속한 단어의 문자 그대로의 사용이 욕설을 구성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36] 반대로, 함축적 의미가 더 큰 단어가 항상 저속하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Bastard''(개자식)과 ''son of a bitch''(개새끼)는 후자의 두 단어가 강한 비도덕적 행위와 관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어에서 ''terrorist''(테러리스트)와 ''rapist''(강간범)에 비해 일반적인 모욕적인 용어로 더 쉽게 사용된다.[37]
일부 저속한 표현은 원래 의미의 요소를 여전히 유지하는 방식으로 은유적으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영어 표현 ''all hell broke loose''(지옥이 터졌다) 또는 ''shit happens''(똥 밟았다)는 바람직하지 않은 장소와 사물로서의 ''hell''(지옥)과 ''shit''(똥)의 부정적인 연관성을 지닌다.[38] 다른 표현은 영어의 ''take a flying fuck''(개 좆까라 그래)와 프랑스어 putain de merde|창녀 같은 똥프랑스어 및 이탈리아어 porca Madonna|암퇘지 같은 마돈나it와 같이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무의미하다.[39]
욕설은 화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40][41] 욕설의 부정적인 연상은 그것들이 종종 감정적으로 격앙되어 있음을 의미한다.[42][43] 분노와 좌절의 표현은 욕설의 가장 흔한 이유이다.[44] 이러한 표현은 모욕적인 욕설과 관련이 있으며,[45] 가장 부정적으로 여겨지고 대상을 모욕하거나 불쾌하게 하기 위해 특별히 선택된다. 이것은 상대방을 개새끼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직접적인 모욕의 형태를 취하거나, 상대방에게 "꺼져"라고 말하는 것과 같이 상대방에게 욕설을 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46] 또한 경멸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47] 카타르시스적인 욕설은 불쾌감의 표현으로 사용되며,[48] 특정 대상을 향한 욕설보다 덜 무례한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49] 욕설은 동의 또는 반대의 진술로 사용될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가 더 흔하다. "그럴 리가 없어"와 "내 엉덩이"는 반대를 나타내는 영어 욕설의 예이다.[50] 욕설의 강력한 성격은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51] 충격을 주기 위해 욕설을 사용하는 것도 포함된다.[52] 어떤 상황에서는, 화자가 무언가를 "꽤 굉장히 좋다"라고 묘사함으로써 긍정적인 강화를 줄 때와 같이, 욕설이 정중함의 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53]
제안적 또는 통제된 욕설은 의식적으로 이루어지며, 화자는 자신의 어휘와 표현 방식을 선택한다. 이것은 묘사적인 욕설을 사용할 때 더 흔하다. 비제안적 또는 반사적 욕설은 흥분이나 불쾌감에 대한 감정적 반응으로 본능적으로 이루어진다.[54][55] 빈번한 욕설은 화자가 신성모독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습관이 될 수 있다.[56]
욕설은 종종 구어적 채움말로 사용되는데, 이것은 수식어의 기능을 하며,[57] 욕설로 명사를 수식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싫어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58] 욕설은 "피투성이 기적"과 같이 형용사로, 또는 "그들은 엄청나게 빨리 운전했다"와 같이 부사로 단어를 수식할 수 있다.[59] 한 유형의 부사적 욕설은 "아니, 빌어먹을 네가 못 해"와 같이 조동사로 사용하는 것이다.[60] "형편없는"과 같이 새로운 수식어를 만들기 위해 복합어를 만들 수 있다.[61] 많은 유럽 언어는 "도대체 누구야?"와 같은 형태로 의문사에 강조를 추가하거나, "도대체 무엇이냐?"와 같은 형태로 전치사를 사용하여 욕설을 사용한다.[62] 수식어 욕설은 종종 특정 아이디어에 강조를 하는 감탄사적 수식어 또는 강조어로 자주 사용된다.[63] 이것은 일반적으로 영어 예시 "빌어먹을"과 "제기랄"과 같이 강한 감정을 표현하는 감탄사의 형태를 취한다.[64] 이러한 독립적인 욕설은 자연스러운 말에서 가장 흔한 것들 중 하나이다.[65] 감탄사적 삽입은 "절대적으로"를 "절대-빌어먹을-적으로"로 수정하는 것과 같이 다른 단어 안에 강조어로 욕설을 사용하는 것이다. 어떤 언어는 명사와 동사를 일반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욕설을 사용한다. 이것은 러시아어에서 가장 흔하다.
욕설은 거의 모든 문화권에 존재하지만, 언제 사용되는지, 그리고 말의 의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각 언어는 문화의 영향을 받은 독특한 욕설이 있다. 일본어는 때때로 욕설이 없다고 묘사되지만, (나쁜 말)의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금기에 기반하지 않지만 기능적으로는 욕설과 동등하다. 한 언어학 이론은 음성 상징주의가 욕설의 발음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한다. 여기에는 욕설이 파열음을 포함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제안이 포함되지만, 특히 인도유럽어족 외부에서는 연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욕설의 사용은 금기 사상을 표현하는 가장 흔한 방법이다. 금기적인 본질과 일상생활에서의 널리 퍼져있는 사용 사이의 이분법은 "욕설의 역설"로 연구된다. 일부 사회적 환경에서는 편안하게 사용되어 유대감과 동료애를 증진시키고, 비공식적인 사회적 환경을 나타내며, 화자를 내부 집단의 일원으로 표시할 수 있다. 화자가 사회적 환경에서 욕설을 사용하는 방식은 의사소통 스타일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과 성격을 투영할 수 있게 하며, 어떤 경우에는 동료들에게 감명을 주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스타일리시한 욕설은 말에 강조 또는 강도를 더하는 데 사용되며, 공격적이거나 권위적인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강조하거나, 아이디어를 기억에 남게 하거나, 익살스러운 효과를 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욕설은 종종 특정 단어가 특정 구절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관용구적 언어로 나타나는데, 이는 종종 문법화를 통해 발전된다. 이러한 구절 중 많은 수가 단어를 바꿀 수 있게 하여 "빌어먹을 무슨 일이야", "지옥의 불꽃이 뭐야", "젠장 무슨 일이야"와 같은 구절의 변형을 보여준다. 욕설은 "그 자식에게 자기 일에 신경 쓰라고 말해"에서 "그 자식"으로 "그를" 대체하는 것과 같이 연결 대명사로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존은 지루한 놈이다"와 같이 명사를 대체하는 대신 명사를 뒷받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욕설은 일반적으로 금기어와 관련이 있지만, 손짓과 같은 외설적인 비언어적 행위도 신성모독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대방을 향해 침을 뱉는 것은 역사적으로 강한 모욕으로 여겨져 왔다. 특정 신체 부위, 종종 성기나 엉덩이를 드러내는 것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신성모독으로 여겨진다.
"저주"는 일반적으로 욕설의 사용을 의미하지만, "망할 놈아" 또는 "너에게 역병이 들기를"와 같은 더 구체적인 해악의 구절을 의미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사람들은 무언가를 저주하는 대신 자신이 언급하는 아이디어를 맹세하거나 맹세했다. "하느님께 맹세코"와 같이 화자가 무언가를 맹세하는 맹세는 종교적 함의 없이 감탄사나 강조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아랍어에서 흔하다. "나는 망할 것이다"와 같이 자기 파괴적인 맹세는 화자가 자신에게 해를 입히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무언가가 사실인지에 따라 조건문으로 자주 사용된다—"나는 …할 것이다" 개인을 향한 욕설은 비우호적인 제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영어 예로는 "지옥에 가라"와 "내 엉덩이에 키스해라"가 있다. "네 어머니!"와 같이 일부 욕설은 욕설을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금기 또는 욕설을 암시한다.
많은 언어에서 생식기, 성교, 배설물, 정액, 엉덩이·항문, 유방 관련 속어가 많이 사용된다. 같은 것을 가리키더라도 음경, 질, 대변 등의 의학 용어를 사용하면 저속한 말로 여겨지지 않는다.
배설물이나 생식기에 관한 말 중 일부는 부모가 사용하는 것을 금하는 것을 재미있어하거나, 배설 행위를 쾌감으로 느껴 유아가 자주 사용한다.
많은 단어는 방송 금지어로 취급되며, 신문·잡지 등에서는 “f**k”, “ㅈㅈ”와 같이 줄임표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중국어, 광둥어에서는 비슷한 발음의 다른 한자로 바꾸거나, 부수를 제거하여 바꾸는 경우도 있다. 또한,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 채팅이나 전자 게시판에서는 사용 금지어로 지정되어 있다.
인명이나 외국의 지명, 구분을 바꾼 다른 분석 등 저속한 말을 연상시키는 것은 조롱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예: 홍만자, 킨타마니, 운흑재 등).
일본어에서는 성적인 관련어 중에서 글자 수가 네 글자인 것이 많고, 글자 자체가 모서리가 적고 곡률이 큰 획을 많이 사용하는 점에서 "둥글둥글한 네 글자"라고도 한다. 뒤에서 설명할 영어 어휘의 "four letter words(네 글자 단어)"와 공통점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른바 "속어"의 영역에도 포함되지만, 특정 사회에서 특정 조건의 요소를 가질 경우 그것을 낮춰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3. 종류
현대 욕설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종교, 성 또는 인체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고상한 종교적 욕설과 저속한 해부학적 욕설의 이분법을 만든다.[5] 언어와 문화에 따라 욕설의 주제에 대해 다른 강조를 한다. 예를 들어, 폴란드어에서는 해부학적 욕설이 흔하지만, 네덜란드어에서는 질병을 언급하는 욕설이 더 일반적이다.[6]
신성 모독은 종교적 의미를 유지하고 있으며,[7] 일상적인 것과 의도적으로 종교적 개념을 공격하는 신성모독 사이에 구분이 되는 경우가 있다.[8] 초기 문명에서는 특정한 것에 대해 말하는 것이 그것을 불러들이거나 저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널리 믿었다.[9] 많은 문화권에서 역사적인 두려움 때문에 사탄과 같은 악마의 이름을 말하는 것에 대한 금기가 있다.[10]
유럽 언어는 역사적으로 예수의 십자가 처형을 신성모독적인 감탄사의 초점으로 사용했다. "하느님의 죽음"을 의미하는 구절은 영어('''Sdeath'''), 프랑스어(Mort de Dieu|모르 드 디외프랑스어), 스웨덴어(Guds död|구드스 되드sv)와 같은 언어에서 사용되었다.[11] 세속화는 서구 세계에서 "하느님!"과 같은 감탄사가 종교적 함의와 분리되는 것을 보았다.[12] 퀘벡 프랑스어 욕설에서는 sacres|사크레프랑스어라고 알려진 가톨릭과 관련된 단어들이 사용되며, 프랑스어의 다른 신성모독적인 단어들보다 더 강력한 것으로 간주된다. 퀘벡에서 신성모독으로 간주되는 sacres|사크레프랑스어의 예로는 tabarnak|타바르나크프랑스어(성막(tabernacle)), hostie|오스티프랑스어(host)), sacrament|사크라망프랑스어(성사(sacrament))가 있다.[3]
레위기는 신성모독적인 언어가 사형에 해당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마태복음은 모든 욕설을 비난하는 것을 암시하지만, 퀘이커교만이 그러한 금지를 시행했다.[13] 이슬람교, 유대교, 그리고 브라만교는 하느님의 이름을 전혀 언급하는 것을 금한다.[14]
질병은 역사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재앙을 기원하는 욕설로 사용되어 왔다.[15] 여러 질병의 이름은 일부 언어에서 저속한 단어로 사용된다. "Pokkers"는 덴마크어와 노르웨이어에서 감탄사와 강조어로 사용된다.[16] 죽음은 광둥어와 같은 아시아 언어에서 또 다른 일반적인 주제이다.[17] 정신 질환 용어는 서구 세계에서 "바보"나 "정신지체아"와 같은 용어가 사람의 정신 능력에 도전하면서 저속한 말로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다.[18]
듣는 사람의 어머니를 향한 저속한 표현은 많은 주요 언어에 존재하지만, 영어를 제외한 게르만어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표현에는 종종 영어의 "개새끼" 또는 만다린어의 (간통한 남자의 아이)과 같이 주어의 어머니를 암시하는 학대적인 용어가 포함된다.[19]
정치 이념의 이름은 때때로 반대자들에 의해 욕설로 사용된다. "파시스트"는 현대 시대에 흔히 사용되는 욕설로, 역사적으로 사용되던 "급진적"을 대체했다.[20]
본질적으로 저속하지 않더라도 동물의 이름은 학대적인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동물의 특성을 언급한다. 영어의 예로는 여성을 비하하는 "년" 또는 원치 않는 사람을 묘사하는 "이"가 있다.[21]
멸칭은 특정 인구 집단을 겨냥하는 단어이다.[22] 이러한 단어는 외국인 혐오와 편견을 투영하는 데 사용되며, 종종 고정관념을 통해 이루어진다. 소수 집단에 대한 용어는 때때로 욕설로 사용된다. 이것은 "유대인"과 같은 저속한 용어 또는 "동성애자"와 같은 저속하지 않은 용어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23]
3. 1. 한국어 욕설
'''개새끼''' 혹은 '''개자식'''은 한국에서 쓰이는 욕설 중 하나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어떤 사람을 좋지 않게 여겨 욕하여 이르는 말."로 정의하고 있다.[60] 영어로는 ''''Son of a bitch''''와 같다. 여기서 'bitch'는 '암캐' 및 '창녀'를 가리키기도 한다.[62] '자식'이란 단어의 속된 표현으로, 인간의 '자식'이 아니라 짐승의 '새끼'라는 것으로 인간도 아니며 바람 난 짐승보다 더한 것의 자손이라는 것을 모욕하는 표현이다.
'성관계'를 뜻하는 우리말 '씹'에 할이 붙어 씹할놈이 어원이다. 영어로는 ''''Fuck'''
''''닥쳐'''
''''꺼져'''
'병신'은 본래 정상적인 행동을 할 수 없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이다. 영어로는 '백치'를 뜻하는 ''''Idiot'''
''''좆'''이 나올 정도', 즉, ''''성기'''가 튀어나올 정도'라는 의미로, 매우 놀라는 상황의 속된 표현에 쓰인다. 영어로는 '성관계' 관련 단어인 ''''Fucking'''
상대방을 비하하는 표현 중 하나로, ''''염병'''
''''젠장'''
'간질병', 즉 뇌전증을 뜻한다. 영어로는 ''''Hell'''
상대방의 부모를 욕하는 매우 심한 욕설이다. 인간의 '어머니', '아버지'가 아니라 짐승의 ''''애미 (어미)'''
''''보지'''
'장애인'에서 '인'을 뺀 말이며 비하 발언이다.
3. 2. 외국어 욕설
영어는 특히 미국에서 "저주하다(cursing)"를 "맹세하다(swearing)"와 유사하게 사용한다.[1] "저주하다(cursing)"는 원래 누군가에게 저주를 내리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특별히 가리켰고,[2] 미국 영어에서는 여전히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기를 바라는 것과 일반적으로 관련이 있다.[3] 덴마크어 (bandeda), 이탈리아어 (imprecareit), 노르웨이어 (banneno)에서 "저주하다(cursing)"와 같은 의미의 단어가 유사하게 사용된다.[4]
현대 욕설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종교, 성 또는 인체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고상한 종교적 욕설과 저속한 해부학적 욕설의 이분법을 만든다.[5] 언어와 문화는 욕설의 주제에 대해 다른 강조를 한다. 예를 들어, 폴란드어에서는 해부학적 욕설이 흔하지만, 네덜란드어에서는 질병을 언급하는 욕설이 더 일반적이다.[6]
성행위와 관련된 욕설, 특히 생식기와 관련된 모욕적인 표현은 문화 전반에 걸쳐 존재한다.[7] 언급되는 구체적인 측면은 각 문화에 따라 민감하게 다르며, 근친상간이나 간통과 같은 개념을 얼마나 강조하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다.[8] 특정 유형의 성행위(구강성교, 항문성교, 자위행위 등)는 특히 주목을 받을 수 있다.[9] 성행위를 묘사하는 동사는 영어의 ''fuck'', 프랑스어의 foutre프랑스어, 이탈리아어의 fottereit, 스페인어의 jodidoes, 러시아어의 ебатьru (''yebatˈ'')와 같이 자주 저속한 표현으로 사용된다.[10] 영어의 ''jerk-off''와 ''wanker''와 같이 자위행위를 하는 사람을 묘사하는 단어는 종종 욕설로 사용된다.[11] 영어의 ''hussy''와 ''매춘부''와 같이 성적으로 문란한 여성을 묘사하는 용어는 욕설로 사용될 수 있다.[12] 영어의 ''whore'', 프랑스어의 putain프랑스어, 이탈리아어의 puttanait, 폴란드어의 kurwapl, 러시아어의 блятьru (''blyat'''), 스페인어의 putaes와 같이 매춘부를 가리키는 많은 저속한 단어가 있다.[13] 독일어와 스웨덴어를 포함한 일부 언어는 성적인 용어를 욕설로 사용하는 것을 그다지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14]
남성 성기와 여성 성기를 가리키는 욕설은 종종 감탄사로 사용된다. 이탈리아어 (cazzoit), 러시아어 (хуйru, ''khuy''), 스페인어 (carajoes)에서 남성 성기를 가리키는 감탄사가 자주 사용된다. 네덜란드어 (kutnl), 헝가리어 (piscahu), 러시아어 (пиздаru, ''pizda''), 스페인어 (coñoes), 스웨덴어 (fittasv)에서 여성 성기를 가리키는 감탄사가 자주 사용된다.[15] 이러한 용어, 특히 여성 성기와 관련된 용어는 모욕적인 표현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16] 영어 (''balls'' 또는 ''bollocks''), 이탈리아어 (coglioneit), 스페인어 (cojoneses)와 같이 고환과 관련된 욕설은 덜 일반적이며 감탄사로 사용될 수 있다. 덴마크어는 klotzaakda을 사용하여 고환을 모욕적인 표현으로 사용한다.[17]
영어 (''ass'' 또는 ''arse''), 프랑스어 (cul프랑스어), 폴란드어 (dupapl), 러시아어 (жопаru, ''zhopa''), 스페인어 (culoes)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엉덩이를 가리키는 단어가 반감을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덴마크어 (røvhulda), 영어 (''asshole'' 또는 ''arsehole''), 독일어 (Arschlochde), 아이슬란드어 (rassgatis), 노르웨이어 (rasshølno), 폴란드어 (dupekpl)와 같은 언어에 항문을 가리키는 유사한 단어가 나타난다.[18] 배설물 및 관련 개념은 욕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9] 영어의 ''shit'', 프랑스어의 merde프랑스어, 독일어의 scheissede, 이탈리아어의 stronzoit는 유럽 언어의 예시이다.[20]
질병은 역사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재앙을 기원하는 욕설로 사용되어 왔다.[21] 여러 질병의 이름은 일부 언어에서 저속한 단어로 사용된다. 덴마크어와 노르웨이어에서 "Pokkers"는 감탄사와 강조어로 사용된다.[22] 죽음은 광둥어와 같은 아시아 언어에서 또 다른 일반적인 주제이다.[23] 정신 질환 용어는 서구 세계에서 "바보"나 "정신지체아"와 같은 용어가 사람의 정신 능력에 도전하면서 저속한 말로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다.[24]
듣는 사람의 어머니를 향한 저속한 표현은 많은 주요 언어에 존재하지만, 영어를 제외한 게르만어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영어의 "개새끼" 또는 만다린어의 과 같이 이러한 표현에는 종종 주어의 어머니를 암시하는 학대적인 용어가 포함된다.[25] 러시아어 욕설은 듣는 사람의 여성 친척의 성적 행위에 중점을 두는데, 그들과 관련된 성적 활동을 묘사하거나 듣는 사람이 그들과 활동에 참여하도록 제안하는 방식이다.[26]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는 때때로 욕설에서 사망한 조상을 언급한다.[27]
영어권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사용된다.
러시아어 저속어 표현은 풍부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다음 네 가지 단어의 변형이다.[56] 2014년 러시아 정부는 이 네 가지 단어를 방송 금지어로 지정했다.[58]
폴란드, 체코, 헝가리 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저속어는 "쿠르바"(kurwapl,체코어·슬로바키아어·헝가리어:kurvahu,“매춘부”의 의미)이며, 일상적인 대화에서도 자주 등장한다.[59]
4. 역사와 어원
욕설은 공격적인 언어, 욕, 금기어 등으로 묘사될 수 있다.[1] "신성을 더럽히는 말"은 고전 라틴어 profanus|프로파누스la에서 유래했는데, 문자 그대로 '성전(신전) 밖의'를 의미하며, pro|밖의la를 뜻하는 fanum|성전, 신성한 장소la를 의미한다.[2] 이는 중세 영어에서 "성전을 더럽히다"라는 의미로 더 발전했다. 영어에서 "맹세하다(swearing)"는 욕설 사용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언어적 용어이며, 서약과는 관련이 없다. 프랑스어 (jurer프랑스어), 캐나다 프랑스어 (), 스웨덴어 (svärasv)는 욕설과 서약 모두에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영어, 특히 미국에서는 "저주하다(cursing)"를 "맹세하다(swearing)"와 유사하게 사용한다. "저주하다(cursing)"는 원래 누군가에게 저주를 내리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가리키며, 미국 영어에서는 여전히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기를 바라는 것과 관련이 있다. 덴마크어 (bandeda), 이탈리아어 (imprecareit), 노르웨이어 (banneno)는 "저주하다(cursing)"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맹세하다(swearing)"와 "저주하다(cursing)"라는 용어는 분노 속에서 욕설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깊다.
"신성 모독"과 "음란"은 "욕설"과 유사하게 사용되지만, "신성 모독"은 종교적 의미를 유지하고 있다. "감탄사"는 욕설을 사용하는 또 다른 영어 용어이며, 문장 길이를 바꾸면서 의미는 바꾸지 않는 단어를 추가하는 원래 의미에서 유래했다. "욕설"은 특정인을 향한 욕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언어는 욕설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가 없고, 대신 "나쁜 언어를 사용하다"라는 구절로 설명한다. 여기에는 만다린어 (), 포르투갈어 (palavraopt), 스페인어 (decir palabrotases), 터키어 (küfur etmektr)가 포함된다.
욕설의 역사적 재구성은 어렵다. 기록된 자료가 구어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욕설은 금기의 성격 때문에 역사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다. 욕설은 언어학 및 사회학의 한 측면으로 연구될 수도 있고, 심리학 및 신경학적 주제가 될 수도 있다. 대인 의사소통 외에도 욕설에 대한 이해는 법적 의미를 가지며 언어 학습 이론과 관련이 있다.
현대 유럽 언어에서 욕설은 초기 기독교, 주로 하나님의 이름을 헛되이 부르는 것에 대한 구약 성서의 제한을 통해 발전했다. 하나님을 부르는 행위는 그의 능력을 부르려는 시도, 즉 무언가가 사실이 되기를 바라거나 저주를 내리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나님에 대한 다른 언급은 자신을 하나님보다 높이려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름을 말하는 사람은 그 이름의 소유자보다 힘이 있다고 암시했다.
욕설 자체를 연구 주제로 삼은 현대적 연구는 1901년에 시작되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욕설이 공격성, 반사회적 행동, 금기의 침해 등 무의식을 반영한다는 주장을 통해 이 주제에 대한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1960년대에 애슐리 몽타규와 에드워드 사가린의 저술을 통해 중요한 활동이 시작되었고, 그 다음 10년 동안 연구가 증가했다. 민족 모욕적 욕설과 동성애 혐오와 같은 특정 유형의 차별적 욕설은 20세기 말에 더 광범위한 유형의 욕설인 혐오 발언의 일부로 설명되기 시작했다. 21세기 초에 욕설 연구가 다시 증가했다.
질병은 역사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재앙을 기원하는 욕설로 사용되어 왔다. 여러 질병의 이름은 일부 언어에서 저속한 단어로 사용된다. "Pokkers"는 덴마크어와 노르웨이어에서 감탄사와 강조어로 사용된다. 죽음은 광둥어와 같은 아시아 언어에서 또 다른 일반적인 주제이다. 정신 질환 용어는 서구 세계에서 "바보"나 "정신지체아"와 같은 용어가 사람의 정신 능력에 도전하면서 저속한 말로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다.
듣는 사람의 어머니를 향한 저속한 표현은 많은 주요 언어에 존재하지만, 영어를 제외한 게르만어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표현에는 종종 영어의 "개새끼" 또는 만다린어의 (간통한 남자의 아이)과 같이 주어의 어머니를 암시하는 학대적인 용어가 포함된다. 러시아어 욕설은 듣는 사람의 여성 친척의 성적 행위에 중점을 두는데, 그들과 관련된 성적 활동을 묘사하거나 듣는 사람이 그들과 활동에 참여하도록 제안하는 방식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는 때때로 욕설에서 사망한 조상을 언급한다.
정치 이념의 이름은 때때로 반대자들에 의해 욕설로 사용된다. "파시스트"는 현대 시대에 흔히 사용되는 욕설로, 역사적으로 사용되던 "급진적"을 대체했다. 극좌 그룹은 역사적으로 "자본가"와 "제국주의자"와 같은 단어를 학대적인 용어로 사용했고, 반공산주의자들은 같은 방식으로 "공산주의자"를 사용했다. 정치 용어를 저속한 의미로 사용하면 종종 그 용어가 덜 영향력을 갖게 되거나 정치적 기술어로서의 관련성을 완전히 잃게 된다.
본질적으로 저속하지 않더라도 동물의 이름은 학대적인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동물의 특성을 언급한다. 영어의 예로는 여성을 비하하는 "년" 또는 원치 않는 사람을 묘사하는 "이"가 있다. 이탈리아어 porco dio|포르코 디오it (돼지 신)과 같은 감탄사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동물 관련 욕설은 서로 다른 언어에서 유사하게 사용된다는 점에서 다른 형태와 구별된다. 개, 소, 당나귀, 돼지 관련 욕설이 언어 전반에서 가장 일반적인 동물 관련 욕설에 속한다. 원숭이 관련 욕설은 아랍 문화와 동아시아 문화에서 흔하다.
멸칭은 특정 인구 집단을 겨냥하는 단어이다. 이러한 단어는 외국인 혐오와 편견을 투영하는 데 사용되며, 종종 고정관념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어는 서로 다른 인종이나 민족 집단 간의 접촉이나 갈등이 증가하는 시기에, 즉 두 개 이상의 국가 간의 전쟁 시기에 일반적으로 발달한다. 소수 집단에 대한 용어는 때때로 욕설로 사용된다. 이것은 "유대인"과 같은 저속한 용어 또는 "동성애자"와 같은 저속하지 않은 용어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의 대부분은 문화 특유의 것이다. 한 집단의 이름을 다른 집단을 비하하는 데 사용하는 경우, "훈족"은 먼저 르네상스 시대에, 그리고 다시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독일인의 잔인한 캐리커처와 관련되게 되었다. 하층민이나 지위가 낮은 사람에 대한 일부 용어는 일반적으로 저속하거나 경멸적인 의미를 갖게 될 수 있다. 영어의 예로는 "악당", "음란한", "인간 쓰레기"가 있다.
5. 사회적 인식과 법적 규제
욕설은 맥락에 따라 그 의미와 사회적 수용 여부가 달라진다. 어떤 환경에서는 금기시되거나 무례하게 여겨지는 표현이 다른 환경에서는 자연스럽게 사용될 수 있다.[58][59][60] 욕설의 강도 또한 다양하며, 약한 욕설이 실제로 욕설인지에 대한 의견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61]
화자의 정체성은 욕설이 어떻게 인식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는 계층, 성별, 연령대 등에 따라 욕설에 대한 기준이 다를 수 있다.[63] 일반적으로 남성이 욕설을 사용할 때 더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경향이 있으며,[64] 이는 마초이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65] 욕설은 화자의 신뢰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어떤 상황에서는 비전문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주장을 더 설득력 있게 만들 수도 있다.
기대 위반 이론에 따르면, 화자의 행동에 대한 기대는 화자의 정체성, 평소 의사소통 방식, 그리고 특정 청자에게 기대되는 사회적 규범에 따라 달라진다. 공식적인 자리에서 욕설을 사용하는 것은 비공식적인 대화에서 사용하는 것보다 기대를 더 크게 위반하는 것이다. 욕설이 공개적으로 사용되었는지, 사적으로 사용되었는지도 사회적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모국어 화자는 주어진 맥락에 적절한 언어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언어를 배우는 어린이나 외국어 학습자는 욕설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욕설에 대한 수용 가능한 환경은 어린 시절에 학습되며, 어린이는 특정 장소에서 욕설을 사용했을 때 더 크게 꾸중을 듣는 경험을 통해 이를 습득한다.
욕설은 반복됨에 따라 그 심각성이 감소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모욕적인 표현이 반어적으로 또는 긍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될 때, 해당 표현의 대상이 되는 집단에 의해 재차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퀴어"는 LGBTQ 커뮤니티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금기시되는 생각을 검열하려는 경향은 모든 문화권에 존재한다.[38] 부적절한 욕설은 사회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공공장소에서의 욕설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도 있다.[2] 언론의 자유가 증오 발언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비속어를 허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그러한 발언을 제한하는 것이 정당한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검열은 비속어를 제한하거나 처벌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정부는 특정 비속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률을 시행할 수 있다.[62] 예를 들어, 라디오나 텔레비전을 통한 비속어 방송을 제한하는 법적 규제가 있다.[9]
욕설 자체를 연구 주제로 삼은 현대적 연구는 1901년에 시작되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욕설이 공격성, 반사회적 행동, 금기의 침해 등 무의식을 반영한다는 주장을 통해 이 주제에 대한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5. 1. 사회적 인식
욕설은 상대방을 모욕하거나 비난하기 위해, 또는 혼자 화가 났을 때 주로 사용된다. 장난으로나 말버릇처럼 쓰는 사람도 있다.[1] 욕설은 일반적인 표현이 따로 없고, 단어나 구, 절 형식으로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속어나 비어와는 다르다.[2] 어떤 표현이든 모욕이나 비난의 의도로 사용되었다면 그 맥락에서는 욕설이 된다.[3] 한편, 사전에 등재되는 욕설은 실제로 사용되는 욕설의 수에 비해 많지 않다.[4]욕설은 주로 개인을 향하지만, 특정 집단의 특징이나 정체성을 공격하는 혐오 표현과는 다르다. 예를 들어, '씨발'이라는 욕은 듣는 순간에만 반응이 나타나지만, '찐따'라는 욕설은 '찐따'의 의미 자체에 관심을 가지며 적극적인 방어를 넘어 미화를 시도하는 집단을 가질 수도 있다.
'닥쳐', '꺼져', '병신', '지랄', '젠장', 'hell', 'damn' 등이 욕설인지 아닌지 명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일부 존재한다. 의외로 어린이 원서에서 "입 '''닥치고''' 썩 '''꺼져'''!"와 같은 대사가 나오기도 한다. 스펀지 2.0에서는 브라질에서 떡만두국이 욕으로 들리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욕설은 화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5][6] 욕설의 부정적인 연상은 감정적으로 격앙되어 있음을 의미한다.[7][8] 분노와 좌절의 표현은 욕설의 가장 흔한 이유이다.[9] 이러한 표현은 모욕적인 욕설과 관련이 있으며,[10] 가장 부정적으로 여겨지고 대상을 모욕하거나 불쾌하게 하기 위해 특별히 선택된다. 개새끼처럼 직접적인 모욕이나, "꺼져"와 같이 상대방에게 욕설을 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11] 또한 경멸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12] 카타르시스적인 욕설은 불쾌감의 표현으로 사용되며,[13] 특정 대상을 향한 욕설보다 덜 무례한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14] 욕설은 동의 또는 반대의 진술로 사용될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가 더 흔하다. "그럴 리가 없어"와 "내 엉덩이"는 반대를 나타내는 영어 욕설의 예이다.[15] 욕설의 강력한 성격은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16] 충격을 주기 위해 욕설을 사용하는 것도 포함된다.[17] 어떤 상황에서는, 화자가 무언가를 "꽤 굉장히 좋다"라고 묘사함으로써 긍정적인 강화를 줄 때와 같이, 욕설이 정중함의 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18]
제안적 또는 통제된 욕설은 의식적으로 이루어지며, 화자는 자신의 어휘와 표현 방식을 선택한다. 비제안적 또는 반사적 욕설은 흥분이나 불쾌감에 대한 감정적 반응으로 본능적으로 이루어진다.[19][20] 빈번한 욕설은 화자가 신성모독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습관이 될 수 있다.[21]
욕설은 종종 구어적 채움말로 사용되는데, 수식어의 기능을 한다.[22] 욕설로 명사를 수식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싫어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23] "피투성이 기적"과 같이 형용사로, 또는 "그들은 엄청나게 빨리 운전했다"와 같이 부사로 단어를 수식할 수 있다.[24] "아니, 빌어먹을 네가 못 해"와 같이 조동사로 사용될 수도 있다.[25] "형편없는"과 같이 새로운 수식어를 만들기 위해 복합어를 만들 수도 있다.[26] 많은 유럽 언어는 "도대체 누구야?"와 같은 형태로 의문사에 강조를 추가하거나, "도대체 무엇이냐?"와 같은 형태로 전치사를 사용하여 욕설을 사용한다.[27] 수식어 욕설은 종종 특정 아이디어에 강조를 하는 감탄사적 수식어 또는 강조어로 자주 사용된다.[28] 이것은 일반적으로 "빌어먹을"과 "제기랄"과 같이 강한 감정을 표현하는 감탄사의 형태를 취한다.[29] 이러한 독립적인 욕설은 자연스러운 말에서 가장 흔한 것들 중 하나이다.[30] 감탄사적 삽입은 "절대적으로"를 "절대-빌어먹을-적으로"로 수정하는 것과 같이 다른 단어 안에 강조어로 욕설을 사용하는 것이다.[31] 어떤 언어는 명사와 동사를 일반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욕설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러시아어에서 가장 흔하다.[32]
욕설은 거의 모든 문화권에 존재하지만, 사용 시기와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33] 각 언어는 문화의 영향을 받은 독특한 욕설이 있다.[34] 일본어는 욕설이 없다고 묘사되기도 하지만, (나쁜 말) 개념이 있으며, 이는 기능적으로 욕설과 동등하다.[35] 한 언어학 이론은 음성 상징주의가 욕설의 발음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한다. 여기에는 욕설이 파열음을 포함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제안이 포함되지만, 특히 인도유럽어족 외부에서는 연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36]
욕설의 사용은 금기 사상을 표현하는 가장 흔한 방법이다.[37] 금기적인 본질과 일상생활에서의 널리 퍼져있는 사용 사이의 이분법은 "욕설의 역설"로 연구된다.[38] 일부 사회적 환경에서는 편안하게 사용되어 유대감과 동료애를 증진시키고, 비공식적인 사회적 환경을 나타내며, 화자를 내부 집단의 일원으로 표시할 수 있다.[39] 화자가 사회적 환경에서 욕설을 사용하는 방식은 의사소통 스타일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과 성격을 투영할 수 있게 하며,[40] 어떤 경우에는 동료들에게 감명을 주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41] 스타일리시한 욕설은 말에 강조 또는 강도를 더하는 데 사용되며,[42][43] 공격적이거나 권위적인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강조하거나, 아이디어를 기억에 남게 하거나, 익살스러운 효과를 낼 수 있다.[44]
욕설은 종종 특정 구절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관용구적 언어로 나타나는데, 이는 종종 문법화를 통해 발전된다.[45] 이러한 구절 중 많은 수가 단어를 바꿀 수 있게 하여 "빌어먹을 무슨 일이야", "지옥의 불꽃이 뭐야", "젠장 무슨 일이야"와 같은 구절의 변형을 보여준다.[46] 욕설은 "그 자식에게 자기 일에 신경 쓰라고 말해"에서 "그 자식"으로 "그를" 대체하는 것과 같이 연결 대명사로 사용될 수 있다.[47] 마찬가지로, "존은 지루한 놈이다"와 같이 명사를 대체하는 대신 명사를 뒷받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48] 욕설은 일반적으로 금기어와 관련이 있지만, 손짓과 같은 외설적인 비언어적 행위도 신성모독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대방을 향해 침을 뱉는 것은 역사적으로 강한 모욕으로 여겨져 왔다.[49] 특정 신체 부위, 종종 성기나 엉덩이를 드러내는 것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신성모독으로 여겨진다.[50]
"저주"는 일반적으로 욕설의 사용을 의미하지만, "망할 놈아" 또는 "너에게 역병이 들기를"과 같은 더 구체적인 해악의 구절을 의미할 수 있다.[51] 역사적으로 사람들은 무언가를 저주하는 대신 자신이 언급하는 아이디어를 맹세하거나 맹세했다.[52] "하느님께 맹세코"와 같이 화자가 무언가를 맹세하는 맹세는 종교적 함의 없이 감탄사나 강조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아랍어에서 흔하다.[53] "나는 망할 것이다"와 같이 자기 파괴적인 맹세는 화자가 자신에게 해를 입히는 것을 포함한다.[54] 이것은 무언가가 사실인지에 따라 조건문으로 자주 사용된다.[55] 개인을 향한 욕설은 비우호적인 제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영어 예로는 "지옥에 가라"와 "내 엉덩이에 키스해라"가 있다.[56] "네 어머니!"와 같이 일부 욕설은 욕설을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금기 또는 욕설을 암시한다.[57]

욕설 여부는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데, 어떤 환경에서는 금기시되거나 무례한 것이 다른 환경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58][59][60] 욕설의 강도는 다양하며, 화자는 약한 욕설이 실제로 욕설인지에 대해 의견이 다를 수 있다.[61] 맥락 없이 사용되는 욕설은 맥락 속에서 사용되는 욕설보다 더 심한 욕설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62]
화자의 정체성은 욕설이 어떻게 인식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는 계층, 성별, 연령대 및 기타 정체성에 대한 기준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63] 욕설은 남성에게서 나올 때 더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며,[64] 일반적으로 마초이즘과 관련이 있다.[65] 욕설은 화자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하다. 어떤 상황에서는 비전문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주장을 더 설득력 있게 만들 수 있다. 더 약한 단어도 다른 상황에서는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cheat(속이다)”는 학교나 도박장에서 더 자극적일 수 있으며, “informer(밀고자)”는 범죄 현장에서 부정직한 사람을 비난하는 용어로 “crook(사기꾼)”을 대체한다. 욕설은 군인이나 마부와 같은 하층 직업과 종종 관련이 있다.
기대 위반 이론은 화자의 행동에 대한 기대는 화자의 정체성뿐만 아니라 특정 화자가 일반적으로 어떻게 의사소통하는지, 그리고 주어진 청취자에게 말하는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방식에 근거한 인상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공식적인 맥락에서의 욕설은 비공식적인 대화에서의 욕설보다 기대를 더 크게 위반하는 것이다. 욕설이 공개적으로 말해졌는지 사적으로 말해졌는지 여부도 사회적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욕설이 포함된 대화는 속어, 유머 및 성에 대한 논의와 같은 다른 비공식적인 말투와 상관관계가 있다.
모국어 화자는 주어진 맥락에 적절한 언어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직 언어를 배우고 있는 사람들, 예를 들어 어린이와 비원어민은 욕설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욕설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 욕설에 대해 받아들일 수 있는 환경은 어린 시절에 학습되는데, 어린이는 어떤 장소에서 욕설을 하는 것에 대해 다른 장소보다 더 꾸중을 듣기 때문이다. 어린 아이들은 종종 더 약한 욕설을 사용하며, “fart(방귀)”나 “dork(바보)”와 같이 성인들이 욕설로 여기지 않는 용어에 대해 더 큰 낙인을 찍는다. 어린 아이들은 “pooh-pooh(쉿)”와 같이 가장 약한 용어를 욕설로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 청소년은 “balls(공)”과 같은 용어에서 이중 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욕설의 심각성은 반복됨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퀴어”가 LGBTQ 커뮤니티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것처럼, 모욕적인 말은 반어적으로 또는 긍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될 때 표적이 된 그룹에 의해 재차용될 수 있다.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은 나중에 습득한 언어보다 모국어의 욕설에 대해 더 강한 감정적 연관성을 갖는 경우가 많다. 욕설의 심각성은 동일한 언어 내의 방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사전 출판사는 특히 외설죄 법률의 적용을 받는 경우 어떤 단어를 포함할지 결정할 때 욕설을 고려해야 한다. 그들은 포함함으로써 욕설의 사용을 지지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경계할 수 있다. 속어 사전은 역사적으로 더 공식적인 사전 대신 욕설을 다루는 데 사용되어 왔다.
어떤 문화권에서는 욕설이 좋은 에티켓인 상황이 있다. 중국 일부 지역에는 신부가 결혼식 전날 신랑의 가족에게 욕설을 하는 것이 관례였던 전통이 있으며, 어떤 호주 원주민 문화에서는 욕설을 계급을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
많은 언어에서 생식기, 성교, 배설물, 정액, 엉덩이·항문, 유방 관련 속어가 많이 사용된다. 같은 것을 가리키더라도 음경, 질, 대변 등의 의학 용어를 사용하면 저속한 말로 여겨지지 않는다. 배설물이나 생식기에 관한 말 중 일부는 부모가 사용하는 것을 금하는 것을 재미있어하거나, 배설 행위를 쾌감으로 느껴 유아가 자주 사용한다.
많은 단어는 방송 금지어로 취급되며, 신문·잡지 등에서는 “f**k”, “ㅈㅈ”와 같이 줄임표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중국어, 광둥어에서는 비슷한 발음의 다른 한자로 바꾸거나, 부수를 제거하여 바꾸는 경우도 있다. 또한,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 채팅이나 전자 게시판에서는 사용 금지어로 지정되어 있다.
인명이나 외국의 지명, 구분을 바꾼 다른 분석 등 저속한 말을 연상시키는 것은 조롱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예: 홍만자, 킨타마니, 운흑재 등).
일본어에서는 성적인 관련어 중에서 글자 수가 네 글자인 것이 많고, 글자 자체가 모서리가 적고 곡률이 큰 획을 많이 사용하는 점에서 "둥글둥글한 네 글자"라고도 한다. 뒤에서 설명할 영어 어휘의 "four letter words(네 글자 단어)"와 공통점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른바 "속어"의 영역에도 포함되지만, 특정 사회에서 특정 조건의 요소를 가질 경우 그것을 낮춰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분류 | 예시 |
---|---|
성기 관련 | 좆, 좆, 씹창년, 좆물, 고환, (규슈 일부 등에서) 보보 |
성교 관련 | 간통하다, 섹스하다, 강간하다, 성교하다 |
둔부 | 엉덩이 |
배설물 | 똥, 똥, 오줌 |
취향・사상・사회 관련 | 에타, 천민, 부락, 넷카마 |
그 외에도 외모, 체질, 기능적인 차이를 낮추는 경우가 있으며, 대머리, 배꼽, 절름발이, 벙어리, 앉은뱅이 등과 같이 경멸적인 표현으로 여겨질 수 있는 것은 매우 많으며, 또한 지역에 따라서는 일반어에 존재하지 않는 저속한 표현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예로는 노구치 히데요의 유년기에 별명으로 불렸던 "텐보"는 "손지팡이"라는 뜻이며, 이것도 저속한 표현이다. 그 외 자동차 번호나 전화번호 등에서 "1919" = 이쿠이쿠 등은 특히 여성에게 싫어하며 사용하지 않는다.
- 멍청이(asshole) - (직역하면 항문)
- 욕설(네 글자 단어)(four letter words) - 영어에서는 4글자 단어가 많다(shit, cunt, fuck, suck 등)는 점에서 속칭 네 글자 욕설이라고 불린다.
- 일곱 가지 욕설(Seven dirty words) - shit, piss, fuck, cunt, cocksucker, motherfucker, tits의 총칭.
5. 2. 법적 규제
라디오나 텔레비전에서 욕설을 표현하는 것이 불법인 국가에서는 프로그램을 미리 녹취하거나 송출 지연 장치를 사용하여 방영 전에 욕설을 삭제한다.[8] 공공장소에서의 욕설은 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2] 언론의 자유가 증오 발언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비속어를 허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그러한 발언 형태를 정당하게 제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검열은 비속어를 제한하거나 처벌하는 데 사용되며, 정부는 특정 비속어 행위를 금지하는 법률을 시행할 수 있다.[62] 여기에는 라디오나 텔레비전을 통한 비속어 방송을 제한하는 법적 제약이 포함된다.[9]여러 국가에서 욕설 사용에 대한 법적 규제가 존재한다.
국가 | 법적 규제 내용 |
---|---|
오스트레일리아 | 모든 주와 준주에서 공공장소 또는 그 인근에서 공격적이거나, 음란하거나, 모욕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범죄이다.[9] 경찰은 피의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10] |
브라질 | 형법에 공개적인 욕설에 대한 즉각적인 처벌 규정은 없지만, 타인에 대한 직접적인 모욕은 명예훼손죄로 간주될 수 있다.[12] |
캐나다 | 형법 175조는 공공장소에서 욕설을 하거나 모욕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한다. 주와 지방자치단체 또한 공공장소에서의 욕설에 대한 자체 법률을 가지고 있다.[14] |
인도 | 형법 제294A조와 제294B조에는 종교적 감정이나 신앙을 고의적으로 격분시키기 위해 공공장소에서 부적절하거나 음란한 말(구두 또는 서면)을 사용하는 개인을 처벌하는 법적 조항이 있다.[16] |
뉴질랜드 | 「1981년 경범죄법(Summary Offences Act 1981)」에 따라 공공장소 또는 공공장소에서 들을 수 있는 곳에서 "저속하거나 음란한 말"을 사용하는 것이 불법이다.[22] |
필리핀 | 2018년 바기오 시는 아이들이 자주 찾는 지역에서 욕설과 저속한 언행을 금지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24] |
러시아 | 공개적인 욕설은 행정 위반으로 간주된다. 처벌은 벌금 또는 구금이다.[26] |
영국 | 욕설 자체는 일반적으로 범죄에 해당하지 않지만, 상황에 따라 범죄의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는 공개적인 욕설은 1986년 공공질서법에 따라 범죄가 될 수 있다.[28] |
미국 | 미국 헌법 수정 제1조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므로, 단순히 욕설을 사용했다는 이유만으로 누군가를 기소할 권리가 없다.[32] 그러나 폭동을 선동하거나, 사람들을 괴롭히거나, 치안을 방해하기 위해 욕설을 사용한 경우에는 유죄 판결을 받을 수 있다.[33] |
6. 생리학 및 신경학
욕설은 화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13],[14] 분노와 좌절 표현은 욕설의 가장 흔한 이유이다.[16] 이러한 표현은 모욕적인 욕설과 관련이 있으며,[15] 상대방을 개새끼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직접적인 모욕이나, "꺼져"라고 말하는 것과 같이 상대방에게 욕설을 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16] 경멸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17] 카타르시스적인 욕설은 불쾌감의 표현으로 사용되며,[16] 특정 대상을 향한 욕설보다 덜 무례한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18]
제안적 또는 통제된 욕설은 의식적으로 이루어지며, 화자는 자신의 어휘와 표현 방식을 선택한다. 비제안적 또는 반사적 욕설은 흥분이나 불쾌감에 대한 감정적 반응으로 본능적으로 이루어진다.[19],[20] 잦은 욕설은 화자가 신성모독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습관이 될 수 있다.[21]
뇌는 다른 언어 형태와는 다르게 욕설을 처리한다.[47] 의도적인 욕설은 뇌의 좌반구와 관련이 있으며, 반사적인 욕설은 우반구와 관련이 있다.[48] 욕설은 뇌의 언어 처리 부분인 좌측 전두엽과 측두엽뿐만 아니라 감정 처리 부분인 우측 대뇌와 편도체와 모두 관련이 있다.[49] 편도체와 변연계의 다른 부분과 감정적인 욕설의 연관성은 욕설의 일부 사용이 투쟁-도피 반응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50]
욕설에 노출되면 각성 수준이 높아지며,[52] 투쟁-도피 반응의 일부로 심박수와 피부전기활동이 증가할 수 있다.[53],[54] 욕설은 특히 평소 욕설을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통증 내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55]
강박적인 욕설은 코프롤라리아라고 하며, 뚜렛 증후군, 치매, 간질과 같은 신경학적 질환과 관련이 있다.[56] 신경학적 외상으로 실어증이 발생하더라도 욕설을 사용하는 능력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57],[58] 잦은 욕설은 뇌 또는 신경계의 다른 부분에 손상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더 흔하다.[58] 전전두엽 피질 내측 전방부의 손상은 욕설과 다른 사회적으로 부적절한 행동의 사용을 조절하는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브로카 영역과 뇌의 다른 언어 처리 영역의 손상은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폭발적인 행동을 하도록 만들 수 있다. 우반구의 손상은 자신의 말의 감정적 내용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제한한다.[59]
참조
[1]
서적
profane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2012-02-14
[2]
웹사이트
OEtymD|profane
[3]
웹사이트
The Delightful Perversity of Québec's Catholic Swears
https://www.atlasobs[...]
2024-09-19
[4]
서적
Itämerensuomalaisten mytologia
SKS
[5]
서적
Agricola's Ukko in the light of archeology. A chronological and interpretative study of ancient Finnish religion: Old Norse and Finnish religions and cultic place-names.
[6]
웹사이트
Miten suomalaiset kiroilivat ennen kristinuskoa?
http://www.kielikell[...]
2015-12-25
[7]
서적
Suomen kielen etymologinen sanakirja. 3.
Suomalais-ugrilainen seura
[8]
웹사이트
What do the labels mean? Pegi Public Site
https://pegi.info/wh[...]
2024-09-18
[9]
논문
A Little Respect: Swearing, Police and Criminal Justice Discourse
http://www5.austlii.[...]
2021-02-02
[10]
논문
Commodifying Justice: Discursive Strategies Used in the Legitimation of Infringement Notices for Minor Offences
https://link.springe[...]
2021-02-02
[11]
웹사이트
Summary Offences Act 1988 (NSW) s 4A
http://www5.austlii.[...]
2021-02-02
[12]
웹사이트
Código Penal CP com jurisprudência unificada
https://brasil.mylex[...]
2018-05-11
[13]
뉴스
Calúnia, difamação e injúria: os crimes contra a honra
https://wsaraiva.com[...]
2018-05-11
[14]
웹사이트
Canada’s Surprising Park Etiquette Law: The Ban on Public Swearing
https://teeterme.com[...]
[15]
뉴스
Nova Scotia man facing trial for swearing in public
https://www.thestar.[...]
[16]
웹사이트
Indian Penal Code
https://indiacode.ni[...]
2019-02-07
[17]
웹사이트
AIB Roast: Court asks to file FIR against Karan Johar, Deeepika Padukone, Aalia Bhat, Ranvir Singh & Arjun Kapoor
http://www.moneylife[...]
2019-02-12
[18]
뉴스
PM Modi lists out abuses hurled at him, says Congress did not even spare his mother
https://timesofindia[...]
2019-09-05
[19]
웹사이트
Three ad campaigns to watch out for on Republic Day
http://www.indiantel[...]
2019-03-07
[20]
뉴스
Mother, sister, daughter... whose gaali is it anyway?
https://www.dnaindia[...]
2019-04-12
[21]
웹사이트
7 Indian shows on Netflix that you should not watch with your parents
https://www.gqindia.[...]
2022-04-01
[22]
웹사이트
Summary Offences Act 1981 No 113 (as at 01 March 2017), Public Act – New Zealand Legislation
http://www.legislati[...]
[23]
웹사이트
PTI's Use Of Abusive Language To Shame Dissident Lawmakers Exposes The Party's Deep-Rooted Problem
https://www.thefrida[...]
2022-04-01
[24]
웹사이트
Educators only have good words for Baguio's anti-cursing law
http://www.pna.gov.p[...]
2019-03-06
[25]
뉴스
Bawal magma: Anti-profanity ordinance passed in Baguio
https://news.abs-cbn[...]
2019-03-06
[26]
법률
The Code of Administrative Offences of the Russian Federation
[27]
웹사이트
Salford Council tries to outlaw swearing at The Quays
http://www.itv.com/n[...]
2016-03-02
[28]
웹사이트
Public Order Act 1986
http://www.legislati[...]
Legislation.gov.uk
2012-11-19
[29]
웹사이트
Swearing in the Workplace
http://www.lindermye[...]
2012-11-19
[30]
웹사이트
Work Etiquette – Swearing in the Workplace
http://www.worketiqu[...]
2012-11-19
[31]
뉴스
Should swearing be tolerated in the workplace?
https://www.theguard[...]
2010-05-12
[32]
웹사이트
How Swearing Works
http://people.howstu[...]
2005-11-30
[33]
웹사이트
State's Anti-Profanity Law Unconstitutional Rules Superior Court Judge
https://www.aclu.org[...]
2011-01-07
[34]
뉴스
Watch your mouth! Profanity could cost you in Myrtle Beach
http://wlos.com/news[...]
2019-02-12
[35]
뉴스
A beach in South Carolina made over $22,000 by charging people for swearing
https://www.independ[...]
2019-02-12
[36]
웹사이트
The Torah on Dirty Words
https://www.chabad.o[...]
Chabad.org
2022-02-16
[37]
서적
Christian Ethics: A Historical Introductio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3-01-01
[38]
성경
[39]
성경
[40]
성경
[41]
성경
[42]
성경
[43]
서적
The Ethics of Obscene Speech in Early Christianity and Its Environment
Brill Academic Publishers
2008-08-31
[44]
성경
[45]
서적
The View From the Pew
Covenant Books
2019-10-09
[46]
성경
[47]
서적
The New Testament on Sexuality
Wm. B. Eerdmans Publishing
2012-09-13
[48]
웹사이트
Thou Shalt Not Thou Shalt Not Take the Lord's Name in Vain: Blasphemy Is Still a Sin
https://www.churchpo[...]
ChurchPOP
2016-08-09
[49]
서적
The Joy of Faithful Obedience
Cook Communications
2005
[50]
성경
[51]
서적
Baptismal Imagery in Early Christianity: Ritual, Visual, and Theological Dimensions
Baker Publishing Group
2012-06
[52]
웹사이트
The Teaching of the Twelve Apostles to the Nations, known as The Didache
https://legacyicons.[...]
Legacy Icons
2016
[53]
서적
The Reading and Preaching of the Scriptures in the Worship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2: The Patristic Ag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8
[54]
웹사이트
The Problem of Profanity
https://orthochristi[...]
OrthoChristian
2018-06-21
[55]
웹사이트
Chapter 62: Tongue Lashing and Impertinence
https://www.al-islam[...]
2013-01-30
[56]
뉴스
Putin’s Four Dirty Words
https://www.newyorke[...]
2014-05-05
[57]
서적
Предисловие от редакции //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живого велико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4 т. Том 1
Дрофа, Русский язык-Медиа
2011
[58]
웹사이트
Роскомнадзор накажет СМИ только за четыре матерных слова
https://iz.ru/news/5[...]
2013-12-25
[59]
웹사이트
Wyborcza.pl
http://wyborcza.pl/1[...]
[60]
웹인용
개새끼::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
2017-10-25
[61]
웹인용
말과 글 어원을 찾아서 - 문둥이새끼
http://www.nohoo.com[...]
Nohoo
2011-07-01
[62]
뉴스
'야 이 개XX야' 오명 벗은 강아지?…욕의 어원 논란
https://news.naver.c[...]
sbs 뉴스
2015-11-06
[63]
웹인용
https://ko.dict.nave[...]
2024-12-12
[64]
웹인용
https://ko.dict.nave[...]
2024-12-12
[65]
웹인용
종간나
https://terms.naver.[...]
2024-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