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친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북은 특정 개인, 사상, 체제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을 의미하며, 통일된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조갑제는 친북 세력을 북한 최고 지도자, 세습, 주체사상, 독재 체제, 인권 문제에 대해 비판하지 않는 세력으로 정의했다. 대한민국 내에서는 우익은 북한을 반국가단체로 규정하며 '친북'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반면, 중도주의는 평화적 외교를 지지하나 북한 체제에 비판적이며, 좌익은 다양한 입장을 보인다. 역사적으로는 냉전 시대에 '친북'은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았으나, 민주화 이후 남북 화해 분위기 속에서 변화를 겪었다. 북한은 국제 사회에서 핵 개발과 테러 행위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일부 국가와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국 문화에 대한 동경 - 친일
    친일은 일본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나 일본 관련 동향에 대한 긍정적 해석을 의미하며,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자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며, 국가 간 관계, 문화적 교류, 경제적 영향 등 다양한 요소가 친일 감정 형성에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 외국 문화에 대한 동경 - 친미
    친미는 역사적 사건, 정치적 상황, 경제적 이해관계, 문화적 교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되는 현상으로, 미국의 문화, 정치, 경제, 외교 정책 등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 남북 관계 - 국가보안법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가보안법은 국가의 안전과 국민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반국가 활동을 규제하는 법률로, 인권 보호를 위한 개정이 이루어졌으나 표현과 사상의 자유 침해 논란 및 악용 사례로 인해 존폐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남북 관계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친북
설명
친북친북은 북한을 옹호하거나 지지하는 성향을 의미함.
관련 용어종북
영어Pro-North Korean
같이 보기
관련 문서종북주의

2. 친북의 기준 및 정의

김대중 정부가 들어선 후 평화통일론의 입지가 커지고 남북 간의 사이가 좋아지면서 친북은 하나의 외교적 관점으로 들어서기 시작했다. 친북 또는 연북적 입장은 그 이론적 전제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남과 북이 하나가 되는 것을 지지하며, 외교 활동에서 미국과 같은 강대국 세력보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지한다는 점이 있다.[30]

친북에 대한 통일적인 정의는 존재하지 않지만, 2015년 11월 18일친북 반국가 행위자 인명사전(종북 인명사전)의 출판이 발표되었을 때, 조갑제는 전 북한 공작원인 김동식의 증언을 근거로, 친북에 해당하는 세력의 기준으로 다음 5가지를 절대 비판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2]

친북 세력의 기준
북한 최고 지도자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공산주의사회주의 국가에서의 세습[3][4][5]
주체사상
북한의 독재 체제
북한 내 인권 침해


3. 대한민국 내 정치 분파별 입장

대한민국 내에서는 남북 분단 상황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평화통일론에 기반한 '친북' 또는 '연북'이라는 외교적 관점이 등장했다. 1990년대 초까지 이러한 의견은 불온시되었으나, 김대중 정부 이후 평화통일론의 입지가 커지면서 친북은 하나의 외교적 관점으로 자리 잡았다.[30] 친북은 남북한의 통합을 지지하며, 외교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지하는 경향을 보인다.[30]

조갑제는 전 북한 공작원 김동식의 증언을 바탕으로 친북 세력이 비판하지 않는 5가지 기준으로 다음을 제시했다:[2]

기준
북한 최고 지도자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공산주의사회주의 국가에서의 세습[3][4][5]
주체사상
북한의 독재 체제
북한 내 인권 침해



하지만, 친북에 대한 통일된 정의는 없으며, 대한민국 내 정치 분파별로 다양한 입장이 존재한다.

3. 1. 우익 진영

대한민국 우익 진영 대부분은 북핵 문제, 한국 전쟁, 기아, 천안함 사건 등을 이유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반국가단체로 규정하고, 무력 또는 외교적 압박을 통한 해체를 주장한다. 이들은 친북을 간첩 또는 이적자로 간주하고 '종북'이라는 멸칭을 사용한다.[30] 다만, 일부 우익 인사들은 북한과의 평화적 외교를 지지하며, 자유주의 또는 민족주의 계열의 통일 정책과 유사한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31]

3. 2. 중도주의 진영

김대중 정부가 들어선 후 평화통일론의 입지가 커지고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서 친북은 하나의 외교적 관점으로 자리 잡았다. 민주당계 정당 정치인들과 지지자들은 대체로 북한과의 평화적 외교를 지지한다. 특히 김대중 전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남북 관계를 진전시켰고, 햇볕정책을 대북 정책 기조로 삼았다.[30]

그러나 이들 역시 기본적으로 북한을 전체주의, 독재 체제로 평가하며, 일부 외교 사안에 대해서는 반북적인 주장을 하기도 한다. 또한 이들은 자본주의 체제를 지향하므로 북한 체제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따라서 이들을 친북 또는 반북으로 명확히 규정하기는 어렵다.

3. 3. 좌익 진영

급진주의, 원리주의, 사회민주주의자, 민중민주파, 일부 민주사회주의자들은 민족해방파의 민족주의 노선에 부정적이며, 이를 비판적으로 보았다. 또한 종북이라는 표현을 처음 사용한 것도 진보 진영 내 일부 인사들이 친북적 성향이나 민족해방파 계열의 진보 정치인, 운동가를 비판하기 위해 만든 단어였다.[32]

현재 사회당과 진보신당의 후신인 노동당 등 평등파 계열에서는 햇볕정책에 대해 비판적이거나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도 있으며, 북한과의 연대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정의당 계열은 민중민주파와 민족해방파의 연합 정당이기에 기존 진보 정당들과는 달리 민주당계 정당들과의 연대적 성향이 강하며, 이에 따라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한편 민족해방파 계열의 사회운동가들은 친북적 입장을 취하지만 민족해방파 내에서도 통일을 위한 전략적인 친북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체제를 대한민국의 체제보다 우월하다고 평가하는 주체사상파 등 다양하다.

4. 역사

남북 분단은 잦은 소규모 전투와 양국 정치권위주의 현상 등 고질적인 문제를 야기했다. 이러한 문제는 분단 자체보다 양국 간 외교 활동의 결과물이었다. 이에 남북 대결 구도를 끝내고 평화통일론에 기반한 원만한 외교를 하자는 '연북' 또는 '친북'이라는 대한민국 정부 관점의 의견이 나왔다.[30]

195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이러한 의견은 불온시되었으나,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평화통일론이 대두되고 양국 관계가 개선되면서 친북은 하나의 외교적 관점으로 자리매김했다. 친북 또는 연북적 입장은 이론적 전제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남북한 통일을 지지하며, 외교에서 미국 등 강대국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지한다는 공통점이 있다.[30]

4. 1. 분단 초기

연합국에 의한 남북 분단 초기부터 조선에서는 남조선 정부(대한민국)에는 정통성이 없고, 북조선 정부에 정통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다. 사실 여부는 차치하고, 북조선 지도자에는 항일 유격대의 영웅들(특히 김일성)이 임명되어 있고, 소련군은 북조선 각 지역에 인민 위원회를 조직하자마자 권력을 넘겨준 반면, 미군은 남조선에 미국 주도의 이승만 정권이 탄생할 때까지 직접 군정을 실시했던 것이 그 이유이다.[30] 재일 조선인 소설가 김달수도 저서 「조선」의 그라비아에서 군사 분계선상에서 북조선 측에서 본 한국군의 사진을 게재하고 있다.

4. 2. 냉전 시대

남북 분단 초기, 조선에서는 남한 정부(대한민국)보다 북한 정부에 정통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북한 지도자에는 항일 유격대의 영웅들(특히 김일성)이 임명되었고, 소련군은 인민 위원회에 권력을 이양한 반면, 미군은 이승만 정권이 수립될 때까지 직접 군정을 실시했기 때문이다.

한국 전쟁을 거쳐 1991년 국제 연합 가입까지, 한국은 냉전 하에서 '조선의 정당한 국가' 지위를 두고 북한과 경쟁했다. 한국전쟁 피해와 반공 정책으로 인해 한국 여론은 북한을 적대시했고, '친북'은 용납되지 않았다. 역대 정권은 반정부 운동과 '친북 행위'를 동일시하여 국가보안법을 악용했다.[30] 이러한 상황은 민주화 선언 이후에도 이어졌으나, 1991년 제41회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남북 단일팀 참가 등 변화도 있었다.

4. 3. 민주화 이후

1987년 민주화 선언 이후에도 '친북'이 용납되지 않는 사회 분위기는 이어졌다. 하지만, 1991년 제41회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 남북 단일팀으로 출전하는 등 변화가 나타났다.[30] 1998년 김대중 정부가 출범하고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햇볕 정책의 영향으로 한국 여론은 북조선을 '적'이 아닌 '동포'로 인식하기 시작했다.[30] 한겨레 등 재야 언론을 통해 남북 화해를 촉구하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0]

이러한 흐름은 한국 현대사에 대한 평가 재검토 작업과 병행되었다. 특히 노무현 정부는 진실·화해 위원회를 설치하여 이승만, 박정희 정권의 반공 정책과 한국군, 중앙정보부의 범죄 행위를 조사·발표했다.[30]

5. 일본 내 친북 논의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일본 지식인 사회에서는 친북 성향이 진보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분위기가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북조선이 랑군 폭탄 테러 사건이나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과 같은 테러 사건을 일으키자, 북한 체제의 실상이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는 한국에서 민주화가 진전된 반면, 핵무기 개발 문제나 인권 문제 등이 일본 언론에서도 강조되었다.

일본 혁신 진영에서는 일본 공산당이 초기에는 조선로동당과 교류했지만, 주체사상적화통일을 비판하면서 관계가 악화되어 단절되었다. 이후 일본 사회당이 조선로동당과 우호 관계를 맺고 아스카타 이치오다나베 마코토 등 역대 사회당 간부가 방북하여 '조선로동당 유일의 우당'을 자처하기도 했다.

2002년 일본인 납치 사건 보도 이후에도 일본에는 친북 단체 회원이나 지방 의원 등 방북하는 정치인이 존재한다.[11]

5. 1. 일본 혁신 진영

일본 공산당은 조선로동당과 초기에 교류했으나, 주체사상과 적화 통일론을 비판하면서 관계가 악화되어 단절되었다. 이후 일본 사회당이 조선로동당과 우호 관계를 맺고 아스카타 이치오다나베 마코토 등 역대 사회당 간부가 방북하여 '조선로동당 유일의 우당'을 자처했다. 사회당은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해서도 '조선인 차별에 의한 날조'라는 입장을 취했다. 이는 사회민주당이 된 후에도 1997년에 기관지인 『월간 사회민주』에 '소녀 납치 의혹 사건은 새롭게 창작된 사건이라고 밖에 할 수 없다'고 단정하는 논문이 게재되었다. 2002년, 사민당은 여론의 반발을 받아 조선로동당과의 우호 관계를 동결했다. 또이치 세이지 사민당 간사장(당시)은 2016년에 북조선이 실시한 미사일 실험에 대해 담화에서 '사실상의 미사일'이라고 항의했다.[10]

5. 2. 일본 지식인 사회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일본의 지식인 사이에서는 친북이 진보적이라는 분위기가 만연했다. 그러나 1980년대에는 북조선이 랑군 폭탄 테러 사건이나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등의 테러 사건을 일으키면서, 북한 체제의 실상이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11] 1990년대에는 한국에서 민주화가 진전된 반면, 핵무기 개발 문제나 인권 문제 등이 일본 매스 미디어에서도 강조되었다.[11]

5. 3. 현재

2002년 일본인 납치 사건 보도 이후에도 일본에는 친북 단체, 지방 의원 등 방북하는 정치인이 존재한다.[11] 2017년 기준으로 매년 일본에서 북조선 우호 단체 약 150명, 지방 의원을 중심으로 한 정치인 약 50명, 언론 관계자 약 30명 정도가 방북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11] 이는 관광 목적의 일반 일본인의 2배에 해당하며, 총 300명 이상의 일본인이 방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1]

6. 북한의 국제 관계

북한은 국제사회에서 여러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국가이다. 아웅산 테러,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일본인 납치 문제 등 여러 테러 사건을 일으켰다.[6][7][8] [9][1] 또한, 핵 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국제사회의 우려를 사고 있다.[10]

북한은 외화를 벌기 위해 위조지폐 제작, 마약 밀매,[14] 사이버 테러,[15] 외국 은행 불법 해킹[16][17] 등 다양한 범죄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 북한은 국제사회에서 불량 국가로 여겨지며, 경제 제재를 받고 있다. 미국은 북한을 테러 지원 국가로 지정했다.[18]

북한의 국제 관계도. 녹색은 북한과 국교를 맺고 있는 국가, 적색은 국교가 단절된 국가, 회색은 국교가 없는 국가를 나타낸다. 핵 개발 및 미사일 발사 이후 일부 국가와 국교가 단절되기도 했다.


다음은 2014년과 2017년에 BBC 월드 서비스에서 실시한 국제 여론 조사 결과이다. 조사 대상 국가별로 북한에 대한 인식을 긍정과 부정으로 나누어 비교했다.

2017년 BBC 월드 서비스 국제 여론 조사[12]
조사 대상 국가긍정부정어느 쪽도 아님긍정-부정
미국5%88%7%-83
영국7%89%4%-82
오스트레일리아6%87%7%-81
프랑스9%85%6%-76
캐나다10%81%9%-71
스페인5%75%20%-70
그리스6%64%30%-58
중국19%76%5%-57
독일1%56%43%-55
브라질23%60%17%-37
멕시코24%54%22%-30
페루22%51%27%-29
인도네시아17%46%37%-29
인도19%40%41%-21
튀르키예34%44%22%-10
러시아20%30%50%-10
나이지리아33%42%25%-9
케냐27%36%37%-9
파키스탄20%25%55%-5



2014년 BBC 월드 서비스 국제 여론 조사[13]
조사 대상 국가긍정부정어느 쪽도 아님긍정-부정
일본1%91%8%-90
대한민국3%91%6%-88
미국4%90%6%-86
독일3%85%12%-82
오스트레일리아8%86%6%-78
캐나다6%83%11%-77
영국9%83%8%-74
이스라엘1%70%29%-69
프랑스10%79%11%-69
스페인7%73%20%-66
멕시코13%47%40%-34
브라질20%54%26%-34
페루22%49%29%-27
중국20%46%34%-26
아르헨티나12%33%55%-21
러시아19%37%44%-18
인도네시아28%44%26%-16
인도23%27%50%-4
파키스탄28%32%40%-4
케냐34%34%32%0
나이지리아42%38%20%4
튀르키예32%19%49%13
가나57%20%23%37


6. 1. 대한민국과 수교가 없고 북한과 수교가 있는 국가

대한민국과 국교를 맺고 있는 국가는 녹색, 대한민국과 국교가 없는 국가는 회색이다. 대한민국이 국가로 승인하지 않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사하라, 소말릴란드, 중화민국, 코소보는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대한민국 외교부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대한민국과 국교가 없는 나라는 쿠바, 시리아, 북마케도니아 3개국이었다. 이 중 시리아와 쿠바는 북한과 수교한 친북 국가이다.[19] 반면, 아르헨티나, 이라크, 칠레, 보츠와나는 한때 북한과 국교가 있었지만 단교했으며, 대한민국과는 국교를 맺고 있다. 북마케도니아는 1995년 대한민국과 조기 국교 수립 원칙을 확인했으나, 이듬해 소수 정당인 마케도니아 공산당(Communist Party of Macedonia)이 대한민국의 "이적 단체"인 전대협을 공식 지지하면서 양국 관계가 냉각되어 국교 회복 협상이 중단되었다.[20]

6. 1. 1. 시리아

시리아는 1966년 북한과 수교한 이후 북한의 우호국이기 때문에, 대한민국과의 국교 수립을 꺼리고 있다. 1973년 10월 제4차 중동 전쟁에서 북한은 시리아에 부대와 무기를 제공했다.[19]

6. 1. 2. 쿠바

북한은 1960년 쿠바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아바나에 대사관을 설치했다. 쿠바는 북한의 꾸준한 우방국이며,[22] 냉전 시기 양국은 미국 제국에 반대하는 공동 입장을 바탕으로 연대 관계를 구축했다. 1968년 라울 카스트로 혁명군사령관은 양국의 견해가 "모든 면에서 완전히 일치한다"고 언급했다.[23]

쿠바는 북한과의 연대를 과시하기 위해 1988년 서울 올림픽을 보이콧했다.[23]

2016년 피델 카스트로총리 사망 후, 북한은 3일간의 애도 기간을 선포하고 장례식에 대표단을 파견했으며,[24] 김정은은 평양 주재 쿠바 대사관을 방문해 조의를 표했다.[25]

2018년 미겔 디아스-카넬 총리는 북한을 방문, 대북 제재에 대한 반대 입장을 강조했다.[26]

북한 언론은 쿠바인을 사회주의라는 공통 목표를 가진 동지로 묘사하고 있다.[27] 쿠바는 북한과의 우호 관계 때문에 대한민국과 수교하지 않고 있었으나,[28] 2024년 2월 14일 대한민국과 국교를 수립했다.

참조

[1] 웹사이트 親北パネリスト「張成沢は売国奴」「北は魅力的な独裁国家」-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O[...] 2019-02-22
[2] 뉴스 '종북인명사전' 종북 판별 다섯 가지 기준은? https://www.dailian.[...] 2015-11-18
[3] 문서
[4] 웹사이트 北朝鮮・金ファミリーの世襲正当化に中国のネットで猛烈批判│NEWSポストセブン https://www.news-pos[...] 2018-10-30
[5] 뉴스 【解説】北朝鮮の世襲制、中国は内心で“強い不快感”か - ライブドアニュース https://news.livedoo[...] 2018-10-30
[6] 웹사이트 「北には低姿勢、脱北者には帝王のように君臨する統一部長官 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www.chosunonl[...] 2018-10-30
[7] 웹사이트 【社説】「脱北者出身記者排除は言論の自由の侵害」と指摘 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www.chosunonl[...] 2018-10-30
[8] 웹사이트 統一部による本紙脱北記者外し、国際組織が批判「言論の自由侵害」 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www.chosunonl[...] 2018-10-30
[9] 웹사이트 (朝鮮日報日本語版) 【社説】脱北者の権利と言論の自由を認めない韓国 朝鮮日報 http://www.chosunonl[...] 2018-10-30
[10] 뉴스 北朝鮮によるロケットの発射に抗議する(談話) http://www5.sdp.or.j[...] [[社会民主党 (日本 1996-)|社民党]] 2016-02-07
[11] 뉴스 中国人の北朝鮮への心象悪化か? 中国人訪朝者が激減。日本人訪朝者は? https://hbol.jp/1535[...] 2017-11-02
[12] 웹사이트 2017 BBC World Service poll http://www.globescan[...] [[BBCワールドサービス]] 2021-06-21
[13] 웹사이트 2014 BBC World Service poll http://downloads.bbc[...] [[BBCワールド서비스]] 2021-07-13
[14] 뉴스 核・ミサイル開発で金正恩氏の秘密資金枯渇か 米ラジオ報道 https://www.sankei.c[...] 2018-01-27
[15] 뉴스 コラム:加速する北朝鮮サイバー戦争の破壊力 https://jp.reuters.c[...] 2017-12-25
[16] 뉴스 北朝鮮、銀行サイバー攻撃で違法に資金獲得 米が警告 https://jp.reuters.c[...] 2020-08-27
[17] 뉴스 北朝鮮が銀行サイバー攻撃 米政府、警戒呼び掛け https://www.nikkei.c[...] 2020-08-27
[18] 뉴스 米、キューバをテロ支援国家に再指定 影響は限定的か https://www.asahi.co[...] 2021-01-12
[19] 웹사이트 KeyNoters – Relationship ― 日本の『時間軸』を辿る ~東南アジア・ミャンマーと北朝鮮の関係性① https://keynoters.co[...] 2022-10-21
[20] 웹사이트 まだ韓国と国交のない4国 https://www.donga.co[...] 2022-10-21
[21] 웹사이트 シリアのアサド大統領、初訪朝に意欲=北朝鮮メディア https://www.bbc.com/[...] 2022-10-21
[22] 뉴스 The North Korea-Cuba Connection https://thediplomat.[...] 2016-06-07
[23] 뉴스 Revolutionary Solidarity: Castro's cozy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https://www.nknews.o[...] 2016-08-28
[24] 뉴스 N.K. declares 3-day mourning over ex-Cuban leader Castro's death http://english.yonha[...] Yonhap 2016-11-28
[25] 뉴스 DPRK leader conveys condolences over passing of Fidel Castro http://news.xinhuane[...] Xinhua 2016-11-29
[26] 뉴스 Cuban President Meets North Korea's Kim Jong Un as Part of First Overseas Tour http://time.com/5444[...] 2018-11-04
[27] 뉴스 DPRK-Cuba relations showcase mutual support and solidarity https://kcnawatch.co[...] Pyongyang Times 2016-08-27
[28] 뉴스 北朝鮮に義理通すキューバ、韓国とは修交不可能か http://japan.hani.co[...] 2015-02-03
[29] 웹사이트 kpedia http://www.kpedia.jp[...]
[30] 서적
[31] 서적
[32] 뉴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