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류미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미영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독립운동가 류동렬의 딸로, 1921년 만주 하얼빈에서 태어났다. 1937년 최덕신과 결혼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며, 한국혁명여성동맹에서 활동했다. 1976년 남편과 함께 미국으로 망명했다가 198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이주하여 북한 영주권을 취득했다. 이후 조선천도교청우당 중앙위원회 위원장,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하며 북한에서 활동했고, 2000년에는 이산가족 방문단 북측 단장으로 서울을 방문했다. 2016년 사망하여 애국열사릉에 안장되었다. 슬하에 2남 3녀를 두었으며, 장남 최건국은 독일에서 사망했고, 차남 최인국은 2019년 북한으로 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천도교 교역자 - 오익제
    오익제는 평안남도 성천군 출신의 천도교 인사이자 대한민국 천도교 23, 24대 교령을 역임했으며, 1997년 북한으로 망명하여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내다가 2012년에 사망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천도교 교역자 - 최인국
    최인국은 월북한 최덕신 전 외무부 장관의 아들로, 부모의 유지를 잇겠다며 2019년 북한으로 건너가 천도교청우당 중앙위원장직을 제안받았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당료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당료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자 정치인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자 정치인 - 김여정
    김여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정일과 고용희 사이에서 태어나 김정은의 여동생이며, 조선로동당 핵심 실세로 부상하여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등 주요 외교 행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대외적으로 강경한 어조의 담화를 발표하며 대남·대미 압박을 주도하기도 한다.
류미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류미영
류미영
본명류미영
한자 표기柳美英
로마자 표기Ryu Miyeong
출생일1921년 2월 14일
사망일2016년 11월 23일
국적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종교천도교
배우자최덕신
경력
직업정치인
조선천도교회중앙지도위원회 중앙위원회 위원장
단군민족통일협의회 회장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공동의장
6.15공동선언실천을위한북남해외공동행사북측준비위원회 명예공동위원장
조선종교인협의회 부회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전 최고인민회의 제13기 대의원
조선천도교청우당 중앙위원회 위원장

2. 생애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독립운동을 했던 류동렬의 딸로, 1921년 만주 하얼빈에서 태어났다. 1937년 6월 16세 때 최덕신과 결혼하여 광복 전까지 독립운동에 참여했다.[3]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중경 시절, 류미영은 김규식 부주석의 부인 김순애, '백범 경호원' 유병파의 아내 송정헌 등과 더불어 한국혁명여성동맹에 가입하여 창립요원으로 활동했으며 한국독립당 당원으로 활동했다. 한국혁명여성동맹은 중국 중경에서 1940년 6월 17일에 결성했으며 임시정부 요인과 한국광복군 가족들이 중심이었다.[16][17] 일제가 패망하고 임시정부 요원들이 귀국할 때 함께 귀국했다.

남한에서 외무장관과 서독대사, 천도교 교령을 지낸 남편 최덕신과 함께 1976년 미국으로 망명했다.[10] 1986년 4월 남편과 함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으며 그해 9월 북한 영주권을 취득했다.[4][2][18]

조선천도교청우당 중앙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한 남편이 1989년 사망한 이후, 1990년 3월 류미영은 천도교회 중앙지도위원회 고문을 맡았다. 같은 해 4월에는 최고인민회의 제9기 대의원에 선출되었으며, 1991년 1월 북한 당국으로부터 국가훈장 1급을 받았다. 1993년 7월부터 북한 서열 22위인 천도교청우당 중앙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10][11] 2002년에는 김일성 훈장, 10년 뒤에는 김정일 훈장을 받았으며, 북한 내부에서 '핵심인사'로 평가받았다. 청우당 중앙위원장 외에도 단군민족통일협의회 위원장,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공동의장 등의 여러 직위를 맡았으며, 1995년 조국통일상도 수상했다.[7]

2000년 8월 15일부터 3일간 북한 이산가족 방문단 북측 단장을 맡아 서울을 방문하였다. 당시 류미영은 헤어진 자녀들과 23년 만에 서울에서 비공개 상봉했다. 둘째 아들 최인국, 큰딸 근애, 막내딸 순애를 만났지만 큰아들 최건국과 둘째딸 경애는 외국 체류 중이어서 만나지 못했다.[5][2][19]

2016년 11월 23일 95세 나이로 사망하고 북한의 국립묘지 격인 애국열사릉에 안장됐다.[6][10] 북한 당국은 관영 매체를 통해 "류미영 선생은 민족의 융성 번영과 조국의 자주적 통일을 위해 헌신해온 애국적인 정치활동가"라면서 "남한과 해외를 방황하다가 남편 최덕신 선생과 함께 공화국에 영주해 보람있는 삶을 누렸다"고 부고 기사를 내보내기도 했다.[20]

슬하에 2남 3녀가 있다. 장남은 최건국이다. 독일 체류 중 한국 민주화를 위해 노력하다 송두율과 함께 반체제인사로 분류돼 끝내 고국땅을 밟지 못하고 2016년 2월 사망했다.[21] 딸 셋은 해외에 거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차남 최인국은 2019년 7월 6일 북한으로 갔다.[6]

2. 1. 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독립운동을 했던 류동렬의 딸로, 1921년 만주 하얼빈에서 태어났다. 1937년 6월 16세 때 최덕신과 결혼하여 광복 전까지 독립운동에 참여했다.[16]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중경 시절, 류미영은 김규식 부주석의 부인 김순애, '백범 경호원' 유병파의 아내 송정헌 등과 더불어 한국혁명여성동맹에 가입하여 창립요원으로 활동했으며 한국독립당 당원으로 활동했다. 한국혁명여성동맹은 중국 중경에서 1940년 6월 17일에 결성했으며 임시정부 요인과 한국광복군 가족들이 중심이었다.[16][17] 일제가 패망하고 임시정부 요원들이 귀국할 때 함께 귀국했다.

1976년 남편 최덕신과 함께 미국으로 망명했다. 1986년 4월 남편과 함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으며 그해 9월 북한 영주권을 취득했다.[18] 남편 최덕신은 남한에서 외무장관과 서독대사, 천도교 교령을 지냈다.

조선천도교청우당 중앙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한 남편이 1989년 사망한 이후, 1990년 3월 류미영은 천도교회 중앙지도위원회 고문을 맡았다. 같은 해 4월에는 최고인민회의 제9기 대의원에 선출되었으며, 1991년 1월 북한 당국으로부터 국가훈장 1급을 받았다. 1993년 7월부터 북한 서열 22위인 천도교청우당 중앙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2002년에는 김일성 훈장, 10년 뒤에는 김정일 훈장을 받았으며, 북한 내부에서 '핵심인사'로 평가받았다. 청우당 중앙위원장 외에도 단군민족통일협의회 위원장,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공동의장 등의 여러 직위를 맡았으며, 1995년 조국통일상도 수상했다.

2000년 8월 15일부터 3일간 북한 이산가족 방문단 북측 단장을 맡아 서울을 방문하였다. 당시 류미영은 헤어진 자녀들과 23년 만에 서울에서 비공개 상봉했다. 둘째 아들 최인국, 큰딸 근애, 막내딸 순애를 만났지만 큰아들 건국과 둘째딸 경애는 외국 체류 중이어서 만나지 못했다.[19]

2016년 11월 23일 95세 나이로 사망하고 북한의 국립묘지 격인 애국열사릉에 안장됐다. 북한 당국은 관영 매체를 통해 "류미영 선생은 민족의 융성 번영과 조국의 자주적 통일을 위해 헌신해온 애국적인 정치활동가"라면서 "남한과 해외를 방황하다가 남편 최덕신 선생과 함께 공화국에 영주해 보람있는 삶을 누렸다"고 부고 기사를 내보내기도 했다.[20]

슬하에 2남 3녀가 있다. 장남은 최건국이다. 독일 체류 중 한국 민주화를 위해 노력하다 송두율과 함께 반체제인사로 분류돼 끝내 고국땅을 밟지 못하고 2016년 2월 사망했다.[21] 딸 셋은 해외에 거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차남 최인국은 2019년 7월 6일 북한으로 갔다.

2. 2. 대한민국에서의 활동과 망명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독립운동을 했던 류동렬의 딸로, 1921년 만주 하얼빈에서 태어나 1937년 6월 16세 때 최덕신과 결혼했다. 광복 전까지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중경시절에는 김규식 부주석의 부인인 김순애, ‘백범 경호원’ 유병파의 아내 송정헌 등과 더불어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에 가입하여 창립요원으로 활동했으며 한국독립당 당원으로 활동했다. 한국혁명여성동맹은 1940년 6월 17일에 중국 중경에서 결성했으며 임시정부 요인과 한국광복군 가족들이 중심이었다.[16][17] 일제가 패망하고 임시정부 요원들이 귀국할 때 함께 귀국했다.

남한에서 외무장관과 서독대사, 천도교 교령을 지낸 남편 최덕신과 함께 1976년 미국으로 망명했다.[18] 1986년 4월 남편과 함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으며 그해 9월 북한 영주권을 취득했다.[18]

2. 3. 북한으로의 이주와 활동

류미영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독립운동을 했던 류동렬의 딸로, 1921년 만주 하얼빈에서 태어났다. 1937년 6월 16세 때 최덕신과 결혼하여 광복 전까지 독립운동에 참여했다.[16][17]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중경시절, 류미영은 김규식 부주석의 부인인 김순애, ‘백범 경호원’ 유병파의 아내 송정헌 등과 더불어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에 가입하여 창립요원으로 활동했으며 한국독립당 당원으로 활동했다. 한국혁명여성동맹은 중국 중경에서 1940년 6월 17일에 결성했으며 임시정부 요인과 한국광복군 가족들이 중심이었다.[16][17] 일제가 패망하고 임시정부 요원들이 귀국할 때 함께 귀국했다.

1976년 남편 최덕신과 함께 미국으로 망명하였고, 1986년 4월 남편과 함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가서 그해 9월 북한 영주권을 취득했다.[18]

남편 최덕신이 1989년 사망한 이후, 1990년 3월 천도교회 중앙지도위원회 고문을 맡았다. 같은 해 4월에는 최고인민회의 제9기 대의원에 선출되었으며, 1991년 1월 북한 당국으로부터 국가훈장 1급을 받았다. 1993년 7월부터 북한 서열 22위인 천도교청우당 중앙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10][11] 그 외에도 단군민족통일협의회 위원장,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공동의장 등의 여러 직위를 맡았으며, 1995년 조국통일상도 수상했다. 또한 2002년에는 김일성 훈장, 10년 뒤에는 김정일 훈장을 받았다.[7]

2000년 8월 15일부터 3일간 북한 이산가족 방문단 북측 단장을 맡아 서울을 방문하여 헤어진 자녀들과 23년 만에 비공개 상봉했다. 둘째 아들 최인국, 큰딸 근애, 막내딸 순애를 만났지만 큰아들 건국과 둘째딸 경애는 외국 체류 중이어서 만나지 못했다.[19]

2016년 11월 23일 95세 나이로 사망하여 북한의 국립묘지 격인 애국열사릉에 안장됐다. 북한 당국은 관영 매체를 통해 "류미영 선생은 민족의 융성 번영과 조국의 자주적 통일을 위해 헌신해온 애국적인 정치활동가"라면서 "남한과 해외를 방황하다가 남편 최덕신 선생과 함께 공화국에 영주해 보람있는 삶을 누렸다"고 부고 기사를 내보내기도 했다.[20]

장례위원회는 양형섭, 김영철, 김영대 등으로 구성되었다.[8]

2. 4. 이산가족 상봉과 사망

류미영은 2000년 8월 15일부터 3일간 북한 이산가족 방문단 북측 단장을 맡아 서울을 방문하여 헤어진 자녀들과 23년 만에 비공개 상봉했다.[19] 둘째 아들 최인국, 큰딸 근애, 막내딸 순애를 만났지만, 큰아들 최건국과 둘째딸 경애는 외국 체류 중이어서 만나지 못했다.[19]

2016년 11월 23일 95세 나이로 사망하여 애국열사릉에 안장되었다.[20] 북한 당국은 류미영을 "민족의 융성 번영과 조국의 자주적 통일을 위해 헌신해온 애국적인 정치활동가"라고 평가했다.[20] 장례위원회는 양형섭, 김영철, 김영대 등으로 구성되었다.[8]

3. 가족 관계

배우자 최덕신(1914년~1989년) 사이에 장남 최건국(1942년~2016년), 차남 최인국(1946년~2019년), 큰딸 근애, 둘째딸 경애, 막내딸 순애를 두었다. 장남 최건국은 독일에서 사망하였다.

4. 상훈

류미영의 장례식에서 그녀의 장식품을 전시한 액자가 영구차 앞에 놓였다.[9]

김일성상, 김정일 상
김일성 훈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훈장 제1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로력훈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20주년 기념 훈장
농촌테제발표 30돐 기념훈장
조국해방기념훈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기념메달


5. 평가 및 논란

5. 1. 긍정적 평가

5. 2. 부정적 평가

6. 기타

참조

[1] 뉴스 S. Korea allows son of late N.K. official to visit Pyongyang http://english.yonha[...] 2016-11-25
[2] 웹사이트 Ryu Mi-yong – Representative of Chongdogyo in North Korean. https://web.archive.[...] 2000-08-16
[3] 웹사이트 남한 출신 월북자 '최고위급 인사' 북한 류미영 사망 https://www.mk.co.kr[...] 2016-11-24
[4] 웹사이트 Korea Times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Dictator's model citizens cannot hide grief at split https://www.telegrap[...] 2000-08-16
[6] 뉴스 South Korean man defects to North Korea, Pyongyang says https://www.upi.com/[...] UPI 2019-07-07
[7] 웹사이트 Birthday Spread to Ryu Mi Yong http://www.naenara.c[...]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6-02-15
[8] 웹사이트 Ryu Mi Yong (1921–2016) https://nkleadership[...] 2016-11-24
[9] 웹사이트 조선중앙통신 기사 당,정권기관,사회단체,성,중앙기관 일군들과 각계층 근로자들 고 류미영의 령구를 찾아 조의 표시 http://kcna.kp/kp/ar[...]
[10] 뉴스 柳美英氏死去、北朝鮮の政党委員長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6-11-24
[11] 저널 【ファイル社会主義朝鮮】社会民主党、天道教青友党の新党首選出 朝鮮問題研究所 1993-09-01
[12] 뉴스 가족 만날까? 2000-08-15
[13] 뉴스 류미영 단장 자녀와 상봉 2000-08-17
[14] 웹사이트 北朝鮮に帰順した韓国元外相の息子、汚名や経済難が動機か 知人証言 https://www.afpbb.co[...] AFP 2019-07-09
[15] 뉴스 北 고위급 오른 월북자 류미영 천도교청우당 중앙위원장 사망 http://www.yonhapnew[...] 2016-11-24
[16] 저널 중국인으로 독립운동에 뛰어든 여성 '송정헌 지사' http://www.koya-cult[...] 우리문화신문 2017-05-30
[17] 저널 '한국혁명여성동맹' 결성 독립운동가 등 포상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7-02-27
[18] 저널 '공화국서 살겠다' 최인국 가족사…월북 최덕신·류미영 차남 http://news1.kr/arti[...] 뉴스1 2019-07-08
[19] 저널 류미영씨 평양서 사돈 상봉 불발 http://nk.chosun.com[...] NK조선 2001-02-27
[20] 저널 [클로즈업] '대(代) 이은 월북·직책'...최인국, 北 천도교 위원장 승계 http://www.newspim.c[...] 뉴스핌 2019-07-09
[21] 저널 "나는 한국 국적자다 떳떳하게 귀국해 가족 만나고 싶다" https://www.sisain.c[...] 시사IN 2007-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