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의 지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의 지도성'은 특정 정당이 국가 또는 사회를 이끄는 역할을 헌법이나 법률로 규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화인민공화국, 베트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라오스, 쿠바 등 사회주의 국가에서 헌법을 통해 당의 지도성을 명시하고 있다. 과거에는 소련, 동독, 헝가리 등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있었으나, 다당제 허용 등으로 인해 해당 조항이 삭제되었다. 나치 독일과 이라크 등에서는 헌법상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특정 정당이 실질적인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하기도 했다. 이러한 당의 지도성은 사회주의 국가의 통치 방식과 관련하여 다양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카를 카우츠키, 로자 룩셈부르크, 레프 트로츠키 등은 일당 독재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당제 - 콩고 인민공화국
콩고 인민공화국은 1969년 쿠데타로 수립된 사회주의 국가로, 콩고 노동당의 일당 체제 하에 소련 및 동구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국유화 정책을 시행했으나, 1991년 체제 전환을 통해 콩고 공화국으로 이어졌다. - 일당제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은 요시프 브로즈 티토에 의해 1945년에 수립된 남슬라브 국가들의 연방 공화국으로, 6개의 공화국과 2개의 자치주로 구성되어 티토주의 노선을 따르며 비동맹 중립을 지향했으나, 티토 사후 민족 갈등 심화로 1990년대 초 해체되고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이어졌다. - 레닌주의 - 볼셰비키
볼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레닌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멘셰비키와 대립하며 러시아 혁명을 주도,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실현하고 소비에트 연방을 수립한 정치 세력이다. - 레닌주의 - 마르크스-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레닌과 후계자들이 재해석하고 발전시킨 이념으로, 생산수단의 공동소유와 계급투쟁을 중시하며 공산당 주도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평등 사회를 목표로 했으나, 권위주의 통치, 냉전, 소련 붕괴 등으로 영향력이 감소했고 현재 일부 국가에서만 권력을 유지하며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정치 사이드바 - 민주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인격 발전을 보장하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공공성 강화를 목표로, 자본주의 내 개혁을 추구하는 사회민주주의와 달리 생산 양식의 체계적 전환을 주장하며 의회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 정치 사이드바 - 사회당
사회당은 사회주의를 기본 이념으로 하는 다양한 정당들의 총칭으로, 사회민주주의,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자유사회주의, 종교사회주의 등 다양한 사상적 스펙트럼을 포괄하며, 노동자, 농민, 지식인, 사회운동가, 종교인 등 다양한 계층을 지지 기반으로 한다.
당의 지도성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레닌주의 | |
이름 | 레닌주의 |
![]() | |
역사 |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당대회 | 1903년 |
피의 일요일 | 1905년 |
8월 블록 사건 | 1912년 |
러시아 2월 혁명 | 1917년 3월 |
4월 테제 | 1917년 4월 |
러시아 10월 혁명 | 1917년 11월 7일 |
러시아 내전 | 1917년 11월 7일 |
1917년 러시아 총선 | 1917년 11월 25일 |
체카 설립 | 1917년 12월 20일 |
핀란드 내전 | 1918년 1월 |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 성립 | 1918년 3월 2일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 1918년 3월 3일 |
전시공산주의 | 1918년 6월 |
스파르타쿠스 동맹 봉기 | 1919년 1월 |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 1919년 2월 |
코민테른 | 1919년 3월 |
몽골 독립 혁명 | 1921년 3월 1일 |
크론시타트 반란 | 1921년 3월 7일 |
신경제정책 | 1921년 3월 21일 |
중국공산당 창건 | 1921년 7월 23일 |
소련 성립 | 1922년 |
상징 및 표어 | |
상징 | 낫과 망치 붉은 광장 붉은 별 |
표어 | 노동자 마르세예즈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인터내셔널가 |
핵심 요소 | |
사상 | 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반영론 헤겔 철학 |
정치 | 노동자당에 의한 독재 민주집중제 소비에트 제도 전위당론 통일전선 혁명적 민주주의 독재 일국사회주의 |
사회 및 국제 | 노농동맹 민족자결 민족해방 반제국주의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약한 고리 이중 권력 일국 혁명 혁명적 상황 |
관련 문헌 | |
주요 저서 | 《인민의 벗이란 무엇인가?》 (1893년) 《경제 낭만주의의 특성에 관하여》 (1897년) 《러시아에 있어서 자본주의의 발전》 (1899년) 《무엇을 할 것인가?》 (1902년) 《일보 전진 이보 후퇴》 (1904년) 《민주주의혁명에서 사회민주주의당의 두 가지 전술》 (1905년) 《사회주의와 종교》 (1905년) 《아나키즘인가? 사회주의인가?》 (1906년) 《농업문제와 소위 '마르크스 비판'》 (1907년) 《볼셰비키와 소부르주아》 (1907년) 《마르크스주의와 수정주의》 (1908년)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1909년) 《마르크스주의와 민족 문제》 (1913년)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원천과 세 가지 구성 요소》 (1913년) 《철학 노트》 (1913년) 《사회주의와 전쟁》 (1915년) 《제2국제당의 붕괴》 (1915년) 《제국주의론》 (1916년) 《국가와 혁명》 (1917년) 《우리 혁명에서 프롤레타리아의 임무》 (1917년) 《이중권력》 (1917년)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배신자 카우츠키》 (1918년) 《공산주의청년여성론》 (1919년) 《소비에트 정부는 무엇인가?》 (1919년) 《프롤레타리아 독재론》 (1919년) 《공산주의에서의 좌익소아병》 (1920년) 《공산주의청년학생론》 (1920년) 《농업 문제에 관한 테제》 (1920년) 《우리 혁명에 관하여》 (1923년) 《협동조합에 관하여》 (1923년) 《10월 혁명과 러시아 공산주의자들의 전략》 (1924년) |
영향 | |
사상적 영향 | 바뵈프주의 블랑키주의 정통 마르크스주의 |
정치적 영향 | 공포 정치 |
관련 조직 | |
정당 | 볼셰비키당 (1903년 ~ 1952년) 몽골 인민당 (1921년 ~ ) 중국 공산당 (1921년 ~ ) 인도 공산당 (1925년 ~ ) 조선공산당 (1925년 ~ 1928년, 1945년 ~ 1946년) 인도차이나 공산당 (1930년 ~ 1945년) |
국제 조직 | 공산주의 인터내셔널 (1919년 ~ 1943년) |
기타 조직 |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1919년 ~ 1922년) 상하이파 고려공산당 (1921년 ~ 1922년) 타도제국주의동맹 (1926년 ~ 1927년) |
분파 | |
주요 분파 | 마르크스-레닌주의 보르디가주의 볼셰비즘 부하린주의 티토주의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레닌 (1870년 ~ 1924년) 제르진스키 (1877년 ~ 1926년) 스탈린 (1878년 ~ 1953년) 트로츠키 (1879년 ~ 1940년) 천두슈 (1879년 ~ 1942년) 톰스키 (1880년 ~ 1936년) 리코프 (1881년 ~ 1938년) 카메네프 (1883년 ~ 1936년) 루카치 (1885년 ~ 1971년) 알렉산드라 킴 (1885년 ~ 1918년) 라흐야 (1885년 ~ 1936년) B. 쿤 (1886년 ~ 1938년) 부하린 (1888년 ~ 1938년) 리다자오 (1888년 ~ 1927년) 보르디가 (1889년 ~ 1970년) 김재봉 (1890년 ~ 1944년) 무케르지 (1891년 ~ 1937년) 티토 (1892년 ~ 1980년) |
2. 용어
'당의 지도성'은 '전위당의 지도성', '공산당의 지도체제'[5], '공산당의 지도원리'[6], '공산당의 지도적 지위'[7], '공산당의 지도적 역할' 등으로도 불린다. 중국에서는 한자로 '당의 영도'라고 표기하며, 이는 북한[8]이나 베트남[14] 등 다른 사회주의 국가에서 사용하는 '당의 지도'를 번역한 것이다. 소련 공산당의 블라디미르 레닌이 제시한 원칙을 요시프 스탈린 시대에 1936년 소비에트 연방 헌법에서 처음으로 헌법에 명기하였다.
'당의 지도성'은 블라디미르 레닌의 전위당론에서 비롯된 개념이다. 레닌은 프롤레타리아를 지도하는 것은 소수 정예의 공산당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일당 독재 이론은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가 국가 헌법에 명기하고 제도화하면서 '당에 의한 지도(성)'로 구체화되었다.[5],[6],[7] 이는 요시프 스탈린 시대에 1936년 소비에트 연방 헌법에 처음으로 명기되었다.
'당의 지도성'은 사회주의 사회 전체에 필요하며, 그 대상은 정부뿐만 아니라 군부, 사법부, 더 나아가 직장, 노동조합, 지역, 학교, 문화 단체(각종 모임) 등 모든 사회적 조직을 포함한다.[5],[6],[7] 실제로는 모든 계층의 사회 집단에 공산당이 '세포'(기초 조직)를 두고 의사 결정을 '자문'하거나, 또는 행한다.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각 공화국, 동유럽 국가들, 중국 등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하는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헌법 등의 기본법에 공산당의 국가 지도에 대한 내용을 명시하고 있다.
마르크스주의에서는 사회주의 혁명 이후 과도기에는 프롤레타리아에 의한 독재가 필요하다고 보며, 레닌의 전위당론에서는 프롤레타리아를 이끄는 것은 소수 정예의 공산당이라고 주장한다. 러시아 혁명으로 권력을 잡은 볼셰비키는 이러한 일당 독재 이론을 국가 헌법에 명기하고 제도화했는데, 이것이 '당에 의한 지도(성)'이다.
'당에 의한 지도'는 사회주의 사회 전체에 필요하므로, 정부, 군부, 사법부, 직장, 노동조합, 지역, 학교, 문화 단체 등 모든 사회 조직을 대상으로 한다. 실제로 공산당은 모든 계층의 사회 집단에 '세포'(기초 조직)를 두고 의사 결정을 '자문'하거나 직접 결정한다.
구소련이나 쿠바는 일당제[9] 국가이며, 중국이나 북한 등은 복수 정당이 존재하지만, 다른 정당(위성 정당)은 지도 정당의 지도를 받는 (헤게모니 정당제) 헌법 조항이 있다. 어느 경우든 실질적으로는 일당 독재이다.
당의 지도에 따르지 않으면 '반당 분자', '반혁명 분자' 등으로 불리며 탄압이나 숙청의 대상이 되었다.[10][11] 헌법에 언론, 보도, 집회의 자유와 권리가 명시되어 있어도, 실제로는 모든 조직에서 공산당의 지배가 철저하게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정부와 당 조직 간 역할 분담이 모호해지고,[12] 국가 조직은 유명무실해지며 당이 비대해지는 현상, 권력, 출세, 이권을 좇는 사람들이 공산당에 대거 유입되어 당 간부의 부패와 타락, 군의 위치( '당의 군'인지 '국가의 군'인지)가 불분명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3. 역사적 배경 및 이론적 근거
마르크스주의에서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사회주의 혁명 이후 과도기에 프롤레타리아에 의한 독재가 필요하다고 본다. 레닌의 전위당론은 이를 더욱 발전시켜, 프롤레타리아를 이끄는 것은 소수의 정예 공산당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당에 의한 지도'는 사회주의 사회 전체에 걸쳐 필요하며, 정부, 군부, 사법부뿐만 아니라 직장, 노동조합, 지역, 학교, 문화 단체 등 모든 사회 조직을 포함한다. 실제로 공산당은 모든 계층의 사회 집단에 '세포'(기초 조직)를 두고 의사 결정을 '자문'하거나 직접 결정한다.
소련과 쿠바는 일당제[9] 국가였으며, 중국이나 북한과 같이 복수 정당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다른 정당(위성 정당)은 지도 정당의 지도를 받는 헤게모니 정당제 형태를 띠고 있어 실질적으로는 일당 독재 체제이다.
당의 지도에 따르지 않는 사람들은 '반당 분자', '반혁명 분자' 등으로 불리며 탄압이나 숙청의 대상이 되었다.[10][11] 이로 인해 헌법에 언론, 보도, 집회의 자유와 권리가 명시되어 있어도, 실제로는 모든 조직에서 공산당의 지배가 철저하게 이루어졌다. 이는 정부와 당 조직 간 역할 분담의 모호함[12], 국가 조직의 형해화, 당의 비대화, 당 간부의 부패와 타락, 군의 위치 문제 등 여러 문제를 야기했다.
4. 특징
중국이나 북한 등에는 복수 정당이 존재하지만, 다른 정당(위성 정당)은 지도 정당으로부터 지도를 받는 (헤게모니 정당제) 것이 헌법에 명기되어 있다.[8],[14] 어느 경우든 일당제를 추인하는 정도의 역할밖에 없고, 실질적으로는 일당 독재이다.
당의 지도에 따르지 않는 자는 통상 '반당 분자', '반혁명 분자' 등으로 불리며 탄압이나 숙청의 대상이 되었다.[10],[11] 이 때문에 헌법이 존재하고 언론, 보도, 집회 등의 자유와 권리가 명기되어 있는 경우에도, 실제로는 모든 조직에서 공산당의 지배가 철저히 이루어진다.
이 결과, 정부 조직과 당 조직 사이의 역할 분담이 애매해지고,[12] 국가 조직은 유명무실해지며 당이 비대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실권, 출세, 이권을 좇는 계층이 공산당에 대량 유입되어 당 간부의 부패와 타락을 야기하고, 군이 '당의 군'인지 '국가의 군'인지 위치 설정이 모호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5. 비판 및 문제점
이유 |
---|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을 추진하고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시킨다. |
중국의 국가 통일과 사회의 조화·안정을 지킨다. |
정권의 안정을 보장한다. |
수억 명의 인민을 단결시켜 공동으로 훌륭한 미래를 건설한다. |
6. '당의 지도성'을 명시한 국가
'당의 지도성'을 헌법에 명시한 국가는 현재도 유지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뉜다.
현재 헌법에 '당의 지도성'을 명시하는 대표적인 국가는 중화인민공화국,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라오인민민주공화국, 쿠바 공화국이다. 이들은 각각 중국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조선로동당, 라오인민혁명당, 쿠바 공산당의 지도적 역할을 헌법에 명시하고 있다.
과거에는 소비에트 연방, 독일민주공화국, 헝가리 인민공화국 등 여러 국가에서 헌법에 공산당의 지도적 역할을 명시했으나, 현재는 해당 조항이 삭제되거나 체제 변화로 '당의 지도성' 명시가 사라졌다. 시리아는 시리아 바트당의 지도적 역할을 명시했으나, 시리아 내전 이후 헌법 개정으로 다당제를 인정했다.
6. 1. 현존하는 사회주의 국가
공산당의 지도성을 헌법에 명기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서언에 각 정파 및 각 대중단체와 각 민족인민이 "당의 영도" 아래에 있다고 명기했으며,[38] 2018년 개헌 때도 헌법 본문 제1조에 "중국공산당의 영도는 중국식 사회주의의 가장 본질적인 특징"이라고 규정했다.[39]
-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 헌법 제4조에 베트남 공산당이 "국가와 사회의 지도세력"이라고 명기했다.[4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2009년 개정)에 "당의 영도"를 명기[41]
- 라오인민민주공화국: 헌법 제3조에 "라오인민혁명당을 주축으로 한 정치제도"를 규정[42]
- 쿠바 공화국: 헌법 제5조에 "쿠바 공산당은 사회 및 국가의 뛰어난 지도력"이라고 규정[43]
국가·지역 | 지도정당 | 헌법상 규정 |
---|---|---|
중화인민공화국 | 중국공산당 | 제1조 『중국공산당의 지도는 중국의 특색을 지닌 사회주의의 가장 본질적인 특징이다.』[13] |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 | 베트남공산당 | 제4조 『베트남공산당은 노동계급의 선봉대이자 동시에 노동하는 인민과 베트남 민족의 선봉대로서, 마르크스-레닌주의와 호치민 사상을 이념적 기초로 채택하며, 노동계급, 노동하는 인민 및 모든 민족의 이익을 충실히 대표하는 국가와 사회의 지도 세력이다.』[1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조선로동당 | 제1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로동당의 지도하에 모든 활동을 수행한다.』 |
라오스인민민주공화국 | 라오스인민혁명당 | 제3조 『국민의 주권자로서의 권리는 라오스인민혁명당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제도를 통해 행사되고 보장된다.』[15] |
쿠바공화국 | 쿠바공산당 | 제5조 『쿠바공산당은 사회와 국가의 탁월한 지도력이다.』[16] |
6. 2. 과거 사회주의 국가
현재 헌법에 공산당의 지도성을 명기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서언에 각 정파 및 각 대중단체와 각 민족인민이 “당의 영도” 아래에 있다고 명기했으며,[38] 2018년 개헌 때 헌법 본문 제1조에 “중국공산당의 영도는 중국식 사회주의의 가장 본질적인 특징”이라고 규정했다.[39]
-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 헌법 제4조에 베트남 공산당이 “국가와 사회의 지도세력”이라고 명기했다.[4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2009년 개정)에 “당의 영도”를 명기[41]
- 라오인민민주공화국: 헌법 제3조에 “라오인민혁명당을 주축으로 한 정치제도”를 규정[42]
- 쿠바 공화국: 헌법 제5조에 “쿠바 공산당은 사회 및 국가의 뛰어난 지도력”이라고 규정[43]
과거 헌법에 공산당의 지도성을 명기했던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국가·지역 | 지도 정당 | 헌법상 규정 | 비고 |
---|---|---|---|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 알바니아 노동당 | 제3조 「알바니아 노동당은 노동계급의 전위대이며, 국가와 사회의 유일한 정치 지도력이다.」 | 1991년 당의 지도력을 포기하고 알바니아 사회당으로 개편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 제126조 「노동자, 농민, 지식인 중 적극적이고 의식적인 시민들은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위한 투쟁에서 노동자 계급의 전위대이며, 모든 사회적 및 국가적 조직의 지도적 핵심을 이루는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에 결합한다.」 | 소련 8월 쿠데타로 당 활동이 금지되고 해산됨. 소련은 구성 공화국들이 독립하여 붕괴됨. 현재 러시아 연방은 93년 개헌으로 "당의 지도력"을 포기함.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제4조 「사회와 국가의 주도적 세력은 노동계급의 전위대인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다.」 | 벨벳 혁명과 함께 보헤미아·모라비아 공산당과 슬로바키아 공산당으로 분열 |
독일 민주 공화국 |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 제1조 「독일 민주 공화국은 노동계급과 그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의 지도하에 있다.」 | 1989년 12월, 헌법 제1조에서 지도 규정 삭제[17]. 1991년 국가는 독일 연방 공화국에 편입되는 형태로 소멸. 한편 당은 독일 재통일 후 좌파당 (독일)으로 전환되어 존속 |
헝가리 인민공화국 |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 제56조 「민주적으로 단결하고, 그 전위대에 의해 지도되는 노동계급은 국가와 사회 활동의 주도적 세력이다.」 | 헝가리 혁명 이후 점진적인 개혁을 추진하여 1989년 2월 스스로 지도력을 포기하고 다당제를 허용하기로 결정. 당은 헝가리 사회당으로 전환. 1990년, 인민공화국에서 헝가리 공화국으로 이행 |
폴란드 인민공화국 | 폴란드 통일 노동자당 | 제3조 「폴란드 통일 노동자당은 사회주의 건설에서 사회의 지도적 정치 세력이다.」 | 1989년 자유 선거에서 패배하고 해산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루마니아 공산당 | 제3조 「루마니아 공산당은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사회 전체에서 주요한 정치 세력이다.」 | 루마니아 혁명 (1989년)으로 무력으로 타도됨 |
- 시리아 아랍 공화국 - 1970년대 이후 아랍 사회주의를 내세운 시리아 바트당의 사실상의 일당 독재[18] 체제였으며, 헌법에 바트당을 "지도 정당"으로 명시하고 있었다[19][20]. 그러나 2011년부터 시작된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2012년 헌법을 개정하여 "지도 정당" 조항을 삭제하고 다당제를 인정하였다.[21]
7. 유사 사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 바아스당, 인민행동당 등은 '당의 지도성'과 유사한 사례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각 사례는 독재 형태, 헌법 명시 여부, 선거 제도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나치 독일의 경우, 아돌프 히틀러를 중심으로 한 총통 체제 하에서 당의 지도성이 모호하게 규정되었고, 사담 후세인 정권의 이라크는 바아스당의 일당 독재였지만 헌법에 명시되지는 않았다. 싱가포르는 헌법상 지도 정당 개념은 없지만, 특수한 선거 제도로 인해 인민행동당이 장기 집권하고 있다.
7. 1. 나치 독일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 정권 하의 독일에서 국가에 대한 당의 법적 지위는 모호했으며, 아돌프 히틀러를 당과 민족 공동체의 총통(지도자 겸 총리)으로 했다.1933년 1월, 나치당은 정권 획득 후 선거를 실시하고, 그 승리를 "나치당과 그 지도자인 히틀러가 민족과 국가를 지도한다"는 체제가 확립된 것으로 선전하며, "히틀러와 당이 국가를 지도한다"고 주장했다.[22] 같은 해 7월 31일 공포된 「정당 신설 금지법」에 의해 나치당이 독일 유일의 정당이 되었고, 12월 1일에는 「당과 국가의 통일을 보장하기 위한 법률」이 공포되어 당과 국가는 하나의 것으로 정의되었으나, 1942년의 「당의 법적 지위에 관한 총통 명령」에서 이 정의는 삭제되었다.[23]
나치스 정권 하에서는 당이나 법보다 총통인 히틀러의 의지(총통 명령)가 최우선시되었고, 당의 지도성을 명기한 성문법 제정이나 헌법 개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애초에 바이마르 헌법 자체가 전권 위임법의 성립으로 사문화되고 있었지만, 패전 시까지 공식적으로 폐지되지는 않았다). 이 때문에 국가와 당의 직책이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 당 간부들 사이의 권력 다툼이 끊이지 않았지만, 히틀러는 이를 적극적으로 시정하지 않았고, 오히려 방치하는 경우도 있어, 오히려 그것을 최종적으로 재정할 수 있는 총통의 절대적 지위가 강화되었다고도 한다. 마르틴 보르만은 "당의 지위는 법률의 규정으로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고 평가했다.[24]
7. 2. 이라크
사담 후세인 정권(1979-2003) 하의 제3공화국 이라크(1968-2003)는 전임 아흐마드 하산 알-바크르 정권(1968-1979)을 포함, 1968년 이후 아랍 사회주의를 내세운 바아스당의 사실상 일당 독재였지만, 헌법에 "지도 정당"으로 명시되지는 않았다. 1970년 헌법에서는 "최고 국가 기관"을 "혁명 지도 평의회"(제37조)로, 그 의장을 "공화국 대통령"(제38조)으로 규정했지만, 그 구성원 일부는 "사회주의 아랍 바아스당"의 지역 지도자로부터 선출하는 것이 명시되어 있었다.[25]7. 3. 싱가포르
싱가포르의 헌법에는 지도 정당의 개념이 없으며[26], 선거는 여러 정당의 경쟁으로 치러진다. 하지만 승자독식 방식의 집단 선거구(Group Representation Constituency)를 중심으로 하는 선거 제도와 여당이 낙선한 지역에 대한 행정부의 보복 등으로 건국 이래로 인민행동당이 의회 의석의 대부분을 차지해 왔다. 예를 들어 2006년 총선거에서는 여당인 인민행동당이 득표율 66.6%를 얻어 의석의 97.6%를 획득했다.[27]8. 관련 논쟁
- 카를 카우츠키는 사회주의 입장에서 의회민주주의를 주장하며 레닌의 일당 독재를 비판했다.
- 로자 룩셈부르크는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긍정했으나,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계급의 독재이지 일당일파의 독재가 아니라고 하며 레닌의 전위당론을 비판했다.
- 레프 트로츠키는 요시프 스탈린 지배하의 소비에트 연방을 "관료에 의해 왜곡되고 타락한 노동자 국가"라고 부르며, 다당제의 필요성을 주장했다.[28]
- 일본 공산당은 당 강령에서 일본 사회주의에서는 "다양한 사상·신조의 자유, 반대 정당을 포함한 정치 활동의 자유는 엄격하게 보장된다"고 명시하고, 특정 정당에 "『지도』정당으로서의 특권"을 부여하는 것은 "엄격히 배척된다"[29]고 밝히고 있다. 또한, 일본 공산당 계열 청년 단체인 일본 민주청년동맹은 과거에는 동맹의 목적에 대해 "일본 공산당의 인도를 받아"라고 당의 지도성을 명확히 밝혔으나, 1980년대 이후로는 일본 공산당을 "상담 대상"으로 언급하는 등 표현이 바뀌었다.[30]
-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계열 사이트(Show China)에서는 "중국 공산당의 지도와 집정"이 필요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7]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을 추진하고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시킨다. |
중국의 국가 통일과 사회의 조화·안정을 지킨다. |
정권의 안정을 보장한다. |
수억 명의 인민을 단결시켜 공동으로 훌륭한 미래를 건설한다. |
참조
[1]
서적
レーニン主義
三省堂
[2]
웹사이트
Leninsm - sociologyindex.com
http://sociologyinde[...]
[3]
웹사이트
What Is To Be Done?
http://www.marxists.[...]
[4]
웹사이트
戦後の日本外交と1984年の我が国の主要な外交活動 - 各国との関係の増進
http://www.mofa.go.j[...]
[5]
웹사이트
中華人民共和国 - 外務省
https://www.mofa.go.[...]
[6]
웹사이트
国際社会の変化とわが国の外交課題 - 外務省
https://www.mofa.go.[...]
[7]
웹사이트
中国共産党は人民を指導して国の主人公にさせる - Show China
http://jp.showchina.[...]
2021-10-00
[8]
뉴스
統一部の北朝鮮権力機構図改正版、「党の領導」明示 - 韓国新聞
http://www.wowkorea.[...]
ワウコリア
[9]
웹사이트
単一政党しか存在しない理由はなにか - キューバ大使館
http://embacuba.cuba[...]
[10]
서적
現代中国の政治と文学: 批判と粛清の文学史
東方書店
1993-00-00
[11]
서적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の法と司法制度
日本評論社
1985-00-00
[12]
문서
[13]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宪法 _ 滚动新闻 _中国政府网
http://www.gov.cn/xi[...]
2019-03-08
[14]
PDF
ベトナム社会主義共和国憲法(2013年)
https://www.moj.go.j[...]
法務省
[15]
PDF
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憲法(日本語訳)
https://www.moj.go.j[...]
法務省
[16]
PDF
キューバ共和国憲法(2002年)
https://www.waseda.j[...]
早稲田大学比較法研究所
[17]
웹사이트
Verfassungen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1974)
http://www.verfassun[...]
[18]
웹사이트
シリア・アラブ共和国 - 外務省
https://www.mofa.go.[...]
[19]
웹사이트
シリアの政治 - maxtie.com
http://www.maxtie.co[...]
[20]
웹사이트
第9回バアス党地域指導部大会 - 中東経済研究所
http://jime.ieej.or.[...]
[21]
뉴스
シリアで新憲法の国民投票 反体制派は不参加呼びかけ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2]
문서
指導者-国家-憲法体制の構成
[23]
문서
指導者-国家-憲法体制の構成
[24]
문서
指導者-国家-憲法体制の構成
[25]
웹사이트
イラク共和国暫定憲法 - 国立情報学研究所
https://cir.nii.ac.j[...]
[26]
웹사이트
シンガポール憲法の改正
http://www.ndl.go.jp[...]
[27]
웹사이트
シンガポールの選挙制度 ~与党が議席の95%を占める選挙制度とは?~
http://www.pref.hokk[...]
北海道シンガポール駐在員事務所
2009-07-20
[28]
웹사이트
資本主義の死の苦悶と - 第4インターナショナルの任務(トロツキー)
http://marxists.anu.[...]
[29]
웹사이트
日本共産党綱領(2004年)
https://www.jcp.or.j[...]
[30]
서적
民青同盟の活動と主張
日本民主青年同盟中央委員会
1984-00-00
[31]
웹사이트
【新年共同社説】2011年「今年もう一度軽工業に拍車をかけ、人民生活向上と強盛大国建設で決定的転換を起こそう」- 『労働新聞』『朝鮮人民軍』『青年前衛』共同社説全文(翻訳:主宰者)
https://archive.ph/w[...]
[32]
서적
レーニン主義
三省堂
[33]
웹사이트
Leninsm - sociologyindex.com
http://sociologyinde[...]
2020-02-01
[34]
웹사이트
What Is To Be Done?
http://www.marxists.[...]
[35]
웹사이트
戦後の日本外交と1984年の我が国の主要な外交活動 - 各国との関係の増進
http://www.mofa.go.j[...]
[36]
서적
現代中国の政治と文学: 批判と粛清の文学史
東方書店
1993
[37]
서적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の法と司法制度
日本評論社
1985
[38]
웹사이트
中華人民共和国憲法
http://www.gov.cn/go[...]
[39]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宪法 _ 滚动新闻 _中国政府网
http://www.gov.cn/xi[...]
2019-03-08
[40]
PDF
ベトナム社会主義共和国憲法(2013年)
http://www.moj.go.jp[...]
法務省
[41]
웹사이트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社会主義憲法
http://www.geocities[...]
[42]
PDF
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憲法(日本語訳)
http://www.moj.go.jp[...]
法務省
[43]
PDF
キューバ共和国憲法(2002年)
http://www.waseda.jp[...]
早稲田大学比較法研究所
[44]
웹사이트
ソ連
http://www.mofa.go.j[...]
[45]
웹인용
Verfassungen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1968)
https://web.archive.[...]
2020-05-06
[46]
웹인용
Verfassungen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1974)
https://web.archive.[...]
2020-05-06
[47]
웹사이트
シリア・アラブ共和国
http://www.mofa.go.j[...]
[48]
웹인용
シリアの政治 - maxtie.com
https://web.archive.[...]
2020-05-06
[49]
웹사이트
第9回バアス党地域指導部大会
http://jime.ieej.or.[...]
[50]
웹인용
シリアで新憲法の国民投票 反体制派は不参加呼びかけ
https://web.archive.[...]
2020-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