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철산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산군은 황해와 접한 철산반도에 위치한 군으로, 평안북도에 속한다. 지리적으로는 구릉 지대가 많고, 연대산이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해안선을 따라 섬들이 분포하며,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역사적으로는 고구려, 발해, 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에 철산군으로 개칭되었다. 1952년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읍, 2구, 25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쌀, 옥수수, 콩 등을 재배하고 조개와 물고기를 어획한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마선굴과 원도가 있으며, 철산선이 지나고 동창리에 미사일 발사 기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산군 - 가도 (철산군)
    가도는 압록강 하구의 '유자나무 섬'으로, 고려와 조선 시대 역사와 관련 깊으며 명나라 장수 모문룡이 주둔했던 군사적 요충지였고 현재는 소수 주민이 거주한다.
  • 평안북도의 군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 평안북도의 군 - 동창군
    동창군은 평안북도 동부의 산악 지형에 위치하며 자강도와 경계를 접하고 1952년 창성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군으로, 금, 은, 인회석 등의 광업이 주요 산업이며 옥수수 경작과 소규모 수력 발전이 이루어지고 1개의 읍, 1개의 로동자구, 16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철산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철산군
한글 표기철산군
한자 표기鐵山郡
로마자 표기Cheolsan-gun
McCune-Reischauer 표기Ch'ŏlsan-kun
지도 정보
철산군 위치
행정 구역
국가북한
평안북도
하위 행정 구역1읍, 2 노동자구, 25 리
통계 정보
면적361.4km²
인구 (2008년)85,525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2. 지리

철산군 남쪽에는 황해와 맞닿아 있는 철산반도가 있다. 군의 북쪽은 염주군동림군이며, 나머지는 바다에 접한다.

대개 해발 300미터가 넘지 않는 구릉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군 중앙에 있는 연대산 등의 산지도 그리 높지 않다. 숲은 주로 소나무와 참나무로 이루어져 있다. 복잡한 해안선을 따라 가장 큰 섬인 가도를 포함한 수십 개의 섬이 있으며, 이 가운데 일부는 무인도이다. 해안 지역에서는 조개가 많이 생산된다.

황해와 접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그리 춥지 않은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평안북도에서는 겨울에 가장 따뜻한 곳이다. 평균 기온은 8.9°C이고, 1월 평균은 -7.9°C, 8월 평균은 24°C이다. 연 강수량은 900mm이다.

명승지로 석회암동굴인 마선굴이 유명하다. 철산군에 딸린 섬 중 하나인 원도는 바닷새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장화홍련전의 실제 무대이기도 하다.

3. 역사

고구려, 발해를 거쳐 고려 영역이 되었다. 1018년 철주방어사가 설치되었다. 조선 1413년에 철산으로 개칭되었고, 1415년에 철산군이 되었다. 1627년 정묘호란정봉수는 흩어진 군사들을 수습해 철산 의병장으로 용골산성에서 후금 군사 절반을 무찌르고 포로가 되었던 수천 명의 조선인을 구출하여 철산 부사로 특진되었다.[4] 17세기 초 명나라 장군 모문룡은 친명·반후금 자세를 분명히 한 김자점과 인조의 지지 아래, 가도(피도) 등 철산 일대를 거점으로 후금(청나라)의 배후를 위협하는 유격전을 실시해, 결과적으로 후금군의 조선 침공(정묘호란)을 불렀다.

1943년 10월 1일 선천군 심천면 오봉동을 편입하였다.[4] 해방될 무렵 철산면·백량면·부서면·여한면·참면·서림면의 6면 104리가 있었다. 1952년 북조선 지방 행정 구역 재편에 의해 일부가 동림군·염주군에 분할되어 철산면·부서면·여한면·백량면 등 지역으로 재구성된 철산군(1읍 28리)이 되었다.

철산은 대한민국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철산'''으로 표기되며, 만주족의 중국 정복 당시 모문룡 점령 하에 있던 시기에는 중국 기록에서 '''철산'''(Tieshan)으로 나타난다.

3. 1. 연표


  • 고구려, 발해를 거쳐 고려의 영역이 되었다.
  • 1018년 - 철주방어사가 설치되었다.
  • 조선 시대인 1413년 - 철산으로 개칭되었다.
  • 1415년 - 철산군이 되었다.
  • 1627년 - 정묘호란 발발. 정봉수가 의병장으로 용골산성에서 후금군을 크게 무찌르고 포로들을 구출, 철산 부사로 특진되었다.
  • 17세기 초 - 명나라 장군 모문룡김자점, 인조의 지지 아래 가도(피도) 등 철산 일대를 거점으로 후금(청나라)에 대항하는 유격전을 펼쳤다.
  • 1914년 4월 1일 - 평안북도 '''철산군'''에 고성면(古城面)·백량면(栢梁面)·정혜면(丁恵面)·참면(站面)·여한면(余閑面)·서림면(西林面)·부서면(扶西面)·운산면(雲山面) 설치.(8면)[2]
  • 1918년 - 고성면 및 부서면 일부가 합병되어 철산면(鐵山面)이 발족.(8면)[2]
  • 1939년 - 정혜면이 부서면에, 운산면이 백량면에 편입.(6면)[2]
  • 1943년 10월 1일 - 선천군 심천면 일부가 참면에 편입.(6면)[4]
  • 1945년 8월 15일 당시 - 철산면, 백량면, 부서면, 여한면, 참면, 서림면의 6면 104리.[2]
  • 1952년 12월 -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평안북도 철산군 철산면·백량면·부서면 및 여한면 일부 지역을 가지고 '''철산군'''을 설치. 철산군에 철산읍(鐵山邑)·부영리(富永里)·동평리(東平里)·월봉리(月峯里)·령삭리(令朔里)·근천리(根川里)·보산리(保山里)·선암리(仙巌里)·검암리(倹巌里)·수부리(寿富里)·명암리(明巌里)·가도리(椵島里)·대화리(大和里)·풍천리(豊川里)·동창리·금봉리(錦峯里)·기봉리(起鳳里)·학산리(鶴山里)·오봉리(梧峯里)·성암리(星巌里)·장송리(長松里)·금산리(金山里)·선주리(宣州里)·이화리(梨花里)·가산리(佳山里)·문봉리(文峯里)·원세평리(元世平里)·취암리(鷲巌里)·연수리(蓮水里) 설치.(1읍28리)[2]
  • 1954년 - 부영리가 동천로동자구(東川労働者区)로, 동창리가 동창로동자구(東倉労働者区)로, 취암리가 가봉로동자구(加峯労働者区)로 승격.(1읍3로동자구25리)[2]
  • 1958년 - 금봉리가 수부리에 편입, 장송리가 장송로동자구(長松労働者区)로 승격.(1읍4로동자구23리)[2]
  • 1963년 - 동창로동자구가 동창리로, 동천로동자구가 동천리로 강등.(1읍2로동자구25리)[2]
  • 1967년 4월 - 동림군 신곡로동자구 일부가 가봉로동자구에 편입.(1읍2로동자구25리)[2]
  • 1967년 10월 - 가봉로동자구 일부가 동림군 풍천리 일부와 합병되어, 동림군 신곡로동자구가 됨.(1읍2로동자구25리)[2]
  • 2002년9월 12일 - 군역 일부(이화리·금산리 각 일부)가 신의주특별행정구에 지정됨.(1읍2로동자구25리)[2]

4. 행정 구역

현재 철산군에는 1읍(철산읍), 2구(장송로동자구, 가봉로동자구), 25리(동평리, 월봉리, 령삭리, 명암리, 수부리, 검암리, 동창리, 선암리, 기봉리, 보산리, 근천리, 풍천리, 오봉리, 선주리, 금산리, 학산리, 리화리, 성암리, 문봉리, 가산리, 원세평리, 련수리, 가도리, 대화리, 동천리)가 있다.

로동자구
철산읍가봉로동자구


5. 경제

철산군의 토지 중 46%는 소나무와 참나무가 주를 이루는 숲으로 덮여 있다. 40%는 경작지로, , 옥수수, 등이 재배된다. 인근 해역에서는 조개와 물고기를 어획한다.

6. 교통

철산선이 지나며, 동천역이 있다.

7. 동창리 미사일 발사 기지

동창리는 철산군 동남부, 철산반도의 동부에 있는 지역이다. 미사일 발사 기지가 건설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평안북도 철산군 역사 http://www.cybernk.n[...]
[3]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4]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96호 1943-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