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의 티베트 원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나라의 티베트 원정은 17세기 초 코슈트 칸국과 준가르 칸국의 티베트 지배 시기에 발생했다. 1717년 준가르 칸국이 티베트를 침공하여 코슈트 칸국을 무너뜨리고 달라이 라마 지위를 찬탈하자, 청나라 강희제는 1720년 원정대를 파견하여 준가르를 몰아내고 제7대 달라이 라마를 옹립했다. 이후 청나라는 티베트를 보호령으로 삼고 카샤그를 설치하여 통치했으며, 라싸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청나라는 1912년 신해혁명으로 멸망하면서 티베트 지배를 종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가 참전한 전쟁 - 청-네팔 전쟁
청-네팔 전쟁은 1788년부터 1792년까지 네팔 왕국과 청나라 간에 발생한 무력 충돌로, 네팔의 티베트 침략, 샤마르파 라마 망명, 소금 무역 문제 등이 원인이 되어 발발했으며, 케룽 조약과 베트라바티 조약 체결을 거쳐 청나라가 네팔에 대한 종주권을 확립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 중국-티베트 관계 -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합병
1950년 중국 인민해방군의 티베트 침공으로 시작된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합병은 중국의 역사적 관점과 티베트의 정치적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17개 조항 협정을 통해 "평화적 해방"이라는 명분 아래 추진되어 티베트 내부 저항과 국제 사회의 다양한 반응을 일으키며 티베트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중국-티베트 관계 - 청나라 치하 티베트
청나라 치하 티베트는 17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 청나라가 티베트 지역에 정치적 지배력을 행사하며 '후원자-사제 관계'를 맺었으나, 청나라 멸망 후 티베트 망명 정부는 독립을 선언하고 독립 국가임을 주장했다. - 몽골이 참전한 전쟁 - 소련-일본 전쟁
소련-일본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하여 만주, 쿠릴 열도, 사할린 등지에서 벌어진 전쟁으로, 소련의 극동 지역 영향력 확대와 일본의 항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동아시아 정세 변화를 초래했다. - 몽골이 참전한 전쟁 - 할힌골 전투
할힌골 전투는 1939년 만주국-몽골 국경인 할힌골 강에서 일본과 소련이 충돌한 군사 분쟁으로, 일본의 북진론과 소련의 극동 방어 전략이 맞부딪히며 대규모 전면전으로 확대, 소련군의 승리로 끝맺어 일본의 대외 정책에 영향을 주었다.
청나라의 티베트 원정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청나라의 티베트 원정 (1720년) | |
개요 | |
교전 세력 | |
지휘관 및 지도자 | |
병력 규모 | |
2. 역사
17세기 중반, 코슈트 칸국의 구시 칸이 티베트 고원에 새로운 세력을 구축하며 제5대 달라이 라마를 티베트의 정신적, 정치적 지도자로 추대하였다.[19][5] 이는 간덴 포드랑 정권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18세기 초, 준가르 칸국이 티베트를 침공하여 기존의 코슈트 칸국 세력을 몰아내고 혼란을 야기했다.[19][5] 이에 청나라의 강희제는 군대를 파견하여 티베트 군대와 협력, 1720년에 준가르 세력을 축출하였다.[20][21][22][7][8]
준가르 축출 이후 청나라는 티베트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였다. 새로운 제7대 달라이 라마를 옹립하고 라싸에 수비대를 주둔시켰으며,[23][9] 티베트를 점차 보호령으로 만들었다.[24][10] 1721년에는 기존의 티베트 정부를 대신하여 청나라의 감독을 받는 카샤그를 설치하여 통치 체제를 개편하였다.[25][11] 이 시기부터 청나라는 녹영군과 팔기군을 혼합한 군대를 티베트 여러 지역에 주둔시키며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26][12][27][13] 이러한 청나라의 티베트 통치는 1912년 청 왕조가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2. 1. 코슈트 칸국과 달라이 라마의 부상 (1642년)
코슈트 칸국의 구시 칸은 위창의 통치자를 전복하고 1642년 티베트 고원에 코슈트 칸국을 세웠다. 겔룩파 티베트 불교의 주요 후원자였던 그는 같은 해 제5대 달라이 라마를 티베트의 최고 정신적, 정치적 권위자로 추대하였다.[5] 제5대 달라이 라마는 간덴 포드랑으로 알려진 정권을 수립하여 티베트 통치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2. 2. 준가르의 침입과 청나라의 개입 (18세기 초)
1717년, 체왕 랍탄이 이끄는 준가르 칸국 군대가 티베트를 침공하였다. 이들은 코슈트 칸국의 마지막 통치자였던 라장 칸과 그의 가족을 살해하고, 라장 칸이 내세웠던 달라이 라마 참칭자 예셰갸초를 폐위시켰다.[19][5]이 침략에 대응하여 청나라의 강희제는 1718년, 전통적인 무역로 확보를 명분으로 소규모 군대를 파견했으나, 이 군대는 살윈 강 전투에서 준가르 군에게 패배하였다.[20][6]
이에 강희제는 1720년, 다시 원정대를 파견하였다. 이 원정대는 위창 지역의 지도자 폴라네와 서부 티베트의 지도자 캉체네(겐지니라고도 함)가 이끄는 티베트 군대와 협력하여[21][22][7][8] 마침내 준가르 군대를 티베트에서 몰아내는 데 성공하였다. 청나라 군대는 스스로를 코슈트 칸국의 후원자이자 준가르로부터 티베트를 해방시킨 해방군으로 내세웠다.[7][8]
준가르를 축출한 청나라는 티베트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청은 당시 명망이 높았던 켈장 갸초를 새로운 제7대 달라이 라마로 공식 인정하고 옹립하였으며, 라싸에 3,000명의 청나라 수비대를 주둔시켰다. 시간이 지나면서 청나라는 티베트를 자국의 보호령으로 간주하게 되었다.[23][9][24][10]
1721년, 청나라는 제5대 달라이 라마 이후 존재했던 티베트의 기존 토착 정부(간덴 포드랑)를 사실상 해체하고, 카샤그라고 불리는 새로운 티베트 내각 또는 각료 회의를 설치하였다. 이 카샤그는 라싸에 주둔한 청나라 수비대 사령관의 엄격한 감독 아래 티베트를 통치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특히 청나라의 이익과 관련된 문제에서는 카샤그의 결정에 청나라 측이 자주 개입하였다.[25][11] 서부 티베트 지도자였던 캉체네가 청나라의 지원 하에 카샤그를 이끄는 첫 번째 수장이 되었다. 이는 1912년 청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이어지는 청나라의 티베트 통치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청나라 군대는 준가르와의 전쟁 기간 동안 라싸뿐만 아니라 바탕( འབའ་ཐང་|bo ), 다르첸도, 라리( ལྷ་རི་རྫོང་།|bo ), 참도( ཆབ་མདོ་གྲོང་ཁྱེར།|bo ), 리탕( ལི་ཐང་རྫོང་།|bo ) 등 티베트 여러 지역에 주둔하였다.[26][12] 이들 주둔군에는 녹영군과 팔기군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다.[27][13] 악비의 후손으로 알려진 사천 지역 사령관 악종기는 녹영군 2,000명과 팔기군 1,000명을 이끌고 라싸에 처음 입성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8][14] 1728년 이후 청나라가 티베트에 주둔시킨 병력 구성에 대해서는, 마크 C. 엘리엇은 주로 녹영군을 활용했다고 주장하는 반면,[29][15] 에벌린 로스키는 녹영군과 팔기군이 함께 주둔군을 구성했다고 보았다.[30][16] 사빈 다빙하우스에 따르면, 청나라는 티베트 군대 3,000명을 지원하기 위해 1,300명 이상의 한족으로 구성된 녹영군 병사를 티베트에 주둔시켰다고 한다.[31][17]
2. 3. 청나라의 지배와 티베트 보호령화
1720년, 청나라는 위창의 폴라나스와 서부 티베트의 총독 캉체나스(Khangchenné, 겐지니라고도 함)가 이끄는 티베트 군대와 협력하여 준가르 칸국 세력을 티베트에서 몰아냈다.[21][22]코슈트 칸국과 준가르 칸국 세력을 티베트에서 몰아낸 청나라는 영향력을 강화하며, 당시 명망 높던 켈장 갸초를 새로운 제7대 달라이 라마로 옹립하고 라싸에 3,000명의 수비대를 주둔시켰다. 시간이 지나면서 청나라는 티베트를 자국의 보호령으로 간주하기 시작했다.[23][24] 1721년, 청나라는 제5대 달라이 라마 시대 이후 라싸에 존재했던 기존 정부를 폐지하고, 카샤그로 알려진 티베트 의회(또는 내각)를 새로 설치했다. 이 기구는 라싸에 주둔한 청나라 수비대 사령관의 긴밀한 감독 아래 티베트를 통치했으며, 특히 청나라의 이익과 관련된 사안에서는 카샤그의 결정에 개입하는 경우가 많았다.[25] 캉체나스는 청나라의 지지 아래 카샤그의 첫 번째 지도자가 되었다. 이는 1912년 청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지속된 청나라의 티베트 통치 시대의 시작이었다.
청나라 군대는 라싸뿐만 아니라 바탕( འབའ་ཐང་bo ), Dartsendo, 자리( ལྷ་རི་རྫོང་།bo ), 창두( ཆབ་མདོ་གྲོང་ཁྱེར།bo ), 리탕( ལི་ཐང་རྫོང་།bo ) 등 티베트 내 여러 중요 지역에도 주둔했다.[26] 티베트에 주둔한 청나라 군대는 녹영군과 팔기군으로 구성되었다.[27] 사천 지역 사령관이었던 악종기(악비의 후손)가 라싸에 처음 입성했을 당시, 그는 녹영군 2,000명과 팔기군 1,000명을 이끌었다고 전해진다.[28] 1728년 이후 티베트 주둔군의 구성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다소 다른 견해가 있다. 마크 C. 엘리엇(Mark C. Elliott)은 청나라가 팔기군 대신 녹영군을 주로 주둔시켰다고 주장하는 반면,[29] 에벌린 로스키(Evelyn S. Rawski)는 녹영군과 팔기군 모두 주둔군을 구성했다고 본다.[30] 사빈 다빙하우스(Sabine Dabringhaus)는 청나라가 3,000명의 티베트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1,300명이 넘는 녹영군 소속 한족 병사들을 티베트에 주둔시켰다고 언급했다.[31]
참조
[1]
서적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1-07-01
[2]
서적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
웹사이트
西藏為何重要?──從清朝對西藏、喜馬拉雅與印度的情報蒐集談起
https://newsletter.s[...]
中研院歷史語言研究所
[4]
서적
China Marches West: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5]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New Brunswick
1970
[6]
문서
2001
[7]
문서
2001
[8]
서적
Tibetan Nation: A History Of Tibetan Nationalism And Sino-Tibetan Relations
Westview Press
1997
[9]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10]
웹사이트
A time-line of Tibet
http://www.scaruffi.[...]
[11]
서적
China's Tibet Policy
[12]
서적
China's Last Imperial Frontier: Late Qing Expansion in Sichuan's Tibetan Borderland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1-11-28
[13]
서적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4]
서적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5]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Last Emperors: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11-15
[17]
서적
The Centre and the Provinces: Agents and Interactions
https://books.google[...]
BRILL
2014-04-17
[18]
서적
China Marches West: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19]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New Brunswick
1970
[20]
문서
2001
[21]
문서
2001
[22]
서적
Tibetan Nation: A History Of Tibetan Nationalism And Sino-Tibetan Relations
Westview Press
1997
[23]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24]
웹사이트
A time-line of Tibet
http://www.scaruffi.[...]
[25]
서적
China's Tibet Policy
[26]
서적
China's Last Imperial Frontier: Late Qing Expansion in Sichuan's Tibetan Borderland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1-11-28
[27]
서적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8]
서적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9]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The Last Emperors: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11-15
[31]
서적
The Centre and the Provinces: Agents and Interactions
https://books.google[...]
BRILL
2014-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