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체즈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즈어는 동북 코카서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체즈 지역에서 사용된다.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아사흐 방언의 체바리 하위 방언을 기준으로 한다. 음운 체계는 33개의 자음과 여러 모음을 가지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이 사용된다. 문법적으로는 명사가 문법적 수와 격에 따라 굴절되며, 8개의 문법적 격과 다수의 위치격이 존재한다. 능격-절대격 언어이며, 4개의 단수 명사 부류와 2개의 복수 명사 부류를 구분한다. 어휘는 아바르어, 조지아어, 아랍어, 러시아어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어순은 SOV를 기본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동캅카스어족 - 인구시어
    잉구시어는 북동카프카스어족 나흐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잉구셰티야 공화국에서 주로 사용되며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이고, 복잡한 음운 및 문법 구조, 20진법 수 체계, 동사-두 번째 어순(V2)이 특징적이다.
  • 북동캅카스어족 - 레즈기어
    레즈기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54개의 자음과 18개의 격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 러시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체즈어
개요
북동 캅카스어족 지도 (체즈어는 빨간색으로 표시)
북동 캅카스어족 지도 (체즈어는 빨간색으로 표시)
언어 이름체즈어
다른 이름디도어, 체즈어
자국어 이름цезйас мец (체즈야스 메츠)
발음IPA: [t͡sɛzˈjas mɛt͡s]
민족체즈족
사용 국가북캅카스
사용 지역다게스탄 남부
사용자 수17,574명 (2020년)
언어 계통캅카스어족 - 북동캅카스어족 - 체즈어군 - 체즈-히누흐어군
언어 코드(ISO 639-3)ddo
Glottologdido1241
GlottopediaTsez
문자 체계문자 없음, 키릴 문자
언어 생존력소멸 위기 언어
언어 상태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에 따르면 '심각하게 위험한' 언어로 분류됨 (2010년)

2. 방언

체즈어는 다음과 같은 방언으로 나뉜다.

아바르어 방언명체즈어 방언명
아사흐아사크
체바리체보루
모코크네워
키데로키디로
샤이틀에시ƛʼ
샤피크쇼피크
사가다소ƛʼ오



본 문서의 예시는 아사흐의 체바리 하위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사가다 방언은 다른 방언과 차이가 두드러지며, 일부에서는 별개의 언어로 간주한다.[2][3]

히누흐어와 크바르시어 또한 한때 체즈어의 방언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같은 어족의 별개 언어로 간주된다.

3. 음운론

체즈어는 아바르어를 기반으로 한 키릴 문자 표기법이 시도되었지만, 문자가 없는 언어이며 정서법이 확립되지 않았다.[9][10] 각 음소는 IPA [괄호], 라틴 문자, 키릴 문자 표기와 함께 나열된다. 방언에 따라 나타나지 않는 음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음소가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А а
/a/
Ā ā
/aː /
Аь аь
/æ/
Б б
/b/
В в
/w/ /ʷ/
Г г
/ɡ/
Гъ гъ
/ʁ/
Гь гь
/h/
ГӀ гӀ
/ʕ/
Д д
/d/
Е е
/e/
Ё ё
/jo/
Ж ж
/ʒ/
З з
/z/
И и
/i/
Й й
/j/
К к
/k/
Къ къ
/qʼ/
Кь кь
/t͡ɬʼ/
КӀ кӀ
/kʼ/
Л л
/l/
Лъ лъ
/ɬ/
ЛӀ лӀ
/t͡ɬ/
М м
/m/
Н н
/n/
О о
/o/
П п
/pʼ/
ПӀ пӀ
/pʼ/
Р р
/r/
С с
/s/
Т т
/t/
ТӀ тӀ
/tʼ/
У у
/u/
Ф ф
/f/
Х х
/χ/
Хъ хъ
/q͡χ/
ХӀ хӀ
/ħ/
Ц ц
/t͡s/
ЦӀ цӀ
/t͡sʼ/
Ч ч
/t͡ʃ/
ЧӀ чӀ
/t͡ʃʼ/
Ш ш
/ʃ/
(ъ)
/ʔ/
Э э
/e/
Ю ю
/ju/
Я я
/ja/
'
/ˤ/
Ӏ
/ˤ/


  • 인두화 표기 방법은 자음과 모음에서 다르다.
  • * '는 VC'로 VCˤ를 나타낸다. (C는 임의의 자음, V는 임의의 모음)
  • * Ӏ는 CVӀ로 CˤV를 나타낸다. 모음의 인두화를 나타내는 기호이지만, 실제로는 자음만 인두화된다.
  • в는 Cв로 Cʷ를 나타낸다.
  • 성문 폐쇄음 /ʔ/는 어두가 인두화되지 않은 모음일 때 그 모음 앞에 발음된다. 일반적으로 표기하지 않는다.


체즈어의 음절 구조는 일반적으로 CV(C)이다. 모음 연쇄는 존재하지 않으며, 교착어로서 복잡한 형태론을 가진다.[9][10]

3. 1. 자음

체즈어는 33개의 자음 체계를 보인다.[9]

colspan="2" |
파열음무성음p пt тk к
유성음b бd дg г
방출음pʼ пӀtʼ тӀkʼ кӀqʼ къ
파찰음무성음c цƛ лӀč чq хъ
방출음cʼ цӀƛʼ кьčʼ чӀ
마찰음무성음s сł лъš шx хħ хӀh гь
유성음z зž жɣ гъʕ гӀ
비음m мn н
유음r рl л
반모음w вy й


  • 성문 파열음()은 음소는 아니지만 단어의 첫머리에서 비인두화된 모음 앞에 자동으로 나타난다.[9]
  • 자음 무리는 종종 삽입음 을 삽입하여 분리된다. 뒤에서는 삽입되는 모음은 이다.[9]
  • 단어 첫머리의 자음은 인두화될 수 있으며, 제안된 정자법에서는 자음 뒤에 작은 로 표시된다. 키릴 문자로 표기할 때는 자음 뒤에 오는 모음 뒤에 팔로치카("Ӏ")가 사용된다.[9]
  • 순음화된 자음은 키릴 문자에서는 '''Cв'''로, 라틴 문자 표기에서는 '''Cʷ'''로 각각 표기된다. 와 양순음을 제외한 모든 자음은 순음화될 수 있다.[9]

3. 2. 모음

체즈어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9][10]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이tutu|우tut
중모음e|에tuto|오tut
저모음a|아tut (ā|아̄tut)


  • 체바리 방언은 긴 모음 ''ā'' 하나만 가지고 있다.
  •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모음이 탈락하므로, 연속된 모음이 두 개가 되는 경우는 없다. 하지만, 어말의 ''-u''는 모음이 뒤따를 경우 앞의 자음을 순음화한다.
  • 단어의 첫머리에 오는 ''e''는 키릴 문자로 ''э''로 표기한다.
  • 제안된 키릴 문자에 따르면, ''ya'', ''yo'', ''yu''는 ''я'', ''ё'', ''ю''로도 표기될 수 있다.
  • 아사흐 방언에서는, 길어진 모음은 자동적으로 ''ā''로 중화된다. 다른 방언(예: 모코크) 또한 전설 저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라틴 문자로는 일반적으로 ''ä''로, 키릴 문자로는 ''аь''로 표기한다. 일부 방언은 또한 긴 중설 후설 중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ō''로 표기된다.

3. 3. 음소 배열

체즈어의 음절 구조는 일반적으로 '''CV(C)'''이다. 모음 연쇄는 존재하지 않는다. 교착어로서 복잡한 형태론을 가지는데, 접미사는 어간의 구조에 따라 '''C''', '''V''', '''CV''', '''VC''' 또는 '''C+CV''' (첫 번째 자음은 앞 음절에 속함)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장소격 접미사 ''-ƛʼ(o)''는 단어 ''besuro'' (물고기)에 붙어 ''besuro-ƛʼ'' (물고기 위에)를 형성하며, ''is'' (황소)와 결합하여 음절 제약을 유지하기 위해 ''is-ƛʼo''를 형성한다.[9][10]

체즈어는 문자가 없는 언어이지만, 언어학적 기록에 사용되는 표기법이 존재한다. 다음은 키릴 문자를 사용한 표기법이다. 방언에 따라 나타나지 않는 음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음소가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А а
/a/
Ā ā
/aː /
Аь аь
/æ/
Б б
/b/
В в
/w/ /ʷ/
Г г
/ɡ/
Гъ гъ
/ʁ/
Гь гь
/h/
ГӀ гӀ
/ʕ/
Д д
/d/
Е е
/e/
Ё ё
/jo/
Ж ж
/ʒ/
З з
/z/
И и
/i/
Й й
/j/
К к
/k/
Къ къ
/qʼ/
Кь кь
/t͡ɬʼ/
КӀ кӀ
/kʼ/
Л л
/l/
Лъ лъ
/ɬ/
ЛӀ лӀ
/t͡ɬ/
М м
/m/
Н н
/n/
О о
/o/
П п
/pʼ/
ПӀ пӀ
/pʼ/
Р р
/r/
С с
/s/
Т т
/t/
ТӀ тӀ
/tʼ/
У у
/u/
Ф ф
/f/
Х х
/χ/
Хъ хъ
/q͡χ/
ХӀ хӀ
/ħ/
Ц ц
/t͡s/
ЦӀ цӀ
/t͡sʼ/
Ч ч
/t͡ʃ/
ЧӀ чӀ
/t͡ʃʼ/
Ш ш
/ʃ/
(ъ)
/ʔ/
Э э
/e/
Ю ю
/ju/
Я я
/ja/
'
/ˤ/
Ӏ
/ˤ/


  • 인두화 표기 방법은 자음과 모음에서 다르다.
  • * '는 VC'로 VCˤ를 나타낸다. (C는 임의의 자음, V는 임의의 모음)
  • * Ӏ는 CVӀ로 CˤV를 나타낸다. 모음의 인두화를 나타내는 기호이지만, 실제로는 자음만 인두화된다.

  • в는 Cв로 Cʷ를 나타낸다.
  • 성문 폐쇄음 /ʔ/는 어두가 인두화되지 않은 모음일 때 그 모음 앞에 발음된다. 일반적으로 표기하지 않는다.

4. 형태론

체즈어 문법은 1963년 조지아의 언어학자 다비트 임나이슈빌리에 의해 처음 분석되었다. 현재 모코크 방언으로 작성된 체즈어 민속 텍스트 모음이 제작 중이다.

4. 1. 명사

명사는 문법적 수와 격에 따라 굴절되며, 문법적 성이 할당된다.

4. 1. 1. 수

명사는 문법적 수와 격에 따라 굴절되며, 문법적 성이 할당된다. 명사는 단수 또는 복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형은 절대격에서 어간에 '-bi'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예: ''besuro'' (물고기 [단수]) → ''besuro-bi'' (물고기 [복수])). 다른 모든 격에서는 접미사가 '-za'이다. 따라서 "물고기 [복수]의"는 ''besuro-za-s''가 된다.

4. 1. 2. 격

체즈어에는 8개의 문법적 격과 위치, 방향, 지향의 세 가지 범주를 구분하는 더 많은 수의 위치격이 있다. 위치격과 비위치격을 모두 합하면 전체적으로 39개의 격이 있다.[4]

체즈어는 능격-절대격 언어로,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를 구별하지 않는다. 둘 다 무표지 절대격이며, 타동사의 행위자는 능격이다.[4]

라마잔 라자보프에 따르면, 명사의 42%는 사격 어간이 절대격 어간과 다르다. 일부 명사는 내부 구조(예: 모음)가 변경되지만, 다른 명사는 약 20개의 "주제 접미사" 중 하나를 끝에 추가하며, 다른 격 접미사가 여기에 붙는다. 예를 들어, "언어" 또는 "혀"를 뜻하는 단어는 ''mec''이지만, 사격 어간은 ''mecre-''이므로 복수는 ''mecrebi'', 능격은 ''mecrā'' 등이다. 라자보프는 올바른 주제 접미사를 선택하는 것이 때로는 원어민에게도 어렵다고 말한다. 이들의 기원은 영어 단어 "children"이 ''-(e)r''과 ''-en''이라는 두 개의 고어 복수 어미를 갖는 방식과 유사하게, 두 개의 다른 복수 형태를 적용한 데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체즈어에서는 때때로 고어와 더 생산적인 정규 복수 ''-bi''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4]

4. 1. 3. 성

명사는 문법적 수와 격에 따라 굴절되며, 문법적 성이 할당된다.

4. 2. 대명사

인칭 대명사는 체즈어에서 1인칭과 2인칭에만 존재하며, 3인칭에는 지시 대명사 ''že'' (단수)와 ''žedi'' (복수)가 사용된다. 단수 인칭 대명사는 절대격과 능격에서 형태가 같아 "Di mi okʼsi"와 같은 문장은 "내가 너를 때렸다"와 "네가 나를 때렸다" 두 가지 의미를 모두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사격에서는 다른 형태를 가지며, 복수 대명사와 마찬가지로 소유격 1격에서는 불규칙적인 형태를 보인다.

또한 "자신" 또는 "자기 자신"을 의미하는 재귀 인칭 대명사 ''žo''와 그 사격 형태인 ''ne-''가 있다.

4. 2. 1. 인칭 대명사

인칭 대명사는 체즈어에서 1인칭과 2인칭에만 존재하며, 3인칭에는 지시 대명사 ''že'' (단수)와 ''žedi'' (복수)가 사용된다. 단수 인칭 대명사는 절대격과 능격에서 형태가 같기 때문에, "Di mi okʼsi"와 같은 문장은 모호하며, 자유로운 어순 때문에 "내가 너를 때렸다"와 "네가 나를 때렸다" 두 가지 의미를 모두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사격에서는 다른 형태를 가지며, 복수 대명사와 마찬가지로 소유격 1격에서는 불규칙적인 형태를 보인다. 단수 대명사는 또한 네 가지 명사 부류 모두에서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반면, 복수 대명사는 아래 표에 표시된 것처럼 이러한 구분을 한다.

1 부류2-4 부류
1인칭 단수절대격 & 능격di
사격dā-
소유격 1dey
2인칭 단수절대격 & 능격mi
사격debe-[1]
소유격 1debi
1인칭 복수절대격eliela
사격elu-ela-
특별 소유격 1[3]eli
특별 소유격 2[3]eliz
2인칭 복수절대격mežimeža
사격mežu-meža-
특별 소유격 1[3]meži
특별 소유격 2[3]mežiz

[1] 이 형태는 어말 자음, 예를 들어 접미사 ''-r'' 앞에서 사용된다.[2] 이 형태는 음절 시작 자음, 예를 들어 접미사 ''-de'' 앞에서 사용된다.[3] 두 소유격의 특별한 형태는 소유자가 가까운 집단, 일반적으로 가족일 때 사용된다. 따라서 "우리 어머니"는 ''elus eniy'' 대신 ''eli eniy''로 사용된다. 복수 지시 대명사 ''žedi'' ("그들") 또한 이러한 특징을 보여, 가까운 집단 소유격 1에서는 ''žedi''이고 가까운 집단 소유격 2에서는 ''žediz''이다. 일반적인 소유자의 경우 이러한 형태는 각각 ''žedus''와 ''žeduz''가 된다.


  • 또한 "자신" 또는 "자기 자신"을 의미하는 재귀 인칭 대명사가 있으며, 이는 각각 ''žo''와 그 사격 형태인 ''ne-''이다.

4. 2. 2. 지시 대명사

지시 대명사는 해당 명사에 붙는 접미사이다. 명사 등급, 수, 격에 따라 활용되며, 근칭(가까움, this/these영어)과 원칭(멀리 있음, that/those영어)으로 구분되며, 후자는 3인칭 대명사로도 사용된다.

사격 형태는 형용사적으로 사용되며 다른 (사격) 격 접미사를 붙일 수 있는 기반으로도 사용된다.

 단수복수
 1등급2-4등급1등급2-4등급
근칭절대격-da-du-ziri
사격-si-ła-, -ł1-zi-za
원칭절대격žežedi
사격nesineło, neł1žedužeda



# ''-ł'' 형태는 단어 끝의 모음 뒤에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4. 2. 3. 의문 대명사

의문 대명사는 간접 형태에서만 사람("누구?")과 비인간("무엇?")을 구분하며, 절대 형태에서는 구분하지 않는다. 비인간 의문 대명사는 일치 현상을 유발할 때 4류 접사를 필요로 한다.

부사어를 대체하는 의문 대명사 (예: "언제?" 또는 "왜?")는 보통 문장의 처음에 나타나는 반면, 인수를 대체하는 의문 대명사 ("누구?", "무엇?" 등)는 대체된 단어의 위치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담화 특정 연결을 위해 앞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이동된 ''šebi''는 "무엇...?" 대신 "어떤...?"으로 번역될 수 있다.

체즈어의 의문 대명사
사람비인간
절대격šebi
간접격łāłina
능격łułinā



다른 의문 대명사로는 다음이 있다.


  • ''dice'' ("얼마나?")
  • ''didiyu'' ("어떤?")
  • ''didur'' ("어떻게?")
  • ''łina-s'' ("왜?"), 이는 비인간 간접 의문 대명사의 소유격 1형인 것으로 보인다.
  • ''nā'' ("어디?"), 어간 ''na-''
  • ''neti'' ("언제?")
  • ''šidā'' ("왜?")
  • ''šomo'' ("얼마나 많이?")

4. 3. 동사

ā로 변함-āš "먹을 것이다"-āsu "찾을 것이다"



의문문에서 과거 목격 접미사는 ''-s(i)'' 대신 ''-ā''이다. 예/아니오 질문에서 유한 동사는 추가 어미 ''-ā''를 받지만, 과거 목격 형태는 ''-iyā''(자음 뒤) 또는 ''-yā''(모음 뒤)를 받는다.

미래 시제는 화자가 원하는 의미를 가지는 확정 시제(1인칭)와, 2/3인칭에 사용되는 불확정 시제로 나뉜다.

다른 법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또한 동사에는 상적 의미를 나타내는 다양한 분석 형태가 있다.

4. 3. 1. 시제-상-법

체즈어의 기본적인 부정 접미사는 직설법에서 동사 어간 뒤에 삽입되는 '-čʼ'''V'''''이며, 여기서 '''V'''는 동사의 시제/상/법에 따라 다른 모음이 온다. "-ikʼi-"("가다") 동사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가능하다.

형태부정 접미사"-ikʼi-"("가다") 사용 시
과거 비목격 부정-čʼey--ikʼi-čʼey "가지 않았다"
과거 목격 부정-čʼu--ikʼi-čʼu-s 또는 -ikʼi-čʼu "가지 않았다"
현재 부정-ānu- ("있다"의 현재 부정)-ikʼi-x-ānu "가지 않는다"
미래 확정 부정-čʼi--ikʼ-ā-čʼi-n "가지 않을 것이다"
미래 불확정 부정-čʼi--ākʼi-čʼi "가지 않을 것이다" (모음 변동!)



금지 명령형(즉, 부정 명령형)은 동사의 미래 불확정 형태에 접미사 ''-no''를 추가하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āš-no!'' ("먹지 마!")와 같다. 부정 기원형은 단순히 거기에 ''-ƛ''을 추가한다. ''āš-no-ƛ'' ("그가 먹지 않게 하라!").

4. 3. 2. 부정

기본적인 부정 접미사는 직설법에서 동사 어간 뒤에 삽입되는 '-čʼV'이며, 여기서 'V'는 동사의 시제, 상, 법에 따라 다른 모음이 올 수 있다. 예를 들어 "-ikʼi-"("가다") 동사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가능하다.

형태부정 접미사"-ikʼi-"("가다") 사용 시
과거 비목격 부정-čʼey--ikʼi-čʼey "가지 않았다"
과거 목격 부정-čʼu--ikʼi-čʼu-s 또는 -ikʼi-čʼu "가지 않았다"
현재 부정-ānu- ("있다"의 현재 부정)-ikʼi-x-ānu "가지 않는다"
미래 확정 부정-čʼi--ikʼ-ā-čʼi-n "가지 않을 것이다"
미래 불확정 부정-čʼi--ākʼi-čʼi "가지 않을 것이다" (모음 변동!)



금지 명령형(부정 명령형)은 동사의 미래 불확정 형태에 접미사 ''-no''를 추가하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āš-no!'' ("먹지 마!")와 같다. 부정 기원형은 단순히 거기에 ''-ƛ''을 추가한다. ''āš-no-ƛ'' ("그가 먹지 않게 하라!").

부정어 'ānu'는 부정되는 구성 요소 뒤에 위치한다. 문장 전체를 부정할 경우, 동사 접미사가 사용된다(위의 동사 형태론 섹션 참조).

4. 3. 3. 가능법 및 사동법

가능법은 접미사 '-(e)ł'을 받으며, 사동법 접미사는 '-(e)r'이다.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거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다른 접미사가 붙으면 삽입 모음은 탈락한다. 예를 들어, 미래 시제 접미사 '-an'과 함께 삽입 모음은 탈락해야 한다. 'iš-er' ("그가 먹게 하라")이지만, 'iš-r-an' ("그가 먹게 할 것이다").

5. 통사론

체즈어는 종결어이며, 후치사를 제외하고 관계절, 형용사, 소유격, 수사 등 수식어가 항상 주요 절 앞에 온다. 두 개 이상의 수식어가 있는 절의 중립적인 어순은 다음과 같다.

: 행위자/경험자—수혜자—피험자—장소—도구

어순은 단일 명사구를 강조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본 어순은 SOV(주어-목적어-동사)이지만, 서술어는 문장의 끝이 아닌 중간에 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어순은 일상적인 대화에서 점점 더 흔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야기의 경우, VSO 어순도 가끔 사용된다.

명사구(NP)는 명사, 대명사 또는 명사화된 표현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격 변화를 한다. 체즈어는 분지 언어이므로 모든 수식어는 핵심 명사 앞에 오며, 등급에 따라 일치한다.

동사구는 동사 또는 연결 동사를 핵심으로 하는 구이다. 동사는 명사 구문에 대한 격 분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타동성을 가질 수 있다.

체즈어에서 문장의 어떤 요소나 부가어도 관계절의 중심이 될 수 있으며, 간접 목적어와 부사어도 포함된다. 그러한 절의 술어는 항상 분사이며, 관계 구문은 중심 명사보다 먼저 온다. 구성 요소는 내포된 절에서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소유 구문에서 소유자를 관계 구문의 중심 위치로 올리는 것은 불가능하다.[1]

다음은 기본 문장에서 다양한 요소와 부사어 부가어가 어떻게 관계화되는지를 보여주는 예시다.[1]


už-ā kidb-er gagali teƛ-si/teƛ-xo|소년-ERG 소녀-DAT 꽃:ABS 주다-PSTWIT/주다-PRSces

: "그 소년은 소녀에게 꽃을 주었다/준다."[1]
kidb-er gagali tāƛ-ru/teƛ-xosi uži|소녀-DAT 꽃:ABS 주다-PSTPRT/주다-PRSPRT 소년:ABSces

: "소녀에게 꽃을 준/주는 소년"[1]
už-ā kidb-er tāƛ-ru/teƛ-xosi gagali|소년-ERG 소녀-DAT 주다-PSTPRT/주다-PRSPRT 꽃:ABSces

: "소년이 소녀에게 주었던/주는 꽃"[1]
už-ā gagali tāƛ-ru/teƛ-xosi kid|소년-ERG 꽃:ABS 주다-PSTPRT/주다-PRSPRT 소녀:ABSces

: "소년이 꽃을 주었던/주는 소녀"[1]
už-ā kidb-er gagali tāƛ-ru/teƛ-xosi ɣudi|소년-ERG 소녀-DAT 꽃:ABS 주다-PSTPRT/주다-PRSPRT 날:ABSces

: "소년이 소녀에게 꽃을 주었던/주는 날"[1]

5. 1. 어순

체즈어는 종결어이며, 후치사를 제외하고 관계절, 형용사, 소유격, 수사 등 수식어가 항상 주요 절 앞에 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개 이상의 수식어가 있는 절의 중립적인 어순은 다음과 같다.

: 행위자/경험자—수혜자—피험자—장소—도구

어순은 단일 명사구를 강조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본 어순은 SOV(주어-목적어-동사)이지만, 서술어는 문장의 끝이 아닌 중간에 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어순은 일상적인 대화에서 점점 더 흔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야기의 경우, VSO 어순도 가끔 사용된다.

5. 2. 명사구

명사구(NP)는 정의에 따라 명사, 대명사 또는 명사화된 표현(예: 명사화 접미사 '-łi'가 붙은 분사, 동명사 또는 명사화된 제한 형용사(예: 영어의 "the older one"))을 가질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형용사 어간 바로 뒤에 접미사 '-ni'가 붙는다. 이들은 모두 격 변화를 한다.

체즈어는 분지 언어이므로 모든 수식어는 핵심 명사 앞에 오며, 등급에 따라 일치한다. 수식어의 중립적인 순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 관계절

# 비강조 소유 대명사

# 강조 소유 대명사

# 제한 형용사

# 지시사

# 수사 / 양화사

# 비제한 형용사

4, 5, 6번 요소의 순서는 다를 수 있다.

수식어는 사격 명사구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핵심 명사의 격에 따라 두 개의 소유격 접미사 중 하나를 사용한다. 절대격은 '-si', 사격 핵심 명사는 '-zo'를 사용한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5. 3. 동사구

동사구는 동사 또는 연결 동사를 핵심으로 하는 구이다. 동사는 명사 구문에 대한 격 분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타동성을 가질 수 있다.

5. 4. 관계절

체즈어에서 문장의 어떤 요소나 부가어도 관계절의 중심이 될 수 있으며, 간접 목적어와 부사어도 포함된다. 그러한 절의 술어는 항상 분사이며, 관계 구문은 중심 명사보다 먼저 온다. 구성 요소는 내포된 절에서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소유 구문에서 소유자를 관계 구문의 중심 위치로 올리는 것은 불가능하다.[1]

다음은 기본 문장(예시 1)에서 다양한 요소(예시 2, 3, 4)와 부사어 부가어(예시 5)가 어떻게 관계화되는지를 보여주는 예시다.[1]

예시 1 (표준):

: už-ā kidb-er gagali teƛ-si/teƛ-xo|소년-ERG 소녀-DAT 꽃:ABS 주다-PSTWIT/주다-PRSces

: "그 소년은 소녀에게 꽃을 주었다/준다."[1]

예시 2 (관계화된 행위자):

: kidb-er gagali tāƛ-ru/teƛ-xosi uži|소녀-DAT 꽃:ABS 주다-PSTPRT/주다-PRSPRT 소년:ABSces

: "소녀에게 꽃을 준/주는 소년"[1]

예시 3 (관계화된 피동자):

: už-ā kidb-er tāƛ-ru/teƛ-xosi gagali|소년-ERG 소녀-DAT 주다-PSTPRT/주다-PRSPRT 꽃:ABSces

: "소년이 소녀에게 주었던/주는 꽃"[1]

예시 4 (관계화된 수혜자):

: už-ā gagali tāƛ-ru/teƛ-xosi kid|소년-ERG 꽃:ABS 주다-PSTPRT/주다-PRSPRT 소녀:ABSces

: "소년이 꽃을 주었던/주는 소녀"[1]

예시 5 (관계화된 부가어):

: už-ā kidb-er gagali tāƛ-ru/teƛ-xosi ɣudi|소년-ERG 소녀-DAT 꽃:ABS 주다-PSTPRT/주다-PRSPRT 날:ABSces

: "소년이 소녀에게 꽃을 주었던/주는 날"[1]

6. 어휘

체즈어 어휘는 아바르어, 조지아어, 아랍어, 러시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튀르크어족에서 유래된 차용어도 존재한다. 특히 러시아어는 문법과 문체에도 영향을 미쳤다.[6] 이러한 영향으로 체즈어가 러시아어 및 아바르어에 의해 대체되어 사용되지 않게 될 것이 우려된다. 이는 전통 문화의 상실과 서양식 의류, 기술 및 건축의 도입에 부분적으로 기인한다.[6]

'체즈어'는 체즈어로 매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민간 어원으로 생각된다. 또한, '디도'는 조지아어로 크다는 의미의 "დიდი"(''didi'')에서 유래되었다.

체즈어는 언어학적 기록을 위해 아바르어를 기반으로 한 키릴 문자 표기법이 시도되었지만, 문자가 없는 언어이며 정서법이 확립되지 않아 체즈어 화자는 러시아어 또는 아바르어를 문어로서 사용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체즈어를 가르치지 않으며, 현지 아이들은 5년 동안 아바르어를 배우고 그 후 러시아어를 배운다. 따라서 젊은층은 체즈어보다 러시아어를 더 유창하게 구사하는 경향이 있다.

6. 1. 수사

체즈어의 수사는 절대격과 비스듬한 격,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절대격은 기본적인 수사 형태이고, 비스듬한 격은 수사가 비속격으로 사용될 때나 비절대 명사를 가리킬 때 사용되며, 항상 "-a"로 끝난다. 예를 들어 "sida ˤaƛār"(하나/마을로)와 같이 사용된다. 사물을 셀 때는 세는 대상은 항상 단수 형태를 유지한다.

절대 격비스듬한 격
1sissida
2qʼˤanoqʼˤuna
3łˤonołˤora
4uynouyra
5łenołera
6iłnoiłłira
7ʕoƛnoʕoƛƛora
8biƛnobiƛƛira
9očʼčʼinoočʼčʼira
10ocʼcʼinoocʼcʼira
11ocʼcʼino sis / siyocʼiocʼcʼira sida
12ocʼcʼino qʼˤano / qʼˤayocʼiocʼcʼira qʼˤuna
13ocʼcʼino łˤono / łˤoyocʼiocʼcʼira łˤora
14ocʼcʼino uyno / uwocʼiocʼcʼira uyra
15ocʼcʼino łeno / łewocʼiocʼcʼira łera
16ocʼcʼino iłno / iłocʼiocʼcʼira iłłira
17ocʼcʼino ʕoƛno / ʕoƛocʼiocʼcʼira ʕoƛƛora
18ocʼcʼino biƛno / biƛocʼiocʼcʼira biƛƛira
19ocʼcʼino očʼčʼino / ečʼocʼiocʼcʼira očʼčʼira
20qunoqura
100bišonbišonra
1,000ʕazarʕazarra



11부터 19까지의 숫자는 두 가지 방법으로 만들 수 있는데, 첫 번째 방법만 비스듬한 형태로도 존재한다. 접미사 "-ocʼi"를 사용하는 두 번째 형태는 변화시킬 수 없다.

20 이상에서는 20의 배수를 기준으로 숫자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40은 "qʼˤanoqu", 60은 "łˤonoqu", 80은 "uynoqu"이다. 비스듬한 형태는 모든 항목에 접미사 "-ra"가 추가된다.

100의 숫자는 복합 숫자에 접미사 "-no" 앞에 사용되는 "bišom"이라는 대체 형태가 있다.

1000을 나타내는 "ʕazar"는 페르시아어 "هزار"(''hezār'', 천)에서 유래한 차용어로 보이며, 아마도 아바르어를 통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더 높은 백과 천은 단순히 나열하여 표현하며, 더 큰 숫자 앞에 곱셈자가 온다.

복합 숫자는 더 높은 숫자에 접미사 "-no"(and)를 붙이고 바로 그 뒤에 더 낮은 숫자를 배치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47은 체즈어로 "qʼˤanoquno ʕoƛno"가 된다. 72와 같은 숫자는 "육십십이"(łˤonoquno qʼˤayocʼi" 또는 "łˤonoquno ocʼcʼino qʼˤano")로 표현된다.

기수(예: "one, two, three")는 명사 앞에 오며, 명사는 복수 형태가 아닌 단수 형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uyno is"는 "소 네 마리"를 의미한다.

서수(예: "first, second, third")는 기수에 "āƛiru"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qʼˤano āƛiru ɣudi"는 "두 번째 날"을 의미한다.

부사 수사(예: "once, twice, thrice")는 접미사 "-no"를 "-x"로 대체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두 번"은 체즈어로 "qʼˤa-x"가 된다. "(for) 두 번째"와 같은 표현은 부사 수사 접미사 "-x"와 서수 형성 마커 "āƛiru"를 사용하여 "qʼˤax āƛiru" 형태가 된다.

7. 표기법

체즈어는 문학적 전통이 부족하며, 문자로 표현되는 경우가 드물다.[9][10] 아바르어러시아어는 현지에서 문어로서 사용되며, 심지어 학교에서도 사용된다.[9][10] 그러나 전통 민속을 기록하기 위한 목적으로 체즈어 및 그 친족 언어에 대한 안정적인 표기법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있어왔으며, 따라서 아바르어를 기반으로 한 키릴 문자가 자주 사용된다.[9][10]

체즈어는 언어학적 기록을 위해 아바르어를 기반으로 한 키릴 문자 표기법이 시도되었지만, 문자가 없는 언어이며 정서법이 확립되지 않아 체즈어 화자는 러시아어 또는 아바르어를 문어로서 사용하고 있다.[9][10]

문자가 없는 언어이지만, 언어학적 기록에 사용되는 표기법이 존재한다.[9][10] 다음은 키릴 문자를 사용한 표기법이다.[9][10]

А а
/a/
Ā ā
/aː/
Аь аь
/æ/
Б б
/b/
В в
/w/ /ʷ/
Г г
/ɡ/
Гъ гъ
/ʁ/
Гь гь
/h/
ГӀ гӀ
/ʕ/
Д д
/d/
Е е
/e/
Ё ё
/jo/
Ж ж
/ʒ/
З з
/z/
И и
/i/
Й й
/j/
К к
/k/
Къ къ
/qʼ/
Кь кь
/t͡ɬʼ/
КӀ кӀ
/kʼ/
Л л
/l/
Лъ лъ
/ɬ/
ЛӀ лӀ
/t͡ɬ/
М м
/m/
Н н
/n/
О о
/o/
П п
/pʼ/
ПӀ пӀ
/pʼ/
Р р
/r/
С с
/s/
Т т
/t/
ТӀ тӀ
/tʼ/
У у
/u/
Ф ф
/f/
Х х
/χ/
Хъ хъ
/q͡χ/
ХӀ хӀ
/ħ/
Ц ц
/t͡s/
ЦӀ цӀ
/t͡sʼ/
Ч ч
/t͡ʃ/
ЧӀ чӀ
/t͡ʃʼ/
Ш ш
/ʃ/
(ъ)
/ʔ/
Э э
/e/
Ю ю
/ju/
Я я
/ja/
'
/ˤ/
Ӏ
/ˤ/

8. 샘플 텍스트

다음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철자법을 사용한 아사흐 방언으로 쓰인 체즈어 이야기이다.

고양이의 재주ddo[7]

옛날 옛적에 돼지, 늑대, 여우, 토끼가 있었다. 어느 날 그들은 함께 모여 늑대를 양을 위해 산으로 보내기로 결정했다. 돼지는 토끼를 물을 가지러 보냈고, 늑대와 여우를 수양을 위해 산으로 보냈다. 밤에 그들이 양떼에 이르렀을 때, 여우는 동쪽에서 신음하기 시작했다. 개들은 여우의 신음을 듣고 그 방향으로 달려갔고, 늑대는 서쪽에서 양떼를 향해 가서 살진 수양을 찾았다. 수양을 데리고 늑대와 여우는 캠프로 돌아왔다. 그들은 냄비를 불에 올리고 토끼를 물을 가지러 보냈다. 샘에서 고양이가 얼어붙고 있었다.

토끼는 고양이를 볼 수 없었다. 밤에는 토끼가 고양이를 보기 힘들었다. 토끼가 샘에 도착했을 때, 고양이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 움직임을 듣자 토끼는 물도 가져오지 않고 다시 도망갔다. 돼지가 물었다. "왜 물도 안 가져오고 도망갔어?" 토끼는 어떤 남자가 거기에 있다고 말했다. 다시 여우와 토끼는 물가로 갔다. 샘에 이르렀을 때 그들은 고양이에게 물었다. "너는 누구니?" — "나는 남자야"라고 고양이가 말했다. "어깨에 있는 건 뭐니?"라고 여우가 물었다. "소총이지"라고 고양이가 말했다. 여우와 토끼는 매우 무서워했지만, 그것이 고양이인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 후 세 사람은 함께 고기를 요리하러 갔다. 돼지는 나무 더미 뒤에 숨어 귀를 내밀고 잠들었고, 고양이는 불 옆에서 몸을 녹이고 있었다.

돼지가 귀를 움직였다. 고양이가 그것을 보자, 쥐라고 생각하고 돌진해서 그곳으로 뛰어갔다. 돼지는 매우 무서워서 큰 소리를 내며 숲으로 도망갔다. 늑대, 토끼, 여우는 큰 동물이나 무언가가 오고 있다고 생각했고, 서로 더 빨리 달려가 도망갔다. 모든 수양 고기가 고양이에게 남겨졌다. 7일 동안 고양이는 늑대와 여우의 전리품을 배불리 먹었다.[7]

9. 참고 문헌

참조

[1] 엑셀 Том 5.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и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Таблица 7. Население наиболее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по родному языку https://rosstat.gov.[...]
[2] 웹사이트 Сагадинский язык https://minlang.ilin[...] 2024-11-23
[3] 웹사이트 Цезские языки https://jazykirf.ili[...] 2024-11-23
[4] PDF Tsez morphonology http://www.auditoriu[...] 2006-11-01
[5] PDF The class category in Tsez: underlying principles http://www.auditoriu[...] 2007-09-26
[6] 웹사이트 The Didos http://www.eki.ee/bo[...] The Red Book of the Peoples of the Russian Empire 2006-08-12
[7] 웹사이트 K'et'us hunar: The cat's feat https://tsezacp.clld[...]
[8] 엑셀 Информационные материалы об окончательных итогах Всероссийской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2010 года http://www.gks.ru/fr[...]
[9] 서적 "О некоторых аспектах создания алфавитов бесписьменных языков народов России" 2000
[10] 서적 Цезский язы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