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삽입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삽입음은 언어학에서 특정 소리나 음절이 단어 내에 추가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어원, 자음과 모음의 삽입 유형, 그리고 한국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는 사례로 분류된다. 삽입음은 언어의 음운론적 제약, 외래어 차용, 방언 및 비표준 발음, 그리고 수화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며, 언어의 음성적 변화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운론 - 성조
    성조는 음절의 높낮이 변화로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언어 현상으로,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 등에서 나타나며, 단계성조, 곡선성조, 단어성조 등으로 분류되고 성조 변화, 성조 테라싱, 부유 톤 등의 현상을 보이며 다양한 표기법이 사용된다.
  • 음운론 - 보상적 장음화
    보상적 장음화는 자음 탈락으로 인해 앞선 모음이 장음으로 변하는 음운 현상이다.
삽입음
일반 정보
정의단어에 하나 이상의 소리를 추가하는 음운론적 과정
다른 이름삽입
예시
영어drawing (드로잉)
프랑스어a-t-il, aime-t-elle, vainc-t-on (아-t-일, 에임-t-엘, 뱅크-t-옹)
고대 그리스어*a-mrotos (아-mrotos)
현대 그리스어ἄμ-β-ροτος (암-β-로토스)
라틴어homine(m) (호미네(m))
스페인어hom-b-re (옴-b-레)
산스크리트어ratna (라트나)
팔리어ratana (라타나)
라틴어 (또 다른 예시)speciālis (스페키알리스)
스페인어 (또 다른 예시)e-special (에-스페셜)
라틴어 (세 번째 예시)status (스타투스)
스페인어 (세 번째 예시)e-stado (에-스타도)
프랑스어 (세 번째 예시)é-tat/é-té (에-타/에-테)

2. 어원

삽입음을 뜻하는 영어 단어 'Epenthesis'는 그리스어 ἐπί|epí|~에 덧붙여grc, ἐν|en|~안에grc, θέσις|thésis|놓다grc에서 유래되었다. 삽입되는 자음을 'excrescence', 모음을 'svarabhakti' (산스크리트어) 또는 'anaptyxis'라고 한다.

3. 삽입음의 유형

삽입음은 크게 자음 삽입과 모음 삽입으로 나뉜다.

'''자음 삽입'''의 예로는 "하루사메"(/harusame/)가 "하루"(/haru/)와 "아메"(/ame/) 사이에 자음 /s/가 삽입되어 형성된 것이 있다. 이 외에도 "아마리"(/amari/)에서 "안마리"(/aɴmari/)가, "마+히루마"(/ma+hiruma/)에서 "맛피루마"(/maQpiruma/)가 파생되기도 한다.[1]

'''모음 삽입'''은 한어나 외래어에서 원어의 자음으로 끝나거나 자음이 연속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영어 strike /straɪk/는 스트라이키(/sutoraiki/)나 스트라이크(/sutoraiku/)가 된다. 한어에서는 어말 입성(내파음)에 모음이 붙어, 육 /njiuk/은 니쿠(/niku/), 일 /jit/은 이치(/iti/)・이츠(/itu/)가 되었다.[1]

3. 1. 자음 삽입 (Excrescence)

자음 삽입은 주로 자음 간의 조음 위치가 다른 자음 무리(예: 한 자음이 순음이고 다른 자음이 치경음인 경우)에 발생한다. 영어 단어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something'' → ''some'''p'''thing''
  • ''햄스터'' → ''ham'''p'''ster''
  • ''*a-mrotos'' → ''am'''b'''rotos''[1]

3. 1. 1. 한국어의 자음 삽입

한국어에서는 'ㅎ' 말음 체언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결합할 때 'ㅎ'이 덧나는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머리칼'에 주격 조사 '-이'가 결합하면 '머리칼이'가 아니라 '머리칼히'로 발음된다.

일부 단어에서는 'ㅅ'이 덧나는 경우가 있는데, '나뭇잎', '깻잎'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사이시옷 현상도 넓은 의미의 자음 삽입으로 볼 수 있다.

3. 2. 모음 삽입 (Anaptyxis, Svarabhakti)

모음 삽입(Anaptyxis, Svarabhakti)은 주로 자음 사이에 모음을 넣어 분리하거나, 단어 끝에 모음을 추가하는 현상이다. 이는 특정 언어의 음운 규칙에 따라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 나타난다.

  • '''햄트램크''' → '''햄트램'''이'''크'''


삽입음은 두 모음 사이, 두 자음 사이, 모음과 자음 사이, 또는 단어 끝 등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어 접두사 真〜|ma|순수한 …, 완전한 …일본어는 자음이 뒤따를 때 真っ〜|ma'|뒤따르는 자음의 중복일본어로 규칙적으로 변환되어, 真っ白|masshiro|순백색일본어와 같이 된다.[1] 영어 접미사 `-t`는 `-st` 형태로 자주 나타나는데, `among` + `-st`에서 유래된 `amongst`가 단어 끝 덧붙임의 예시이다.

모음 삽입은 '''아나프틱시스''' (Anaptyxis)라고도 불린다. 일부 설명에서는 "침투성" 선택적 모음과, 음소 모음과 동일한 진정한 삽입 모음을 구별하기도 한다.

많은 언어에서 단어 끝 자음군을 해결하기 위해 모음이 삽입되기도 한다. 레바논 아랍어에서 ʔaləb|마음apc현대 표준 아랍어 قلب|rtl=yes|qalbar이집트 아랍어 ʔælb|마음arz에 해당한다.

슬라브어족의 역사에서도 모음 삽입이 관찰된다. 원시 슬라브어 형태 는 동슬라브어군에서 닫힌 음절을 열기 위해 복사 모음을 삽입하여 городъ|gorodŭorv가 되었고, 이는 현대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에서 город|gorodru가 되었다. 다른 슬라브어들은 모음과 음절 말 자음을 전위하여, 폴란드어 gródpl, 고대 교회 슬라브어 градъ|gradŭcu, 세르보크로아티아어 gradsh 및 체코어 hradcs에서 볼 수 있듯이 *''grodŭ''를 생성했다.

현대 페르시아어에서는 중세 페르시아어의 단어 첫머리 자음군이 분해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중세 페르시아어 는 현대 이란 페르시아어 برادر|rtl=yes|barādarpes로, 중세 페르시아어 은 초기 신 페르시아어 ستون|rtl=yes|sutūnfa을 거쳐 현대 이란 페르시아어 ستون|rtl=yes|sotunpes이 되었다.

인도 아리아어군의 여러 언어는 각 자음 뒤에 고유한 모음을 가지고 있다. 아삼어에서는 "o"(অas), 힌디어마라티어에서는 "a"(अhi)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산스크리트어 단어 는 아삼어에서 로 변한다.[1]

서부 로망스어군에서는 와 다른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 보강 모음이 삽입되었다. 라틴어 spatha|양날검la은 가 삽입되어 로망스어군에서 '검'을 뜻하는 일반적인 단어가 되었다. (스페인어/포르투갈어 espadaes, 카탈루냐어 espasaca, 고대 프랑스어 espedefro > 현대 épée프랑스어)

일본어는 차용어에서 를 주로 사용하지만, 와 뒤에서는 를 사용하고, 뒤에서는 공명 모음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영어 "cap"은 キャップ|kjappɯ일본어가 된다.

삽입 모음은 언어마다 다르게 사용되지만, 슈와는 사용 가능한 경우 매우 일반적이다.

3. 2. 1. 한국어의 모음 삽입

한국어는 자음으로 끝나는 외래어를 한국어의 음운 구조에 맞게 변형할 때 모음을 삽입하는 경우가 많다.[1] 예를 들어, 영어 단어 "strike"는 스트라이크|sɯ.tʰɯ.ɾa.i.kʰɯ한국어가 되는데, 세 개의 삽입 모음 가 들어간다. 영어의 이중 모음 는 두 음절로 분리된다.

대부분의 경우 가 사용된다. 는 차용된 , , , , 또는 뒤에 사용되지만, 원어에 따라 차용된 뒤에 가 사용될 수도 있다. 는 가 자음으로 이어지거나 음절이 로 끝날 때 사용된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아래아(ㆍ)'가 모음조화를 위해 삽입되기도 했다.

4. 삽입음의 발생 환경

삽입음은 다양한 이유로 발생한다. 특정 언어의 음운 규칙은 모음 충돌이나 자음군에서 모음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발음을 더 쉽게 하기 위해 자음이나 모음이 추가될 수 있다. 삽입음은 표기될 수도 있고, 구어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일 수도 있다.

4. 1. 음운론적 제약

특정 언어의 음운 규칙은 자음군이나 모음 충돌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제약을 피하기 위해 삽입음이 발생한다.[1]

다음은 삽입음의 예시이다.

  • ''drawing'' → ''draw-'''r'''-ing''
  • ''something'' → ''some'''p'''thing''
  • ''햄스터'' → ''ham'''p'''ster''
  • ''*a-mrotos'' → ''am'''b'''rotos''
  • ''햄트램크'' → ''햄트램'''이'''크''


일본어의 경우, "하루사메"/harusame/는 "하루"/haru/와 "아메"/ame/ 사이에 자음 /s/가 삽입되어 형성된 어형이다(접합사로도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아마리"/amari/에서 "안마리"/aɴmari/가 파생되거나, "마+히루마"/ma+hiruma/에서 "맛피루마"/maQpiruma/([h]→[p]는 자음 교체)가 파생되기도 한다.

또한 한어나 외래어에서 원어에서 자음으로 끝나거나 자음이 연속되는 경우에는 모음 /i/, /u/, /o/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영어의 strike /straɪk/는 스트라이키/sutoraiki/나 스트라이크/sutoraiku/가 된다. 한어에서는 어말의 입성(내파음)에 모음이 부가되어, 육 /njiuk/이 니쿠/niku/, 일 /jit/이 이치/iti/(>/ici/)・이츠/itu/(>/icu/) (역사적으로는 이치・이츠로 쓰고 이티・이투처럼 발음되었다), 입 /lip/이 리푸/ripu/ (현대에는 류/rjuн/. 리츠/ricu/는 관용음) 등이 되었다.

활용에서는 존재를 나타내는 동사였던 "아루"(-ar-)가 동사어간에 붙어 수동·존경·가능·자발을 나타냈지만, 모음 어간 동사에 붙는 경우에는 모음의 연쇄를 피하기 위해 r이 삽입되었다. 현대어에서는 e가 삽입되면서 r이 추가로 삽입되었다.

  • 쓰다: kak+ar+u (카카루) → kak+are+r+u (카카레루)
  • 일어나다 (일어나다): oki+r+ar+u (오키라루) → oki+r+are+r+u (오키라레루)


그 외에 "루", "사스(시키다)", "레바", "레도모" 등도 같은 이유로 모음 어간 동사에 r이나 s가 삽입되었다.

많은 인도 아리아어군은 각 자음 뒤에 고유한 모음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아삼어에서 고유한 모음은 "o"(অas)이고, 힌디어마라티어에서는 "a"(अhi)이다. 산스크리트어 단어 (মাংসsa, 고기), (ৰত্নsa, 보석), (যত্নsa, 노력), (পদ্মsa, 연꽃), (হৰ্ষsa, 기쁨), (দ্বাৰsa, 문) 등은 아삼어에서 (মাংসas > মঙহas), (ৰত্নas > ৰতনas), (যত্নas > যতনas), (পদ্মas > পদুমas), (হৰ্ষas > হৰিষas), (দ্বাৰas > দুৱাৰas) 등으로 변한다.[1] 다른 타츠사마 단어가 아닌 단어들도 아나프틱시스를 겪는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 "glass"는 (গিলাছas)가 된다.

4. 2. 외래어 차용

외래어를 차용할 때, 차용어의 음운 구조가 차용되는 언어의 음운 규칙에 맞지 않는 경우 삽입음이 발생할 수 있다.

  • 일본어: 모음을 분리하기 위해 삽입 자음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봄비'를 뜻하는 春雨|하루사메일본어는 와 의 합성어인데, 의 마지막 와 의 처음 를 분리하기 위해 가 추가되었다.[1] '가랑비'를 뜻하는 小雨|코사메일본어도 비슷한 예시이다.
  • 한국어: 대부분의 경우 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영어 'strike'는 스트라이크한국어 가 되며, 세 개의 삽입 모음 와 영어 이중 모음 가 두 음절로 분리된다.[1]

4. 3. 방언 및 비표준 발음

삽입음은 특정 방언이나 비표준 발음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영어에서, "hamster"는 종종 "p" 소리가 추가되어 American English|미국 영어영어 또는 Received Pronunciation|표준 영국 영어영어 로 발음된다.[2] "warmth"는 종종 "p" 소리가 추가되어 (GA) 또는 (RP)로 발음된다.[2] "fence"는 종종 로 발음된다.[2]

아일랜드 영어스코틀랜드 영어는 "film"과 같은 단어에서 과 사이에 슈와를 삽입하는 방언 중 일부이다. 이는 켈트어족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인도 영어에서도 힌디어와 같은 인도아리아어족의 영향으로 나타난다.[2]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구어체에서, 는 (), () 또는 음절 종결 (; 참고로 음절 종결 는 많은 방언에서 로 발음된다)를 제외한 자음군 사이에 삽입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 및 이 있다.

4. 4. 수화

수화에서도 삽입음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운동 삽입음"이라고 한다. 이는 손의 위치가 한 수화에서 다음 수화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3]

참조

[1] 서적 Rosona Bisitra Assam Book Depot
[2] 간행물 Glossonomia: Episode 7: Schwa [ə] https://www.yorku.ca[...] York University 2010-03-15
[3] 논문 Linguistics of American Sign Language https://books.google[...] Gallaudet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