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총리각국사무아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리각국사무아문은 청나라 말기 서양 열강과의 외교를 위해 1861년 설립된 외교 기구이다. 이전까지 외교를 전담하는 부서가 없었던 청나라는 제2차 아편 전쟁 이후 서양과의 외교를 위해 중앙집중식 외교 기구의 필요성을 느껴 공친왕 혁흔 등의 주도로 총리각국사무아문을 설치했다. 총리각국사무아문은 양광총독 관할 외 항구 개항, 각국 공사의 베이징 상주 등의 과제를 해결하고 외교, 통상, 해군, 광산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했다. 그러나 1901년 의화단 사건 이후 외무부로 대체되면서 폐지되었다.

2. 배경

청나라 말기 이전 중국에는 외교를 총괄하는 관청이 존재하지 않았고, 관할 지역마다 개별적으로 대응했다. '외교' 자체가 조공을 전제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공을 하지 않는 서양 국가들과의 교역을 담당하는 외교 부서는 존재하지 않았다.

총리아문을 창설한 공친왕 혁흔


서양 국가들은 청나라에 공식적인 외교 부서가 없는 것에 불만을 가졌다. 제1차 아편 전쟁 당시에는 양광 총독에게 흠차대신 권한을 위임하여 대응했지만, 제2차 아편 전쟁으로 양광 총독부가 함락되고, 톈진 조약베이징 조약을 통해 서양 열강은 청나라에 외무부에 해당하는 기관 설립을 요구했다.

톈진 조약베이징 조약은 청나라 외교에 다음과 같은 과제를 남겼다.

  • 양광총독 관할 외 항구 개항: 톈진 조약에서 10개 항구, 베이징 조약에서 1개 항구를 추가 개항해야 했다.
  • 각국 공사의 베이징 상주: 각국 공사급 이상의 외교관을 파견하면 청나라도 국가를 상대할 부서가 필요했다.

2. 1. 설립



톈진 조약베이징 조약으로 인해 중앙집중식 외교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공친왕 혁흔은 내각대학사 계량(桂良), 호부좌시랑 문상(文祥) 등과 함께 1861년 1월 11일에 상주하여, 3월 11일에 정식으로 총리각국사무아문(총리아문)을 설립하였다. 이는 이전까지의 중국 외교 정책을 크게 변화시킨 것으로, 이후 변법자강 운동의 선구적인 조직으로 평가받는다.[9]

3. 활동

1894년, 제1차 청일 전쟁 당시 총리약국사무아문의 구성원 사진


총리약국사무아문(총리아문)은 1861년 청나라가 외교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설치한 중앙 관청이다. 설립 이전에는 예부이번원 등 여러 기관에서 외교를 담당했다. 총리아문은 옹정제가 대학원의 기초를 세운 이후 청나라 중앙 관료제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중요한 제도적 혁신이었다.

총리아문은 5명의 고위 관리로 구성된 감독 위원회의 감독을 받았으며, 공친왕이 사실상의 지도자였다. 초기에는 임시 기관으로 여겨졌으나, 청나라 행정 체계에서 비교적 낮은 공식 지위에도 불구하고 수십 년 동안 중요한 기관으로 남아 있었다. 총리아문은 외교 정책 결정 기관은 아니었으며, 황제가 여전히 그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설립 초기에는 공친왕이 수석 군기대신을 겸임하고 다른 군기대신들도 그의 눈치를 보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안은 무난히 처리되었다.

번역원의 후신인 동문관은 서양 언어를 번역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총리아문에 종속되었다. 1873년 총리아문은 동치제 알현 의전 문제로 외국 공사들과 갈등을 겪었으나, 일본 대사 소에지마 다네오미의 도움으로 해결되었다. 1875년, 총리아문은 상설 외교 사절단을 외국에 설립하여 자체 대표성을 확보하고 본국에 있는 외국 외교관들의 견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능력을 얻었다.[7]

의화단 운동 이후, 청나라 정부는 외교 서비스를 변경해야 했다. 1901년 의화단 의정서에 따라 총리아문은 정부의 6부보다 높은 순위의 외무부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외무부는 총리아문과 마찬가지로 중국과 외부 세계 사이의 관계 개선에 효과적이지 못했다.[8]

3. 1. 외교 수행

1860년대, 공친왕이 이끌던 총리아문은 베이징 조약의 후속 조치를 처리하고, 1868년에는 톈진 조약의 관세 문제를 다루는 등 비교적 효과적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동문관 출신 인재들을 서양에 파견하고, 1866년에는 총세무사 로버트 하트[10]와 함께 斌椿(빈춘)을 대표로 하는 중국 최초의 유럽 사절단을 파견했다. 1867년에는 미국 공사 앤슨 벌링게임[11]을 흠차대신으로 임명하여 서구 열강에 파견하는 등 외교 활동을 전개했다.[7]

그러나 총리아문은 외교 정책에 대한 결정권이 없었고, 황제(사실상 서태후)나 군기대신이 결정권을 가지고 있었다. 1870년 리훙장이 북양통상대신으로 취임하면서 총리아문의 외교적 영향력은 약화되었다. 각국 공사들은 베이징에 상주하며 톈진에서 실권을 가진 리훙장과 소통하는 것을 선호하게 되었고, 실질적인 외교 중심은 베이징의 총리아문에서 톈진의 북양통상대신으로 이동하였다. 청일전쟁 무렵에는 톈진의 리훙장이 사실상 중국 외교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3. 2. 양무운동 추진

외교 분야 외에도 여러 외국과 일찍이 대면한 총리아문양무운동을 통한 부국강병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로버트 하트 등의 제안을 받아들여 관련 사업의 근대화도 추진했다. 그 때문에 동문관에서는 본래의 어학 교육뿐 아니라 교통, 공업, 경제(특히 무역), 군사 등의 분야에서 근대 교육을 실시하여, '양무내각'이라고 비꼬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들도 여러 외국에서는 "개혁의 속도가 느리다"고 여겨졌고, 국내 보수파에서는 "매국 행위"로 여겨졌다. 결국 외교 업무와 마찬가지로 양무운동에 있어서도 1870년대부터는 그 중심이 이홍장으로 옮겨가고, 총리아문은 중심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4. 조직 체계

총리아문은 정식 정부기관이 아닌 잠정적으로 발족한 군기처와 비슷한 위상을 가졌기 때문에, 조직과 배정 인력의 관품 등에 대한 규정이 없었다. 베이징 둥탕즈(東堂子) 후통(현재 둥청구)에 위치해 있었으며, 동서로 나뉘어 동쪽은 동사문관, 서쪽은 외교 활동에 사용되었다.[7]

총리아문은 5명의 고위 관리(초기에는 모두 만주족)로 구성된 감독 위원회의 감독을 받았으며, 공친왕이 사실상 지도자였다. 청나라 관리들은 이 기관이 외교 및 국내 위기가 지나갈 때까지만 유지되는 임시 기관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총리아문은 청나라 행정 체계에서 비교적 낮은 공식 지위를 가졌고, 구성원들은 다른 정부 기관에서 동시에 근무하여 그 지위를 더욱 약화시켰다. 또한, 외교 정책 결정권은 여전히 황제에게 있었다.[7]

번역원의 후신인 동문관은 서양 언어를 번역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한림원이 아닌 총리아문에 종속되었다.[7]

4. 1. 인력 구성

총리아문의 수뇌부는 왕족, 군왕, 베일러(貝勒) 등 만주 귀족층과 몇몇 대신[12]으로 구성되었으며, 각자 협력하여 사안을 처리하도록 배치되었다. 대신들은 군기대신, 내각대학사, 육부 상서(장관), 시랑 등 국정 중심에 있는 관료들이 겸임하였다. 대신 휘하에는 각종 문서를 처리하는 장경 16명(만주인, 한인 각 8명)이 배치되었다.

초대 책임자는 공친왕 혁흔이었으며, 대신으로는 상주를 했던 계량, 문상 등이 있었다.

4. 2. 조직 기구

총리衙문은 다음과 같은 구성이었다.("과"는 "부서"를 의미한다.)

명칭담당
영국과(英國股)영국과의 외교 전반, 서구 열강과의 통상무역 및 관세를 담당하였다.
프랑스과(法國股)프랑스, 네덜란드, 스페인, 브라질과의 외교 전반, 기독교 관련 업무, 해외 화교 보호, 중국-베트남(월남) 국경 문제를 담당하였다.
러시아과(俄國股)러시아, 일본과의 외교 전반, 몽골 지역 대러시아 무역, 중국-러시아 국경 문제, 해외 유학생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다.
미국과(美國股)미국, 독일, 페루, 이탈리아, 스웨덴, 노르웨이를 담당하였다.
해방과(海防股)북양함대, 남양수사 연안 포대 및 조선소 관리, 기선과 총포탄 구매, 전신, 철도, 광산 개발 및 운영을 담당하였다.



또한 부속 기관으로는 관세 관련 사안을 총괄하는 해관총세무사서[13]와 중국 최초의 외국어 학교인 경사동문관(현재 베이징대학교 외국어학원의 전신)이 있었다.

5. 총리아문 대신 경험자

총리아문 대신 경험자
만주인기인(旗人) 한인(漢人)


6. 폐지

의화단 사건 이후, 청나라 정부는 외교 서비스를 변경해야 했다. 1901년 의화단 의정서 제12조에 따라 총리약국사무아문은 정부의 6부보다 높은 순위의 외무부(外務部|Wàiwùbù중국어)로 대체되었다.[8] 그러나 외무부는 총리약국사무아문과 마찬가지로 중국과 외부 세계 사이의 관계 개선에 효과적이지 못했다.[8]

7. 평가

의화단 사건 이후, 청나라 정부는 외교 서비스를 변경해야 했다. 1901년 의화단 의정서 제12조에 따라 총리약국사무아문은 정부의 6부보다 높은 순위의 외무부(外務部|Wàiwùbù중국어)로 대체되었다.[8] 그러나 "후속 사건의 경과가 분명히 보여주듯이, 외무부는 총리약국사무아문과 마찬가지로 중국과 외부 세계 사이의 관계 개선에 있어서 효과적이지 못했다."[8] 이는 총리각국사무아문이 외세의 압력에 굴복하여 설립되었고, 외무부로의 개편 역시 자주적인 외교 역량 강화로 이어지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Pacific Century: The Emergence of Modern Pacific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8-04-20
[2] 서적 Wong Nai Siong and the Nanyang Chinese: An Anthology https://books.google[...] Singapore Society of Asian Studies
[3] 서적 The Inven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0-10-13
[4] 서적 Rereading Modern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015-04-23
[5] 서적 Encyclopedia of China: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19
[6] 판례 Hart v Van Gumpach (China and Japan) http://www.bailii.or[...] 1873-01-28
[7] 학술지 Mediating Sovereignty: The Qing legation in London and its diplomatic representation of China, 1876–1901 https://www.cambridg[...] 2021
[8] 서적 The Tsungli Yamen: Its Organization And Functions
[9] 문서 천진조약으로 개항을 약속한 10개 항구
[10] 문서 로버트 하트
[11] 문서 앤슨 버링게임의 흠차대신 임명
[12] 문서 총리아문의 대신 수
[13] 문서 해관총세무사서를 통솔하는 총세무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