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무운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무운동은 1860년대부터 1890년대까지 청나라가 서양의 기술을 받아들여 부국강병을 이루고자 추진한 개혁 운동이다. 아편 전쟁과 태평천국의 난을 겪으며 청나라는 서양의 군사적 우위를 실감했고, '중체서용'을 기치로 내걸고 군사력 강화, 산업 발전, 외교 체제 정비 등을 시도했다. 군수 공장 건설, 해군 창설, 외국어 교육 등을 통해 근대화를 추진했지만, 보수 세력의 반대, 지방 분권, 관료들의 부정부패, 자금 부족 등의 한계로 청일 전쟁에서 패배하며 실패로 끝났다. 양무운동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부정적 시각이 공존하며, 중국 근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무운동 - 이홍장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었던 이홍장은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기여하고 직례총독으로서 외교를 주도하며 군사력 강화에 힘썼으나, 청일 전쟁 패배와 부패 논란 등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의 삶은 청나라 격변기와 근대화 노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양무운동 - 중체서용
중체서용은 청나라 쇠퇴기에 중국 전통을 유지하며 서양 기술을 활용해 부국강병을 추구한 사상으로, 아편 전쟁 이후 펑구이펀, 장즈둥 등에 의해 구체화되었으나 양무운동의 한계를 드러내고 이후 사회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 중국의 개혁 - 남순강화
남순강화는 1989년 천안문 사건과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중국 내 개혁개방 논쟁이 심화되자 덩샤오핑이 1992년 중국 남부 지역을 순방하며 시장경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개혁·개방을 촉구한 활동으로, 중국 경제 성장과 공산당 내 개혁파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중국의 개혁 - 개혁개방
개혁개방은 1970년대 후반 덩샤오핑의 지도 하에 중국 공산당이 추진한 시장 개혁 정책으로, 농업 개혁, 외국인 투자 유치, 국영 기업 민영화 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소득 불평등, 환경 문제, 정치 개혁 부족 등의 사회적 문제도 발생했으며, 시진핑 집권 이후 국가 통제 강화와 경제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 청나라의 정치 - 의정왕대신회의
의정왕대신회의는 청나라 초기에 설립된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초기에는 황족과 고위 관리들이 군사 문제를 심의했으나 옹정제 시대에 대각원에 의해 기능이 대체되며 권한이 축소되었다. - 청나라의 정치 - 향신
향신은 군주제 중국에서 과거를 통해 직함을 얻은 사람들로, 지방 사회에서 관원과 민중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토지개혁으로 소멸되었다.
양무운동 | |
---|---|
개요 | |
![]() | |
본명 | 자강 운동 (自強運動, Ziqiang yundong) |
다른 이름 | 양무 운동 (洋務運動, Yángwù yùndòng) |
기간 | 1861년 – 1895년 |
원인 | |
주요 원인 | 서구 열강의 침략과 그로 인한 위기의식 |
목표 | 군사력 강화 경제 발전 근대화 추진 |
주요 인물 | |
주도 인물 | 증국번 이홍장 좌종당 장지동 |
참여 세력 | 지방의 한인 관료 및 지식인 |
내용 | |
주요 내용 | 군수 공장 설립 (예: 강남 제조국, 금릉 기기국, 푸저우 선정국) 해군 육성 (예: 북양 함대, 남양 함대, 광동 함대) 서양 기술 도입 및 교육 (통역관 양성) 근대식 산업 육성 (예: 전보, 철도) 외국어 교육 기관 설립 (동문관) |
결과 및 평가 | |
주요 결과 | 일정 수준의 군사력 강화 근대 산업의 발흥 사회 기반 시설 확충 |
실패 원인 | 관료 사회의 부패와 비효율성 기술 부족 재정 부족 보수 세력의 반발 서구 열강의 견제 |
한계 | 정치 체제의 개혁 미흡 사회 전반의 근대화 실패 청일 전쟁 패배로 종결 |
영향 | |
주요 영향 | 중국 근대화의 시발점 군벌의 성장 민족주의 운동의 촉발 이후 변법자강운동으로 계승 |
2. 역사적 배경
아편전쟁과 애로호 사건으로 청나라는 서양의 군사적 위력을 실감했고, 태평천국의 난이라는 내부 위기까지 겹치면서 안팎으로 어려움에 직면했다.[6]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청나라는 '부국강병'을 목표로 서양을 모델로 한 군사력 강화와 근대 산업 육성을 통해 난국을 타개하고자 하는 근대화 운동을 추진하게 되었다.
양무운동은 '중체서용'(中體西用)을 기치로 동치제 재위 기간(1861년~1874년)에 추진되었기 때문에 '동치중흥'(同治中興)이라고도 불린다.[6] 이 운동의 기원은 아편전쟁 직후 위원이 『해국도지』에서 서양의 장점을 배워 서양을 제압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6]
1861년 신유정변으로 서태후와 공친왕 혁흔을 중심으로 새로운 정권이 수립되면서 청일전쟁(1894년)에서 패배할 때까지 약 30년간 양무운동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 시기 청나라는 서구 열강에 대적할 만한 군사력을 보유했지만, 낡은 제도와 전통, 관료들의 부정부패를 개혁하지 못해 청불전쟁과 청일 전쟁에서 패배했다.[6]
2. 1. 양무운동 이전의 상황
아편전쟁과 애로호 사건을 통해 청나라는 서구 열강의 군사력을 실감하게 되었다.[6] 내부적으로는 태평천국의 난으로 인해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혼란을 겪고 있었다.[9] 이러한 상황에서 위원은 『해국도지』에서 "서양의 장기(長技)를 배워 서양을 제압한다"고 주장하며 서양 기술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6] 펑구이펀은 『교빈로항의』에서 "중국의 윤리와 명교를 근본으로 삼고, 여러 나라의 부강한 기술로 보완한다"는 '중체서용'의 기본 원칙을 제시하였다.[3]1840년부터 1842년까지의 아편 전쟁, 1856년부터 1860년까지의 애로 전쟁 (제2차 아편 전쟁)으로 청나라는 근대 유럽의 군사적 우위를 통감했다. 또한, 1851년부터 국내에서 일어난 태평천국의 난에서도 증국번·이홍장 등이 조직한 향용(상군, 회군)과 열강에 의해 조직된 "상승군"이 청나라 정규군인 팔기를 대신하여 진압의 주력이 되었다.


1860년 영,프 연합군이 베이징을 점령하고 함풍제가 열하로 도망치는 상황에서, 공친왕은 연합군의 요구를 받아들여 베이징 조약을 체결하였다. 함풍제는 열하에서 병사하고 동치제가 즉위하면서, 서태후와 공친왕을 중심으로 신유정변이 일어나 새로운 정권이 수립되었다. 1861년, 청조는 구미열강과의 외교를 담당할 총리아문을 설치하였다. 총리아문은 외교뿐 아니라 통상, 무기 구입 등 서양 관련 업무를 총괄하며 군기처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태평천국 운동 (1851–1864)은 무기 면에서 비교적 원시적이지 않았다. 점점 더 많은 서구 무기 상인과 암시장 상인들이 현대식 머스킷, 소총, 대포와 같은 서구 무기를 반군에게 팔았다.[9] 태평천국의 지도부는 다른 서구 개발과 더불어 철도와 증기선의 채택을 옹호했다.[10] 증국번은 후난성의 관료로서, 반군에 맞서기 위해 현지 상인들에게 자금을 조달하여 사적으로 관리하는 민병대인 상군을 모집했으며,[11] 서구 무기와 훈련을 사용했다.[12]
2. 2. 양무파 관료의 등장과 성격
신유정변(1861년) 이후 서태후와 공친왕 혁흔을 중심으로 새로운 정권이 수립되면서 양무운동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1861년 청조는 구미열강과의 외교문제를 전담할 총리아문을 설치하였다. 총리아문은 단순한 외교문제뿐만 아니라 통상, 무기 구입 등 서양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이었다. 군기처와의 관계는 명문으로 규정되지는 않았으나, 군기대신이 총리아문의 장관인 총서대신을 겸하여 군기처의 분국(分國)과 같은 성격을 띠었기 때문에 신정권의 권력 핵심에 해당하였다.[15]
양무운동은 상군(湘軍)과 회군(淮軍)을 이끌고 태평천국을 진압한 증국번, 이홍장, 좌종당 등 지방의 한족 관료들이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중앙 권력의 핵심에 있지 않았기 때문에 운동 추진에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양무운동 시기 권력의 중심은 서태후에게 집중되어 있었고, 공친왕은 총리아문의 장관으로서 구미 외교를 전담하며 양무 정책 추진의 중심이었으나, 청불전쟁(1884년) 발발과 함께 탄핵을 받아 사임하게 되었다.
양무운동 추진 세력은 보수적 관료들의 끊임없는 비판과 견제를 받았다. 그러나 증국번, 이홍장, 좌종당 등은 태평천국의 난 진압 과정에서 정치, 군사적 실력을 인정받아 양무운동의 적극적인 추진 세력으로 발탁되었다.
- '''증국번'''은 호남성 출신 학자로 상군을 조직하여 엄격한 훈련과 서양식 무기로 무장시켜 태평천국 진압에 결정적인 공을 세웠다. 1860년 양광총독과 흠차대신에 임명된 후 1872년 사망할 때까지 중앙 정부의 정책 결정에 참여하여 초기 양무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 '''좌종당'''은 호남성 출신으로 태평천국 진압에 공을 세웠고, 1881년과 1884년 두 차례 군기대신으로 발탁되어 군수 공장 건설을 주도하였다.
- '''이홍장'''은 증국번의 막우(幕友)로 발탁된 후 회군을 조직하고 상하이 지방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급성장하였다. 1870년 직례총독에 임명되어 1895년 청일전쟁 패배로 사임할 때까지 직례총독과 북양통상대신을 겸직하면서 양무운동을 적극 추진하고 청나라 말기 외교 문제 해결에 큰 역할을 하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일련의 개혁 시도들이 결국 보수 세력에 의해 좌절되었다고 평가한다.
3. 양무운동의 전개 과정
양무운동은 서양의 과학기술, 특히 군사 기술을 받아들여 청나라의 부국강병을 꾀하려는 운동이었다. '중체서용'(中體西用)이라는 이념 아래, 무기와 장비, 군사 시설에 집중 투자했다.
1863년 이홍장은 상하이와 난징에 각각 '''강남제조총국'''과 '''금릉기기국'''을 설립하여 근대식 무기를 생산했다. 좌종당은 1866년 푸저우에 '''복주선정국'''을 세워 근대식 군함을 제작했고, 1867년 심보정이 복건선정대신에 임명되었다. 숭후는 톈진에 '''천진기기국'''을 설립하여 화약과 포탄을 생산했다. 이들 4대 공장을 중심으로 각 지방에 총 24개의 군수공장이 건설되었으나, 생산된 무기의 품질은 좋지 않았다. 이들 공장은 원자재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서양 기술자에 의존했으며, 중국인 관료에게 막대한 인건비를 지출하여 경영난을 겪었다.
한편, 공장에 필요한 석탄과 철 등을 공급하기 위해 각지에 광산이 개발되어 근대적 채광 시설을 갖춘 광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또한 공장 부속 번역관과 교육 기관을 통해 서양 과학기술 서적이 번역 보급되면서 기술 인력이 양성되었다.
1874년 일본의 모란사 사건을 계기로 심보정은 남양 해군을 창설하여 근대적 해군을 육성하고자 했으며, 이홍장 등은 해군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1884년 북양함대, 남양함대, 복건함대의 3대 함대를 창설했다. 함대는 중국에서 건조한 배도 있었으나 주력함은 주로 영국, 독일에서 구입했다. 그러나 이들 해군은 회군파와 상군파로 나뉘어 통일적인 지휘 체계가 이루어지지 못했고, 이는 1884년 청불전쟁에서 복건함대가 궤멸되는 원인이 되었다. 유능한 지휘관 양성을 위해 톈진에 '수사학당'(1880년)과 무비학당(1885년)을 세우고 영국과 프랑스로부터 군사고문을 초빙하여 서양식 군사학을 교육했다.
외교관 양성을 위해 장지동은 총리아문에 동문관을 1867년 설치하여 외국어 교육을 실시했다. 증국번은 우수한 학생들을 미국으로 유학시켰고, 이홍장은 독일, 영국, 미국 등지로 유학생을 보내 군사와 무기에 관하여 연구하도록 했으며, 동문관에서도 유학생을 파견했다. 이러한 개혁 활동을 통해 마건충 등 각 분야의 인재들이 배출되었다.
외국 자본의 진출에 대항하여 양무파는 민족 자본과 민간 기업을 육성하고자 '관독상판'(官督商辦) 방식의 기업을 육성했다. 이홍장은 1872년 상하이에 기선 회사인 '윤선초상국'을 창립하여 외국 기선 회사와 경쟁했다. 1890년대 초까지 타이완에 기륭탄광, 직례성에 개평탄광, 헤이룽장성에 막하 금광, 후베이성에 대야 철광을 열었고, 각지에 방직 공장도 건설했다. 1881년에는 중국 최초의 철도가 당산과 서각장 사이에 건설되었다.
이러한 기업들은 대부분 '관독상판'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초기에는 국가 자금이 투자되고 양무파 관료가 기업을 운영했으나, 이후 민간 자본을 모집하여 상인에게 경영을 맡기고 국가는 이들을 보호, 감독했다. 이들은 상하이 등 개항장에서 자본을 축적한 매판 자본가, 대상(大商)들이었다. 관독상판 방식은 외국 자본에 맞서 취약한 중국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로부터 세제 혜택과 영업 독점권을 받았으나, 이는 훗날 관료들의 부패를 조장하는 요인이 되었다.
톈진과 상하이 두 항구가 서구와의 무역에 개방되면서, 남부와 북부 항구의 통상 사무를 관할하기 위해 각각 통상 대신이 임명되었다. 이들은 베이징 중앙 정부가 아닌 항구에서 외국과의 외교 관계를 관리하고, 서구 지식과 인력을 활용하는 사업을 감독했다. 이홍장은 1870년부터 톈진 통상 대신을 역임하며 총리 야문의 기능을 인수하여 황실 조정과 외국 외교관 간의 소통을 유지했다.
1870년 톈진 사건으로 다수의 외국인이 사망하면서 청나라와 서구 열강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이는 양무운동의 첫 번째 시기가 종료되는 계기가 되었다. 두 번째 시기에는 이홍장이 개혁 운동의 지도자로 부상하여 많은 사업을 시작하고 지원했다.[20] 상업, 산업, 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국가 강화를 위해 부를 창출하는 데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해운, 철도, 광업, 전신과 같은 이윤 지향적인 산업 개발은 중국 정부에게 새로운 사업이었다.
청 정부는 "관독상반" 방식을 승인하여 상인이 운영하고 정부 관리가 감독하는 기업을 육성했다. 이러한 기업의 예로는 1872년의 중국 초상국 윤선 회사, 1877년의 개평 탄광, 1882년의 상하이 면방직 공장, 1881년의 대청 전신국 등이 있다.[20] 그러나 이러한 기업들은 관료주의 행정의 문제점, 즉 친족주의, 부패, 주도력 부족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경영자들은 이윤을 빼돌리고 사업을 독점하여 경제 발전을 저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인-관료의 결합은 산업 기업을 시작하는 주요 수단으로 남아 있었다.
이홍장은 중국 상인들이 외국 사업에 투자하는 경향에 주목하여 외국 기업과의 경쟁에서 중국 기업가들에게 정부 지원을 확대하고자 했다. 중국 초상국 윤선 회사는 해운 시장의 통제권을 되찾는 데 성공한 사례였다. 1872년부터 1877년까지 회사는 선박 수를 4척에서 29척으로 확장하여 경쟁 회사를 압도했다. 1876년, 심보정은 푸저우 해군 공창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타이완의 지룽 탄광 건설을 시작했다.[28]
이홍장은 1874년 상소에서 연안 지방에 "양학국(洋學局)" 설립을 제안하고, 참여자들에게 과거 시험 합격자와 동등한 영예를 주자고 제안했다. 톈진 병기창을 확장하고, 서양 과학 학교를 설립했으며, 사관 생도를 독일로 파견했다. 딩르창과 심보정도 난징과 장난 병기창을 통해 남부에서 유사한 계획을 시행했다.[27] 베이징의 중국 정부 학교, 푸저우 해군 공창, 장난 병기창에서는 서양 수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1872년과 1874년에 심보정은 수학을 포함하여 과거 시험을 개혁하자는 제안을 했지만 거부되었다. 그는 또한 구식 무기에 기반한 무과 시험 폐지를 제안하고, 수학 성적이 우수한 동문관 학생들을 과거 시험 합격자와 동등하게 총리 아문에 직접 임명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29]
심보정은 푸저우에서 마웨이와 샤먼으로 이어지고, 이후 타이완으로 연결되는 전신선 건설을 제안했지만, 선로 건설을 계약한 덴마크 회사의 속임수로 인해 선로가 외국인의 통제 하에 들어가 중국의 주권을 위협하게 되었다. 이후 선로는 해체되어 방어 기지 통신을 위해 타이완에 재조립되었다.[30]
3. 1. 초기 (1861년 ~ 1872년): 군사력 강화에 집중
총리아문 외에도 외교관 양성을 위한 동문관이 1862년 설립되었고,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 외국어 교육이 실시되었다.[15] 이홍장은 상하이에 강남제조총국(江南製造總局)을, 난징에 금릉기기국(金陵機器局)을 설립하여 근대식 무기를 생산했다. 좌종당은 푸저우에 복주선정국(福州船政局)을 설립하여(1866년) 근대식 군함 건조를 시도했다. 톈진에는 천진기기국(天津機器局)이 설립되어 화약과 포탄을 생산했다.3. 2. 중기 (1872년 ~ 1885년): 산업화 추진
이홍장은 민족 자본과 민간 기업을 육성하여 외국 자본주의의 중국 진출에 대항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관독상판'(官督商辦) 방식의 기업을 육성했는데, 이는 관에서 감독하고 민간이 경영하는 방식이었다. 창업 초기에는 국가 자금이 투자되고 양무파 관료가 기업을 운영했지만, 이후 민간 자본을 모집하여 상인에게 경영을 맡기고 국가는 이들을 감독했다.1872년 이홍장은 상하이에 윤선초상국(輪船招商局)을 설립하여 해운업을 육성했다. 이는 외국 기선 회사가 독점하던 중국 해운업에 경쟁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타이완의 기륭탄광(基隆炭鑛)을 개발하는 등 광업에도 투자했다. 1881년에는 당산과 서각장 사이에 중국 최초의 철도가 건설되었다.
관독상판 방식의 기업들은 국가로부터 세제 혜택과 관물(官物), 관용(官用)에 납품하는 영업 독점권을 받아 취약한 중국 기업을 외국 자본주의로부터 보호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훗날 관료들의 부패를 조장하여 양무운동의 한계로 작용하기도 했다.
3. 3. 후기 (1885년 ~ 1895년): 개혁의 한계와 좌절
청불전쟁(1884년 ~ 1885년)에서 프랑스에 패배하면서 양무운동의 한계가 드러났고, 청일전쟁(1894년 ~ 1895년)에서 일본에 참패하면서 양무운동은 좌절되었다.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 세력은 양무운동에 반발하였고, 이들과 양무파 사이의 권력 투쟁으로 인해 개혁은 일관성을 잃고 추진력을 상실하였다.1888년에 편성된 북양함대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함대였으나, 청일전쟁에서 일본 해군에게 궤멸되었다.[27] 이러한 패배는 단순한 군사력의 문제가 아니라, 보수 세력의 방해와 정치 개혁의 부재에서 비롯된 구조적인 문제였다.
4. 양무운동의 내용 및 분야별 성과
양무운동은 '중체서용'(中體西用)에 따라 서양의 과학기술, 특히 군수시설을 받아들여 청나라의 '자강'(自强)을 추구하는 부국강병 운동으로, 무기, 장비, 군사시설에 집중했다.
1863년 이홍장은 상해에 '''강남제조총국(江南製造總局)''', 남경에 '''금릉기기국(金陵機器局)'''을 설립하여 신식 무기를 생산했다. 좌종당은 1866년 복주에 '''복주선정국(福州船政局)'''을 세워 근대식 군함을 건조했고, 1867년 심보정이 복건선정대신(福建船政大臣)에 임명되었다. 만주족 귀족 출신 숭후는 천진에 '''천진기기국(天津機器局)'''을 설립해 화약과 포탄을 생산했다. 4대 공장 설립 이후 각 지방에 24개의 군수공장이 건설되었으나, 생산된 무기의 품질은 우수하지 못했다. 이들 공장은 외국에서 원자재를 수입하고 서양인 기술자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중국인 관료에 대한 막대한 인건비 지출로 경영난을 겪었다.
공장에 필요한 석탄과 철 등을 공급하기 위해 각지에 광산이 개발되어 근대적 채광 시설을 갖춘 광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공장 부속 번역관과 교육 기관을 통해 서양 과학기술 서적이 번역 보급되면서 기술 인력이 양성되었다.
1874년 일본의 모란사 사건을 계기로 심보정은 남양 해군을 창설했고, 1884년 북양함대, 남양함대, 복건함대 등 3대 함대가 창설되었다. 주력함은 주로 영국, 독일에서 구입했다. 이들 해군은 회군파와 상군파로 나뉘어 통일적인 지휘 계통이 없었으므로 1884년 청불전쟁에서 복건함대가 궤멸되는 원인이 되었다. 톈진에 수사학당(1880년)과 무비학당(1885년)을 세우고 영국과 프랑스로부터 군사 고문을 초빙하여 서양식 군사학을 교육했다.
장지동은 총리아문에 동문관을 1867년 설치하여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증국번은 미국으로, 이홍장은 독일, 영국, 미국 등지로 유학생을 보냈으며, 동문관에서도 유학생을 파견하였다. 이러한 개혁 활동으로 마건충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인재들이 배출되었다.
외국 자본주의의 중국 진출에 대항하여 양무파는 '관독상판'(官督商辦) 방식의 새로운 기업을 육성했다. 이홍장은 1872년 상하이에 윤선초상국을 설립했다. 1890년대 초까지 타이완에 기융(基隆) 탄광, 직례성에 개평(開平) 탄광, 헤이룽장성에 막하(幕河) 금광, 후베이성에 대야(大冶) 철광을 열었고, 각지에 방직공장을 건설했다. 1881년 중국 최초의 철도가 당산(唐山)과 서각장(胥各莊) 사이에 건설되었다.
이러한 기업들은 대부분 '관독상판'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초기에는 국가 자금이 투자되고 양무파 관료가 기업을 운영했으나, 이후 민간 자본을 모집하여 거액을 투자한 상인에게 경영을 맡기고 국가는 이들을 보호 감독했다. 투자자는 상하이 등 개항장에서 자본을 축적한 매판자본가, 대상(大商)들이었다. '관독상판' 방식은 외국자본주의에 맞서 취약한 중국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로부터 세제 혜택과 관물(官物), 관용(官用) 납품 독점권을 부여받았다. 이는 관료 부패를 조장하여 양무운동의 한계로 작용했다.
4. 1. 외교
1861년 3월 11일, 청나라 정부는 총리아문을 설치하여 근대적인 외교 체제를 갖추려 했다. 대외 관계 중 통상 사무는 톈진의 삼구통상대신(1870년 북양통상대신으로 개칭, 직례총독 겸임)이 담당했다. 1844년 광저우에 설립된 오구통상대신아문은 상하이로 이전되어 화중·화남 지역의 대외 통상을 담당했고, 1866년 남양통상대신으로 개칭되어 양강총독이 겸임했다.[18]1859년 양강총독 허구이칭은 영국인 호레이쇼 넬슨 레이(중국명: 리타이궈)를 총세무사로 임명하여 상하이 세관 기능을 재건했고, 이를 통해 관세 등을 관리하는 대청황가해관총세무사(현재 중국 세관의 전신)가 시작되었다. 1861년 총세무사는 청나라 정부 중앙의 인정을 받았고, 1865년 베이징으로 이전했다.[19] 중국 해관은 안정적인 관세 수입을 보장하여, 1865년 850만 량에서 1885년 1450만 량으로 수입이 증가했다. 이 수입은 동문관, 강남 및 신고 병기창, 복주 해군 기지 등 새로운 사업에 사용되었다.[19]
1870년 리훙장이 북양통상대신에 임명된 후, 총리아문의 기능은 점차 축소되었고, 외교 사무는 톈진의 리훙장이 처리하게 되었다. 1881년 이후 조선과의 외교도 예부에서 북양통상대신으로 이관되어, 조선의 내정 및 외교 간섭이 강화되고 속국화가 진행되었다.
4. 2. 군사
1863년 이홍장은 상해(上海)와 남경(南京)에 각각 '''강남제조총국(江南製造總局)'''과 '''금릉기기국(金陵機器局)'''이라는 근대식 무기 공장을 설립하여 서양식 무기를 생산했다.[20] 좌종당은 1866년 복주(福州)에 '''복주선정국(福州船政局)'''이라는 조선소를 건설하여 근대식 군함을 제작했다.[20] 만주족 귀족 출신 숭후는 천진(天津)에 '''천진기기국(天津機器局)'''을 설립하여 화약과 포탄을 생산했다.1874년 모란사 사건을 계기로 심보정은 남양함대를 창설했으며, 1884년에는 북양함대, 남양함대, 복건함대 등 3대 함대가 창설되었다.[20] 이들 함대는 중국에서 건조한 배도 있었으나, 주력함은 주로 영국과 독일에서 구입했다.
톈진에는 수사학당(水師學堂)(1880년)과 무비학당(武備學堂)(1885년)이 설립되어 서양식 군사 교육을 실시했다.[20] 영국과 프랑스로부터 군사 고문을 초빙하여 서양식 군사학을 교육했다.
4. 3. 산업
이홍장은 중국의 해운업을 독점하고 있던 외국 기선 회사와 경쟁하기 위해 1872년 상하이에 기선 회사인 윤선초상국을 설립했다.[18] 1881년에는 중국 최초의 철도가 당산과 서각장 사이에 건설되었다. 1890년대 초까지 타이완에 기융(基隆) 탄광, 직례성에 개평(開平) 탄광, 헤이룽장성에 막하(幕河) 금광, 후베이성에 대야(大冶) 철광을 열었고 방직공장도 각지에 건설하였다.이러한 기업은 대부분 '반관반민'(半官半民)의 성격을 가진 ‘관에서 감독하고 민간이 경영하는’ 방식, 즉 '관독상판'(官督商辦) 방식으로 운영되었다.[19] 창업 초기에는 거액의 국가 자금이 투자되고 양무파의 고관이 추천한 관료가 기업을 운영하였으나, 후에는 민간으로부터 자본을 모집하여 거액을 투자한 상인에게 경영을 맡기고 국가는 이들 상인을 보호 감독하였다. 여기에 투자한 상인은 상하이 등지의 개항장에서 자본을 축적한 매판자본가, 대상(大商)들이었다. 관리가 감독하고 민간이 경영하는 방식의 기업은 거대한 외국자본주의의 압력에 맞서 취약한 중국의 기업을 지키기 위하여 국가로부터 세제상의 특혜와 관문(官物), 관용(官用)에 납품하는 영업독점의 특권을 누리면서 운영되었다. 이는 뒷날 관료들의 부패를 조장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해 양무운동의 한계성을 드러내게 된다.
4. 4. 교육
1867년 총리아문에 동문관을 설치하여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동문관은 서양의 과학기술 서적을 번역, 보급하는 역할을 하였다.[32] 증국번은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여 미국으로 유학시켰고, 이홍장은 독일, 영국, 미국 등지로 유학생을 보내 군사 및 무기 관련 연구를 하도록 하였으며, 동문관에서도 유학생을 파견하였다.[32] 이러한 개혁 활동으로 마건충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인재들이 배출되었다.4. 5. 통신
1879년 톈진과 다구 사이에 중국 최초의 전신 노선이 부설되고 전보 사업이 시작되었다. 1881년에는 전보 총국이 개설되어 상하이에서 톈진까지 전신선이 건설되었다.5. 양무운동의 한계와 역사적 성격
양무운동을 추진한 세력들은 서구의 군사적 위협을 인식하고 기존의 중화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중체서용'을 내세웠다. 그러나 양무운동의 추진 주체는 봉건 관료 또는 매판 관료 세력이었지만, 이들은 청조의 전통적 관료와는 달리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성장한 지방 관료 세력이었다. 따라서 이들은 무너져가는 청조의 통치 조직을 재건하여 봉건 왕조의 체제를 유지하려는데 주된 개혁 목표를 두었고, 이것은 양무운동의 최대 한계점으로 작용했다.
양무파 관리들은 중앙 정부 내에서 권력을 장악하지 못했고, 진보적 관료를 제외하면 여전히 보수적, 수구적 관료가 중심이었다. 이러한 정책적인 면에서 비효율성은 청일전쟁에서 일본에 크게 패함으로써 양무운동의 한계성과 관료들의 부패함이 드러났다.[20]
5. 1. 한계
서태후를 비롯한 보수 세력은 개혁에 소극적이거나 반대하여 양무운동의 추진력을 약화시켰다.[20] '중체서용'의 이념은 서양의 기술만 받아들이고 정치, 사회 제도의 근본적인 개혁은 추진하지 않아 체제의 모순을 극복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냈다.[20]양무운동은 중앙 정부의 통제력이 약한 상황에서 지방 관료들이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개혁을 추진하여 통일성과 효율성이 떨어졌다. 관료들의 부정부패와 '관독상판' 방식의 기업 운영은 양무운동의 성과를 저해했다. 근대 산업 육성에 필요한 자금 부족으로 인해 많은 사업이 중단되거나 실패했다.[20]
양무파 관리들은 정부 내에서 권력을 장악하지 못하였고, 여전히 보수적인 관료들이 중심이었다. 서태후의 섭정은 양무운동의 성패보다는 자신의 권력 유지에 더 큰 관심을 두어 정책 추진이 일관성을 잃게 만들었다. 양무운동은 지방에 뿌리를 둔 세력이 추진하였기 때문에 지방관이 바뀔 때마다 중단되거나 시설이 이전되는 경우도 있었다. 양무 기업 자체가 중요한 자금원이었기 때문에 주도권을 둘러싼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20]
결국 이러한 한계는 청일전쟁에서 일본에 크게 패함으로써 양무운동의 한계와 관료들의 부패함이 드러나게 되었다.
5. 2. 역사적 성격에 대한 다양한 평가
양무운동은 서구 열강의 군사적 위협과 내부 반란에 직면한 청나라가 추진한 근대화 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중체서용'(中體西用)의 이념 아래 서양의 군사 기술과 산업 기술을 도입하여 부국강병을 이루고자 했다. 그러나 양무운동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그 한계를 드러내며 실패로 끝났다는 평가를 받는다.양무운동은 태평천국의 난 진압 과정에서 성장한 증국번, 이홍장, 좌종당 등 지방 한족 관료들이 주도했다. 이들은 서구 군사력의 우수성을 인식하고, 청조의 전통적 질서를 유지하면서 서양의 기술을 도입하려 했다. 그러나 이들은 중앙 권력의 핵심에서 벗어나 있었고,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 세력의 견제를 받았다.
양무파 관리들은 청나라 정부 내에서 권력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했고, 진보적 관료는 소수에 불과했다. 대부분의 관료는 여전히 보수적이고 수구적인 성향을 유지했다. 특히 서태후는 양무운동의 성패보다는 자신의 권력 유지에 더 큰 관심을 두었고, 이는 양무운동의 일관성 없는 추진으로 이어졌다. 또한 양무운동은 지방관 중심으로 추진되었기 때문에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고, 지방관이 바뀔 때마다 사업이 중단되거나 이전되는 경우도 많았다.
양무운동은 중앙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 부족과 관료들의 부패, 비효율적인 정책 추진 등으로 인해 한계를 드러냈다. 이러한 문제는 청일전쟁에서 일본에 패배하면서 더욱 명확해졌다.
한편, 양무운동이 중국의 근대 산업 발전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장지동의 제철소, 광산, 철도 정비 등은 후대에까지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의 기술, 경제, 통신, 교육 등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결론적으로, 양무운동은 근대화를 위한 중요한 시도였으나, 보수 세력의 방해와 정치 개혁의 부재, 그리고 서구 열강의 침략 심화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좌절되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정치 개혁 없는 기술 도입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한국의 개화파에게도 중요한 교훈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6. 양무운동 관련 인물
양무운동 시기, 중국이 겪은 군사적 패배는 지역 군사 총독들의 파벌주의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다. 예를 들어, 북양함대는 1884년 청불 전쟁에 참여를 거부했고,[77] 남양함대는 1895년 청일 전쟁 동안 배치 거부로 보복했다.[78] 이홍장은 함대를 개인적으로 통제하여 많은 최고 선박을 북중국에 유지하고 남부 파벌의 통제에서 벗어나게 하고 싶어 했다.[79]
태평천국의 난(1850–64) 이후, 지방 총독들은 반군에 맞서기 위해 자체 군대인 ''용영''을 양성했다. 이홍장의 회군이나 좌종당의 초군이 그 예로, 이 군대들은 난이 끝난 후에도 해산되지 않아 중앙 정부를 약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82]
''용영'' 군대는 강한 유대, 가족 관계, 병사들에 대한 존중을 강조했다.[83] 장교는 교체되지 않았고, 병사들은 지휘관이 직접 선택했으며, 지휘관은 장군이 선택했기 때문에 장교와 병사 간에 개인적인 충성심이 형성되었다.[84] 이러한 개혁은 국군을 창설하지 못하고, 표준화나 일관성이 없는 지역 군대와 민병대를 동원하는 결과를 낳았다. 장교들은 상사에게 충성했고, 출신 지역과 배경에 따라 파벌을 형성했다.
초군과 회군의 파벌 관료들은 서로 뭉쳐 다른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적대적이었다. 그러나 증국번은 자신의 군대를 해체했고 이홍장은 군대의 절반을 해산하여, 조정의 권력을 과도하게 찬탈하는 것을 자제했음을 보여주었다. 지역주의 외에도 지방주의와 하위 지역 지역주의와 같은 더 작은 규모의 특정주의적 충성심과 자율성도 지역 지도자들의 권력 통합을 방해했다.
유교의 군에 대한 경멸은 군사적 전문성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사라졌고, 학자들이 군사화되면서 비학자 출신의 많은 장교들이 고위 지휘관, 심지어 문관 관료의 고위직에까지 올랐다. 군대가 문관을 압도했다.[85]
6. 1. 중앙 관료
1861년 신유정변으로 서태후와 공친왕 혁흔을 중심으로 새로운 정권이 수립되면서 양무운동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87] 공친왕은 의정왕(議政王)과 군기대신이 되어 실권을 장악하였다. 그는 신설된 총리아문의 장관으로 구미 외교를 전담하여 양무정책 추진의 중심이었다.[87] 군기대신 문상은 러시아로부터 제공받은 근대적 무기로 무장한 신기영(神機營)을 창설하였다.[87]공친왕은 군기처 내에서 문상 등 일부 관료의 지지를 얻었으나 반대파의 견제를 받았으며 청불전쟁 (1884년)과 함께 탄핵을 받아 사임하게 되었다.[87]
6. 2. 지방 관료
증국번은 호남성 출신의 학자로 상군을 조직하여 엄격한 훈련과 서양식 무기로 무장해 태평천국 진압에 결정적인 공을 세웠다. 1860년 양광총독과 흠차대신에 임명된 후 1872년 사망할 때까지 중앙정부의 정책 결정에 참여하여 초기 양무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1] 좌종당은 호남성 출신으로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웠고 1881년과 1884년 두 차례 군기대신으로 발탁되어 군수공장을 건설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1]이홍장은 증국번의 막우(幕友)로 발탁된 후 회군을 조직하고 상하이 지방의 경제력을 배경으로 급성장하였다. 1870년 증국번의 뒤를 이어 직례총독에 임명되었고, 1895년 청일전쟁의 패배로 사임할 때까지 직례총독과 북양통상대신에 재직하면서 양무운동을 적극 추진하고 청나라 말기 외교 문제를 풀어 나가는 데 큰 활동을 했다.[1]
6. 3. 외국인
로버트 하트(Sir. Robert Hart, 허더)는 중국 해관 총세무사로 재직하며 양무운동에 필요한 재정 확보에 기여했다.[1]7. 외부 링크
(이전 출력에서 '외부 링크' 섹션은 소스에 관련 내용이 없어 빈칸으로 출력되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Asian Profile
https://books.google[...]
Asian Research Service
[2]
서적
Remembering May Fourth: The Movement and its Centennial Legacy
https://books.google[...]
BRILL
2020-03-02
[3]
서적
Shen Pao-chen and China's Moderniza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4]
서적
In Search for Modern China
[5]
서적
Discovering History in China: American Historical Writing on the Recent Chinese Past Studies of the Weatherhead East Asian Institute, Columbia Univers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6]
서적
Li Hung-Chang and China's Early Modernization
M.E. Sharpe
1994
[7]
논문
Conceptualizing the Blue Frontier: The Great Qing and the Maritime World in the Long Eighteenth Century
http://archiv.ub.uni[...]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2013-06-28
[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10 Late Ch'ing, 1800-1911, Part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9]
서적
God's Chinese Son: The Taiping Heavenly Kingdom of Hong Xiuquan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mpany
1996
[10]
서적
China's Response to the West: A Documentary survey 1839–1923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11]
서적
China's Last Empire: The Great Qing
[12]
서적
Encyclopedia of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13]
간행물
Some Corner of a Chinese Field: The politics of remembering foreign veterans of the Taiping civil war
2018
[1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11 Part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1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1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1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18]
서적
Trade and Diplomacy on the China Coast: The Opening of the Treaty Ports, 1842–1854
Harvard University Press
1953
[19]
서적
Trade and Diplomacy on the China Coast: The Opening of the Treaty Ports, 1842–1854
Harvard University Press
1953
[20]
학술지
China's Early Industrialization in the Age of the European Colonial Powers: A Controversial Beginning
2021-07-03
[21]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22]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23]
서적
China and International Security: History, Strategy, and 21st-Century Policy
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2014-04-17
[24]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25]
서적
图说中国海军史: 古代-1955, Volume 1
福建教育出版社
2002
[26]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27]
서적
Li Hung-Chang and China's Early Modernization
M.E. Sharpe
1994
[28]
서적
Shen Pao-chen and China's Moderniza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9]
서적
Shen Pao-chen and China's Moderniza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0]
서적
Shen Pao-chen and China's Moderniza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1]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32]
학술지
Chinese Encounters with Foreign Ideas in the Self-Strengthening Movement (1861–1895)
https://aacs.ccny.cu[...]
[33]
서적
千古人物 李鸿章传
中国书籍出版社
[34]
서적
郑孝胥前半生评传
学林出版社
[35]
학술지
Testing the Self-Strengthening: The Chinese Army in the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https://www.cambridg[...]
1996
[3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Late Chʻing, 1800–1911, pt. 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서적
China and the International System, 1840–1949: Power, Presence, and Perceptions in a Century of Humiliation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8-01-01
[38]
서적
The Russian General Staff and Asia, 1860–191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1-01
[39]
서적
The Russian General Staff and Asia, 1860–191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1-01
[40]
서적
The Russian General Staff and Asia, 1860-191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1-01
[4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Late Chʻing, 1800–1911, pt. 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43]
서적
Armengaud, J., Lang-Son: journal des opérations qui ont précédé et suivi la prise de cette citadel (Paris, 1901), pp. 40–58; Bonifacy, ''A propos d’une collection des peintures chinoises représentant diverse épisodes de la guerre franco-chinoise de 1884–1885'' (Hanoi, 1931), pp. 23–26; Harmant, J., La verité sur la retraite de Lang-Son (Paris, 1892), pp. 211–35; Lecomte, J., ''Lang-Son: combats, retraite et négociations'' (Paris, 1895), pp. 428–53 and 455
[44]
서적
Bonifacy, ''A propos d’une collection des peintures chinoises représentant diverse épisodes de la guerre franco-chinoise de 1884–1885'' (Hanoi, 1931), pp. 37–38; Lecomte, J., ''Lang-Son: combats, retraite et négociations'' (Paris, 1895) pp. 329–30 and 515–16; Lung Chang [龍章], ''Yueh-nan yu Chung-fa chan-cheng'' [越南與中法戰爭, Vietnam and the Sino-French War] (Taipei, 1993) p. 340
[45]
서적
Thomazi, A., ''La conquête de l'Indochine'' (Paris, 1934), pp. 258–61
[46]
서적
Huard, L., La guerre du Tonkin (Paris, 1887), pp. 1,113–74; Thomazi, A., ''La conquête de l'Indochine'' (Paris, 1934), pp. 277–82
[47]
서적
An Epitome of the Chino-Japanese War, 1894-95
H.M. Stationery Office
[48]
서적
The Long White Mountain; or, a journey in Manchuria ... with illustrations and a map.
[49]
서적
The China-Japan war; compiled from Japanese, Chinese and foreign sources
Charles Scribner and Sons
[50]
서적
Changing Dynamics and Mechanisms of Maritime Asia in Comparative Perspectives
Springer Nature
2021-01-01
[51]
서적
Empire of Silver: A New Monetary History of China
Yale University Press
2021-01-01
[52]
서적
Late Ch'ing, 1800–19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서적
Li Hung-Chang and China's Early Modernization
Routledge
2016-01-01
[54]
서적
Late Ch'ing, 1800–19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학술지
Self-Strengthening Movement and Military Overseas Education
[56]
서적
Revolution and Its Past: Identities and Change in Modern Chinese History
Routledge
2017-01-01
[57]
서적
中国近代海军史
解放军出版社
1989-01-01
[58]
서적
图说中国海军史: 古代-1955, Volume 1
福建教育出版社
2002-01-01
[59]
서적
督抚与士绅: 江苏敎育近代化硏究 浙江大学中外教育现代化研究所博士文库: 近代教育与社会变迁丛书
河北敎育出版社
2001-01-01
[60]
서적
Asian Review
East & West
1969-01-01
[61]
서적
The Russian General Staff and Asia, 1860–191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1-01
[62]
서적
China's Warlords
Oxford University Press
[63]
서적
China and the International System, 1840–1949: Power, Presence, and Perceptions in a Century of Humiliation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8-01-01
[6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서적
The Concubine Who Launched Modern China: Empress Dowager Cixi
Anchor Books
2013-01-01
[66]
서적
The Concubine Who Launched Modern China: Empress Dowager Cixi
Anchor Books
2013-01-01
[67]
학술지
Self-Strengthening Movement of late Qing China: an intermediate reform doomed to failure.
https://web.archive.[...]
[68]
서적
The Rise of Modern China
[69]
서적
Essentials of Modern Chinese History: 1800 to the present
[70]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rvard UP
[71]
서적
Shen Pao-chen and China's Moderniza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7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73]
서적
Shen Pao-chen and China's Moderniza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7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11 Late Ch'ing 1800-1911 Part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75]
서적
Some did it for civilisation, some did it for their country: a revised view of the boxer war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2010-06-28
[76]
논문
Conceptualizing the Blue Frontier: The Great Qing and the Maritime World in the Long Eighteenth Century
http://archiv.ub.uni[...]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2013-06-28
[77]
서적
L'escadre de l'amiral Courbet
Paris
1886
[78]
서적
越南與中法戰爭 (Yueh-nan yu Chung-fa chan-cheng) Vietnam and the Sino-French War
Taipei
1993
[79]
서적
Modern Chinese warfare, 1795–1989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2-01-18
[80]
서적
《中國歷代政制考》
國立編譯館
1987
[81]
서적
Modern Chinese warfare, 1795–1989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2-01-18
[82]
서적
Li Hung-chang and the Huai Army: A Study in Nineteenth-Century Chinese Regionalism
Seattle, Wash.
1964
[83]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A Military Assessment of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A Military History of China 149 (David A. Graff & Robin Higham eds.)
2002
[84]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85]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86]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87]
서적
Shen Pao-chen and China's Moderniza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88]
학술지
Reviewed Work: China's Early Industrialization: Sheng Hsuan-huai (1844–1916) and Mandarin Enterprise by Albert Feuerwerker
1960
[89]
논문
A Comparison Study on Modernisation in the Meiji Restoration and the Self-Strengthening Movement
2016-08
[90]
논문
Toward Sovereignty: Zhang Zhidong's Military Strengthening of China, 1884-1901
WWU Graduate School Collection
2016
[91]
백과사전
양무운동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92]
백과사전
양무운동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