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번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번원은 청나라 시대에 변방 지역의 행정 및 외교를 담당했던 관청이다. 1636년 '몽골 야먼'으로 시작하여, 1638년 '이번원'으로 개칭되었으며, 1906년 '이번부'로 변경되었다. 내몽골을 시작으로 외몽골, 티베트, 신장 등 번부(藩部)의 조공, 작위 수여, 재판 등을 관할했으며, 1861년 총리각국사무아문 설치 전까지 러시아와의 외교 및 무역 업무도 수행했다. 1912년 청나라 멸망과 함께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관료제 - 타생오랍총관아문
  • 몽골-중국 관계 - 1911년 몽골 혁명
    1911년 몽골 혁명은 청나라의 신정 정책에 대한 몽골인들의 저항과 독립 요구가 분출되어 젭춘담바 후툭투를 중심으로 할하 임시 정부를 수립하고 복드 칸을 옹립하며 청나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사건이다.
  • 몽골-중국 관계 - 외몽골
    외몽골은 역사적으로 청나라의 지배 아래 더 큰 자치권을 누린 몽골 지역을 지칭하며, 현재는 독립 국가인 몽골을 비공식적으로 지칭하거나 역사적 지리 명칭으로 사용된다.
  • 청나라의 대외 관계 - 러일 전쟁
    러일 전쟁은 1904년부터 1905년까지 일본 제국과 러시아 제국 간에 만주와 대한제국 지배권을 두고 벌어진 전쟁으로, 일본이 승리하여 대한제국 지배권을 확립하고 아시아 민족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청나라의 대외 관계 - 쿨리 (노동자)
    쿨리는 19세기 노예제 폐지 이후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인도 대륙과 중국에서 유럽 식민지와 미국으로 이주한 일용직 노동자를 의미하며, 강제성과 착취로 얼룩진 쿨리 무역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종결되었고 현재는 모욕적인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번원

2. 명칭

영어권에서는 리판원을 그 기능과 역할의 다양성을 반영하여 여러 가지 명칭으로 번역한다. 예를 들어 '민족사무원'(Board for National Minority Affairs),[1] '영토사무원'(Court of Territorial Affairs),[2] '변방 지역 행정원'(Board for the Administration of Outlying Regions),[3] '제후국 관계 사무소'(Office for Relations with Principalities),[4] '오랑캐 통제 사무소'(Office of Barbarian Control),[5] '몽골 및 티베트 사무소'(Office of Mongolian and Tibetan Affairs),[6] '식민지 사무원'(Court of Colonial Affairs)[7][8]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번역은 리판원이 수행했던 복합적인 역할을 보여준다.

리판원의 전신은 태종이 내몽골을 평정한 후 간접 통치를 위해 설치한 '''몽골아문'''(ᠮᠣᠩᡤᠣ
ᠵᡠᡵᡤᠠᠨ|몽고 주르간mnc)이다. 이 기구는 1636년 처음 창설되었을 때 중국어로는 蒙古衙門|멍구 야먼중국어,[9] 만주어로는 ᠮᠣᠩᡤᠣ
ᠵᡠᡵᡤᠠᠨ|몽고 주르간mnc(문자 그대로 '몽골 부서')으로 알려졌다. 숭덕 3년(1638년)에 '''이번원'''(理藩院|리판위안중국어)으로 개칭되었고,[10] 1639년에는 기능이 확장되면서 만주어 명칭이 Tulergi golo be dasara jurgan|툴레르기 골로 베 다사라 주르간mnc('변방 지역 행정 부서'를 의미)으로 정립되었다.[10]

청나라 말기 개혁(신정) 기간 중 광서 32년(1906년) 관제 개혁에 따라[10] 1907년에는 '''이번부'''(理藩部|리판 부중국어)로 다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10] 이 명칭은 1912년 청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3. 기능

이번원은 청나라의 내륙 아시아 통치와 외교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기관이다. 주요 기능은 몽골, 티베트, 신장 등 '번부(藩部)'로 불린 지역의 통치를 담당하는 것이었다. 이번원은 이들 지역의 조공, 봉작 수여 및 봉록 지급, 부족 간의 회맹(會盟) 관리, 역참 운영, 호시(互市, 국경 무역) 감독, 관련 재판 등을 총괄했다.

함풍 10년(1861년) 총리각국사무아문이 설치되기 전까지는 러시아와의 외교 및 무역 관련 사무도 담당하여, 넬친스크 조약과 캬흐타 조약 체결 과정에 관여했다.[11] 러시아와의 구체적인 관계 및 교류 내용은 하위 러시아와의 관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조직 구성 면에서 이번원은 팔기 출신 인물로만 구성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청나라 조정이 만주족 중심으로 운영되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기능적으로 이번원은 원나라 시기 티베트 관련 업무를 관장했던 선정원(宣政院중국어)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12] 그러나 명나라 시기 조선, 베트남, 류큐 왕국과 같은 동쪽 및 남쪽의 조공국이나 바다를 통해 온 서양 국가들(네덜란드, 영국 등)과의 관계를 담당했던 예부와는 명확히 구분되었다.[12] 즉, 청나라는 이번원을 통해 내륙 아시아 지역을, 예부를 통해 전통적인 조공국 및 해양 세력을 관리하는 이원적인 외교 체제를 운영했다.

이번원은 청 태종 시기 내몽골 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설치된 '몽골아문'(ᠮᠣᠩᡤᠣ ᠵᡠᡵᡤᠠᠨmnc, 蒙古衙門|몽고아문중국어)을 전신으로 하며, 숭덕 3년(1638년)에 이번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승정(承政)과 좌우 참정(參政)이 관직이었으나, 순치 원년(1644년)에 각각 상서(尙書)와 시랑(侍郞)으로 개칭되었다. 순치 18년(1661년)부터는 예부에서 독립된 관서로 운영되었다. 이후 청나라의 영토가 확장됨에 따라 외몽골, 칭하이, 티베트, 신장 지역까지 관할하게 되었다. 광서 32년(1906년) 관제 개혁으로 '이번부(理藩部)'로 개칭되었고, 선통 3년(1911년) 내각제 시행 후 상서는 대신(大臣), 시랑은 부대신(副大臣)으로 바뀌었다.

3. 1. 러시아와의 관계

총리각국사무아문이 설치되기 전까지 청나라는 이번원을 통해 러시아 제국과의 관계를 관리했다.[11] 이번원은 1689년 넬친스크 조약과 1727년 캬흐타 조약 체결에 관여하여, 두 제국 간의 국경선을 확정하고 무역 관계를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1]

러시아 사절단은 베이징 내성 동남쪽에 위치한 통역국(會同館|회동관중국어)에 머물렀다. 이곳은 러시아인 방문객이 많아 '러시아 객사'(俄羅斯館|아라사관중국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또한 알바진인이 거주하던 '북관'(北館)과 구별하기 위해 '남관'(南館)이라고도 지칭되었다. 캬흐타 조약 체결 이후, 이곳은 러시아 사절단의 영구적인 거주 시설이 되었다.

청나라는 러시아와의 교류를 위해 언어 교육에도 힘썼다. 1708년에는 만주족 관리들에게 러시아어를 교육하기 위한 러시아어 연구소(俄羅斯文館|아라사문관중국어)를 설립했다. 이 연구소는 이후 1862년에 새로 설립된 동문관에 통합되었다.

이처럼 이번원은 총리각국사무아문이 설치되는 함풍 10년(1861년) 이전까지 러시아와의 외교 및 통상 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핵심 기구였다. 이는 조선, 베트남응우옌 왕조, 류큐 왕국 등 동쪽과 남쪽의 조공국 및 해상으로 접촉해 온 서양 국가들과의 관계를 담당했던 예부와는 구분되는 역할이었다.[12]

4. 조직

이번원은 최고 책임자인 상서(尚書)부터 실무를 담당하는 필첩식(筆帖式)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직책과 품계를 가진 관료들로 구성되어, 복잡한 행정 및 외교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조직되었다. 주요 관직의 구성은 만주인, 몽골인, 한인 등 다양한 민족 출신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었으며, 이는 청나라 통치 체제의 일면을 보여준다. 주요 관직 외에도 147명의 보조 관원이 정원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4. 1. 주요 관직

ᠠᠮᠪᠠᠨ|Aliha Amban}})종1품1명-원내 모든 행정업무 총괄시랑(ᠠᠰᡥᠠᠨ ᡳ
ᠠᠮᠪᠠᠨ|Ashan-i Ambanmnc)종2품3명좌/우시랑: 만주인, 몽고시랑: 몽골인 버이러-낭중(ᡳᠴᡳᡥᡳᠶᠠᡵᠠ
ᡥᠠᡶᠠᠨ|Icihiyara Hafanmnc)정5품12명황족 1명, 만주인 3명, 몽골인 8명원내 각 사(司)의 사무 담당원외랑(ᠠᡳᠰᡳᠯᠠᡴᡡ
ᡥᠠᡶᠠᠨ|Aisilakū Hafanmnc)종5품36명황족 1명, 만주인 10명, 몽골인 25명-일반적으로 한직 당주사(ᡨᠠᠩᡤᡳᠨ ᡳ
ᡝᠵᡝᡴᡠ
ᡥᠠᡶᠠᠨ|Tanggin-i Ejeku Hafanmnc)-6명만주인 2명, 몽골인 3명, 한인 1명--교정한문관-2명한인문서 번역 담당-사무(ᡨᠠᡴᡡᡵᠠᠪᡠᡵᡝ
ᡥᠠᡶᠠᠨ|Takūrabure Hafanmnc)-2명만주인 1명, 몽골인 1명-주사(ᡝᠵᡝᡴᡠ
ᡥᠠᡶᠠᠨ|Ejeku Hafanmnc)-각 사(司)마다 10명만주인 2명, 몽골인 8명-은고사관-5명만주인--사관(ᡠᠯᡳᠨ ᡳ
ᡩᠠ|Ulin-i Damnc)-5명만주인-사사-5명만주인--필첩식(ᠪᡳᡨᡝᠰᡳ|Bitesimnc)-95명만주인 34명, 몽골인 55명, 한인 6명주장의 번역, 문서 관리, 만몽 한문 교정 담당



이 외에 보조 관원으로서 147명이 정원으로 정해졌다.

4. 2. 하위 관직

ᡝᠵᡝᡴᡠ
ᡥᠠᡶᠠᠨ|Tanggin-i Ejeku Hafan}}): 정원 6명. 만주인 2명, 몽골인 3명, 한인 1명으로 구성되었다.

이외에 보조 관원 147명이 정원으로 정해져 있었다.

4. 3. 기타

직책만주어 명칭품계정원구성주요 업무
상서(尚書)Aliha Ambanmnc종1품1명-원내 모든 행정업무 총괄
시랑(侍郎)Ashan-i Ambanmnc종2품3명좌/우시랑: 만주인, 몽고시랑: 몽골인 버이러상서 보좌
낭중(郎中)Icihiyara Hafanmnc정5품12명황족 1명, 만주인 3명, 몽골인 8명원내 각 사(司)의 사무 담당
원외랑(員外郎)Aisilakū Hafanmnc종5품36명황족 1명, 만주인 10명, 몽골인 25명일반적으로 한직
당주사(堂主事)Tanggin-i Ejeku Hafanmnc-6명만주인 2명, 몽골인 3명, 한인 1명-
교정한문관(校正漢文官)--2명한인문서 번역 담당
사무(司務)Takūrabure Hafanmnc-2명만주인 1명, 몽골인 1명-
주사(主事)Ejeku Hafanmnc-각 사(司)마다 10명만주인 2명, 몽골인 8명-
은고사관(銀庫司官)--5명만주인-
사관(司庫)Ulin-i Damnc-5명만주인-
사사(司使)--5명만주인-
필첩식(筆帖式)Bitesimnc-95명만주인 34명, 몽골인 55명, 한인 6명상주장의 번역, 문서 관리, 만몽 한문 교주 담당



이 외에 보조 관원 147명이 정원으로 정해져 있었다. 이번원의 조직 구성은 만주족, 몽골족, 한족 등 다양한 민족 출신 관료를 포함하여, 청 제국의 다민족적 특징을 보여준다.

5. 역사

홍타이지가 평정한 내몽골 지역을 간접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monggo jurgan|몽골 주르간mnc'''(몽골아문)을 전신으로 한다. 숭덕 3년(1638년)에 '''이번원'''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처음에는 장관으로 승정, 차관으로 좌우참정을 두었으나, 순치 원년(1644년)에는 승정을 상서로, 참정을 시랑으로 각각 고쳐 불렀다. 순치 16년(1659년)에는 예부의 관할 아래에 들어갔다가, 순치 18년(1661년)부터 다시 독립된 관서가 되었다.

청나라의 영토가 외몽골, 칭하이, 티베트, 신장 지역으로 확장되면서, 이들 지역은 번부(藩部)로 불리며 이번원의 통할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번원은 여러 번부의 조공, 봉작 수여, 봉록 지급, 회맹(會盟, 맹약을 맺는 모임) 주관, 역참 관리, 호시(互市, 국경 무역) 감독, 재판 등의 업무를 맡았다. 함풍 10년(1861년)에 총리각국사무아문이 설치되기 전까지는 러시아와의 외교 및 무역 관련 사무도 담당하였다.

광서 32년(1906년) 관제 개혁으로 '''이번부'''(理藩部)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선통 3년(1911년) 내각 제도가 창설되면서 상서는 대신으로, 시랑은 부대신으로 직함이 바뀌었다.

참조

[1] 서적 The biographies of the Dalai Lamas
[2] 서적 Opium and the limits of empire: drug prohibition in the Chinese interior
[3] 서적 Political frontiers, ethnic boundaries, and human geographies in Chinese history
[4] 서적 Imperial China 900-1800
[5] 서적 Sino-Russian Relations: A Short History
[6] 서적 Traditional government in imperial China: a critical analysis
[7] 서적 Making the State on the Sino-Tibetan Frontier: Chinese Expansion and Local Power in Batang, 1842-1939 https://core.ac.uk/d[...] 2014
[8] 웹사이트 China - The Qing empire https://www.britanni[...] 2020-05-08
[9] 서적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02-15
[10] 서적 The Imperial Moment
[11] 간행물 The Treaty of Ghulja reconsidered: Imperial Russian diplomacy toward Qing China in 1851 2019
[12] 서적 State and Ethnicity in China's Southwest
[13] 문서 羽田亨『満和辞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