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홍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홍순은 조선 경상남도 하동 출신으로, 1919년 하동군 고전면 만세 운동에 참여하여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이후 중화민국 상하이로 건너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행정비서관을 지냈으며, 한국독립당에서 활동했다. 광복 후에는 서울로 귀환하여 하동에서 거주하다가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대통령 표창을 추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화초등학교 (인천) 동문 - 오세근
오세근은 2011년 KBL 드래프트 1순위로 프로 데뷔하여 신인왕, MVP를 수상하고 국가대표로도 활약한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이다. - 영화초등학교 (인천) 동문 - 김광진 (음악가)
김광진은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작곡가, 투자 전문가, 경제 평론가로, 더 클래식 활동과 솔로 활동을 병행하며 '마법의 성'으로 인기를 얻었고, 작곡가, 라디오 진행자로도 활동했다. - 추계 추씨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추계 추씨 - 추경호
추경호는 경상북도 달성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와 미국 오리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행정고시 합격 후 경제 관료로 활동하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등을 역임하고 제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현재 국민의힘 원내대표이다. - 하동군 출신 - 정홍원
정홍원은 '특별 수사통'으로 불렸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서, 새누리당 공직후보추천위원장을 거쳐 박근혜 정부 초대 국무총리를 지냈으며, 세월호 침몰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으나 유임 후 퇴임, 이후 봉사 및 저술 활동과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장을 맡았고, 아들의 병역 면제 의혹과 위장전입 논란이 있었다. - 하동군 출신 - 태완선
태완선은 경상남도 하동군 출신의 관료, 정치인, 기업인으로, 국회의원, 부흥부 장관, 상공부 장관, 경제기획원 장관, 건설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 개발에 참여했고, 대한석탄공사 사장, 한국종합제철 사장, 대한중석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추홍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추홍순 |
원래 이름 | 秋鴻順 |
출생일 | 1894년 3월 12일 |
사망일 | 1959년 6월 11일 |
출생지 | 조선 경상도 하동군 남면 대송리 |
사망지 |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하동군 남면 대송리 |
거주지 |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하동군 남면 대송리 |
종교 | 유교(성리학) |
직책 | |
직책 | 대한 임정 내무부 예하 행정비서관 (大韓 臨政 內務部 隸下 行政秘書官) |
대통령 | 이승만 (대한 임정 대통령) 박은식 (대한 임정 대통령 권한대행) 박은식 (대한 임정 대통령) |
총리 | 이동휘 (임정 국무총리) 이동녕 (임정 총리 임시 권한대행 임시서리) 이동녕 (임정 총리 권한대행) 신규식 (임정 총리 임시 권한대행) 노백린 (임정 국무총리) 김구 (임정 총리 임시서리) 이동녕 (임정 국무총리) 박은식 (임정 국무총리) 노백린 (임정 국무총리) 이동녕 (임정 국무총리) 이동녕 (임정 국무총수상) |
장관 | 이동녕 (대한 임정 내무총장 직무대행 서리) 이동녕 (대한 임정 내무부장 직무대행 서리) 이동녕 (대한 임정 내무부장) 이동녕 (대한 임정 내무총장) 이동녕 (대한 임정 내무부장) 이동녕 (대한 임정 내무총장) 홍진 (대한 임정 내무총장) 김구 (대한 임정 내무총장 직무대행 서리) 김구 (대한 임정 내무총장) 이유필 (대한 임정 내무총장 직무대리) 이유필 (대한 임정 내무총장) 이규홍 (대한 임정 내무총장) |
임기 | 1920년 8월 21일 ~ 1926년 2월 23일 |
정당 정보 | |
정당 | 무소속 |
경력 | |
경력 | 한국독립당 초급행정위원 한국독립당 대표전임위원 |
학력 | |
학력 | 경기도 인천 영화보통학교(1907년) |
서훈 | |
서훈 | 1986년 3월 1일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장 추서 1990년 8월 15일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1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2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3 |
2. 생애
2. 1. 출생
조선 경상남도 하동군 남면 대송리에서 출생하였다.2. 2. 삼월 대한 독립 만세 운동 참가 및 투옥
추홍순은 1919년 4월 6일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주교리 장날을 이용하여 전개된 대한 독립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이곳의 대한 독립 만세 운동은 추홍순과 박영묵 등이 일신단을 조직하고, 목숨을 바쳐 대한 독립 만세 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면서 추진되었다.
1919년 4월 6일 오후 1시 40분경, 하동군 고전면 주교리 장터에는 1,000여 명의 장꾼들이 모였고, 박영묵은 미리 준비한 큰 태극기를 들고 단상에 올라 연설을 마친 뒤 독립만세를 선창하였다. 장터에 모인 일신단원과 군중들이 일제히 독립만세를 외치자, 조선인 경찰 박도준과 일본 헌병 3명이 출동하여 제지하였으나, 시위 군중은 이들을 구타 및 응징하였다.
그러나 일본군 수비대의 무력 진압으로 시위 군중은 해산되었고, 다음날 일경들의 대대적인 검속이 실시되었다.
추홍순은 이 일로 체포되어 1919년 5월 22일 부산지방법원 진주지청에서 소위 보안법으로 징역 5개월 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으며, 1919년 8월 만기 출감하였다.
2. 3.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1919년 4월 6일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주교리(慶尙南道 河東郡 古田面 舟橋里) 장날을 이용하여 전개된 대한 독립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이곳의 대한 독립 만세 운동은 추홍순(秋炳甲) 그와 박영묵(朴永默) 등이 일신단(一身團)을 조직하고, 목숨을 바쳐 대한 독립 만세 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면서 추진되었다.
1919년 4월 6일 오후 1시 40분 경,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주교리 장터에는 1,000여 명의 장꾼들이 모이자, 박영묵은 미리 준비한 큰 태극기를 들고 단상에 올라 간단한 연설을 마친 뒤, 독립만세를 선창하자 장터의 모인 일신단원과 군중들이 일제히 독립만세를 고창하였다. 이때 조선인 경찰 박도준(朴道俊)과 일본 헌병 3명이 출동하여 제지하자, 시위 군중은 이들을 구타 및 응징하였다.
그러나 급히 출동한 일본군 수비대의 무력 진압으로 인하여 시위 군중은 해산하였다. 다음날 일경들의 대대적인 검속이 실시되었다.
그는 이 사태로 인하여 피체되어, 1919년 5월 22일 경상남도 부산지방법원 진주지청에서 소위 보안법으로 징역 5개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으며 1919년 8월 만기출감하였다. 그 후 1920년 5월 국민정부 중화민국 대륙 본토 장쑤성 상하이에 건너가 1920년 8월에서 1926년 2월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 예하 행정비서관 직책을 지냈으며 1926년 2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 예하 행정비서관 직책 사퇴 후 1926년 2월 한국독립당 입당하여 1926년 2월에서 1926년 11월까지 한국독립당 초급행정위원 직위를 지냈으며 1926년 11월 한국독립당 탈당을 한 후 중화민국 광둥성 광저우로 옮기어 광저우에서 소작농(小作農) 등을 전전하다가 1933년 홍콩으로 건너가 홍콩에서 미술품 상점 점원(美術品 商店 店員) 등을 지냈다.
2. 4. 중국에서의 생활과 광복
2. 5. 광복 이후
1945년 홍콩에서 8.15 조선 광복을 목도하였다. 1946년 5월에 홍콩을 떠나 1946년 8월 미 군정 남조선 서울에 귀환하였으며, 그 후 1946년 9월에 경상남도 하동군 남면 대송리(慶尙南道 河東郡 南面 大松里)로 귀향하였다. 1959년 6월 11일을 기하여 경상남도 하동군 남면 대송리 향리에서 병사하였다.3. 사후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고자 1997년 8월 15일을 기하여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장을 추서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