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친위대 제33무장기병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친위대 제33무장기병사단은 헝가리 출신 지원병들로 구성된 무장 친위대 소속 기병 사단이다. 1944년 12월 27일부터 1945년 1월 23일까지 친위대 상급 대좌 라슬로 데아크가 사단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장친위대 기병사단 - 제8SS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
    제8SS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 기병 사단으로, 동부 전선에서 반란군 토벌 작전과 민간인 학살에 연루되었으며, 1944년 플로리안 가이어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고 바르샤바 게토 봉기 진압 등 전쟁 범죄에 연루되었다.
  • 무장친위대 기병사단 - 제37SS의용기병사단 뤼초
    제37SS 의용기병사단 뤼초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무장 친위대의 기병 사단으로, 헝가리 및 유고슬라비아 출신 독일계 의용병을 주축으로 편성되어 동부 전선에서 활동했고, 여러 전투단을 거쳐 최종적으로 명칭이 변경된 후 오스트리아에서 미군에 항복했다.
  • 헝가리의 나치 부역자 - 화살십자당
    화살십자당은 1939년 살러시 페렌츠가 창당한 헝가리의 극우 정당으로, 헝가리즘을 내세우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지원을 받아 유대인 학살에 가담했고, 1945년 헝가리 패전과 함께 몰락했다.
  • 헝가리의 나치 부역자 - 살러시 페렌츠
    살러시 페렌츠는 헝가리의 파시스트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지원을 받아 헝가리 국민단결정부의 국민 지도자 겸 총리로 권력을 잡고 반유대주의 정책을 추진, 홀로코스트에 가담한 전쟁 범죄와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 무장친위대 외인의용부대 - 친위대 제13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
    친위대 제13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가 보스니아 무슬림을 주축으로 창설하여 크로아티아 독립국 내 파르티잔 진압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창설 배경, 반란, 잔혹 행위 등으로 악명을 떨치다 전쟁 후 구성원들이 전범 재판에 회부되거나 아랍-이스라엘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 무장친위대 외인의용부대 - 영국 자유군단
    영국 자유군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창설한 영국인 의용군 부대로, 볼셰비키에 맞선다는 명분으로 최대 27명 규모로 구성되었으며, 종전 후 창설자 존 아메리는 처형되었다.
친위대 제33무장기병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사단 휘장
명칭 (독일어)33. Waffen-Kavallerie-Division der SS (ungarische Nr. 3)
명칭 (한국어)친위대 제33무장기병사단 (제3헝가리)
약칭해당 사항 없음
국가나치 독일
소속무장친위대
병종기병
규모사단
별칭해당 사항 없음
표어나의 명예는 충성 (Meine Ehre heißt Treue)
활동 기간
창설1944년 12월
해체1945년 1월
지휘관
주요 지휘관알려지지 않음
전투
주요 전투제2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 (추정)

2. 기갑 사단

무장 친위대의 주요 기갑사단은 다음과 같다.


  • 제1 기갑사단 'LSSAH'
  • 제2 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 제3 기갑사단 '토텐코프'
  • 제5 기갑사단 '비킹'
  • 제9 기갑사단 '호헨슈타우펜'
  • 제10 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
  • 제12 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2. 1. 제1SS 기갑사단 'LSSAH'

(내용 없음)

2. 2. 제2SS 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2. 3. 제3SS 기갑사단 '토텐코프'

(내용 없음)

2. 4. 제5SS 기갑사단 '비킹'

제5 기갑사단 '비킹'

2. 5. 제9SS 기갑사단 '호헨슈타우펜'

제9SS 기갑사단 '호헨슈타우펜'은 무장 친위대의 기갑사단 중 하나이다.

2. 6. 제10SS 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제10SS 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2. 7. 제12SS 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제12SS 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는 무장 친위대의 기갑사단 중 하나였다.

3. 기갑척탄병 사단

기갑척탄병 사단은 기갑 사단과 보병 사단의 중간적 성격을 가지는 부대로, 기동성과 보병 지원 능력을 겸비한 것이 특징이다. 무장 친위대 내에도 여러 기갑척탄병 사단이 편성되었다.

무장 친위대 소속 기갑척탄병 사단은 다음과 같다.


  • 제11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노르트란트'
  • 제16SS 기갑척탄병 사단 'Reichsführer-SS'
  • 제17SS 기갑척탄병 사단 '괴츠 폰 벨리힝겐'
  • 제18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호르스트 베셀'
  • 제23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네덜란드'


이 중 제11, 18, 23사단은 공식적으로 '의용'(Freiwilligen) 부대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주로 나치 독일 점령지 또는 동맹국 출신의 외국인 지원병으로 구성되었음을 의미한다.

3. 1. 제11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노르트란트'

제11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노르트란트'는 나치 독일 무장 친위대 소속의 기갑척탄병 사단 중 하나이다. 이 부대는 공식적으로 "의용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주로 북유럽 출신 지원병들로 구성되었다.

3. 2. 제16SS 기갑척탄병 사단 'Reichsführer-SS'

제16SS 기갑척탄병 사단 'Reichsführer-SS'는 나치 독일의 무장 친위대 소속 기갑척탄병 사단이다. 이 사단의 명칭 'Reichsführer-SS'는 친위대의 최고 계급이자 하인리히 힘러가 맡았던 직책명에서 따왔다.

3. 3. 제17SS 기갑척탄병 사단 '괴츠 폰 벨리힝겐'

제17SS 기갑척탄병 사단 '괴츠 폰 벨리힝겐'은 발칸 반도에서 파르티잔 토벌 작전에 참여하였다.

3. 4. 제18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호르스트 베셀'

무장 친위대의 기갑척탄병 사단 중 하나로, 공식 명칭은 '''제18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호르스트 베셀' '''(18. SS-Freiwilligen-Panzergrenadier-Division „Horst Wessel“de)이다. 나치당의 초기 돌격대(SA) 지도자였던 호르스트 베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공식적으로 '의용'(Freiwilligen) 부대로 분류되었다.

3. 5. 제23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네덜란드'

무장 친위대의 사단 중 하나로, 기갑척탄병 부대이다. 네덜란드 의용군을 기반으로 편성되었으며, 공식적으로 '''의용군'''으로 명명되었다.

4. 산악 사단

무장 친위대에는 산악 지형에서의 전투를 위해 특별히 편성 및 훈련된 여러 산악 사단이 존재했다. 이들 사단은 주로 험준한 지형에서의 작전에 투입되었다. 무장 친위대의 주요 산악 사단은 다음과 같다.


  • 제6SS 산악사단 '노르트'
  • 제7SS 의용 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
  • 제13 무장 친위대 산악사단 '한자르'(제1 크로아티아)
  • 제21 무장 친위대 산악사단 '스칸데르베크'(제1 알바니아)
  • 제23 무장 친위대 산악사단 '카마'(제2 크로아티아)
  • 제24 무장 친위대 산악사단 '카르스트예거'

4. 1. 제6SS 산악사단 '노르트'

제6SS 산악사단 '노르트'는 무장 친위대의 산악사단 중 하나로, 북극권에서 소련군과 전투를 벌였다.

4. 2. 제7SS 의용 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

제7SS 의용 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은 나치 독일의 무장 친위대 소속 산악사단 중 하나이다. 이 부대는 공식적으로 '의용군'(Freiwilligen|프라이빌리겐de)이라는 명칭이 붙은 사단 중 하나였다.

4. 3. 제13 무장 친위대 산악사단 '한자르'(제1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독립국 출신 무슬림 지원병들을 중심으로 편성된 무장친위대의 산악사단이다.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이 점령한 유고슬라비아 지역에서 주로 활동했다. 정식 명칭은 '''제13 무장 친위대 산악사단 '한자르'(제1 크로아티아)'''이다.

4. 4. 제21 무장 친위대 산악사단 '스칸데르베크'(제1 알바니아)

무장 친위대의 산악 사단 중 하나이다. 정식 명칭은 제21 무장 친위대 산악사단 '스칸데르베크'이며, 부제인 '(제1 알바니아)'에서 알 수 있듯이 알바니아 출신 지원병들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4. 5. 제23 무장 친위대 산악사단 '카마'(제2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출신 무슬림 지원병들로 구성된 무장 친위대의 산악사단이었다.

4. 6. 제24 무장 친위대 산악사단 '카르스트예거'

제24 무장 친위대 산악사단 '카르스트예거'는 이탈리아 북부의 카르스트 지형에서 활동했던 나치 독일 무장 친위대의 산악 사단이다.

5. 기병 사단

무장 친위대에는 여러 기병 사단이 존재했다. 주요 기병 사단은 다음과 같다.


  • 제8 SS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
  • 제22 SS의용기병사단 ('''의용군''')
  • 제33 무장친위대 기병사단 (제3 헝가리)
  • 제37 SS의용기병사단 '뤼초프' ('''의용군''')


또한, 코사크 병력으로 구성된 기병 사단도 있었다.

  • 제1 SS코사크 기병사단
  • 제2 코사크 기병사단

5. 1. 제8SS 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

(빈 내용)

5. 2. 제22SS 의용 기병사단

헝가리 출신 지원병들로 구성된 무장 친위대의 기병 사단이다. 공식 명칭에 '의용군'이라는 명칭이 포함되었다.

=== 지휘관 ===

부임면직계급(당시)성명
1944년 12월 27일1945년 1월 23일친위대 상급 대좌라슬로 데아크


5. 3. 제33 무장 친위대 기병사단 (제3 헝가리)

나치 독일의 무장 친위대 소속 기병사단 중 하나이다. 주로 헝가리 출신 지원병들로 구성되었다.

사단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부임면직계급(당시)성명
1944년 12월 27일1945년 1월 23일친위대 상급대령라슬로 데아크


5. 4. 제37SS 의용 기병사단 '뤼초프'

제37SS 의용 기병사단 '뤼초프'는 19세기 프로이센의 의용군 지휘관인 아돌프 폰 뤼초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6. 보병 사단

무장 친위대의 보병 사단은 주로 보병 전투를 수행하기 위해 편성된 부대들을 의미한다. 해당 부대들은 다음과 같다.


  • 제14 무장 척탄병 사단 (제1 갈리시아)
  • 제15 무장 척탄병 사단 (제1 라트비아)
  • 제19 무장 척탄병 사단 (제2 라트비아)
  • 제20 무장 척탄병 사단 (제1 에스토니아)
  • 제25 무장 척탄병 사단 '후냐디'(제1 헝가리)
  • 제26 무장 척탄병 사단 (제2 헝가리)
  • 제27SS 의용 척탄병 사단 '랑게마르크'(제1 플람스)
  • 제28SS 의용 척탄병 사단 '발로니엔'
  • 제29 RONA (제1 러시아)
  • 제29 무장 척탄병 사단 (제1 이탈리아)
  • 제30 (제2 러시아)
  • 제30 (제1 벨라루스)
  • 제31SS 의용 척탄병 사단
  • 제32SS 의용 척탄병 사단 '30 야누아르'
  • 제33 '샤를마뉴'(제1 프랑스)
  • 제34SS 의용 척탄병 사단 '란트스토름 네덜란드'
  • 제36
  • 제38SS 척탄병 사단 '니벨룽겐'

6. 1. 제14 무장 척탄병 사단 (제1 갈리시아)

제14 무장 척탄병 사단은 무장 친위대의 척탄병 사단 중 하나이다. 사단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주로 우크라이나 서부의 갈리치아 지역 출신 지원병들로 구성되었다.

6. 2. 제15 무장 척탄병 사단 (제1 라트비아)

제15 무장 척탄병 사단 (제1 라트비아)는 무장 친위대의 보병 사단 중 하나였다.

6. 3. 제19 무장 척탄병 사단 (제2 라트비아)

제19 무장 척탄병 사단 (제2 라트비아)는 라트비아 출신 지원병들을 중심으로 편성된 나치 독일 무장 친위대의 척탄병 사단이다. 무장 친위대의 여러 외국인 부대 중 하나로 활동했다.

6. 4. 제20 무장 척탄병 사단 (제1 에스토니아)

무장 친위대의 보병 사단 중 하나이다. 에스토니아 출신 지원병들을 중심으로 편성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제20 무장 척탄병 사단 (제1 에스토니아)이다.

6. 5. 제25 무장 척탄병 사단 '후냐디'(제1 헝가리)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무장 친위대 소속 보병 사단 중 하나이다. 부대 명칭에 '(제1 헝가리)'가 포함된 것으로 보아 주로 헝가리 출신 지원병들로 구성되었다.

아래는 확인된 사단 지휘관 정보이다.

부임면직계급(당시)성명
1944년 12월 27일1945년 1월 23일친위대 상급 대좌라슬로 데아크 László Deákhu


6. 6. 제26 무장 척탄병 사단 (제2 헝가리)

나치 독일의 무장 친위대 소속 사단 중 하나로, 주로 헝가리 출신 지원병들로 구성된 보병 사단이었다.

6. 7. 제27SS 의용 척탄병 사단 '랑게마르크'(제1 플람스)

벨기에 플랑드르 지역 출신 지원병을 중심으로 편성된 무장 친위대의 척탄병 사단이다. 나치 독일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동했으며, 공식 명칭은 제27SS 의용 척탄병 사단 '랑게마르크'(제1 플람스)이다. 이 부대는 플람스 군단과 연관이 있으며, '의용군'으로 분류되었다.

6. 8. 제28SS 의용 척탄병 사단 '발로니엔'

벨기에왈롱 지역 출신 의용군으로 구성된 나치 독일 무장 친위대의 척탄병 사단이다. 이 부대는 왈로니아 군단을 모체로 하여 편성되었으며, 무장 친위대의 여러 사단 중 '보병'으로 분류된다. 공식적으로 "의용군"으로 명명된 부대 중 하나이기도 하다.

6. 9. 제29 무장 척탄병 사단 RONA (제1 러시아)

카민스키 여단으로도 알려진 부대로, 무장 친위대의 보병 사단 중 하나이다. 제1 러시아 부대로 분류되었다.

6. 10. 제29 무장 척탄병 사단 (제1 이탈리아)

제29 무장 척탄병 사단 (제1 이탈리아)는 이탈리아 출신 지원병들로 구성된 무장 친위대의 척탄병 사단이다.

6. 11. 제30 무장 척탄병 사단 (제2 러시아)

제30 무장 척탄병 사단 (제2 러시아)은 러시아 출신 지원병을 중심으로 편성된 무장 친위대의 척탄병 사단이다.

6. 12. 제30 무장 척탄병 사단 (제1 벨라루스)

제30 무장 척탄병 사단은 벨라루스 출신 지원병들을 중심으로 편성된 나치 독일 무장 친위대의 척탄병 사단 중 하나이다.

6. 13. 제31SS 의용 척탄병 사단

제31SS 의용 척탄병 사단은 나치 독일의 무장 친위대 소속 보병 사단 중 하나로, 공식적으로 '의용군'으로 분류되었다.

6. 14. 제32SS 의용 척탄병 사단 '30 야누아르'

무장 친위대의 척탄병 사단 중 하나로, 공식적으로 "의용군"으로 분류되었다. 사단명 '30 야누아르'는 1933년 1월 30일, 아돌프 히틀러수상으로 임명되어 집권한 날을 기념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6. 15. 제33 무장 척탄병 사단 '샤를마뉴'(제1 프랑스)

프랑스 출신 의용군으로 구성된 무장 친위대의 척탄병 사단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편성되었다.

6. 16. 제34SS 의용 척탄병 사단 '란트스토름 네덜란드'

제34SS 의용 척탄병 사단 '란트스토름 네덜란드'는 무장 친위대의 척탄병 사단 중 하나이다. 이 부대는 공식적으로 '의용군'으로 명명되었으며, 네덜란드 출신 지원병들로 구성되었다.

6. 17. 제36SS 무장 척탄병 사단 '디를레방거'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제36SS 무장 척탄병 사단 디를레방거'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6. 18. 제38SS 척탄병 사단 '니벨룽겐'

독일 민족 서사시인 니벨룽겐의 노래에서 이름을 따왔다. 무장 친위대의 척탄병 사단 중 하나이다.

7. 경찰 사단

무장 친위대의 사단 중 경찰 병력을 기반으로 하거나 관련 임무를 수행한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제4SS 폴리차이 기갑척탄병 사단
  • 제35SS-경찰 척탄병 사단

7. 1. 제4SS 경찰 기갑척탄병 사단

제4SS 폴리차이 기갑척탄병 사단은 무장 친위대의 사단 중 하나로, 경찰 부대로 분류되었다.

7. 2. 제35SS 경찰 척탄병 사단

제35SS-경찰 척탄병 사단은 경찰 병력을 기반으로 편성된 척탄병 사단이다.

8. 속임수 사단

무장 친위대 사단 중 일부는 실제 전투 능력이나 편제가 미비하여 명목상으로만 존재하거나, 과장된 명칭을 가진 '속임수 사단'으로 분류된다. 특히 기갑사단이나 기갑척탄병 부대로 칭했지만 실제로는 그에 걸맞은 전력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해당하며, 이를 '속임수 "기갑" 사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SS 기갑척탄병 여단 49 (제26번 부대)
  • 제27SS 기갑 사단 (제27번 부대)

8. 1. SS 기갑척탄병 여단 49

SS 기갑척탄병 여단 49는 제26번 부대로도 불렸으며, 명목상 기갑척탄병 부대로 분류되었으나 실제 편제나 병력 없이 서류상으로만 존재했던 부대이다.

8. 2. 제27SS 기갑 사단

제27SS 기갑 사단이라는 명칭은 실제 기갑사단 편제와는 거리가 멀었다. 이는 소규모 부대를 과장하여 부른 이름으로, 무장 친위대 사단 목록에서는 실제 기갑 능력이 없는 '속임수 "기갑" 사단'으로 분류된다.

9. 사단장

부임면직계급(당시)성명
1944년 12월 27일1945년 1월 23일친위대 상급 대좌라슬로 데아크


참조

[1] 서적 German Order of Battle, Volume 3
[2] 서적 Waffen-SS https://books.google[...]
[3] 서적 German Order of Battle, Volume 3
[4] 서적 Waffen-SS
[5] 서적 German Order of Battle, Volume 3
[6] 서적 Waffen-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