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바페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바페넴은 페니실린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광범위 항생제 계열이다. 복강 내 감염, 복합 요로감염증, 폐렴, 혈류 감염 등 다양한 감염 치료에 사용된다. 카바페넴은 그람 음성균에 대해 강력한 항균 활성을 보이며, 그람 양성균에도 효과가 있지만,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RSA)이나 일부 장구균에는 효과가 제한적이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알레르기 반응, 발작,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 관련 설사 등이 있으며, 이전에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에 알레르기가 있었던 환자, 발프로산을 복용하는 환자에게는 사용이 금지된다. 이미페넴/실라스타틴, 메로페넴, 에르타페넴, 도리페넴 등이 있으며, 세균 내성 문제로 인해 콜리스틴과 같은 다른 항생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바페넴 | |
|---|---|
| 약리학적 정보 | |
| ATC 코드 | J01DH02 (메로페넴) J01DH51 (이미페넴/실라스타틴) J01DI03 (도리페넴) J01DH03 (에르타페넴) |
| 화학 정보 | |
| 분자식 | C12H17N3O4S (이미페넴) |
| 분자량 | 299.359 g/mol (이미페넴) |
| 식별 정보 | |
| CAS 번호 | 74431-23-5 (이미페넴) 96043-87-9 (메로페넴) 148016-81-3 (에르타페넴) 148016-81-3 (도리페넴) |
| PubChem CID | 60784 (이미페넴) 5488952 (메로페넴) 6436083 (에르타페넴) 9827607 (도리페넴) |
| DrugBank | DB00611 (이미페넴) DB00614 (메로페넴) DB01256 (에르타페넴) DB06163 (도리페넴) |
| 일반 정보 | |
| 종류 | 베타-락탐 항생제 |
| 발견 | 1970년대 중반 |
| 최초 발견 | Streptomyces carbapenemensis |
| 작용 메커니즘 | 세포벽 합성 억제 |
| 투여 경로 | 주사 (정맥 주사, 근육 주사) |
| 적응증 | 폐렴 요로감염증 피부감염 복강내 감염 골반 감염 균혈증 심내막염 수막염 |
| 관련 질병 | |
| 내성균 |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
2. 의학적 사용
(내용 없음)
2. 1. 복강내 감염
에르타페넴은 미국 감염병학회에서 경도~중등도 지역사회 획득 복강내 감염의 일차 치료제로 권장하는 여러 약물 중 하나이다.[50][7] 도리페넴, 이미페넴, 메로페넴은 고위험군의 지역사회 획득 복강내 감염 또는 원내감염으로 발생한 복강내 감염 환자에게 권장된다.[50][7]2. 2. 복합 요로감염증
2015년의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서는 복합 요로감염증에 대한 최선의 항생제 요법을 확인하는 근거는 거의 얻지 못하였으나, 레보플록사신 내성 대장균에 감염된 환자들을 포함한 환자들에서 도리페넴을 이용하였을 때 높은 치료율을 보인다는 고품질의 임상시험 결과를 확인하였다.[51]2. 3. 폐렴
이미페넴과 메로페넴은 미국 흉부학회와 미국 감염병학회에서 후기 발병 병원감염성폐렴이나 기계환기폐렴 환자, 특히 슈도모나스, 아시네토박터, 광범위 베타-락타메이스를 생산하는 장내세균 감염이 의심될 때 일차 치료제로 권장하는 약물이다.[52][9] 일반적으로 슈도모나스 감염에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와 혼합하여 치료하는데, 이는 치료 도중 세균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얻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52][9]지역사회획득 폐렴의 경우, 흔한 원인균인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각종 비정형균, 장내세균 등은 플루오로퀴놀론, 아목시실린, 아지트로마이신 등 더 좁은 스펙트럼을 가지거나 경구 투여 가능한 항생제에도 감수성을 보이기 때문에 카바페넴은 덜 사용된다.[53][10] 이미페넴과 메로페넴은 녹농균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 유용하다.[53][10]
2. 4. 혈류 감염
광범위 베타-락타메이스를 만드는 장내세균에 의한 혈류 감염에는 카바페넴이 다른 대안들보다 우월하다.[56] 2015년의 메타분석에서는 녹농균에 항균 활성을 보이는 페니실린과 베타-락타메이스 억제제의 복합제제인 피페라실린/타조박탐이 패혈증 환자에서 카바페넴과 동일한 수준의 치료 효과를 낸다고 결론 내렸다.[54]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소(NICE)는 호중구감소증이 있는 암 환자의 혈류 감염에서 피페라실린/타조박탐을 일차 치료제로 권장하였다.[55]3. 항균 범위
카바페넴은 그람 음성균에 대해 광범위한 항균 활성을 보이며,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는 다소 좁은 활성을 나타낸다. 경험적 치료(원인 병원균이 확인되기 전의 감염 치료)의 경우, 더 광범위한 그람 양성균 활성을 가진 두 번째 약물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4]
''Enterococcus faecium''(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플라보박테리아, 응고효소 음성 포도상구균, ''Clostridioides difficile''(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RSA), 미코플라스마, 코리네박테리아, 클라미디아, ''Stenotrophomonas maltophilia''(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 ''Burkholderia cepacia''(부르크홀데리아 세파시아), 레지오넬라 등을 대상으로는 사용하기 어렵다.
3. 1. 그람 음성균
이미페넴, 도리페넴, 메로페넴은 대장균, 폐렴막대균, 엔테로박터 클로아카, 시트로박터 프룬디,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세라티아 마르세센스 등 대부분의 장내세균과 균종에 효과적이며, 광범위 베타-락타메이스 (ESBL) 생성 균주에도 활성을 유지한다.[4] 또한 녹농균과 아시네토박터에도 우수한 활성을 보이는데, 이러한 병원체들은 다른 많은 항생제 계열에 본질적으로 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카바페넴의 활성은 특히 중요하다.[4]3. 2. 그람 양성균
카바페넴은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과 사슬알균 종에 대해서는 좋은 활성을 보인다. 그러나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RSA)이나 대부분의 장알균 감염에 대해서는 카바페넴이 이들 병원균이 사용하는 페니실린 결합 단백질에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활성이 높지 않다.[4]3. 3. 기타
박테로이데스 프라질리스와 같은 혐기성 세균에는 효과적이다. 그러나 세포벽이 없어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는 약물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정형 세균에는 효과가 없다.[4]4. 금기증
이전에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에 대한 알레르기를 보였던 환자에게는 카바페넴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에르타페넴과 이미페넴의 근육 주사(근주)용 제형은 리도카인과 함께 제제화되므로, 리도카인에 대한 부작용을 보였던 환자에게는 근주용 에르타페넴과 이미페넴을 사용하지 않는다.[57][58] 카바페넴은 발프로산을 발작 치료제로 복용하는 환자에게도 금기인데, 카바페넴이 발프로산 농도를 90%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59]
쇼크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발프로산나트륨 투여 중인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발프로산의 혈중 농도가 저하되어 간질 발작이 재발할 수 있다. 기전 불명).
5. 부작용
카바페넴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심각하고 때로는 치명적인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17] 간혹 중증의 치명적인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60] 이미페넴과 메로페넴의 경우 발작이 용량 제한 독성으로 나타난다.[18][61] 카바페넴이나 다른 광범위 항생제로 치료받은 환자에게서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 연관 설사가 발생할 수도 있다.[19][62] 페니실린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카바페넴에 교차 민감성을 보일 수 있다.[20][63]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쇼크 병력이 있는 환자
- 발프로산나트륨 투여 중인 환자 (발프로산의 혈중 농도가 저하되어 간질 발작이 재발할 수 있다. 기전 불명)
6. 종류
카바페넴계 항생제는 그 종류가 다양하다.
- 이미페넴 수화물·실라스타틴 나트륨 (지에남, 이미스탄, 외)
- 파니페넴·베타미프론 (카르베닌)
- 메로페넴 수화물 (메로펜, 외)
- 도리페넴 수화물 (피니박스)
- 비아페넴 (오메가신)
위의 약제들은 주로 패혈증, 감염성 심내막염, 외상·화상 및 수술창 등의 이차 감염과 같은 중증 감염증에 사용되며, 점적 정주용 백이나 키트, 근주용 분말 형태로 제공된다.
경구용 카바페넴계 항생제도 존재하지만, 점적 주사 방식과는 사용 방법이 다르다.
- 테비페넴 피폭실 (오라페넴 소아용 세립)
테비페넴 피폭실은 폐렴, 중이염, 부비동염에 사용된다.
한편, ''Enterococcus faecium''(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플라보박테리아, 응고효소 음성 포도상구균, ''Clostridioides difficile''(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 MRSA, 미코플라스마, 코리네박테리아, 클라미디아, ''Stenotrophomonas maltophilia''(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 미코플라스마, ''Burkholderia cepacia''(부르크홀데리아 세파시아), 레지오넬라 등에는 카바페넴을 사용하기 어렵다.[21]
6. 1. 임상 사용 승인
- 이미페넴/실라스타틴: 최초로 임상에서 사용된 카바페넴으로, 1985년 미국에서 사용 승인을 받았다.[21] 포유류의 신장에서 탈수소화효소에 의해 신독성 중간체로 가수분해되므로, 탈수소화효소 억제제인 실라스타틴과 함께 제형화된다.[5] 정맥 주사[22] 및 근육 주사[23] 제형으로 제공된다. 미국 흉부학회와 미국 감염병학회는 후기 발병 병원감염성폐렴이나 기계환기폐렴 환자 중, 특히 슈도모나스, 아시네토박터, 광범위 베타-락타메이스를 생산하는 장내세균이 의심되는 경우에 이미페넴/실라스타틴을 일차 치료제 중 하나로 권장한다.[52]
- 메로페넴: 포유류의 탈수소화효소에 안정적이며 실라스타틴과 함께 투여할 필요가 없다. 1996년 미국에서 사용 승인을 받았다.[24] 하루 3번 투여로, 이미페넴보다 투여가 편리하다. 메로페넴은 세균성 수막염 치료에 효과적이다.[24] 미국 흉부학회와 미국 감염병학회는 후기 발병 병원감염성폐렴이나 기계환기폐렴 환자 중, 특히 슈도모나스, 아시네토박터, 광범위 베타-락타메이스를 생산하는 장내세균이 의심되는 경우에 메로페넴을 일차 치료제 중 하나로 권장한다.[52]
- 에르타페넴: 하루에 한 번 정맥 주사 또는 근육 주사로 투여한다. 녹농균(P. aeruginosa)과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종에 대해서는 유효한 항균 활성이 없다.[26] 미국 감염병학회는 경도~중등도 지역사회 획득 복강내 감염의 일차 치료제 중 하나로 에르타페넴을 권장한다.[50]
- 도리페넴: 메로페넴과 매우 유사한 활성 스펙트럼을 가진다. 다른 카바페넴보다 발작을 일으킬 가능성이 다소 낮다.[27] 미국 감염병학회는 고위험군의 지역사회 획득 복강내 감염 또는 원내감염으로 발생한 복강내 감염 환자에게 도리페넴을 권장한다.[50]
- 파니페넴/베타미프론: 1993년 일본에서 승인되었다.
- 비아페넴: 2001년 일본에서 승인되었으며, 다른 카바페넴과 유사한 효능 및 부작용 발생률을 나타낸다.[28]
- 테비페넴: 2015년 일본에서 승인되었으며, 경구 투여 가능한 최초의 카바페넴이다.[29] 적응증은 폐렴, 중이염, 부비동염이다.
6. 2. 미승인/실험적
라주페넴(PZ-601)은 다른 카바페넴에 내성을 가진 균주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활성을 가진 것으로 시험 중인 카바페넴 항생제이다. 초기 2상 시험에서 유망함을 보였으나, 노바티스(Novartis) (Protez Pharmaceuticals와의 합병 거래로 PZ-601을 인수)는 최근 시험에서 높은 부작용 발생률을 이유로 PZ-601 개발을 포기했다.[30]레나페넴
설로페넴은 약물 내성 요로 감염에 대한 임상 시험 중이다.
토모페넴
티에나마이신(티엔페넴)은 최초로 발견된 카바페넴이다.
파로페넴
7. 세균 내성
세균의 카바페넴 내성은 여러 기전을 통해 나타난다. 장내세균과는 베타-락타메이스 효소를 발현하여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다. 광범위 베타-락탐 분해 효소(ESBL)를 생성하는 대장균과 폐렴막대균은 세팔로스포린에 내성을 가지며, 이 경우 카바페넴이 치료제로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 카바페네마제를 생성하는 장내세균과가 증가하면서 카바페넴에 대한 내성도 증가하고 있다. 폐렴막대균 카바페넴분해효소(KPC)가 대표적인 예시이다.[36]
녹농균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는 포린의 사용, 유출 펌프, 베타-락타메이스 발현 등 다양한 기전을 통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보인다. 특히, 녹농균은 AmpC라는 유도성 광범위 베타 락타마제를 생성하여 대부분의 베타 락탐에 내성을 갖는다. 카바페넴은 AmpC의 강력한 유도제이면서 기질이 아니기 때문에 녹농균 감염에 효과적이지만, 뉴델리 메탈로 베타 락타마제와 같이 카바페넴을 분해하는 효소를 생성하는 녹농균 균주도 발견되어 치료에 어려움이 예상된다.[40]
7. 1. 장내세균과
장내세균과는 요로 감염,[31][32] 복부 감염,[33] 및 병원 감염 폐렴[9]을 일으키는 흔한 병원체이다. 이러한 병원체의 베타락탐 내성은 대부분 베타-락타메이스 효소 발현으로 인해 발생한다.[34]2007년과 2011년 사이에, 광범위 베타-락탐 분해 효소 (ESBL)를 생성하는 캐나다 병원의 대장균 분리주 비율은 3.4%에서 4.1%로 증가했고, 폐렴막대균 분리주의 경우 ESBL 생성균이 1.5%에서 4.0%로 증가했다. 이러한 균주는 베타락타메이스 생성 장내세균과 치료를 위해 개발된 세팔로스포린에 내성을 가지며, 카바페넴이 일반적으로 치료 선택으로 간주된다.[35]
최근 많은 국가에서 ESBL과 카바페네마제(예: 폐렴막대균 카바페넴분해효소 (KPC))를 모두 생성하는 장내세균과의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했다. 2013년 기준, 그리스의 폐렴막대균 분리주의 70%는 3세대 세팔로스포린에 내성을 보이며 60%는 카바페넴에 내성을 보인다.[36] 이러한 다제내성 장내세균과의 유병률 증가와 치료의 어려움으로 인해 1950년대에 발견되었지만 최근까지 독성 수준으로 인해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콜리스틴과 같은 항생제의 사용이 부활하게 되었다.[37]
이집트 카이로의 소아 중환자실에서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과의 유병률은 24%였으며,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과의 80%에서 다양한 카바페네마제 유전자가 검출되었고, ''bla''OXA-48이 우세했다.[38]
7. 2. 녹농균과 아시네토박터
비발효성 그람 음성 세균인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에 의한 감염은 입원 환자에게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이 세균들은 광범위한 저항 기전을 발현하여 항생제에 대한 유난히 높은 수준의 고유 내성을 보인다. 항생제는 포린의 사용 때문에 녹농균과 아시네토박터의 외막을 장내세균과의 외막보다 약 100배 느리게 통과한다.[39] 포린 수준은 항생제 노출에 반응하여 하향 조절될 수 있다. 포린 채널을 성공적으로 통과한 항생제 분자는 유출 펌프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포린 OprD2의 하향 조절은 이미페넴 내성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39]장내세균과와 마찬가지로, 녹농균과 아시네토박터는 베타 락타마제를 포함한 광범위한 항생제 비활성화 효소를 발현할 수 있다. 녹농균은 베타 락탐 노출에 반응하여 생성되는 유도성 광범위 베타 락타마제인 AmpC를 생성한다. 유도성 AmpC 발현, 낮은 막 투과성 및 유출 펌프의 조합은 녹농균을 대부분의 베타 락탐에 내성 있게 만든다. 카바페넴이 녹농균 감염에 대한 임상적 효과는 부분적으로, 카바페넴이 AmpC의 강력한 유도제이면서 기질이 아니기 때문에 나타난다. 뉴델리 메탈로 베타 락타마제와 같이 카바페넴을 분해할 수 있는 베타 락타마제를 생성하는 녹농균 균주의 확인은 치료 불가능한 녹농균 감염 시대가 올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증가시켰다.[40]
8. 구조
구조 측면에서 카바페넴은 페니실린(페남)과 매우 유사하지만, 구조의 1번 위치에 있는 황 원자가 탄소 원자로 대체되었고 불포화도가 도입되었다. 여기서 카바페넴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9. 투여
광범위한 작용 범위, 항생제 내성 발생 억제, 그리고 일반적으로 경구 생체 이용률이 낮다는 점 때문에, 카바페넴은 더 심각한 감염의 경우 병원 환경에서 정맥 투여 방식으로 투여된다. 하지만 효과적인 경구용 카바페넴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42]
10. 대표적인 약물 (일본)
참조
[1]
서적
Drug Discovery-A History
Wiley
[2]
논문
Carbapenems, a new class of beta-lactam antibiotics.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imipenem/cilastatin
1985-06
[3]
웹사이트
Brazil: Klebsiella pneumoniae carbapenemase prompts closing of hospital ICU - Outbreak News Today
http://outbreaknewst[...]
2015-07-26
[4]
논문
Carbapenems
[5]
논문
Carbapenems: past, present, and future
[6]
논문
Carbapenemases: a problem in waiting?
2000-10
[7]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mplicated intra-abdominal infection in adults and children: guidelines by the Surgical Infection Society and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8]
논문
Empiric therapy for hospital-acquired, gram-negative complicated intra-abdominal infection and complic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current and emerging treatment options
[9]
논문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hospital-acquired, ventilator-associated, and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10]
논문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ult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full version
[11]
논문
β-Lactam/β-lactamase inhibitors versus carbapenems for the treatment of seps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12]
서적
Neutropenic Sep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Neutropenic Sepsis in Cancer Patient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PubMed Health
https://www.ncbi.nlm[...]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UK)
[13]
논문
Carbapenems versus alternative antibiotics for the treatment of bacteraemia due to Enterobacteriaceae producing extended-spectrum β-lactama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4]
웹사이트
www.accessdata.fda.gov
http://www.accessdat[...]
[15]
웹사이트
www.accessdata.fda.gov
http://www.accessdat[...]
[16]
논문
Pharmacological interaction between valproic acid and carbapenem: what about levels in pediatrics?
2015
[17]
논문
The complex clinical picture of beta-lactam hypersensitivity: penicillins, cephalosporins, monobactams, carbapenems, and clavams
[18]
논문
Clinical review: balancing the therapeutic, safety, and economic issues underlying effective antipseudomonal carbapenem use
[19]
논문
Antibiotics and hospital-acquired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update of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
웹사이트
Pharmaceutical Sciences CSU Parenteral Antibiotic Allergy cross-sensitivity chart
http://www.vhpharmsc[...]
Vancouver Acute Pharmaceutical Sciences, Vancouver Hospital & Health Sciences Centre
2017-05-19
[21]
웹사이트
PRIMAXIN (Brand Name Drug) FDA Application No. (NDA) 050587 Drug Details, Drugs@FDA
http://www.accessdat[...]
[22]
웹사이트
www.accessdata.fda.gov
http://www.accessdat[...]
[23]
웹사이트
www.accessdata.fda.gov
http://www.accessdat[...]
[24]
논문
Imipenem and meropenem: Comparison of in vitro activity, pharmacokinetics, clinical trials and adverse effects
[25]
논문
Systematic review comparing meropenem with imipenem plus cilastatin in the treatment of severe infections
[26]
웹사이트
www.accessdata.fda.gov
http://www.accessdat[...]
[27]
논문
Doripenem: a new carbapenem antibiotic
[28]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biapenem in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9]
논문
Tebipenem, a New Carbapenem Antibiotic is a Slow Substrate that Inhibits the β-Lactamase from Mycobacterium tuberculosis
2014-06
[30]
웹사이트
Novartis shutters Protez
http://www.biovalley[...]
2010-09-21
[31]
논문
Internation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acute uncomplicated cystitis and pyelonephritis in women: A 2010 update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and the European Society for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s
[32]
논문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in adults: 2009 Internation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rom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33]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mplicated intra-abdominal infection in adults and children: guidelines by the Surgical Infection Society and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34]
논문
Clinical management of infections caused by multidrug-resistant Enterobacteriaceae
[35]
논문
Molecular epidemiology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AmpC β-lactamase- and carbapenemase-producing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isolated from Canadian hospitals over a 5 year period: CANWARD 2007-11
[36]
웹사이트
Antimicrobial Resistance in Europe 2013
http://ecdc.europa.e[...]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2013
[37]
논문
Contemporary resistance trends and mechanisms for the old antibiotics colistin, temocillin, fosfomycin, mecillinam and nitrofurantoin
[38]
논문
Colonization of intestinal microbiota with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in pa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in Cairo, Egypt
http://www.sciencedi[...]
2019-03-01
[39]
논문
Challenges in identifying new antimicrobial agents effective for treating infections with Acinetobacter baumannii and Pseudomonas aeruginosa
[40]
논문
Responses of Pseudomonas aeruginosa to antimicrobials
[41]
논문
Effects of Group 1 versus Group 2 carbapenems on the susceptibility of Acinetobacter baumannii to carbapenems: a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study of carbapenem-use stewardship
2014-06-09
[42]
논문
Current status of oral carbapenem development
2002-01
[43]
논문
Chemical and Microbiologic Aspects of Penems, a Distinct Class of β-Lactams: Focus on Faropenem
http://www.medscape.[...]
2003-11
[44]
서적
Drug Discovery-A History
Wiley
[45]
논문
Carbapenems, a new class of beta-lactam antibiotics.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imipenem/cilastatin
1985-06
[46]
웹인용
Brazil: Klebsiella pneumoniae carbapenemase prompts closing of hospital ICU - Outbreak News Today
http://outbreaknewst[...]
2015-07-26
[47]
논문
Carbapenems
[48]
논문
Carbapenems: past, present, and future
[49]
논문
Carbapenemases: a problem in waiting?
2000-10
[50]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mplicated intra-abdominal infection in adults and children: guidelines by the Surgical Infection Society and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51]
논문
Empiric therapy for hospital-acquired, gram-negative complicated intra-abdominal infection and complic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current and emerging treatment options
[52]
논문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hospital-acquired, ventilator-associated, and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53]
논문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ult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full version
[54]
논문
β-Lactam/β-lactamase inhibitors versus carbapenems for the treatment of seps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55]
서적
Neutropenic Sep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Neutropenic Sepsis in Cancer Patient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PubMed Health
https://www.ncbi.nlm[...]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UK)
[56]
논문
Carbapenems versus alternative antibiotics for the treatment of bacteraemia due to Enterobacteriaceae producing extended-spectrum β-lactama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57]
웹인용
www.accessdata.fda.gov
http://www.accessdat[...]
[58]
웹인용
www.accessdata.fda.gov
http://www.accessdat[...]
[59]
논문
Pharmacological interaction between valproic acid and carbapenem: what about levels in pediatrics?
2015
[60]
논문
The complex clinical picture of beta-lactam hypersensitivity: penicillins, cephalosporins, monobactams, carbapenems, and clavams
[61]
논문
Clinical review: balancing the therapeutic, safety, and economic issues underlying effective antipseudomonal carbapenem use
[62]
논문
Antibiotics and hospital-acquired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update of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63]
웹인용
Pharmaceutical Sciences CSU Parenteral Antibiotic Allergy cross-sensitivity chart
http://www.vhpharmsc[...]
Vancouver Acute Pharmaceutical Sciences, Vancouver Hospital & Health Sciences Centre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