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토케이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우토케이노는 핀마르크 주의 최남단에 위치한 노르웨이의 자치구로, 사미어로 "길의 중간 지점"을 의미한다. 1987년까지 Kautokeino였으나, 이후 Guovdageaidnu-Kautokeino로 변경되었고, 2005년부터는 Guovdageaidnu 또는 Kautokeino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지역은 사미 문화의 중심지이며, 사미 부활절 축제와 사미 그랑프리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카우토케이노는 아한대 기후를 보이며, 핀마르크비다 고원 내륙에 위치하여 겨울 기온이 매우 낮다. 알타 공항과 유럽 고속도로 E45가 위치해 있으며, 사미 대학교, 베이바스 사미 극장 등 사미 문화를 위한 기관들이 자리 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마르크주의 도시 - 바르되
바르되는 노르웨이 핀마르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오랜 역사와 어업, 관광 산업을 가지고 있으며, GLOBUS 레이더 시설 설치로 외교적 논란이 일기도 했다. - 핀마르크주의 도시 - 함메르페스트
함메르페스트는 노르웨이 핀마르크주에 위치한 섬 자치구 도시로, 석기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어업 및 북극 사냥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어 현재는 LNG 기지를 통해 경제 호황을 누리고 있다. - 스트루베 측지 아크 - 타르투
타르투는 에스토니아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교육과 문화의 중심지로 발전하여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지배를 거쳐 에스토니아 독립 후 현대적인 도시로 변화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행사도 개최되는 에스토니아의 중요한 문화적, 경제적 중심지이다. - 스트루베 측지 아크 - 하파란다
하파란다는 스웨덴 북부에 위치하며 핀란드 토르니오와 국경을 접하고, 유로시티를 형성하여 경제적, 사회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스웨덴과 핀란드의 철도 시스템을 연결하는 통로이다.
카우토케이노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노르웨이어) | Kautokeino |
공식 명칭 (북부 사미어) | Guovdageainnu suohkan |
로마자 표기 (북부 사미어) | Guovdageaidnu |
기타 표기 | 핀란드어: Koutokeino 퀘냐어: Koutokeino |
위치 | 핀마르크주 |
중심지 | 카우토케이노 |
면적 순위 | 1위 |
면적 (전체) | 9707.35 km² |
면적 (육지) | 8967.38 km² |
면적 (물) | 739.97 km² |
면적 (물 비율) | 7.6% |
인구 (2024년) | 2848명 |
인구 밀도 | 0.3 명/km² |
인구 증감 | -2.8 |
지방 자치체 번호 | 5612 |
웹사이트 | 카우토케이노 공식 웹사이트 |
행정 | |
행정 구역 | 핀마르크주 |
설립 | 1851년 |
이전 행정 구역 | 키스트란드 지방 자치체 |
시장 | Anders S. Buljo |
시장 소속 정당 | LL |
시장 임기 시작 | 2023년 |
지리 | |
최고 고도 | 973.9 m |
최고 지점 정보 출처 | 노르웨이 지도청 |
언어 | |
공용어 | 보크몰 북부 사미어 |
기타 정보 | |
거주민 | 카우토케이노 주민 |
2. 지명
'카우토케이노'는 북부 사미어 단어인 Guovdageaidnuse에서 유래했다. Guovdageaidnuse는 'guovda|중간 또는 절반se'(Guovdageaidnu의 첫 번째 요소)와 'geaidnu|도로 또는 길se'(Guovdageaidnu의 마지막 요소)로 구성된다.[7] 이를 합치면 "길의 중간 지점"을 의미하는데, 그 위치가 전통적인 이주 지점 두 곳의 중간 지점에 있기 때문이다.[7] 또한 북부 사미의 지리적 중심지이기도 하다.[7] ''카우토케이노''는 사미어 이름인 Guovdageaidnuse를 핀란드화한 형태로, 노르웨이인들도 채택했다.[7]
1987년 9월 4일에 제정되었다. 공식적인 문장은 ''"청색 바탕에 금색 라부"''이다. 파란색 바탕에 문장 부호는 라부(lavvu라고도 표기)이며, 색상은 금색이다. 금색은 일반적으로 노란색으로 칠해지지만 금속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금색을 사용한다. 라부(lavvo로 표기)는 계절과 동물들의 먹이 가용성에 따라 무리를 따라 이동하는 순록 사육자들이 여전히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자치구의 상징으로 선택되었다. 문장은 아르비드 스빈에 의해 디자인되었다.[10][11][12]
카우토케이노는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이다. 선사 시대에는 마지막 빙하기 이후 약 10,500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기원전 7,000년에서 5,000년 사이의 인간 활동 흔적이 발견되었다. 중석기 시대의 순록 뼈 유해도 발견되었으며, 이는 사미족의 조상들이 이 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순록 사냥을 하며 살아왔음을 보여준다.[14][15]
1987년까지 지자체의 공식 명칭은 ''카우토케이노''였으며, 이후 이중 언어인 ''Guovdageaidnuse-카우토케이노''로 변경되었다.[7] 이는 노르웨이에서 사미어 이름을 갖게 된 최초의 지자체였다.[8] 2005년에는 이름이 다시 변경되어 ''Guovdageaidnuse'' 또는 ''카우토케이노''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8] 사미어 이름의 철자는 사용 방식에 따라 변경된다.[9] 단독으로 표기될 때는 Guovdageaidnuse라고 불리지만, "카우토케이노 지자체"에 해당하는 사미어를 사용할 때는 Guovdageainnu suohkanse이라고 불린다.[9]
3. 문장
4. 역사
16세기부터는 스웨덴의 지배를 받으며 사미족에 대한 체계적인 과세가 시작되었다.[18][20] 17세기 초에는 오베르토르네오 출신의 요하네스 토르네우스가 카우토케이노에서 처음으로 예배를 드렸고, 1703년에는 카우토케이노 최초의 교회인 "성 샤를 교회"가 건설되었다.[24][28]
19세기에는 러시아가 핀란드로의 순록 이동을 금지하면서 많은 사미족들이 카우토케이노를 떠나기도 했다. 1852년에는 노르웨이 당국의 착취 정책에 대항한 사미족 봉기가 일어났는데, 이는 사미족과 노르웨이인 간의 인명 피해를 동반한 유일한 충돌이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알래스카와 캐나다로 순록 사육 기술을 전파하기 위한 이주가 이루어졌다.[34][35][43][44][45]
1905년 국민투표에서 카우토케이노 주민들은 100% 스웨덴과의 연합 해체 이후 노르웨이가 왕국이 되는 것을 지지했다.[48] 1917년에는 독일 간첩 혐의를 받던 스웨덴의 오토 폰 로젠 남작이 카우토케이노 지역에서 체포되기도 했다. 그의 짐에서는 간첩 장비와 탄저균 박테리아가 들어있는 설탕 큐브가 발견되었다.[51][55] 1919년에는 스페인 독감으로 인해 카우토케이노 인구의 2.2%가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도 있었다.[57]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캐나다 배핀 섬과 매켄지 강 어귀에 순록 방목 프로젝트가 진행되어 카우토케이노 출신 사미족들이 참여하기도 했다.[59][60]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이 카우토케이노를 점령하고 야전 공항을 건설하기도 했다.[70] 1944년에는 독일군이 카우토케이노 주민들을 강제 대피시키려 했으나, 주민들은 핀마르크비다로 도망쳐 흩어지면서 강제 대피를 피했다. 후퇴하는 독일군은 카우토케이노의 건물들을 불태웠는데, 1701년에 지어진 옛 카우토케이노 교회를 포함하여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다.[82][84][83][85]
전후 1958년에는 카우토케이노 교회가 재건되었고,[107] 1970년대에는 알타-카우토케이노 강 수력 발전소 건설 계획(알타 논쟁)은 대규모 항의를 불러일으켰다.[134] 1981년에는 베이바시 사미 나쇼날라테아테르가 설립되었고, 1989년에는 사미 대학교가 개교했다.[137][141] 1996년에는 달라이 라마가 카우토케이노를 방문하여 티베트 인권 문제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기도 했다.[153] 2016년에는 사미 프라이드 LGBT 축제가 카우토케이노에서 개최되었다.[169]
4. 1. 선사 시대
마지막 빙하기 이후 약 10,500년 전 얼음이 사라지면서 카우토케이노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카우토케이노 지역에서는 기원전 7,000년에서 5,000년 사이의 인간 활동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카우토케이노 교회에서는 기원전 5,000년에서 기원전 1,000년 사이의 것으로 추정되는 화살촉이 발견되었다.[14]
2020년 트롬쇠 대학교는 카우토케이노의 가이드노만야브리(Gáidnomanjávri)에서 고고학 발굴 조사를 실시했는데, 이곳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소각된 뼈 유해는 기원전 4,846년에서 5,009년 사이의 것으로 추정된다.[14]
카우토케이노에서 북쪽으로 약 10킬로미터 떨어진 융테바다(Junttevađđa)에서는 기원전 5,560년에서 5,52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중석기 시대의 순록 뼈 유해가 발견되었다.[15] 융테바다는 오랜 기간 동안 인간 활동의 흔적을 가지고 있는데, 1967년 고고학자 포블 시몬센의 발굴 조사에서 서기 1050년경으로 추정되는 돌무더기들이 발견되었다.[16] 이후 연구에서는 이것이 사미족이 사용했던 텐트 정착지와 관련된 화덕이라는 결론을 내렸다.[17]
4. 2. 16세기 ~ 18세기
1751년까지 카우토케이노는 스웨덴의 영토였다.[18] 1553년부터 구스타브 바사의 집행관들은 카우토케이노 지역의 사미족에 대한 체계적인 과세를 시작했다.[20] 1553년부터 1608년까지의 과세 목록이 있으며, 1565년은 제외된다. 페터 로렌츠 스미스는 1938년에 출판된 책에서 1553년 세무관의 조사에서 카우토케이노의 "라프 마을"(오늘날 시이다라는 용어가 사용된다)에 8명의 사람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그는 가구당 6명으로 추정하여 카우토케이노 시이다의 총 인구를 48명으로 추정했다.[20]
1641년, 오베르토르네오 출신의 요하네스 토르네우스가 카우토케이노에서 처음으로 예배를 드렸다. 예배는 막 세워진 작은 통나무집에서 열렸으며, 이는 카우토케이노 최초의 나무 건물이라고 한다.[24]
1703년에는 카우토케이노 최초의 교회인 "성 샤를 교회"가 건설되었다.[28] 이 교회는 1944년 독일군에 의해 불타기 전까지 핀마르크에서 가장 오래된 개신교 교회였다.[30]
4. 3. 19세기 ~ 20세기 초
1845년, 카우토케이노의 로디켄(Luvdiidcohkka)과 베알야스바리 산 정상에서 스트루베 측지 아크 측정이 이루어졌다.[33]
1852년, 러시아가 핀란드로의 순록 이동을 금지하면서 많은 사미족들이 카우토케이노를 떠났다. 특히 카레수안도로의 이주가 두드러졌고, 일부는 셰르보이 시(Skjervøy Municipality)로도 이동했다. P.L. 스미스는 저서 ''카우토케이노와 카우토케이노 라페(Kautokeino og Kautokeino lappene)''에서 1852년부터 1889년 사이에 310명이 카우토케이노에서 카레수안도와 셰르보이로 이주했으며, 약 2만 5천에서 3만 마리의 순록을 데려갔다고 기록했다. 약 60명은 나중에 카우토케이노로 돌아왔다.[34]
같은 해인 1852년, 카우토케이노에서는 노르웨이 당국의 착취 정책에 대항한 사미족 봉기가 일어났다. 이는 사미족과 노르웨이인 간의 인명 피해를 동반한 유일한 충돌이었다.
1894년과 1898년에는 알래스카와 캐나다로 순록 사육 기술을 전파하기 위한 이주가 있었다. 1894년 4월 10일, 6가족과 독신 남성 1명으로 구성된 19명이 카우토케이노를 출발하여 알래스카로 향했다. 이 여정은 알래스카의 셸던 잭슨을 대신하여 탈비크 출신의 윌리엄 A. 셸먼이 조직했다. 셸던 잭슨은 사미족의 순록 사육 전문성을 활용하여 알래스카의 이누이트족에게 이 지식을 가르치고자 했다.[35] 1898년 2월 4일, 알타를 출발한 배 매니토바호에는 카우토케이노 출신 44명을 포함한 113명의 승객과 539마리의 순록이 탑승했는데, 이들은 유콘 준주 클론다이크 금광 광부들의 기아를 예방하고 알래스카에서 순록 사육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43][44][45] 1900년, 카우토케이노에는 정착한 사미족 267명과 순록 유목에 종사하는 사미족 522명이 거주하여 총 인구는 789명이었다.[46] 1894년과 1898년에 총 63명이 카우토케이노에서 알래스카로 이주했는데, 이는 1900년 인구의 약 7%에 해당한다.[47]
1905년 국민투표에서 카우토케이노 주민들은 100% 스웨덴과의 연합 해체 이후 노르웨이가 왕국이 되는 것을 지지했다. 카우토케이노는 노르웨이에서 100%가 왕국을 지지한 2개 지자체 중 하나였다.[48]
1917년 1월 15일부터 20일 사이, 독일 간첩 혐의를 받던 스웨덴의 오토 폰 로젠 남작(Baron Otto von Rosen)이 카우토케이노(또는 카라쇼크) 지역에서 체포되었다.[51] 그의 짐에서는 간첩 장비와 탄저균 박테리아가 들어있는 설탕 큐브가 발견되었다.[55]
1919년 1월, 스페인 독감으로 인해 카우토케이노 인구의 2.2%인 24명이 사망했다.[57] 1920년 카우토케이노의 인구는 979명이었다.[57]
1921년과 1931년, 캐나다 배핀 섬과 매켄지 강 어귀에 순록 방목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1921년, 마시 출신 3가족과 카우토케이노 출신 독신자 1명이 허드슨 베이 회사의 후원으로 배핀 섬에서 순록 사육 프로젝트에 참여했다.[59] 1931년에는 카우토케이노 출신의 3가족이 캐나다 북부 해안, 현재의 이누빅 마을 근처의 매켄지 강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지역으로 이동하여 순록 사육을 도입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했다.[60]
4. 4. 제2차 세계 대전 (1940-1945)
1940년 봄, 나르비크 전선에서 벌어진 전투에 알타 대대 소속 카우토케이노 출신 병사 최소 4명이 참전했다.[67]
1942년, 독일군은 레이사달렌을 거쳐 카우토케이노와 카라쇼크를 잇는 철도 노선을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 이 철도는 독일의 극지 철도의 일부로, 포스케에서 키르케네스까지 연결될 예정이었으나 1943년에 계획이 발표되었다.[69]
1943년, 독일군은 1,200미터 활주로를 갖춘 야전 공항을 건설했다. 활주로 끝에는 여전히 독일 융커스 Ju 52의 잔해가 남아 있다.[70]
1944년 가을, 독일 제139 산악 여단이 카우토케이노와 그 주변에 주둔했다. 약 5,000명 규모의 이 부대는 1944년 10월 29일 또는 그 이전에 카우토케이노 지역에 도착했다.[72] 제139 산악 여단은 제3 산악 사단의 제139 산악 연대의 잔존 병력으로 1944년 6월 5일에 편성되었다.[73][74] 이들은 노르웨이 전투 중 나르비크 전투에서 노르웨이군에게 패배할 뻔했던 부대였다. 당시 노르웨이는 연합군의 철수로 인해 항복해야 했다. 카우토케이노 출신 병사들이 참여했던 알타 대대는 비외르네피엘 전투에 참여한 노르웨이 부대 중 하나였다.[75]
1944년 10월 23일, 독일군과 나치 경찰은 카우토케이노 주민들을 강제 대피시키려 했으나, 주민들은 핀마르크비다로 도망쳐 흩어졌다.[82] 독일군은 주민들에게 트롬스의 헬리스코겐으로 대피하라고 명령했지만, 주민들은 사미어로 된 구두 명령에 따라 동쪽 아나르요카의 헬리스코겐으로 대피하라는 지시를 받고 핀마르크비다로 도망쳤다. 이로 인해 독일군은 순록 무리가 제공할 식량 비축물을 놓쳤고, 주민들은 강제 대피를 피했다.[82]
1944년 11월부터 12월까지 후퇴하는 독일군은 카우토케이노의 건물들을 불태웠다. 1944년 11월 20일 카우토케이노 교회 부지를 불태우기 시작해 12월 첫째 주에 완료되었다.[84][83] 1701년에 지어진 옛 카우토케이노 교회를 포함하여 168채의 건물이 소실되었다.[85]
4. 5. 전후 (1945-현재)
1958년, 카우토케이노 교회가 재건되었다.[107] 1970년대, 알타-카우토케이노 강 수력 발전소 건설 계획(알타 논쟁)은 대규모 항의를 불러일으켰다.[134] 1976년 1월 19일 카우토케이노 시의회는 알타-카우토케이노 유역 개발 계획에 반대했다.[131] 1981년에는 알타-카우토케이노 유역 개발 반대 국민 운동의 후원으로 카우토케이노에서 횃불 행진이 조직되었다.[135] 1982년 2월, 대법원은 카우토케이노-알타 강 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개발 결정이 유효하다고 판결했다.[140] 이후, 1987년에 알타 발전소가 개장했다.
1981년, 베이바시 사미 나쇼날라테아테르가 설립되었다.[137] 1989년에는 사미 대학교가 개교했다.[141]
1996년, 달라이 라마가 카우토케이노를 방문하여 티베트 인권 문제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153] 그는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3개국 사미 의회 의장들을 만나 공동 성명을 통해 티베트에 대한 중국의 인권 침해를 규탄했다.
2016년에는 사미 프라이드 LGBT 축제가 카우토케이노에서 개최되었다.[169] 이는 지역 교회 위원회가 교회에서 동성애자 결혼을 거부하고, 교구의 수석 사제가 동성애는 사람들이 없앨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한 것에 항의하기 위함이었다.
2023년에는 오리 봄 사냥에 관한 새로운 규정이 채택되었다.[174] 할당량은 500마리로 설정되었으며, 사냥 기간은 5월 5일부터 6월 6일까지 15일로 정해졌다.
5. 지리
카우토케이노는 핀마르크 주의 최남단 자치구로, 북쪽으로는 알타 자치구, 동쪽으로는 카라쇼카 자치구, 서쪽으로는 노르드레이사 자치구 및 트롬스 주의 크베나angen 자치구, 남쪽으로는 핀란드의 에논테키외 자치구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면적은 9707km2로 노르웨이에서 가장 크며, 약 10,000개의 호수가 총 737km2를 차지한다. 핀마르크비다 고원의 상당 부분이 카우토케이노 자치구 내에 있으며, 아나르요카 국립공원의 일부도 포함된다. 아나르요카 강과 카라쇼카 강은 이 공원 내에서 발원한다.
카우토케이노 강은 핀란드 국경의 호수에서 시작하여 카우토케이노와 Máze 마을을 거쳐 북쪽으로 흐르다가 알타 자치구에서 알타강으로 이름이 바뀐다. 이 강은 ''카우토케이노/알타 강''으로 통칭된다. Šuoikkatjávri 호수는 크베낭엔 자치구와의 경계에 있다.
자치구 내 주요 호수는 다음과 같다:
- 바야슈야브리
- 바지트 스필가야브리
- 비게야브리
- 차라야브리
- 다트코야브리
- 가흐차냐브리
- 가브드냐야브리
- 게아지에야브리
- 게아슈야브리
- 구올레히스 수올로야브리
- 헤엠모야브리
- 이에슈야브리
- 라흐포야브리
- 라트네트야브리
- 누르베야브리
- 라게스야브리
- 살간야브리
- 소아고뇨야브리
- 스토라 갈바야브리
- 스토라야브리
- Šuoikkatjávri
- 수올로야브리
- 비르드네야브리
- 부올리트 스필가야브리
6. 기후
카우토케이노는 서늘하거나 온화한 여름과 길고 춥고 꽤 건조한 겨울을 보이는 아한대 기후(Dfc)를 보인다. 노르웨이 북부의 핀마르크비다 고원 내륙 깊숙한 곳에 위치한 카우토케이노는 일반적으로 북쪽 해안보다 여름 낮 기온이 더 따뜻하지만 겨울 기온은 훨씬 더 춥다.
북위 69°에 위치한 북극권 위에 위치한 카우토케이노는 백야와 극야를 경험한다. 여름에는 9주 동안 해가 지지 않고(5월 21일 ~ 7월 22일), 겨울에는 6주 동안 해가 뜨지 않는다(12월 1일 ~ 1월 11일).
카우토케이노는 연평균 기온으로 노르웨이 본토에서 가장 추운 마을이다. 역대 최저 기온인 -50.3°C는 1999년 1월에 기록되었다.[229][230] 역대 최고 기온인 30°C는 2018년 7월에 기록되었으며, 같은 달 평균 기온은 18°C, 평균 최고 기온은 23.6°C였다. 기록상 가장 추운 달은 노르웨이 대부분 지역과 마찬가지로 1966년 2월이었다. 그 달 카우토케이노는 평균 -25.8°C, 평균 최고 기온 -20.7°C, 평균 최저 기온 -32.1°C를 기록했고, 2월의 가장 따뜻한 최고 기온은 -8.9°C였다.
평균 강수량은 정상 기간에 따라 연간 360mm에서 424mm로 노르웨이에서 가장 낮은 강수량에 속한다.
여름 동안 낮 기온은 일반적으로 10°C와 20°C 사이이다. 이것은 사람들에게는 좋지만, 10,000개의 호수와 결합된 온도는 모기에게는 천국을 만든다. 결과적으로 사람과 순록은 여름에 해안으로 도망가는 경향이 있다. 봄의 마지막 밤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평균 날짜(최저 0°C 이하)는 5월 31일[198]이고 가을의 첫 번째 서리 평균 날짜는 8월 19일[199]로 평균 무상 기간은 79일(1981-2010년 평균)이다.
겨울은 보통 10월 중순부터 4월까지 지속되지만, 혹독한 겨울은 12월~2월에만 해당한다. 혹독한 겨울 동안 기온은 -40°C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
구오다게아이누/카우토케이노는 핀란드와 접경하며, 군 남부에 위치해 있어 매우 흥미로운 조류 생태를 보인다. 이 지역에는 사실상 수천 개의 호수가 있으며, 이러한 호수와 알타엘바 수계가 결합하여 다양한 습지 종의 서식지를 제공한다. 큰고니를 가끔 발견할 수 있으며, 붉은발도요 또한 드물지 않게 관찰된다.
7. 교통
가장 가까운 공항은 알타 공항으로, 카우토케이노에서 약 140km 떨어져 있으며, 에논테키외 공항은 카우토케이노에서 약 90km 떨어져 있다. 카우토케이노 공항이 마을에 있지만, 상업적 운항은 없다. 유럽 고속도로 E45가 카우토케이노를 지나가며, 핀마르크 서부와 스칸디나비아반도 남부 사이의 가장 짧고 빠른 경로의 일부이다.
8. 인구
구오브다게아이드누/카우토케이노 마을에는 자치구 인구 3,000명 중 약 1,300명이 거주하고 있다. 마제 마을에는 약 400명이 살고 있으며, 나머지 인구는 이 지역에 흩어져 있는 14개의 작은 마을에 거주한다. 지난 10년 동안 인구는 약 3% 감소했다.
구오브다게아이드누/카우토케이노는 핀마르크주 및 노르웨이 전체와 다른 인구 통계를 보인다. 인구의 50% 이상이 30세 미만이며, 66세 이상 인구는 전국 평균의 절반 수준이다. 남성 100명당 여성은 86명이다.[204] 최근 카우토케이노는 높은 실업률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2006/2007년에는 실업률이 10%로 정점을 찍었다.[205]
2000년 사미어 위원회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96%가 사미어를 사용한다.[206]
9. 마을
마제(마시)는 카우토케이노에서 가장 큰 마을이다. 마제에는 학교와 마시 교회가 있다. 현재 교회는 1965년에 나무로 지어졌으며 150석 규모이다. 최초의 예배당은 17세기에 지어졌고, 두 번째 예배당은 토마스 폰 베스텐에 의해 1721년에 지어졌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에 불탔다. 1970년대 후반과 80년대 초, 수력 발전소 댐 건설로 마을이 침수될 위기에 처했을 때 주요 정치적 논란의 중심지가 되었다.
라흐폴루오팔은 라흐포야브리 호수의 남쪽 끝, 카우토케이노 북동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학교, 라흐폴루오팔 예배당, 산장이 있다. 예배당은 1967년에 지어졌으며 70석 규모이다.
시흐차야브리는 카우토케이노 마을 남동쪽에 위치한다. 노르웨이 기상 연구소의 기상 관측소가 있으며, 노르웨이에서 가장 낮은 기온을 기록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아브지는 카우토케이노에서 10km 동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구오다게아이누 사미 반란 당시 반란군을 체포한 사미족 그룹이 이곳에서 조직되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마을들이 있다.
- 시에베: 카우토케이노 남쪽에 위치한다.
- 미에론: 카우토케이노 북쪽에 위치한다. 캐나다로 가서 이누이트에게 순록 사육에 대해 가르친 많은 사미족이 이 마을 출신이다.
- 스토르네스: 카우토케이노 북쪽에 위치한다. 나란아스(Naranas)로 판매되는 독특한 녹색 석영암이 있는 슬레이트 채석장이 있다.
- 슈오슈야브리: 카라쇼크와의 경계 근처, 카우토케이노 북동쪽에 위치하며, 예배당과 산장이 있다. 예배당은 1968년에 지어졌으며 75석 규모이다.
- 추노보피: 카우토케이노에서 11km 서쪽에 위치하며, 몇 채의 집과 '마담 봉고의 산장'이라고 불리는 산장이 있다.
- 수올루오프미: 알타와의 경계 근처, 카우토케이노 북쪽에 위치하며, 산장이 있고 기상 관측에 사용된다.
- 갈라니투: 카우토케이노 남서쪽에 위치하며, 산장이 있다.
- 아이데야브리: 핀란드 국경과 가까운 카우토케이노 남쪽에 위치한다.
- 아크소무오트키: 카우토케이노 남쪽에 위치한다.
- 소아테피엘브마: 카우토케이노에서 약 10km 서쪽에 위치한다.

10. 기관 및 미디어
베이바스 사미 극장, 사미 요아트카스쿨라 야 보조달로스쿨라(사미 고등학교 및 순록 사육 학교), 사미 대학교, 북유럽 사미 연구소 등 여러 사미 기관이 카우토케이노에 위치해 있다. 원주민 권리 자원 센터, 국제 순록 사육 센터 등 국제적인 기관도 있다. 사미어 신문인 아브비르가 발행된다.[7]
11. 문화 행사
카우토케이노는 오늘날 북부 사미족의 문화 중심지이며, 여러 사미족 문화 행사를 개최한다. 가장 큰 행사는 사미 부활절 축제이다. 부활절은 전통적으로 사미족이 결혼식과 견신례를 기념하기 위해 모이는 시기였다. 오늘날에는 요이킹 콘서트, 사미족 연극 공연, 순록 경주, 스노모빌 경주, 얼음 낚시 대회, 파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사미족 버전인 사미 그랑프리 (최고의 노래와 요이킹을 선정)를 통해 사미 문화를 기념한다.[207] 부활절 기간에는 눈으로 만든 야외 영화관으로 유명한 사미 영화제도 열린다.[207]
6월에는 연례 구오브다게아이드누-카우토케이노 걷기/자전거 타기가 열리며, 사미족은 몇 킬로미터를 걷거나 두 배 거리를 자전거를 타기 위해 구오브다게아이드누-카우토케이노로 돌아온다.
8월에는 흰 물고기 축제와 가을 축제가 열린다. 가을 축제는 콘서트가 열리는 주말 파티이지만, 얼지 않은 강에서 스노모빌 건너뛰기 경주도 포함된다. 라이더가 너무 느리게 가거나 급격하게 회전하면 스노모빌이 가라앉는다.
라플란드 북부의 문화 중심지로 여겨지는 카우토케이노에서는 사미족의 전통 행사로도 유명하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사미 이스터 페스티벌"로, 사미족은 결혼식과 견신례를 거행하며 이날을 축하한다.[224]。 오늘날 사미 문화는 요이크 콘서트, 사미 극장의 쇼, 순록 경주[225], 스노모빌 레이스, 얼음낚시대회, 사미 멜로디 그랑프리(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사미 버전) 등으로 유명하다. 매년 부활절 시기에 열리는 "사미 영화제"의 행사장은 눈으로 만들어진 특설 야외 극장이다.[226]。
8월에는 "화이트 피쉬 페스티벌"과 "오텀 페스티벌"이 열린다. 후자는 콘서트가 중심이지만, 얼지 않은 강 위에서의 스노모빌 레이스도 있다. 물을 가르듯이 전속력으로 강을 건너지 않으면 스노모빌은 순식간에 가라앉는다.
12. 저명한 출신 인물
- 아슬라크 헤타 (1824–1854): 카우토케이노 봉기라고 불리는 구오다게아이누에서의 사미족 반란 지도자[196]
- 몬스 솜비 (1825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 1854년): 사미족 폭동 지도자[196]
- 엘렌 아슬락스다테르 스쿰 (1827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 1895년): 1852년 카우토케이노 봉기에 참여한 노르웨이 사미 순록 사육자[196]
- 라스 헤타 (1834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 1896년): 노르웨이 사미 순록 사육자, 죄수, 목각가, 성경 번역가[196]
- 요한 투리 (1854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 1936년 사망): 사미어로 세속적인 작품을 출판한 최초의 사미족 작가[196]
- 에델 헤타 에릭센 (1921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 2023년 사망): 교사이자 정치인[196]
- 라일라 매트슨 마가 (1942년 출생): 남부 사미족 교사, 아동 작가, 사전 편찬자로 카우토케이노에 거주[196]
- 올레 헨릭 마가 (1947년 출생): 사미족 언어학자, 교수이자 정치인으로 노르웨이 사미 의회 초대 의장이자 유엔 원주민 문제 영구 포럼 의장 역임[196]

- 엘렌 잉가 O. 헤타 (1953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 2023년 사망): 노르웨이 사미족 교장 및 정치인[196]
- 베릿 마리 에이라 (1968년 출생): 노르웨이 사미족 순록 소유주이자 카우토케이노 자치구에서 활동하는 정치인[196]
- 운니 투레티니 (1972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작가, 변호사, 시민 운동가, 국제 연사이자 ''고독한 늑대 살인범의 미스터리: 안데르스 베링 브레이비크와 눈앞의 테러 위협''의 저자[208]
- 바르브로-릴 헤타-야콥센 (1972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의사이자 노르웨이 정치인[196]

- 잉거 엘린 우치 (1975년 출생): 노르웨이-사미족 정치인이자 배우로 카우토케이노에서 성장하여 알타에 거주[196]
- 라일라 수잔 바르스 (1976년 라호폴로팔 출생): 노르웨이-사미족 변호사이자 전 정치인, 학자이며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최초의 사미족 여성, 유엔 원주민 문제 영구 포럼 전문가 위원[196]
- 아이로 가우프 (1944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 2014년 사망): 사미족 극장 베이바시 사미 극장 설립에 참여한 사미족 작가[196]
- 닐스 가우프 (1955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사미족 영화 감독이자 영화 ''패스파인더''로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인물[209]

- 엘렌 마리 바르스 (1957년 라흐폴루오팔 출생): 노르웨이 사미족 작가[196]
- 마티스 헤타 (1959년 마시 출생):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80에서 노르웨이를 대표한 노르웨이 사미족 가수[196]
- 잉고르 안테 아이로 가우프 (1960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사미족 배우, 작곡가, 민속 음악가[196]
- 요한 사라 (1963년 알타 출생): 사미족 음악가, 작곡가, 프로듀서, 교사, 편곡가, 배우[196]
- 로저 루드비그센 (1965년 알타 출생): 카우토케이노 출신 사미족 기타리스트, 타악기 연주자, 작곡가[196]
- 솔라우그 사르곤 (1965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노르웨이 사미족 시인 겸 아동 보호 교육자[196]
- 니코 발케아패 (1968년 핀란드 에논테키외 출생): 사미족 음악가, 요이크 가수(사미족 민요 가수)이자 2004년 노르웨이 스펠레만스프리센 수상자(카우토케이노 거주)[196]
- 라우드나 카리타 에이라 (1970년 출생): 카우토케이노에 거주하는 노르웨이 및 사미족 극작가 및 작가[196]
- 사라 마르그레테 오스칼 (1970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노르웨이 사미족 작가, 배우, 장인, 감독, 영화 프로듀서[210]
- 마레트 안네 사라 (1983년 출생): 카우토케이노에서 거주하며 활동하는 사미족 예술가이자 작가[196]
- 프레드 불요 (1988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사미족 래퍼이자 슈퍼 그룹 KEiiNO의 멤버[196]
- 호바르 클레메트센 (1979년 카우토케이노 출생): 노르딕 복합 선수로, FIS 노르딕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196]

참조
[1]
웹사이트
Høgaste fjelltopp i kvar kommune
https://www.kartverk[...]
Kartverket
2024-01-16
[2]
웹사이트
Table: 06913: Population 1 January and population changes during the calendar year (M)
https://www.ssb.no/e[...]
[3]
웹사이트
09280: Area of land and fresh water (km²) (M)
https://www.ssb.no/e[...]
[4]
웹사이트
Historisk oversikt over endringer i kommune- og fylkesinndelingen
http://www.ssb.no/em[...]
Statistisk sentralbyrå
2013-04-05
[5]
간행물
Troms og Finnmark
https://snl.no/Troms[...]
Kunnskapsforlaget
2019-12-26
[6]
웹사이트
Fylkesinndelingen fra 2024
https://www.regjerin[...]
Regjeringen.no
2022-07-05
[7]
웹사이트
Ot.prp. nr. 111 (2001-2002)
http://www.regjering[...]
Regjeringen.no
2007-04-23
[8]
웹사이트
Endring av skrivemåten for tospråklige kommuner. Endring av skrivemåten for tospråklige kommunenavn, Guovdageaidnu-Kautokeino
http://www.lovdata.n[...]
2007-04-25
[9]
웹사이트
Stadnamn og rettskriving
https://www.kartverk[...]
Kartverket
2023-11-19
[10]
웹사이트
Civic heraldry of Norway - Norske Kommunevåpen
https://www.heraldry[...]
Heraldry of the World
2023-01-21
[11]
웹사이트
Kautokeino, Finmark
https://www.crwflags[...]
2023-01-21
[12]
웹사이트
Godkjenning av våpen og flagg
https://lovdata.no/d[...]
Norges kommunal- og arbeidsdepartementet
1987-09-04
[13]
논문
Deglaciation of Fennoscandia
Elseiver
[14]
논문
Gáidnomanjávri Sikringsundersøkelse av aktivitetsområder fra steinalder ved Kautokeino kirkested
https://uit.no/Conte[...]
2022-08-29
[15]
논문
Juntavadda Undersøkelse av sein-mesolittiske aktivitetsområder i Kautokeino k./Guovdageaidnu s.
https://uit.no/Conte[...]
2022-08-28
[16]
웹사이트
Juntavadda og Assebakte : to utgravninger på Finnmarksvidda -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nb[...]
2022-08-28
[17]
논문
Hunters, herders and hearths: interpreting new results from hearth row sites in Pasvik, Arctic Norway
https://septentrio.u[...]
2022-08-28
[18]
웹사이트
Noregs grenser: det historiske målebord - Norgeshistorie
https://www.norgeshi[...]
2022-08-29
[19]
뉴스
NSR og befolkningen i Finnmark
https://www.sagat.no[...]
Ságat
2023-03-27
[20]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2-08-29
[21]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2-08-29
[22]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2-08-29
[23]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2-08-29
[24]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2-08-29
[25]
웹사이트
About the museum
https://rdm.no/en/ka[...]
2022-08-29
[26]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2-08-29
[27]
서적
Slekter i Indre Finnmark : de eldste generasjoner (1. opplag utg.).
Alf Strmsdat
[28]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2-08-29
[29]
서적
Samebygder på Finnmarksvidda
Hætta, Odd Mathis
[30]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2-08-29
[31]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32]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33]
웹사이트
Kuriosetet ved HiST
http://hit.hist.no/a[...]
[34]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35]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36]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37]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38]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39]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40]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41]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42]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43]
웹사이트
Norske pionerer i Alaska -
https://polarhistori[...]
2024-03-15
[44]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45]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46]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47]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48]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4-30
[49]
웹사이트
Samer, rein og reindrift i Newfoundland {{!}} UiT
https://uit.no/nyhet[...]
2024-03-15
[50]
간행물
Vulge Newfoundlandi Boazobargin
[51]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4-30
[52]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4-30
[53]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4-30
[54]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4-30
[55]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4-30
[56]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4-30
[57]
웹사이트
Isolerte samfunn? Spanskesyken i Kautokeino og Karasjok (1918-20) Masteroppgave i historie ved lektorutdanningen 8-13, HIS-3980, mai 2021
https://munin.uit.no[...]
2023-05-04
[58]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59]
간행물
Baffinsullui bálkáhuvvon oahpahit inuihtaideboazodoalu 1921-1923
[60]
서적
Landet Bakom
Bondens Forlag
[61]
웹사이트
Tonje Blomseth vurderte å flytte til Canada for å overta 4500 rein
https://www.nrk.no/s[...]
2024-03-15
[62]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63]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4-03-15
[64]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Arctic Moses' {{!}} Viking Fest
https://www.kitsapda[...]
2024-03-15
[65]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66]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67]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2-08-29
[68]
웹사이트
Fangeleirer i Karasjok
https://rdm.no/no/fa[...]
2022-08-29
[69]
서적
Nordfronten Hitlers skjebneområde
Gyldendal
[70]
웹사이트
Junkers 52/3m Kautokeino
https://flyvrak.info[...]
2022-08-29
[71]
서적
Samebygder på Finnmarksvidda 2
Odd Mathis Hætta
[72]
서적
Lyngenlinjen Hitlers siste skanse i Norge 1945
Ares Forlag
[73]
웹사이트
Gebrirgsjäger
https://www.lexikon-[...]
2022-08-29
[74]
웹사이트
Gebirgsjäger-Regiment 139
http://www.ordersofb[...]
2022-08-29
[75]
서적
Landet de brente: tvangsevakuering av Finnmark og Nord-Troms høsten 1944.
Tiden
[76]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2-08-29
[77]
웹사이트
Om krigsminner – Kautokeino historielaget
https://www.ifinnmar[...]
2022-08-29
[78]
간행물
Muitalusat ja dáhpáhusat Guovdageainnus 13 Kautokeino 1944-45. Da sameland brant
[79]
웹사이트
Bombekastergranater funnet i Kautokeino
https://glr.no/nyhet[...]
2022-08-29
[80]
서적
Landet de brente: tvangsevakueringen av Finnmark og Nord-Troms høsten 1944
Tiden
[81]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2-08-29
[82]
간행물
Evakueringsvinteren 1944-45
[83]
서적
Fortiet fortid Tragedien Norge aldri forsto.
Gjenreisningsmuseet for Finnmark og Nord-Troms
[84]
서적
Brent jord, 1944-1945 : heltene, ofrene, de skyldige.
Gyldendal
[85]
서적
Samebygder på Finnmarksvidda
Odd Mathis Hætta
[86]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87]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88]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89]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90]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91]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92]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93]
웹사이트
Priskalkulator
https://www.ssb.no/k[...]
2023-05-04
[94]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95]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96]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97]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98]
웹사이트
Den eneste i sitt slag
http://skuvla.info/s[...]
2023-05-04
[99]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00]
서적
Døden på Kola
Gyldendal
[101]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02]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03]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04]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05]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06]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07]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08]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09]
웹사이트
Juhls Silver Gallery As
https://www.juhls.no[...]
2023-05-04
[110]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11]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12]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13]
간행물
Tuberkuloseepidemien i Guovdageaidnu – Kautokeino 1960
https://tidsskriftet[...]
2010-12-16
[114]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15]
웹사이트
"06913: Endringer i kommuner, fylker og hele landets befolkning (K) 1951 - 2023. Statistikkbanken"
https://www.ssb.no/s[...]
2023-05-04
[116]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17]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18]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19]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20]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21]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22]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5
[123]
웹사이트
Historiske værdata for Guovdageaidnu som graf - August 1967
https://www.yr.no/nb[...]
2023-05-05
[124]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25]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26]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27]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28]
문서
Bidjovagge
https://snl.no/Bidjo[...]
2021-03-21
[129]
웹사이트
Tale til åpning av samisk påskefetival i Kautokeino - Sametinget
https://sametinget.n[...]
2023-05-04
[130]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31]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32]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6
[133]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34]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35]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36]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37]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38]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39]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40]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41]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42]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43]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44]
웹사이트
Mineralressurser
https://geo.ngu.no/k[...]
2023-05-04
[145]
웹사이트
Mineralressurser
https://geo.ngu.no/k[...]
2023-05-04
[146]
웹사이트
06913: Endringer i kommuner, fylker og hele landets befolkning (K) 1951 - 2023. Statistikkbanken
https://www.ssb.no/s[...]
2023-05-04
[147]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48]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49]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50]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51]
웹사이트
Andejakten (Lodden) - Guovdageainnu suohkan
https://www.guovdage[...]
2023-05-04
[152]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53]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54]
웹사이트
06913: Endringer i kommuner, fylker og hele landets befolkning (K) 1951 - 2023. Statistikkbanken
https://www.ssb.no/s[...]
2023-05-04
[155]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56]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57]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58]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59]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60]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61]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62]
웹사이트
Evakuert fra brennende hotell
https://www.nrk.no/t[...]
2003-07-15
[163]
웹사이트
06913: Endringer i kommuner, fylker og hele landets befolkning (K) 1951 - 2023. Statistikkbanken
https://www.ssb.no/s[...]
2023-05-04
[164]
웹사이트
Samisk Vitenskapsbygg - Diehtosiida
https://www.bygg.no/[...]
2009-06-19
[165]
웹사이트
Thon Hotel Kautokeino
https://www.bygg.no/[...]
2008-12-27
[166]
웹사이트
11 nye hotell i Norge i år: Hotellboom-året
https://www.vg.no/i/[...]
2008-12-27
[167]
웹사이트
Flytter inn i nytt vitenskapsbygg
https://www.nrk.no/s[...]
2009-04-17
[168]
웹사이트
Kautokeino sier nei til gruve
https://www.nrk.no/s[...]
2013-12-16
[169]
뉴스
Flytter Sápmi Pride til Kautokeino
https://www.nrk.no/s[...]
2018-07-03
[170]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2023-05-04
[171]
웹사이트
Samisk videregående skole og reindriftsskole Kautokeino
https://www.nettavis[...]
2023-05-04
[172]
웹사이트
Statsbygg
https://www.statsbyg[...]
2023-05-04
[173]
웹사이트
Den samiske kulturarven
http://www.kongehuse[...]
2023-05-04
[174]
웹사이트
Tredobler kvoten for vårjakt på ender
https://www.regjerin[...]
2023-04-04
[175]
웹사이트
Swedish forces exercise in northern Norway as the country officially joins NATO
https://thebarentsob[...]
2024-03-14
[176]
백과사전
kommunestyre
https://snl.no/kommu[...]
Kunnskapsforlaget
2022-09-20
[177]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 2023 - Finnmark Finnmárku
https://valgresultat[...]
Valgdirektoratet
2024-01-04
[178]
웹사이트
Tall for Norge: Kommunestyrevalg 2019 - Troms og Finnmark
https://valgresultat[...]
Valg Direktoratet
2019-10-20
[179]
웹사이트
Table: 04813: Members of the local councils, by party/electoral list at the Municipal Council election (M)
https://www.ssb.no/e[...]
Statistics Norway
2019-10-22
[180]
웹사이트
Tall for Norge: Kommunestyrevalg 2011 - Finnmark
https://valgresultat[...]
Valg Direktoratet
2019-10-21
[181]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et 1995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96
[182]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et 1991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93
[183]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et 1987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88
[184]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et 1983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84
[185]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et 1979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79
[186]
웹사이트
Kommunevalgene 1975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77
[187]
웹사이트
Kommunevalgene 1972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73
[188]
웹사이트
Kommunevalgene 1967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67
[189]
웹사이트
Kommunevalgene 1963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64
[190]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59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60
[191]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55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57
[192]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51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52
[193]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47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48
[194]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45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47
[195]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37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38
[196]
웹사이트
Ordførerhistorikk
https://www.guovdage[...]
2018-05-24
[197]
뉴스
Anders S. Buljo blir ordfører i Kautokeino
https://www.nrk.no/t[...]
2023-10-03
[198]
웹사이트
Siste frostnatt om våren
https://www.yr.no/ar[...]
2012-05-04
[199]
웹사이트
Første frostnatt
https://www.yr.no/ar[...]
2013-09-25
[200]
웹사이트
Last 13 months
https://www.yr.no/en[...]
Norwegian Meteorological Institute
2021-02-26
[201]
웹사이트
NOAA WMO normals Norway 1991-2020
https://www.nodc.noa[...]
[202]
웹사이트
Météo climat stats for Kautokeino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7-03-24
[203]
웹사이트
Météo climat stats Records for Kautokeino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7-03-24
[204]
웹사이트
Kautokeino kommune
http://www.kautokein[...]
2004-10-31
[205]
웹사이트
Finnmarkstatistikken: Yrkesdeltaking 2006
http://www.fifo.no/f[...]
[206]
간행물
Undersøkelse av bruken av samisk språk
https://sametinget.n[...]
2000
[207]
뉴스
Drive-in cinema is Norway's coolest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6-04
[208]
웹사이트
The Writing Life: 10 Questions for Unni Turrettini
https://medium.com/t[...]
2017-03-07
[209]
웹사이트
https://www.imdb.com[...]
2020-08-16
[210]
웹사이트
https://www.imdb.com[...]
2020-08-16
[211]
웹사이트
09280: Areal av land og ferskvatn (km²) (K) 2007 - 2024
https://www.ssb.no/s[...]
Statistisk sentralbyrå
2024-07-16
[212]
웹사이트
07459: Alders- og kjønnsfordeling i kommuner, fylker og hele landets befolkning (K) 1986 - 2024
https://www.ssb.no/s[...]
Statistisk sentralbyrå
2024-07-16
[213]
웹사이트
Stadnamn og rettskriving
https://www.kartverk[...]
Kartverket
2018-07-13
[214]
간행물
노르웨이 카우토케이노
古今書院
1997-01
[215]
웹사이트
Stadnamn
https://www.kartverk[...]
Kartverket [지도 작성]
2022-01-21
[216]
웹사이트
Table: 06913: Population 1 January and population changes during the calendar year (M) [1月1日時点の人口と暦年中の増減]
https://www.ssb.no/e[...]
2022-11-21
[217]
웹사이트
09280: Area of land and fresh water (km²) (M) [陸地面積と水域面積]
https://www.ssb.no/e[...]
2022-11-21
[218]
웹사이트
Kautokeino kommune
http://www.kautokein[...]
2011-11-26
[219]
웹사이트
Finnmarkstatistikken: Yrkesdeltaking 2006
http://www.fifo.no/f[...]
2011-11-26
[220]
웹사이트
Ot.prp. nr. 111 (2001-2002)
http://www.regjering[...]
Regjeringen.no
2011-11-26
[221]
웹사이트
Endring av skrivemåten for tospråklige kommuner. Endring av skrivemåten for tospråklige kommunenavn, Guovdageaidnu-Kautokeino
http://www.lovdata.n[...]
2011-11-26
[222]
웹사이트
Kommunevåpen
http://fotw.us/flags[...]
Flags of the World
2011-11-26
[223]
웹사이트
Kautokeino kommune
http://www.kautokein[...]
2004-10-31
[224]
서적
세계のお祭り百科 : ビジュアル版
柊風舎
2015
[225]
서적
세계편 1-3월
大日本図書
[226]
뉴스
Drive-in cinema is Norway's coolest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6-04
[227]
웹인용
Table: 06913: Population 1 January and population changes during the calendar year (M)
https://www.ssb.no/e[...]
2018-12-10
[228]
웹인용
09280: Area of land and fresh water (km2) (M)
https://www.ssb.no/e[...]
2018-12-10
[229]
웹인용
Météo climat stats for Kautokeino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7-03-24
[230]
웹인용
Météo climat stats Records for Kautokeino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7-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