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 육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냐 육군은 케냐의 육군으로, 19세기 말 영국이 동아프리카에서 노예 무역을 폐지하고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창설한 영국 육군이 그 기원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 병력이 대규모로 확장되었으며,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 소속 케냐 식민지 원주민 병사들은 동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버마 등지에서 활약했다. 현재 케냐 육군은 동부사령부와 서부사령부로 나뉘어 운영되며, 다양한 부대와 훈련 기관을 갖추고 있다. 주요 장비로는 전차, 장갑차, 자주포, 견인포, 방공포, 헬리콥터, 무인 항공기 등이 있으며, 개인 화기 또한 여러 종류를 사용한다. 케냐 육군은 유엔 평화 유지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으며, 2024년 3월 데이비드 키마이요 체므와이나 타루스 중장이 현재 사령관으로 재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케냐 육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Jeshi la Nchi Kavu |
표어 | "Ngao Ya Taifa" (국가의 방패) |
창설일 | 1964년 |
본부 | 워터웍스 캠프, 헐링엄, 나이로비, 케냐 |
웹사이트 | 케냐 육군 웹사이트 |
![]() | |
지휘부 | |
최고 사령관 | 윌리엄 루토 대통령 |
케냐 육군 사령관 | 데이비드 키마이요 타루스 중장 |
관련 전투 및 작전 | |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 소속) 시프타 전쟁 (1963–67) 엘곤산 반란 (2005-08) 린다 은치 작전 (2011–12)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임무 (2012–현재) 키부 분쟁 |
소속 | |
상위 부대 | 케냐 방위군 |
2. 역사
오늘날 케냐 육군의 기원은 영국 왕립 육군의 아프리카 왕립 소총대대이다.[54] 19세기 말, 영국은 동아프리카에서 노예 무역 폐지를 적극적으로 시행했다. 이와 동시에 다른 유럽 국가들도 아프리카에서 세력권을 확장하고 있었다. 영국은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대영 동아프리카 회사를 설립했고, 이익이 확대됨에 따라 이를 보호할 더 강력한 군대가 필요해졌다. 그 결과 케냐에 최초의 영국 육군이 창설되었다.
1873년 6월, 잔지바르 술탄국의 바르가시 빈 사이드 술탄은 영토 내 노예 무역 폐지를 위한 최종 조약에 서명했다.[55] 영국 왕립 해군은 이 조약의 시행을 담당했고, 동인도 사령관 아서 커밍 제독이 3주 만에 잔지바르에 도착했다.[55] 1877년, 영국 해군 장교 로이드 매튜 중위는 HMS 런던에서 복무하며 노예 무역에 맞서기 위해 300명의 잔지바르인 부대를 조직했다. 1878년, 매튜 중위는 술탄의 명을 받아 신설 부대를 지휘하는 준장으로 임명되었다. 1880년까지 부대는 1300명으로 증가했고, 영국 정부가 기증한 스나이더 소총으로 무장했다.
1888년 9월 8일, 대영 동아프리카 회사는 왕실 칙허장을 받고 영국령 동아프리카 관리 책임을 맡았다. 1893년 인도 병력과의 3년 계약이 종료되었고, 회사는 우간다와 주발란드를 포기해야 할 정도의 재정 문제에 직면하여 해안 통제력을 상실했다. 아서 하딩 당시 잔지바르 주재 영국 영사는 외무부에 회사로부터 동아프리카를 인수할 의사를 전달했고, 영국 정부는 이를 수락했다. 1895년 7월 1일, 회사가 관리하던 모든 지역에 영국 보호령이 선포되었고, 회사 군대는 해치 대위 지휘하에 재편성되었다.
1895년 8월, 영국 정부는 펀자브인 300명, 스와힐리족 300명, 수단인 100명, 그리고 다양한 민족 출신 병사 200명으로 구성된 군대 창설을 승인했다. 이 부대는 동아프리카 소총대로 명명되었고, 몸바사 (예수 요새)의 이전 대영 동아프리카 회사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케냐 주둔 영국 식민지 군대인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는 규모가 작았다.[4] 징병은 없었고, "무술 종족"으로 여겨지는 특정 민족(캄바족, 칼렌진족, 소말리족 등)에서 병사를 선발했다. 케냐 중부의 키쿠유족과 메루족은 거의 없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군 병력은 1943년까지 75,000명으로 증가했고, 성인 남성 10명 중 1명이 군 복무를 했다. 영국은 무술 종족 외 공동체로 모집을 확대하고, 높은 임금과 혜택(유니폼, 주택, 식량, 훈련, 승진)을 제공하여 병력을 충원했다.[4]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 소속 케냐 원주민 병사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이탈리아군, 마다가스카르 전투에서 비시 프랑스, 버마 전역에서 일본군과 싸웠다. 초기에는 제1, 제2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으로 배치되었고, 이후 제3, 제6 여단이 추가 편성되었다. 제11 아프리카 사단과 제12 아프리카 사단이 편성되어 동아프리카, 가나,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병력을 포함했다. 제11 사단은 1941년 11월, 제12 사단은 1943년 4월 해산되었다. 1943년 제11 (동아프리카) 사단이 편성되어 버마에서 전투를 벌였다. 두 개의 독립 보병 여단도 버마 복무를 위해 동아프리카에서 인도로 파견되었다.
2. 1. 영국 식민지 시대
오늘날 케냐 육군의 기원은 영국 왕립 육군의 아프리카 왕립 소총대대에서 시작되었다.[54] 19세기 말, 영국은 동아프리카에서 노예 무역 폐지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기 시작했다. 같은 시기에 다른 유럽 국가들도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었다. 영국은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대영 동아프리카 회사를 설립했다. 이러한 이익이 커짐에 따라, 이를 보호하기 위한 더 강력한 군대가 필요했고, 이에 따라 케냐에 최초의 영국 육군이 창설되었다.1873년 6월, 잔지바르 술탄국의 바르가시 빈 사이드 술탄은 자신의 영토 전체에서 노예 무역을 폐지하는 최종 조약에 서명했다.[55] 이 조약의 시행은 영국 왕립 해군의 임무가 되었고, 3주 만에 동인도 사령관 아서 커밍 제독이 잔지바르에 도착했다.[55] 1877년, 영국 해군 장교인 로이드 매튜 중위는 HMS 런던에서 복무하며 노예 무역에 맞서 싸우기 위해 300명의 잔지바르인으로 구성된 소규모 부대를 조직했다. 1878년, 매튜 중위는 술탄의 지시를 받아 새롭게 창설된 부대를 지휘하는 준장으로 임명되었다. 1880년까지 이 부대는 1300명으로 늘어났고, 이들은 모두 영국 정부가 술탄에게 기증한 스나이더 소총으로 무장했다.
1888년 9월 8일, 대영 동아프리카 회사는 왕실 칙허장을 받아 영국령 동아프리카를 왕령 식민지 형태로 관리할 책임을 맡았다. 1893년, 인도 병력과의 3년 계약이 종료되었다. 같은 시기에 회사는 우간다와 주발란드를 포기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재정 문제에 직면했고, 사실상 해안을 제대로 통제할 수 없었다. 당시 잔지바르 주재 영국 영사였던 아서 하딩 경은 외무부에 회사로부터 동아프리카를 인수할 의사를 밝혔다. 영국 정부는 이를 수락했다. 1895년 7월 1일, 회사가 이전에 관리하던 모든 지역에 영국 보호령이 선포되었다. 회사의 군대는 이후 해치 대위의 지휘 아래 재편성되었다.
1895년 8월, 영국 정부는 펀자브인 300명, 스와힐리족 300명, 수단인 100명, 그리고 이 지역의 다양한 민족 출신 병사 200명으로 구성된 군대의 창설을 승인했다. 이 부대는 동아프리카 소총대로 이름이 바뀌었고, 몸바사 (예수 요새)에 주둔했던 이전 대영 동아프리카 회사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케냐에 주둔했던 영국의 식민지 군대인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는 대체로 규모가 작았다.[4] 징병은 없었고, 군대는 특정 민족, 즉 "무술 종족"으로 여겨지는 집단에서 병사를 선발하는 매우 선별적인 방식을 취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무술 종족에는 캄바족, 칼렌진족, 그리고 가난한 지역 출신의 유목 및 반유목 민족인 소말리족이 포함되었다. 반면, 케냐 중부의 키쿠유족과 메루족은 군대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은 군 병력의 대규모 확장을 가져왔다. 전간기 1,000명 미만이던 군 병력은 1943년까지 75,000명으로 증가했다. 따라서 성인 남성 10명 중 1명이 군에서 복무했으며, 이는 임금 노동력의 약 20%를 차지했다. 유능하고 숙련된 남성에 대한 막대한 수요는 영국이 무술 종족으로 간주하지 않았던 공동체로 모집 풀을 확대함으로써 충족되었다. 또한, 군대는 민간 수준보다 높은 임금을 제공했다. 1941년에는 동아프리카 군사 노동 서비스와 동아프리카 육군 지원단에서 갓 훈련받은 이등병의 급여가 한 달에 17~60 실링이었던 반면, 비숙련 노동자의 민간 임금은 평균 8~12 실링이었다. 군대는 유니폼, 주택, 식량, 전문 훈련 및 승진과 같은 추가적인 혜택도 제공했다.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의 일원으로, 케냐 식민지의 원주민 병사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여러 작전에 참전했다. 그들은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이탈리아군과 싸웠고, 마다가스카르 전투에서 비시 프랑스와 싸웠으며, 버마 전역에서 일본군과 싸웠다. 처음에는 KAR이 제1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과 제2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으로 배치되었다. 제1 여단은 해안 방어를, 제2 여단은 내륙 방어를 담당했다. 1940년 7월 말까지 제3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과 제6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이 추가로 편성되었다. 처음에는 해안 사단과 북부 국경 지구 사단을 계획했지만, 대신 제11 아프리카 사단과 제12 아프리카 사단이 편성되었다.
두 사단에는 동아프리카, 가나 병력, 나이지리아 병력, 남아프리카 공화국 병력이 포함되었다. 나이지리아 여단은 두 개의 동아프리카 여단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 여단) 및 일부 남아프리카 공화국 병력과 함께 제11 아프리카 사단을 형성했다. 제12 아프리카 사단은 나이지리아 여단 대신 가나 여단으로 유사하게 편성되었다. 제11 아프리카 사단은 1941년 11월에 해산되었고, 제12 아프리카 사단은 1943년 4월에 해산되었다. 1943년에는 제11 (동아프리카) 사단이 편성되어 버마에서 전투를 벌였다. 또한, 두 개의 독립 보병 여단이 버마에서 복무하기 위해 동아프리카에서 인도로 파견되었다. 제22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은 제15 인도군단의 지휘하에 아라칸에서 복무했고, 제28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은 제4 군단의 지휘하에 복무하며 이라와디 강 도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 2. 독립 이후
영국이 19세기 말 동아프리카에서 노예 무역 폐지를 적극적으로 시행하면서 대영 동아프리카 회사를 설립하여 영국의 이익을 보호했다. 이 과정에서 더욱 강력한 군대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것이 케냐에 최초의 영국 육군이 창설되는 계기가 되었다.[2]1895년 8월, 영국 정부는 펀자브인, 스와힐리족, 수단인 등 다양한 민족 출신 병사들로 구성된 군대를 승인했다. 이 부대는 동아프리카 소총대로 개칭되었으며, 몸바사 (예수 요새)에 주둔했던 이전 대영 동아프리카 회사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케냐에 주둔했던 영국의 식민지 군대인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는 징병 없이 특정 민족, 즉 "무술 종족"으로 간주되는 집단에서 병사를 선발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무술 종족에는 캄바족, 칼렌진족, 소말리족 등이 포함되었지만, 케냐 중부의 키쿠유족과 메루족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군 병력은 1943년까지 75,000명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성인 남성 10명 중 1명이 군에서 복무하는 수준이었다. 영국은 무술 종족으로 간주하지 않았던 공동체로 모집 풀을 확대하고, 민간 수준보다 높은 임금과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하여 병력을 충원했다.[4]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의 일원으로 케냐 식민지의 원주민 병사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이탈리아군, 마다가스카르 전투에서 비시 프랑스, 버마 전역에서 일본군과 싸웠다. 처음에는 제1, 제2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으로 배치되었고, 이후 제3, 제6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이 추가 편성되었다. 제11 아프리카 사단과 제12 아프리카 사단이 편성되었으며, 이들은 동아프리카, 가나,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병력을 포함했다. 제11 아프리카 사단은 1941년 11월에, 제12 아프리카 사단은 1943년 4월에 해산되었다. 1943년에는 제11 (동아프리카) 사단이 편성되어 버마에서 전투를 벌였다. 또한, 두 개의 독립 보병 여단이 버마에서 복무하기 위해 동아프리카에서 인도로 파견되었다.
케냐 육군은 1950년대에 영국 장교의 지휘 하에 마우마우 반군과 싸웠으며, 조모 케냐타와 같이 독립으로의 평화로운 전환을 옹호하는 케냐 충성파 및 사람들의 편에 섰다.[5]
1964년 케냐 군사력 (부대 명명) 명령에 따라 3 대대 KAR, 5 대대 KAR, 11 대대 KAR 등 3개의 부속 훈련대, 본부 제70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 등이 케냐 독립 과정에서 신설된 케냐 육군에 넘겨졌다. 1964년 10월, 40명의 케냐군이 RAF 애빙던에서 공수 기본 훈련을 위해 영국으로 보내졌고,[6] 1965년 4월에는 약 200명의 군인이 1 독립 공수 중대를 구성하기 위해 훈련을 받았다.
1977년, 케냐는 영국 비커스 방위 시스템에 비커스 주력 전차 마크 3 주력 전차 38대와 장갑 복구 차량 3대를 주문하여 1980년까지 인도받아 초기 전차 대대를 구성했다. 1980년 12월에는 추가로 38대의 마크 3와 4대의 ARV를 주문하여 1982년 12월까지 완료되었다.
2011년 케냐가 린다 니치 작전에서 소말리아를 침공한 후, 2012년에 6 여단이 발족되었다. 6 여단은 가리사 마을 외곽에 설치되었으며, 엠바카시의 17 케냐 라이플("원 세븐")도 이곳으로 이동했다. 여단의 다른 대대는 냐리 막사의 19 KR과 마리아카니 막사의 21 KR이었다.[7]
2021년 국제 전략 연구소는 31대의 Type-92 4륜 장갑 수송차와 105대의 남아프리카 푸마 M26-15 보호 정찰 차량이 운용 중이라고 밝혔다.[8]
2021년 5월 1일, ''더 네이션''은 제20 공수, 제30 특수부대 등에서 차출된 약 1,600명의 육군 병력이 MONUSCO(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복무하기 위해 파견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케냐 파견대는 남아프리카 병력을 대체하고 네팔 군인들과 함께 일할 예정이며, 대다수의 케냐 군인들이 MONUSCO의 일원이 될 것이다.[9]
3. 구조
케냐 육군은 다양한 편성과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편성과 서비스는 라넷에 본부를 둔 서부사령부(WestCom)와 엠바카시 주둔지에 본부를 둔 동부사령부(EastCom) 두 개의 작전사령부로 나뉜다.[56] 동부사령부는 1997년에 창설되었으며, 케냐 동부 지역을 외부 및 내부 위협으로부터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 지역에는 수도와 이전의 중부, 동부, 북동부 및 해안 지방이 포함된다. 서부사령부는 국가 서부 지역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고 있으며, 이전의 리프트밸리주, 서부 및 니안자주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수도와 주변 마차코스현, 키암부현 및 카지아도현의 수도권을 위한 나이로비 광역사령부를 설치하려는 계획이 있었다.[57] 이 개편으로 동부사령부는 가리사로 이전할 예정이었지만, 추진된 계획이 실행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2020년까지 국경 방어 사령부는 와지르에서 윌리엄 슈메 소장 지휘 아래 활동했다.[17] 2021년 7월, 슈메는 케냐 육군 부사령관이 되었고, 스티븐 오티에노 준장이 소장으로 진급하여 BSC의 사령관을 맡았다.[18]
4. 장비
케냐 육군은 개인 화기, 대전차 무기, 차량, 포병, 방공 장비 등 다양한 장비를 운용하여 작전 능력을 유지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개인 화기: 브라우닝 하이파워, 베레타 92, 글록 17, 글록 19, CZ75, 스털링 기관단총, 우지 기관단총, MP5, CZ 스콜피온 EVO 3, AKM, 자스타바 M70, Vz. 58, 56식 자동소총, M16 소총, M4 카빈, IWI 타보르, FN SCAR, FN FAL, G3, 리-엔필드, IWI 갈라츠, 브렌 경기관총, IWI 네게브, M1919, PKM, HK21, FN MAG, AA-52 기관총, M60 기관총, DShK, M2, M203, M79
- 대전차 무기: 칼 구스타프, MILAN, BGM-71 TOW
- 차량: 비커스 Mk.3, T-72AV
- 케냐 육군 포병 여단 예하 포병 전력: 제66 포병 대대, 제75 포병 대대 (방공), 제77 포병 대대, 제88 포병 대대, 포병 학교
- 방공: 케냐 육군 포병 여단 예하의 제75 포병 대대가 방공 임무를 수행
4. 1. 개인 화기
이름 | 그림 | 구경 | 종류 | 원산지 | 비고 |
---|---|---|---|---|---|
권총 | |||||
브라우닝 하이파워[32] | ![]() | 9×19mm | 반자동 권총 | Belgique|벨기에프랑스어 | |
베레타 92[32] | ![]() | 9×19mm | 반자동 권총 | Italia|이탈리아it | |
글록 17[32] | ![]() | 9×19mm | 반자동 권총 | Österreich|오스트리아de | |
글록 19[32] | ![]() | 9×19mm | 반자동 권총 | Österreich|오스트리아de | |
CZ75[32] | ![]() | 9×19mm | 반자동 권총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 | |
기관단총 | |||||
스털링 기관단총[32] | 9×19mm | 기관단총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
우지 기관단총[32] | ![]() | 9×19mm | 기관단총 | ישראל|이스라엘he | |
MP5[33] | ![]() | 9×19mm | 기관단총 | West Germany|서독de | |
CZ 스콜피온 EVO 3[34] | 9×19mm | 기관단총 | Česká republika|체코cs | ||
소총 | |||||
AKM[35] | ![]() | 7.62×39mm | 돌격소총 | 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 | |
자스타바 M70[32] | ![]() | 7.62×39mm | 돌격소총 | Jugoslavija|유고슬라비아sh | |
Vz. 58[32] | ![]() | 7.62×39mm | 돌격소총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 | |
56식 자동소총[32] | ![]() | 7.62×39mm | 돌격소총 | China|중국중국어 | |
M16 소총[36] | ![]() | 5.56×45mm | 돌격소총 | United States|미국영어 | |
M4 카빈[37] | ![]() | 5.56×45mm | 카빈 돌격소총 | United States|미국영어 | |
IWI 타보르[37] | ![]() | 5.56×45mm | 불펍 돌격소총 | ישראל|이스라엘he | |
FN SCAR[37] | -- | 7.62×51mm | 전투소총 | Belgique|벨기에프랑스어 | |
FN FAL[32] | ![]() | 7.62×51mm | 전투소총 | Belgique|벨기에프랑스어 | |
G3[32] | ![]() | 7.62×51mm | 전투소총 | West Germany|서독de | |
리-엔필드 | ![]() | .303 British | 볼트액션 소총 | British Empire|영국영어 | |
저격소총 | |||||
IWI 갈라츠[37] | ![]() | 5.56×45mm | 지정 사수 소총 | ישראל|이스라엘he | |
기관총 | |||||
브렌 경기관총[38] | ![]() | 7.62×51mm | 경기관총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
IWI 네게브[39] | ![]() | 5.56×45mm | 경기관총 | ישראל|이스라엘he | |
M1919[32] | ![]() | 7.62×51mm | 중기관총 | United States|미국영어 | |
PKM[32] | 7.62×54mmR | 다목적 기관총 | 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 | ||
HK21[32] | ![]() | 7.62×51mm | 다목적 기관총 | West Germany|서독de | |
FN MAG[32] | ![]() | 7.62×51mm | 다목적 기관총 | Belgique|벨기에프랑스어 | |
AA-52 기관총[32] | ![]() | 7.62×51mm | 다목적 기관총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
M60 기관총[32] | ![]() | 7.62×51mm | 다목적 기관총 | United States|미국영어 | |
DShK[40] | ![]() | 12.7×108mm | 중(重)기관총 | 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 | |
M2[32] | ![]() | .50 BMG | 중(重)기관총 | United States|미국영어 | |
유탄 발사기 | |||||
M203[32] | ![]() | 40×46mm SR | 유탄 발사기 | United States|미국영어 | |
M79[32] | ![]() | 40×46mm | 유탄 발사기 | United States|미국영어 |
4. 2. 대전차 무기
케냐 육군은 다음과 같은 대전차 무기를 운용하고 있다.이름 | 사진 | 종류 | 원산지 | 구경 | 비고 |
---|---|---|---|---|---|
칼 구스타프[41] | ![]() | 무반동총 | Carl Gustaf|칼 구스타프sv는 스웨덴에서 제작되었다. | 84mm | |
MILAN[41] | ![]() | 대전차 미사일 | 프랑스와 서독에서 공동 개발하였다. | 483기를 운용 중이다. | |
BGM-71 TOW[41] | ![]() | 대전차 미사일 | 미국에서 제작되었다. |
4. 3. 차량
이름 | 사진 | 형식 | 원산지 | 수량 | 상태 | 비고 |
---|---|---|---|---|---|---|
비커스 Mk.3 | ![]() | 주력 전차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78[42] | ||
T-72AV | ![]() | 주력 전차 | Soviet Union|소련ru | 110 | 2007년 우크라이나에서 T-72AV 77대 도입. 2009년 2월 33대가 추가 인도되어 총 110대가 되었을 수 있음. |
4. 4. 포병
- 케냐 육군 포병 여단
- * 제66 포병 대대
- * 제75 포병 대대 (방공)
- * 제77 포병 대대
- * 제88 포병 대대
- * 포병 학교
4. 5. 방공
케냐 육군 포병 여단 예하의 제75 포병 대대가 방공 임무를 수행한다.4. 6. 항공
주어진 원본 소스에서 '항공'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을 찾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은 빈칸으로 남겨둘 수밖에 없습니다.5. 계급
케냐 육군은 장교, 부사관 및 병으로 계급이 구성되어 있다. 장교는 파나르 AML-60/90, 앨비스 샐라딘, 쇼어랜드 S52, BOV M11, Daimler Ferret, BRDM-3 등을 운용하며, 부사관 및 병은 파나르 AML-60/90, 앨비스 샐라딘, 쇼어랜드 S52, UR-416, 파나르 M3, ACMAT 바스티온, WZ-551 등을 운용한다.
5. 1. 장교
이름 | 사진 | 유형 | 원산지 | 수량 | 비고 |
---|---|---|---|---|---|
파나르 AML-60/90 | 장갑차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72[41] | ||
앨비스 샐라딘 | 장갑차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0[43] | ||
쇼어랜드 S52 | ![]() | 장갑차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8[41] | |
BOV M11 | ![]() | 정찰차 | Serbia|세르비아sr | 20[43] | |
Daimler Ferret | 장갑차 정찰차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2[41] | ||
BRDM-3 | ![]() | 장갑차 정찰차 | Russia|러시아ru | 8[44] |
5. 2. 부사관 및 병
이름 | 사진 | 유형 | 원산지 | 수량 | 비고 |
---|---|---|---|---|---|
파나르 AML-60/90 | 장갑차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72[41] | ||
앨비스 샐라딘 | 장갑차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10[43] | ||
쇼어랜드 S52 | 장갑차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8[41] | ||
UR-416 | 장갑 수송차 | West Germany|서독de | 52[41] | ||
파나르 M3 | ![]() | 장갑 수송차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10[43] | |
ACMAT 바스티온 | ![]() | 장갑 수송차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12[41] | |
WZ-551 | ![]() | 장갑 수송차 | China|중국중국어 | 35[43] |
6. 국제 평화 유지 활동
케냐 육군은 1973년 유엔이 10월 전쟁 이후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를 분리하기 위한 UNEF II에 병력을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 처음으로 국제 평화 유지 활동 참여를 고려했다. 케냐는 요청에 동의했지만, 병력은 배치되지 않았다.[2]
케냐가 처음으로 평화 지원 작전에 참여한 것은 1979년 영연방이 로디지아(현재 짐바브웨)에 영연방 감시군에 병력을 제공해 달라고 요청했을 때였다. 영연방 감시군은 반군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해방군과 짐바브웨 인민 혁명군(ZIPRA) 병력의 도착 및 주둔을 감독했으며, 잭 문야오 대령 휘하의 케냐 육군 51명이 포함되었다.[10]
그 후 케냐 육군은 1982년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요청에 따라 차드 작전에 장교를 파견했고, 1989년에는 유엔 과도 지원단(UNTAG)에 군사 참관인과 보병 대대를 나미비아로 파견했다. 케냐는 유엔 작전에 군인과 민간 경찰을 파견하는 90개 국가 중 6위를 차지했다.[2][11]
1989년 이후 케냐는 다양한 임무에 군사 참관인, 참모 장교, 민간 경찰 감시병, 보병을 파견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유엔 및 아프리카 연합 임무에 사령관, 수석 군사 참관인 및 참모장이 파견되었다.
파견 임무 | 직책 | 비고 |
---|---|---|
유엔 라이베리아 옵서버 미션 (라이베리아) | 수석 군사 참관인 | |
유엔 라이베리아 미션 | 사령관 | 레오나드 응온디 소장이 2012년 12월 임명[12] |
모잠비크의 ONUMOZ | 수석 군사 참관인 | |
유엔 과도 지원단 (나미비아) | 부사령관 | 당시 다니엘 이스마엘 오판데 준장 임명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유엔 보호군 (UNPROFOR) | 수석 군사 참관인 | |
UNMOP (크로아티아) | 수석 군사 참관인 |
다양한 고위 인력이 소말리아에서 관련 전투 임무인 AMISOM에서도 복무했다.
현재까지 케냐의 유엔 평화 유지군은 아프리카, 중동, 발칸반도, 아시아의 16개 국가에서 복무했다. 임무 기간은 1년에서 8년까지 다양했다. 2011년 린다 은치 작전에서 소말리아 침공 이후 케냐 육군 병력은 알샤바브에 맞서 격렬한 전투에 참여했다. 2012년 AU 주도의 AMISOM에 통합된 케냐군은 소말리아에 투입되어 총 13년 동안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7. 케냐 육군 사령관
2024년 3월 9일, 데이비드 키마이요 체므와이나 타루스 중장이 케냐 육군 '''신임''' 사령관으로 취임했다.[13][14] 그는 현재 케냐 육군 사령관이다. 이전에는 케냐 육군 사령관인 피터 음보고 니지루 중장 휘하에서 케냐 육군 부사령관으로 복무했으며, 전 대통령 우후루 케냐타의 보좌관을 역임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Protected Areas Order
http://extwprlegs1.f[...]
2021-01-12
[2]
웹사이트
Ministry of Defence – Kenya
http://www.mod.go.ke[...]
2017-08-13
[3]
웹사이트
Early History of Zanzibar
https://www.pdavis.n[...]
2021-01
[4]
학술저널
Towards an Objective Account of Nutrition and Health in Colonial Kenya: A Study of Stature in African Army Recruits and Civilians, 1880–1980
https://www.jstor.or[...]
2009-09
[5]
서적
Britain, Kenya and the cold war: imperial defence, colonial security and decolonisation
I.B. Tauris
2004
[6]
웹사이트
The Special Forces of Kenya's military
https://nation.afric[...]
2020-07-02
[7]
간행물
Modika Barracks: An Oasis in the Desert
Kenya Defence Forces
2019
[8]
문서
IISS Military Balance 2021
2021
[9]
웹사이트
Inside Kenya's plan to deploy military to the DR Congo
https://nation.afric[...]
2021-05-01
[10]
학술저널
Reflections from Rhodesia
1980-12
[11]
웹사이트
Peacekeeping Operations
http://www.un.int/ke[...]
2013-04-25
[12]
간행물
Africa Research Bulletin
2012-12
[13]
웹사이트
Kenya Army – Ministry of Defence – Kenya
https://mod.go.ke/ke[...]
[14]
Youtube
Swearing-in of the Kenya Defence Forces Vice Chief and Service Commanders, State House, Nairobi.
https://www.youtube.[...]
2024-03-08
[15]
웹사이트
Kenya Army History
https://www.globalse[...]
[16]
웹사이트
Raychelle-Omamo-Nairobi-Metropolitan-Command-Police-Security
https://nation.afric[...]
2022-02
[17]
웹사이트
COMMISSIONING OF THE WAJIR TRAUMA CENTER AND HEALTH FACILITY
https://www.facebook[...]
[18]
웹사이트
Uhuru names Francis Ogolla KDF vice chief in military changes
https://nation.afric[...]
2021-07-24
[19]
트윗
C’ Company of the 9th Battalion, Kenya Rifles (9KR) trounced all 2 Brigade Company's to emerge winners
2021-01-01
[20]
웹사이트
New Kenya military bosses appointed
https://www.nation.c[...]
2020-07-03
[21]
웹사이트
Home
https://sonkonews.co[...]
[22]
웹사이트
Terror level in Northern Kenya currently very high
https://www.pd.co.ke[...]
2019-12-20
[23]
웹사이트
four retirements caused uhurus military changes
https://www.the-star[...]
2024-08
[24]
웹사이트
Ruto's first trooping of colour as Commander-in-Chief of KDF
https://nation.afric[...]
2022-12-12
[25]
간행물
Ngao ya Taifa
Kenya Army
2020
[26]
웹사이트
Kenya: After Meat, Kenyatta Set to Hand Over Choppers to Military
https://allafrica.co[...]
2020-09-25
[27]
간행물
Ngao ya Taifa
2019
[28]
뉴스
Africa | Pirates 'want $35m for tank ship'
http://news.bbc.co.u[...]
2008-09-27
[29]
웹사이트
Cargo prompts doubts on hijacked ship's destination
http://www.latimes.c[...]
2009-03-04
[30]
웹사이트
IN PICTURES: MILITARY ALL SET FOR 27 AUG – Daily Nation
http://www.nation.co[...]
2010-08-17
[31]
웹사이트
Sudan "arm-twisted govt" to get tanks
http://allafrica.com[...]
All Africa.com
2010-12-10
[32]
서적
Jane's Infantry Weapons 2009/2010
Jane's Information Group
2009-01-27
[33]
웹사이트
Germany's Unseen Hand in Kenya Crisis
http://www.africanex[...]
The African Executive
2008-02-06
[34]
웹사이트
CZ Skorpion Evo 3, Kenya police issued new select fire switch sophisticated guns to fight crime
https://dailyactive.[...]
2019-01-22
[35]
웹사이트
Al-Shabab gunmen remain holed up in Nairobi mall after deadly shooting
http://america.aljaz[...]
[36]
웹사이트
AR 15 (M16/M4)
https://salw-guide.b[...]
[37]
웹사이트
New-model African armies
http://www.janes.com[...]
Jane's
2017
[38]
웹사이트
Lance Corporal (LCPL) Seamus Conner, USMC, M249 Squad Automatic Weapon (SAW) GUNNER, Golf Company, Battalion Landing Team, 2nd Battalion, 2nd Marines (BLT 2/2), 24th Marine Expeditionary Unit (Special Operations Capable) (MEU SOC), fires the Bren Light Machine Gun (LMG) during a cross training portion of Exercise EDGED MALLET 2003 in Manda Bay, Kenya
https://catalog.arch[...]
National Archives
2002-12-09
[39]
웹사이트
Kenya Army's Negev light machine guns and Galil sniper rifles Delivered by Israel Weapon Industries (IWI) – Strategic Intelligence Service
http://intelligenceb[...]
2012-01-06
[40]
웹사이트
Kenyan Army
https://www.flickr.c[...]
flicker
2012-10-08
[41]
서적
The Military Balance
Taylor & Francis
2021
[42]
서적
The Military Balance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Strategic Studies
[43]
웹사이트
Trade Registers
http://armstrade.sip[...]
[44]
웹사이트
Кения получила из России партию бронемашин БРДМ-3 и вертолетов Ми-171
http://www.armstrade[...]
""
null
[45]
웹사이트
Turkish Hizir vehicles exported to East Africa
https://www.janes.co[...]
2020-08-11
[46]
웹사이트
KDF to buy 118 top military vehicles to fight al Shabaab
https://www.the-star[...]
[47]
웹사이트
US donates vehicles to Ethiopia, Kenya
https://www.defencew[...]
defenceWeb
2020-09-20
[48]
웹사이트
Trade Registers
https://armstrade.si[...]
[49]
뉴스
U.S. to Provide Kenya With Drones to Fight Militants
https://www.wsj.com/[...]
[50]
웹사이트
ScanEagle to be delivered to Cameroon, Kenya and Pakistan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
2015-10-01
[51]
웹사이트
KDF Ranks
https://mod.go.ke/kd[...]
Ministry of Defence - Kenya
[52]
웹사이트
KDF Ranks
https://mod.go.ke/kd[...]
Ministry of Defence - Kenya
[53]
웹인용
Protected Areas Order
http://extwprlegs1.f[...]
[54]
웹인용
Ministry of Defence – Kenya
http://www.mod.go.ke[...]
[55]
문서
Early History of Zanzibar
https://www.pdavis.n[...]
[56]
웹인용
Kenya Army History
https://www.globalse[...]
[57]
링크
nation.africa/kenya/news/Raychelle-Omamo-Nairobi-Metropolitan-Command-Police-Security/1056-2106769-view-asAMP-tjuhc1/index.htm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