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추아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추아족은 케추아어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으로, 페루, 볼리비아, 에콰도르 등 남아메리카 안데스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다양한 방언과 지역적 정체성을 가진다. 잉카 제국을 비롯한 여러 고대 문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969년 페루에서 케추아어가 공용어로 지정되기도 했다. 케추아족은 농업, 목축업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인 경제 체제를 유지하며, 토지 소유권 문제로 인한 갈등을 겪기도 했다. 전통 공예, 음식 문화가 발달했으며, 현대 의학에도 기여했다. 역사적으로 정치적 박해와 차별에 직면했으며, 종교적으로는 가톨릭과 토착 신앙이 혼합된 형태를 보인다. 투팍 아마루 2세, 오얀타 우말라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케추아족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메리카 - 태평양 동맹
태평양 동맹은 2011년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대통령들이 결성한 지역 경제 협력체로, 아시아를 지향하며 자유 무역 증진을 목표로 라틴 아메리카 GDP의 약 35%를 차지하는 경제 블록이다. - 남아메리카 - 안데스 공동체
안데스 공동체는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4개국이 회원국으로, 경제·정치 통합을 목표로 1969년 창설되어 관세 철폐, 공동 대외 관세 설정, 사법 및 입법 통합, 회원국 국민 간 자유로운 왕래 등을 추진하며 남아메리카 지역 통합에 기여하는 기구이다. - 아메리카 원주민 - 투팍 아마루 2세
투팍 아마루 2세는 페루 부왕령의 카시케로서 스페인 식민 지배에 저항하여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고, 그의 반란은 페루 독립 운동에 영향을 미치며 페루 사회와 문화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 - 아메리카 원주민 -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은 멕시코 치아파스 주에서 활동하는 원주민 무장단체로, 1994년 무장봉기를 통해 멕시코 정부의 불평등에 저항하며 토지 개혁과 자치권을 요구하고, 대안세계화 운동과 연계하여 비폭력적 저항과 정치적 운동을 지속하고 있다.
케추아족 | |
---|---|
기본 정보 | |
민족명 | 케추아족 (잉카족) |
현지어 명칭 (사람) | 루나 / 누나 |
현지어 명칭 (사람들) | 루나쿠나 / 누나쿠나 |
현지어 명칭 (언어) | 루나시미 / 누나시미 |
인구 | |
전체 인구 | 약 1,000만 ~ 1,100만 명 |
거주 지역 | 페루, 볼리비아, 에콰도르,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칠레 |
페루 | 6,692,900명 |
볼리비아 | 2,184,000명 |
에콰도르 | 1,592,000명 |
아르헨티나 | 68,100명 |
콜롬비아 | 55,000명 |
칠레 | 15,000명 |
![]() | |
언어 | |
사용 언어 | 케추아어, 스페인어 |
종교 | |
주요 종교 | 가톨릭교 |
소수 종교 | 복음주의, 전통, 여호와의 증인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아이마라족 |
2. 역사적, 사회정치적 배경
케추아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페루에 약 510만 명, 볼리비아에 180만 명, 에콰도르에 250만 명이다(Hornberger and King, 2001). Ethnologue(2006)에 따르면 칠레에 33,800명, 아르헨티나에 55,500명, 브라질에 수백 명이 있다. 페루, 볼리비아, 에콰도르에 흩어져 있는 이들 화자들 사이에는 공통된 정체성에 대한 감각이 거의 없다. 다양한 케추아 방언들은 경우에 따라 서로 너무 달라서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 케추아어는 잉카족뿐만 아니라 잉카 제국의 오랜 적들, 예를 들어 페루의 우앙카족(Wanka는 오늘날 우앙카요 지역에서 사용되는 케추아 방언)과 찬카족(찬카 방언은 아야쿠초)과 에콰도르의 카냐리족(Cañari)도 사용했다. 케추아어는 이들 중 일부, 예를 들어 잉카 제국의 쿠스코 이전의 우앙카족이 사용했으며, 다른 사람들, 특히 볼리비아와 에콰도르에서는 잉카 시대에 또는 그 이후에야 케추아어를 채택했다.
다양한 민족적 다양성과 언어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케추아족은 수많은 문화적 특징을 공유한다. 그들은 아이마라족 또는 중앙 안데스의 다른 원주민들과도 이러한 특징을 많이 공유한다.
케추아어는 1969년 후안 벨라스코 알바라도의 군사 독재 정권 하에서 페루의 두 번째 공용어가 되었다. 이후 케추아어 화자들 사이에서, 특히 에콰도르(키추아어)와 볼리비아에서 국가 건설의 경향이 있었는데, 이들은 원래 페루어와 약간의 언어적 차이만 보였다. 이러한 노력의 한 예로 에콰도르의 키추아족의 연합 단체인 ECUARUNARI(''Ecuador Runakunapak Rikcharimuy'')가 있다. 일부 기독교 단체들도 "케추아족"을 언급하는데, 예를 들어 기독교 단파 라디오 방송국 HCJB "안데스의 목소리"(''La Voz de los Andes'')가 있다.[11] "케추아 국가"라는 용어는 볼리비아의 케추아어 사용 지역에서 케추아어 교육 또는 이중 언어 상호 문화 학교를 담당하는 케추아 국가 교육 위원회(''Consejo Educativo de la Nación Quechua'', CENAQ)의 이름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된다.[12][13] 일부 케추아어 사용자는 라틴 아메리카의 국민 국가가 유럽의 패턴을 따라 건설되었다면 단일 독립 국가가 되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3. 물질 문화와 사회사
전통적으로 케추아족의 정체성은 지역 중심적이며, 각 지역에 확립된 경제 체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는 저고도 지역의 농업과 푸나 고지대 지역의 목축업을 기반으로 한다.
전통 경제의 붕괴는 광업 활동 및 이에 수반되는 프롤레타리아 사회 구조, 대도시(특히 리마)로의 이주와 그곳의 히스패닉 사회에 의한 동화 등으로 인해 민족 정체성과 케추아어 상실로 이어졌다.
3. 1. 공동 작업
다양한 민족적, 언어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케추아족은 여러 문화적 특징을 공유하며, 아이마라족 등 중앙 안데스 지역 원주민들과도 많은 특징을 공유한다.
전통적으로 케추아족의 정체성은 지역 중심으로, 경제 체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저지대 농업과 푸나 고지대 목축업을 기반으로 하며, 전형적인 안데스 공동체는 여러 고도에 걸쳐 다양한 작물과 가축을 재배한다. 토지는 보통 지역 공동체(''아이유'')가 소유하며 공동 경작하거나 매년 재분배된다.
식민 시대부터 남아메리카 국가들의 독립 이후, 대지주들이 토지를 점유하고 원주민들을 ''와시풍고''라 불리는 속박 상태로 만들었다. 가혹한 착취 조건은 원주민 농부들의 반복적인 반란을 야기했고, 이는 강제로 진압되었다. 가장 큰 반란은 1780~1781년 호세 가브리엘 콘도르칸키의 지도하에 발생했다.
20세기 중반 일부 원주민 농부들은 독재 정권 시기에 조상의 땅을 되찾고 지주들을 몰아냈다. 1952년 볼리비아(비크토르 파스 에스텐소로)와 1968년 페루(후안 벨라스코 알바라도)의 농지 개혁은 대지주들의 토지 몰수를 포함했다. 볼리비아에서는 토지가 원주민들에게 사유 재산으로 재분배되었는데, 이는 공동 소유를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케추아 및 아이마라 문화를 붕괴시켰지만, ''아이유''는 케로와 같은 외딴 지역에서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토지 권리를 위한 투쟁은 현재까지 케추아족의 정치적 초점이다. 에콰도르의 키추아족(ECUARUNARI 협회 소속)은 최근 공동 토지 소유권을 되찾거나 토지를 반환받았으며, 일부 경우에는 과격한 활동을 통해서였다. 특히 사라야쿠 공동체는 수년간의 투쟁 끝에 석유 회수를 위한 열대 우림 몰수와 착취에 성공적으로 저항했다.
두 가지 주요 유형의 공동 작업은 ''밍카''와 ''아이니''이다. ''밍카''는 공동 관심사(공동 시설 건설 등)를 위한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는 것이고, ''아이니''는 상호 지원으로, ''아이유'' 구성원들이 가족의 큰 개인 프로젝트(예: 집 건설)를 돕고, 나중에 자신의 프로젝트에 대한 도움을 기대하는 것이다.
3. 2. 전통 공예
거의 모든 케추아족에게 있어 다양한 전통 공예품은 물질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중에는 잉카 시대 또는 그 이전부터 이어져 온 직조 전통이 있는데, 면이나 라마, 알파카, 과나코, 비쿠냐의 양털을 사용하고 수많은 천연 염료를 사용하며, 다양한 직조 패턴(''팔레이'')을 포함한다.[1] 집은 일반적으로 햇볕에 말린 진흙 벽돌(''티카'', 스페인어로는 ''아도베'')이나 나뭇가지와 진흙 모르타르("엮어 바른 벽")를 사용하여 짓고, 지붕은 짚, 갈대 또는 푸나 풀(''이추'')로 덮는다.[1]
4. 음식과 작물
케추아족은 다양한 음식을 재배하고 먹는다. 이들은 감자 원산지로, 수천 종의 감자 품종을 재배하여 음식과 약으로 사용한다. 기후 변화가 감자와 전통 작물에 위협이 되지만, 보존 및 적응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14][15] 퀴노아 또한 주요 작물이다.[16]
차르키qu(''저키''의 어원)는 건조하거나 소금에 절인 육포이다. 전통적으로 라마 고기를 안데스 산맥의 햇볕과 추운 밤에 말려 만들었지만, 현재는 말, 쇠고기로도 만든다.[17][18]
파차만카는 페루의 구덩이 요리 기술로, 닭고기,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등을 사용한다. 감자, 고구마, 카사바, 우카/오카es, 마슈와 같은 덩이줄기, 옥수수, 잠두 등 채소와 조미료, 때로는 치즈, 타말레도 포함한다.[19][20]
기니피그도 고기로 사육된다.[16] 라마와 알파카 고기, 콩, 보리, 고추, 고수, 땅콩 등도 섭취한다.[14][16]
4. 1. 대한민국과의 비교
케추아족은 다양한 음식을 재배하고 섭취한다. 이들은 이 지역에서 유래한 감자를 길들여 수천 종의 감자 품종을 재배했으며, 이는 음식과 약으로 사용된다. 기후 변화는 감자와 기타 전통 작물을 위협하고 있지만, 보존 및 적응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14][15] 퀴노아는 케추아족이 재배하는 또 다른 주요 작물이다.[16]차르키qu(영어 단어 ''저키''의 어원)는 건조(때로는 소금에 절인) 육포이다. 전통적으로 안데스 산맥의 햇볕과 추운 밤에 햇볕과 냉동 건조된 라마 고기로 만들어졌지만, 현재는 국가에 따라 말, 쇠고기로도 만들어진다.[17][18]
파차만카는 페루에서 사용되는 구덩이 요리 기술에 대한 케추아어 단어로, 닭고기,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그리고/또는 양고기와 같은 여러 종류의 고기를 포함한다. 감자, 고구마, 카사바, 우카/오카es (ocaes), 마슈와와 같은 덩이줄기, 옥수수, 잠두와 같은 기타 채소, 조미료, 때로는 작은 냄비에 치즈 및/또는 타말레를 포함한다.[19][20]
기니피그도 고기로 사육된다.[16] 기타 음식과 작물로는 라마와 알파카의 고기, 콩, 보리, 고추, 고수, 땅콩 등이 있다.[14][16]
5. 현대 의학에 대한 기여
키니네는 키나 나무 껍질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며, 케추아족은 말라리아 유사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이를 사용했다.
코카 잎은 씹으면 가벼운 각성 효과가 나타나며, 배고픔, 갈증, 통증, 피로를 억제한다. 또한 고산병 완화에도 사용된다. 케추아족은 들판에서 일하거나 건설 프로젝트 중 휴식 시간에 코카 잎을 씹는 풍습이 있다. 코카 잎은 코카인의 원료로, 코카인은 페루의 주요 수출품 중 하나였다.
6. 전통 의상
많은 원주민 여성들은 볼러 스타일 모자를 포함한 화려한 전통 의상을 착용한다. 이 모자는 1920년대 영국 철도 노동자들이 이 나라에 가져온 이후 케추아족과 아이마라족 여성들이 착용해왔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흔하게 착용된다.[32]
오늘날 케추아족 여성들이 입는 전통 의상은 스페인 이전 시대와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농민 의상이 혼합된 형태이다.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케추아족 소녀들은 여러 겹의 속치마와 치마를 입기 시작하여 가족의 부를 과시하고 더 매력적인 신부가 될 수 있게 한다. 기혼 여성들 또한 여러 겹의 속치마와 치마를 입는다. 젊은 케추아족 남성들은 일반적으로 서양식 의류를 착용하며, 가장 인기 있는 의류는 합성 축구 셔츠와 트레이닝 바지이다. 특정 지역에서는 여성들도 일반적으로 서양식 의류를 착용한다. 나이든 남성들은 여전히 다크 울 무릎 길이의 손으로 짠 바이에타 바지를 입는다. 밭에서 일할 때 허리를 보호하는 '춤피(chumpi)'라고 불리는 짠 허리띠도 착용한다. 남성들의 고급 의상에는 여성들이 착용하는 주유나와 유사하지만 '찰레코(chaleco)'라고 불리는 울 조끼가 포함되며, 종종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남성 의상의 가장 독특한 부분은 손으로 짠 판초이다. 거의 모든 케추아족 남성과 소년들은 복잡한 디자인으로 장식된 일반적으로 빨간색 판초를 가지고 있다. 각 지역마다 독특한 패턴이 있다. 라레스 계곡의 윌록, 파타칸차 및 많은 마을과 같은 일부 지역 사회에서는 판초가 일상복으로 착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남성들은 축제, 마을 회의, 결혼식 등 특별한 경우에 판초를 사용한다.
여성과 마찬가지로 재활용 타이어로 만든 샌들인 아호타가 표준 신발이다. 저렴하고 내구성이 좋다.
귀덮개가 달린 뜨개질 모자인 ''추유''(ch'ullu)를 자주 착용한다. 아이가 처음 받는 추유는 전통적으로 아버지가 짠다. 아우상가테 지역에서는 추유가 종종 흰색 구슬과 티카라고 불리는 큰 술로 화려하게 장식된다. 남성들은 때때로 추유 위에 '센틸로(centillo)'로 장식된 솜브레로라고 불리는 펠트 모자를 착용한다. 고대부터 남성들은 코카 잎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추스파(ch'uspa)'라는 작은 짠 주머니를 착용해왔다.[33]
7. 케추아어 사용 민족 집단
다음은 케추아족의 목록 중 일부이며, 그 구분은 다양하다. 어떤 경우에는 수백 명에 불과한 마을 공동체이고, 다른 경우에는 백만 명이 넘는 민족 집단이다.
- 잉카 (역사)
8. 케추아족에 대한 박해
케추아족은 현재까지 정치적 갈등과 민족적 박해의 희생자가 되고 있다. 1980년대 페루 내부 분쟁에서 정부와 빛나는 길 사이의 분쟁으로 발생한 추정 사망자 7만 명 중 약 4분의 3이 케추아족이었으며, 전쟁 당사자들은 예외 없이 백인과 메스티소(원주민과 스페인계 혼혈)였다.[21]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 치하의 강제 불임 정책은 거의 케추아족과 아이마라족 여성에게만 영향을 미쳤으며, 공식 수치에 따르면 총 27만 명(남성 2만 2천 명)에 달했다.[22] 이 불임 프로그램은 1996년부터 2001년까지 5년 넘게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여성들은 강제 불임 수술을 강요받았다.[23] 의사들이 비현실적인 정부 할당량에 따라 수술을 수행하도록 압박을 받으면서 수술은 위험하고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이로 인해 여성들에게 적절하게 알리고 동의를 얻는 것이 불가능했다.[24] 1969년 볼리비아 영화 감독 호르헤 산히네스는 케추아어 장편 영화 야와르 말쿠에서 강제 불임 수술 문제를 다루었다.
케추아족은 최근 몇 년 동안 자국 지역 경제 성장에서 제외되었다. 세계은행은 대륙에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불평등률을 보이는 8개 국가를 확인했다. 케추아족은 이러한 심각한 불평등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들 중 많은 수가 지역 평균보다 훨씬 낮은 기대 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지역 사회가 기본적인 건강 서비스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25]
인식된 민족 차별은 국회 수준에서도 계속 역할을 하고 있다. 새로 선출된 페루 국회의원 힐라리아 수파 우아만과 마리아 수미레가 페루 역사상 최초로 원주민 언어인 케추아어로 취임 선서를 하자 페루 국회 의장 마르타 힐데브란트와 국회 사무관 카를로스 토레스 카로가 이를 거부했다.[26]
9. 신화
안데스의 거의 모든 케추아족은 식민지 시대부터 명목상 가톨릭 신자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종교 형태는 많은 지역에서 기독교적 요소와 혼합되어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완전히 통합된 혼합주의이다. 케추아족은 또한 다른 안데스 민족과 함께 전통적인 종교를 공유하며, 특히 비옥함을 부여하고 태워 바치는 제물과 술을 정기적으로 바치는 대지모신(''파차마마'')을 믿는다. 또한 산신령(''아푸'')과 남부 페루에서 특히 숭배되는 하위 지역 신(''와카'')도 중요하다.[27]
케추아족은 다양한 신화의 형태로 반복되는 역사적 비극적 경험에 대처했다. 여기에는 살해한 원주민의 몸에서 지방을 빨아내는 백인 살인자인 ''나카크'' 또는 ''피스타코''( "도살자")의 인물과 피의 강에 대한 노래가 포함된다. Q'ero족은 ''와이라쿠차팜파'' 신화에서[29] 스페인에 대한 ''아푸''의 승리를 묘사한다. 오늘날까지 살아있는 신화 중, 아야쿠초에서 쿠스코에 이르는 지역 전체의 케추아족을 연결하는 문화적 요소인, 남부 페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잉카리'' 신화가 특히 흥미롭다.[1][30][31] 일부 케추아족은 옥수수 맥주, 치차, 코카 잎, 지역 감자와 같은 지역의 고전적인 생산품이 종교적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하지만, 이러한 믿음은 지역 사회마다 동일하지 않다.
10. 주목할 만한 케추아족 인물
- 투팍 아마루 2세, 혁명가
- 안헬리카 멘도사 데 아스카르사, 인권 운동가
- 킴벌리 바르졸라, 지역 사회 조직가이자 예술가
- 벤자민 브랫, 페루계 미국 배우
- 만코 카팍, 사파 잉카
- 루스밀라 카르피오, 음악가, 활동가
- 마르틴 참비, 사진작가
- 레나타 플로레스,[34] 음악가
- 오스왈도 과야사민, 에콰도르 화가
- 오얀타 우말라, 전 페루 대통령
- 조시 키튼, 페루계 미국 배우
- 코리안카 킬처, 배우
- 낸시 이사 모레노, 키추아 지도자[35]
- 델핀 키슈페, 음악가, 에콰도르 정치인
- 마갈리 솔리에르, 배우
- 디에고 키스페 티토, 화가
- 프란시스코 티토 유팡키, 조각가, 성인
- 알레한드로 톨레도, 전 페루 대통령
- 아타우알파 - 잉카 제국 피정복 시대의 황제 ('행복한 닭'의 의미)
- 투팍 아말루 (1세) - 잉카 제국 마지막 황제 ('고귀한 큰 뱀'의 의미)
- 호세 가브리엘 콘도르칸키 (후손) - 18세기 페루의 저항가
- 아타우알파 유판키 (후손) - 아르헨티나의 포크 가수 겸 작곡가
참조
[1]
웹사이트
Peru | Joshua Project
https://joshuaprojec[...]
[2]
웹사이트
Bolivia | Joshua Project
https://joshuaprojec[...]
[3]
웹사이트
Ecuador | Joshua Project
https://joshuaprojec[...]
[4]
웹사이트
Argentina | Joshua Project
https://joshuaprojec[...]
[5]
웹사이트
Colombia | Joshua Project
https://joshuaprojec[...]
[6]
웹사이트
Chile | Joshua Project
https://joshuaprojec[...]
[7]
웹사이트
Quechua - meaning of Quechua in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https://www.ldoceonl[...]
2018-08-26
[8]
웹사이트
Oxford Living Dictionaries
https://web.archive.[...]
British and World English
[9]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10]
웹사이트
Language in Peru | Frommer's
https://www.frommers[...]
[11]
웹사이트
CUNAN CRISTO JESUS BENDICIAN HCJB
http://quichua.vozan[...]
[12]
웹사이트
CEPOs
https://archive.toda[...]
2018-08-26
[13]
문서
http://www.cepos.bo/[...]
[14]
웹사이트
Climate Change Threatens Quechua and Their Crops in Peru's Andes - Inter Press Service
http://www.ipsnews.n[...]
2018-08-26
[15]
웹사이트
The Quechua: Guardians of the Potato
https://www.cultural[...]
2018-08-26
[16]
웹사이트
Quechua - Introduction, Location, Language, Folklore, Religion, Major holidays, Rites of passage
http://www.everycult[...]
2018-08-26
[17]
서적
Archaeology: Down to Earth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3-01-01
[18]
서적
Introduction to Quechua: Language of the Andes
https://books.google[...]
Dog Ear Publishing
[19]
웹사이트
Peru's Pitmasters Bury Their Meat in the Earth, Inca-Style
https://www.npr.org/[...]
2018-08-26
[20]
웹사이트
Oca
http://www.fao.org/t[...]
2018-08-26
[21]
간행물
Villagers at Arms: War and Counterrevolution in the Central-South Andes
Duke University Press
[22]
뉴스
Peru forced sterilisations case reaches key stage
https://www.bbc.co.u[...]
BBC News
2021-03-01
[23]
학술지
Making the Case for Genocide, the Forced Sterilization of Indigenous Peoples of Peru
https://scholarcommo[...]
2020-09-04
[24]
학술지
Silenced No More in Peru
https://www.tandfonl[...]
2019-08-25
[25]
웹사이트
Discriminated against for speaking their own language
https://www.worldban[...]
2021-02-26
[26]
웹사이트
Archivo - Servindi - Servicios de Comunicación Intercultural
http://www.servindi.[...]
2018-08-26
[27]
웹사이트
Kichwa kwintukuna patsaatsinan
https://web.archive.[...]
2009-05-12
[27]
웹사이트
Nakaq (Nak'aq)
https://web.archive.[...]
2009-05-12
[28]
웹사이트
Runasimipi Takikuna
https://web.archive.[...]
2009-05-12
[29]
서적
Die Kinder der Mitte
Lamuv Verlag
[30]
웹사이트
Inkarrí (Inkarriy, Inka Rey) - Q'iru (Q'ero), Pukyu, Wamanqa llaqtakunamanta
http://www.runasimi.[...]
2018-08-26
[31]
간행물
Ketschua-Lyrik
Reclam
[32]
웹사이트
La Paz and Tiwanaku: colour, bowler hats and llama fetuses - Don't Forget Your Laptop!
http://dontforgetyou[...]
2018-08-26
[33]
웹사이트
My Peru - A Guide to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the Andean Communities of Peru
http://www.myperu.or[...]
2018-08-26
[34]
웹사이트
Renata Flores & Her Music Are An Act of Indigenous Resistance
https://www.refinery[...]
2022-08-01
[35]
웹사이트
Isuma TV
https://www.isuma.tv[...]
[36]
간행물
Montana Kaimin
2024-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