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저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키는 고대부터 존재해 온 육류 보존 방식의 하나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져 왔다. 남미의 차르키, 한국의 육포 등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쇠고기를 주재료로 사용한 비프 저키가 일반적이다. 육포는 소금 절임, 건조, 훈연 등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며, 보존성 향상과 풍미를 위해 다양한 첨가물이 사용된다. 육포는 간식, 요리 재료, 술안주 등으로 섭취되며, 애완동물용으로도 판매된다. 육포 제품의 안전성과 위생을 위해 각 국가별 규제가 존재하며, 섭취 시 알레르기 반응, 소화 불량, 세균 감염 등에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른 고기 - 프로슈토
    프로슈토는 이탈리아식 돼지고기 햄으로, 생햄과 익힌 햄으로 나뉘며, 소금에 절여 건조하는 전통적인 제조 과정을 거쳐 생산되고, 파르마산 프로슈토와 산 다니엘레 프로슈토를 포함한 일부 제품은 원산지명칭보호 인증을 받았으며, 전채 요리나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마른 고기 - 육포
    육포는 고기를 말린 음식으로, 얇게 썬 쇠고기를 말린 건포, 얇게 두들겨 말린 편포 등이 있으며, 간장 양념 등으로 간을 하여 후식, 반찬, 안주, 폐백, 제사 음식 등으로 활용된다.
  • 캐나다 요리 - 스모어
    스모어는 구운 마시멜로와 초콜릿을 그래험 크래커 사이에 넣어 만든 간식으로, 1920년대 미국 스카우트에서 유래하여 캠프파이어, 오븐 등으로 조리하며 다양한 변형 레시피와 상품화된 형태로도 즐길 수 있다.
  • 캐나다 요리 - 마카로니 앤드 치즈
    마카로니 앤드 치즈는 마카로니 파스타에 치즈 소스를 곁들여 만드는 요리로, 영국에서 시작되어 토머스 제퍼슨에 의해 미국으로 전파되었고, 크래프트 디너 출시 후 캐나다 국민 음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다양한 형태로 즐길 수 있다.
  • 미국 요리 - 스모어
    스모어는 구운 마시멜로와 초콜릿을 그래험 크래커 사이에 넣어 만든 간식으로, 1920년대 미국 스카우트에서 유래하여 캠프파이어, 오븐 등으로 조리하며 다양한 변형 레시피와 상품화된 형태로도 즐길 수 있다.
  • 미국 요리 - 피자
    피자는 튀르키예 피데에서 유래하여 납작한 빵에 토핑을 얹어 구운 요리로,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토마토와 치즈를 사용하여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었으며 세계적인 음식으로 발전했다.
저키 - [음식]에 관한 문서
개요
오렌지 마리네이드 육포
종류마른고기
국가별
나라북아메리카
미국
캐나다
나라별 요리미국 요리
캐나다 요리
세부 정보
주 재료고기
비슷한 음식육포
언어별 명칭
영어jerky

2. 역사

저키(Jerky)는 고기를 얇게 썰어 말린 음식으로,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견된다. 그 기원은 남아메리카 케추아어의 '차르키'(ch'arki)이며, 이는 '말린, 소금에 절인 고기'를 뜻한다.[1] 이 단어는 영어로 유입되면서 '저키'(jerky)가 되었다.[12][13]

스페인인들이 남아메리카에 도착했을 때, 잉카 제국은 잉카 도로 시스템을 따라 여행하는 사람들을 위해 탐푸(여관)에 라마 차르키를 비치해 두었다. 잉카인들은 춥고 건조한 산악 지형의 기후와 강한 햇볕을 이용, 동결 건조 방식으로 차르키를 만들었다.

현대에 이르러 저키는 미국에서 1960년대부터 상업적으로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 특히 베트남 전쟁 당시 병사들의 휴대 식량으로 사용되면서 더욱 대중화되었다.

2. 1. 기원

저키는 고기를 보존하기 위해 가공한 식품이다. 그냥 말리는 것이 아니라 소금이나 향신료 등을 발라 부패를 막는다. 훈연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렇게 훈연된 저키는 '스모크 저키'라고 부른다. 좋아하는 소스에 담근 후 오븐 등에서 건조시키면서 (증기를 빼면서) 굽기도 한다. 일본산 혹은 일본풍 제품의 경우 맛을 좋게 하기 위해 간장을 사용하기도 한다.[1]

쇠고기는 저키를 만드는 재료로 가장 많이 쓰인다. 특히 별다른 말 없이 "저키"라고 하면 대부분 쇠고기 저키(''비프 저키'', beef jerky)를 뜻한다. 쇠고기 외에는 말고기, 돼지고기, 의 닭가슴살, 연어 등으로 만든다. 드물게는 캥거루, 악어, 멧돼지, , 사슴, 상어 고기 등으로 만들기도 한다.[1]

일본의 마른 오징어도 외국에서는 "오징어 저키"로 취급된다. 연어훈증하여 말린 "토바(연어 토바)"(홋카이도)나, 참고래의 건어물인 "고래 타레"(지바현보소반도) 등도 식품 분류상으로는 저키의 한 종류이다.[1]

미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상품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베트남 전쟁병사들의 휴대 식량으로 쓰이면서 널리 퍼졌다고 한다. 또한 미국을 방문하는 일본인 관광객이 사는 단골 기념품 중 하나였지만, 지금은 기념품으로 일본 국내에 반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후술 #BSE 문제 참조).[1]

2. 2. 지역별 육포

저키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차르키


페루 ''올루키토''와 ''차르키''

차르키는 케추아어로 말린 소금에 절인 고기를 의미하며,[1] 남아메리카에서 유래된 육포의 일종이다. 차르키 제조는 주로 소금 절임과 햇볕 건조로 이루어진다. 푸노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고기를 건조 전에 얇게 썰고, 쿠스코와 같은 다른 지역에서는 뼈가 붙은 통째의 덩어리에서 건조하여 '차르키 콤플레토'라고 부른다.[11] 이것은 브라질의 ''charqueadas'' 또는 아르헨티나 및 우루과이의 ''saladeros''에서 산업화되었다.

쇠고기 외에도 말고기, 돼지고기, 닭가슴살, 연어 등으로 저키를 만들 수 있으며, 드물게는 캥거루, 악어, 멧돼지, 쥐, 사슴, 상어 고기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2. 2. 1. 외국의 육포

고기를 보존하기 위해 소금이나 향신료를 발라 부패를 방지하고, 훈연하기도 한다. 쇠고기로 만든 '''비프 저키'''(beef jerky)가 대표적이며, 미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널리 보급되었다. 베트남 전쟁 당시 병사들의 휴대 식량으로 사용되면서 널리 퍼졌다고 한다.[12][13]

'''차르키''' (케추아어로 말린 소금에 절인 고기를 의미)[1]는 건조하고 소금에 절인 육류 제품이다. 안데스 지역의 차르키는 알파카, 라마 또는 알파카-라마 교배종으로 만든다. 페루는 연간 약 450ton을 생산하는 세계 최대 생산국이다. 브라질 차르키는 소고기로 만든다.[11] 잉카 제국에서는 여행객들을 위해 라마 차르키를 탐푸 (여관)에 잉카 도로 시스템을 따라 공급했다. 잉카인들은 춥고 건조한 산 공기와 강한 햇볕을 이용하는 동결 건조 과정을 사용했다.

일본의 마른 오징어도 해외에서는 "오징어 저키"로 취급되며, 연어를 훈증하여 말린 "연어 토바"(홋카이도)나, 참고래의 건어물인 "고래 타레"(지바현보소반도) 등도 저키의 일종이다.

3. 재료 및 종류

저키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육포를 만들기 전에는 대부분의 지방을 제거하는데, 이는 지방이 부패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현대에는 진공 포장 및 화학 보존료를 사용하여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도 한다. 고기가 마르기 전 세균 번식을 막기 위해 고기를 빠르게 건조해야 하며, 이를 위해 고기를 얇게 썰거나 누른다.[7]

산업 환경에서는 대형 저온 건조 오븐을 사용하며, 발열체와 팬, 배기구를 통해 습기를 제거한다. 빠르게 움직이는 공기와 낮은 열의 조합으로 몇 시간 안에 고기를 원하는 수분 함량으로 건조시킨다. 날것의 양념 육포는 가벼운 식물성 기름을 뿌린 나일론 코팅 금속 스크린 랙에 놓은 후 건조 오븐에 넣는다.[7]

소듐 아질산염과 같은 화학 보존료는 전통적인 소금 건조 절차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훈연은 고기를 보존하고 맛을 내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오늘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염장으로, 맛을 개선하고 고기를 보존한다. 마리네이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고기에 수분을 더하여 건조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미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저키가 상품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베트남 전쟁 당시 병사들의 휴대 식량으로 사용되면서 널리 퍼졌다고 한다. 미국을 방문하는 일본인 관광객의 단골 기념품 중 하나였지만, 현재는 일본 국내 반입이 불가능하다(후술 #BSE 문제 참조).

저키는 고양이사료로도 많이 판매된다. 애완동물용 저키는 소금이나 향신료 등의 맛이 거의 첨가되어 있지 않다. 애완동물용 비프 저키도 판매되지만, 비용이 많이 들어 저키도 많이 팔린다.

3. 1. 주재료

쇠고기를 양념장에 담가 말려 만들며, 훈제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양념에는 우스터셔 소스, 마늘가루, 양파가루, 후추 등이 사용된다.

건조되는 육포


중국식 바쿠아 육포


육포는 가축뿐만 아니라 야생 동물로도 만들 수 있다. 가축으로는 소고기, 돼지고기, 염소, 등이 사용되며, 야생 동물로는 사슴, 쿠두, 스프링복, 캥거루, 들소 등이 사용된다.[5] 최근에는 칠면조, 타조, 연어, , 오리, 거위, 새우, , 오징어, 문어, 앨리게이터, 비둘기, 악어, 참치, 에뮤, , 낙타, 사자, 곰, , 지렁이 등도 사용된다.[6]

주로 쇠고기가 많이 사용되며,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비프 저키'''(beef jerky)를 가리킨다. 쇠고기 외에는 말고기, 돼지고기, 의 닭가슴살, 연어 등이 사용되며, 드물게 캥거루, 악어, 멧돼지, , 사슴, 상어 고기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일본의 마른 오징어도 해외에서는 "오징어 저키"로 취급되며, 연어훈증하여 말린 "토바"(홋카이도)나, 참고래의 건어물인 "고래 타레"(지바현보소반도) 등도 저키의 일종이다.

3. 2. 첨가 재료

저키는 주로 쇠고기를 양념장에 담가 두었다가 말려서 만들며, 말리기 전에 훈제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양념장에는 우스터셔 소스, 마늘가루, 양파가루, 후추 등이 들어간다. 고기를 보존하기 위해 소금이나 향신료를 발라 부패를 방지하고, 훈연하기도 한다. 훈연된 저키는 '스모크 저키'라고 불린다. 좋아하는 소스에 담근 후 오븐 등에서 건조시키면서 증기를 빼면서 굽기도 한다. 일본산 또는 일본풍 제품은 풍미를 위해 간장을 사용하기도 한다.[1]

4. 제조 과정

저키는 쇠고기 등을 양념장에 담가 두었다가 말려서 만든다. 양념장에는 우스터셔 소스, 마늘가루, 양파가루, 후추 등이 들어가며, 훈제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1]

고기를 보존하기 위해 소금이나 향신료를 발라 부패를 방지한다. 훈연 과정을 거친 저키는 '스모크 저키'라고 불린다. 좋아하는 소스에 담근 후 오븐 등에서 건조시키면서 (증기를 빼면서) 구워서 만들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풍미를 위해 간장을 사용하기도 한다.

주로 쇠고기로 만든 저키를 '비프 저키'(beef jerky)라고 부른다. 쇠고기 외에도 말고기, 돼지고기, 닭가슴살, 연어 등이 사용되며, 드물게는 캥거루, 악어, 멧돼지, , 사슴, 상어 고기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일본의 마른 오징어는 해외에서 "오징어 저키"로 취급되기도 하며, 연어훈증하여 말린 "토바"(홋카이도)나, 참고래의 건어물인 "고래 타레"(지바현보소반도) 등도 저키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미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저키가 상품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베트남 전쟁 당시 병사들의 휴대 식량으로 사용되면서 널리 퍼졌다.

4. 1. 준비

육포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대부분의 지방을 제거해야 하는데, 지방은 부패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7] 현대적인 진공 포장 및 화학 보존료는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고기가 마르지 않은 중요한 기간 동안 세균 번식을 제한하기 위해 고기를 빠르게 건조해야 하며, 고기를 익히는 고온을 사용하지 않고 빠르게 건조하려면 고기를 얇게 썰거나 눌러야 한다.[7]

산업 환경에서는 많은 발열체와 팬이 있는 대형 저온 건조 오븐이 습기를 머금은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배기구를 사용하며, 빠르게 움직이는 공기와 낮은 열의 조합은 몇 시간 안에 고기를 원하는 수분 함량으로 건조시킨다. 날것의 양념 육포는 육포가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가벼운 식물성 기름을 뿌린 나일론 코팅 금속 스크린 랙에 놓이며, 스크린 트레이는 롤링 카트에 겹겹이 밀착되어 배치된 다음 건조 오븐에 넣는다.

소듐 아질산염과 같은 화학 보존료는 육포를 준비하기 위해 전통적인 소금 건조 절차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훈연은 고기를 보존하고, 맛을 내며, 동시에 건조시키는 가장 전통적인 방법이며, 오늘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염장으로, 맛을 개선하기 위해 양념을 제공하고 고기를 보존한다. 일부 방법은 마리네이드로 양념을 적용하지만, 이렇게 하면 고기에 수분을 더하여 건조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4. 2. 양념

저키는 주로 쇠고기 등을 양념장에 담가 두었다가 말려서 만든다. 양념장에는 우스터셔 소스, 마늘가루, 양파가루, 후추 등이 들어간다.[1] 훈제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1]

4. 3. 건조 및 훈연

쇠고기 등을 양념장에 담가 두었다가 말리는데, 말리기 전에 훈제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양념장에는 우스터셔 소스, 마늘가루, 양파가루, 후추 등이 들어간다.

육포는 가축뿐만 아니라 야생 동물로도 만들어진다. 가축으로 만든 육포에는 소고기, 돼지고기, 염소, 등이 있으며, 사슴, 쿠두, 스프링복, 캥거루, 들소 등 야생 동물도 사용된다.[5] 최근에는 칠면조, 타조, 연어, , 오리, 거위, 새우, , 오징어, 문어, 앨리게이터, 비둘기, 악어, 참치, 에뮤, , 낙타, 사자, 곰, , 지렁이 등 다른 동물들도 시장에 진출했다.[6]

육포를 만들기 전에는 대부분의 지방을 제거해야 하는데, 지방은 부패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현대적인 진공 포장 및 화학 보존료는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고기가 아직 마르지 않은 중요한 기간 동안 세균 번식을 제한하기 위해 고기를 빠르게 건조해야 한다. 고기를 익히는 고온을 사용하지 않고 빠르게 건조하려면 고기를 얇게 썰거나 눌러야 한다.[7]

산업 환경에서는 많은 발열체와 팬이 있는 대형 저온 건조 오븐이 습기를 머금은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배기구를 사용한다. 빠르게 움직이는 공기와 낮은 열의 조합은 몇 시간 안에 고기를 원하는 수분 함량으로 건조시킨다. 날것의 양념 육포는 육포가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가벼운 식물성 기름을 뿌린 나일론 코팅 금속 스크린 랙에 놓인다. 스크린 트레이는 롤링 카트에 겹겹이 밀착되어 배치된 다음 건조 오븐에 넣는다.

소듐 아질산염과 같은 화학 보존료는 육포를 준비하기 위해 전통적인 소금 건조 절차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훈연은 고기를 보존하고, 맛을 내며, 동시에 건조시키는 가장 전통적인 방법이다. 오늘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염장으로, 맛을 개선하기 위해 양념을 제공하고 고기를 보존한다. 일부 방법은 마리네이드로 양념을 적용하지만, 이렇게 하면 고기에 수분을 더하여 건조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고기를 보존할 목적으로 가공한 것으로, 소금이나 향신료 등을 발라 부패를 방지한다. 훈연하는 경우도 많은데, 훈연된 저키는 '스모크 저키'라고 불린다. 좋아하는 소스에 담근 후 오븐 등에서 건조시키면서 (증기를 빼면서) 구워서 만들기도 한다. 일본산 혹은 일본향 제품의 경우 풍미를 위해 간장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4. 4. 포장

저키는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수분 함량으로 건조된 후, 냉각 과정을 거쳐 (종종 재밀봉 가능한) 비닐 봉투에 포장되며, 질소 가스를 주입하거나 진공 포장한다.[1] 밀봉된 포장에는 지방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작은 산소 흡수제 파우치가 들어 있기도 하다.[1] 이 작은 팩에는 철 입자가 들어 있어 산소와 반응하여 밀봉된 저키 포장 및 개봉 후 재밀봉된 미완성 팩에서 산소를 제거한다.[1]

얇게 썬 통근육 고기로 만든 포장되지 않은 신선한 저키는 적어도 1970년대부터 홍콩의 전문점에서 판매되어 왔다.[1] 이 제품은 킬로그램 단위로 구매하며, 고객은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10~20가지 유형의 고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1] 일부는 조각 대신 가닥으로 판매된다.[1] 마카오에도 수많은 전문점이 문을 열었는데, 그 중 많은 곳이 홍콩 매장의 프랜차이즈 확장이다.[1] 밀봉된 포장 제품에 비해 포장되지 않은 저키는 상대적으로 유통 기한이 짧다.[1]

이러한 유형의 저키는 "슬래브" 저키라는 이름으로 미국 편의점에서도 매우 인기가 높아졌으며, 일반적으로 투명 플라스틱 용기에 판매된다.[1]

5. 영양 성분

일반적인 30g 저키는 단백질 10~15g, 지방 1g, 탄수화물 0~3g을 함유하고 있지만, 일부 소고기 저키는 단백질 함량이 65% 이상일 수 있다.[10] 전통적인 저키 제조법은 기본적인 소금 절임을 사용하므로, 나트륨 함량은 일부 사람들에게 우려될 수 있다. 30g 저키는 600mg 이상의 나트륨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는 USRDA의 약 30%에 해당한다.[10]

5. 1. 단백질

저키는 낮은 지방과 수분 함량 덕분에 단백질이 풍부하다. 예를 들어, 30g(약 1oz)의 살코기에는 약 7g의 단백질이 들어 있다. 고기에서 15g의 물을 제거하면 단백질 비율이 두 배로 증가하여 30g당 거의 15g의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다. 일부 저수분 저키는 30g 1회 제공량에 21g의 단백질과 1g의 지방만 들어 있기도 하다.[10] 이런 저키는 99% 살코기 90g으로 30g을 만들기 때문에, 단위 무게당 가격이 덜 건조된 형태보다 비싸다.

일반적인 30g 저키는 단백질 10~15g, 지방 1g, 탄수화물 0~3g을 함유하고 있지만, 일부 소고기 저키는 단백질 함량이 65% 이상일 수 있다.[10]

5. 2. 나트륨

일반적인 저키 30g에는 600mg 이상의 나트륨이 함유될 수 있으며, 이는 USRDA의 약 30%에 해당한다.[10] 전통적인 저키 제조법은 기본적인 소금 절임을 사용하므로, 나트륨 함량은 일부 사람들에게 우려될 수 있다.

6. 섭취 방법

저키는 수프 등에 넣는 식재료로 사용되기도 하고, 안주로도 인기가 많다. 스타벅스에서 저키를 올린 커피를 출시하기도 했다.[15]

6. 1. 간식

스타벅스에서 저키를 올린 커피를 출시하기도 했다.[15]

6. 2. 요리 재료

저키는 수프 등에 넣는 식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15] 염분이 적당히 더해진 저키는 종류가 다양하며, 안주로도 인기가 많다. 남아메리카에서는 수프에 넣어 널리 이용한다.

6. 3. 술안주

저키는 염분이 적당히 첨가되어 있어 종류가 다양하며, 을 마실 때 안주로 곁들이면 인기가 좋다.[15]

7. 규제 및 안전성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육포 제품 생산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으며, 안전하고 위생적인 생산을 위해 엄격한 요건을 적용한다. 공장에는 검사관과 위생 계획이 필요하다. 미국에서는 미국 농무부(USDA)의 감독하에, 가금류 육포는 비경화 가금류의 경우 내부 온도가 약 71.1°C까지, 경화 가금류의 경우 약 68.3°C까지 가열해야 한다.[8] 현재 많은 유럽 연합 국가들은 추가적이고 광범위한 통관 서류 및 추가 검사 없이는 육포를 포함한 육류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9]

고기는 소금, 향신료 등을 발라 부패를 방지하고 훈연하기도 한다.

7. 1. 해외 규정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육포 제품 생산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육포 제품의 안전하고 위생적인 생산을 보장하기 위해 엄격한 요건이 적용된다. 공장에는 검사관과 위생 계획이 있어야 한다. 미국에서는 미국 농무부(USDA)가 이러한 감독을 담당한다. USDA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가금류 육포는 비경화 가금류의 경우 내부 온도가 약 71.1°C까지, 경화 가금류의 경우 약 68.3°C까지 가열되어야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8] 현재 많은 유럽 연합 국가들은 추가적이고 광범위한 통관 서류 및 추가 검사 없이는 육포를 포함한 육류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9]

7. 2. 광우병 문제

2000년대 초부터 광우병 문제로 미국캐나다에서 판매되는 육포 등의 쇠고기 가공 식품은 일본 국내로 일절 반입할 수 없게 되었다. 쇠고기 수입이 재개된 이후에도 2021년 현재 반입할 수 없다.[14]

8. 애완동물용 육포

저키는 고양이사료로도 많이 판매된다.[1]

8. 1. 특징

애완동물용 저키는 소금이나 향신료 등의 맛을 거의 첨가하지 않는다.[1] 비용이 많이 드는 비프 저키 대신 저키도 많이 팔리고 있다.[1]

8. 2. 주의사항

애완동물용 저키는 소금이나 향신료 등의 맛을 거의 첨가하지 않는다.[1] 고양이사료로도 많이 판매되고 있으며,[1] 애완동물용 비프 저키도 판매되지만, 비용이 많이 들어 저키가 많이 팔린다.[1]

참조

[1] 서적 Diccionario bilingüe Iskay simipi yuyayk'ancha Quechua – Castellano Castellano – Quechua https://futatraw.our[...] none 2024-09-07
[2] 뉴스 Globe trotting: Ecuador http://www.taipeitim[...] 2015-02-06
[3] 뉴스 Feet in the Trough: Cured Meat http://www.economist[...] 2007-12-19
[4] 문서 USDA Food Standards and Labeling Policy Book, p. 83.
[5] 서적 How to Dry Foods https://books.google[...] Penguin Group
[6] 뉴스 Slumping U.S. meat prices help feed appetite for jerky https://www.reuters.[...] 2018-09-18
[7] 서적 Jerky: The Complete Guide to Making It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6-11-01
[8] 간행물 FSIS Compliance Guideline for Meat and Poultry Jerky Produced by Small and Very Small Establishments https://www.fsis.usd[...] Food Safety and Inspection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4-08
[9] 문서 For example The UK department for food and agriculture and food ban all meat imports for personal consumption from the USA. Their data can be searched: http://importdetails[...]
[10] 웹사이트 Billy Franks Beef Jerky - Roast Beef and Mustard (40g) http://www.meatsnack[...] 2015-03-30
[11] 논문 Chemical composition of alpaca (Vicugna pacos) charqui 2012-01
[12] 웹사이트 CHARQUI http://etimologias.d[...] 2020-08-27
[13] 웹사이트 Carne Seca de Res (Charqui o Jerky) http://academic.uprm[...]
[14] 웹사이트 畜産物の輸出入 肉製品などのおみやげについて https://www.maff.go.[...] 동물검역소 2019-10-20
[15] 뉴스 스타벅스에 등장한 '육포 커피'…알 수 없는 스벅의 육포사랑 http://www.segye.com[...] 2018-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