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페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페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여러 명의 케페우스가 존재한다. 주요 인물로는 아이티오피아의 왕 케페우스, 테게아의 왕 케페우스, 리쿠르고스의 아들 케페우스가 있다. 아이티오피아 왕 케페우스는 카시오페이아의 남편이자 안드로메다의 아버지로, 딸을 바다 괴물에게 제물로 바치려 했으나 페르세우스에 의해 구출된다. 테게아 왕 케페우스는 아르카디아의 왕으로, 헤라클레스의 원군 요청을 거절했으나 결국 아들들과 함께 전쟁에 참여하여 전사한다. 리쿠르고스의 아들 케페우스는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에 참여했다. 케페우스는 사후 별자리가 되어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문화적으로도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그리스 신화에는 '케페우스'라는 이름을 가진 인물이 여럿 등장한다.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케페우스의 가계는 문헌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인다.
2. 주요 인물
2. 1. 아이티오피아 왕 케페우스
'''케페우스'''는 벨루스[1], 아게노르[2] 또는 페니크스[3]의 아들이다. 만약 벨루스가 그의 아버지였다면, 다나오스, 아이깁토스, 피네우스를 형제로 두었다. 그의 왕국은 여러 자료에서 "에티오피아"로 묘사되거나, 후에는 페니키아의 도시인 요파(자파)로 묘사된다.[5]
카시오페이아가 딸 안드로메다가 네레이스보다 더 아름답다고 자랑하자, 포세이돈은 홍수와 바다 괴물 케토스를 보내 에티오피아를 공격하게 했다. 케페우스와 카시오페이아는 신탁에 따라 딸을 해변의 바위에 묶어 케토스에게 잡아먹히게 했다.
메두사의 머리를 가지고 돌아가던 페르세우스가 케페우스의 왕국을 지나가다가 안드로메다를 발견하고 구출했다. 페르세우스는 괴물을 죽이고 안드로메다와 결혼하겠다고 약속을 받았다. 케페우스와 카시오페이아는 페르세우스가 메두사의 머리를 사용하여 자신을 음모한 피네우스와 그의 부하들을 돌로 만들자 페르세우스에게 안드로메다를 주었다.[7] 히기누스에 따르면, 안드로메다의 약혼자는 아게노르였다고 한다.[8] 케페우스는 나중에 별자리 케페우스자리가 된다.
2. 2. 테게아 왕 케페우스
아르카디아 지방의 도시 테게아의 왕 알레오스와 네아이라의 아들이며, 아우게, 뤼쿠르고스[15], 히포토오스와 형제이다.[16] 20명의 아들과 딸 스테로페를 두었다.[17] 아르고나우타이의 일원이었다고도 한다.[18]
헤라클레스가 스파르타의 히포코온을 공격할 때 테게아에 원군을 요청했다. 그러나 케페우스는 이웃 나라인 아르고스의 침략을 두려워하여 처음에는 거절했다. 헤라클레스는 여신 아테나에게서 받은 고르곤의 머리카락을 스테로페에게 주어 적을 물리치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케페우스는 20명의 아들과 함께 참전했으나, 아들들과 함께 전사했다.[17]
일설에는 케페우스와 히포토오스가 헤라클레스와 아우게의 아들 텔레포스에게 살해당했다고도 한다.[16]
2. 3. 리쿠르고스의 아들 케페우스
뤼쿠르고스(알레오스의 아들)의 아들이자 앙카이오스의 형제이다.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에 참여했지만, 앙카이오스 등과 함께 아탈란테와 사냥에 나서는 것을 거부했다.[20] 이 케페우스는 테게아 왕 케페우스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3. 가계
문헌 아버지 어머니 형제 비고 일본어 위키백과 등 벨로스 안키노에 아이귑토스, 다나오스, 피네우스 아이티오피아의 왕, 카시오페이아의 남편, 안드로메다의 아버지[11] 아폴로도로스 등 알레오스 네아이라 아우게, 리쿠르고스[15], 히포토오스[16] 테게아의 왕, 20명의 아들과 1명의 딸 스테로페[17], 아르고나우타이의 일원[18] 아폴로도로스 뤼쿠르고스 앙카이오스 [20]
3. 1. 아이티오피아 왕 케페우스의 가계
케페우스는 벨루스[1], 아게노르[2] 또는 페니크스[3]의 아들로 묘사된다. 만약 벨루스가 그의 아버지였다면, 그는 닐루스의 딸인 아키로에를 어머니로, 다나오스, 아이깁토스, 그리고 피네우스를 형제로 두었다. 그는 아르고스 왕 이아소스를 통해 아르골리스 혈통과 관련된 '이아시드 케페우스'라고 불렸다.[4]
일본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케페우스는 이집트 왕 벨로스와 네일로스의 딸 안키노에의 아들로, 아이귑토스, 다나오스, 피네우스와 형제이다.[11] 그는 아이티오피아의 왕으로, 카시오페이아의 남편이자 안드로메다의 아버지이다.
3. 2. 테게아 왕 케페우스의 가계
케페우스는 아르카디아 지방의 도시 테게아의 왕 알레오스와 네아이라의 아들로, 아우게, 리쿠르고스[15], 히포토오스와 형제이다.[16] 그는 20명의 아들과 1명의 딸 스테로페를 두었다.[17] 아르고나우타이의 일원이었다고도 한다.[18]
3. 3. 리쿠르고스의 아들 케페우스의 가계
'''케페우스'''는 뤼쿠르고스(알레오스의 아들)의 아들이며, 앙카이오스와 형제 관계이다.[20]
4. 신화 속 이야기
케페우스는 페르세우스 전설에서 카시오페이아의 남편이자 안드로메다 공주의 아버지로, 안드로메다와 결혼하려 했던 피네우스의 형제로서 두드러지게 등장한다. 여러 자료에서 그의 왕국을 "에티오피아"라고 묘사하거나, 후에는 페니키아의 도시인 요파(자파)라고 묘사하는데, 이 도시는 케페우스의 아내이자 아이올로스의 딸인 이오페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5]
카시오페이아가 안드로메다가 네레이스보다 더 아름답다고 자랑하여 포세이돈을 화나게 한 사건과, 페르세우스가 안드로메다를 구출하는 과정은 "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히기누스에 따르면, 안드로메다의 약혼자는 아게노르였다고 한다.[8]
4. 1. 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
카시오페이아가 안드로메다가 네레이스보다 더 아름답다고 자랑하자, 바다의 요정들과 포세이돈이 분노했다. 포세이돈은 홍수와 바다 괴물 케토스를 보내 에티오피아를 공격하게 했다.[5] 케페우스와 카시오페이아는 아몬의 신탁을 구했고, 신탁은 안드로메다를 괴물에게 인신 제사로 바쳐야 재앙이 끝날 것이라고 했다. 왕은 신하들의 뜻에 따라 딸을 해변의 바위에 묶어 케토스에게 잡아먹히게 했다.
메두사의 머리를 가지고 돌아가던 페르세우스가 케페우스의 왕국을 지나가다가 바위에 묶여 있는 안드로메다를 발견하고 구출했다. 페르세우스는 괴물을 죽이고 안드로메다와 결혼하기로 약속한다. 케페우스와 카시오페이아는 페르세우스가 메두사의 머리를 사용하여 자신들을 음모한 피네우스와 그의 부하들을 돌로 만들자 페르세우스가 안드로메다의 남편이 되도록 허락한다.[7]
페르세우스는 장인의 궁정에서 1년 정도를 보낸 후 아내와 함께 세리포스로 떠난다. 케페우스에게는 상속자가 없었기에, 부부는 페르세스를 케페우스에게 입양시킨다.[5] 케페우스는 나중에 별자리 케페우스자리가 된다.
4. 2. 헤라클레스와 테게아 원정
헤라클레스는 스파르타의 히포코온을 공격할 때 테게아에 와서 군대에 합류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케페우스는 이웃 나라인 아르고스의 침략을 두려워하여 거절했다. 그래서 헤라클레스는 여신 아테나로부터 고르곤의 머리카락을 받아, 적을 격퇴하는 방법으로 스테로페에게 주었다. 이렇게 하여 케페우스는 20명의 아들들과 함께 전쟁에 참여했지만, 아들들과 함께 전사했다.[17]4. 3.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
뤼쿠르고스의 아들이자 앙카이오스의 형제인 케페우스는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에 참여하였다. 하지만, 앙카이오스 등 몇몇 사람들과 함께 아탈란테와 같이 사냥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거부했다.[20]5. 문화적 영향
케페우스는 페르세우스 신화에서 카시오페이아의 남편이자 안드로메다 공주의 아버지로 등장한다. 그의 왕국은 여러 자료에서 "에티오피아"나 페니키아의 도시 요파로 묘사된다.[5]
카시오페이아가 안드로메다가 네레이스보다 아름답다고 자랑하여 포세이돈의 분노를 샀고, 포세이돈은 바다 괴물 케토스를 보내 왕국을 공격하게 한다. 케페우스 부부는 아몬 신탁에 따라 안드로메다를 제물로 바치지만, 메두사를 처치하고 돌아오던 페르세우스가 안드로메다를 구출하고 결혼한다.[6] 케페우스와 카시오페이아는 페르세우스가 자신들을 음모한 피네우스와 그의 부하들을 돌로 만들자 그를 사위로 인정한다.[7]
케페우스는 아들이 없어 페르세우스의 첫째 아들 페르세스를 입양하고, 페르세스는 페르시아인에게 자신의 이름을 물려주게 된다. 케페우스는 사후 케페우스자리가 되었다.
한국에서는 케페우스자리가 관측 가능하며, 천문학 교육 및 연구 자료로 활용된다.
참조
[1]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2]
서적
Dionysiaca
[3]
서적
De astronomica
https://topostext.or[...]
[4]
서적
Phaenomena
http://www.theoi.com[...]
[5]
서적
Iope: Ἰόπη
[6]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7]
서적
Metamorphoses
[8]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9]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3-17
[10]
문서
[11]
서적
아폴로도로스
[12]
서적
아폴로도로스
[13]
서적
히ュギーヌス
[14]
서적
에라토스테네스
[15]
서적
아폴로도로스
[16]
서적
히ュギーヌス
[17]
서적
아폴로도로스
[18]
서적
아폴로도로스
[19]
서적
히ュギーヌス
[20]
서적
아폴로도로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