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트로사우루스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켄트로사우루스아과는 케라톱스과에 속하는 공룡 아과로, 뿔과 프릴 장식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2014년 기준으로 제노케라톱스, 스티라코사우루스, 켄트로사우루스 등을 포함한 여러 속이 켄트로사우루스아과로 분류되며, 파키리노사우루스족 또한 이 아과에 속한다.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분류와 종 간의 관계는 개체 변이와 성장 단계에 따라 복잡하며, 지리적으로는 북아메리카 서부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중국에서도 시노케라톱스가 발견되었다. 켄트로사우루스아과는 카스모사우루스아과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지며, 짝짓기 신호에 사용되는 기관의 발달이 늦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라톱스과 - 트리케라톱스
트리케라톱스는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거대한 두개골과 뿔이 특징이며 백악기 말기에 번성했고, 현재는 두 종으로 분류된다. - 케라톱스과 - 파키리노사우루스
파키리노사우루스는 뿔 대신 납작한 돌기가 있는 초식 공룡으로, 북아메리카에서 번성했으며 코 돌기 형태에 따라 여러 종으로 구분된다.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파키리노사우루스
파키리노사우루스는 뿔 대신 납작한 돌기가 있는 초식 공룡으로, 북아메리카에서 번성했으며 코 돌기 형태에 따라 여러 종으로 구분된다.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파키리노사우루스족
파키리노사우루스족은 2012년에 정의된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의 분지군으로,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보다 파키리노사우루스 카나덴시스에 더 가깝고 콧뿔이 혹 모양으로 진화한 아켈로우사우루스와 파키리노사우루스를 포함한다.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로마자 표기 | Kentrosauruseuakwa |
어원 | '뾰족한 도마뱀' |
명명자 | 로렌스 램 (1915년) |
모식속 |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 |
모식속 명명자 | 램, 1904년 |
화석 발견 시기 | 백악기 후기, }} |
이명 | 파키리노사우루스아과 슈테른베르크, 1950 모노클로니우스아과 놉차, 1923 |
하위 분류군 |
2. 분류
켄트로사우루스아과는 카스모사우루스아과와 함께 각룡과를 이루는 분류군이다. 2014년을 기준으로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는 다음과 같은 종들이 속해 있었다.[18]
종 |
---|
하지만,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분류와 종 간의 관계는 개체 간의 변이, 개체 발생 과정에서의 성장 단계 차이 때문에 복잡하다. 특히 프릴의 장식이나 뿔의 숫자, 배열과 같은 특징들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변이가 더 심한 것으로 밝혀졌다.
2012년 라이언(Ryan), 에반스(Evans), 셰퍼드(Shepherd)의 계통발생학적 분석과[19] 샘슨(Sampson) 외의 2013년 계통발생학적 분석에 따른 분지도는 다음과 같다.[20](켄트로사우루스아과 내의 분지군 이름은 피오릴로와 티코스키의 2012년 연구를 따랐다.[20])
{{분지군| style=font-size:90%;line-height:90%
|분류1=케라톱스과
|1={{분지군
|1=카스모사우루스아과
|분류2= '''켄트로사우루스아과'''
|2={{분지군
|1=제노케라톱스 포레모스텐시스(''Xenoceratops foremostensis'')
|2={{분지군
|1=디아블로케라톱스 에아토니(''Diabloceratops eatoni'')
|2={{분지군
|1=아바케라톱스 라메르시(''Avaceratops lammersi'')
|2={{분지군
|1=알베르타케라톱스 네스모이(''Albertaceratops nesmoi'')
|2={{분지군
|1={{분지군
|1=스피놉스 스테른베르고룸(''Spinops sternbergorum'')
|2={{분지군
|1=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Centrosaurus apertus'')
|2={{분지군
|1=코로노사우루스 브린크마니(''Coronosaurus brinkmani'')
|2=스티라코사우루스 알베르텐시스(''Styracosaurus albertensis'') }} }} }}
|분류2=파키리노사우루스족
|2={{분지군
|1=시노케라톱스 주청엔시스(''Sinoceratops zhuchengensis'')
|2={{분지군
|1=루베오사우루스 오바투스(''Rubeosaurus ovatus'')
|2={{분지군
|1=에이니오사우루스 프로쿠르비코르니스(''Einiosaurus procurvicornis'')
|분류2= 파키로스트라
|2={{분지군
|1=아켈로우사우루스 호르네리(''Achelousaurus horneri'')
|2={{분지군
|1=파키리노사우루스 카나덴시스(''Pachyrhinosaurus canadensis'')
|2=파키리노사우루스 라쿠스타이(''Pachyrhinosaurus lakustai'') }} }} }} }} }} }} }} }} }} }} }}
{{분지군| style=font-size:85%;line-height:85%
|분류1=케라톱스과
|1={{분지군
|1=카스모사우루스아과
|분류2= 켄트로사우루스아과
|2={{분지군
|1=디아블로케라톱스 에아토니(''Diabloceratops eatoni'')
|2={{분지군
|1={{분지군
|1= 아바케라톱스 라메르시(''Avaceratops lammersi'')
|2=나수토케라톱스 티투시(''Nasutoceratops titusi'') }}
|2={{분지군
|1=알베르타케라톱스 네스모이(''Albertaceratops nesmoi'')
|2={{분지군
|1={{분지군
|1={{분지군
|1=루베오사우루스 오바투스(''Rubeosaurus ovatus'')
|2=스티라코사우루스 알베르텐시스(''Styracosaurus albertensis'')}}
|2={{분지군
|1=스피놉스 스테른베르고룸(''Spinops sternbergorum'')
|2={{분지군
|1=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Centrosaurus apertus'')
|2=코로노사우루스 브린크마니(''Coronosaurus brinkmani'') }} }} }}
|분류2=파키리노사우루스족
|2={{분지군
|1={{분지군
|1=제노케라톱스 포레모스텐시스(''Xenoceratops foremostensis'')
|2=시노케라톱스 주청엔시스(''Sinoceratops zhuchengensis'') }}
|2={{분지군
|1=에이니오사우루스 프로쿠르비코르니스(''Einiosaurus procurvicornis'')
|분류2= 파키로스트라
|2={{분지군
|1=아켈로우사우루스 호르네리(''Achelousaurus horneri'')
|2={{분지군
|1=파키리노사우루스 카나덴시스(''Pachyrhinosaurus canadensis'')
|2={{분지군
|1=파키리노사우루스 라쿠스타이(''Pachyrhinosaurus lakustai'')
|2=파키리노사우루스 페로토룸(''Pachyrhinosaurus perotorum'') }} }} }} }} }} }} }} }} }} }} }}
2016년 Chiba 외 연구진은 ''루베오사우루스 오바투스''(Rubeosaurus ovatus)를 ''스티라코사우루스 알베르텐시스''(Styracosaurus albertensis)와 구별되는 종으로 보고, 켄트로사우루스족과 파키리노사우루스족으로 켄트로사우루스아과를 나누었다.[10] 그러나 2020년 Holmes 외 연구진은 ''Rubeosaurus''를 ''Styracosaurus''의 동의어로 처리하여 켄트로사우루스족을 세분하지 않았다. 이들은 켄트로사우루스아과가 계통 발생보다는 분지 발생을 통해 진화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11]
2. 1. 켄트로사우루스족
2014년에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 속한다고 분류된 종들은 다음과 같다.[18]켄트로사우루스족 |
---|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분류와 다양한 종들 간의 관계는 개체 간의 변이와 개체 발생 성장 단계로 인해 복잡하다. 프릴 장식이나 뿔의 수와 배열과 같은 특징들이 이전보다 더 가변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2017년 Chiba 외 연구진은 켄트로사우루스족 내에서 여러 개의 구별되는 분지군을 발견했는데, 이들은 함께 파키리노사우루스족의 자매군을 형성했다.[10]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는 프릴 뿔 배열의 변이가 켄트로사우루스아과를 분류하는 데 유용하다는 데 의문을 제기했다. 2020년 Holmes 외 연구진은 ''Rubeosaurus''를 ''Styracosaurus''의 동의어로 취급하여 분류 목록에서 삭제했다. 결과적으로 켄트로사우루스족은 내부에서 구별할 수 있는 자매군 관계가 없는 그룹이 되었다. 연구진은 켄트로사우루스아과가 계통 발생보다는 분지 발생을 통해 주로 진화했을 수도 있다고 결론 내렸다.[11]
파키리노사우루스족은 2012년 Fiorillo & Tykoski에 의해 ''Centrosaurus apertus''보다 ''Pachyrhinosaurus canadensis''와 더 가까운 모든 켄트로사우루스과 케라톱시드로 정의되었다.[12]
2. 2. 파키리노사우루스족
파키리노사우루스족은 2012년 피오릴로와 티코스키(Fiorillo & Tykoski)가 정의하였다. 이들은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Centrosaurus apertus)보다 ''파키리노사우루스 카나덴시스''(Pachyrhinosaurus canadensis)와 더 가까운 모든 켄트로사우루스과 케라톱시드를 포함하는 분지군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알래스카에서 발견된 ''파키리노사우루스 페로토룸''(Pachyrhinosaurus perotorum)을 설명하면서 정의되었다.[12] 이와는 별도로, 코에 보스(혹) 대신 뿔을 가진 켄트로사우루스과 공룡을 포함하는 파키로스트라(Pachyrhinosaurini)는 "''파키리노사우루스 카나덴시스''와 ''아켈로우사우루스 호르네리''(Achelousaurus horneri)를 모두 포함하는 가장 포괄적이지 않은 분지군"으로 정의된다.[13]2. 3. 계통 발생
2014년에 켄트로사우루스아과로 분류된 종들은 다음과 같다.[18]{| class="wikitable"
|-
! 종
|-
| 제노케라톱스 포레모스텐시스(''Xenoceratops foremostensis'')
|-
| 모노클로니우스 로웨이(''Monoclonius lowei'')
|-
| 코로노사우루스 브린크마니(''Coronosaurus brinkmani'')
|-
| 나수토케라톱스 티투시(''Nasutoceratops titusi'')
|-
| 스티라코사우루스 알베르텐시스(''Styracosaurus albertensis'')
|-
|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Centrosaurus apertus'')
|-
| 스피놉스 스테른베르고룸(''Spinops sternbergorum'')
|-
| 아바케라톱스 라메르시(''Avaceratops lammersi'')
|-
| 디아블로케라톱스 에아토니(''Diabloceratops eatoni'')
|-
| 알베르타케라톱스 네스모이(''Albertaceratops nesmoi'')
|-
| 메두사케라톱스 로키이(''Medusaceratops lokii'')
|-
| 파키리노사우루스족[20]
|{| class="wikitable"
|-
! 종
|-
| 시노케라톱스 주청엔시스(''Sinoceratops zhuchengensis'')
|-
| 에이니오사우루스 프로쿠르비코르니스(''Einiosaurus procurvicornis'')
|-
| 루베오사우루스 오바투스(''Rubeosaurus ovatus'')
|-
| 파키로스트라[20]
|{| class="wikitable"
|-
! 종
|-
| 아켈로우사우루스 호르네리(''Achelousaurus horneri'')
|-
| 파키리노사우루스
|
종 |
---|
파키리노사우루스 라쿠스타이(Pachyrhinosaurus lakustai) |
파키리노사우루스 페로토룸(Pachyrhinosaurus perotorum) |
파키리노사우루스 카나덴시스(Pachyrhinosaurus canadensis) |
|}
|}
|}
다음 분지도는 2012년 라이언, 에반스 그리고 셰퍼드의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따른 것이다.[19] 켄트로사우루스아과 내의 분지군 이름은 피오릴로와 티코스키의 2012년 연구를 따랐다.[20]
- 케라톱스과
- * 카스모사우루스아과
-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 제노케라톱스 포레모스텐시스(''Xenoceratops foremostensis'')
- ** 디아블로케라톱스 에아토니(''Diabloceratops eatoni'')
- ** 아바케라톱스 라메르시(''Avaceratops lammersi'')
- ** 알베르타케라톱스 네스모이(''Albertaceratops nesmoi'')
스피놉스 스테른베르고룸(''Spinops sternbergorum'')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Centrosaurus apertus'')
코로노사우루스 브린크마니(''Coronosaurus brinkmani'')
스티라코사우루스 알베르텐시스(''Styracosaurus albertensis'')
- ** 파키리노사우루스족
시노케라톱스 주청엔시스(''Sinoceratops zhuchengensis'')
루베오사우루스 오바투스(''Rubeosaurus ovatus'')
에이니오사우루스 프로쿠르비코르니스(''Einiosaurus procurvicornis'')
파키로스트라
* 아켈로우사우루스 호르네리(''Achelousaurus horneri'')
* 파키리노사우루스 카나덴시스(''Pachyrhinosaurus canadensis'')
* 파키리노사우루스 라쿠스타이(''Pachyrhinosaurus lakustai'')
아래의 분지도는 샘슨 외의 2013년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따른 것이다. 위의 분지도와 마찬가지로 켄트로사우루스아과 내의 분지군 이름은 피오릴로와 티코스키의 2012년 연구를 따랐다.[20]
- 케라톱스과
- * 카스모사우루스아과
-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 디아블로케라톱스 에아토니(''Diabloceratops eatoni'')
아바케라톱스 라메르시(''Avaceratops lammersi'')
나수토케라톱스 티투시(''Nasutoceratops titusi'')
- ** 알베르타케라톱스 네스모이(''Albertaceratops nesmoi'')
루베오사우루스 오바투스(''Rubeosaurus ovatus'')
스티라코사우루스 알베르텐시스(''Styracosaurus albertensis'')
스피놉스 스테른베르고룸(''Spinops sternbergorum'')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Centrosaurus apertus'')
코로노사우루스 브린크마니(''Coronosaurus brinkmani'')
- ** 파키리노사우루스족
제노케라톱스 포레모스텐시스(''Xenoceratops foremostensis'')
시노케라톱스 주청엔시스(''Sinoceratops zhuchengensis'')
에이니오사우루스 프로쿠르비코르니스(''Einiosaurus procurvicornis'')
파키로스트라
* 아켈로우사우루스 호르네리(''Achelousaurus horneri'')
* 파키리노사우루스 카나덴시스(''Pachyrhinosaurus canadensis'')
** 파키리노사우루스 라쿠스타이(''Pachyrhinosaurus lakustai'')
** 파키리노사우루스 페로토룸(''Pachyrhinosaurus perotorum'')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분류와 다양한 종들 간의 관계는 개체 간의 광범위한 변이와 개체 발생 성장 단계로 인해 복잡하다. 이 공룡들을 분류하는 데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던 몇 가지 특징(예: 프릴 장식이나 뿔의 수와 배열)들이 이전보다 더 가변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아래에 제시된 분지도는 2016년 Chiba 외 연구진의 계통 발생학적 분석을 따릅니다(2017).[10] 이 저자들은 ''Rubeosaurus ovatus''를 ''Styracosaurus albertensis''와 구별되는 종으로 취급했으며, 켄트로사우루스족 내에서 여러 개의 구별되는 분지군을 회수했는데, 이들은 함께 파키리노사우루스족의 자매군을 형성했다.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 디아블로케라톱스 에아토니(Diabloceratops eatoni)
- * 마카이로케라톱스(Machairoceratops cronusi)
- * 코뿔소케라톱스족
- ** 아바케라톱스 라메르시(Avaceratops lammersi) (ANSP 15800)
- ** MOR 692
- ** CMN 8804
- ** 나수토케라톱스 티투시(Nasutoceratops titusi)
- ** Malta new taxon
- * 제노케라톱스 포레모스텐시스(Xenoceratops foremostensis)
- ** 시노케라톱스 주청엔시스(Sinoceratops zhuchengensis)
- ** 웬디케라톱스(Wendiceratops pinhornensis)
- * 알베르타케라톱스 네스모이(Albertaceratops nesmoi)
- * 메두사케라톱스 로키이(Medusaceratops lokii)
- * '''진켄트로사우라'''
- ** 켄트로사우루스족
루베오사우루스 오바투스(Rubeosaurus ovatus)
스티라코사우루스 알베르텐시스(Styracosaurus albertensis)
코로노사우루스 브린크마니(Coronosaurus brinkmani)
* 스피놉스 스테른베르고룸(Spinops sternbergorum)

*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Centrosaurus apertus)
- ** 파키리노사우루스족
에이니오사우루스 프로쿠르비코르니스(Einiosaurus procurvicornis)

파키로스트라
* 아켈로우사우루스 호르네리(Achelousaurus horneri)
** 파키리노사우루스 카나덴시스(Pachyrhinosaurus canadensis)

*** 파키리노사우루스 라쿠스타이(Pachyrhinosaurus lakustai)
*** 파키리노사우루스 페로토룸(Pachyrhinosaurus perotorum)
그러나 후속 연구에서는 프릴 뿔 배열의 사소한 변이가 켄트로사우루스아과를 분류하는 데 유용하다는 데 의문을 제기했다. 특히, ''Centrosaurus apertus''와 ''Styracosaurus albertensis''의 대규모 표본 집단은 예측된 것보다 더 높은 변이성을 보였다. 2020년 Holmes 외 연구진은 이러한 다양성을 인식하는 것이 켄트로사우루스 분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연구했다. 그들은 Chiba 외 연구진의 2017년 연구와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했지만, ''Rubeosaurus''를 ''Styracosaurus''의 동의어로 취급하여 분류 목록에서 삭제했다. 결과적인 분기도(아래)는 켄트로사우루스족을 다분지군으로 발견했는데, 이는 내부에서 구별할 수 있는 자매군 관계가 없는 그룹이다. 저자들은 이것이 이러한 종 내에서 존재하는 변이가 이들 사이에서 실제적인 해답을 찾기 어렵게 만들었으며, 켄트로사우루스아과가 계통 발생(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단일 계통)보다는 분지 발생(공통 조상을 공유하는 여러 분기 계통)을 통해 주로 진화했다는 가설을 뒷받침할 수도 있다고 결론 내렸습니다.[11]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 코뿔소케라톱스족
- * 코로노사우루스 브린크마니(Coronosaurus brinkmani)
- *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Centrosaurus apertus)
- * 스피놉스 스테른베르고룸(Spinops sternbergorum) --
- * 스티라코사우루스 알베르텐시스(Styracosaurus albertensis)
- * '''파키리노사우루스족'''
- ** 에이니오사우루스 프로쿠르비코르니스(Einiosaurus procurvicornis) --
파키로스트라
* 아켈로우사우루스 호르네리(Achelousaurus horneri)
* 파키리노사우루스(Pachyrhinosaurus) --
파키리노사우루스족은 2012년 Fiorillo & Tykoski에 의해 정의되었다. 이들은 ''Centrosaurus apertus''보다 ''Pachyrhinosaurus canadensis''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모든 켄트로사우루스과 케라톱시드로 정의되었다. 이것은 알래스카의 종인 ''Pachyrhinosaurus perotorum''에 대한 설명 동안 정의되었다.[12] 보스(혹) 대신 뿔이 있는 코를 가진 켄트로사우루스과를 포함하는 대체 분지군 파키로스트라는 "''Pachyrhinosaurus canadensis''와 ''Achelousaurus horneri'' 모두를 포함하는 가장 포괄적이지 않은 분지군"으로 정의된다.[13]
3. 지리적 분포
켄트로사우루스아과 화석은 대부분 북아메리카 서부(앨버타, 몬태나 주, 알래스카)에서 발견되었다.[3] 미국에서는 ''디아블로케라톱스''와 ''마카이로케라톱스'' 두 분류군이 유타 주 남부에서도 발견되었다. 멕시코 코아우일라 주에서 발견된 코뿔소류인 ''예우에카우케라톱스''는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켄트로사우루스아과 화석이다.[3] 2010년 중국 산둥 성에서 ''시노케라톱스''가 발견되기 전까지 켄트로사우루스아과 화석은 북아메리카 서부 이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16]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시노케라톱스''를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 포함시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다른 모든 후기 백악기 공룡 무리들 또한 아시아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아시아에서 켄트로사우루스아과가 처음 발견되지 않은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16] 현재 증거에 따르면 켄트로사우루스아과는 9천만~8천만 년 전 라라미디아에서 기원했으며,[3] 가장 오래된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인 ''메네피케라톱스''의 발견으로 이 사실이 더욱 입증되었다.[14][1] 이는 ''시노케라톱스''가 북아메리카에서 중국으로 이동했음을 의미한다.[8] 일부 학자들은 켄트로사우루스아과가 남부 라라미디아에서 기원하여 나중에 북쪽으로 퍼져나갔다고 추측한다.[15]
4. 특징
카스모사우루스아과와 비교했을 때, 켄트로사우루스아과는 비교적 작다. 원시적인 종인 시노케라톱스는 예외로, 두개골 길이가 180cm로 추정된다.[16] 반면에, 알버타케라톱스의 두개골 길이는 67cm로, 이 그룹의 전형적인 크기였다.[5] 일반적으로 켄트로사우루스아과는 코뿔소 크기 정도였으며, 몸길이는 2.5m에서 8m 범위였다.[17]
5. 생식
갓 태어난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의 화석이 문헌으로 보고된 적이 있다. 연구에 의하면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은 완전히 자라기 전에는 짝짓기 신호에 사용되는 기관을 발달시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스코트 샘슨은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서 짝짓기 신호에 쓰이는 기관이 천천히 성숙하는 것과 나이와 관련된 특징들에 기반해 계층을 이루는 사회구조를 가지는 동물에서 사춘기가 길어지는 것의 공통점에 주목한다. 이런 동물들에서 젊은 수컷들은 보통 실제로 짝짓기를 하기 수 년 전에 성적으로 성숙해 있지만 짝짓기 신호에 사용되는 기관이 완전히 발달된 후에야 짝짓기를 한다. 대조적으로, 암컷은 긴 사춘기를 겪지 않는다.
가능한 유아 크기의 켄트로사우루스아과 화석이 과학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4] 스콧 D. 샘슨은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서 짝짓기 신호가 느리게 성장하는 것과 연령 관련 차이에 기초한 사회 구조가 계층적으로 정해진 동물의 연장된 청소년기 사이의 공통점을 발견했다. 이러한 종류의 집단에서 어린 수컷은 짝짓기 신호가 가장 완전히 발달되었을 때 실제로 번식을 시작하기 몇 년 전에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반면에 암컷은 그렇게 연장된 청소년기를 거치지 않는다.
참조
[1]
논문
The oldest centrosaurine: a new ceratopsid dinosaur (Dinosauria: Ceratopsidae) from the Allison Member of the Menefee Formation (Upper Cretaceous, early Campanian), northwestern New Mexico, USA
https://www.research[...]
[2]
논문
A new Maastrichtian species of the centrosaurine ceratopsid ''Pachyrhinosaurus'' from the North Slope (Prince Creek Formation: Maastrichtian) of Alaska
[3]
논문
A remarkable short-snouted horned dinosaur from the Late Cretaceous (late Campanian) of southern Laramidia
2013-09-07
[4]
논문
Craniofacial ontogeny in centrosaurine dinosaurs (Ornithischia: Ceratopsidae): taxonomic and behavioral implications
1997-11-01
[5]
논문
A new basal centrosaurine ceratopsid from the oldman formation, southeastern alberta
2007-03-01
[6]
논문
Macroevolutionary patterns in cranial and lower jaw shape of ceratopsian dinosaurs (Dinosauria, Ornithischia): phylogeny, morphological integration, and evolutionary rates
http://www.evolution[...]
2017
[7]
논문
The phylogenetic nomenclature of ornithischian dinosaurs
2021
[8]
논문
A basal ceratopsid (Centrosaurinae: Nasutoceratopsini) from the Oldman Formation (Campanian) of Alberta, Canada
2016-10-27
[9]
논문
''Lokiceratops rangiformis'' gen. et sp. nov. (Ceratopsidae: Centrosaurinae) from the Campanian Judith River Formation of Montana reveals rapid regional radiations and extreme endemism within centrosaurine dinosaurs
2024-06-20
[10]
논문
New material and systematic re-evaluation of ''Medusaceratops lokii'' (Dinosauria, Ceratopsidae) from the Judith River Formation (Campanian, Montana)
[11]
논문
Morphological variation and asymmetrical development in the skull of ''Styracosaurus albertensis''
[12]
논문
Theropod teeth from the Prince Creek Formation (Cretaceous) of northern Alaska, with speculations on Arctic dinosaur paleoecology
[13]
논문
The phylogenetic nomenclature of ornithischian dinosaurs
2021-12-09
[14]
서적
New Mexico's Fossil Record 1. Albuquerque: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Bulletin 11
2021-04-21
[15]
논문
A New Centrosaurine Ceratopsid, Machairoceratops cronusi gen et sp. nov., from the Upper Sand Member of the Wahweap Formation (Middle Campanian), Southern Utah
2016-05-18
[16]
논문
First ceratopsid dinosaur from China and its biogeographical implications
2010-06-01
[17]
서적
Dinosaurs :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2007
[18]
서적
Paleoart of Julius Csotonyi: Dinosaurs, Sabre-Tooths and Beyond
Titan Books
[19]
논문
A new ceratopsid from the Foremost Formation (middle Campanian) of Alberta
[20]
논문
A new Maastrichtian species of the centrosaurine ceratopsid ''Pachyrhinosaurus'' from the North Slope of Alask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