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스모케라톱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스모케라톱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카스모사우루스아과에 속하는 각룡류 공룡의 한 속이다. 2006년과 2007년에 유타주의 카이파로위츠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2010년 스콧 D. 섐슨에 의해 명명되었다. 코스모케라톱스는 눈 위의 뿔이 옆으로 뻗어 아래로 굽고, 프릴 가장자리에 독특한 장식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두개골의 뿔과 프릴의 기능에 대해서는 성 선택이 가장 유력한 가설로 제시되었으며, 2017년 연구에서는 이들이 피자식물을 섭취했음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스모사우루스아과 - 펜타케라톱스
    펜타케라톱스는 후기 백악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거대한 케라톱스과 각룡류 공룡으로, 3m에 달하는 두개골과 다섯 개의 뿔을 가지며, 풍부한 화석 자료를 통해 형태, 분류, 고생태학적 정보 등이 연구되고 있고, *P. sternbergii* 종을 중심으로 카스모사우루스아과 공룡들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 카스모사우루스아과 - 모조케라톱스
    모조케라톱스는 약 7650만 년 전에서 7500만 년 전 사이의 캐나다 서부에서 발견된 케라톱스과 공룡의 한 속으로, 카스모사우루스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의문명으로 간주된다.
  • 201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모조케라톱스
    모조케라톱스는 약 7650만 년 전에서 7500만 년 전 사이의 캐나다 서부에서 발견된 케라톱스과 공룡의 한 속으로, 카스모사우루스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의문명으로 간주된다.
  • 201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아비도사우루스
    아비도사우루스는 신용각류 공룡의 한 속이며, 브라키오사우루스와 티타노사우루스상과에 속한다.
  •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의 공룡 - 트리케라톱스
    트리케라톱스는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거대한 두개골과 뿔이 특징이며 백악기 말기에 번성했고, 현재는 두 종으로 분류된다.
  •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의 공룡 - 티라노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몸길이 15m에 달하는 거대한 육식 공룡으로, 강력한 턱힘과 짧은 앞다리, 긴 꼬리를 가진 최상위 포식자였으며, '수'와 '스카티' 등의 표본과 대중문화 속 인기 덕분에 그 생태와 행동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코스모케라톱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코스모케라톱스
학명Kosmoceratops
명명자샘프슨 외, 2010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아강이궁아강
하강지배파충하강
상목공룡상목
†조반목
미분류 아목†신조반류
아목†각각아목
하목†각룡하목
†케라톱스과
아과카스모사우루스아과
시간 척도
화석 범위백악기 후기,
물리적 특징
추정 몸길이약 4.5m
추정 몸무게약 1.2톤
이미지
두개골 모형 (재구성된 치골, 오른쪽 뿔, 왼쪽 얼굴 부분 포함)
종명richardsoni
명명자Sampson et al., 2010
기타 정보
발음 (IPA)/ˈkɒzməsɛrətɒps/
특징마루뼈 창문, 뼈 융기

2. 발견 및 연구사

화석 위치를 보여주는 그림 지도


유타 자연사 박물관(UMNH)과 토지 관리국은 2000년부터 그랜드 스테어케이스-에스컬란테 국립 기념물(GSENM)의 카이파로위츠 지층에 대한 고생물학적 조사를 공동으로 진행해왔다. 1996년에 화석 보존 및 연구를 위해 설립된 이 국립 기념물에서의 조사를 통해 다양한 고유한 공룡 화석이 발견되었다. 여러 기관의 현장 조사팀도 참여했으며, 이러한 협력적 노력은 카이파로위츠 분지 프로젝트라고 불렸다.[5][6]

발견된 것들 중에는 세 개의 새로운 각룡류(뿔 공룡) 분류군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는 2006년과 2007년 현장 조사 기간 동안 자원 봉사 현장 조사팀원 스콧 리처드슨에 의해 발견된 두 곳(UMNH Locality VP 890 및 951)에서 확인되었다. 이 종은 2010년 서적에서 카스모사우루스아과 각룡류로 확인되었다.[6][2] 발굴된 화석은 UMNH로 운송되어 자원 봉사자들이 공압식 에어 스크라이버와 바늘을 사용하여 준비하고 다시 조립했다.[5][4]

2010년, 고생물학자 스콧 D. 섐슨과 동료들은 새로운 과 종인 ''코스모케라톱스 리처드소니''를 명명했으며, 표본 UMNH VP 17000이 기준 표본이 되었다. 속명은 "장식된"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코스모스''와 "뿔이 있는 얼굴"을 의미하는 ''케라톱스''에서 유래되었다. 종명은 GSENM에서 기준 표본과 다른 많은 화석을 발견한 리처드슨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5] 전체 이름은 "리처드슨의 화려한 뿔이 있는 얼굴"로 번역될 수 있다.[1]

네 다리에 서 있는 공룡 골격 그림
알려진 요소를 오렌지색으로 표시한 골격도


''코스모케라톱스''의 설명자들은 같은 논문에서 새로운 카스모사우루스아과 속인 ''유타케라톱스''와 ''바가케라톱스''를 명명했다.[5] 이 속들은 해당 그룹의 전형적인 구성원에 비해 특이하다고 여겨졌으며, 21세기 초의 각룡류 발견 물결의 일부였다. 2013년 연구에서는 유효한 모든 속의 절반이 2003년 이후에 명명되었으며, 이 10년은 "각룡류 르네상스"라고 불렸다.[1][6][7] 2010년 연구 발표 보도 자료에서 섐슨은 ''코스모케라톱스''를 "뼈로 된 벨과 호루라기의 모음으로 장식된 거대한 두개골을 가진 가장 놀라운 동물 중 하나"라고 묘사했으며 GSENM을 "이 나라의 마지막 위대한, 대체로 탐험되지 않은 공룡 뼈 무덤 중 하나"로 간주했다.[1]

많은 뿔이 있는 갈색 공룡 두개골을 3가지 시각으로 보여줌
기준 표본 두개골을 사선, 위, 오른쪽 측면에서 보여줌


2017년, 미국 정부는 GSENM을 축소하여 해당 지역에서 석탄 채굴 및 기타 에너지 개발을 가능하게 할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는 역사상 미국 국립 기념물의 가장 큰 축소였다.[8][9] 섐슨은 그러한 움직임이 더 많은 발견을 위협할 것을 우려했다. 언론 매체는 ''코스모케라톱스''를 더 중요한 발견 중 하나로 강조하며 해당 지역의 화석 발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9][10][11][12] 미국 정부는 그 후 과학자, 환경 운동가 및 미국 원주민 그룹에 의해 소송을 당했으며, 2021년에는 새로운 행정부에 의해 기념물이 이전 규모로 복원되었다.[8][11][13]

3. 특징

코스모케라톱스는 다른 어떤 공룡보다도 많은 장식을 가진 두개골을 가지고 있어 이 공룡을 구분하는 특징이 된다.[51] 눈 위의 뿔은 길고 뾰족하며, 대부분의 각룡류와는 다르게 옆쪽으로 뻗어 아래로 굽어 있다. 보통 각룡류의 뿔은 앞쪽이나 뒤쪽으로 뻗어 있기 때문이다. 코 부위의 뿔은 칼날 모양으로 납작하다. 코스모케라톱스의 프릴은 너비가 길이의 두 배 정도로, 각룡류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짧다. 프릴에는 매우 작고 뒤쪽에 위치한 두 개의 구멍이 있다. 프릴의 크기와 구멍은 대개의 카스모사우루스아과 공룡들과 매우 다른데, 이들은 보통 긴 프릴을 가지고 있다. 프릴 가장자리에는 열 개의 갈고리 모양 장식이 튀어나와 있는데, 이 중 여덟 개는 앞쪽으로 굽어 프릴을 내려다보고 있으며, 나머지 두 개는 프릴 양쪽 옆에 위치하여 바깥쪽으로 굽어 있다. 코스모케라톱스는 총 열다섯 개의 뿔 또는 뿔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두개골 장식이 매우 화려하다.[51]

Silhouette of a man next to a silhouette of a dinosaur
인간과 비교한 크기


Computer rendering of a gray, quadrupedal dinosaur with many horns
생체 복원


Drawing of a dinosaur skull withy many horns from above and the side
Diagram showing the skull from above and the left side


코스모케라톱스는 몸길이가 4.5m이고 무게가 1.2MT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7][5] 케라톱스과 공룡으로서 튼튼한 골격, 큰 골반, 그리고 상대적으로 짧은 꼬리를 가진 사족보행을 했을 것이다. 이빨이 없는 부리 뒤에는 수백 개의 이빨을 포함하는 복잡한 절단 치열을 형성하는 긴 주 치열이 있었다.[17][5] 코스모케라톱스의 위턱 앞부분은 삼각형이었고, 가장 앞쪽의 부리 뼈는 뾰족했으며, 끝부분은 앞으로 아래로 튀어나와 있었다. 비강 핵(코 뿔이 자라는 뼈 돌출부)은 측면에서 길고 좁은 바닥과 평평한 윗부분을 가진 칼날 모양이라는 점에서 카스모사우루스아과 중에서 특이했다. 비강 핵의 전체적인 모양은 사각형이었고, 주둥이 뒤쪽에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해 있었다.[5][18]

안와(눈 구멍) 주변 영역은 독특했다. 대부분의 카스모사우루스아과는 앞이나 뒤로 향하는 눈 위 뿔을 가지고 있었지만, 코스모케라톱스와 유타케라톱스는 현대의 들소와 비슷하게 위쪽과 옆쪽으로 향하는 뿔을 가지고 있었다. 유타케라톱스의 짧고 뭉툭한 뿔에 비해, 코스모케라톱스의 뿔은 더 길고 가늘었으며, 위로 굽었다가 아래로 굽어 뾰족한 끝으로 끝났다. 안와 바로 앞과 가운데, 두개골 천장에는 혹이 있었는데, 이는 디아블로케라톱스와 같은 다른 케라톱스과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카스모사우루스를 제외한 카스모사우루스아과에게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비교적 큰 상악골("뺨 뿔")을 가지고 있었다. 측두창(두개골 측면의 열림)은 키가 크고 좁았다.[5][18]

코스모케라톱스의 목깃은 매우 파생("진화된")되었으며, 바가케라톱스와 몇 가지 특징을 공유했다. 목깃은 앞뒤로 짧고, 뒤쪽에 작은 두정골창(목깃을 통과하는 열림)이 있으며, 목깃의 뒤쪽 가장자리에 10개의 갈고리 모양 골성 부착물(케라톱스과에서 뿔을 형성하고 목깃 가장자리를 따라 늘어선 부속 골화)이 존재한다. 코스모케라톱스의 목깃은 바가케라톱스보다 더 극단적이었다. 너비는 길이의 약 두 배였고, 두정골창은 훨씬 작고 더 뒤쪽에 위치했으며, 뒤쪽 가장자리에 더 길고 뚜렷한 골성 부착물이 있었다.[5][18]

코스모케라톱스의 비늘뼈에 있는 골성 부착물은 목깃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커졌다. 목깃 뒤쪽 가장자리에는 측면당 5개의 잘 발달된 골성 부착물이 있었다. 두정골에는 3개의 앞으로 굽은 두정골상돌기, 두정골과 비늘뼈 사이의 경계에는 1개의 앞으로 굽은 두정골상비늘뼈, 측면과 아래쪽으로 향하는 비늘뼈에는 1개의 비늘골상돌기가 있었다. 앞으로 굽는 두정골상돌기는 뚜렷한 고랑이 있었고, 기저부가 융합되었다.[5][18]

2013년 연구에서 코스모케라톱스와 유타케라톱스의 뼈 조직을 조직학적으로 연구한 결과, 지속적인 빠른 성장을 나타내는 특징들이 발견되었다. 이는 각룡류가 현대의 조류와 포유류처럼 신진대사가 높고 항온성 내온성 동물("온혈")이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연구된 코스모케라톱스 표본은 아성체에서 성체였음이 확인되었다.[30]

2017년 연구에서는 카이파로위츠 층에서 발견된 두 개의 분변 화석(화석화된 배설물)을 통해 코스모케라톱스를 포함한 각룡류가 피자식물 나무 조각을 섭취했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이는 공룡이 피자식물에 적응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발견이다. 분변 화석에는 식물 재료와 함께 섭취되었을 수 있는 연체동물 껍질, 절지동물 큐티클, 도마뱀 뼈의 흔적도 포함되어 있었다.[31]

3. 1. 두개골 장식의 기능

코스모케라톱스의 두개골은 매우 화려한 장식이 특징인데, 이는 포식자 방어, 종 인식, 온도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 학자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장식이 생식 성공과 관련된 성 선택, 즉 이성을 유혹하거나 동성 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과시용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33]

코스모케라톱스를 포함한 각룡류의 뿔과 프릴은 짝짓기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수컷 소과 동물의 뿔이 짝짓기 경쟁에 사용되고 암컷의 뿔이 주로 방어에 사용되는 것처럼, 각룡류의 뿔과 프릴도 비슷한 기능을 했을 수 있다.[33]

일부 학자들은 각룡류의 "기괴한 구조"가 주로 종 인식에 사용되었다고 주장했지만,[32] 다른 학자들은 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각룡류는 코 뿔, 눈썹 뿔, 프릴 등 다양한 장식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종 인식만을 위해서라면 불필요하게 복잡하다는 지적이 있다.[34] 또한, 각룡류의 장식이 종 인식보다는 성 선택과 더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었다.[35]

2015년 연구에서는 코스모케라톱스의 프릴 복잡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 밝혀졌으며, 이는 장식의 복잡성이 신체 크기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장식의 모양보다는 크기가 성 선택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시했다.[36]

4. 계통 발생



다음은 2010년 샘슨(Sampson) 외의 연구에 따른 분지도이다.[51]

{| class="wikitable"

|-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



|-

|

{| class="wikitable"

|-

! 모조케라톱스 페리파니아

|-

|

{| class="wikitable"

|-

! 아구자케라톱스 마리스칼렌시스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코아후일라케라톱스 마그나쿠에르나

|-

|

{| class="wikitable"

|-

|

코스모케라톱스 리카르드소니
바가케라톱스 이르비넨시스



|-

|

{| class="wikitable"

|-

! 안키케라톱스 오르나투스

|-

|

{| class="wikitable"

|-

! 아르히노케라톱스 브라키옵스

|-

|

{| class="wikitable"

|-

! 오조케라톱스 포울러리

|-

! 에오트리케라톱스 제린술라리스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네도케라톱스 하처리

|-

|



|}

|}

|}

|}

|}

|}

|}

|}

|}

|}

휴식을 취하는 뿔 달린 거대한 공룡이 작은 깃털 달린 공룡을 바라본다
휴식을 취하는 ''코스모케라톱스''가 트로오돈과의 ''탈로스''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


2013년 석사 논문(2019년 다른 저자들의 발표 논문에서 요약[29])에서 고생물학자 캐롤린 게일 레비트(Carolyn Gale Levitt)는 뼈 미세 구조에서 성장과 성숙의 지표를 조사하기 위해 ''코스모케라톱스''(성체 홀로타입의 대퇴골과 지정된 아성체 또는 성체 UMNH VP 21339)와 ''유타케라톱스''의 긴 뼈를 조직학적으로 연구했다. 뼈 조직에는 다수의 골세포와 반경 방향의 혈관(뼈 내부로 뻗어 있는 혈관)을 포함한 조밀한 혈관 네트워크가 있어 지속적인 빠른 성장을 나타냈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각룡류가 현대의 조류와 포유류처럼 신진대사가 높고 항온성 내온성 동물(또는 "온혈")이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레비트가 샘플링한 ''코스모케라톱스''와 ''유타케라톱스'' 뼈는 성장 정지선(연간 성장선)의 증거를 보이지 않았다. 성장선을 가진 북쪽의 각룡과 ''파키리노사우루스'', ''센트로사우루스'', ''에이노사우루스''와 비교했을 때, 이는 뼈 성장이 기후에 반응하고 ''코스모케라톱스''와 ''유타케라톱스''가 더 공정한 남쪽 기후로 인해 일년 내내 성장을 유지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성장선이 없다는 것은 ''코스모케라톱스''와 ''유타케라톱스'' 표본의 개체 연령을 추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레비트는 조사된 ''코스모케라톱스'' 표본이 아성체에서 성체였음을 확인하여, 2011년 Fowler와 동료들이 이것이 미성숙한 ''바가케라톱스''를 나타낸다는 주장을 기각했다. 그녀는 또한 가장 큰 ''코스모케라톱스''와 ''유타케라톱스''가 성체였으므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유체라는 것을 배제했다.[30]

2017년 석사 논문에서 고생물학자 니콜 마리 리지웰(Nicole Marie Ridgwell)은 카이파로위츠 층에서 두 개의 분변 화석(화석화된 배설물)을 묘사했는데, 그 크기로 보아 각룡류(''코스모케라톱스'' 포함), 하드로사우루스, 또는 곡룡류(세 그룹 중 가장 희귀) 중 하나가 생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분변 화석에는 피자식물 나무 조각이 들어 있었는데, 이는 나무질 먹이를 먹었음을 나타낸다. 이전에는 공룡이 피자식물을 섭취한다는 증거가 거의 없었지만, 이 분변 화석은 공룡이 이에 적응했음을 보여준다(피자식물은 초기 백악기에 흔해지기 시작하여 후기 백악기에 다양화됨). 분변 화석에는 또한 식물 재료와 함께 섭취되었을 수 있는 연체동물 껍질, 절지동물 큐티클, 도마뱀 뼈의 흔적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들은 구과 식물 나무가 들어 있는 다른 초식 동물의 분변 화석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리지웰은 각룡류와 하드로사우루스의 치아 해부학(계속 교체되는 이빨로 구성된 치아 배터리)이 많은 양의 섬유질 식물을 처리하도록 적응되었다고 지적했다. 분변 화석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식단은 카이파로위츠 층 생태계 초식 동물의 생태적 지위 분화 또는 식단에 계절적 변화가 있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31]

5. 고생물학

코스모케라톱스는 뼈 조직 연구를 통해 빠른 성장 속도와 높은 신진대사를 가진 온혈 동물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뼈 조직에는 다수의 골세포와 혈관이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어, 지속적인 빠른 성장을 나타낸다. 이는 현생 조류나 포유류와 유사한 특징이다.[30]

카이파로위츠 지층에서 발견된 분변 화석은 코스모케라톱스를 포함한 각룡류의 식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이 분변 화석에서는 피자식물 나무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각룡류가 나무질 먹이를 섭취했음을 의미한다. 이전에는 공룡이 피자식물을 섭취했다는 증거가 부족했지만, 이 발견으로 공룡이 피자식물에 적응했음을 알 수 있다. 분변 화석에는 식물 재료와 함께 섭취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연체동물 껍질, 절지동물 큐티클, 도마뱀 뼈의 흔적도 포함되어 있었다.[31]

참조

[1] 웹사이트 Amazing horned dinosaurs unearthed on "lost continent" https://web.archive.[...] 2010
[2] 서적 New Perspectives on Horned Dinosaurs: The Royal Tyrrell Museum Ceratopsian Symposium Indiana University Press
[3] 논문 Nasutoceratops titusi (Ornithischia, Ceratopsidae), a basal centrosaurine ceratopsid from the Kaiparowits Formation, southern Utah 2016
[4] 논문 Dinosaurs of the lost continent 2012
[5] 논문 New horned dinosaurs from Utah provide evidence for intracontinental dinosaur endemism 2010
[6] 서적 At the Top of the Grand Staircase: The Late Cretaceous of Southern Utah Indiana University Press
[7] 논문 Ceratopsia increase: history and trends 2013
[8] 뉴스 Trump orders largest national monument reduction In U.S. history https://www.npr.org/[...] 2017
[9] 뉴스 Remarkable dinosaur discoveries under threat with Trump plan to shrink national monument in Utah, scientists say https://www.latimes.[...] 2017
[10] 뉴스 Why are palaeontologists suing Trump? https://www.theguard[...] 2017
[11] 웹사이트 What shrinking fossil-rich national monuments means for science https://www.smithson[...] 2017
[12] 논문 Science and politics collide over Bears Ears and other national monuments https://www.science.[...] 2017
[13] 웹사이트 The Wilderness Society et al.v. Trump et al. (Grand Staircase–Escalante) https://www.nrdc.org[...] 2020-04-10
[14] 논문 Systematics of Chasmosaurus – new information from the Peabody Museum skull, and the use of phylogenetic analysis for dinosaur alpha taxonomy 2015
[15] 논문 A re-evaluation of the chasmosaurine ceratopsid genus Chasmosaurus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Upper Cretaceous (Campanian) Dinosaur Park Formation of Western Canada 2016
[16] 논문 Transitional evolutionary forms in chasmosaurine ceratopsid dinosaurs: evidence from the Campanian of New Mexico 2020
[17]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논문 The horned dinosaurs Pentaceratops and Kosmoceratops from the upper Campanian of Alberta and implications for dinosaur biogeography 2014
[19] 논문 Variation in the skull of Anchiceratops (Dinosauria, Ceratopsidae) from the Horseshoe Canyon Formation (Upper Cretaceous) of Alberta 2011
[20] 논문 A new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Javelina Formation (Maastrichtian) of West Texas and implications for chasmosaurine phylogeny 2013
[21] 논문 Titanoceratops ouranos, a giant horned dinosaur from the late Campanian of New Mexico 2011
[22] 논문 A re-evaluation of the chasmosaurine ceratopsid Chasmosaurus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Upper Cretaceous (Campanian) Dinosaur Park Formation of Western Canada https://curve.carlet[...] Carleton University 2019-06-30
[23] 논문 Temporal range extension and evolution of the chasmosaurine ceratopsid 'Vagaceratops' irvinensis (Dinosauria: Ornithischia) in the Upper Cretaceous (Campanian) Dinosaur Park Formation of Alberta 2019
[24] 논문 Reassessing ceratopsid diversity using unified frames of reference 2011
[25] 논문 A new horned dinosaur reveals convergent evolution in cranial ornamentation in Ceratopsidae 2015
[26] 논문 New specimens of horned dinosaurs from the Aguja Formation of West Texas, and a revision of Agujaceratops 2016
[27] 논문 Spiclypeus shipporum gen. et sp. nov., a boldly audacious new chasmosaurine Ceratopsid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Judith River Formation (Upper Cretaceous: Campanian) of Montana, USA 2016
[28] 논문 Transitional evolutionary forms in chasmosaurine ceratopsid dinosaurs: evidence from the Campanian of New Mexico 2020
[29] 논문 Filling in gaps in the ceratopsid histologic database: histology of two basal centrosaurines and an assessment of the utility of rib histology in the Ceratopsidae 2019
[30] 논문 Bone histology and growth of chasmosaurine ceratopsid dinosaurs from the late Campanian Kaiparowits Formation, Southern Utah https://collections.[...] University of Utah 2019-06-25
[31] 논문 Description of Kaiparowits coprolites that provide rare direct evidence of angiosperm consumption by dinosaurs https://scholar.colo[...] 2019-06-30
[32] 논문 The evolution of 'bizarre structures' in dinosaurs: biomechanics, sexual selection, social selection or species recognition? 2011
[33] 논문 Bizarre structures in dinosaurs: species recognition or sexual selection? A response to Padian and Horner http://doc.rero.ch/r[...] 2019-06-25
[34] 논문 The 'species recognition hypothesis' does not explain the presence and evolution of exaggerated structures in non-avialan dinosaurs https://semanticscho[...] 2013
[35] 논문 Patterns of divergence in the morphology of ceratopsian dinosaurs: sympatry is not a driver of ornament evolution 2018
[36] 논문 Cope's rule and the universal scaling law of ornament complexity 2015
[37] 논문 40Ar/39Ar age of the Kaiparowits Formation, southern Utah, and correlation of contemporaneous Campanian strata and vertebrate faunas along the margin of the Western Interior Basin 2005
[38] 논문 Revised geochronology, correlation, and dinosaur stratigraphic ranges of the Santonian-Maastrichtian (Late Cretaceous) formations of the Western Interior of North America 2017
[39] 서적 At the Top of the Grand Staircase: The Late Cretaceous of Southern Utah Indiana University Press
[40] 논문 Late Cretaceous stratigraphy and vertebrate faunas of the Markagunt, Paunsaugunt, and Kaiparowits plateaus, southern Utah 2016
[41] 논문 A new southern Laramidian ankylosaurid, ''Akainacephalus johnsoni'' gen. et sp. nov., from the upper Campanian Kaiparowits Formation of southern Utah, USA 2018
[42] MSc thesis Campanian ooassemblages within the Western Interior Basin: eggshell from the Upper Cretaceous Kaiparowits Formation of Grand Staircase–Escalante National Monument, UT https://www.semantic[...] Department of Museum and Field Studies, University of Colorado 2019-07-05
[43] 서적 At the Top of the Grand Staircase: The Late Cretaceous of Southern Utah Indiana University Press
[44] 서적 New Perspectives on Horned Dinosaurs: The Royal Tyrrell Museum Ceratopsian Symposium Indiana University Press
[45] 논문 Mountain building triggered Late Cretaceous North American megaherbivore dinosaur radiation 2012
[46] 논문 Late Cretaceous dinosaur biogeography and endemism in the Western Interior basin, North America: A critical re-evaluation https://www.research[...] 2016
[47] 논문 New Horned Dinosaurs from Utah Provide Evidence for Intracontinental Dinosaur Endemism http://www.plosone.o[...] 2010
[48] 뉴스 Amazing Horned Dinosaurs Unearthed on 'Lost Continent'; New Discoveries Include Bizarre Beast With 15 Horns http://www.scienceda[...] 2010-09-22
[49] 서적 At the Top of the Grand Staircase: The Late Cretaceous of Southern Utah Indiana University Press
[50] 웹사이트 Presidential Proclamation: Establishment of the Grand Staircase-Escalante National Monument http://geology.utah.[...] 2013-11-09
[51] 논문 New Horned Dinosaurs from Utah Provide Evidence for Intracontinental Dinosaur Endemism http://www.plosone.o[...]
[52] 뉴스 Amazing Horned Dinosaurs Unearthed on 'Lost Continent'; New Discoveries Include Bizarre Beast With 15 Horns http://www.scienceda[...] 2010-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