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가케라톱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가케라톱스는 백악기에 살았던 작은 크기의 원시각룡과 공룡이다. 몽골 고비 사막에서 화석이 처음 발견되었으며, 몸길이는 약 1미터, 몸무게는 22kg 정도로 추정된다. 프로토케라톱스와 유사하게 부리와 뿔이 없는 형태이며, 턱에는 어금니와 비슷한 이빨이 있었다. 바가케라톱스는 몽골의 바룬 고요트 층과 바얀 만다후 층에서 주로 발견되며, 초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케찰코아틀루스
케찰코아틀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날개폭 11m에 달하는 아즈다르크과 익룡으로, 아즈텍 신화의 신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단편적인 화석으로 발견되어 형태와 생태 연구가 진행 중이고 다양한 복원도와 모형으로 대중에게 알려져 있다. - 197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그라킬리케라톱스
그라킬리케라톱스는 몽골에서 발견된 몸집이 작고 가느다란 특징을 가진 신각룡류 각룡으로, 얇고 길쭉한 어깨뼈와 튼튼한 다리뼈를 가지며 백악기 후기에 다양한 식물을 섭취한 초식 공룡이고, 동아시아 각룡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 각룡하목 - 프시타코사우루스
프시타코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 아시아에 살았던 앵무새 부리 모양의 특징을 가진 조반류 공룡 속으로, 다양한 종과 풍부한 화석 자료를 통해 생태 및 진화 연구에 기여한다. - 각룡하목 - 인롱
인롱은 약 1억 6천만 년 전 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초기 각룡류 공룡으로, 쥐라기 지층에서 발견되었다는 점과 위석을 가지고 있었다는 특징을 가진다. - 백악기 후기 아시아의 공룡 - 벨로키랍토르
벨로키랍토르는 백악기 후기 동아시아에 서식한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의 공룡으로, 날렵한 몸놀림과 낫 모양의 발톱을 이용해 사냥했으며, 깃털 공룡이었고, 프로토케라톱스와 싸우는 화석을 통해 생태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지만, 영화 쥬라기 공원의 묘사는 실제와 차이가 있다. - 백악기 후기 아시아의 공룡 - 오비랍토르
오비랍토르는 약 7,500만 년 전 몽골 고비 사막에 서식했으며, 알 도둑이라는 이름과 달리 자신의 알을 품고 죽은 화석이 발견되어 현재는 잡식성으로 추정되고 튼튼한 턱과 볏을 가진 중소형 수각류 공룡이다.
바가케라톱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크기 | 1 ~ 1.5m |
무게 | 22.7 ~ 45kg |
과학적 분류 | |
계 | 진핵생물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아강 | 이궁아강 |
하강 | 지배파충하강 |
상목 | 공룡상목 |
목 | †조반목 |
미분류 아목 | †신조반류 |
아목 | †주두아목 |
하목 | †각룡하목 |
류 | 각룡류 |
과 | †프로토케라톱스과 |
속 | †바가케라톱스속 (Bagaceratops) |
학명 | |
속명 | Bagaceratops |
명명자 | Maryanska & Osmolska |
종 | B. rozhdestvenskyi |
종 명명자 | Maryanska&Osmolska (타입종) |
하위 분류 | |
학명 이명 | Gobiceratops minutus Alifanov, 2008 Lamaceratops tereschenkoi Alifanov, 2003 Magnirostris dodsoni You & Dong 2003 Platyceratops tatarinovi Alifanov, 2003 |
생물학적 정보 | |
화석 범위 | 백악기 후기, ~ |
2. 특징
바가케라톱스는 다섯 개의 완전한 두개골과 두 개의 부분적으로 보존된 두개골로부터 알려졌는데, 가장 큰 것의 길이는 17cm이다. 두개골은 바가케라톱스 생애의 전 시기에 걸쳐있는데, 가장 작은 것의 길이는 4.7cm에 불과하며 성장 과정은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어린 바가케라톱스의 두개골은 골프공 정도의 크기이다.[49] 두개골을 제외한 부분의 화석은 아주 불완전하게 보존된 것만 소수 알려져 있다.[49]
바가케라톱스는 성체의 몸길이가 1m, 키가 50cm 정도였으며 약 22kg 정도의 몸무게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프릴은 작았고 위아래 턱에 각각 열 개 씩의 어금니와 비슷한 이를 가지고 있었으며 프로토케라톱스보다 더 삼각형에 가까운 얼굴을 가지고 있었다.[49]
바가케라톱스는 비교적 늦게 진화했지만 초기 각룡류인 프로토케라톱스의 원시적인 특징들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49] 바가케라톱스와 프로토케라톱스는 매우 비슷하게 생겼는데, 둘 다 부리는 있고 이마의 뿔은 없었으며 주둥이에 뿔 비슷하게 튀어나와 있는 부위가 있었다.
''바가케라톱스''는 작은 크기의 원시각룡과 공룡으로, 성체의 길이가 약 1m에서 1.5m에 달했고,[14][5] 몸무게는 ''마기노스트리스''를 기준으로 22.7kg에서 45kg 정도였다.[15] 이 공룡은 가까운 친척인 ''원시각룡''보다 작고, 약 10개의 분쇄 치아가 턱에 있으며, 두개골이 더 삼각형 모양의 프릴을 가지고 있었다. ''바가케라톱스''와 ''원시각룡''은 (주로 몸통 골격에서) 매우 유사했지만, ''바가케라톱스''는 훨씬 진화된 두개골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바가케라톱스''는 원시적인 전상악골 치아가 없고, 쌍을 이루는(융합된) 비골을 가지고 있었으며, 상악골에 타원형의 창(구멍)이 발달했는데, 이는 부속 안와전공이라고도 알려져 있다.[1][13]
3. 발견과 종
1970년대 폴란드-몽골 고생물학 탐험대 동안, 고비 사막 바룬 고요트 층의 헤르민 차브 지역에서 풍부한 원시각룡류 표본이 발견되었다. 이 화석들은 폴란드 과학 아카데미 고생물학 연구소에 보관되었다. 1975년, 탐험대의 주요 과학자인 테레사 마리안스카와 할스카 오스몰스카는 ''바가케라톱스 로제스트벤스키''를 명명했다. 모식표본은 '''ZPAL MgD-I/126'''이며, 중간 크기의 두개골로 구성되어 있다. 속명 ''바가케라톱스''는 "작은 뿔 얼굴"을 의미하며, 몽골어 ''baga''(작은)와 고대 그리스어 ''ceratops''(뿔 얼굴)에서 파생되었다. 종명 ''B. rozhdestvenskyi''는 러시아 고생물학자 아나톨리 콘스탄티노비치 로제스트벤스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1]
어린 개체는 처음에 ''Protoceratops kozlowskii''로 명명되었고,[1] 1990년 Kurzanov에 의해 ''Breviceratops kozlowskii''로 재명명되었으나,[7] 어린 ''Bagaceratops''로 여겨진다. 폴 세레노는 2000년에 어린 ''Breviceratops''가 성장하여 성체 ''Bagaceratops''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8]
2003년 러시아 고생물학자 블라디미르 R. 알리파노프는 바룬 고요트 지층에서 ''Lamaceratops tereschenkoi''와 ''Platyceratops tatarinovi''를 명명하고, Bagaceratopidae 과를 만들었다.[9] 같은 해, 유 하이루와 둥 즈밍은 내몽골 바얀 만다후 지층에서 ''Magnirostris dodsoni''를 기술했다.[10] 2006년 Mackovicky는 이들이 ''Bagaceratops''의 주니어 동의어라고 간주했다.[11]
2008년 알리파노프는 바룬 고요트 지층에서 ''Gobiceratops minitus''를 기술했다.[12] 2019년, 우카쉬 체핀스키는 ''Gobiceratops minutus'', ''Lamaceratops tereschenkoi'', ''Platyceratops tatarinovi'' 및 ''Magnirostris dodsoni''가 ''B. rozhdestvenskyi''의 성장 단계이며 주니어 동의어라고 결론지었다.[13]
3. 1. 추가 표본
최초의 바가케라톱스 화석은 1970년대 몽골과 폴란드 과학자들로 구성된 탐험대에 의해 고비 사막에서 발견되었으며, 탐험을 이끌었던 두 명의 과학자인 테레사 마리안스카와 할스카 오스몰스카에 의해 1975년에 보고되었다.[49] 이 중 몇몇 바가케라톱스 표본들은 폴란드의 바르샤바에 있는 고생물학 연구소에 보관되어 있다.[49]
어린 바가케라톱스의 표본은 처음에 프로토케라톱스 코즐로우스키(''Protoceratops kozlowskii'')로 명명되었다가 1990년에 쿠르자노프가 브레비케라톱스 코즐로우스키(''Breviceratops kozlowskii'')로 재명명했으나 지금은 어린 바가케라톱스로 간주되고 있다. 폴 세레노는 2000년에 어린 형태인 브레비케라톱스가 다 자라면 바가케라톱스가 되는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모식종이며 유일한 종인 ''B. rozhdestvenskyi''는 러시아 고생물학자 아나톨리 콘스탄티노비치 로즈데스트벤스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1993년, 일본-몽골 고생물학 공동 탐험대는 헤르민 차브(Hermiin Tsav) 지역의 바룬 고요트 층에서 거의 완전한 ''바가케라톱스'' 골격(MPC-D 100/535)을 수집했다.[2] 2010년과 2011년에는 이 표본을 조사하여 관절 부위에 무척추 동물 청소부가 남긴 여러 개의 굴착공(터널 모양의 구멍)을 분석했다.[3][4] 2019년 현재, MPC-D 100/535는 아직 대부분 기술되지 않았다.[5]
2019년, 김빛나라와 동료들은 ''바가케라톱스''의 부분 골격(표본 KID 196)을 기술했는데, 이들은 두개골의 해부학적 구조와 빗장뼈의 모양과 위치를 제외하고는 ''프로토케라톱스''와 이전 골격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점이 없다고 언급했다. 이 표본은 2007년 바룬 고요트 지층의 헤르민 차브 지역에서도 발견되었으며, 부분적으로 보존된 두개골과 성체의 부분 골격을 포함하고 있다.[5]
2020년, 체핀스키(Czepiński)는 각각 우딘 사르(Udyn Sayr)와 자민 콘드(Zamyn Khond) 지역의 자도크타 지층에서 새로운 ''바가케라톱스''와 ''프로토케라톱스'' 표본을 기술하고, 후자의 지층의 화석 지역 상관관계에 대한 이 표본의 의미를 평가했다. 그는 특히 이 표본 중 하나인 MPC-D 100/551B를 ''프로토케라톱스 앤드류시''(Protoceratops andrewsi)에서 ''바가케라톱스 로즈데스트벤스키이''(Bagaceratops rozhdestvenskyi)로의 유사분화 전환의 잠재적인 증거로 간주했다.[6]
4. 분류
바가케라톱스는 백악기에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서 번성했던 앵무새 같은 부리를 가진 초식성 공룡 그룹인 각룡류에 속한다. 6600만년 전에 백악기가 끝나면서 각룡류는 모두 멸종했다.[1]
2019년 체핀스키는 바가케라톱스(''Bagaceratops'')와 브레비케라톱스(''Breviceratops'')에 할당된 다수의 표본을 분석하여 대부분이 실제로는 전자의 표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비록 고비케라톱스(''Gobiceratops''), 라마케라톱스(''Lamaceratops''), 마그니로스트리스(''Magnirostris''), 플라티케라톱스(''Platyceratops'') 속이 오랫동안 유효하고 뚜렷한 분류군으로 간주되었고 때때로 프로토케라톱스과(Protoceratopsidae)에 속했지만, 체핀스키는 이러한 분류군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진단 특징이 대부분 ''바가케라톱스''에 나타나며 따라서 이 속의 동의어가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추론에 따라 프로토케라톱스과는 ''바가케라톱스'', ''브레비케라톱스'', ''프로토케라톱스''로 구성된다. 전상악 치아의 유무, 안와전창(antorbital fenestra)과 같은 두개골 특징에 기초하여 ''P. andrewsi''는 가장 기저적인 프로토케라톱스과이고 ''바가케라톱스''는 가장 파생된 프로토케라톱스과이다.[2]
프로토케라톱스과 내의 계통 발생 관계는 다음과 같다.[2]
- 프로토케라톱스과
- * 프로토케라톱스 앤드루시
- * 프로토케라톱스 헬레니코리누스
- * 브레비케라톱스
- * '''바가케라톱스'''
5. 고생태
바가케라톱스는 다른 각룡류와 마찬가지로 초식 동물이었을 것이다. 백악기 동안 속씨식물은 "지리적으로 제한된 지역에만 분포"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 공룡은 당시에 번성했던 식물인 양치류, 소철류, 그리고 침엽수 등을 먹었던 것으로 보인다. 바가케라톱스는 날카로운 부리를 가지고 잎을 뜯어먹었을 것이다.[18][13]
5. 1. 바룬 고요트 층
바룬 고요트 지층은 퇴적물을 기반으로 후기 백악기 시대(중기-후기 캄파니아절)로 여겨지며, ''바가케라톱스''가 알려진 대부분의 화석이 이 지층에서 발견되었다.[18][13] 이 지층은 주로 일련의 적색층으로 특징지어지며, 대부분 밝은 색의 사암(황색, 회색-갈색, 드물게 적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부적으로 굳어져 있다. 모래질 점토암(종종 적색), 실트암, 역암 및 사암 내 대규모 홈통 사층리 또한 이 지층에서 흔히 발견된다. 또한 무구조, 중립질, 세립질 및 매우 세립질 사암이 바룬 고요트 지층의 퇴적물에서 우세하다. 이 지층의 퇴적물은 상대적으로 사막 기후에서 반사막 기후 환경 하의 충적 평원(고지대 강에 의해 퇴적된 퇴적물로 구성된 평탄한 땅), 호성 및 풍성 고환경에서 퇴적되었다.[16][17][18]''바가케라톱스''는 바룬 고요트 지층에서 가장 흔한 분류군이며,[1][13] 여기에는 안킬로사우루스과의 ''사이차니아'', ''타르키아'' 및 ''자라아펠타'',[19][20] 알바레즈사우루스과의 ''쿨사누루스'' 및 ''파르비쿠르소르'',[21] 조류 ''고비피푸스'', ''고비프테릭스'' 및 ''홀란다'',[22] 동종 원시각룡과의 ''브레비케라톱스'',[13]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의 ''쿠루''와 ''슈리'',[23][24] 할슈카랍토르아과의 ''훌산페스'',[25] 후두류의 ''틸로케팔레'',[26] 그리고 오비랍토르과의 ''콘코랍토르'', ''헤유안니아'' 및 ''네메그토마이아''를 포함한 다른 많은 척추동물들이 서식했다.[27][28] 다른 분류군으로는 대형동물 티타노사우루스인 ''퀘시토사우루스'',[29] 그리고 다양한 포유류와 유린목이 있다.[30][31][32]
5. 2. 바얀 만다후 층
바가케라톱스의 일종인 ''마그니로스트리스''(현재는 ''바가케라톱스''의 동의어)가 발견된 바얀 만다후 지층은 캄파니절에 해당하는 백악기 후기 지층으로 여겨진다. 주요 암상은 적갈색의 경화가 잘 되지 않은 세립질 사암이며, 일부 역암과 칼리쉬도 존재한다. 다른 퇴적상으로는 충적 (수류 퇴적) 및 풍성 (풍력 퇴적) 퇴적물이 있다. 바얀 만다후의 퇴적물은 반건조 기후 하에 사구 지형과 혼합된 충적 평원 위에 있는 짧은 수명의 강과 호수에 의해 퇴적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지층은 생동감 있는 자세로 보존된 척추동물 화석으로 유명하며, 대부분은 구조화되지 않은 사암에 보존되어 있어 급격한 매몰이 있었음을 시사한다.[33][34]이 지층에서는 근연종인 프로토케라톱스과 ''프로토케라톱스'',[35] 안킬로사우루스과 ''피나코사우루스'',[36][37] 알바레즈사우루스과 ''린헤니쿠스'',[38]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린헤랍토르''와 ''벨로키랍토르'',[39][40] 오비랍토르과 ''마카이라사우루스''와 ''우라텔롱'',[41][42] 트로오돈과 ''린헤베나토르'', ''파필리오베나토르'', ''필로베나토르'' 등 수많은 공룡이 산출되었다.[43] 이 지층의 다른 고생물군에는 다양한 유린목과 포유류,[44][45] 난시웅켈리스과 거북이 포함된다.[46]
참조
[1]
논문
Protoceratopsidae (Dinosauria) of Asia
http://www.palaeonto[...]
1975
[2]
논문
Report on the Japan-Mongolia Joint Paleontological Expedition to the Gobi desert, 1993
2000
[3]
논문
Bored dinosaur skeletons
https://www.jstage.j[...]
2010
[4]
논문
Trace fossils on dinosaur bones from Upper Cretaceous eolian deposits in Mongolia: Taphonomic interpretation of paleoecosystems in ancient desert environments
https://www.academia[...]
2011
[5]
논문
The postcranial skeleton of Bagaceratops (Ornithischia: Neoceratopsia) from the Baruungoyot Formation (Upper Cretaceous) in Hermiin Tsav of southwestern Gobi, Mongolia
http://www.jgsk.or.k[...]
2019
[6]
논문
New protoceratopsid specimens improve the age correlation of the Upper Cretaceous Gobi Desert strata
2020
[7]
논문
Новый род протоцератопсид из позднего мела Монголии
https://www.geokniga[...]
1990
[8]
서적
The Age of Dinosaurs in Russia and Mongo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9]
논문
Two new dinosaurs of the infraorder Neoceratopsia (Ornithischi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the Nemegt Depression, Mongolian People's Republic
2003
[10]
논문
A New Protoceratopsid (Dinosauria: Neoceratopsia) from the Late Cretaceous of Inner Mongolia, China
2003
[11]
논문
Yamaceratops dorngobiensis, a New Primitive Ceratopsian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Cretaceous of Mongolia
https://digitallibra[...]
2006
[12]
논문
The Tiny Horned Dinosaur Gobiceratops minutus gen. et sp. nov. (Bagaceratopidae, Neoceratopsi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Mongolia
https://www.research[...]
2008
[13]
논문
Ontogeny and variation of a protoceratopsid dinosaur ''Bagaceratops rozhdestvenskyi'' from the Late Cretaceous of the Gobi Desert
2019
[14]
서적
The Age of Dinosaurs
https://archive.org/[...]
Publications International
[15]
서적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Random House
2007
[16]
논문
Sedimentation of the Barun Goyot Formation
http://www.palaeonto[...]
1974
[17]
논문
Upper Cretaceous Djadokhta, Barun Goyot and Nemegt formations of Mongolia, including remarks on previous subdivisions
https://geojournals.[...]
1977
[18]
논문
Stratigraphy and paleoenvironmental evolution of the dinosaur-rich Baruungoyot-Nemegt succession (Upper Cretaceous), Nemegt Basin, southern Mongolia
2018
[19]
논문
The ankylosaurid dinosaurs of the Upper Cretaceous Baruungoyot and Nemegt formations of Mongolia
2014
[20]
논문
A new ankylosaurid skeleton from the Upper Cretaceous Baruungoyot Formation of Mongolia: its implications for ankylosaurid postcranial evolution
2021
[21]
논문
A re-appraisal of Parvicursor remotus from the Late Cretaceous of Mongolia: implications for the phylogeny and taxonomy of alvarezsaurid theropod dinosaurs
2022
[22]
논문
Description and ecologic analysis of Hollanda luceria, a Late Cretaceous bird from the Gobi Desert (Mongolia)
https://www.research[...]
2010
[23]
논문
A New Dromaeosaurid from the Late Cretaceous Khulsan Locality of Mongolia
http://digitallibrar[...]
2021
[24]
논문
A New Dromaeosaurid (Dinosauria: Coelurosauria) from Khulsan, Central Mongolia
https://digitallibra[...]
2021
[25]
논문
Redescription and affinities of Hulsanpes perlei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Mongolia
2018
[26]
논문
A taxonomic review of the Pachycephalosauridae (Dinosauria: Ornithischia)
https://www.research[...]
2006
[27]
논문
New specimens of ''Nemegtomaia'' from the Baruungoyot and Nemegt Formations (Late Cretaceous) of Mongolia
2012
[28]
논문
Oviraptorosaur anatomy, diversity and ecology in the Nemegt Basin
2018
[29]
논문
A new sauropod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Mongolia
https://moam.info/a-[...]
1983
[30]
논문
Multituberculate succession in the Late Cretaceous of the Gobi Desert (Mongolia)
http://www.palaeonto[...]
1974
[31]
논문
Dinosaur- and mammal-bearing aeolian and associated deposits of the Upper Cretaceous in the Gobi Desert (Mongolia)
1974
[32]
논문
Taxonomic composition and systematics of late Cretaceous lizard assemblages from Ukhaa Tolgod and adjacent localities, Mongolian Gobi Desert
https://www.research[...]
2000
[33]
논문
Djadokhta Formation correlative strata in Chinese Inner Mongolia: an overview of the stratigraphy, sedimentary geology, and paleontology and comparisons with the type locality in the pre-Altai Gobi
https://www.research[...]
1993
[34]
논문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facies transitions of dinosaur-bearing Upper Cretaceous redbeds at Bayan Mandahu (Inner Mongolia, People's Republic of China)
1993
[35]
논문
A new Species of Protoceratops (Dinosauria, Neoceratopsia) from the Late Cretaceous of Inner Mongolia (P. R. China)
http://biblio.natura[...]
2001
[36]
논문
A new species of the ankylosaurid dinosaur Pinacosaurus from the Late Cretaceous of Inner Mongolia (P.R. China)
http://biblio.natura[...]
1999
[37]
논문
Hands, feet and behaviour in Pinacosaurus (Dinosauria: Ankylosauridae)
http://www.app.pan.p[...]
2011
[38]
논문
A monodactyl nonavian dinosaur and the complex evolution of the alvarezsauroid hand
2011
[39]
논문
A new species of Velociraptor (Dinosauria: Dromaeosauridae)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northern China
2008
[40]
논문
A new dromaeosaurid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Upper Cretaceous Wulansuhai Formation of Inner Mongolia, China
http://www.mapress.c[...]
2010
[41]
논문
A new oviraptorid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Bayan Mandahu, Inner Mongolia
2010
[42]
논문
A new oviraptorid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Nei Mongol,China, and its stratigraphic implications
http://www.ivpp.cas.[...]
2013
[43]
논문
A new troodontid from the Upper Cretaceous Gobi Basin of inner Mongolia, China
2022
[44]
논문
Systematics and taxonomic diversity of squamates from the Upper Cretaceous Djadochta Formation, Bayan Mandahu, Gobi Desert, People's Republic of China
1996
[45]
논문
New Genus and Species of Djadochtatheriid Multituberculate (Allotheria, Mammalia) from the Upper Cretaceous Bayan Mandahu Formation of Inner Mongolia
https://www.research[...]
2019
[46]
논문
New exceptionally well-preserved specimens of "Zangerlia" neimongolensis from Bayan Mandahu, Inner Mongolia, and their taxonomic significance
2015
[47]
서적
The Age of Dinosaurs
Publications International, LTD
[48]
서적
공룡대백과
웅진주니어
[49]
서적
The Age of Dinosaurs
Publications International, LT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