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수는 고대 이집트의 달의 신으로, 주로 아이 또는 매의 머리를 한 미라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테베 삼주신의 일원이며,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달의 배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졌다. 치유와 보호의 신으로서 숭배받았으며, 특히 신왕국 시대에 숭배가 번성했다. 콘수 신전은 카르나크에 있으며, 숭배자들은 그의 이름으로 맹세하거나 맹세로 분쟁을 해결하기도 했다. 현대에는 마블 코믹스, 영화 등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콘수 - 아아흐
아아흐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달과 관련된 신으로, 토트나 콘수보다 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때로는 콘수의 성인 형태나 토트의 달 측면을 나타내거나 죽은 자의 신 오시리스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 밤의 남신 - 테스카틀리포카
테스카틀리포카는 "연기를 내뿜는 거울"이라는 뜻의 나와틀어에서 유래한 아즈텍 신화 속 강력한 신으로, 밤, 북쪽, 대지, 흑요석 등과 관련되며 창조 신화에서 케찰코아틀과 협력하거나 경쟁하는 존재로 묘사된다. - 밤의 남신 - 오오쿠니누시
오오쿠니누시는 일본 신화에서 국토 창조, 농업, 의약의 신으로 숭배받으며, 이즈모 지역에서 중요한 신으로 여겨지고 다양한 신화에 등장하며 다이코쿠텐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 시간과 운명의 남신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 시간과 운명의 남신 - 야누스
야누스는 로마 신화에서 문, 시작, 전환, 끝을 관장하며 과거와 미래를 동시에 보는 두 얼굴을 가진 신으로, 로마력과 의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다른 신에게 접근하는 길을 열어주는 존재로 숭배받았다.
콘수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여행자, 길을 여는 자, 포옹자 |
상징 | 달 원반, 옆머리, 매, 지팡이와 도리깨, 와스 홀 |
신화 속 역할 | |
관장 | 달 |
숭배 중심지 | 테베 |
가족 관계 | |
부모 | 아문과 무트 |
2. 어원 및 상징
콘수의 이름은 '여행자'를 의미하며, 이는 달(이집트어로는 이아라고 불림)이 밤하늘을 가로질러 여행한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그는 또한 '포옹자', '길잡이', '수호자', '치유자'라는 칭호로 불렸으며, 밤에 여행하는 사람들을 지켜보는 것으로 여겨졌다. 밤의 빛의 신으로서 콘수는 야생 동물로부터 보호하고 치유를 돕기 위해 불려졌다. 콘수가 초승달을 빛나게 하면 여성은 임신하고, 가축은 번식력이 높아지며, 모든 콧구멍과 목구멍이 신선한 공기로 가득 찬다고 전해졌다.
고대 이집트 미술에서 콘수는 일반적으로 어린 시절의 상징인 머리카락 옆 가닥과 함께 메나트 목걸이와 구부러진 지팡이와 도리깨를 착용한 미라로 묘사된다. 그는 호루스와 슈와 같은 다른 신성한 아이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매의 머리로 묘사되기도 하였다.[29]
아멘, 무트와 함께 테베 삼주신을 구성했다. 그 이름은 "가로지르는 자"를 의미하며, 아버지 아멘이 타는 태양의 배에 대응하여 달의 배를 가지고 밤에 하늘을 이동한다고 여겨졌다. 아이의 모습에서 신생아를 수호한다고도 하며, 달의 신이므로 밤에 초승달 칼날을 휘둘러 죄인에게 제재를 가하는 무서운 신이라고도 한다. 또한 같은 달의 신 토트와 관련하여 역법을 관장한다고도 생각되었다.
2. 1. 상형 문자 표기
상형 문자로 표기된 콘스 |
---|
콘수는 이집트 신화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초기에는 죽음과 관련된 신으로 여겨졌으며, 후기에는 달, 창조, 치유의 신으로 숭배되었다.
콘수는 주로 아이, 소년의 머리 모양을 한 미라로 묘사되며, 호루스와 같은 매(하야부사)의 머리를 한 모습으로도 묘사된다. 달의 신이므로, 어떤 모습으로 묘사되든 초승달과 보름달을 조합한 장식이 머리에 묘사된다.
3. 신화 속 역할
콘수는 주로 아이의 머리 모양을 한 미라로 묘사되거나, 호루스와 같이 매(하야부사)의 머리를 한 모습으로도 묘사된다. 달의 신이므로, 어떤 모습으로 묘사되든 초승달과 보름달을 조합한 장식이 머리에 묘사된다.
아문, 무트와 함께 테베 삼주신을 구성했다. 콘수의 이름은 "가로지르는 자"를 의미하며, 아버지 아멘이 타는 태양의 배에 대응하여 달의 배를 가지고 밤에 하늘을 이동한다고 여겨졌다. 아이의 모습으로는 신생아를 수호하고, 달의 신으로서는 밤에 초승달 칼날을 휘둘러 죄인에게 벌을 내리는 무서운 신이라고도 한다. 또한 같은 달의 신 토트와 관련하여 역법을 관장한다고도 생각되었다.
테베(룩소르)의 카르나크 신전에 콘수 신전이 있다.상형 문자로 표기된 콘스
3. 1. 지하 세계
가장 초기에 언급된 콘수는 피라미드 텍스트 내의 식인 풍습 찬가에서 나타난다. 다른 신들의 도살자로서 콘수는 그들의 내장을 꺼내 죽은 왕에게 바쳐 그들의 마법의 힘을 흡수한다고 한다. 이 과정은 죽은 왕이 불멸을 달성하고 활력을 되찾도록 돕기 위한 것이었다.[2]
우나스 피라미드의 식인 풍습 찬가에서 콘수는 "머리를 움켜쥐는 자", "머리를 치켜세운 자", "붉음 위에 있는 자"로 번역될 수 있는 세 명의 알려지지 않은 신들과 신 셰즈무로 구성된 악마 그룹의 일원으로 언급된다. 이 다섯 명의 피에 굶주린 조력자들은 하늘에 배치되었으며, 이는 아마도 별자리나 다른 천상의 현상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들은 죽은 자에 의해 보내진 죽음의 사자로 여겨진다.[3]
고왕국 시대부터 중왕국 시대까지 콘수는 여러 무덤 비문에서 웝웨티(Wepwety, Wpwty)로 언급되는데, 이 용어는 종종 "메신저"로 번역된다. 이 명칭은 죽음을 가져오는 영혼이자 죽은 자를 벌하는 존재로 이해되는 지하 세계 신들을 가리킨다.[4][5]
콘수와 심장 파괴 의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결은 관 텍스트의 주문 310에서 발견되는데, 여기서 그는 여신 셰스메테트의 아들로 묘사되며, 그의 불타는 분노로 심장을 태우는 임무를 맡고 있다. 관 텍스트의 주문 311은 죽은 자가 콘수로 변신하여 신들의 마법의 힘을 훔치고 적대적인 세력으로부터 방어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맥락에서 그는 "심장에서 사는 콘수"로 언급된다. 신왕국 시대에는 심장을 삼키는 자의 역할이 여신 아밋에게 넘어갔다.[6]
3. 2. 달의 신
콘수의 이름은 '여행자'를 의미하며, 이는 달(이집트어로는 이아라고 불림)이 밤하늘을 가로질러 여행한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그는 또한 '포옹자', '길잡이', '수호자', '치유자'라는 칭호로 불렸으며, 밤에 여행하는 사람들을 지켜보는 것으로 여겨졌다. 밤의 빛의 신으로서 콘수는 야생 동물로부터 보호하고 치유를 돕기 위해 불려졌다. 콘수가 초승달을 빛나게 하면 여성은 임신하고, 가축은 번식력이 높아지며, 모든 콧구멍과 목구멍이 신선한 공기로 가득 찬다고 전해졌다.
콘수의 달과의 연관성은 초승달이 정의의 도구로서 콘수가 구현하는 고대 이집트의 낫 검과 연관된 데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그에게 "날카로운 콘수"라는 칭호를 부여했다.[7] [8] 콘수의 달 속성에 대한 가장 초기의 징후는 관 텍스트 주문 197과 195에서 나타나는데, 여기서 고인은 푼트에서 돌아오는 콘수를 만난다. 푼트의 땅은 고대 이집트 문학에서 동쪽과 해와 달이 뜨는 곳을 상징한다.[9]
신왕국 시대에는 달의 주기가 삶의 단계와 연관되었다.[10] 초승달은 또한 황소의 뿔과 연결되어 남성적인 다산의 상징이 되었다. 테베의 콘수 신전에서 발견된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비문은 콘수와 태양신을 하늘을 건너 동쪽에서 만나는 황소로 묘사하며 "하늘의 두 조명자"라고 칭한다. 이 두 황소의 만남은 보름달의 도래 또는 하늘에 태양과 달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론화된다. 여기서 초승달은 어린 황소로 묘사되는 반면, 콘수는 보름달 동안 늙은 거세된 황소로 늙어지고 다음 달 주기가 시작될 때 스스로를 갱신한다.[11]
어린아이 또는 어린 황소로 묘사된 콘수는 달 주기의 시작과 달의 갱신을 상징했다. 두 얼굴을 가진 아이로 묘사된 희귀한 콘수는 밤에 달이 보이지 않는 시간을 나타낸다.[12] 그가 아이에서 노인으로 성장하는 모습은 또한 연간 주기에 적용되었으며, 어린 모습의 콘수(콘수-파-케레드)를 봄과 다산의 전달자로 만들었다. 카르나크에 있는 그의 신전의 비문은 그를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아문의 첫 번째 위대한 [아들], 아름다운 청년, 라의 형태로 테베에서 젊어지는 자, 여신 누비트의 아들. 아침에는 아이, 저녁에는 노인, 연초에는 청년, 허약해진 후 아이로 와서 황혼처럼 그의 탄생을 갱신하는 자"[13]
에드푸 신전에는 콘수에게 헌정된 "다리의 방"이 있는 "콘수 단지"가 있다. 그의 다리와의 연관성은 오시리스 신화에서 유래하며, 오시리스의 다리는 에드푸에서 발견되어 보존되었다. 따라서 콘수는 에드푸에서 "다리의 아들"이라고 불린다.[14]
콘수와 오시리스는 또한 카르나크의 콘수 신전 옆에 위치한 여신 이페트 신전에서도 동일시되었다. 이페트 신전에서 아문은 태양신이자 여신 이페트-누트의 아들로 숭배되었다. 신화적인 여정의 일부로, 태양은 매일 죽어 지하 세계로 들어가 신 오시리스가 되고 새벽에 다시 태어날 때 콘수가 된다고 한다.[15]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전설에 따르면, 테베는 이집트 최초의 도시였으며 오시리스가 건설하고 그의 어머니인 하늘 여신 누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연결은 고대 이집트 단어인 도시("니우트")를 이용한 말장난이다. 이러한 이유로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비문에서 테베는 태양(아문-웨르)과 달(콘수)을 모두 품고 있는 하늘 그 자체로 언급된다.[16]
주로 아이, 소년의 머리 모양을 한 미라로 묘사되며, 호루스와 같은 매(하야부사)의 머리를 한 모습으로도 묘사된다. 달의 신이므로, 어떤 모습으로 묘사되든 초승달과 보름달을 조합한 장식이 머리에 묘사된다.
아멘, 무트와 함께 테베 삼주신을 구성했다. 그 이름은 "가로지르는 자"를 의미하며, 아버지 아멘이 타는 태양의 배에 대응하여 달의 배를 가지고 밤에 하늘을 이동한다고 여겨졌다. 아이의 모습에서 신생아를 수호한다고도, 달의 신이므로 밤에 초승달 칼날을 휘둘러 죄인에게 제재를 가하는 무서운 신이라고도 한다. 또한 같은 달의 신 토트와 관련하여 역법을 관장한다고도 생각되었다.
테베(룩소르)의 카르나크 신전에 콘스 신전이 있다.
3. 3. 창조신
콘수는 초승달을 낫 검과 연관시켜 "날카로운 콘수"라는 칭호를 받았다.[7] [8] 콘수의 달 속성은 관 텍스트 주문 197과 195에서 처음 나타나는데, 여기서 고인은 푼트에서 돌아오는 콘수를 만난다. 푼트는 고대 이집트 문학에서 동쪽과 해와 달이 뜨는 곳을 상징한다.[9]
신왕국 시대에는 달의 주기가 삶의 단계와 연관되었다.[10] 초승달은 황소의 뿔과 연결되어 남성적인 다산의 상징이 되었다. 테베의 콘수 신전의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비문은 콘수와 태양신을 하늘을 건너 동쪽에서 만나는 황소로 묘사하며 "하늘의 두 조명자"라고 칭한다. 이 만남은 보름달 또는 하늘에 태양과 달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초승달은 어린 황소로, 콘수는 보름달 동안 늙은 거세된 황소로 묘사되며 다음 달 주기가 시작될 때 스스로를 갱신한다.[11]
어린아이 또는 어린 황소로 묘사된 콘수는 달 주기의 시작과 달의 갱신을 상징했다. 두 얼굴을 가진 아이로 묘사된 희귀한 콘수는 밤에 달이 보이지 않는 시간을 나타낸다.[12] 그가 아이에서 노인으로 성장하는 모습은 연간 주기에도 적용되었으며, 어린 모습의 콘수(콘수-파-케레드)를 봄과 다산의 전달자로 만들었다. 카르나크에 있는 그의 신전 비문에는 다음과 같이 언급된다. "아문의 첫 번째 위대한 [아들], 아름다운 청년, 라의 형태로 테베에서 젊어지는 자, 여신 누비트의 아들. 아침에는 아이, 저녁에는 노인, 연초에는 청년, 허약해진 후 아이로 와서 황혼처럼 그의 탄생을 갱신하는 자"[13]
에드푸 신전에는 콘수에게 헌정된 "다리의 방"이 있는 "콘수 단지"가 있다. 그의 다리와의 연관성은 오시리스 신화에서 유래하며, 오시리스의 다리는 에드푸에서 발견되어 보존되었다. 따라서 콘수는 에드푸에서 "다리의 아들"이라고 불린다.[14]
콘수와 오시리스는 카르나크의 콘수 신전 옆에 위치한 여신 이페트 신전에서도 동일시되었다. 이페트 신전에서 아문은 태양신이자 여신 이페트-누트의 아들로 숭배되었다. 신화적인 여정의 일부로, 태양은 매일 죽어 지하 세계로 들어가 신 오시리스가 되고 새벽에 다시 태어날 때 콘수가 된다고 한다.[15]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전설에 따르면, 테베는 이집트 최초의 도시였으며 오시리스가 건설하고 그의 어머니인 하늘 여신 누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연결은 고대 이집트 단어인 도시("니우트")를 이용한 말장난이다. 이러한 이유로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비문에서 테베는 태양(아문-웨르)과 달(콘수)을 모두 품고 있는 하늘 그 자체로 언급된다.[16] 신왕국 후기에 콘수는 창조신으로도 숭배받았다. 콘수는 두 개의 매 머리와 독수리 날개를 가진 남자로 묘사되었으며, 악어의 등에 서 있었다. 두 개의 머리는 해와 달을 나타내고, 악어 위에 서 있는 것은 혼돈의 원초적인 세력에 대한 승리를 상징한다.[17]
카르나크의 콘수 신전에 묘사된 콘수 우주론은 이 신을 세상 창조의 중심 인물로 묘사한다. 이 이야기는 아문 신이 눈에서 뱀으로 나타나 매의 알 형태로 자신의 정액을 원초적 물에 쏟아 넣는 방법을 설명한다. 콘수는 두 번째 원초 뱀이자 아문의 아들로, 정액을 삼키고 그것으로 임신한다. 악어의 형태로 콘수는 원초 산으로 이동하여 눈의 물로 입을 정화한다. 그곳에서 그는 벤네트의 여신 하토르와 교접한다. 그들의 결합을 통해 테베 도시가 탄생하고, 콘수는 오그도아드의 8명의 신들을 낳는다. 오그도아드는 불꽃 섬으로 올라가 태양신을 창조한다.[18]
이 우주론에서 아문은 "오그도아드의 아버지들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받으며, 8명의 신 그룹의 일부로 명시적으로 간주되지 않아 최고 신으로서의 지위를 강조한다. 테베에서 발견된 이 칭호의 변형에는 "원시 시대 신들의 아버지들의 아버지", "원시 시대 신들을 창조한 아버지들의 아버지", "너를 만든 자를 만든 아버지들의 아버지"가 있다.[19] 아문과 아무네트 대신 니아우와 니아우트가 콘수 우주론에서 오그도아드의 마지막 신성한 쌍을 이룬다.[20]
고대 이집트 미술에서 콘수는 일반적으로 어린 시절의 상징인 머리카락 옆 가닥과 함께 메나트 목걸이와 구부러진 지팡이와 도리깨를 착용한 미라로 묘사된다. 그는 호루스와 슈와 같은 다른 신성한 아이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는 또한 매의 머리로 묘사되었으며, 보호자이자 치유자로서 연관된 호루스처럼 달 원반과 초승달로 장식되었다.[29]
3. 4. 치유신
콘수는 '여행자'를 의미하며, 이는 달(이집트어로는 이아라고 불림)이 밤하늘을 가로질러 여행한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그는 또한 '포옹자', '길잡이', '수호자', '치유자'라는 칭호로 불렸으며, 밤에 여행하는 사람들을 지켜보는 것으로 여겨졌다. 밤의 빛의 신으로서 콘수는 야생 동물로부터 보호하고 치유를 돕기 위해 불려졌다. 콘수가 초승달을 빛나게 하면 여성은 임신하고, 가축은 번식력이 높아지며, 모든 콧구멍과 목구멍이 신선한 공기로 가득 찬다고 전해졌다.
고대 이집트 미술에서 콘수는 일반적으로 어린 시절의 상징인 머리카락 옆 가닥과 함께 메나트 목걸이와 구부러진 지팡이와 도리깨를 착용한 미라로 묘사된다. 그는 호루스와 슈와 같은 다른 신성한 아이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는 또한 매의 머리로 묘사되었으며, 보호자이자 치유자로서 연관된 호루스처럼 달 원반과 초승달로 장식되었다.[29]
콘수의 치유자로서의 명성은 이집트 밖으로 퍼져나갔다. 벤트레쉬 석비에는 벡텐의 공주가 콘수의 이미지가 도착하자마자 질병에서 즉시 치유되었다는 기록이 있다.[31] 프톨레마이오스 4세는 질병에서 치유된 후 자신을 "폐하를 보호하고 악령을 쫓아내는 콘수의 사랑을 받는 자"라고 불렀다.
4. 숭배
콘수는 초승달을 낫 검과 연관시켜 정의를 구현하는 신으로 여겨졌으며, "날카로운 콘수"라는 칭호를 얻었다.[7] [8] 콘수의 달 속성은 관 텍스트 주문 197과 195에서 처음 나타나는데, 여기서 고인은 푼트에서 돌아오는 콘수를 만난다. 푼트는 고대 이집트 문학에서 동쪽과 해와 달이 뜨는 곳을 상징한다.[9]
신왕국 시대에 달의 주기는 삶의 단계와 연관되었다.[10] 초승달은 황소의 뿔과 연결되어 남성적인 다산의 상징이 되었다. 테베의 콘수 신전 비문은 콘수와 태양신을 하늘을 건너 동쪽에서 만나는 황소로 묘사하며 "하늘의 두 조명자"라고 칭한다. 이 만남은 보름달 또는 하늘에 태양과 달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초승달은 어린 황소로, 콘수는 보름달 동안 늙은 거세된 황소로 묘사되며 다음 달 주기가 시작될 때 스스로를 갱신한다.[11]
어린아이 또는 어린 황소로 묘사된 콘수는 달 주기의 시작과 달의 갱신을 상징했다. 두 얼굴을 가진 아이로 묘사된 희귀한 콘수는 밤에 달이 보이지 않는 시간을 나타낸다.[12] 콘수가 아이에서 노인으로 성장하는 모습은 연간 주기에도 적용되어, 어린 콘수(콘수-파-케레드)를 봄과 다산의 전달자로 만들었다. 카르나크 신전 비문에는 다음과 같이 언급된다. "아문의 첫 번째 위대한 [아들], 아름다운 청년, 라의 형태로 테베에서 젊어지는 자, 여신 누비트의 아들. 아침에는 아이, 저녁에는 노인, 연초에는 청년, 허약해진 후 아이로 와서 황혼처럼 그의 탄생을 갱신하는 자"[13]
에드푸 신전에는 콘수에게 헌정된 "다리의 방"이 있는 "콘수 단지"가 있다. 콘수와 다리의 연관성은 오시리스 신화에서 유래하며, 오시리스의 다리는 에드푸에서 발견되어 보존되었다. 따라서 콘수는 에드푸에서 "다리의 아들"이라고 불린다.[14]
콘수와 오시리스는 카르나크의 콘수 신전 옆에 위치한 여신 이페트 신전에서도 동일시되었다. 이페트 신전에서 아문은 태양신이자 여신 이페트-누트의 아들로 숭배되었다. 신화에서 태양은 매일 죽어 지하 세계로 들어가 신 오시리스가 되고 새벽에 다시 태어날 때 콘수가 된다고 한다.[15]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전설에 따르면, 테베는 이집트 최초의 도시였으며 오시리스가 건설하고 그의 어머니인 하늘 여신 누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연결은 고대 이집트 단어인 도시("니우트")를 이용한 말장난이다. 테베는 태양(아문-웨르)과 달(콘수)을 모두 품고 있는 하늘 그 자체로 언급된다.[16]
콘수는 주로 아이, 소년의 머리 모양을 한 미라로 묘사되며, 호루스와 같은 매(하야부사)의 머리를 한 모습으로도 묘사된다. 달의 신이므로, 어떤 모습으로 묘사되든 초승달과 보름달을 조합한 장식이 머리에 묘사된다.
아멘, 무트와 함께 테베 삼주신을 구성했다. 그 이름은 "가로지르는 자"를 의미하며, 아버지 아멘이 타는 태양의 배에 대응하여 달의 배를 가지고 밤에 하늘을 이동한다고 여겨졌다. 아이의 모습에서 신생아를 수호한다고도, 달의 신이므로 밤에 초승달 칼날을 휘둘러 죄인에게 제재를 가하는 무서운 신이라고도 한다. 또한 같은 달의 신 토트와 관련하여 역법을 관장한다고도 생각되었다.
테베(룩소르)의 카르나크 신전에 콘스 신전이 있다.
4. 1. 콘수-네페르호테프
카르나크 신전에서 신왕국 시대에 콘수에 대한 주요 숭배는 콘수-네페르호테프로서의 그의 화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콘수의 이 형태는 디오스폴리스 파르바에서 숭배받던 신 네페르호테프와의 숭배 혼합을 통해 나타났을 수 있다. 또는 "네페르호테프"는 중왕국 시대부터 콘수의 이름에 추가된 칭호였을 수 있다. 비문에는 이 형태에 "카르나크의 기쁨의 호루스-주"인 "콘수-네페르호테프", "위대한 왕좌 위의 마아트의 주"인 "콘수-네페르호테프", "테베의 콘수-네페르호테프" 등의 칭호가 자주 추가되었다.콘수-네페르호테프는 미라화된 청년이나 매 머리를 한 성인으로 묘사되며, 종종 신전 이미지에서 아문 뒤에 위치해 있다. 개코원숭이의 형태로 나타나는 콘수와 같은 다른 콘수의 묘사는 콘수-네페르호테프의 묘사에서는 의도적으로 제외되었다. 이러한 구분은 아문의 숭배와는 별개로 존재했던, 성숙한 콘수의 더 넓은 숭배에서 아들의 콘수-네페르호테프를 분리하는 역할을 했다. 아문의 장자이자 정당한 후계자로서, 콘수-네페르호테프는 테베 신들의 계층 구조에서 아문 바로 아래에 위치했다. 테베 창조 신화에서 그는 두 번째 신성한 세대의 일부로 여겨지며, 아문에게 종속되지만 다른 신들보다 위에 있으며, 신들의 공동 창조자로 존경받는다.
콘수의 많은 화신처럼, 콘수-네페르호테프는 달의 배를 타고 밤하늘을 가로지르며, 바쿠와 마누의 신화적인 산 사이를 여행하는 달의 신으로 숭배받았다. 이집트 우주론에서 이 산들은 하늘을 받치고 저승의 출입 지점을 표시한다고 믿어졌다.
콘수-네페르호테프는 또한 권위 있고 사법적인 신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카르나크의 콘수 신전에서 사람들은 부채 상환과 같은 의무를 지키기 위해 그의 이름으로 맹세했다. 이혼 및 상속 사건을 포함한 가족 분쟁도 그의 이름을 걸고 맹세함으로써 해결되었다. 일부 그리스 맹세 공식에서 콘수는 헤라클레스와 동일시되었으며, 이는 그리스-로마 시대에 이 인물과의 동일시를 반영한다. 그는 헬레니즘화된 이름인 케세바이온으로도 알려졌다.
테베에 있는 그의 신전에서 콘수-네페르호테프의 배우자는 "베네넷 안의 하토르"라고 불리는 여신 하토르의 지역 화신이었다. 그녀는 콘수-네페르호테프의 칭호 중 하나인 "라의 마음"을 언급하며 "라의 마음의 여인"이라는 칭호로 존경받았다. 그들의 원초적 측면에서 그들은 각각 "장로 콘수"와 "장로 하토르"라고 불리기도 했다.
5. 대중문화 속 콘수
콘수는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로 등장하며, 이름의 철자가 'Khonshu'로 변경되었다. 코믹스에서 이 캐릭터는 문 나이트의 아바타이며 "콘수의 주먹"으로도 알려져 있다.[32] 콘수는 주인공 마크 스펙터에게 그의 이름으로 악과 싸울 초자연적인 능력을 부여하여 달의 위상에 따라 그의 힘, 지구력 및 반사 신경을 강화시키지만, 동시에 천천히 그를 미치게 한다. 콘수의 본질은 작가에 따라 다르다. 더그 모엔치는 콘수를 중립적인 인물로 묘사하지만, 이후 작가들은 그를 더 활동적이고 악의적으로 묘사한다. 이 콘수가 초자연적인 존재가 아니라 마크 스펙터의 정신적 구성물, 환각, 대체 또는 해리성 인격, 또는 악의적인 외계 기생충일 뿐이라는 암시가 자주 주어진다.[33] 콘수는 또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MCU) 텔레비전 시리즈인 ''문 나이트''에 등장하며, F. 머레이 에이브러햄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35] 이 쇼에서 콘수는 마크의 정신적 문제와 그의 삶의 관계를 이용하여 마크 스펙터가 그를 위해 싸우도록 한다.
''박물관이 살아있다'' 영화 시리즈에서 콘수는 밤마다 박물관 전시물을 생생하게 만드는 마법의 아크멘라 석판의 근원이다. ''박물관이 살아있다: 비밀의 무덤''의 이야기에서 황금 석판은 콘수의 마법을 사용하여 콘수 사원의 대제사장에 의해 만들어졌다. 아크멘라의 무덤은 "콘수의 광선"(달빛)을 석판으로 내려보내 매일 밤 그 힘을 회복하도록 설계되었다. 석판이 "콘수의 빛"에서 너무 오랫동안 떨어져 있으면 생명을 얻었던 전시물들은 죽게 된다.
공개 연도 | 제목 | 원제 | 역할 | 더빙 |
---|---|---|---|---|
2022 | 문나이트 | Moon Knight | 콘수(Khonshu) | 카네오 테츠오 |
참조
[1]
웹사이트
Khonsu ! Egyptian Moon God, Mythology, & Depictio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2-04
[2]
간행물
Apotropaic Roles of Khonsu in the Ancient Egyptian Religion during the Dynastic Period
https://mkaf.journal[...]
Mansoura University
2022-12-12
[3]
서적
Die Feinde des Königs in den Pyramidentexten
https://archive.org/[...]
Universitätsverlag Freiburg / Vandenhoeck & Ruprecht
2002
[4]
서적
Wörterbuch der ägyptischen Sprache.
Akademie Verlag
1971
[5]
문서
2022
[6]
문서
2022
[7]
문서
2022
[8]
서적
The Ancient Egyptian Book of the Moon: Coffin Texts Spells 154-160
https://edit.elte.hu[...]
Archaeopress Publishing
2019
[9]
문서
2019
[10]
문서
2019
[11]
문서
2019
[12]
문서
2019
[13]
서적
The Gods of the Egyptians: Studies in Egyptian Mythology
https://archive.org/[...]
The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1904
[14]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Routledge
2005
[15]
서적
Taweret and Bes: A demonic goddess and a divine demon?
https://www.academia[...]
Glyptoteket
2021
[16]
서적
Kneph: The Religion of Roman Thebes
ProQuest LLC
2008
[17]
문서
2022
[18]
간행물
The Khonsu Cosmogony.
https://www.academia[...]
1994
[19]
서적
Amun und die acht Urgötter von Hermopolis eine Untersuchung über Ursprung und Wesen des aegyptischen Götterkönigs
https://archive.org/[...]
Verlag d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29
[20]
문서
1929
[21]
문서
2008
[22]
문서
2008
[23]
문서
2008
[24]
서적
Temple oaths in Ptolemaic Egypt: a study at the crossroads of law, ethics and religion
https://scholarlypub[...]
Scholarly Publications, Leiden University
2018
[25]
문서
2018
[26]
문서
2008
[27]
서적
The Theology of Hathor of Dendera: Aural and Visual Scribal Techniques in the Per-Wer Sanctuary.
University of California
2012
[28]
문서
1929
[29]
서적
The Oxford Guide: Essential Guide to Egyptian Mythology
2003
[30]
서적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ABC-CLIO
2002
[31]
문서
Pharaoh
1895
[32]
문서
Moon Knight
Marvel Comics
[33]
문서
Marvel Spotlight
Marvel Comics
[34]
서적
Moon Knight: Fist of Khonshu #1 – Night of the Jackal
https://comicvine.ga[...]
Marvel Comics
1985-06-01
[35]
웹사이트
Moon Knight Adds F. Murray Abraham as Khonshu
https://www.ign.com/[...]
2022-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