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멘은 '그렇습니다' 또는 '진실로'라는 의미를 가진 감탄사로, 종교적 의식이나 예배,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히브리어에서 유래하여,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에서 기도의 끝맺음이나 동의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음악에서는 특정 종지형을 지칭하는 용어로도 쓰인다. 발음은 언어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탄사 - 유레카
유레카는 문제 해결이나 새로운 발견 시 기쁨을 표현하는 감탄사로, 아르키메데스의 일화로 유명하며, 발견의 기쁨을 상징하여 캘리포니아 주의 모토나 수학 정리,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용어로도 사용된다. - 감탄사 - Fuck
Fuck은 성행위를 의미하는 영어 속어에서 파생되어 모욕, 거절, 강조 등 다양한 감정 표현과 인터넷 약어로 널리 쓰이는 부적절한 단어이다. - 기독교와 유대교 - 마라노
마라노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국가적 압력이나 사회적 상황으로 기독교로 개종했지만 비밀리에 유대교 신앙을 지킨 유대인 또는 그 후손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알람브라 칙령 이후 종교 재판의 감시와 박해를 받으며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거나 신앙을 지켰고, 현대에는 그 후손들이 정체성을 재발견하고 유대교로 복귀하는 움직임도 있다. - 기독교와 유대교 - 유대-기독교
유대-기독교는 유대교와 기독교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시대에 따라 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 반공주의, 이슬람 혐오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어 왔고, 유대교 공동체는 이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인다. - 기독교의 기도 - 성공회 기도서
성공회 기도서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 과정에서 가톨릭 교회의 성무일도에서 파생되어 예배, 기도, 성례 등의 절차를 담은 규칙서로, 영어 예배와 성서학 및 고전문헌학 발달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성공회에서는 '성공회 기도서' 또는 '기도서'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 기독교의 기도 - 기독교 신비주의
기독교 신비주의는 하느님의 직접적이고 변혁적인 임재를 준비하고 자각하며 영향을 받는 기독교 신앙 및 실천으로, 그 어원은 "숨기다"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하느님의 "임재"에 대한 "의식"을 강조하는 독특한 경험으로 이해된다.
아멘 |
---|
2. 발음
국립국어원의 국어사전에 따르면 '아멘'이라는 감탄사는 한국어로는 애맨이나 아민이 아닌 '아멘'이라고 말하는 것이 외래어 표기에 부합한다고 명기하고 있다. 영어로는 'amen' 혹은 'ah-men', 'ay-men'이라고 발음하기도 한다.[42][43][44][45][46]
"아-멘"(/ɑːˈmɛn/)은 길게 늘여서 감탄하는 발음으로, 유럽의 고전음악에서 자주 등장하거나, 유대교 회합이나 개신교 교인들이 종교적 의식이나 예배를 드릴 때 사용한다. "에이-맨"(/eɪˈmɛn/)이라는 감탄어구는 15세기 무렵 주로 아일랜드계 개신교나 복음주의 교파에서 찬송가를 부를 때부터 사용해왔다.
이슬람교에선 아-민(ʾĀmīn)이란 감탄사를 주로 기도가 끝날 때나, 코란(surah)의 첫 장이 끝날 때 사용한다.
아에 강세를 유지하는 언어도 있고, 멘(혹은 메인, 민, 민)에 강세를 유지하는 언어도 있다.
일본에서는 종종 관용적으로 영어의 "아멘"으로 표기하고 발음하지만, "에멘" 혹은 "에이멘"에 가까운 발음을 사용하는 개신교 교파도 있다. 또한, 고대 그리스어의 재구음에 기인하는 "아멘"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ἀμήνel은 고대 그리스어 재구음으로는 "아멘", 현대 그리스어의 발음을 전사하면 "아민"이 된다). 일본 정교회의 기도에서는 "아민"이라고 외친다.[42][43][44][45][46]
2. 1. 한국어
국립국어원의 국어사전에 따르면 '아멘'이라는 감탄사는 한국어로는 애맨이나 아민이 아닌 '아멘'이라고 말하는 것이 외래어 표기에 부합한다고 명기하고 있다. 영어로는 'amen' 혹은 'ah-men', 'ay-men'이라고 발음하기도 한다.[42][43][44][45][46]2. 2. 영어
영어로는 'amen' 혹은 'ah-men'( ), 'ay-men'( )이라고 발음하기도 한다.길게 늘여서 감탄하는 "아-멘"(/ɑːˈmɛn/)은 유럽의 고전음악에서 자주 등장하거나, 유대교 회합이나 개신교 교인들이 종교적 의식이나 예배를 드릴 때 사용한다. "에이-맨"(/eɪˈmɛn/)이라는 감탄어구는 15세기 무렵 주로 아일랜드계 개신교나 복음주의교파에서 찬송가를 부를 때부터 사용해왔다.[42]
영어에서 단어 ''아멘''은 또는 의 두 가지 주요 발음으로 발음되며, 강조 방식에 약간의 추가적인 변형이 있다. 영어를 사용하는 북아메리카에서는 ''아-멘'' 발음이 클래식 음악 공연과 더 격식을 갖춘 전례를 따르는 교회에서 사용된다.
''에이-멘'' 발음은 대모음 추이의 산물이다(즉, 15세기부터 시작됨). 이는 아일랜드 개신교와 일반적으로 보수적인 복음주의 교파와 관련이 있다. 또한, 가스펠 음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음이기도 하다. 아에 강세를 유지하는 언어도 있고, 멘(혹은 메인, 민, 민)에 강세를 유지하는 언어도 있다.
일본에서는 종종 관용적으로 영어의 두 가지 발음 과 중 전자에 가까운 "아멘"으로 표기하고 발음하지만, 후자에서 유래된 "에멘" 혹은 "에이멘"에 가까운 발음을 사용하는 개신교 교파도 있다. 또한, 고대 그리스어의 재구음에 기인하는 "아멘"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ἀμήν|아멘grc).
2. 3. 이슬람교 (아랍어)
이슬람교에서는 아민''ʾĀmīn''(آمينar)을 기도를 끝낼 때나 코란 낭송을 끝낼 때 사용한다.[65][66] 이슬람권 국가에서는 무슬림들이 기도하며 축복을 바라는 의미로 아민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모든 사람들이 평화와 화합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민.'과 같이 사용한다.
2. 4. 일본어
일본에서는 종종 관용적으로 영어 발음 "아멘"으로 표기하고 발음하지만, "에멘" 혹은 "에이멘"에 가까운 발음을 사용하는 개신교 교파도 있다. 고대 그리스어 재구음에 기인하는 "아멘"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ἀμήν|아멘grc)일본 정교회의 기도에서는 "아민"이라고 외치는데, 이는 (현대 발음에 기반한) 그리스어[42], 러시아어[43], 아랍어[44][45], 루마니아어[46] 등 각 언어를 사용한 정교회에서의 기도 발음과도 공통된다.
3. 어원
'아멘'은 히브리어 성경에서 유래되었으며,[8] '진실로 그러하다', '그렇게 되기를 바랍니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말이다. 원래는 히브리어 '아만'(אמן)에서 왔는데, '확실하다', '믿을 만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2] 이 단어는 셈어족에 속하는 아람어 등 여러 언어에서 널리 사용된다.
초기 기독교는 유대교에서 이 단어를 받아들여 그리스어로 사용했고,[2][10] 다시 그리스어에서 다른 유럽 언어들로 퍼져나갔다.[11] 프랑스어에서는 ''Ainsi soit-il''로 번역되기도 하는데, 이는 "그렇게 되기를"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21]
아랍어에서도 히브리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어근에서 '아멘'이라는 단어를 받아들였다.[12] 기독교와 이슬람교 모두에서 사용되며, 주로 기도할 때 쓰이지만, 완전히 동의하거나 따르겠다는 뜻으로 일상생활에서도 쓰인다.
언어학자 길라드 주커만은 '아멘'이 번역되지 않고 여러 언어에서 그대로 쓰이는 이유에 대해, 사람들이 이 단어의 소리와 의미 사이에 특별한 관계가 있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2]
3. 1. 어원에 대한 여러 학설
'''아멘'''(Amen)은 '그러할지어다'라는 의미를 가진 감탄사로, 히브리어로 적힌 성경 초판본에 주로 등장한다.[52][53] 기원은 아람어나 시리아어 등 셈어족 언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아멘은 초기 그리스 교회에서 유대교로부터 유입되었으며,[48][54] 이후 그리스에서 서양 각국 언어로 퍼져나갔다. 어원 사전에 따르면, ''아멘''은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를 거쳐 영어로 전해졌다.[55] 중세 프랑스 랍비 학자들은 믿음을 뜻하는 히브리어 ''emuna''가 ''아멘''에서 유래했다고 보았으나, 영어 학자들은 ''emuna''와 ''amen''이 동일한 고대 3자음 히브리어 단어(aleph-mem-nun)에서 유래했다고 본다.[56]
예수 시대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는 히브리어였으며, 성경에서 예수는 제자들을 가르칠 때 '아멘 레고 휘민'(Amēn legō hymin,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이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했다. 여기서 아멘은 히브리어로 '진실로'를 의미한다. 한편, 무신론자들은 아멘이 이집트 '아문-라' 신화에서 유래했으며 '아문'이 '아멘'의 기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아랍어에서는 아멘이 히브리어처럼 3자음 단어인 ʾĀmana ( آمنar)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신지학자들,[57] 아프리카 중심주의 역사학 지지자들,[58] 심오주의 기독교주의자들은[59][60] 아멘이 이집트 신 아몬(아민으로도 불림)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학설을 주장한다. 동방 종교 학자들은 아멘이 힌두교 산스크리트어의 옴이라는 신성한 단어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한다.[61][62][63][64]
''아멘''은 성경 히브리어에서 유래된 단어로,[8] 축복 후 확인 응답으로 히브리어 성경에 여러 번 등장한다.[9] 이 단어의 어근인 א-מ-נ은 셈어족의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여러 언어(특히 아람어)에서 널리 사용된다. 히브리어에서 이 어근은 "굳건하다, 확인되다, 믿을 만하다, 의지할 만하다, 충실하다, 믿음을 가지다, 믿다"를 의미한다. 아멘은 초기 기독교의 유대교에서 그리스어로 유입되었고,[2][10] 그리스어에서 다른 유럽 언어로 전파되었다. 어원 사전에 따르면 ''아멘''은 그리스어에서 후기 라틴어를 거쳐 영어로 전해졌다.[11]
히브리어 단어 ''아멘''은 아랍어 종교 어휘에 채택되어 아랍어 어근 أ م نar에 음성 의미 매칭되었다.[12] 이 어근은 히브리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다. 아멘은 기독교 및 이슬람교 어휘에 나타나며, 주로 기도에서 사용되지만, 완전한 긍정이나 복종을 나타낼 때 세속적으로도 사용된다. 종교 텍스트에서는 성경의 아랍어 번역본과 알 파티하(코란의 첫 번째 장) 암송 후에 나타난다.
일부 신지학자들,[13] 아프리카 중심주의 역사 이론 지지자들,[14] 비밀 기독교 신봉자들은[15] ''아멘''이 이집트 신 아문(Amen이라고도 표기됨)의 이름에서 파생되었다는 추측을 제기한다. 일부 동방 종교 신봉자들은 ''아멘''이 힌두교 산스크리트어 단어 ''Aum''과 어원을 공유한다고 믿는다.[16][17][18][19] 그러나 이러한 외부 어원은 일반적인 어원 참고 자료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히브리어 단어는 알레프로 시작하는 반면, 이집트 이름은 요드로 시작한다.[20]
프랑스어에서 히브리어 단어 ''아멘''은 때때로 "그렇게 되기를"을 의미하는 ''Ainsi soit-il''로 번역된다.[21]
언어학자 길라드 주커만은 할렐루야처럼 ''아멘''이 번역되지 않는 이유로, 화자들이 상징성을 믿고 단어의 소리와 의미 사이에 본질적인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22]
4. 종교적 용법
아멘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종교적 용어이다.
'''유대교'''에서는 주로 축복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되며, 히브리어 사용자들은 다른 형태의 선언을 긍정할 때도 사용한다. 탈무드는 "아멘"이 "신뢰할 수 있는 왕이신 하느님"을 뜻하는 히브리어 약자라고 가르친다.
'''기독교'''에서는 기도와 찬송가의 결론으로 사용되며, 강한 동의를 표현하는 의미를 지닌다. 예수는 자신의 말을 강조하기 위해 "아멘"(진실로)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 주기도문의 마지막 부분에도 아멘이 사용된다.
'''이슬람교'''에서는 ''ʾĀmīn''(آمين|아민ar) 형태로 사용되며, 기도나 쿠란 낭송 후, 다른 사람의 기도에 동의할 때 사용된다.
4. 1. 유대교
히브리 성경에 30번 등장하는 이 단어는, 신명기 27장 15절을 시작으로 12번 나타난다. '아멘, 아멘'이라는 고정된 구절은 시편 41:13, 72:19, 89:52, 민수기 5:22, 느헤미야 8:6에서 5번 나타난다. 이사야 65:16에서는 '진리의'로 두 번 번역되었다.[2]유대교에서 아멘은 축복에 대한 응답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히브리어 사용자들은 다른 형태의 선언(종교적 맥락 밖의 선언 포함)을 긍정하는 데에도 자주 사용한다.
유대 랍비의 율법은 개인이 다양한 상황에서 "아멘"이라고 말하도록 요구한다.[28][29][30] 제2성전 시대에 회당이 부상하면서 "아멘"은 특히 축복에 대한 일반적인 응답이 되었다. 이것은 기도 인도자가 드리는 축복에 대한 응답으로 공동으로 암송된다. 또한 카디쉬 찬가 중에 응답으로 의무화된다. 회중은 때때로 "ve-'imru"() = "그리고 [지금] 말하라 (복수)", 또는 "ve-nomar"() = "그리고 우리가 말할 것이다"라는 구절에 의해 "아멘"이라고 대답하도록 촉구된다. 현대의 사용법은 고대 관습을 반영한다. 기원전 4세기 초부터 유대인들은 성전에 모여 제사장이 외치는 찬가나 다른 기도 끝에 "아멘"으로 응답했다.[24] 이러한 유대교의 전례적 사용은 기독교인에 의해 채택되었다.
탈무드는 "아멘"이라는 단어가 알 엘레크 네에만(, "신뢰할 수 있는 왕이신 하느님")의 약자라고 설교적으로 가르친다.[31] 이 구절은 개인이 쉬마를 낭송하기 전에 조용히 암송한다.
유대인들은 일반적으로 이 단어의 히브리어 발음을 사용한다: (스파라드) 또는 (아슈케나즈).[32]
고대 유대교회에서는 랍비가 성경의 구절을 읽고, 이어서 회중이 복창하는 방식으로 성경(암기) 교육을 실시했다. 그러나 회중은 점차 복창을 생략하고 "아멘! (그렇습니다!)"이라고만 말하게 되었다.
4. 2. 기독교

신약성경에서 그리스어 단어 ἀμήν은 신앙 표현이나 전례 공식의 일부로 사용된다.[4] 특히 예수의 말씀에서 서두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이미 말해진 무언가를 다시 언급하는 히브리어의 초기 "아멘"과는 달리, 예수가 자신이 말하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다.(ἀμὴν λέγω, "진실로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23] 이는 동시대 유대교 관습에는 없는 수사학적 장치이다.[24] 레이먼드 브라운(Raymond Brown)은 예수의 독특하고 독창적인 아멘 사용은 그가 말하려는 것이 아버지의 메아리라는 확증이라고 말한다.[25] 이 단어는 공관 복음서에 52번, 요한 복음에는 25번 등장한다.[26]
킹 제임스 성경에서 "아멘"은 여러 맥락에서 나타나는데, 주목할 만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신명기 27장에 나오는 율법의 저주에 대한 교리 문답.[2]
- 시편 89편(시편 41:13; 72:19; 89:52)에 등장하는 두 개의 "아멘"("아멘 아멘")은 말씀을 확인하고 그 성취를 기원한다.[35]
- 로마서 1:25, 9:5, 11:36, 15:33과 16장에 여러 번 나오는 여러 송영 공식에 "아멘"이 등장한다.[2] 또한 시편(41:14; 72:19; 89:53; 106:48)의 송영에도 나타난다. 이는 유대교의 전례적 형식이다.[27]
- 바울의 모든 일반 서신을 마무리한다.
- 요한 계시록 3:14에서 예수는 "아멘, 충실하고 참된 증인, 하나님의 창조의 시작"으로 언급된다.
- ''아멘''은 신약성경의 마지막 책인 계시록 22:21에서 결론을 맺는다.
"아멘"은 일반적으로 기독교 예배에서 기도와 찬송가의 결론으로 사용되며,[33] 강한 동의를 표현하는 단어로 채택되었다.[24] 사도 시대에 이 단어가 전례적으로 사용된 것이 증명되었으며(고린도전서 14:16[35]), 유스티누스 순교자(c. 150)는 성찬례 후에 축복에 대해 회중이 "아멘"이라고 응답했다고 묘사했다.[2][33] 세례 공식에 이 단어가 도입된 것은 아마도 나중의 일일 것이다(동방 정교회에서는 삼위일체의 각 이름 뒤에 발음된다).[34][33]
이사야 65:16에서 공인 번역본은 "진리의 하나님"("아멘의 하나님"은 히브리어)으로 되어 있다. 예수는 자신의 말에 강조를 두기 위해 아멘을 자주 사용했다(번역: "진실로" 또는 "참으로"). 요한복음에서는 "진실로, 진실로"(또는 "참으로, 참으로")로 반복된다. 아멘은 맹세에도 사용된다(민수기 5:22; 신명기 27:15–26; 느헤미야 5:13; 8:6; 역대기상 16:36).[35]
아멘은 주기도문의 마지막 부분에 사용되며,[36] 주기도문은 또한 우리의 아버지 또는 ''Pater Noster''라고도 불린다.
일부 기독교 교회에서 "아멘 코너" 또는 "아멘 섹션"은 설교자의 설교 내용에 "아멘!"이라고 외칠 가능성이 있는 회중의 일부를 의미한다.[37]
고대 유대교회에서는 랍비가 성경 구절을 읽고 회중이 복창하는 방식으로 성경(암기) 교육을 실시했다. 그러나 회중은 점차 복창을 생략하고 "아멘! (그렇습니다!)"이라고만 말하게 되었다. 이것이 유대교에서 파생된 기독교로 그대로 이어져, 신부가 기도의 말을 한 후에 회중이 아멘이라고 말하게 되었다.
기독교에서는 일반적으로 기도나 찬송가의 끝에 놓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성경에서는 세 가지 용법이 보인다.
# 문두의 아멘. 다른 화자의 과거의 말을 참조할 때. 열왕기상 1:36, 요한 계시록 22:20.
# 독립적인 아멘. 문장이 생략된 보충적인 문장. 예: 느헤미야기 5:13, 요한 계시록 5:14 (참조: 고린도전서 14:16).
# 문미의 아멘. 화자에게 변화가 없다. 시편의 첫 세 권에서의 "동의"의 의미나, 신약 성경의 사도 서간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송영 등에 나타난다.
복음서에서의 아멘("진실로"의 의미) 용법은 독특하다. 예수는 다른 사람의 발언이 아닌 자신의 발언을 단정하기 위해 이 말을 사용했다. 이 용법은 교회가 채택했다. 사도 시대의 이 말의 예배에서의 용법은 위에 인용된 고린도전서에 의해 증명된다.
순교자 성 유스티누스(150년경)는 회중이 성찬 축하 후의 축복에 "아멘"이라고 대답하는 것을 기술했다. 세례식에의 도입 (정교회 일반, 일본 정교회에서도 삼위일체의 각 위격의 이름 뒤에 "아민"이라고 말한다)은 성부 시대에는 이미 행해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에서 처음 사용된 예로, 무로마치 말기에 내일한 기리시탄 선교사에 의한 저서 『도치리이 키리시탄』(1591년 간행)에 "우리를 흉악에서 벗어나게 하소서. 아멘"이 있다.
4. 3. 이슬람교
이슬람교에서는 아민''ʾĀmīn''(آمين|아민ar)을 기도를 끝내면서, 특히 유대교나 개신교처럼 코란의 낭송을 끝내면서 사용한다.[65][66] 또한 이슬람권 국가에서 무슬림들이 아민을 무언가를 기도하면서 축복을 바라는 의미로 많이 사용한다. 예를 들어, '세계 모든 사람들이 평화와 화합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민.' 과 같이 사용한다.''ʾĀmīn''(آمين|아민ar)은 '아멘'의 아랍어 형태이다. 이슬람에서 이 단어는 유대교와 기독교에서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특히 기도를 끝낼 때, 간구(두아)나 쿠란의 첫 번째 수라 알 파티하를 낭송한 후, 그리고 기도(살라트)와 같이 다른 사람의 기도에 동의할 때 사용된다.[38][39]
아랍어 사전은 ''ʾāmīn''을 명령형 동명사로 정의하며, 그 의미는 '응답' 또는 '답변'(즉, 신에게 기도를 들어줄 것을 간청하는 것)이다. 이 단어는 히브리어에서 아랍어로 이 맥락에서만 차용되었으며, 따라서 아랍어에서는 엄격하게 간구를 마무리하거나 확신을 선언하기 위한 마지막 '아멘'으로 사용된다. 단어의 원래 히브리어 문법에서 발견되는 것처럼 '진실로' 또는 '확실히'라는 의미로 처음 시작하는 '아멘'의 용법은 없다.
5. 음악에서의 사용
음악 세계에서, 일단 으뜸화음으로 종지한 후, IV도 화음에서 으뜸화음으로 해결되는 종지형(카덴츠)을 "아멘 종지"라고 부른다. 이는 찬송가 마지막에 부르는 "아멘"에 이 종지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대중음악에서는 넓은 의미로 sus4에서 해결되는 진행도 아멘 종지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장조라면 Csus4에서 C로 해결되는 진행을 가리킨다.
참조
[1]
서적
Thesaurus Syriacus
https://sedra.bethma[...]
Oxford: The Calerndon Press
[2]
간행물
Amen
[3]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n Intermediate Greek-English Lexicon, ἀμήν
https://www.perseus.[...]
2021-01-06
[4]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
문서
OEtymD
2007-08-20
[6]
웹사이트
amen – definition of amen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www.oxforddic[...]
2015-09-02
[7]
웹사이트
Two Ways of Pronouncing 'Amen'
https://bustedhalo.c[...]
[8]
문서
A Grammar of Biblical Hebrew
Editrice Pontificio Instituto Biblico
[9]
서적
Understanding Your Neighbor's Faith
KTAV
[10]
백과사전
Amen
http://jewishencyclo[...]
2008-02-19
[11]
사전
Amen
http://www.bartleby.[...]
2008-02-26
[12]
웹사이트
Language Log » Amen
https://languagelog.[...]
2024-07-13
[13]
웹사이트
Collation of Theosophical Glossaries – Amen
http://www.theosophy[...]
2008-03-12
[14]
웹사이트
Origin of Amen.
https://panafricanre[...]
2017-07-14
[15]
웹사이트
Amen
http://www.iahushua.[...]
The Assembly of IaHUShUA MaShIaChaH
2005-12-15
[16]
서적
Autobiography of a Yoga
[17]
서적
'The Truth is'
Samuel Weiser
[1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mandalayo[...]
[19]
웹사이트
Hindu Culture – Omkar and Swastika
http://www.hindubook[...]
2015-09-02
[20]
문서
Wörterbuch der ägyptischen Sprache
Akademie Verlag
[21]
웹사이트
Amen: Behind the word and meaning
http://www.abrahamic[...]
2018-08-12
[22]
서적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http://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23]
웹사이트
Strong's Greek: 281. ἀμήν (amen) -- truly
https://biblehub.com[...]
2021-01-06
[24]
백과사전
Amen
https://www.britanni[...]
2008-03-17
[25]
문서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Vol 1
[26]
문서
Amen
[27]
문서
Dictionary of the Bible
MacMillan Publ. Co., Inc.
[28]
문서
Orach Chaim
[29]
문서
Orach Chaim
[30]
문서
Orach Chaim
[31]
문서
Tractate Shabbat
[32]
문서
To Pray as a Jew: A Guide to the Prayer Book and the Synagogue Service
[33]
간행물
Amen
[34]
문서
[35]
웹사이트
Bible Dictionary: Amen
http://eastonsbibled[...]
2015-09-02
[36]
웹사이트
Matthew 6:9–15
http://www.biblegate[...]
[37]
논문
The amen corner
1983
[38]
서적
A Dictionary of Christ and the Gospels: Volume I
The Minerva Group, Inc.
[39]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Stacey International
[40]
웹사이트
Аминь
http://www.vehi.net/[...]
[41]
웹사이트
Lutheran Church - Missouri Synod - Christian Cyclopedia AMEN
http://cyclopedia.lc[...]
[42]
웹사이트
Greek Orthodox Responseslandscape.pdf
http://www.orthodoxo[...]
[43]
웹사이트
иеромонах Иов (Гумеров). Каково значение слова «аминь»? / Православие.Ru
http://www.pravoslav[...]
[44]
Youtube
The Lords prayer in arabic
https://www.youtube.[...]
[45]
Youtube
Lord's Prayer in Arabic by Juliet
https://www.youtube.[...]
[46]
웹사이트
Biserica Ortodaxa Romana Sfanta Treime
http://biserica.org/[...]
[47]
웹사이트
アーメン/amen
https://gogen-yurai.[...]
2023-01-03
[48]
웹인용
Amen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07-08-20
[49]
문서
Numbers 5:22, Deuteronomy 27.15-26, for example.
[50]
문서
OEtymD amen
2007-08-20
[51]
문서
Microsoft Encarta Dictionary Tools
Encarta
2007-08-20
[52]
문서
Paul Joüon, SJ, A Grammar of Biblical Hebrew, trans. and revised by T. Muraoka, vol. I, Rome: Editrice Pontificio Instituto Biblico, 2000.
[53]
웹인용
G281
http://www.bluelette[...]
Strong's Concordance
2008-02-20
[54]
웹인용
Amen
http://jewishencyclo[...]
Jewish Encyclopedia
2008-02-19
[55]
웹인용
Amen
http://www.bartleby.[...]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08-02-26
[56]
웹인용
King James Bible Strong's Hebrew Dictionary
http://www.sacrednam[...]
2008-02-26
[57]
웹인용
COLLATION OF THEOSOPHICAL GLOSSARIES – Amen
http://www.theosophy[...]
2008-03-12
[58]
간행물
'The Origin of the Word Amen'
http://www.originofa[...]
Amen Ra Theological Seminary Press
2010-02-03
[59]
웹인용
Assembly of Yahweh, Cascade (an Assembly of True Israel, of the Diaspora) – Words and Definitions critical to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es and Christianity
http://www.assemblyo[...]
2008-03-12
[60]
웹인용
Amen
http://www.iahushua.[...]
The Assembly of IaHUShUA MaShIaChaH
2008-03-13
[61]
문서
Autobiography of a Yoga
1946
[62]
서적
'The Truth is'
Published by Samuel Weiser
2000
[63]
웹인용
Mandala Yoga
http://www.mandalayo[...]
2010-11-22
[64]
웹인용
Om, Amen and Amin
http://www.hindubook[...]
2015-09-02
[65]
서적
A Dictionary of Christ and the Gospels: Volume I
http://books.Google.[...]
The Minerva Group, Inc.
[66]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Islam
http://books.google.[...]
Stacey Inter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