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로아트-슬라본 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아트-슬라본 왕국은 1868년 크로아티아 왕국과 슬라보니아 왕국이 통합되어 형성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의 자치 왕국이었다.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달마티아 삼위일체 왕국'을 공식 명칭으로 사용했으며, 헝가리 왕국과의 협정을 통해 자치권을 확보했다. 크로아티아 의회가 입법 권한을 가졌으며, 반(총독)이 자치 정부를 이끌었다. 19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인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로마 가톨릭교가 지배적인 종교였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국가에 합류하며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을 형성하면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 왕국 - 크로아티아 왕국 (합스부르크가)
    크로아티아 왕국 (합스부르크가)는 16세기 초 합스부르크 가문이 통치하며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일부가 된 크로아티아 왕국으로,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개혁, 민족주의 운동을 겪으며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으로 통합되었다.
  • 크로아티아 왕국 - 크로아티아 왕국 (925년~1102년)
    크로아티아 왕국 (925년~1102년)은 중세 시대 현재의 크로아티아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했던 왕국이다.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구성국 - 헝가리 왕국
    헝가리 왕국은 1000년 이슈트반 1세 대관식과 함께 성립되어 1946년까지 존속한 중앙유럽의 왕국으로, 아르파드 왕조를 시작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합스부르크 가문이 왕위를 세습했으며, 중세 시대 중앙유럽 강국이었으나 오스만 제국 침략으로 영토가 분할,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원으로 존속하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영토를 상실, 1946년 공화국 수립으로 왕정이 폐지되었음에도 '헝가리 왕국'이라는 명칭과 국체가 유지되었다.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구성국 - 오스트리아령 실레시아
    오스트리아령 실레시아는 실레시아 공국 남동부에서 기원하여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실레시아 대부분을 프로이센에 할양한 후 남은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독일어, 폴란드어, 체코어 사용자가 혼재한 지역이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체 후 대부분이 체코슬로바키아에 할양되었다.
  • 세르비아의 역사 - 세르비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은 19세기 세르비아의 독립 운동으로 성립되어 발칸 전쟁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해체되고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통합되었다.
  • 세르비아의 역사 -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은 1804년 시작되어 나폴레옹 전쟁과 1848년 혁명을 거치며 유럽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866년 프로이센과의 전쟁 패배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전환되었다.
크로아트-슬라본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현지 이름 (크로아티아어)Kraljevina Hrvatska i Slavonija
현지 이름 (세르비아어)Краљевина Хрватска и Славонија
현지 이름 (헝가리어)Horvát–Szlavón Királyság
현지 이름 (독일어)Königreich Kroatien und Slawonien
일반 명칭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지위자치 왕국
제국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지위 설명성 이슈트반 왕관 령 내 구성 왕국
시대신 제국주의제1차 세계 대전
시작 사건1868년 타협
시작 연도1868년
시작 날짜9월 26일
종료 사건독립
종료 연도1918년
종료 날짜10월 29일
사건 1군사 국경 지대 일부 통합
날짜 사건 11881년 7월 15일
선행 국가 1크로아티아 왕국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깃발
크로아티아 왕국 깃발
선행 국가 2슬라보니아 왕국
슬라보니아 색상
슬라보니아 색상
후행 국가 1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국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국 깃발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국 깃발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문장이 있는 깃발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문장이 있는 깃발
문장 유형문장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문장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문장
오스트리아-헝가리 지도
오스트리아-헝가리 내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17번)
공용어크로아티아어
정부 형태입헌 의회 군주제
국가
("신이여, 황제를 보호하소서")
통치자 칭호국왕
통치자 1프란츠 요제프 1세
통치자 연도 11868년–1916년
통치자 2카를 1세
통치자 연도 21916년–1918년
부통령 칭호
부통령 1레빈 라우흐
부통령 연도 11868년–1871년 (초대)
부통령 2안툰 미할로비치
부통령 연도 21917년–1918년 (마지막)
입법부의회
수도자그레브
종교가톨릭
통화플로린 (1868–1892)
크로나 (1892–1918)
통계 연도 11880년
통계 인구 11,892,499명
통계 연도 21910년
통계 인구 22,621,954명
통계 면적 242,541 km2
현재 국가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중 크로아티아제1차 세계 대전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국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 크로아티아 문제유고슬라비아 왕국
크로아티아 자치주크로아티아 자치주
제2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크로아티아 독립국크로아티아 독립국
크로아티아 연방국크로아티아 연방국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현대 크로아티아독립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독립 전쟁
1995년 이후 크로아티아 역사1995년 이후 크로아티아

2. 명칭

왕국은 공식적으로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달마티아 삼위일체 왕국'''이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달마티아 왕국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16] 그러나 달마티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치슬라이타니아)의 제국 오스트리아에 속한 ''크론란트''였다. 헝가리 정부는 이중 국가에서 그들의 몫을 늘리기 위해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를 지원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두 주요 크로아티아 영토 간의 통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6] 크로아티아-헝가리 협정 제53조에 따르면, 반의 공식 직함은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및 슬라보니아 왕국의 반"이었다.[17][18][19]

빈의 황실 및 왕실 법원에서는 크로아티아 반을 헝가리 왕국의 고위 관리(''Barones Regni'') 중 한 명으로 나열할 때[20] ''Regnorum Croatiae, Dalmatiae et Slavoniae Banus''였지만, 법원에서 크로아티아 및 슬라보니아 왕국의 최고 관리들을 나열할 때, 직함은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및 달마티아의 반"으로 스타일을 지정했다(슬라보니아를 달마티아 앞에 놓고 "왕국"을 생략).[21]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에서 통과된 법률은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및 슬라보니아 왕국"이라는 문구를 사용했다.[22]

헝가리어에서 크로아티아는 ''Horvátország''로, 슬라보니아는 ''Szlavónia''로 불린다. 이 통합된 정치체는 공식적으로 ''Horvát-Szlavón Királyság''로 알려졌다. 이름의 약칭은 ''Horvát-Szlavónország''이었고, 드물게는 ''Horvát-Tótország''이었다.[23][24] 달마티아를 언급하는 순서는 1868년 정착의 크로아티아어 및 헝가리어 버전에서 다르게 정렬되었기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였다.[25]

3. 역사

크로아티아 왕국과 슬라보니아 왕국은 1868년에 통합되어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으로 성립되었다.[26] 1745년 슬라보니아 왕국에 완전한 민정이 도입되었고, 성 이슈트반 왕관 영토 중 하나로서 크로아티아 왕국과 헝가리 왕국에 행정적으로 포함되었지만, 1868년까지 사실상 존재했다. 의심스러운 방식으로 선출된 크로아티아 의회는 1868년 헝가리-크로아티아 연합 헌법인 "나고드바"를 서명하여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의 헝가리 종속을 확인했다.[26] 이 왕국은 오늘날 크로아티아세르비아의 일부(시르미아 동부)를 포함했다.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 이후 새로운 국가의 유일하게 남은 미결 과제는 크로아티아의 지위였으며, 이는 1868년 헝가리-크로아티아 타협으로 해결될 예정이었다. 이 타협은 헝가리 의회와 크로아티아 의회 간에 문제의 헌법 문제를 공동으로 제정하는 데 합의하면서 이루어졌다.[27] 헝가리와 크로아티아 간에 도달한 합의는 크로아티아 버전에서 "헝가리 왕국과 에르데리가 연합한 왕국과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왕국 사이의 협상]"으로 명명되었다.[28] 헝가리 버전에서는[29] 헝가리,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슬라보니아는 왕국으로 칭해지지 않았고, 에르데리는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 반면에 협상은 헝가리 의회와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달마티아 의회 사이의 협상으로 명명되었다. 두 버전 모두

3. 1. 왕국의 성립 (1868년)

크로아티아 왕국과 슬라보니아 왕국이 1868년에 통합되어 크로아티아-슬라본 왕국이 성립되었다.[26] 1745년 슬라보니아 왕국에 완전한 민정이 도입되었고, 성 이슈트반 왕관 영토 중 하나로서 크로아티아 왕국과 헝가리 왕국에 행정적으로 포함되었지만, 1868년까지 사실상 존재했다. 의심스러운 방식으로 선출된 크로아티아 의회는 1868년 헝가리-크로아티아 연합 헌법인 "나고드바"를 서명하여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의 헝가리 종속을 확인했다.[26]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 이후 크로아티아의 지위 문제는 1868년 헝가리-크로아티아 타협으로 해결되었다.[27] 이 타협은 헝가리 의회와 크로아티아 의회 간에 이루어졌으며, 크로아티아 버전에서는 "헝가리 왕국과 에르데리가 연합한 왕국과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왕국 사이의 협상]"으로 명명되었다.[28] 헝가리 버전에서는[29] 헝가리,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슬라보니아는 왕국으로 칭해지지 않았고, 에르데리는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 두 버전 모두

3. 2. 군정 국경 지대의 통합 (1881년)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은 1868년에 이전의 크로아티아와 슬라보니아 왕국이 하나의 왕국으로 통합되면서 창설되었다.[26] 의심스러운 방식으로 선출된 크로아티아 의회는 1868년 헝가리-크로아티아 연합 헌법인 "나고드바"(크로아티아-헝가리 협상)를 서명하여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의 헝가리 종속을 확인했다.[26]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 이후 크로아티아의 지위 문제는 1868년 헝가리-크로아티아 타협으로 해결되었다. 헝가리와 크로아티아 간에 도달한 합의는 크로아티아 버전에서 "헝가리 왕국과 에르데리가 연합한 왕국과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왕국 사이의 협상]"으로 명명되었다.[28] 헝가리 버전에서는[29] 헝가리,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슬라보니아는 왕국으로 칭해지지 않았고, 에르데리는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 두 버전 모두

3. 3. 제1차 세계 대전과 왕국의 해체 (1918년)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 이후 새로운 국가의 유일하게 남은 미결 과제는 크로아티아의 지위였으며, 이는 1868년 헝가리-크로아티아 타협으로 해결될 예정이었다.[27] 이 타협은 헝가리 의회와 크로아티아 의회 간에 문제의 헌법 문제를 공동으로 제정하는 데 합의하면서 이루어졌다.[27] 헝가리와 크로아티아 간에 도달한 합의는 크로아티아 버전에서 "헝가리 왕국과 에르데리가 연합한 왕국과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왕국 사이의 협상]"으로 명명되었다.[28] 헝가리 버전에서는[29] 헝가리,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슬라보니아는 왕국으로 칭해지지 않았고, 에르데리는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 반면에 협상은 헝가리 의회와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달마티아 의회 사이의 협상으로 명명되었다. 두 버전 모두

4. 정치

4. 1. 정치적 지위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Ausgleich'')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탄생했다. 이중 군주국 체제 하에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각각 제국 의회와 헝가리 의회라는 별도의 의회를 통해 법률을 제정하고 유지했다. 각 지역은 자체 총리가 이끄는 정부를 가졌으며, "공동 군주국"은 황제-국왕과 빈에 있는 외무, 국방, 재무 장관으로 구성되었다. 이 타협은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와 헝가리의 역사적인 관계를 확인하고, 달마티아와 이스트라를 오스트리아 행정부에 남겨 크로아티아 영토의 분할을 영속화했다.[32]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주장으로 1868년 헝가리와 크로아티아는 타협(크로아티아어로는 ''Nagodba'')을 통해 크로아티아인에게 헝가리 내 특별 지위를 부여했다. 이 협정으로 크로아티아는 내부 문제에 대한 자치권을 얻었으며, 크로아티아 반은 헝가리 총리가 이끄는 크로아티아-헝가리 공동 정부에 의해 지명되고 국왕이 임명했다.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공동" 관심사는 재정, 통화 문제, 상업 정책, 우체국, 철도 등이었다.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 정부의 공식 언어가 되었고, 크로아티아-헝가리 의회에서 "공동" 문제를 논의하는 크로아티아 대표는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할 수 있었다.[33] 헝가리 정부 내에는 크로아티아 문제부가 설치되었다.[34]

''Nagodba''는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에 어느 정도의 정치적 자치를 제공했지만, 정치적, 경제적으로는 헝가리에 종속되었다.[32]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초대 반 (1868-1871), 레빈 라우흐의 왕립 반 전범 깃발.


자그레브에 있는, 크로아티아 삼위일체 왕국을 상징하는 조각.

4. 2. 의회

크로아티아 의회(크로아티아어: ''Kraljevski Hrvatsko–slavonsko–dalmatinski sabor'' 또는 ''Sabor Kraljevina Hrvatske, Slavonije i Dalmacije'')는 1868년 크로아티아-헝가리 타협에 따라 자치 문제에 대한 입법 권한을 가졌다. 의회에서 승인된 법률 초안(법안)은 국왕의 재가(인가)를 거쳐 법령(법)이 되었으며, 크로아티아의 반(총독)의 서명을 받아야 했다. 국왕은 의회가 통과시킨 모든 법률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었고, 의회를 해산하고 새로운 선거를 소집할 수도 있었다. 국왕이 의회를 해산하는 경우, 3개월 이내에 새로운 선거를 소집해야 했다.

의회는 국왕 또는 국왕이 특별히 임명한 위원(보통 반)에 의해 자그레브에서 매년 소집되었다. 이는 단원제였지만, 88명의 선출된 대의원(1888년)과 함께 44명의 ''당연직'' 의원이 있었다. 이들은 24세 이상이고 연간 1,000 플로린 이상의 토지세를 납부하는 크로아티아 및 슬라보니아 고위 귀족 (남성 공작, 백작남작 - 세습 귀족과 유사) , 로마 가톨릭 교회, 그리스 가톨릭 교회 및 동방 정교회의 고위 성직자, 모든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군의 최고 군 현장관(''veliki župani'')이었다. 임기는 3년이었고, 1887년 이후에는 5년이었다.

크로아티아 의회는 대표원에 29명 (1881년 크로아티아 군사 변경 지역 및 슬라보니아 군사 변경 지역의 재병합 후 40명)의 대의원을 선출했고, 헝가리 의회의 귀족원에 2명 (1881년 이후 3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대표는 회의에서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할 수 있었지만, 개인적으로 투표했다.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은 1865년, 1867년, 1871년, 1872년, 1878년, 1881년, 1883년, 1884년, 1887년, 1892년, 1897년, 1901년, 1906년, 1908년, 1910년, 1911년, 1913년에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를 독립적으로 치렀다.

의회에서 대표되는 주요 정당으로는 인민당 (인민 자유당), 독립 인민당 (1880년 이후), 크로아티아-헝가리당 (인민(국민) 헌법당 또는 연합당) (1868-1873), 권리당, 권리 순수당 (1895년 이후), 스타체비치의 권리당 (1908년 이후), 세르비아 독립당 (1881년 이후), 크로아티아 인민 농민당 (1904년 이후), 크로아티아-세르비아 연합 (1905년 이후) 등이 있었다.

4. 3. 자치 정부

1869년 자그레브에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달마티아 왕립 토지 정부"(Zemaljska vladahr 또는 ''Kraljevska hrvatsko–slavonsko–dalmatinska zemaljska vlada'')라는 공식 명칭으로 자치 정부 또는 토지 정부가 설치되었다(크로아티아 의회 법률 제II호, 1869년).[89][90] 1914년까지는 세 개의 부서를 가지고 있었는데,

  • 내무부(Odjel za unutarnje poslovehr)
  • 종교 및 교육부(Odjel za bogoštovlje i nastavuhr)
  • 법무부(Odjel za pravosuđehr)


였다. 1914년에 네 번째 부서로 국민 경제부(Odjel za narodno gospodarstvohr)가 설립되었다.[91]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자치 정부의 수장은 반으로,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의회에 책임을 졌다.[92]

4. 4. 반 (총독)

자그레브에 있는 크로아티아 반의 궁전(반스키 드보리). 현재는 크로아티아 정부가 위치해 있다.


반은 헝가리 연합 총리-대통령의 제안과 부서명으로 왕에 의해 임명되었다.[37]

1868년부터 1918년까지의 반 (총독) 목록은 다음과 같다:[93]

  • 1868 – 1871: 남작 레빈 라우흐 데 니에크
  • 1871 – 1872: 콜로만 플. 베데코비치 데 코모르
  • 1872 – 1873: 안툰 플. 부카노비치 대행
  • 1873 – 1880: 이반 마주라니치
  • 1880 – 1883: 백작 라디슬라프 페야체비치 데 비로비티차
  • 1883: 헤르만 플. 람베르크 대행
  • 1883 – 1903: 백작 카로이 쿠엔-헤데르바리 데 헤데르바르
  • 1903 – 1907: 백작 테오도르 페야체비치 데 비로비티차
  • 1907 – 1908: 알렉산다르 플. 라코드차이
  • 1908 – 1910: 남작 파바오 라우흐 데 니에크
  • 1910 – 1912: 니콜라 플. 토마시치
  • 1912 – 1913: 남작 슬라브코 쿠바지 데 이반스카
  • 1913 – 1917: 남작 이반 스케르레츠 데 롬니차
  • 1917 – 1918: 안툰 플. 미할로비치

5. 법률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대법원은 자그레브의 7인 재판소(Table of Seven, 세븐비르 재판소(Court of Seven); 크로아티아어: ''Stol sedmorice'', 라틴어: ''Tabula Septemviralis'')였으며, 2심 법원(항소 법원)은 자그레브의 반의 재판소(Ban's Table) 또는 반의 재판소(Ban's Court) (크로아티아어: ''Banski stol'', 라틴어: ''Tabula Banalis'')였다.[38][94]

1874-1886년 사법 개편(사법권과 행정권의 완전 분리, 판사 독립 및 사법 조직에 관한 법률, 1874년 1심 법원 조직법 (1886년 개정), 1874년 사법 권한법 및 1874년 판사 징계 책임법 등, 1875년 크로아티아 형사 소송법, 1875년 크로아티아 형사 소송 보도 위반법)과 1881년 크로아티아 군사 국경과 슬라보니아 군사 국경의 재통합 이후, 사법 제도가 개편되었다.[39][95] 1심 법원은 9개의 왕립 법원 (자그레브, 바라주딘, 비옐로바르, 페트리냐, 고스피치, 오굴린, 포제가, 오시예크 및 스렘스카 미트로비차에 설치, 형법 및 주요 민사법 관할권, 이전의 주 법원 및 자그레브의 토지 법원/왕립 법원)과 약 63개의 왕립 지방 법원 (단독 판사) (크로아티아어: ''kraljevski kotarski sudovi''; 주로 민사법경범죄 관할권; 이전의 지방 행정 및 사법 사무소 및 시 법원)과 지방 법원 (크로아티아어: ''mjesni sudovi'')이 설치되었으며, 각 자치구 및 도시에 1875년 지방 법원 및 지방 법원 절차법에 따라 소액 민사 사건을 위한 특별 재판소로 단독 판사도 설치되었다.[39][95] 자그레브 왕립 법원(Royal Court Table in Zagreb)은 보도 위반에 대한 배심 법원이었다.[39] 판사는 국왕이 임명했지만, 그들의 독립은 법적으로 보장되었다.[39][95]

6. 행정 구역

1886년, 크로아티아 반 드라구틴 쿠엔-헤데르바리 치하에서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는 8개의 군(''주파니예'', 헝가리 왕국의 코미타투스로 알려짐)으로 나뉘었다.[96]

오스트리아-헝가리 내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의 군

  • 모드루시-리예카 군
  • 자그레브 군
  • 바라주딘 군
  • 벨로바르-크리제브치 군
  • 비로비티차 군
  • 포제가 군
  • 스리예므 군
  • 리카-크르바바 군


리카-크르바바는 1881년 크로아티아 군사 변경지대가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로 편입된 후 군이 되었다.[97] 군은 이후 총 77개의 구(크로아티아어: ''코타리'', 오스트리아의 ''베치르케''와 유사)로 정부 단위로 나뉘었다. 도시(''그라도비'')와 지방 자치 단체(''옵치네'')는 지방 당국이었다.

7. 상징

7. 1. 국기

크로아트-슬라본 왕국의 국기는 1868년 협약과 왕립 지방 정부 내무부의 1867년 11월 16일자 18.307호 법령에 따라 제정되었다.[45]

적-백-청 삼색기는 크로아티아와 슬라보니아 왕국의 민간 깃발이었으며,[45]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달마티아의 통합 문장이 성 이슈트반 왕관과 함께 얹혀 자치 사무에 사용되는 공식 깃발이었다.[45] 민간 깃발은 모든 사람이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45]

"헝가리 왕관 영토의 공동 사무"를 위한 문장은 헝가리와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의 통합 문장으로 구성되었다.[46][47]

그러나 깃발의 내부 사용 버전에는 여러 변형이 있었는데, 일부 변형에서는 공식적으로 규정된 헝가리의 성 이슈트반 왕관 대신 비공식적인 종류의 왕관을 사용하거나 단순히 왕관을 생략했다.[45] 방패 디자인에도 변형이 있었다.[45] 비공식 문장이 선호되는 디자인이었고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1914년 11월 21일 법령을 발표하여 깃발 관련 법률을 강화했다.[45] 1867년 크로아티아 깃발에 대한 정의를 반복하고, 법령 위반에 대해 벌금 또는 구류, 무단 깃발 또는 문장 몰수를 처벌한다고 명시했다.[45][48]

7. 2. 문장



8. 인구 통계

8. 1. 민족

19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트-슬라본 왕국의 총 인구는 2,621,954명이었다.[49][103] 민족 구성은 크로아티아인이 1,638,354명(62.5%)으로 가장 많았고, 세르비아인이 644,955명(24.6%), 독일인이 134,078명(5.0%), 헝가리인이 105,948명(4.1%) 순이었다.[49] 기타 민족은 98,619명(3.8%)이었다.[49]

1875년 자료(군사 국경 제외)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인 및 세르비아인은 1,032,000명, 독일인은 31,700명, 헝가리인은 12,000명이었다.[50][104] 그 외 체코인 및 슬로바키아인이 5,000명, 이탈리아인과 슬로베니아인이 각각 2,000명, 기타 2,000명이었다.[50]

1910년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인구 조사[49]
국적인구비율
총계2,621,954100.0%
크로아티아인1,638,35462.5%
세르비아인644,95524.6%
독일인134,0785.0%
헝가리인105,9484.1%
기타98,6193.8%


8. 2. 종교

19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트-슬라본 왕국의 종교는 다음과 같다.[49][105]

인구의 약 75%는 로마 가톨릭 신자였고, 나머지 25%는 정교회 신자였다. 가톨릭 교회는 왕국 내에 자그레브 대교구를 비롯한 여러 교구를 두었다.

교구크로아티아어 이름설립대성당
자그레브 대교구'자그레바츠카 나드비수피야'1093년자그레브 대성당
크리제브치 교구 (그리스 가톨릭)크리제바츠카 비스쿠피야 (크리제바츠카 에파르히야)1777년크리제브치 성 삼위일체 대성당
스리예므 교구스리옘스카 비스쿠피야4세기디야코보 성 베드로와 바오로 대성당
세니-모드루시 교구센스코-모드루슈카 비스쿠피야1168년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승천 대성당



1890년에는 17,261명의 유대인이 살고 있었으며, 1867년에는 자그레브 회당이 건설되었다.

8. 3. 문해율

19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트-슬라본 왕국의 문맹률은 45.9%였다.[51][106] 문맹률이 가장 낮은 곳은 자그레브, 오시예크제문이었다.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문맹률 1880–1910[51][106]
연도전체 문맹률남성여성전체 인구
188073.9%67.8%79.9%1,892,449
189066.9%60.1%73.5%2,186,410
190054.4%46.8%61.8%2,416,304
191045.9%37.6%53.7%2,621,954


9. 군사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크로아티아 군인 기념비


크로아티아 왕립 국토 방위군은 크로아트-슬라본 왕국의 군대였다. 크로아티아인은 오스트리아-헝가리 공동군 구성원의 5%를 차지했는데, 이는 제국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보다 높았다.[52]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의 주목할 만한 크로아티아인으로는 스베토자르 보로예비치 원수, 제국 및 왕립 항공대 사령관 에밀 우젤라크,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 사령관 막시밀리안 네고반이 있었다.[53]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서 복무했으며, 이후 원수이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대통령이 되었다.[53][107]

10. 문화

1874년, 현대적인 자그레브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유고슬라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와 마티차 흐르바츠카는 왕국 내 주요 문화 기관이었다. 1911년, 달마티아 왕국의 주요 문화 기관인 마티차 달마틴스카는 마티차 흐르바츠카와 합병되었다. 비예나츠는 왕국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 잡지 중 하나였다.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국립 극장 건물은 1895년에 개관했다. 오시예크 크로아티아 국립 극장은 1907년에 설립되었다. 자그레브의 자선 수녀회 병원은 왕국에서 최초로 설립되었다.

11. 유산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크로아티아 의회는 헝가리-크로아티아 동군 연합을 폐지했다.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양 지역과 달마티아 왕국 (자다르와 라스토보 제외)은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세르비아인 국가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 국가는 세르비아 왕국과 함께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나중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알려짐)을 형성했다. 새로운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은 1918년에서 1922년 사이에 현으로, 1922년에서 1929년 사이에 주(oblasts)로 나뉘었다. 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형성되면서, 이전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대부분의 영토는 사바 바노비나의 일부가 되었고, 이전 달마티아 왕국의 대부분은 리토랄 바노비나의 일부가 되었다.

드라기샤 츠베트코비치(Dragiša Cvetković)와 블라트코 마체크(Vladko Maček) 간의 정치적 합의(츠베트코비치-마체크 협정)와 1939년 8월 24일자 "크로아티아 바노비나에 관한 법령"(''Uredba o Banovini Hrvatskoj'')을 바탕으로, 자치 크로아티아 바노비나(크로아티아 자치주)는 사바 바노비나, 리토랄 바노비나, 그리고 브르치코, 데르벤타, 두브로브니크, 포이니차, 그라다차츠, 일로크, 시드트라브니크 지역을 통합하여 만들어졌다.

참조

[1] 간행물 "''§. 57. Za organe zajedničke vlade ustanovljuje se takodjer hrvatski jezik službenim jezikom unutar granicah kraljevinah Dalmacije, Hrvatske i Slavonije. §.58. Predloge i spise u hrvatskom jeziku sastavljene; pa iz kraljevinah Hrvatske i Slavonije na zajedničko ministarstvo podnešene, imade to ministarstvo primati i rješitbe svoje na istom jeziku izdavati. §. 59. Obzirom na to, da su kraljevine Hrvatska i Slavonija politički narod, imajući posebni svoj teritorij i u pogledu nutarnjih svojih poslovah vlastito zakonodavstvo i autonomnu vladu, ustanovljuje se nadalje; da se zastupnici istih kraljevinah tako na zajedničkom saboru kako i u delegaciji mogu služiti i jezikom hrvatskim. §. 60. Na zajedničkom saboru stvoreni i podpisom Nj. c. i kr. apošt. Veličanstva providjeni zakoni izdavat će se za kraljevine Dalmaciju, Hrvatsku i Slavoniju u izvorniku hrvatskom i odaslati saboru tih kraljevinah. (transl.) §. 57. For the organs of the joint government, Croatian is also established as the official language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Kingdoms of Dalmatia, Croatia and Slavonia. §.58. Proposals and writings composed in Croatian; and submitted from the Kingdoms of Croatia and Slavonia to the joint ministry, the ministry has to receive them and issue its decision in the same language. §.59. Considering that the Kingdoms of Croatia and Slavonia are a political nation, having their own separate territory and, in terms of its own affairs, its own legislation and autonomous government, is further established; that the representatives of the same Kingdoms can use both in the joint parliament and in the delegation Croatian. §.60. Laws created at the joint Parliament, and sanctioned by H.I. and R. Apostolic Majesty shall be issued for the Kingdoms of Dalmatia, Croatia and Slavonia in the Croatian original and shall be sent to the Parliament of these Kingdoms.''" http://alex.onb.ac.a[...] Sbornik zakona i naredabah valjanih za kraljevine Hrvatsku i Slavoniju za god. 1868. (Komad I.-VI., br. 1.-19.)
[2] 서적 Stjepan Radić, the Croat Peasant Party, and the politics of mass mobilization, 1904–1928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 서적 A nation forged in war Yale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According to articles 56 and 57 of Nagodba only official language in Croatia is Croatian'' (Po čl. 56. i 57. Hrvatsko-ugarske nagodbe u Hrvatskoj je u službenoj uporabi samo hrvatski jezik) Naklada Pavičić
[5] 웹사이트 ''56. In the whole territory of Croatia–Slavonia, Croatian is the language alike of the Legislature, the Administration and the Judicature. 57. Inside the frontiers of Croatia–Slavonia, the Croatian is prescribed as the official language for the organs of the Joint Government also.'' http://www.h-net.org[...] London, Constable and Co.
[6] 문서 Biondich 2000
[7] 서적 East Central Europe between the Two World Wa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74
[8] 간행물 "''§. 59. Obzirom na to, da su kraljevine Hrvatska i Slavonija '''politički narod''', imajući posebni svoj teritorij i u pogledu nutarnjih svojih poslovah vlastito zakonodavstvo i autonomnu vladu, ustanovljuje se nadalje; da se zastupnici istih kraljevinah tako na zajedničkom saboru kako i u delegaciji mogu služiti i jezikom hrvatskim. (transl.) §.59. Considering that the Kingdoms of Croatia and Slavonia are '''a political nation''', having their own separate territory and, in terms of its own affairs, its own legislation and autonomous government, is further established; that the representatives of the same Kingdoms can use both in the joint parliament and in the delegation Croatian.''" http://alex.onb.ac.a[...] Sbornik zakona i naredabah valjanih za kraljevine Hrvatsku i Slavoniju za god. 1868. (Komad I.-VI., br. 1.-19.)
[9] 웹사이트 "''since all citizens of Hungary,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form from a political point of view one nation — the indivisible unitary Hungarian nation — of which every citizen of the fatherland is a member, no matter to what nationality he belongs: since, moreover, this equality of right can only exist with reference to the official use of the various languages of the country,...§ 29. The provisions of this law do not extend to '''Croatia Slavonia and Dalmatia''', which possess a special territory and '''form politically a special nation''';" http://www.oocities.[...] Constable
[10] 웹사이트 Hrvatsko-ugarska nagodba http://enciklopedija[...] 2019-04-06
[11] 웹사이트 Nagodba https://www.britanni[...] 2019-04-06
[12] 문서 Croatian–Hungarian settlement, Constitution, 1868, Article §. 1
[13] 간행물 Law act III:1917, Coronation oath Sabor
[14] 간행물 Coronation diploma inaugurale http://alex.onb.ac.a[...] Zbornik zakona i naredaba valjanih za Kraljevine Hrvatsku i Slavoniju
[15] 서적 Stvaranje Države SHS Zagreb
[16] 서적 Croatia: a history C. Hurst & Co. Publishers
[17] 간행물 Legal Article on the settlement that, on the one side, the Kingdom of Hungary, united with Erdély, on the other side the Kingdoms of Croatia and Slavonia have concluded to settle the existing between them constitutional issues http://alex.onb.ac.a[...] Sbornik zakona i naredabah valjanih za kraljevine Hrvatsku i Slavoniju za god. 1868. (Komad I.-VI., br. 1.-19.) 2018-09-27
[18] 웹사이트 The Hungaro–Croatian Compromise http://hr.wikisource[...]
[19] 웹사이트 1868. évi XXX. törvénycikk a Magyarország, s Horvát-, Szlavon és Dalmátországok közt fenforgott közjogi kérdések kiegyenlítése iránt létrejött egyezmény beczikkelyezéséről https://library.hung[...] Magyar joganyagok - 1868. évi XXX. törvénycikk 2018-09-28
[20] 간행물 Court and state guide issued by the Imperial and Royal Court, for the year 1878. http://alex.onb.ac.a[...] Druck und Verlag der Kaiserlich-Ko̲niglichen Hof- und Staatsdruckerei 2018-09-28
[21] 간행물 Court and state guide issued by the Imperial and Royal Court, for the year 1878. http://alex.onb.ac.a[...] Druck und Verlag der Kaiserlich-Ko̲niglichen Hof- und Staatsdruckerei 2018-09-28
[22] 학술논문 Saborski izbori i zagrebačka izborna tijela na prijelazu iz 19. u 20. stoljeće http://hrcak.srce.hr[...]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Ivo Pilar 2012-08-22
[23] 웹사이트 A Magyar Sz. Korona országai Magyarország, Horvát-Tótország és a Katonai Őrvidék új térképe Magyarország http://ganymedes.lib[...] 2012-12-25
[24] 서적 Hivatalos Statistikai Közlemények. Kiadja: A Földmivelés-, Ipar- És Kereskedelemügyi Magyar Királyi Ministerium Statistikai Osztálya. Évf. 2. Füz. 1 https://books.google[...]
[25]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Europe in Historical Context
[26] 웹사이트 Britannica 2009 Nagodba https://www.britanni[...]
[2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Union between Croatia–Slavonia and Hungary http://www.h-net.org[...]
[28] 간행물 Legal Article on the settlement that, on the one side, the Kingdom of Hungary, united with Erdély, on the other side the Kingdoms of Croatia and Slavonia have concluded to settle the existing between them constitutional issues http://alex.onb.ac.a[...] Sbornik zakona i naredabah valjanih za kraljevine Hrvatsku i Slavoniju za god. 1868. (Komad I.-VI., br. 1.-19.) 2018-09-27
[29] 웹사이트 1868. évi XXX. törvénycikk a Magyarország, s Horvát-, Szlavon és Dalmátországok közt fenforgott közjogi kérdések kiegyenlítése iránt létrejött egyezmény beczikkelyezéséről https://library.hung[...] Magyar joganyagok - 1868. évi XXX. törvénycikk 2018-09-28
[30] 문서 State union between Hungary and Croatia–Slavonia was formally known as personal union, in reality it was real union with self rule for Croatia–Slavonia
[31] 학술논문 Citizenship in Croatia–Slavonia during the First World War https://www.bib.irb.[...] 2017
[32] 문서 Biondich 2000
[33] 웹사이트 History of Hungary http://motherearthtr[...]
[34] 서적 Povijest hrvatskog naroda
[35] 간행물 The highest rescript, confirming the legal article for the organization of the autonomous Croatian–Slavonian–Dalmatian Land Government (1869) http://alex.onb.ac.a[...] Sbornik zakona i naredabah valjanih za kraljevinu Hrvatsku i Slavoniju za god. 1869. ( in Croatian) komad I.-VIII. 2018-09-27
[37] 웹사이트 The Hungaro–Croatian Compromise of 1868 (The Nagodba), III http://www.h-net.org[...]
[38] 웹사이트 Hrvatska pravna povijest 1790. – 1918. http://www.vsrh.hr/E[...]
[39] 논문 Izgradnja modernog hrvatskog sudstva 1848 – 1918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Zagreb, Law Faculty 2017-01-20
[42] 웹사이트 Kingdom of Croatia, Slavonia and Dalmatia (1867 - 1918) http://miyeonjan.tri[...] 2009-11-29
[43] 웹사이트 Hrvatska-povijesne zastave http://zeljko-heimer[...] 2019-03-02
[44] 웹사이트 Croatia in the Habsburg Empire https://www.crwflags[...] 2019-03-04
[45] 웹사이트 Croatia in the Habsburg Empire https://www.crwflags[...] 2019-03-02
[46] 웹사이트 The Hungaro–Croatian Compromise of 1868 (The Nagodba), II http://www.h-net.org[...]
[47] 웹사이트 Croatia – Historical Flags (1848–1918), www.fotw.net https://www.fotw.inf[...]
[48] 웹사이트 Hrvatska-povijesne zastave http://zeljko-heimer[...] 2019-03-02
[49] 서적 Eastern Europe Between the Wars, 1918–1941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45
[50] 문서 Kroatien, Slavonien, Dalmatien Und Das Militargrenzland, p. 20. https://www.scribd.c[...]
[51] 문서 Pokušaji smanjivanja nepismenosti u Banskoj Hrvatskoj početkom 20. stoljeća, p. 133-135 http://hrcak.srce.hr[...]
[52] 서적 July 1914: Countdown to War http://archive.org/d[...] Basic Books 2013
[53] 서적 Tito, tajna veka Novosti 2009
[54] 문서 Zakonski čl. XII. 1868. (Croatian–Hungarian Settlement) http://alex.onb.ac.a[...]
[55] 서적 Stjepan Radić, the Croat Peasant Party, and the politics of mass mobilization, 1904–1928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0
[56] 서적 A nation forged in war Yale University Press
[57] 서적 Povijest Hrvatske Naklada Pavičić 2007
[58] 웹사이트 The Southern Slav Question and the Habsburg Monarchy http://www.h-net.org[...] 1911
[59] 서적 East Central Europe between the Two World Wa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74
[63] 웹사이트 Hrvatsko-ugarska nagodba http://enciklopedija[...] 2019-04-06
[64] 웹사이트 Nagodba http://www.britannic[...] 2019-04-06
[68] 서적 Stvaranje Države SHS 1958
[69] 서적 Croatia: a history C. Hurst & Co. Publishers
[70] 웹사이트 Zakonski članak o nagodbi, koju s jedne strane kraljevina Ugarska, sjedinjena s Erdeljem, s druge strane kraljevine Hrvatska i Slavonija sklopiše za izravnanje postojavših izmedju njih državnopravnih pitanjah. http://alex.onb.ac.a[...]
[71] 웹사이트 The Hungaro–Croatian Compromise http://hr.wikisource[...]
[72] 웹사이트 1868. évi XXX. törvénycikk a Magyarország, s Horvát-, Szlavon és Dalmátországok közt fenforgott közjogi kérdések kiegyenlítése iránt létrejött egyezmény beczikkelyezéséről https://library.hung[...]
[73] 문서 Court and state guide issued by the Imperial and Royal Court, for the year 1878.
[74] 간행물 Saborski izbori i zagrebačka izborna tijela na prijelazu iz 19. u 20. stoljeće http://hrcak.srce.hr[...]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Ivo Pilar 2005-04
[75] 지도 A Magyar Sz. Korona országai Magyarország, Horvát-Tótország és a Katonai Őrvidék új térképe Magyarország http://ganymedes.lib[...] 1877
[76] 서적 Hivatalos Statistikai Közlemények. Kiadja: A Földmivelés-, Ipar- És Kereskedelemügyi Magyar Királyi Ministerium Statistikai Osztálya. Évf. 2. Füz. 1 https://books.google[...]
[77]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Europe in Historical Context
[78] 웹사이트 Britannica 2009 Nagodba http://www.britannic[...]
[7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Union between Croatia–Slavonia and Hungary http://www.h-net.org[...]
[80] 웹사이트 1868. évi XXX. törvénycikk a Magyarország, s Horvát-, Szlavon és Dalmátországok közt fenforgott közjogi kérdések kiegyenlítése iránt létrejött egyezmény beczikkelyezéséről https://library.hung[...] 2018-09-28
[81] 문서 State union between Hungary and Croatia–Slavonia was formally known as personal union, in reality it was real union with self rule for Croatia–Slavonia.
[8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Union between Croatia–Slavonia and Hungary http://www.h-net.org[...]
[8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Union between Croatia–Slavonia and Hungary http://www.h-net.org[...]
[84] 간행물 Citizenship in Croatia–Slavonia during the First World War https://www.bib.irb.[...] 2017
[85] 문서 Biondich 2000
[86] 웹사이트 History of Hungary http://motherearthtr[...]
[87] 문서 Povijest hrvatskog naroda
[88] 문서 Biondich 2000
[89] 웹사이트 Najviši reškript, kojim se potvrdjuje zakonski članak ob ustrojstvu autonomne hrvatsko–slavonsko–dalmatinske zemaljske vlade http://alex.onb.ac.a[...]
[90] 문서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Croatian–Slavonian–Dalmatian Land Government (Royal Land Government or informally Autonomous Government), the Croatian Court Chancellery or (officially) Royal Croatian–Slavonian–Dalmatian Court Chancellery in Vienna (1862–1869) as supreme governmental body for Croatia and Slavonia organized in accordance with the October Diploma and the February Patent and the Royal Croatian–Slavonian Council of Lieutenancy in Zagreb (1861–1869) were abolished.
[91] 문서 Biondich 2000
[92] 웹사이트 The Hungaro–Croatian Compromise of 1868 (The Nagodba), III http://www.h-net.org[...]
[93] 웹사이트 The Hungaro–Croatian Compromise of 1868 (The Nagodba), III http://www.h-net.org[...]
[94] 웹사이트 Hrvatska pravna povijest 1790. – 1918. http://www.vsrh.hr/E[...]
[95] 간행물 Izgradnja modernog hrvatskog sudstva 1848 – 1918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Zagreb, Law Faculty 2006-04
[96] 문서 Biondich 2000
[97] 문서 Biondich 2000
[98] 웹사이트 Croatia in the Habsburg Empire https://www.crwflags[...] 2019-03-02
[99] 웹사이트 The Hungaro–Croatian Compromise of 1868 (The Nagodba), II http://www.h-net.org[...]
[100] 웹사이트 Croatia – Historical Flags (1848–1918), www.fotw.net http://fotw.net/flag[...]
[101] 웹사이트 Croatia in the Habsburg Empire https://www.crwflags[...] 2019-03-02
[102] 웹사이트 Hrvatska-povijesne zastave http://zeljko-heimer[...] 2019-03-02
[103] 문서
[104] 웹사이트 Kroatien, Slavonien, Dalmatien Und Das Militargrenzland https://www.scribd.c[...]
[105] 문서
[106] 웹사이트 Pokušaji smanjivanja nepismenosti u Banskoj Hrvatskoj početkom 20. stoljeća, p. 133-135 http://hrcak.srce.hr[...]
[107] 서적 Tito, tajna veka Novost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