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찬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양찬가"는 고대 이집트 파라오 아크나톤 시대에 숭배되었던 태양신 아텐을 찬양하는 시이다. 이 찬가는 아마르나 시대의 종교적 예술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학 작품으로,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과 관련된 아텐 신앙의 특징을 담고 있다. 찬가의 내용은 아텐의 창조와 섭리, 아크나톤과 아텐의 관계를 강조하며, 시편 104편과의 비교를 통해 그 유사성과 논쟁을 살펴볼 수 있다. 현대에는 필립 글래스의 오페라 "아크나톤"과 밥 딜런의 노래 "When the Ship Comes In"에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크나톤 - 아마르나
아마르나는 아크나톤이 건설한 고대 이집트의 수도 아케타텐의 현대 지명으로, 아텐 숭배의 중심지였으나 아크나톤 사후 버려진 도시이며, 현재 도시 계획과 예술 양식을 잘 보존한 고고학 유적지이다. - 아크나톤 - 안케세나멘
안케세나멘은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공주이자 왕비로, 아크나톤의 왕비, 투탕카멘의 정비, 그리고 아이의 왕비였으며, 그녀의 죽음으로 이집트 왕가의 혈통이 단절되었다. - 아텐교 - 투탕카멘
투탕카멘은 기원전 14세기에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아케나톤의 아들로 추정되며, 10세에 파라오가 되어 아텐 신앙을 폐지하고 아멘 신앙으로 복귀했으며, 18세에 사망하여 그의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 아텐교 - 아톤
아톤은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으로 이집트의 유일신으로 숭배된 태양신으로, 태양 원반의 모습과 인간이나 동물이 아닌 태양 광선 형태로 묘사된 것이 특징이다. - 고대 이집트 문학 - 나르메르 팔레트
나르메르 팔레트는 나르메르 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의식용 방패 모양 팔레트로, 양면에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통합 등 다양한 도상이 묘사되어 역사적 의미와 예술적 가치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대중 문화와 학계에서 활용된다. - 고대 이집트 문학 - 서신서
서신서는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에서 교리나 주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신약성경의 서신은 바울로 서신과 공동 서신으로 나뉘어 기독교 신학 및 윤리의 근본 텍스트로 여겨진다.
태양찬가 | |
---|---|
태양 찬가 정보 | |
제목 | 위대한 아텐 찬가 |
저자 | 아크나톤 (으로 추정) |
종류 | 찬가 |
종교 | 아텐 신앙 (고대 이집트 종교) |
시기 | 제18왕조 시대 |
파라오 | 아크나톤 시대 |
언어 | 고대 이집트어 |
내용 | 아텐 신에 대한 찬양 |
중요성 | 아크나톤의 종교개혁과 관련된 중요한 문헌으로 평가됨. 일부 학자들은 성경의 시편 104편에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함. |
2. 역사적 배경
찬가-시(hymn-poem)는 문학, 새로운 사원, 그리고 현재의 아마르나 부지에 이집트의 수도로서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 아마르나 시대의 종교적 예술성을 보여준다.[3] 이집트학자 토비 윌킨슨은 "이것은 호메로스 이전 시대부터 살아남은 가장 중요하고 훌륭한 시 중 하나로 불린다"라고 언급했다.[3] 이집트학자 존 다넬은 이 찬가가 불렸다고 주장한다.[4]
아마르나(고대 아케트아텐, 아크나톤이 건설한 도시)의 다양한 신하들의 암벽 무덤에는 신 아텐 또는 아텐과 아크나톤에게 바치는 유사한 기도문 또는 찬가가 있다. 이 중 다섯 개의 무덤에서 거의 동일한 형태로 발견된 것을 ''아텐에게 바치는 짧은 찬가''라고 한다. 이 기사에서 논의된 긴 버전은 신하(이자 나중의 파라오) 아이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5]
이집트 제18왕조 파라오 아크나톤은 다른 신에 대한 숭배를 금지했는데, 이는 수세기 동안의 이집트 종교 관습에서 급진적인 이탈이었다.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나중에는 이단으로 여겨져 그의 후계자 파라오 투탕카멘 시대에 되돌려짐)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일신교로 묘사되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를 일신론으로 간주한다.[6]
2. 1.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
아마르나 시대(Amarna period)의 종교적 예술성은 찬가-시(hymn-poem)를 포함한 문학, 새로운 사원, 그리고 현재의 아마르나(Amarna) 부지에 이집트의 수도로서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다.[3] 이집트학자 토비 윌킨슨(Toby Wilkinson)은 "이것은 호메로스 이전 시대부터 살아남은 가장 중요하고 훌륭한 시 중 하나로 불린다"라고 언급했다. 이집트학자 존 다넬(John Darnell)은 이 찬가가 불렸다고 주장한다.[4]아마르나(고대 아케트아텐, 아크나톤이 건설한 도시)의 다양한 신하들의 암벽 무덤에는 신 아텐 또는 아텐과 아크나톤에게 바치는 유사한 기도문 또는 찬가가 있다. 이 중 다섯 개의 무덤에서 거의 동일한 형태로 발견된 것은 ''아텐에게 바치는 짧은 찬가''라고 불린다. 긴 버전은 신하(이자 나중의 파라오) 아이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5]
이집트 제18왕조(18th Dynasty) 파라오 아크나톤은 다른 신에 대한 숭배를 금지했는데, 이는 수세기 동안의 이집트 종교 관습에서 급진적인 이탈이었다.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나중에는 이단으로 여겨져 그의 후계자 파라오 투탕카멘 시대에 되돌려짐)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일신교로 묘사되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를 일신론으로 간주한다.[6]
2. 2. 아텐 신앙의 특징
아마르나 시대의 종교적 예술성을 보여주는 찬가-시는 문학, 새로운 사원, 그리고 현재의 아마르나 부지에 이집트의 수도로서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다. 이집트학자 토비 윌킨슨은 "이것은 호메로스 이전 시대부터 살아남은 가장 중요하고 훌륭한 시 중 하나로 불린다"고 하였다.[3] 이집트학자 존 다넬은 이 찬가가 불렸다고 주장한다.[4]아마르나(고대 아케트아텐, 아크나톤이 건설한 도시)의 다양한 신하들의 암벽 무덤에는 신 아텐 또는 아텐과 아크나톤에게 바치는 유사한 기도문 또는 찬가가 있다. 이 중 다섯 개의 무덤에서 거의 동일한 형태로 발견된 것을 ''아텐에게 바치는 짧은 찬가''라고 한다. 긴 버전은 신하(이자 나중의 파라오) 아이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5]
이집트 제18왕조 파라오 아크나톤은 다른 신에 대한 숭배를 금지했는데, 이는 수세기 동안의 이집트 종교 관습에서 급진적인 이탈이었다.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나중에는 이단으로 여겨져 그의 후계자 파라오 투탕카멘 시대에 되돌려짐)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일신교로 묘사되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를 일신론으로 간주한다.[6]
2. 3. 아마르나 시대의 종말
찬가-시(hymn-poem)는 문학, 새로운 사원, 그리고 현재의 아마르나 부지에 이집트의 수도로서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 아마르나 시대의 종교적 예술성을 보여준다.[3] 이집트학자 토비 윌킨슨은 "이것은 호메로스 이전 시대부터 살아남은 가장 중요하고 훌륭한 시 중 하나"라고 언급한다.[3] 이집트학자 존 다넬은 이 찬가가 불렸다고 주장한다.[4]아마르나(고대 아케트아텐, 아크나톤이 건설한 도시)의 다양한 신하들의 암벽 무덤에는 신 아텐 또는 아텐과 아크나톤에게 바치는 유사한 기도문 또는 찬가가 있다. 이 중 다섯 개의 무덤에서 거의 동일한 형태로 발견된 것을 ''아텐에게 바치는 짧은 찬가''라고 한다. 긴 버전은 신하(이자 나중의 파라오) 아이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5]
이집트 제18왕조 파라오 아크나톤은 다른 신에 대한 숭배를 금지했는데, 이는 수세기 동안의 이집트 종교 관습에서 급진적인 이탈이었다.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나중에는 이단으로 여겨져 그의 후계자 파라오 투탕카멘 시대에 되돌려짐)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일신교로 묘사되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를 일신론으로 간주한다.[6]
3. 찬가의 내용
이 찬가는 아이의 묘에서 발견되었다.[7]
본문 중간 부분:
그대가 만든 것은 얼마나 다양합니까! 그것들은 (사람의) 얼굴에서 숨겨져 있습니다. 오 유일신, 그대와 같은 자는 없도다! 그대는 그대의 뜻대로 세상을 창조하셨으니, 그대가 홀로 계실 때: 모든 사람, 가축, 야생 짐승, 땅 위에 있는 모든 것, (그것의) 발로 걷고, 그리고 위에 있는 것, 날개로 나는 것.
시리아와 누비아[8]의 국가들, 이집트의 땅, 그대는 모든 사람을 그들의 자리에 두시니, 그들의 필수품을 공급하시도다: 모두가 자신의 음식을 가지고, 그들의 생애 시간은 계산됩니다. 그들의 혀는 말에 있어서 분리되어 있고, 그리고 그들의 본성 또한 그러합니다; 그들의 피부는 구별되며, 그대가 외국 민족을 구별하는 것처럼. 그대는 지하 세계에 나일강을 만드시고, 그대는 그대의 뜻대로 가져오시니 (이집트) 백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들이 당신 자신을 위해 만든 대로, 그들 모두의 주, 그들을 위해 (스스로) 지치시고, 모든 땅의 주, 그들을 위해 일어나시며, 위엄이 크신 낮의 아텐이시여.[9]
미리암 리히트하임 번역, 본문 마지막 부분:
그대는 내 마음에 계시고, 그대를 아는 다른 이는 없으니, 오직 그대의 아들, 네페르케프루레, 레의 유일자 [아크나톤], 그대는 그에게 그대의 방식과 그대의 힘을 가르치셨습니다. [지상에 있는 자들은] 그대가 만드신 대로 그대의 손에서 나옵니다. 그대가 떠오르실 때 그들은 살아납니다. 그대가 지실 때 그들은 죽습니다; 그대 자신이 수명이시고, 사람은 그대에 의해 삽니다. 모든 눈은 그대가 지실 때까지 [그대의] 아름다움에 쏠립니다. 그대가 서쪽에서 휴식을 취하실 때 모든 노동이 멈춥니다; 그대가 일어나실 때 [모두]를 왕을 위해 깨우시니, 그대가 땅을 세우신 이래로 모든 다리가 움직입니다. 그대는 그들의 몸에서 나온 그대의 아들을 위해 그들을 깨우십니다. 마아트에 의해 살아가는 왕, 두 땅의 주, 네페르케프루레, 레의 유일자, 마아트에 의해 살아가는 레의 아들. 왕관의 주, 아크나톤, 그의 생애에서 위대하시니; (그리고) 그가 사랑하는 위대한 여왕, 두 땅의 여인, 네페르-네프루-아텐 네페르티티, 영원히 살아있도다.[10]
3. 1. 아텐의 창조와 섭리
그대가 만든 것은 얼마나 다양한가![7] 그것들은 사람의 얼굴에서 숨겨져 있다. 오 유일신, 그대와 같은 자는 없도다! 그대는 그대의 뜻대로 세상을 창조하셨으니, 그대가 홀로 계실 때 모든 사람, 가축, 야생 짐승, 땅 위에 있는 모든 것, 그것의 발로 걷고, 그리고 위에 있는 것, 날개로 나는 것이 그러하다.시리아와 누비아[8]의 국가들, 이집트의 땅, 그대는 모든 사람을 그들의 자리에 두시니, 그들의 필수품을 공급하시도다. 모두가 자신의 음식을 가지고, 그들의 생애 시간은 계산된다. 그들의 혀는 말에 있어서 분리되어 있고, 그리고 그들의 본성 또한 그러하다. 그들의 피부는 구별되며, 그대가 외국 민족을 구별하는 것처럼. 그대는 지하 세계에 나일강을 만드시고, 그대는 그대의 뜻대로 가져오시니 이집트 백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들이 당신 자신을 위해 만든 대로, 그들 모두의 주, 그들을 위해 스스로 지치시고, 모든 땅의 주, 그들을 위해 일어나시며, 위엄이 크신 낮의 아텐이시여.[9]
그대는 내 마음에 계시고, 그대를 아는 다른 이는 없으니, 오직 그대의 아들, 네페르케프루레, 레의 유일자 [아크나톤], 그대는 그에게 그대의 방식과 그대의 힘을 가르치셨습니다. 지상에 있는 자들은 그대가 만드신 대로 그대의 손에서 나온다. 그대가 떠오르실 때 그들은 살아납니다. 그대가 지실 때 그들은 죽는다. 그대 자신이 수명이시고, 사람은 그대에 의해 산다. 모든 눈은 그대가 지실 때까지 그대의 아름다움에 쏠린다. 그대가 서쪽에서 휴식을 취하실 때 모든 노동이 멈춘다. 그대가 일어나실 때 모두를 왕을 위해 깨우시니, 그대가 땅을 세우신 이래로 모든 다리가 움직인다. 그대는 그들의 몸에서 나온 그대의 아들을 위해 그들을 깨우십니다. 마아트에 의해 살아가는 왕, 두 땅의 주, 네페르케프루레, 레의 유일자, 마아트에 의해 살아가는 레의 아들. 왕관의 주, 아크나톤, 그의 생애에서 위대하시니, 그리고 그가 사랑하는 위대한 여왕, 두 땅의 여인, 네페르-네프루-아텐 네페르티티, 영원히 살아있도다.[10]
3. 2. 아크나톤과 아텐의 관계
본문 중간 부분에서 아텐은 유일신으로 묘사되며, 세상 만물을 창조하고 모든 생명을 유지하는 존재로 나타난다.[7] 아텐은 이집트뿐만 아니라 시리아, 누비아[8] 등 외국 민족까지도 다스리며, 각 민족의 언어와 특성을 부여한 존재로 그려진다.[9] 지하 세계에 나일강을 만들어 이집트 백성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9]본문 마지막 부분에서 미리암 리히트하임의 번역에 따르면, 아크나톤은 아텐을 자신의 마음에 두고 있으며, 아텐의 방식과 힘을 가르침받은 유일한 존재로 나타난다.[10] 아크나톤은 아텐이 세상을 창조한 이래로 모든 것을 왕, 즉 자신을 위해 깨우는 역할을 한다고 언급한다.[10] 또한, 아크나톤은 '마아트에 의해 살아가는 왕', '두 땅의 주', '레의 유일자' 등으로 불리며, 그의 아내 네페르티티는 '두 땅의 여인', '영원히 살아있는 자'로 칭송받는다.[10]
3. 3. 찬가의 구성 (발췌)
그대가 만든 것은 얼마나 다양합니까! 그것들은 (사람의) 얼굴에서 숨겨져 있습니다. 오 유일신, 그대와 같은 자는 없도다! 그대는 그대의 뜻대로 세상을 창조하셨으니, 그대가 홀로 계실 때: 모든 사람, 가축, 야생 짐승, 땅 위에 있는 모든 것, (그것의) 발로 걷고, 그리고 위에 있는 것, 날개로 나는 것.[7]시리아와 누비아[8]의 국가들, 이집트의 땅, 그대는 모든 사람을 그들의 자리에 두시니, 그들의 필수품을 공급하시도다: 모두가 자신의 음식을 가지고, 그들의 생애 시간은 계산됩니다. 그들의 혀는 말에 있어서 분리되어 있고, 그리고 그들의 본성 또한 그러합니다; 그들의 피부는 구별되며, 그대가 외국 민족을 구별하는 것처럼. 그대는 지하 세계에 나일강을 만드시고, 그대는 그대의 뜻대로 가져오시니 (이집트) 백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들이 당신 자신을 위해 만든 대로, 그들 모두의 주, 그들을 위해 (스스로) 지치시고, 모든 땅의 주, 그들을 위해 일어나시며, 위엄이 크신 낮의 아톤이시여.[9]
그대는 내 마음에 계시고, 그대를 아는 다른 이는 없으니, 오직 그대의 아들, 네페르케프루레, 레의 유일자 [아크나톤], 그대는 그에게 그대의 방식과 그대의 힘을 가르치셨습니다. [지상에 있는 자들은] 그대가 만드신 대로 그대의 손에서 나옵니다. 그대가 떠오르실 때 그들은 살아납니다. 그대가 지실 때 그들은 죽습니다; 그대 자신이 수명이시고, 사람은 그대에 의해 삽니다. 모든 눈은 그대가 지실 때까지 [그대의] 아름다움에 쏠립니다. 그대가 서쪽에서 휴식을 취하실 때 모든 노동이 멈춥니다; 그대가 일어나실 때 [모두]를 왕을 위해 깨우시니, 그대가 땅을 세우신 이래로 모든 다리가 움직입니다. 그대는 그들의 몸에서 나온 그대의 아들을 위해 그들을 깨우십니다. 마아트에 의해 살아가는 왕, 두 땅의 주, 네페르케프루레, 레의 유일자, 마아트에 의해 살아가는 레의 아들. 왕관의 주, 아크나톤, 그의 생애에서 위대하시니; (그리고) 그가 사랑하는 위대한 여왕, 두 땅의 여인, 네페르-네프루-아텐 네페르티티, 영원히 살아있도다.[10]
4. 시편 104편과의 비교
C.S. 루이스는 1958년 저서 『시편에 대한 성찰』에서 아크나톤의 찬가를 유대-기독교 정경의 시편과 비교했다.[11] 제임스 헨리 브레스티드는 시편 104편과의 유사성을 언급하며[12], 시편 104편이 찬가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믿었다.[12] 아서 웨이갈은 두 텍스트를 나란히 비교하며 "이 놀라운 유사성을 볼 때, 두 작품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의심하기 어렵다. 아크나톤의 찬가와 이 히브리 시편이 공통의 시리아 기원에서 유래한 것인지, 아니면 시편 104편이 이 파라오의 원시에서 유래한 것인지 질문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두 견해 모두 허용될 수 있다."라고 논평했다.[13] 그러나 리히트하임은 유사성은 "이집트 찬가와 성경 시편 사이의 일반적인 유사성의 결과일 가능성이 더 높다. 구체적인 문학적 상호 의존성은 가능성이 없다."라고 말했다.[14] 성경 학자 마크 S. 스미스는 "두 텍스트의 비교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에도 불구하고, 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열정조차 최근 수십 년 동안 누그러졌다. 어떤 분야에서는 어떤 형태의 영향에 대한 주장도 완전히 거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얀 아스만과 도널드 레드포드와 같은 일부 이집트 학자들은 아마르나 서신 (특히 EA 147)과 시편 104편에 대한 이집트의 영향을 주장한다."라고 논평했다.[15][16]
4. 1. 유사성
C.S. 루이스는 1958년 저서 『시편에 대한 성찰』에서 아크나톤의 찬가를 유대-기독교 정경의 시편과 비교했다.[11] 제임스 헨리 브레스티드는 시편 104편과의 유사성을 언급하며 시편 104편이 찬가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믿었다.[12] 아서 웨이갈은 두 텍스트를 나란히 비교하며 "이 놀라운 유사성을 볼 때, 두 작품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의심하기 어렵다. 아크나톤의 찬가와 이 히브리 시편이 공통의 시리아 기원에서 유래한 것인지, 아니면 시편 104편이 이 파라오의 원시에서 유래한 것인지 질문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두 견해 모두 허용될 수 있다."라고 논평했다.[13] 그러나 리히트하임은 유사성은 "이집트 찬가와 성경 시편 사이의 일반적인 유사성의 결과일 가능성이 더 높다. 구체적인 문학적 상호 의존성은 가능성이 없다."라고 말했다.[14] 성경 학자 마크 S. 스미스는 "두 텍스트의 비교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에도 불구하고, 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열정조차 최근 수십 년 동안 누그러졌다. 어떤 분야에서는 어떤 형태의 영향에 대한 주장도 완전히 거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얀 아스만과 도널드 레드포드와 같은 일부 이집트 학자들은 아마르나 서신 (특히 EA 147)과 시편 104편에 대한 이집트의 영향을 주장한다."라고 논평했다.[15][16]4. 2. 논쟁
C.S. 루이스는 1958년 저서 『시편에 대한 성찰』에서 아크나톤의 찬가를 유대-기독교 정경의 시편과 비교했다.[11] 제임스 헨리 브레스티드는 시편 104편과의 유사성을 언급하며, 시편 104편이 찬가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믿었다.[12] 아서 웨이갈은 두 텍스트를 나란히 비교하며 "이 놀라운 유사성을 볼 때, 두 작품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의심하기 어렵다. 아크나톤의 찬가와 이 히브리 시편이 공통의 시리아 기원에서 유래한 것인지, 아니면 시편 104편이 이 파라오의 원시에서 유래한 것인지 질문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두 견해 모두 허용될 수 있다."라고 논평했다.[13] 그러나 리히트하임은 유사성은 "이집트 찬가와 성경 시편 사이의 일반적인 유사성의 결과일 가능성이 더 높다. 구체적인 문학적 상호 의존성은 가능성이 없다."라고 말했다.[14] 성경 학자 마크 S. 스미스는 "두 텍스트의 비교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에도 불구하고, 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열정조차 최근 수십 년 동안 누그러졌다. 어떤 분야에서는 어떤 형태의 영향에 대한 주장도 완전히 거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얀 아스만과 도널드 레드포드와 같은 일부 이집트 학자들은 아마르나 서신 (특히 EA 147)과 시편 104편에 대한 이집트의 영향을 주장한다."라고 논평했다.[15][16]4. 3. 한국의 관점
C.S. 루이스는 1958년 저서 『시편에 대한 성찰』에서 아크나톤의 찬가를 유대-기독교 정경의 시편과 비교했다.[11] 제임스 헨리 브레스티드는 시편 104편과의 유사성을 언급하며, 시편 104편이 찬가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믿었다.[12] 아서 웨이갈은 두 텍스트를 나란히 비교하며 "이 놀라운 유사성을 볼 때, 두 작품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의심하기 어렵다. 아크나톤의 찬가와 이 히브리 시편이 공통의 시리아 기원에서 유래한 것인지, 아니면 시편 104편이 이 파라오의 원시에서 유래한 것인지 질문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두 견해 모두 허용될 수 있다."라고 논평했다.[13] 그러나 리히트하임은 유사성은 "이집트 찬가와 성경 시편 사이의 일반적인 유사성의 결과일 가능성이 더 높다. 구체적인 문학적 상호 의존성은 가능성이 없다."라고 말했다.[14] 성경 학자 마크 S. 스미스는 "두 텍스트의 비교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에도 불구하고, 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열정조차 최근 수십 년 동안 누그러졌다. 어떤 분야에서는 어떤 형태의 영향에 대한 주장도 완전히 거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얀 아스만과 도널드 레드포드와 같은 일부 이집트 학자들은 아마르나 서신(특히 EA 147)과 시편 104편에 대한 이집트의 영향을 주장한다."라고 논평했다.[15][16]5. 분석 및 해석
"태양찬가"에 대한 분석은 문학 작품으로 간주하는 입장과 정치적, 사회 종교적 의도를 고려하는 입장으로 나뉜다.[17][18][19][20]
제임스 헨리 브레스테드는 아크나톤을 역사상 최초의 일신교 신봉자이자 과학자로 여겼다. 1899년, 플린더스 페트리는 아크나톤의 태양신 숭배에 대해 "미신이나 허위의 찌꺼기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고 평가했다.[17] 미리암 리히트하임은 이 찬가를 "유일신 교리의 아름다운 진술"이라고 묘사했다.[18] 1913년, 헨리 홀은 파라오가 "과학적 정신의 첫 번째 사례"라고 주장했다.[19]
이집트학자 도미닉 몬세라트는 이 텍스트를 공식적인 시 또는 왕의 찬사로 보았다. 그는 '찬가'라는 단어가 "감정의 분출"을 암시하는 반면, 실제로는 아텐과 왕족을 기리는 "찬사, 공식적이고 수사적인 찬양의 진술"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제임스 헨리 브레스테드가 이 찬가를 "자연 질서의 아름다움과 은혜의 복음, 인간의 영혼에 대한 자연의 메시지를 인식하는 것"으로 보았다고 언급했다.[20]
몬세라트는 모든 찬가의 버전이 왕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신과 왕의 관계를 아크나톤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재정의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집트학자 존 베인스의 "아마르나 종교는 신과 왕, 심지어 왕이 먼저고 신이 그다음인 종교였다."는 진술을 인용한다.[21][22]
도널드 B. 레드포드는 아크나톤이 자신을 태양 원반의 아들이라고 칭하며 신과 창조 사이의 주요 중재자 역할을 했지만, 이는 이전 파라오들도 주장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아크나톤은 하늘의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강조하며 자신을 "네 지체에서 나온 네 아들", "네 아이", "태양 원반에서 나온 영원한 아들" 등으로 묘사했다. 그는 아버지와 아들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오직 왕만이 "그의 아버지"의 마음을 알고, 그 대가로 아버지는 아들의 기도를 듣는다고 주장했다. 아크나톤은 대제사장, 예언자, 왕, 신으로서 새로운 종교 체계의 중심 지위를 확립하고, 자신의 가르침만이 진정한 가르침이라고 선포했다.[23]
레드포드는 아크나톤의 종교가 완전한 일신교라고 보기 어렵다고 결론지었다. 그는 히브리 성서와 신약 성서의 일신교는 파라오의 죽음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시작된 별개의 발전이라고 주장했다.[24]
5. 1. 문학적 분석
"태양찬가"에 대한 분석은 문학 작품으로 간주하는 입장과 정치적, 사회 종교적 의도를 고려하는 입장으로 나뉜다.[17][18][19][20][21][22][23][24]제임스 헨리 브레스테드는 아크나톤을 역사상 최초의 일신교 신봉자이자 과학자로 여겼다. 1899년, 플린더스 페트리는 아크나톤의 종교관에 대해 "현대 과학적 개념을 충족시키기 위해 발명된 새로운 종교였다면, 우리는 이 태양계 에너지에 대한 관점에 흠을 잡을 수 없을 것이다"라고 평가했다. 미리암 리히트하임은 이 찬가를 "유일신 교리의 아름다운 진술"이라고 묘사했다. 1913년, 헨리 홀은 파라오가 "과학적 정신의 첫 번째 사례"라고 주장했다.
도미닉 몬세라트는 이 텍스트를 공식적인 시 또는 왕의 찬사로 묘사하며, '찬가'라는 단어가 "감정의 분출"을 암시하는 반면, 아텐과 왕족을 기리는 "찬사, 공식적이고 수사적인 찬양의 진술"로 보았다. 그는 제임스 헨리 브레스테드가 그것들을 찬가로 대중화시켰고, "자연 질서의 아름다움과 은혜의 복음, 인간의 영혼에 대한 자연의 메시지를 인식하는 것"으로 보았다고 말한다. 몬세라트는 모든 찬가의 버전이 왕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집트학자 존 베인스의 "아마르나 종교는 신과 왕, 심지어 왕이 먼저고 신이 그다음인 종교였다."는 진술을 인용한다.
도널드 B. 레드포드는 아크나톤이 자신을 태양 원반의 아들이자 신과 창조 사이의 주요 중재자 역할이라고 칭했지만, 이전 수천 년 동안 왕들이 같은 관계와 사제의 역할을 주장했었다고 주장했다. 아크나톤은 자신을 "네 지체에서 나온 네 아들", "네 아이", "태양 원반에서 나온 영원한 아들", "네 몸에서 나온 너의 외아들" 등으로 묘사하며 부자 관계를 강조했다. 그는 땅에서 아버지의 모습이며, 아크나톤이 땅의 왕인 것처럼 그의 아버지는 하늘의 왕이라고 칭송했다. 대제사장, 예언자, 왕, 신으로서 그는 새로운 종교 체계에서 중심적인 지위를 주장했고, 오직 그만이 아버지의 마음과 뜻을 알고 해석할 수 있다고 하였다.
레드포드는 테베와 텔 엘-아마르나의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아크나톤이 성서에서 발견하는 완전한 일신교의 조상이었다는 생각은 뒷받침할 증거가 거의 또는 전혀 없다고 결론지었다.
5. 2. 종교적, 정치적 분석
"태양찬가"에 대한 분석은 이를 문학 작품으로 보는 관점과 정치적, 사회 종교적 의도를 고려하는 관점으로 나뉜다.[17][18][19][20]제임스 헨리 브레스테드는 아크나톤을 역사상 최초의 일신교 신봉자이자 과학자로 여겼다. 1899년, 플린더스 페트리는 아크나톤의 태양신 숭배에 대해 "미신이나 허위의 찌꺼기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고 평가했다.[17] 미리암 리히트하임은 이 찬가를 "유일신 교리의 아름다운 진술"이라고 묘사했다.[18] 1913년, 헨리 홀은 파라오가 "과학적 정신의 첫 번째 사례"라고 주장했다.[19]
이집트학자 도미닉 몬세라트는 이 텍스트를 공식적인 시 또는 왕의 찬사로 보았다. 그는 '찬가'라는 단어가 "감정의 분출"을 암시하는 반면, 실제로는 아텐과 왕족을 기리는 "찬사, 공식적이고 수사적인 찬양의 진술"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제임스 헨리 브레스테드가 이 찬가를 "자연 질서의 아름다움과 은혜의 복음, 인간의 영혼에 대한 자연의 메시지를 인식하는 것"으로 보았다고 언급했다.[20]
몬세라트는 모든 찬가의 버전이 왕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신과 왕의 관계를 아크나톤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재정의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집트학자 존 베인스의 "아마르나 종교는 신과 왕, 심지어 왕이 먼저고 신이 그다음인 종교였다."는 진술을 인용한다.[21][22]
도널드 B. 레드포드는 아크나톤이 자신을 태양 원반의 아들이라고 칭하며 신과 창조 사이의 주요 중재자 역할을 했지만, 이는 이전 파라오들도 주장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아크나톤은 하늘의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강조하며 자신을 "네 지체에서 나온 네 아들", "네 아이", "태양 원반에서 나온 영원한 아들" 등으로 묘사했다. 그는 아버지와 아들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오직 왕만이 "그의 아버지"의 마음을 알고, 그 대가로 아버지는 아들의 기도를 듣는다고 주장했다. 아크나톤은 대제사장, 예언자, 왕, 신으로서 새로운 종교 체계의 중심 지위를 확립하고, 자신의 가르침만이 진정한 가르침이라고 선포했다.[23]
레드포드는 아크나톤의 종교가 완전한 일신교라고 보기 어렵다고 결론지었다. 그는 히브리 성서와 신약 성서의 일신교는 파라오의 죽음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시작된 별개의 발전이라고 주장했다.[24]
6. 현대적 적용
필립 글래스는 1984년 오페라 《아크나톤》에서 "아톤 찬가"에 곡을 붙였다. 밥 딜런의 1964년 노래 "When the Ship Comes In"의 가사와 운율은 "아톤 대찬가"의 처음 여섯 연과 매우 유사하다.
7. 각주
참조
[1]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II: The New Kingdo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서적
Egyptian Backgrounds to the Psalms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3-28
[3]
서적
The Rise and Fall of Ancient Egypt
Bloomsbury Publishing
[4]
서적
Tutankhamun's Armies: Battle and Conquest During Ancient Egypt's Late Eighteenth Dynasty
John Wiley & Sons
2007-08-03
[5]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II: The New Kingdo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서적
Egypt and the Egyptia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2-22
[7]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II: The New Kingdo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문서
In the original: "The lands of [[Khor]] and Kush ..."
[9]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 Volume 1: An Anthology of Texts and Pictur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II: The New Kingdo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Egyptians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12]
서적
Akhenaten: History, Fantasy and Ancient Egypt
Routledge
[13]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Akhnaton
http://www.gutenberg[...]
William Blackwood and Sons
2024-01-24
[14]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II: The New Kingdo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5]
서적
God in Translation: Deities in Cross-Cultural Discourse in the Biblical World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2010
[16]
citation
intertextual.bible/text/great-hymn-to-the-aten-psalm-104.20-30
https://intertextual[...]
[17]
서적
History of Egypt
[18]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II: The New Kingdo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
서적
Ancient History of the Near East
[20]
서적
Akhenaten: History, Fantasy and Ancient Egypt
Routledge
[21]
서적
Akhenaten: History, Fantasy and Ancient Egypt
Routledge
[22]
서적
Amenhotep III: Perspectives on His Reig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3]
간행물
"The Monotheism of the Heretic Pharaoh: Precursor of Mosaic monotheism or Egyptian anomaly?"
Biblical Archaeology Review
1987-05
[24]
간행물
"Aspects of Monotheism"
Biblical Archaeology Review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