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테마파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테마파크는 특정 테마를 바탕으로 놀이 시설, 음식점, 기념품 판매점 등을 갖춘 복합 위락 시설이다. 일본에서는 1983년 도쿄 디즈니랜드 개장 이후 테마파크가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 잡았으며, 버블 경제 시기 전국적으로 건설되었으나, 1990년대 후반 경제 불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현재는 도쿄 디즈니 리조트와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이 경쟁하며, 도시 내 실내형 미니 테마파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테마파크는 경제산업성의 정의에 따르면 상설 유희 시설 3종 이상을 갖춘 곳이며, 테마와 관련된 시설, 퍼레이드 등을 통해 공간 전체를 연출한다. 테마파크는 캐릭터, 키즈, 푸드, 시대 재현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매직 킹덤, 도쿄 디즈니랜드, 롯데월드, 에버랜드 등이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마파크 - 한국민속촌
    한국민속촌은 한국 전통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조선시대 마을을 재현한 한국 최초의 야외 박물관으로, 전통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 놀이시설, 식당 등을 제공하며 드라마 촬영지로도 활용된다.
  • 테마파크 - 씨월드
    씨월드는 1964년 설립된 해양 테마파크로, 해양 생물 쇼와 놀이기구를 제공하며, 범고래 사육 논란 이후 쇼 폐지 및 번식 프로그램 중단, 해양 동물 구조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테마파크
테마파크
정의특정 주제를 설정하여 그와 관련된 시설을 갖춘 유원지
종류
분류놀이기구 중심
쇼 중심
박물관 중심
예시레트로 테마파크
후드 테마파크
관련 정보
관련 항목유원지

2. 역사

상하이 디즈니랜드


기존의 유원지는 지역 관광 명소[3]의 내용을 강조하기도 했지만, 대부분 정형화된 놀이기구나 시설을 설치하여 유람객이 즐기는 형태였기 때문에 일관성이 없었다. 테마파크는 이러한 "일관성이 없는 유람 시설"과의 차별화를 위해 명확한 테마를 내걸고 놀이기구, 시설, 기념품까지 일관성을 갖춘 유람 시설군이다. 대부분 여러 건물로 이루어지는 등 시설 규모가 크지만, 실내형 시설 중에는 "미니 테마파크"처럼 정해진 테마에 따른 어트랙션을 제공하는 시설도 있다.

테마파크의 성격은 매우 다양하다. 종합 테마를 정한 유원지와 같은 성격이 강한 곳(예: 도쿄 디즈니랜드)부터, 오락적 측면을 더하면서도 사회 교육이나 연구를 중시한 야외 박물관적인 성격의 곳(예: 박물관 메이지무라, 리틀월드), 직업 체험을 할 수 있는 곳(키자니아)까지 다양한 테마파크가 존재한다.

2. 1. 세계 테마파크의 역사



17세기영국, 프랑스 등에서 시민 공원에 회전목마와 같은 유희 시설이 설치되면서 유원지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그 후 1843년에 개설된 덴마크티볼리 공원, 1950년 개설된 네덜란드의 에프텔링 파크, 같은 시기에 캘리포니아주의 한 가족이 시작한 너츠 베리 팜 등이 개업했다.

1955년, 월트 디즈니가 백설 공주 등 애니메이션 제작으로 길러진 연출 기법을 활용하여, 초대 디즈니랜드를 개업시켰다. 이것이 본격적인 테마파크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일본에서 이 단어가 일반화되고 비즈니스 모델로 알려지게 된 것은 1983년지바현우라야스시에 개업한 도쿄 디즈니랜드 (TDL)에서 사용되면서부터이다.

2. 2. 한국 테마파크의 역사

1983년 지바현 우라야스시에 개업한 도쿄 디즈니랜드(TDL)에서 '테마파크'라는 단어가 사용되면서 일본에서 이 단어가 일반화되고 비즈니스 모델로 알려지게 되었다.

버블 경제 시기부터 1990년대 중반에 걸쳐, 종합 보양 지역 정비법(1987년 제정)의 지원을 받아 전국 각지에 관광객 유치를 위해 다양한 테마파크 시설이 계획, 건설되었다. 그러나 충분한 재방문객(리피터)을 확보할 만한 매력이 부족한 시설이 많았고, 개업 후 잃어버린 10년의 영향으로 방문객이 부족해져, 각지에서 민사 재생법이나 회사 갱생법 등의 적용이 잇따르게 되었다.

나가사키 네덜란드 마을의 폐쇄와 재개의 실패로 인한 도산은 상징적인 사례이다. 니가타 러시아 마을, 가시와자키 터키 문화 마을, 후지 갈리버 왕국 등 테마파크 설립에 참여하여 융자를 해주고 파산한 니가타 중앙 은행이나, 석탄의 역사 마을이나 유바리 리조트의 개발 및 운영 실패로 재정 재건 단체가 된 홋카이도 유바리시 등 테마파크 사업 관계자에게는 타격을 입은 곳이 적지 않다.

일본에서는 도쿄 디즈니 리조트(TDR)와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USJ)이 테마파크 업계에서 동서로 각각 독주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3. 유형 및 분류



기존의 유원지는 지역 관광 명소[3]의 내용을 강조하기도 했지만, 대부분 정형화된 놀이기구나 시설을 설치하여 일관성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테마파크는 이러한 "일관성 없는 유람 시설"과의 차별화를 위해 명확한 테마를 내걸고 놀이기구, 시설, 기념품까지 일관성을 갖춘 유람 시설군이다. 대부분 여러 건물로 이루어지는 등 대규모 시설이지만, 실내형 시설 중에는 "미니 테마파크" 형태로 특정 테마에 따른 어트랙션을 제공하는 시설도 있다.

테마파크는 종합 테마를 정한 유원지와 같은 성격이 강한 도쿄 디즈니랜드부터, 사회 교육이나 연구를 중시한 야외 박물관적인 성격의 박물관 메이지무라, 리틀월드, 직업 체험을 할 수 있는 키자니아까지 다양하다.

유원지·테마파크 평론가인 사사키 타카시는 테마파크를 다음과 같이 8가지 종류로 분류하고 있다.

# 캐릭터 테마파크

# 키즈 테마파크

# 푸드 테마파크

# 온천 테마파크

# 시대 재현 테마파크

# 영화·드라마 테마파크

# 거리 재현 테마파크

# 기타 테마파크

3. 1. 경제산업성의 분류 (일본 기준)

経済産業省일본어의 정의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유원지'''는 주로 실내외에 관계없이 상설 유희 시설을 3종류 이상(직접 동전, 메달, 카드 등을 넣는 것은 제외) 갖추고, 자유 이용권 구매나 요금을 내고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사업소를 말한다.
  • '''테마파크'''는 입장료를 받고, 특정한 비일상적인 테마를 바탕으로 시설 전체의 환경을 조성하고, 테마와 관련된 상설 유료 놀이 시설을 갖추고, 퍼레이드나 이벤트 등을 조합하여 공간 전체를 연출하는 사업소를 말한다.

3. 2. 사사키 타카시의 분류 (일본 기준)

1955년 월트 디즈니가 백설 공주 등 애니메이션 제작으로 쌓은 연출 기법을 활용하여, 초대 디즈니랜드를 개업한 것이 본격적인 테마파크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테마파크는 놀이 시설뿐만 아니라 음식점, 기념품 판매점 등도 포함하는 복합적인 위락 시설이다. 주변 지역에는 숙박 시설, 쇼핑몰, 극장 시설 등이 있어, 각 시설 간의 이동 수단 정비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3] 이러한 통합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토지가 필요하며, 대도시권에서는 토지 확보가 어렵다.

대형 위락 시설과는 다른 방향으로, 도시부 대형 상업 시설의 일부를 점유하는 형태의 실내형 "미니 테마파크"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미니 테마파크는 대중 교통 접근성이 좋고, 상업 시설 이용자가 쉽게 방문할 수 있도록 어트랙션 수와 소요 시간을 짧게 구성하며, 실내 시설이므로 날씨와 관계없이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미니 테마파크 중에는 푸드 테마파크, 레트로 테마파크와 같은 스타일도 많지만, 직업 체험형 테마파크 키자니아, 자동차 쇼룸 내 어트랙션을 설치한 메가웹(MEGAWEB)처럼, 기존 위락 시설과는 다른 양식도 등장하고 있다. 시설 규모가 작아 대형 상업 시설 신설 시 집객을 도모하거나, 기존 시설에서 어트랙션 내용을 교체하여 재방문을 유도하기도 한다.

3. 3. 한국적 특성을 고려한 분류

테마파크는 다양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종합 테마를 설정한 유원지와 유사한 성격이 강한 도쿄 디즈니랜드와 같은 곳부터, 오락적 측면을 더하면서도 사회 교육이나 연구를 중시하는 야외 박물관적 성격을 가진 박물관 메이지무라나 리틀월드, 그리고 직업 체험을 할 수 있는 키자니아까지 다양한 테마파크가 존재한다.

17세기경 영국, 프랑스 등에서 시민 공원에 회전목마와 같은 유희 시설이 설치되면서 유원지의 역사가 시작되었고, 이후 1843년에 개설된 덴마크티볼리 공원, 1950년 개설된 네덜란드의 에프텔링 파크, 캘리포니아주의 너츠 베리 팜 등이 개업했다.

1955년에는 월트 디즈니가 백설 공주 등 애니메이션 제작으로 쌓은 연출 기법을 활용하여 초대 디즈니랜드를 개업했으며, 이것이 본격적인 테마파크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테마파크는 복합적인 위락 시설로서의 측면이 강하다. 예를 들어 도쿄 디즈니 리조트도쿄 디즈니랜드, 도쿄 디즈니씨에서는 어트랙션을 포함한 놀이 시설뿐만 아니라 음식점, 기념품 판매점도 위락 시설 내에 있으며, 주변 지역에도 숙박 시설, 쇼핑몰, 극장 시설이 있어, 각 시설 간의 이동 수단 정비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통합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토지가 필요하며, 대도시권에서는 토지 확보가 어렵다. 또한 대규모 테마파크 운영에는 막대한 수의 방문객을 수용해야 하고 초기 투자도 크지만, 지방에서는 토지 개발 부담을 감당할 재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대형 위락 시설과는 다른 방향으로, 도시부 대형 상업 시설의 일부를 점유하는 형태의 실내형 "미니 테마파크"가 2000년대부터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미니 테마파크는 대중 교통 접근성이 좋고, 상업 시설 이용자가 쉽게 방문할 수 있도록 어트랙션 수와 소요 시간을 짧게 구성하며, 실내 시설이므로 날씨와 관계없이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미니 테마파크 중에는 푸드 테마파크, 레트로 테마파크와 같은 스타일도 많지만, 직업 체험형 테마파크 키자니아, 자동차 쇼룸 내 어트랙션을 설치한 메가웹처럼 기존 위락 시설과는 다른 양식도 등장하고 있다.

4. 주요 테마파크 (대한민국 및 세계)

테마파크는 특정한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방문객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기존의 유원지가 놀이기구 중심이었다면, 테마파크는 명확한 테마를 바탕으로 놀이기구, 시설, 기념품까지 일관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테마파크의 종류는 다양하다. 도쿄 디즈니랜드처럼 오락적인 성격이 강한 곳도 있고, 박물관 메이지무라나 리틀월드처럼 사회 교육이나 연구를 중시하는 곳도 있다. 키자니아와 같이 직업 체험을 할 수 있는 테마파크도 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테마파크로는 디즈니랜드 리조트, 월트 디즈니 월드 리조트, 유니버설 스튜디오 할리우드 등이 있다. 아시아 지역에는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 홍콩 디즈니랜드 리조트, 유니버설 스튜디오 싱가포르, 롯데월드, 에버랜드 등이 있다.

일본에는 시로이 코이비토 파크, 스파 리조트 하와이안즈, 닛코 에도무라, 도쿄 디즈니 리조트,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레고랜드 재팬, 지브리 파크 등 다양한 테마파크가 있다. 과거에는 나라 드림랜드, 스페이스 월드와 같은 테마파크도 있었지만 지금은 운영하지 않는다.

2018년 전세계 테마파크 방문객 순위는 다음과 같다.[10]

순위테마파크위치방문객 수
1매직 킹덤플로리다 미국20,859,000
2디즈니랜드애너하임 미국18,666,000
3도쿄 디즈니랜드지바현·우라야스시 일본17,907,000
4도쿄 디즈니씨지바현·우라야스시 일본14,651,000
5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오사카부오사카시·고노하나구 일본14,300,000
6디즈니 애니멀 킹덤플로리다 미국13,750,000
7엡코트플로리다 미국12,444,000
8상하이 디즈니랜드상하이 중국11,800,000
9디즈니 할리우드 스튜디오플로리다 미국11,258,000
10주하이 창룽 해양왕국주하이시 중국10,830,000
11유니버설 스튜디오 플로리다플로리다 미국10,708,000
12디즈니 캘리포니아 어드벤처애너하임 미국9,861,000
13디즈니랜드 파리파리 프랑스9,843,000
14아일랜드 오브 어드벤처플로리다 미국9,788,000
15유니버설 스튜디오 할리우드캘리포니아주9,147,000
16홍콩 디즈니랜드홍콩 중국6,700,000
17롯데월드서울대한민국5,960,000
18나가시마 스파랜드미에현구와나시 일본5,920,000
19에버랜드경기도·용인시 대한민국5,850,000
20홍콩 오션파크홍콩 중국5,800,000
21유로파 파크루스트 독일5,720,000
22에프텔링노르트브라반트주 네덜란드5,400,000
23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파크파리 프랑스5,298,000
24티볼리 가든코펜하겐 덴마크4,850,000
25창룽 환러 세계광저우시 중국4,680,000



미국 잡지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 10대 테마파크" (2006년 6월 1일)[11]는 다음과 같다.

순위테마파크
1매직 킹덤 (미국)
2도쿄 디즈니랜드 (일본)
3디즈니랜드 파리 (프랑스)
4에버랜드 (대한민국)
5블랙풀 플레저 비치 (영국)
6티볼리 공원 (코펜하겐, 덴마크)
7오션 파크 (홍콩)
8유로파 파크 (독일)
9파라마운트 캐나다 원더랜드 (캐나다)
10포르트아벤투라 (스페인)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는 '테마파크'라고 불릴 만한 대규모 시설은 없지만, 일본에는 다양한 테마파크가 운영되고 있다. 다음은 2017년 기준 방문객 수 상위 3개 일본 테마파크 목록이다.

[9]

4. 2. 세계

기존의 유원지는 그 지역의 관광 명소[3]에 따른 내용을 강조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정형화된 놀이기구나 시설을 설치하는 등, 전적으로 유람객이 그것들을 즐기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 일관성이 없었다. 테마파크는 그러한 기존의 "일관성이 없는 유람 시설"과의 차별화를 도모하기 위해, 명확한 테마를 내걸고 놀이기구나 시설, 개별 기념품에 이르기까지, 일관성을 갖춘 유람 시설군이다. 그 대부분은 여러 건물로 이루어지는 등, 시설적으로도 대규모가 되는 경향이 있지만, 실내형 시설 등에는 "미니 테마파크" 등으로, 정해진 테마에 따른 어트랙션을 제공하는 시설도 보인다.

17세기경 영국, 프랑스 등에서 시민 공원에 회전목마와 같은 유희 시설이 설치되면서 유원지의 역사가 시작되었고, 그 후 1843년에 개설된 덴마크티볼리 공원, 1950년 개설된 네덜란드의 에프텔링 파크, 더 나아가 같은 시기에 캘리포니아주의 한 가족이 시작한 너츠 베리 팜 등이 개업했다.

1955년, 월트 디즈니가 백설 공주 등 애니메이션 제작으로 길러진 연출 기법을 활용하여, 초대 디즈니랜드를 개업시켰다. 이것이 본격적인 테마파크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레저 산업을 조사하는 미국 TEA사가 2019년 5월 22일에 발표한, 2018년 세계 테마파크의 집객수는 다음과 같다.[10]

순위테마파크위치방문객 수
1매직 킹덤플로리다 미국20,859,000
2디즈니랜드애너하임 미국18,666,000
3도쿄 디즈니랜드지바현·우라야스시 일본17,907,000
4도쿄 디즈니씨지바현·우라야스시 일본14,651,000
5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오사카부오사카시·고노하나구 일본14,300,000
6디즈니 애니멀 킹덤플로리다 미국13,750,000
7엡코트플로리다 미국12,444,000
8상하이 디즈니랜드상하이 중국11,800,000
9디즈니 할리우드 스튜디오플로리다 미국11,258,000
10주하이 창룽 해양왕국주하이시 중국10,830,000
11유니버설 스튜디오 플로리다플로리다 미국10,708,000
12디즈니 캘리포니아 어드벤처애너하임 미국9,861,000
13디즈니랜드 파리파리 프랑스9,843,000
14아일랜드 오브 어드벤처플로리다 미국9,788,000
15유니버설 스튜디오 할리우드캘리포니아주9,147,000
16홍콩 디즈니랜드홍콩 중국6,700,000
17롯데월드서울대한민국5,960,000
18나가시마 스파랜드미에현구와나시 일본5,920,000
19에버랜드경기도·용인시 대한민국5,850,000
20홍콩 오션파크홍콩 중국5,800,000
21유로파 파크루스트 독일5,720,000
22에프텔링노르트브라반트주 네덜란드5,400,000
23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파크파리 프랑스5,298,000
24티볼리 가든코펜하겐 덴마크4,850,000
25창룽 환러 세계광저우시 중국4,680,000



미국 잡지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 10대 테마파크" (2006년 6월 1일)[11]는 다음과 같다.

순위테마파크
1매직 킹덤 (미국)
2도쿄 디즈니랜드 (일본)
3디즈니랜드 파리 (프랑스)
4에버랜드 (대한민국)
5블랙풀 플레저 비치 (영국)
6티볼리 공원 (코펜하겐, 덴마크)
7오션 파크 (홍콩)
8유로파 파크 (독일)
9파라마운트 캐나다 원더랜드 (캐나다)
10포르트아벤투라 (스페인)


5. 논란 및 비판 (한국적 관점)

버블 경제 시기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종합 보양 지역 정비법(1987년 제정)의 지원을 받아 전국 각지에 '테마파크'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관광 시설이 건설되었다. 그러나 많은 시설들이 충분한 재방문객(리피터)을 확보할 만큼 매력적이지 못했고, 개장 후 잃어버린 10년(헤이세이 불황)의 영향으로 방문객이 줄어들면서 민사 재생법이나 회사 갱생법 적용이 잇따랐다.

테마파크가 성공하려면 콘텐츠의 매력과 충실함이 중요하다. 특히, 미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가 사다리 도식(Travel-career needs(1992))과 같은 구체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여가 사다리 도식은 미국 테마파크에서 재방문객 확보를 위한 기초 이론이다. 이러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점은 관광 관련 대학의 과제로 지적된다.

제3섹터 방식의 테마파크에서는 전체 사업 계획이 미흡하여, 개별 시설은 이익을 내지만 전체 운영이 부실한 경우도 있었다. 테마파크 운영에 대한 기초 이론 학습 부족으로 적절한 상황 분석과 계획 수립이 이루어지지 않아 손실이 커졌다는 지적도 있다.

나가사키 네덜란드 마을은 네덜란드를 테마로 한 선구적인 테마파크였으나, 폐쇄와 재개 실패로 도산했다. 이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니가타 러시아 마을, 가시와자키 터키 문화 마을, 후지 갈리버 왕국 등 3개 테마파크 설립에 융자를 해주고 파산한 니가타 중앙 은행이나, 제3섹터 방식으로 설립한 석탄의 역사 마을과 유바리 리조트의 개발 및 운영 실패로 재정 재건 단체가 된 홋카이도 유바리시 등 테마파크 사업 관계자들은 큰 타격을 입었다.

일본에서는 지바현 우라야스시도쿄 디즈니 리조트(TDR)와 오사카시 고노하나구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USJ)이 테마파크 업계에서 동서 양쪽에서 독주하고 있다.

6. 미래 전망 및 발전 방향

1987년 제정된 종합 보양 지역 정비법(리조트법)의 지원을 받아 전국 각지에 다양한 테마파크가 건설되었지만, 잃어버린 10년(헤이세이 불황)의 영향으로 많은 시설이 경영난을 겪었다. 테마파크의 성공을 위해서는 콘텐츠의 매력과 더불어, 미국의 여가 사다리 도식(Travel-career needs(1992))과 같은 구체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하지만 제3섹터 방식의 테마파크에서는 사업 계획 미비와 운영 부실로 손해가 확대되기도 했다.[7]

나가사키 네덜란드 마을의 폐쇄와 재개 실패, 니가타 러시아 마을, 가시와자키 터키 문화 마을, 후지 갈리버 왕국 등 여러 테마파크의 파산은 이러한 문제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니가타 중앙 은행의 파산과 홋카이도유바리시의 재정 재건 단체 지정은 테마파크 사업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7]

현재 일본 테마파크 업계는 도쿄 디즈니 리조트(TDR)와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USJ)이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다.[7]

참조

[1] 웹사이트 Best Amusement Parks In Japan https://arrestedworl[...] 2021-01-15
[2] 웹사이트 Best Museums In Japan https://arrestedworl[...] 2021-01-15
[3] 웹사이트 49 Best Places In Japan To Visit ArrestedWorld https://arrestedworl[...] 2021-01-15
[4] 웹사이트 平成30年特定サービス産業実態調査 平成30年特定サービス産業実態調査(確報)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
[5] 웹사이트 テーマ別おすすめテーマパーク https://allabout.co.[...] 2022-11-13
[6] 뉴스 レゴブロックで点字知って 名古屋のテーマパークで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2-03-29
[7] 웹사이트 有田ポーセリンパーク https://www.arita-to[...]
[8] 웹사이트 ソニー、タイでコロンビア映画のテーマパーク開園へ-1年遅れで https://www.bloomber[...] 2022-09-24
[9] 웹사이트 http://www2.ttcn.ne.[...]
[10] 웹사이트 GLOBAL ATTRACTIONS ATTENDANCE REPORT http://www.teaconnec[...] 2019-09-04
[11] 웹사이트 http://biz.163.com/0[...] 2022-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