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르데시야스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르데시야스 조약은 1494년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체결한 조약으로, 교황의 중재를 거쳐 아메리카 대륙 등 비유럽 지역의 영토 분할을 결정했다. 이 조약은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이후 발생한 영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체결되었으며,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칙령을 수정하여 서경 46도를 기준으로 동쪽은 포르투갈, 서쪽은 스페인의 영토로 분할했다. 이후 1529년 사라고사 조약을 통해 지구 반대편의 경계선을 확정했으며, 18세기에는 마드리드 조약을 통해 효력이 무효화되었다. 토르데시야스 조약은 20세기 칠레의 남극 영유권 주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야돌리드도의 역사 - 코무네로스 반란
코무네로스 반란은 1520년부터 1521년까지 카스티야 왕국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카를로스 1세의 즉위와 사회경제적 불만을 배경으로 코무네로스 회의를 통해 조직적으로 전개되었으나 진압되었다.
토르데시야스 조약 | |
---|---|
지도 정보 | |
조약 정보 | |
조약 이름 | 트로데시야스 조약 |
로마자 표기 | Tratado de Tordesillas (에스파냐어), Tratado de Tordesilhas (포르투갈어) |
서명 날짜 | 1494년 6월 7일 |
서명 장소 | 트로데시야스, 에스파냐 |
비준 날짜 | 1494년 7월 2일 (에스파냐), 1494년 9월 5일 (포르투갈), 1505년 또는 1506년 1월 24일 (교황 율리오 2세) |
서명국 | 페르난도 2세, 이사벨 1세, 아스투리아스 공 후안, 주앙 2세 |
목적 | 1481년의 교황 칙서 아에테르니 레기스로 인해 발생한 분쟁을 해결하고, 카나리아 제도 서쪽의 모든 땅에 대한 거래 및 식민 권한을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사이에 나누기 위함. |
상세 내용 | |
배경 | 1481년 교황의 칙서 아에테르니 레기스는 카나리아 제도 남쪽의 모든 비기독교 지역에 대한 포르투갈의 권리를 확인했고,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앤틸리스 제도를 카스티야의 영토로 주장한 후 발생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체결. |
영토 분할 | 카나리아 제도 서쪽 370리그를 기준으로 동쪽은 포르투갈의 영향권, 서쪽은 카스티야의 영향권으로 구분. 이 분할은 후에 에스파냐와 포르투갈 사이의 영토 분할에 적용됨. |
추가 정보 | |
관련 조약 | 사라고사 조약 |
언어 | 에스파냐어, 포르투갈어 |
기타 | 교황 율리오 2세에 의해 1505년 또는 1506년에 최종적으로 승인됨.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적 배경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인도"(실제로는 서인도 제도)에 도착하고 귀환함으로써 포르투갈과 스페인 두 국가에서 "신세계"에 대한 모험적인 항해가 유행하였다. 그러나 콜럼버스 이전부터 두 국가는 선단의 도착지에서 종종 다투었고, 근본적인 해결책이 요구되었다.
1493년 3월, 콜럼버스가 1차 항해를 마치고 귀국한 후 스페인과 포르투갈 사이에 영토분쟁이 발생하였다. 스페인이 지원한 콜럼버스가 발견한 새로운 섬들은 1479년 양국 간 체결된 알카소바스 조약에 따르면 포르투갈 영토에 속했기 때문이다.[35]
1481년 교황 식스토 4세는 교황령 『에테르니 레기스』(영원한 왕)를 통해 카나리아 제도 이남의 신영토는 모두 포르투갈에 주어져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그러나 1493년 스페인 출신 교황 알렉산데르 6세는 카보베르데 서쪽 100레구아 지점을 경계로 하는 교황 자오선을 발표, 동쪽은 포르투갈, 서쪽은 스페인 영토로 하는 교황령 『인테르 체테라』를 반포했다. 포르투갈 국왕 주앙 2세는 이에 불복하였다.[39]
주앙 2세는 스페인의 페르난도 2세와 직접 협상하여 1494년 토르데시야스 조약을 체결, 경계선을 교황 자오선보다 서쪽으로 270레구아 더 이동시켰다. 이 합의는 1506년 율리우스 2세 교황에 의해 승인되었다.[26]
포르투갈 국왕은 천주교 왕가인 페르디난드 왕과 이사벨라 여왕에게 위협적인 편지를 보내 콜럼버스가 발견한 모든 땅이 알카소바스 조약과 1481년 교황령 ''Aeterni regis''에 따라 포르투갈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새로운 땅을 점령할 함대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2. 1. 교황의 중재와 조약 체결
알렉산데르 6세는 1493년 3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1차 항해를 마치고 귀국한 후 스페인과 포르투갈 사이에 발생한 영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중재에 나섰다.[35] 알카소바스 조약에 따르면 콜럼버스가 발견한 섬들은 포르투갈 영토에 속했기 때문이다.[35] 교황은 1493년 5월 4일 칙령(Inter Caetera)을 발표하여[36] 아조레스 제도와 카보베르데 제도 서쪽 100레구아(서경 38도 및 서경 31도)를 기준으로 서쪽은 스페인, 동쪽은 포르투갈 영토로 정했다.[38]그러나 포르투갈 국왕 주앙 2세는 이 칙령이 포르투갈에 불리하다고 판단하여 불복했다.[39] 양국은 교황청과 관계없이[40] 1년여간 협상 끝에 토르데시야스 조약을 체결했다.[31] 이 조약으로 경계선은 서쪽으로 이동하여 서경 46도 부근이 기준이 되었다. 이 조약은 1506년 율리오 2세 때 교황청의 공식 승인을 받았다.[4] 이 조약은 19세기에 유럽 열강이 아프리카 대륙을 민족, 자연환경, 문화적 요소를 무시하고 직선으로 경계선을 설정하는 선례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2. 2. 조약의 영향과 한계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토르데시야스 조약으로 세력권을 분할했지만, 식민지 정책은 판이하게 달랐다. 스페인은 남아메리카, 캘리포니아, 텍사스, 플로리다 등지에 직접 식민지를 건설하고 지배 체제를 굳혔다. 반면 포르투갈은 브라질을 제외하고는 고아 주나 마카오처럼 항구 도시를 건설하여 무역 거점으로 삼는 방식을 채택했다.[31]1494년 조약 체결 당시에는 종교 개혁 이전이라 교황의 영향력이 막강했고, 다른 유럽 국가들은 해외 진출 역량이 부족하거나 스페인의 식민지 상태여서 두 나라는 독점을 누렸다. 그러나 16세기에 접어들면서 교황의 영향력이 약해지고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이 해상 무역에 도전하면서 조약은 유명무실해졌다.[31]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는 "태양은 나에게도 다른 사람들에게도 똑같이 비칩니다. 제가 세상에서 제 몫을 받지 못하도록 하는 아담의 유언장 조항을 보고 싶군요."라며 조약을 비판했다.[17]
이 조약은 19세기에 유럽 열강이 아프리카 대륙을 민족 구성, 자연환경, 문화적 요소 등을 무시하고 직선으로 경계선을 설정하게 되는 선례가 되었다.
한국사에서도 이와 유사한 불평등 조약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1876년 일본과 맺은 강화도 조약은 조선에 불리한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1905년 을사늑약은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는 등 주권을 심각하게 침해했다. 이러한 불평등 조약들은 한국 근대사를 억압하고, 자주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3. 사라고사 조약
1522년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가 마젤란 함대를 이끌고 세계 일주 항해를 마치고 스페인으로 귀환하면서, 지구가 둥글다는 것이 증명되자 지구 반대편 경계선에 대한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동남아시아의 말루쿠 제도는 향신료의 주요 산지였기 때문에, 이 지역을 두고 스페인과 포르투갈 양국 간에 치열한 다툼이 벌어졌다.[41] 당시 '말루쿠 제도'는 현재의 마크 제도, 부루섬, 스람섬(세람섬)과 말루쿠 해 주변 섬들을 포함했다.
양국은 물리적 충돌까지 겪었으나, 외교적 노력과 혼인 관계를 통해 협상 분위기를 조성했다. 1525년 포르투갈 주앙 3세와 스페인 카를로스 1세의 여동생 카타리나가, 1526년에는 카를로스 1세와 주앙 3세의 누이 이사벨이 결혼했다.[41] 스페인은 외교적 문제와 말루쿠 제도 파견 비용, 관리의 어려움, 그리고 남미 대륙 탐험과 유럽 내 전쟁으로 인한 군비 부족 등의 문제가 있었다.
결국 양국은 협상을 통해 1529년 4월 22일 사라고사 조약을 체결했다. 조약에 따라 말루쿠 제도 동쪽 297.5 리그(약 1,425km, 부루섬 동쪽 1,425km, 동경 144도 30분)를 통과하는 자오선을 두 번째 경계로 설정했다. 이 자오선은 뉴기니섬 중앙부를 통과한다.[42][43] 포르투갈은 말루쿠 제도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인정받는 대신 스페인에 35만 두카트를 배상금으로 지급했고, 마카오의 권익을 승인받았다.[42][43] 스페인은 호주 전역에 대한 우선권을 얻었지만, 포르투갈의 조사를 금지하지는 않았다. 필리핀은 자오선 서쪽에 있었지만, 이 조약에서 스페인령으로 인정되었다.
3. 1. 조약의 의의와 한계
마젤란 함대의 생존자를 이끌고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가 세계 일주 항해를 마치고 1522년 유럽으로 귀환하면서 새로운 의문이 제기되었다. 지도에 남북으로 선을 그어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경계를 정했지만, 지구가 둥글다는 것이 실제 항해로 증명된 후에는 이 경계선이 불완전하다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지구 반대편의 경계선에 대해 양국 간에 분쟁이 발생하였다.특히, 동남아의 말루쿠 제도(몰루카 제도)의 귀속을 둘러싸고 양국 간에 치열한 다툼이 벌어졌다. 말루쿠 제도는 당시 귀중품이었던 향신료의 주요 산지였기 때문이다. 이 시대의 ‘말루쿠 제도’는 현대에서 말하는 마크 제도, 부루섬과 스람섬(세람섬)을 가리키고 있었다. 또한 말루쿠 해를 둘러싼 섬도 "말루쿠 제도"로 분류되어 향신료 산지로 유명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529년 4월 22일 사라고사 조약이 체결되었다. 사라고사 조약은 말루쿠 제도의 동쪽 297.5 레구아(약 1,425km)를 통과하는 자오선을 두 번째 경계로 했다. 이 위치는 부루섬 동쪽 1,425km, 동경 144도 30 분 거리에 해당하며, 이 자오선은 뉴기니섬 중앙부를 통과한다.[27] 포르투갈은 이 조약을 통해 말루쿠 제도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인정받는 대신 스페인에게 35만 두카트를 배상금으로 지급하였다.[42][43]
사라고사 조약은 아시아 지역에서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세력 범위를 확정했지만,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스페인은 호주 전역에 대한 우선권을 획득했지만, 포르투갈의 조사를 금지한 흔적은 없었다. 또한, 필리핀은 자오선에서 크게 벗어난 서쪽에 위치하여 포르투갈의 우선권이 주어져야 했지만, 이 조약에서는 공식적으로 스페인 영토가 되었다. 이는 훗날 분쟁의 소지를 남긴 것이었다.
4. 그 밖의 조약들
1750년 1월 13일, 포르투갈의 주앙 5세와 스페인의 페르난도 6세는 마드리드 조약을 체결하여 양국 간의 영토 분쟁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 조약으로 스페인은 필리핀에 대한 영유권을 인정받았고, 포르투갈은 아마존 강 유역의 영토를 얻었다. 포르투갈은 오늘날 우루과이에 해당하는 플라타 강 북쪽 둑의 새크라멘토 식민지를 포기하는 대신 7개의 영토를 획득하였다.[44] 당시 조선은 영조 재위 시기로, 탕평책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사회 안정을 꾀하던 시기였다.
그러나 과라니 전쟁 이후,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1761년 엘파르도 조약을 체결하여 마드리드 조약을 폐기하였다. 이후 1777년 산일데폰소 조약을 통해 최종적으로 국경이 결정되었는데, 스페인은 우루과이 강 동쪽의 영토를, 포르투갈은 아마존 분지의 영토를 획득하였다.[18] 이 시기 조선은 정조가 즉위하여 개혁 정치를 추진하던 시기였다. 비록 이 조약들이 조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당시 서구 열강의 식민지 쟁탈전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5. 조약의 현대적 의의
20세기에 칠레는 남극점까지 이어지는 자오선을 따라 확장되는 남극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토르데시야스 조약을 근거로 제시했다.[19] 칠레는 이 조약이 남극 대륙의 미발견 영토를 스페인(또는 포르투갈)에 귀속시킨다고 해석했다.[19]
참조
[1]
서적
Atlantic history : history of the Atlantic System 1580–1830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2]
서적
Ownership Paradigms in American Civil Law Jurisdictions: Manifestations of the Shifts in the Legislation of Louisiana, Chile, and Argentina (16th–20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2018-09-21
[3]
학술지
The International Law of Discovery, Indigenous Peoples, and Chile
https://digitalcommo[...]
2011-08-01
[4]
서적
The Papal Line of Demarcation and Its Impact in the Eastern Hemisphere on the Political Division of Australia, 1479–1829
Woodside Valley Foundation
[5]
서적
The Epic of Latin Americ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서적
Historical Introduction
Blair
[7]
웹사이트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part 2
http://www.fullbooks[...]
[8]
웹사이트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part 3
http://www.fullbooks[...]
[9]
서적
Archipelago: The Islands of Indone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웹사이트
The Portuguese in the Moluccas and in the Lesser Sunda Islands
http://www.colonialv[...]
Colonialvoyage.com
2010-06-07
[11]
서적
100 Maps
Sterling
[12]
웹사이트
The cartography of the Orientals and Southern Europeans in the beginning of the western exploration of South-East Asia from the middle of the XV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XVIIth century
http://www.reseau-as[...]
Reseau-asie.com
2006-09-15
[13]
학술지
Philip II Orders the Journey of the First Manila Galleon
https://sandiegohist[...]
1966-04-01
[14]
서적
Lines in the sea
https://books.google[...]
[15]
웹사이트
Lines of Demarcation 1529
http://www.sandiegoh[...]
[16]
웹사이트
Infoblatt Das Zeitalter der großen Entdeckungsfahrten
http://klett-verlag.[...]
[17]
서적
Canada Quebec 1534–2000
Septentrion
[18]
서적
História da Expansão e do Império Português
https://books.google[...]
Esfera dos Livros
[19]
웹사이트
National Interests And Claims In The Antarctic
http://pubs.aina.uca[...]
[20]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8
[21]
서적
The Conquest of Paradise
[22]
서적
The Conquest of Paradise
[23]
웹사이트
The Alexandrine Bulls and the Treaty of Tordesillas
http://press.anu.edu[...]
[24]
웹사이트
Treaty of Tordesillas#Lines of demarcation
[25]
웹사이트
Treaty of Tordesillas
http://www.unesco.or[...]
UNESCO Memory of the World Archives
[26]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9-06-20
[27]
웹사이트
토르데시야스 조약
[28]
서적
Historical Introduction
http://www.fullbooks[...]
Emma Helen Blair
[29]
서적
International Law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30]
뉴스
토르데시야스 조약…지구를 반씩 나눠 먹다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07-06-07
[31]
서적
라틴아메리카 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32]
기타
[33]
기타
[34]
서적
라틴아메리카 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35]
서적
조약의 세계사
https://terms.naver.[...]
미래의 창
[36]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37]
서적
무역의 세계사
라이팅 하우스
[38]
일반
[39]
서적
라틴아메리카 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40]
서적
무역의 세계사
라이팅 하우스
[41]
서적
무역의 세계사
라이팅하우스
2019-04-10
[42]
서적
삐딱하고 재미있는 세계탐험 이야기
푸른숲
[43]
서적
무역의 세계사
라이팅하우스
2019-04-10
[44]
서적
História da Expansão e do Império Português
https://books.google[...]
Esfera dos Livro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