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게이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게이지는 1719년 영국에서 태어난 군인으로, 프렌치 인디언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 참여했다. 그는 북미 총사령관으로 재임하며 폰티악 전쟁을 겪었고, 식민지와의 긴장이 고조되자 군대를 보스턴으로 이동시켰다. 1774년 매사추세츠 총독으로 임명된 후, 보스턴 차 사건에 대한 강압적인 조치를 시행했다. 렉싱턴과 콩코드 전투 이후 보스턴 포위전에서 벙커힐 전투를 지휘했으나, 영국으로 소환되어 1787년 사망했다. 캐나다의 지명과 미니시리즈를 통해 그의 이름이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프렌치 인디언 전쟁 참전 군인 - 가이 칼튼
가이 칼튼은 18세기 영국군 장교이자 행정가로, 7년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으며 특히 퀘벡 총독으로서 1775년 미국 침공으로부터 퀘벡을 방어하는 데 기여했다. - 영국의 프렌치 인디언 전쟁 참전 군인 - 제5대 하우 자작 윌리엄 하우
제5대 하우 자작 윌리엄 하우는 영국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영국군 총사령관을 지냈으며, 7년 전쟁에서 공을 세웠고, 미국 독립 전쟁에서 여러 작전을 지휘했으나 소극적인 전략 등으로 비판받고 영국으로 귀국 후 추밀원 고문 등을 지내다 후사 없이 사망했다.
토머스 게이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장군 더 호너러블 |
이름 | 토머스 게이지 |
원어 이름 | Thomas Gage |
직책 | |
제13대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총독 | 임기 시작: 1774년 5월 13일 임기 종료: 1775년 10월 11일 군주: 조지 3세 이전: 토머스 허친슨 이후: 주지사 평의회 (대행) / 존 핸콕 (매사추세츠 주지사로서) |
북아메리카 총사령관 | 임기 시작: 1763년 9월 임기 종료: 1775년 6월 군주: 조지 3세 이전: 제프리 아마스트 이후: 프레데릭 홀디만 |
퀘벡 군사 총독 | 임기 시작: 1760년 임기 종료: 1763년 이전: 프랑수아-피에르 리고 드 보드뢰유 이후: 랄프 버튼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718년/1719년 3월 10일 |
출생지 | 잉글랜드, 서식스주, 파얼 |
사망일 | 1787년 4월 2일 (67-68세) |
사망지 | 런던, 포틀랜드 플레이스 |
배우자 | 마거릿 켐블 게이지 (1758년 12월 8일 결혼) |
기타 정보 | |
직업 | 군인, 공무원 |
![]() | |
충성 | 그레이트브리튼 |
군사 복무 | 군종: 영국 육군 복무 기간: 1741년–1775년, 1781년–1782년 계급: 장군 지휘: 제80 경보병 연대 모트리올 군사 총독 북아메리카 총사령관 |
주요 전투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폰테누아 전투 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 컬로든 전투 프렌치-인디언 전쟁 브래독 원정 모농가힐라 전투 캐리용 전투 폰티악 전쟁 미국 독립 전쟁 렉싱턴 콩코드 전투 보스턴 포위전 벙커 힐 전투 |
2. 생애
게이지 가문은 15세기부터 서식스주 퍼럴에 위치한 퍼럴 저택에 거주해 온 유서 깊은 가문이다.[2] 토머스 게이지는 1719년경 이곳에서 제1대 게이지 자작 토머스 게이지와 베네딕타 마리아 테레사 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1][4] 그의 아버지는 게이지가 태어난 직후 아일랜드의 귀족 작위를 받았으며,[3] 이 작위는 훗날 장남이자 게이지의 형인 제2대 게이지 자작 윌리엄 게이지가 계승했다.[5]
1728년, 게이지는 명문 웨스트민스터 스쿨에 입학하여 존 버고인, 리처드 하우, 프랜시스 버나드, 조지 저메인 등 훗날 중요한 인물이 되는 이들과 교우 관계를 맺었다.[6] 게이지의 초기 생애와 군 경력, 북아메리카에서의 활동 등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초기 생애
thumb토머스 게이지는 1718년 또는 1719년[1] 서식스주 퍼럴(현재 이스트서식스주 퍼럴)에 위치한 가문의 오랜 거주지인 퍼럴 저택(Firle Place)에서 태어났다.[2] 그는 토머스 게이지와 베네딕타 마리아 테레사 홀의 둘째 아들이었다.[1][4] 그의 아버지는 게이지가 태어난 직후 아일랜드의 귀족 작위를 받은 저명한 인물이었으며,[3] 이 작위는 훗날 장남이자 게이지의 형인 윌리엄 홀 게이지가 계승했다.[5] 게이지 가문은 오랫동안 가톨릭 신앙을 유지했으나, 아버지인 제1대 게이지 자작은 1715년에 성공회로 개종했다.[7]
1728년, 게이지는 명문 웨스트민스터 스쿨에 입학하여 존 버고인, 리처드 하우, 프랜시스 버나드, 조지 저메인 등 훗날 중요한 인물이 되는 이들과 교우 관계를 맺었다.[6] 학교에 다니는 동안 그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성공회 신앙에 굳건히 헌신하게 되었고, 로마 가톨릭교회에 대한 강한 반감을 키웠다.[8]
1736년 웨스트민스터 스쿨을 졸업한 후,[9] 게이지는 영국 육군에 소위로 입대하여 군 경력을 시작했다. 초기 임무는 요크셔에서 신병을 모집하는 것이었다.[9] 1741년 1월, 그는 중위 계급으로 제1 노샘프턴 연대의 장교직을 구매했으며,[9] 1742년 5월에는 바테로 연대로 옮겨 대위-중위 계급을 받았다. 1743년에는 대위로 진급했다.[10]
게이지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하여 플랑드르에서 복무했으며, 폰트노아 전투에서는 앨버말 백작의 부관을 맡았다.[10] 또한 제2차 자코바이트 봉기 당시 컬로든 전투에도 참전했다. 1747년부터 1748년까지는 앨버말 백작 휘하에서 저지대 국가 작전에 참여했다.[11] 1748년, 그는 소령 직위를 구매하여 제55보병 연대(나중에 제44연대로 개칭됨)로 전속되었고, 1751년 3월에는 중령으로 진급했다. 이 연대는 1748년부터 1755년까지 아일랜드에 주둔했다.[11]
군 복무 중 게이지는 화이트스 클럽 회원으로 활동하며 여가 시간을 보냈고, 때때로 파리를 방문하기도 했다. 그는 술이나 도박을 즐기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동료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11] 그는 찰스 리와 같은 동료 장교뿐만 아니라, 훗날 전시 비서관이 되는 배링턴 경이나 제퍼리 에머스트와 같은 유력 인사들과도 교류하며 정치적 인맥을 쌓았다.[13]
1750년, 게이지는 "계급과 재산이 있는 여인"과 약혼했으나 결국 파혼했다.[14] 1753년에는 아버지와 함께 의회 의석에 도전했지만, 1754년 4월 선거에서 부자 모두 낙선했다. 선거 결과에 이의를 제기했으나, 아버지가 곧 사망하고 프랑스-인디언 전쟁이 발발하면서 그의 연대가 북아메리카로 파견되자 1755년 초 항의를 철회했다.[15]
2. 2. 군 경력
웨스트민스터 스쿨 졸업 후 소위로 영국 육군에 입대하였으며, 1741년 1월 30일 노샘프턴셔 연대 중위 직을 구매했다. 1742년에는 밧테로 보병 연대로 전속되어 상급 중위가 되었다.1743년에는 대위로 승진했으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 폰테노이 전투와 재커바이트의 반란 당시 쿨로든 전투에서 알버말 백작 윌리엄 밴 케펠의 부관을 맡았다. 1747년부터 1748년까지 게이지는 네덜란드에서의 작전에 종군했다. 1751년 3월에 제55보병연대로 전속되어 중령으로 승진했다.
프랑스-인디언 전쟁이 발발하자, 게이지는 북아메리카로 파견되었다. 1756년 여름, 게이지는 오스위고 요새에 보급품을 지원하려다 실패한 원정대의 부사령관으로 복무했다. 그 원정대는 이동 중에 프랑스군에게 요새를 함락당했다.[20] 이듬해 그는 노바스코샤주 핼리팩스에서 존 캠벨 라우던 장군 휘하에 배속되었는데, 그곳에서 루이스버그를 공격하려던 계획이 프랑스 함대가 더 크다는 사실에 직면하면서 취소되었다.[21]
1757년 12월, 게이지는 라우던에게 숲에서의 전투에 더 적합한 경보병 연대를 창설할 것을 제안했다. 라우던은 그 달에 소환되기 전에 이 계획을 승인했고, 또한 게이지를 정식 대령으로 진급하도록 국왕에게 추천했다. 게이지는 뉴저지주에서 겨울을 보내며 새롭게 창설된 제80경무장보병연대를 모집했는데, 이는 "영국 육군 최초의 확실한 경무장 연대"였다.[22] 그가 정확히 언제 켐블 가족을 만났는지는 불확실하지만, 그가 뉴저지주 브런즈윅 지역을 선택한 것은 마가렛 켐블 게이지에 대한 관심 때문일 수 있는데, 그녀는 이 지역의 유명한 미인이자, 스카일러 가문의 후손이자, 뉴욕 시장 스테파누스 반 코트랜드의 손녀였다.[23][24] 모집과 구애 모두 성공적이었다. 1758년 2월까지 게이지는 뉴욕주 올버니에 도착하여 그 해의 작전을 준비했고, 그해 12월 8일 마가렛과 결혼했다.[25]
게이지가 올버니로 향했던 작전은 참혹한 카리용 전투로 끝났는데, 여기서 16,000명의 영국군이 4,000명도 안 되는 프랑스군에게 패배했다. 게이지의 연대는 영국 선봉에 있었고, 그 전투에서 다시 부상을 입었으며, 영국군은 2,0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다.[26][27] 1758년 작전에서 임시 준장으로 임명되었던 게이지는 1759년 그의 형인 게이지 경의 정치적 공작을 통해 정식 진급했다.[28][29]
새로 임명된 준장은 메이저 제너럴 제프리 애머스트 휘하에서 올버니 주둔지를 지휘하게 되었다.[30] 1759년, 타이컨더로가를 무혈 점령한 직후, 애머스트 장군은 존 프리도 장군의 사망 소식을 접했다. 프리도 장군은 나이아가라 요새를 점령하는 원정을 이끌었다. 애머스트는 게이지에게 프리도의 후임으로 오스웨가치 강 하구, 온타리오 호수에 위치한 포르 드 라 프레젠타시옹 (일명 라 갈레트 요새)를 점령하라고 명령했다. 애머스트는 프랑스군이 생프레데릭 요새를 버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라 갈레트를 점령한 후 가능하다면 몬트리올로 진격하라는 보다 구체적인 지시를 담은 전갈을 게이지에게 보냈다.[31]
게이지는 7월에 프레데릭 할디만드 휘하의 군대가 점령한 오스위고에 도착하여 상황을 파악한 후, 라 갈레트를 공격하는 것이 현명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포트 듀케인에서 지원군이 도착하지 않았고, 라 갈레트의 프랑스군 전력은 미지수였으며, 몬트리올 인근의 전력은 비교적 강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게이지는 라 갈레트 공격이 어떠한 이점도 가져다주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공격을 포기한 후, 애머스트에게 자신의 이유를 설명하는 서신을 보냈다.[32] 애머스트나 정부로부터 즉각적인 질책은 없었지만, 애머스트는 이 실패에 격분했고, 게이지의 부대는 1760년 몬트리올 항복으로 이어진 애머스트 군대의 후방에 배치되었다.[33]
2. 3. 프렌치 인디언 전쟁
1754년, 게이지는 북아메리카로 파견되어 프렌치 인디언 전쟁에서 영국군 에드워드 브래독 장군의 원정대에 합류했다. 이 원정대에는 훗날 미국 독립 전쟁에서 게이지의 적이 되는 조지 워싱턴과 호레이쇼 게이츠도 포함되어 있었다.1755년 7월, 모논가헬라 전투에서 제44연대 지휘관 피터 홀켓 대령이 전사하자 게이지가 임시로 연대 지휘를 맡았다. 이 전투에서 게이지는 가벼운 부상을 입었지만, 연대는 큰 피해를 입고 흩어졌다.[16] 브래독 장군의 부관이었던 로버트 오름 대위는 게이지의 미숙한 야전 전술 운용이 패배를 자초했다고 비난했으며, 이로 인해 게이지는 제44연대의 정식 지휘권을 얻지 못했다.[17]
1756년, 게이지는 실패로 끝난 모호크 강 원정에 부사령관으로 참여했다. 이듬해인 1757년, 노바스코샤 핼리팩스의 총사령관 존 캠벨 장군 휘하에서 제80경무장보병연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대령으로 승진했다.

1758년, 게이지는 타이컨더로가 요새 전투(카리용 전투)에서 또다시 패배하고 부상을 입었다. 이러한 군사적 실패에도 불구하고, 그의 형인 윌리엄 홀 게이지의 정치적 영향력 덕분에 준장으로 승진했다. 같은 해, 게이지는 자대에 현지인을 징병하는 동안 뉴저지 브런즈윅 출신의 마가렛 켐블과 만나 결혼했다. 마가렛 켐블은 뉴욕 시장 스테파너스 판 코트란트의 손녀이자, 웨스트민스터 스쿨 시절 게이지의 친구이자 당시 뉴저지 의회 의원의 딸이었다. 두 사람 사이에서는 1761년 장남 헨리 게이지가 태어났다.
준장으로 승진한 게이지는 제프리 애머스트 소장 휘하에서 올버니 주둔 부대를 지휘하게 되었다.[30] 1759년, 애머스트는 게이지에게 온타리오 호에 위치한 프랑스 요새인 포르 드 라 프레젠타시옹(라 갈레트 요새)를 점령하고 가능하다면 몬트리올까지 진격하라고 명령했다.[31] 그러나 게이지는 오스웨고에 도착해 상황을 파악한 후, 라 갈레트의 프랑스군 전력이 불확실하고, 포트 듀케인에서의 지원군 도착이 불투명하며, 몬트리올 인근의 프랑스군 전력은 비교적 강하다고 판단하여 라 갈레트 공격이 현명하지 않다고 결정했다. 그는 공격을 포기하고, 대신 자신의 부대는 나이아가라 요새와 오스웨고 요새 사이의 지원 병력으로 활용하고, 애머스트 장군이 직접 몬트리올을 공격할 것을 제안했다.[32] 게이지의 이러한 결정은 애머스트를 격분시켰고, 둘 사이의 관계는 틀어지게 되었다. 결국 1760년 애머스트가 직접 몬트리올 공격을 준비할 때까지 게이지는 올버니 요새 수비대에 배치되어 후방 임무를 맡게 되었다.[33]
3. 북아메리카 총독 및 사령관 시절
프랑스 인디언 전쟁에서 프랑스군이 항복하자 게이지는 몬트리올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761년, 그는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22연대의 지휘관이 되었다. 1763년 8월, 제프리 애머스트가 영국으로 돌아가자 게이지는 북아메리카 주둔 영국군의 총사령관직을 이어받았다. 총사령관이 된 게이지는 서부 변경 지대에서 진행 중이던 아메리카 원주민의 봉기, 즉 폰티악 전쟁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전쟁은 그의 임기 초반 주요 과제였으며, 상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총사령관으로서 게이지는 광활한 북아메리카 영토를 관리해야 했으며, 서부, 남부, 북부의 3개 변경 지역에 군대를 배치했다. 그러나 1760년대 중반 이후 식민지와의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자, 그는 점차 군대를 변경 지역에서 철수시켜 뉴욕이나 보스턴과 같은 주요 해안 도시의 통제 강화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도시 주둔 병력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숙소 마련이 시급한 문제가 되었고, 이는 1765년 영국 의회가 논란 많은 숙소법을 통과시키는 배경이 되었다. 1768년, 게이지는 직접 보스턴으로 가서 병사 숙소 마련 문제를 처리하기도 했다. 이러한 군대 주둔은 식민지 주민과의 마찰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결국 1770년 보스턴 학살 사건과 같은 충돌로 이어졌다. 같은 해 여름, 게이지는 중장으로 진급했다.
1773년 6월, 게이지는 가족과 함께 영국으로 일시 귀국했기 때문에, 그해 12월에 발생한 보스턴 차 사건 당시에는 북아메리카에 없었다. 이 사건에 대한 영국의 강경 대응으로 보스턴 항구가 봉쇄되는 등 식민지와의 갈등은 극에 달했다. 당시 매사추세츠의 문민 총독 토머스 허친슨과 부총독 앤드루 올리버가 고령이었던 반면, 50대 초반의 군 경력이 풍부한 게이지는 이 위기 상황을 수습할 적임자로 판단되었다.
1774년 5월, 게이지는 문민 총독을 대신하여 매사추세츠의 군정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다시 북아메리카로 파견되었다. 그는 보스턴 항구 봉쇄법을 집행하고, 식민지 민병대의 무장을 해제하기 위해 군수 물자, 특히 화약을 압수하는 작전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1774년 9월, 서머빌에서 화약 압수에 성공하기도 했지만, 폴 리비어와 자유의 아들들과 같은 식민지 저항 세력의 조직적인 방해로 많은 압수 시도가 실패로 돌아갔다. 자유의 아들들은 게이지의 활동을 면밀히 감시하며 그의 작전을 사전에 무력화시키곤 했다.
게이지의 비교적 신중한 접근 방식에 대해 그의 부하 장교인 휴 퍼시 등은 불만을 표하며 더 강경한 대응을 촉구하기도 했다. 퍼시는 "장군의 자비심과 온건한 방식이 미국인들을 더욱 대담하고 거만하게 만들 뿐"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게이지는 영국 정부에 보내는 보고서에서 섣부른 무력 사용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대규모 병력 증파 없이는 성공하기 어렵고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만약 군대를 사용하면 상당한 병력이 필요하고, 외국 용병까지 고용해야 할 것이다. 소규모 병력으로는 위협이 되기보다 오히려 반격만 부추길 뿐이며, 결국 피와 재정적 손실이라는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적었다. 또한 "영국인은 다른 영국인을 노예로 만드는 데 적합한 민족이 아니다"라고 언급하며 영국 의회의 강경책에 대한 개인적인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3. 1. 폰티악 전쟁

뉴 프랑스 정복 이후, 제프리 애머스트 장군은 원주민을 존중하지 않는 정책, 특히 그들에게 탄약 판매를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영국과 인디언의 관계를 심각하게 악화시켰다.[38] 영국군의 영토 확장에 대한 원주민들의 광범위한 우려와 결합되어, 이는 오하이오 컨트리와 이전 프랑스의 ''페이 당 오'' 부족들이 영국에 대항하여 봉기하는 계기가 되었다.[38] 1763년 5월, 오다와 지도자 폰티악의 지도 아래, 원주민들은 경비가 소홀한 영국 변경 요새들에 일련의 공격을 가해 일부 요새에서 영국군을 몰아내고 다른 요새들을 위협했으며, 그 지역의 영국 정착민들을 공포에 떨게 했다.[39] 이 사건은 폰티악 전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763년 8월, 애머스트가 영국으로 돌아가자 게이지는 북아메리카 영국군의 총사령관이 되었다. 게이지는 이 분쟁을 외교적으로 종결시키기를 희망하며, 군사 원정을 위해 존 브래드스트리트 대령과 헨리 부케 대령을 파견하고, 윌리엄 존슨 경에게 평화 협상을 진행하도록 명령했다.[41]
존슨은 1764년 여름에 일부 불만을 품은 부족들과 나이아가라 요새 조약을 협상했으며,[41] 부케 대령은 1764년 10월에 일종의 휴전을 협상했다.[41] 이는 1765년 존슨에 의해 최종적으로 체결된 또 다른 평화 조약으로 이어졌다.[41] 1765년, 제42 보병 연대는 마침내 프랑스 점령 하에 남아 있던 마지막 요새인 캐번디시 요새에 도착했다.[42] 이 분쟁은 폰티악 자신이 온타리오 요새로 가서 1766년 7월 존슨과 정식 조약을 체결할 때까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42]
3. 2. 식민지와의 긴장 고조
게이지가 북아메리카 총사령관으로 재임하는 동안 식민지 전역에서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었다.[51] 이에 따라 게이지는 군대를 변경 지역에서 철수시켜 뉴욕과 보스턴 같은 도시 중심지의 방어를 강화하기 시작했다.[51] 도시에 주둔하는 군인 수가 늘어나면서 이들에게 적절한 숙소를 제공할 필요성이 커졌고, 의회는 1765년 숙소법을 통과시켜 영국 군대가 개인 주택을 제외한 빈집, 헛간 등에 머물 수 있도록 허용했다.[52] 이는 식민지 주민들의 반발을 샀다.게이지는 식민지 불안의 원인에 대해 초기에는 1765년 인지세법 이후 소수의 보스턴 엘리트 지도자들이 불안을 조장한다고 판단했다.[53] 이러한 생각에 따라 1768년에는 보스턴을 점령하기 위해 두 개 연대를 파견할 것을 권고했는데, 이는 오히려 도시의 분노를 키웠다.[53] 특히 파견된 부대 중에는 이전에 퀘벡과 뉴욕 등에서 식민지 주민과 충돌한 전력이 있고 규율 문제로 평판이 좋지 않았던 제29보병연대도 포함되어 있었다.[53] 이러한 군대 주둔은 결국 1770년 보스턴 학살 사건으로 이어지는 배경이 되었다.[53] 같은 해 말, 게이지는 "미국은 처음부터 끝까지 단지 건달일 뿐이며, 보스턴 사람들이 가장 큰 건달이다"라고 기록하며 식민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54]
시간이 지나면서 게이지는 불안의 원인에 대한 시각을 바꾸어 민주주의 자체가 위협이라는 생각을 굳히게 되었다.[55] 그는 식민지 주민들이 왕실의 효과적인 통제를 벗어나 서부 내륙으로 이동하는 것과 타운 미팅 같은 지역 자치 제도의 발전을 주요 위협 요소로 보았다.[55] 1772년에는 "민주주의가 미국에서 너무 널리 퍼져 있다"고 우려를 표하며,[55] 타운 미팅을 폐지하고 식민지 정착을 영국이 통제하기 쉬운 해안 지역으로 제한해야 한다고 제안하기에 이르렀다.[55]
4. 매사추세츠 총독 시절
토머스 게이지는 1773년 6월 가족과 함께 영국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그해 12월에 발생한 보스턴 차 사건 당시에는 현장에 없었다.[56] 영국 의회는 이 사건에 대응하여 식민지에서 강압법으로 알려진 일련의 강압적인 조치들을 통과시켰는데,[57] 이 중 일부는 게이지의 제안이나 영향력이 반영된 것이었다.[55][58] 당시 매사추세츠 총독 토머스 허친슨과 부총독 앤드루 올리버는 인기가 없었고 나이가 많았던 반면(올리버는 1774년 3월 사망),[59] 군사적 경험이 풍부하고 비교적 젊으며 대서양 양쪽에서 어느 정도 인기가 있던 게이지는 식민지의 위기를 관리하고 의회의 법안을 강제할 적임자로 여겨졌다.[60]
결국 1774년 초, 게이지는 허친슨의 뒤를 이어 매사추세츠 주의 군정 총독으로 임명되었다.[62] 그는 5월 초 영국을 떠나 보스턴 항의 캐슬 윌리엄 요새를 거쳐 5월 13일 HMS Lively 호를 타고 보스턴에 도착했다. 그의 도착은 처음에는 비교적 환영받았는데, 이는 보스턴 시민들이 허친슨의 퇴임을 반겼기 때문이었다.[63] 그러나 게이지가 강압법들을 본격적으로 시행하면서 지역 주민들과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했다.[64][65] 그는 식민지 내 반발에 대응하기 위해 1774년 9월, 뉴욕 시, 뉴저지, 필라델피아, 핼리팩스, 뉴펀들랜드 등지에 주둔하던 영국군 병력을 철수시켜 새뮤얼 그레이브스 제독이 지휘하는 해군 함대와 함께 보스턴으로 집결시켰다.[67] 또한 식민지 내 전쟁 물자를 압수하려는 시도는 이후 식민지 주민들과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68]
4. 1. 자유의 아들들과의 갈등
1774년 초, 토머스 게이지는 토머스 허친슨의 뒤를 이어 매사추세츠 주의 군사 주지사로 임명되었다.[62] 그는 5월에 보스턴에 도착했으며, 처음에는 허친슨의 퇴임을 기뻐하는 시민들에게 환영받았다.[63] 그러나 게이지가 강압법으로 알려진 영국의 강경책을 시행하기 시작하면서 지역의 분위기는 급격히 나빠졌다. 특히 많은 사람들의 일자리를 빼앗은 보스턴 항만법과 매사추세츠 의회의 권한을 축소시킨 매사추세츠 정부법 시행은 큰 반발을 샀다.[64][65] 게이지는 매사추세츠 대표들이 불법적인 대륙 회의에 대표를 보내는 것을 알게 되자 1774년 6월 의회를 해산시켰다.[66] 그는 벤자민 처치나 새뮤얼 애덤스와 같은 매사추세츠의 정치 지도자들을 매수하려 했으나, 처치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도자들은 움직이지 않았다.[53]같은 해 9월, 게이지는 식민지 내 전쟁 물자를 압수하라는 지침에 따라 서머빌의 탄약고에서 화약을 제거하라는 비밀 작전을 지시했다.[68] 이 작전 자체는 성공했지만, 이 소식이 알려지자 화약 경보로 알려진 대규모 민중 봉기가 일어났다. 수천 명의 민병대가 케임브리지로 행진하며 무력을 과시했다.[69] 민병대는 곧 해산했지만, 이 사건은 게이지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그는 이후 더욱 신중하게 행동하게 되었다.[70]
식민지 주민들의 신속한 대응에는 폴 리비어가 이끄는 자유의 아들들의 역할이 컸다. 자유의 아들들은 게이지의 활동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었으며, 게이지가 영국 정규군을 동원하기 전에 그의 계획을 미리 파악하고 민병대에 경고했다.[71] 또한, 게이지가 보스턴 외부로 군대를 파견할 경우 민병대에게 즉시 경보를 울리는 임무를 맡은 안전 위원회도 조직되어 활동했다.[72]
게이지는 자유의 아들들과 같은 저항 단체의 활동을 효과적으로 제압하지 못한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그의 부하 장교 중 한 명인 로어드 퍼시는 "장군의 관대함과 절제가 식민지인들을 더욱 대담하고 무례하게 만들 뿐"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73] 게이지 자신도 화약 경보 이후 "결국 무력을 사용해야 한다면 상당한 규모여야 하며, 외국 군대까지 동원해야 할 수도 있다. 소규모 병력으로 시작하는 것은 저항을 부추길 뿐이며, 결국 더 많은 피와 재산을 소모하게 될 것"이라고 본국에 보고하며 어려움을 호소했다.[74] 당시 영국의 정치인 에드먼드 버크는 의회 연설에서 게이지가 처한 딜레마를 지적하며 "영국인이 다른 영국인을 노예로 만들도록 설득하는 것은 지구상에서 가장 부적합한 일"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75]
5. 미국 독립 전쟁
1775년 4월 14일, 토머스 게이지는 런던으로부터 애국자들에 대한 강경 조치를 취하라는 명령을 받았다.[76][72] 그는 콩코드에 민병대가 무기를 비축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4월 18일 밤 이를 압수하기 위해 영국 정규군을 파견했다.[77] 이 과정에서 렉싱턴과 콩코드에서 식민지 민병대와 충돌이 발생하여 렉싱턴과 콩코드 전투가 벌어졌고, 이는 미국 독립 전쟁의 시작을 알렸다. 이 전투에서 영국군은 상당한 손실(사상자 273명)을 입었으며, 무기 압수 작전은 식민지 민병대의 사전 대비로 인해 대부분 실패했다.[78][79][80]
렉싱턴과 콩코드 전투 이후, 수천 명의 식민지 민병대가 보스턴을 포위하면서 보스턴 포위전이 시작되었다.[83] 5월 25일에는 윌리엄 하우, 존 버고인, 헨리 클린턴 등 세 명의 장군과 함께 4,500명의 영국 증원군이 도착했다.[84] 증원군 도착 후 게이지와 장군들은 포위망을 돌파할 계획을 세웠으나, 식민지 민병대가 먼저 브리드스 힐을 점령하고 요새화했다. 1775년 6월 17일, 영국군은 벙커힐 전투에서 막대한 사상자(1,000명 이상)를 내며 힘겹게 승리했지만, 이는 전략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피로스의 승리였다.[87][88][89][90]
벙커힐 전투 이후 게이지는 본국에 보내는 보고서에서 식민지 군대의 예상외의 강한 저항과 전투력에 놀라움을 표하며,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대규모 병력 투입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91] 그는 "이 사람들은 프랑스에 대해 보여주지 않았던 정신과 행동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진지하게 진행하거나 사업을 포기해야 합니다. 한 지점에서 소규모 부대가 활동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며, 그들의 군대를 분산시키기 위해 여러 측면에서 대규모 군대를 투입해야 합니다."라고 보고하며 전황의 심각성을 알렸다.[91]
5. 1. 렉싱턴 콩코드 전투
1775년 4월 14일, 게이지는 런던으로부터 애국자들에 대한 결단력 있는 조치를 취하라는 명령을 받았다.[76][72] 그는 식민지 민병대가 콩코드에 무기를 비축하고 있다는 정보와 함께, 식민지의 주요 정치 지도자인 새뮤얼 애덤스와 존 핸콕을 반역죄로 체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당시 핸콕과 애덤스는 게이지의 추격을 피해 렉싱턴에 숨어 있었다. 4월 18일 밤, 게이지는 보스턴 수비대의 정규군 정예 부대를 동원하여 렉싱턴으로 가서 두 사람을 체포하고, 이어 콩코드로 진군하여 군수 물자를 압수하도록 명령했다.[77]이 작전은 "극비"로 계획되었으나, 자유의 아들들 지도자 조셉 워렌은 사전에 정보를 입수했다. 그는 즉시 폴 리비어와 윌리엄 도스를 파견하여 식민지 민병대에 경고했고, 이는 렉싱턴과 콩코드 전투의 직접적인 발단이 되었다.[81][82] 게이지는 이 계획을 부사령관과 "다른 한 명"에게만 알렸다고 전해지는데, 일각에서는 그 다른 한 명이 그의 아내 마가렛 켐블 게이지였으며, 미국 태생인 그녀가 조셉 워렌에게 정보를 누설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81][82] 게이지는 아내 마가렛이 식민지 출신으로서 반란군에게 동정심을 품고 정보를 유출했을 수 있다고 의심하여, 결국 그녀를 영국으로 돌려보냈다.
렉싱턴에서 영국군은 그곳에 집결했던 소수의 민병대와 짧은 교전을 벌여 흩어지게 했으나, 핸콕과 애덤스를 체포하는 데는 실패했다. 이후 콩코드에서 영국군은 더 강력한 식민지 민병대와 대치했으며, 무기 수색 작전은 식민지 민병대가 사전 경고를 받고 대부분의 물품을 미리 옮겨 놓았기 때문에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77] 영국군이 보스턴으로 철수하는 과정에서, 미리 집결해 있던 식민지 민병대는 영국군을 따라가며 지속적으로 공격을 가했다. 렉싱턴과 콩코드 전투의 결과, 영국군은 273명의 사상자를 냈고, 미국 반군은 95명의 사상자를 기록했다.[78][79][80] 이 전투는 미국 독립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 되었다.
전투 이후, 게이지는 새뮤얼 애덤스와 존 핸콕을 제외한 모든 사람에게 영국 왕실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면 사면하겠다는 선언을 발표했다.[85] 그러나 전투의 여파로 수천 명의 식민지 민병대가 보스턴을 포위하면서 보스턴 포위전이 시작되었다.[83]
5. 2. 보스턴 포위전
렉싱턴 콩코드 전투 이후, 매사추세츠를 중심으로 수천 명의 식민지 민병대가 보스턴으로 집결하여 도시를 포위하면서 보스턴 포위전이 시작되었다.[78][79][80] 초기에는 주로 매사추세츠의 아르테마스 워드 장군이 이끄는 약 6,000명에서 8,000명의 민병대가 도시 안에 갇힌 토머스 게이지 휘하의 영국 정규군 약 4,000명과 대치하는 상황이었다.[83] 영국 해군은 새뮤얼 그레이브스 제독의 지휘 아래 함대를 동원하여 보스턴 항구를 통제하고 있었다.렉싱턴 전투 직후, 게이지는 식민지 출신인 아내 마가렛 켐블 게이지가 자유의 아들들 지도자 조셉 워렌에게 군사 기밀을 누설했을 가능성을 의심하기 시작했다. 실제로 워렌은 폴 리비어와 윌리엄 도스를 통해 민병대에게 영국군의 움직임을 경고했고, 이는 렉싱턴 콩코드 전투 발발과 미국 독립 전쟁의 시작으로 이어졌다.[81][82] 이러한 의심 속에서 게이지는 아내를 배에 태워 영국으로 돌려보냈다.
1775년 5월 25일, 윌리엄 하우 소장, 존 버고인 준장, 헨리 클린턴 준장 등 세 명의 고위 장교와 함께 4,500명의 영국 증원군이 보스턴에 도착했다.[84] 증원군이 도착하자 게이지는 6월 14일, 버고인이 작성한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 선언문은 존 핸콕과 새뮤얼 애덤스를 제외한 모든 식민지 주민들에게 영국 왕에게 충성을 다시 맹세하면 사면해주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85]
게이지와 새로 합류한 장군들은 포위망을 돌파하기 위한 작전을 세웠다. 그들의 계획은 먼저 수륙 양동 작전으로 도체스터 고지를 점령하고, 이어서 매사추세츠주 록스버리에 있는 반란군 진지를 공격하는 것이었다. 이후 브리드스 힐과 벙커 힐이 위치한 찰스타운 반도의 고지대를 장악하여, 최종적으로는 케임브리지에 있는 식민지군 본부를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86]
하지만 식민지군은 영국군의 계획을 사전에 감지하고 발 빠르게 움직였다. 1775년 6월 16일 밤, 그들은 브리드스 힐에 요새를 구축하여 보스턴의 영국군을 압박했다. 이에 영국군은 1775년 6월 17일, 하우 장군 지휘 아래 벙커힐 전투를 벌여 격렬한 전투 끝에 찰스타운 반도를 점령했다.[87] 이 전투는 영국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1,000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피로스의 승리로 평가받는다.[88][89] 전투 이후에도 보스턴 포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헨리 클린턴은 이 전투를 "값비싼 승리"라고 칭하며, 만약 이런 식의 승리가 반복된다면 "우리를 파멸로 이끌 것"이라고 우려했다.[88][89] 다른 영국군 장교들 역시 이 전투에서 실질적으로 얻은 것이 거의 없다고 평가했다.[90]
벙커힐 전투의 쓰라린 경험 이후, 게이지는 본국의 국방부 장관에게 보내는 보고서에서 식민지 군대의 강한 저항 의지와 전투 능력을 인정하며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 이 사람들은 과거 프랑스군을 상대할 때와는 비교할 수 없는 투지와 결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제껏 볼 수 없었던 강한 분노와 열정에 사로잡혀 있으며, 우리는 이 사태에 진지하게 대응하거나 아니면 아예 포기해야 할 것입니다. 소규모 부대를 동원한 제한적인 작전은 더 이상 효과가 없으며, 적군을 분산시키기 위해 여러 방면에서 대규모 병력을 투입해야 합니다. 우리가 입은 손실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입니다. 특히 얻은 것이 고작 한 지역을 점령하는 것에 불과할 때, 소규모 군대로는 이러한 손실을 감당할 수 없습니다.[91]
이 보고는 게이지가 식민지의 저항이 예상보다 훨씬 심각하다는 것을 깨닫고, 전세를 뒤집기 위해 대규모 병력 증파와 전면적인 전략 수정이 시급하다고 판단했음을 보여준다.
5. 3. 영국 귀환 및 사망

1775년 6월 25일, 게이지는 벙커힐 전투 결과를 알리는 보고서를 다트머스 백작에게 보냈다.[92] 이 보고서가 영국에 도착한 지 사흘 만에, 다트머스는 게이지를 영국 본국으로 소환하고 윌리엄 하우 소장으로 교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93] 이러한 신속한 조치는 영국 정부 내에서 이미 게이지의 해임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있었고, 벙커힐 전투가 그의 해임을 결정짓는 마지막 계기가 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94] 게이지는 9월 26일 보스턴에서 소환 명령을 전달받았고, 10월 11일 영국으로 출항했다.[95] 그는 영국으로 귀환하기 전 내각에 보낸 보고서에서 "대규모 군대라 할지라도 결국 그 수가 줄어들 것이며, 외국인 용병을 고용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이전의 경고를 반복했다.
다트머스의 소환 명령이 즉시 게이지의 모든 직위를 박탈한 것은 아니었다. 윌리엄 하우는 임시로 보스턴 주둔 영국군 사령관직을 대행했으며, 가이 칼턴 장군은 퀘벡 주둔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96] 조지 3세는 게이지의 노고에 보답하고자 했으나, 조지 저메인 경(다트머스의 후임으로 북아메리카 국무장관이 됨)이 1776년 4월 하우에게 공식적으로 북아메리카 주둔 영국군 총사령관직을 넘겨준 이후, 게이지는 매사추세츠 총독직을 명목상 유지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보상을 받지 못했다.[97]
게이지 부부는 영국으로 돌아와 런던 포틀랜드 플레이스에 정착했다. 그는 조지 3세로부터 우호적인 환영을 받았으나,[96] 그의 실각에 대한 공적, 사적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한 통신원은 게이지가 "영광의 경주를 마쳤다"며 "그의 양심의 지옥과 그에게 필연적으로 따를 오명을 그대로 내버려 두라!"고 비난했지만,[97] 뉴햄프셔 주지사 베닝 웬트워스와 같이 그를 "어려움에 둘러싸인 훌륭하고 현명한 사람"으로 묘사하며 동정하는 이들도 있었다.[97]
게이지는 1781년 4월 잠시 군무에 복귀하여, 애머스트 경의 지명으로 프랑스의 침공 가능성에 대비한 군대 동원 임무를 맡았다.[98] 이듬해에는 제17 경기병 연대의 사령관직을 맡았다. 그는 1782년 11월 20일 정식 대장으로 진급했으며,[33] 이후 제11 용기병 연대의 사령관으로 전보되었다.[99]
1780년대 중반 군비 축소로 인해 게이지의 군사 활동은 점차 줄어들었다. 그는 미국 독립 전쟁 중 식민지를 떠나야 했던 왕당파들이 입은 손실에 대한 보상을 받도록 지원하는 활동에 참여했으며, 특히 벤자민 처치(Benjamin Church)의 미망인이 제기한 보상 청구를 지원했다.[100] 그는 포틀랜드 플레이스의 자택과 서식스의 퍼를 플레이스에 있는 영지에서 프레데릭 할디만, 토머스 허친슨 등 방문객들을 맞이했다.[101] 그의 건강은 1780년대 초부터 악화되기 시작했다.[100]
게이지는 1787년 4월 2일 포틀랜드 플레이스에서 사망했으며, 퍼를에 있는 게이지 가문 묘지에 안장되었다.[102] 그의 아내 마거릿 켐블 게이지는 남편보다 거의 37년을 더 살았다.[103] 그의 아들 헨리는 게이지의 형 윌리엄이 사망하자 자작위를 상속받았으며, 잉글랜드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이 되었다.[104] 그의 막내 아들 윌리엄 홀 게이지는 영국 해군의 제독이 되었으며, 세 딸 모두 유명한 가문과 혼인했다.[105]
캐나다 뉴브런즈윅의 게이지타운과 캐나다군 기지 CFB 게이지타운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또한 1792년, 어퍼 캐나다의 부총독 존 그레이브스 심코는 세인트로렌스 강 하구에 있는 여러 섬에 캐나다 정복 당시 승리한 영국 장군들의 이름을 붙였는데, 이때 게이지 섬(Gage Island)도 포함되었으나 현재 이 섬은 심코 섬으로 불린다.
6. 유산
캐나다 뉴브런즈윅 주의 게이지타운과 캐나다군 기지 CFB 게이지타운은 토머스 게이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792년, 어퍼 캐나다의 부총독이었던 존 그레이브스 심코는 세인트로렌스 강 하구에 위치한 여러 섬의 이름을 캐나다 정복에서 승리한 영국 장군들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이때 울프 섬, 앰허스트 섬, 호 섬, 칼턴 섬과 함께 게이지의 이름을 딴 '게이지 섬'도 있었으나, 이 섬은 현재 심코 섬으로 불린다.
7. 대중 문화
참조
[1]
간행물
Church of England, Westminster St James (Middlesex) Register, vol. 2 (1699–1723), n.p, baptism of Thomas Gage, 31 March 1719
[2]
서적
Alden (1948), p. 2; Alden does not cite the location of Gage's birth
[3]
서적
Alden (1948), p. 6
[4]
서적
Alden (1948), p. 8
[5]
간행물
Church of England, Westminster St James (Middlesex), Parish Register, vol. 2 (1699–1723), n.p., baptism of William Hall Gage, 31 January 1717/18
[6]
서적
Alden (1948), pp. 9–10
[7]
서적
Hinman (2002), p. 8
[8]
서적
Alden (1948), p. 10
[9]
서적
Hinman (2002), p. 10
[10]
서적
Alden (1948), p. 13
[11]
서적
Alden (1948), p. 14
[12]
서적
Alden (1948), p. 15
[13]
서적
Alden (1948), pp. 15–16
[14]
서적
Alden (1948), p. 16
[15]
서적
Alden (1948), p. 17
[16]
서적
Alden (1948), p. 25
[17]
서적
Alden (1948), p. 26
[18]
서적
Alden (1948), p. 29
[19]
서적
Alden (1948), p. 30
[20]
서적
Alden (1948), p. 37
[21]
서적
Alden (1948), p. 40
[22]
서적
Alden (1948), p. 48
[23]
서적
Alden (1948), pp. 43–44
[24]
간행물
Collections of the New York Historical Society, 1883, p. ix
[25]
서적
Alden (1948), pp. 44,46
[26]
서적
Anderson, pp. 241–248
[27]
서적
Fischer, p. 35
[28]
서적
Alden (1948), p. 46
[29]
서적
Shy, p. 87
[30]
서적
Alden (1948), p. 47
[31]
서적
Alden (1948), p. 49
[32]
서적
Alden (1948), p. 50
[33]
웹사이트
Gage, Thomas
http://www.biographi[...]
2009-03-17
[34]
서적
Alden (1948), pp. 55–58
[35]
서적
Alden (1948), p. 59
[36]
서적
1948
[37]
서적
1948
[38]
서적
[39]
서적
1948
[40]
서적
2002
[41]
서적
1948
[42]
서적
[43]
서적
1948
[44]
서적
1948
[45]
서적
[46]
서적
1948
[47]
서적
1948
[48]
서적
Patriot-Improvers: Biographical Sketches of Member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97
[49]
서적
1948
[50]
서적
1948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General Gage in America: Being Principally a History of his Role in the American Revolution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948
[63]
서적
1948
[64]
웹사이트
Avalon Project – Great Britain : Parliament – The Massachusetts Government Act; May 20, 1774
http://avalon.law.ya[...]
2017-09-01
[65]
서적
[66]
서적
A Companion to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04-15
[67]
서적
The World Atlas of Revolutions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문서
Fischer, pp. 51–57
[72]
서적
The Glorious Cause: The American Revolution, 1763–1789
Oxford University Press
[73]
문서
Fischer, p. 58
[74]
문서
Ketchum, p. 18
[75]
문서
Fischer, p. 30
[76]
문서
Fischer, p. 76
[77]
문서
Fischer, p. 85
[78]
웹사이트
Gage initially reported loses as 65 killed; 183 wounded; 16 missing Coburn pp,158–159
https://archive.org/[...]
[79]
문서
Stark, p. 53
[80]
웹사이트
Coburn p.157 given Colonial casualties as 49 killed 42 wounded 5 missing total 96
https://archive.org/[...]
[81]
서적
Paul Revere's Ride
Oxford University Press
[82]
서적
With Fire & Sword: The Battle of Bunker Hill and the Beginning of the American Revolution
Thomas Dunne Books
[83]
문서
Ketchum, pp. 18, 54
[84]
문서
Ketchum, pp. 2–9
[85]
문서
Ketchum pp. 44–45
[86]
문서
Ketchum, pp. 45–46
[87]
문서
Ketchum pp. 110–111
[88]
문서
Ketchum, p. 183
[89]
간행물
The True Story of the Battle of Bunker Hill
http://www.smithsoni[...]
2013-05
[90]
문서
Ketchum, pp. 198–209
[91]
서적
Rebels and Redcoats: The American Revolution Through the Eyes of Those who Fought and Lived It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92]
문서
Alden (1948), p. 270
[93]
문서
Alden (1948), p. 280
[94]
문서
Alden (1948), p. 281
[95]
문서
Ketchum, p. 213
[96]
문서
Alden (1948), p. 283
[97]
문서
Alden (1948), p. 284
[98]
문서
Alden (1948), p. 291
[99]
문서
Stephen and Lee, p. 356
[100]
문서
Alden (1948), p. 292
[101]
문서
Alden (1948), p. 287
[102]
문서
Alden (1948), p. 293
[103]
문서
Alden (1948), p. 294
[104]
문서
Alden (1948), p. 289
[105]
문서
Alden (1948), p. 288
[106]
간행물
History's 'Sons of Liberty' miniseries casts Dean Norris, Ben Barnes, Henry Thomas
http://insidetv.ew.c[...]
2014-06-04
[107]
서적
A Roll of Arms
Boston
1928-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