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요타 크라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요타 크라운은 1955년 출시된 토요타의 주력 세단으로, 일본 시장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승용차 이름표 중 하나이다. 일본 경찰차, 정부 수송 차량, 기업 차량, 택시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1989년 렉서스 LS가 등장하기 전까지 토요타의 플래그십 세단 역할을 했다. 1955년부터 생산되어 랜드 크루저 다음으로 일본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토요타 모델이다. 2022년에는 크로스오버, 세단, 스포츠, 에스테이트의 4가지 차체 형태로 구성된 16세대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북미 시장에도 재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5년 도입된 자동차 - 국제차량제작 시발
    국제차량제작 시발은 1955년 광복 10주년 기념 산업박람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알려진 대한민국 최초의 국산차 시도 모델로, 미군 지프를 개조하여 제작되었으나 5·8 라인 발동과 새나라자동차 등장으로 1963년 단종되었으며 현재 생산 당시의 차량은 존재하지 않는다.
  • 1955년 도입된 자동차 - 포드 선더버드
    헨리 포드 2세의 지시로 개발되어 디트로이트 오토쇼에서 공개된 2인승 스포츠카 포드 선더버드는 콜벳의 경쟁 모델로 출시되었으며, 탈착식 하드톱과 접이식 패브릭 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 택시 차량 - 현대 쏘나타
    현대 쏘나타는 1985년 출시 이후 전륜구동 방식으로 전환,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하며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중형 베스트셀링카이다.
  • 택시 차량 - 가마
    가마는 운반인이 어깨에 메어 사람을 수송하는 교통 수단으로, 신분과 지위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역사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한국, 중국, 인도, 일본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 1950년대 자동차 - 쉐보레 서버번
    쉐보레 서버번은 1935년 출시되어 12세대에 걸쳐 생산된 풀사이즈 SUV로, 초기에는 목재 부품을 사용한 8인승 스테이션 왜건이었으나 현재는 3열 시트와 V8 엔진을 탑재하여 경찰차, 구급차, 미국 정부 기관 등에서 널리 활용된다.
  • 1950년대 자동차 - 메르세데스-벤츠 SL
    메르세데스-벤츠 SL은 "슈퍼 라이히트"의 약자로 불리는 2인승 로드스터로, 다양한 세대를 거치며 독특한 디자인과 기술적 특징을 가진 모델이며, 최신 7세대는 메르세데스-AMG에서 개발되어 AMG 모델로만 출시된다.
토요타 크라운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6세대 크로스오버 (대미 수출 사양)
16세대 크로스오버 (대미 수출 사양)
제조국일본
중국 (중국 시장용, 12세대부터)
판매 기간1955년 – 현재
차체 형태4도어 세단
구동 방식후륜 구동 (1세대 – 15세대)
사륜 구동 (10세대 – 현재)
세대수14세대
선대토요펫 슈퍼
다른 이름토요펫 크라운 (1세대 – 3세대)
생산
조립일본: 아이치현도요타 (본사 공장: 1955–1959; 모토마치 공장: 1959–현재; 쓰쓰미 공장: 2022–현재)
호주: 포트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모터 인더스트리: 1967–1980)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스틸 모터 어셈블리: 1973–1980)
중국: 톈진 (TFTM: 2005–2020)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1976–1983; 1987–2000)
필리핀: 파라냐케 (1967–1984; 1989–1997); 산타로사, 라구나 (1997–1999)
차급중형 고급차 (E 세그먼트)
차체 스타일4도어 노치백 세단 (1955–현재)
4도어 하드톱 세단 (1974–1999)
4도어 패스트백 세단 (2022–현재)
2도어 하드톱 쿠페 (1967–1983)
3/5도어 스테이션 왜건 (1955–2007)
5도어 SUV (2023–현재)
2도어 쿠페 유틸리티 (픽업, 1962–1971)
레이아웃전륜 엔진, 후륜 구동
전륜 엔진, 사륜 구동 (1995–현재)
관련 차종토요타 크라운 마제스타 (1991–2020)
렉서스 GS (1991–2011)
후속 차종토요타 코로나 마크 II (북미, S60/S70 모델용)
토요타 아발론 (XX50) (중국, S210 모델용)
토요타 소아라 (하드톱 쿠페)

2. 역사

2003년부터 2018년까지 사용된 토요타 크라운 로고


1955년 '''토요펫 크라운'''으로 출시된 이 차량은 일본 시장에서 토요타의 주력 세단 역할을 해왔으며, 토요타 모델 중 가장 오래 지속된 승용차 이름표 중 하나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본과 아시아에서 전통적인 경쟁 차종으로는 단종된 닛산 세드릭/글로리아/푸가, 혼다 레전드, 마쓰다 루체, 이스즈 벨렐 및 미쓰비시 데보네어가 있었다.

과거에는 일본의 토요타 스토어 대리점에서만 판매되었지만, 크라운은 경찰차나 정부 관계자 수송용으로 널리 사용되면서 정부 사용 차량으로 인기를 얻었다. 또한 일본 기업에서 회사 차량으로, 그리고 택시로도 많이 사용되었다. 기본형 크라운은 오랫동안 택시 시장을 겨냥하여 판매되었지만, 크라운 라인의 사치성과 가격이 증가하면서 1995년에 더 저렴한 대안으로 컴포트가 만들어졌다. 일본 외 지역에서는 더 큰 렉서스 LS가 1989년부터 토요타의 글로벌 라인업에서 토요타의 플래그십 세단 역할을 대신했다.

토요타의 "크라운 정신 발견 프로젝트"는 일본 토요타 딜러가 크라운의 모든 세대 모델을 완전히 복원하여 가장 오래된 크라운도 여전히 작동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3]

1955년부터 생산된 크라운은 랜드 크루저 다음으로 일본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토요타 모델이며,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1954), 쉐보레 콜벳(1953), 랜드 크루저와 닛산 패트롤(둘 다 1951), 폭스바겐 트랜스포터(1950), 포드 F-시리즈(1947), 쉐보레 서버번(1935) 다음으로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오래된 모델이다.

연도일본[149][150]미국중국[151]
크라운 시리즈크라운 크로스오버
1992155,744
1993117,673
1994113,859
1995130,068
1996137,676
1997109,711
199873,948
199987,253
2000101,000
200182,901
200268,798
200356,089
2004116,614
200579,54628,260
200670,83342,488
200756,45553,111
200874,90445,427
200940,21632,856
201040,52945,161
201129,92730,321
201229,96325,456
201382,70123,315
201449,16614,880
201544,31626,017
201639,81330,251
201729,08537,455
201850,32436,338
201936,12510,378
202022,173[152]1,927
202121,4114,061
202217,7679,147
202343,02938,72119,063[153]


2. 1. 1세대 (RS/S10/S20/S30; 1955-1962)

토요타 크라운 1세대는 해외 제작사와 제휴 없이 독자 개발된 모델이다.[7][8] 토요타가 자체적으로 디자인을 진행하였으나, 태평양 전쟁 이후 고급 승용차의 상징이 된 미국의 고급 승용차의 영향을 받았다.[156] 뒷좌석 승하차 편의를 위해 수어사이드 도어가 적용되었다.[156]

토요타 크라운 정측면


토요타 크라운 후측면


기존의 트럭 섀시를 활용하는 대신, 저상 승용차 전용 섀시가 새롭게 개발되었다.[156] 기본적으로 사다리꼴 프레임 위에 차체를 얹는 보디 온 프레임 방식이었으며, 비포장 도로가 많은 환경을 고려하였다. 서스펜션은 전륜 더블 위시본 식 서스펜션, 후륜 리지드 액슬 식 서스펜션이 적용되었다. 일본 승용차 최초로 전륜에 독립 현가 방식 서스펜션이 적용되어 화제를 낳았다.[156]

개발 과정에서 상용 수요도 고려되어 마스터와 마스터라인이 별도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택시 업계에서는 크라운이 마스터보다 승차감이 좋고 운전하기 편하다는 평가를 받아 택시로 사용되기도 하였다.[156] 1955년 12월에는 라디오와 히터 등 당시 고급 승용차에 있던 편의 사양을 갖춘 디럭스 트림이 판매되었고,[12] 1956년부터 일본의 경제 호황에 힘입어 인기를 얻게 된다.

1957년에 토요타미국에 진출하면서 최초로 수출을 개시한 차량이었으나,[2] 성능 부족과 낮은 내구성 등의 문제로 1960년에 수출이 잠시 중단되었다.[103] 1958년부터 1973년까지 미국에 처음 수출되었으며, 이는 토요타가 미국에 수출한 첫 번째 모델이었다.[2] 크라운은 또한 1964년부터 1972년까지 캐나다, 1959년부터 1964년까지 멕시코에 수출되었다.[4][5] 유럽 수출은 1964년 핀란드로 처음 시작되었다. 크라운을 초기에 수입한 다른 유럽 국가로는 네덜란드와 벨기에가 있다. 영국 또한 1980년대 초까지 중요한 유럽 시장이었다.

1958년에는 볼 조인트 서스펜션을 도입했다.[15]

1959년 10월에는 일본 최초의 디젤 엔진 승용차인 크라운 디젤이 출시되었다. C 시리즈 엔진은 40마력에 불과했다.[13] 1960년 10월에는 1.5L R 엔진을 대체하여 1.9L(1,896cc) 3R 엔진을 탑재한 RS30이라는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원래 디럭스 버전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1900 모델은 새로운 2단 토요글라이드 자동 변속기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었다.[14]

호주는 크라운의 또 다른 중요한 수출 시장이었으며, 196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많은 현지 부품을 사용하여 현지에서 제조될 정도였다.

초대 크라운의 생산 종료 전월까지의 신차 등록 대수는 15만 3528대였다.[160]

2. 2. 2세대 (S40; 1962-1967)

2세대 크라운(S40; 1962-1967)은 새로운 소형차 규격에 맞춰 전장과 전폭이 확대되고 전고는 낮아졌다. 디자인은 당시 미국 승용차의 영향을 받은 플랫 데크 스타일로, 토요타 자동차의 이니셜 'T'를 형상화한 라디에이터 그릴이 특징이다.[161] 제1회 일본 그랑프리에서는 다카 히로아키가 클래스 우승을 차지했다.[161] 라디에이터 그릴 중앙의 왕관 엠블럼은 11세대까지 사용되었다.[161] 섀시는 강성이 높은 X형 플랫폼 프레임을 사용했으며, 세단 외에 스테이션 왜건 모델인 크라운 커스텀이 추가되었다.[161]

토요타 크라운 정측면


토요타 크라운 후측면


2세대부터 4세대까지 신진자동차공업 (한국지엠의 전신)을 통해 대한민국에서 생산 및 판매되었다.[161] 1966년에는 파워 윈도우 등이 적용된 최고급 트림인 크라운 슈퍼 디럭스가 추가되었다.[161] 1967년 3세대가 등장하며 단종되었다.[161]

1958년부터 1973년까지 미국에 처음 수출되었으며,[2] 1960년에는 미국 고속도로에서 필요한 속도를 낼 수 없다는 이유로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103] 이후 개선된 모델을 출시했다. 크라운은 1964년부터 1972년까지 캐나다, 1959년부터 1964년까지 멕시코에도 수출되었다.[4][5] 유럽 수출은 1964년 핀란드로 시작되었으며,[161] 네덜란드, 벨기에, 영국 등지로 확대되었다. 호주는 196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현지 부품을 사용하여 크라운을 생산할 정도로 중요한 수출 시장이었다.

1964년 4월에는 상위 차종인 '크라운 에이트'(VG10형)가 등장했다. 크라운 에이트는 일반 모델의 차체를 전후좌우로 연장, 확대하여 일본 최초의 V형 8기통 엔진을 탑재했다.[161]

#넘겨주기

2. 3. 3세대 (S50; 1967-1971)

3세대 크라운은 일본의 미를 테마로 디자인되었으며, 토요타 자동차가 완성시킨 디자인 돔에서 만들어진 최초의 차종이다.[167] 3세대부터 크라운의 전통이 된 페리미터 프레임이 사용되어 경량화와 저상화를 실현, 바닥이 낮아지고 곡면 유리를 적용하여 거주성이 향상되었다.[167] 차음재를 대거 적용하여 정숙성을 높였다.[167] 마스터라인 단종으로 스테이션 왜건픽업 트럭에도 크라운 차명이 사용되었다.[167] 최고급 트림인 슈퍼 디럭스에는 전자식 트렁크 오프너, 자동 선국식 AM/FM 라디오, 음차 시계, 뒷좌석 독서등, 앞좌석 헤드 레스트 등 고급 편의 사양이 적용되었다.[167]

1965년에 차체 색상에 관한 규제가 없어지면서,[165] "흰색 크라운"이라는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흰색을 메인 차체 색상으로 한 오너 디럭스 트림과 크라운 최초의 하드탑 쿠페를 내세우는 캠페인이 실시되어 월간 판매량이 증가, 일본 고급 승용차 시장의 선두 주자가 되었다.[167]

자가 운전자를 타겟으로 한 광고 마케팅이 시작되었으며, 이전에는 구급차나 소방차와 혼동된다는 이유로 흰색과 빨간색 차체는 사용되지 않았으나, 규제 철폐 후 흰색 크라운은 세련된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1967년 9월 4일에 3세대가 발표되었고, 같은 달 13일에 발매되었다.[166] 1968년 10월에는 2도어 하드탑이 추가되었으며, 각형 2등 헤드램프가 특징이었다. 기본 그레이드인 "하드탑"과 트윈 카뷰레터의 M-B형 엔진을 탑재한 스포티 그레이드인 "하드탑 SL"로 구성되었으며, 레더 톱 장착차도 설정되었다. 1969년 9월에는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내외장이 변경되고, 하드탑에도 "슈퍼 디럭스"가 추가되었다.

토요타 크라운(전기형) 정측면


토요타 크라운(전기형) 후측면


2. 4. 4세대 (S60/S70; 1971-1974)

4세대부터 정식 차명이 토요펫트 크라운에서 토요타 크라운으로 바뀌었다.[42] 스핀들 쉐이프(방추형)라고 불리는 곡선이 가미된 둥근 디자인으로 인하여 "고래" 혹은 "쿠지라"라는 애칭이 붙었다.[170] 고속 주행 시의 안정성과 성능을 위하여 곡면이 쓰인 차체와 조립식 차체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범퍼[171] 등 참신한 디자인은 자가 운전자에게 어필하기 위함이었으나, 시대를 앞선 디자인은 당시의 보수적인 고객들에게 외면당했다. 또한 차체 앞 끝을 압축한 디자인은 엔진 룸의 통풍을 부족하게 만들어 여름에 과열이 속출하였고, 차체 앞부분의 형상으로 시야 확보가 어려워 취급에 지장이 생긴 점으로 인해 불평이 잇따랐다.[172] 이러한 문제 처리에 차질이 빚어진 데 따른 불평이 잇따랐다. 결국 당시 경쟁 차종이던 닛산 세드릭과 글로리아에게 판매 대수에서 역전당하여 크라운 사상 최대의 실패작이라는 오명까지 썼다.

토요타 크라운 하드탑 쿠페 정측면


토요타 크라운 하드탑 쿠페 후측면


후륜 ESC(현재의 ABS)[173][174]와 전자 제어식 3단 자동변속기가 선택 사양으로 적용되었다. 가장 최고급 트림인 슈퍼 살롱이 등장한 것도 4세대 때의 일이다. 현재까지도 적용되는 C 필러의 왕관 엠블럼 역시 4세대에 처음 적용되었다. 바디 바리에이션은 4도어 세단, 2도어 하드탑, 커스텀(왜건), 밴 3종이 되었다(차량 형식은 하드탑이 S7#계, 그 외는 S6#계). 이 대부터 세단・하드탑 양쪽에 ''''슈퍼 살롱''''이 최고급 그레이드로 새롭게 설정되었다.

1971년 2월 16일에 발매되었으며, 캐치프레이즈는 '엘레건츠 크라운 세계가 주목한다'였다. 상용차・스테이션 왜건 모델의 리어 넘버 플레이트를 범퍼로 이설했다. 같은 해 5월에는 2.6L 엔진(4M형)을 탑재한 ''''2600 슈퍼 살롱''''이 등장하여 고급차화에 박차를 가했다. 크라운 에이트를 제외하면 시리즈 최초의 일반차(3넘버 등록)이다. 1972년 10월에는 '2600 슈퍼 디럭스', '2600 디럭스'를 추가 설정했다. 1973년 2월에는 마이너 체인지를 단행하여 조립식 컬러드 범퍼가 크롬 대형 범퍼로 변경되었다. 세단은 테일 램프의 빨간색 점등 형식을 변경(초기형에서는 테일 램프와 독립되어 있던 브레이크 램프를 일체화)했다. 세단의 'SL', 하드탑 전차에 5단 MT차를 추가했으며, 캐치프레이즈는 '이번 크라운'이었다. 1974년 1월에는 '슈퍼 살롱' 및 'SL'에 EFI(전자 연료 분사 장치) 탑재차를 추가했다.

4대 판매 종료 전월까지의 신차 등록 대수의 누계는 28만 7970대이다.[175]

2. 5. 5세대 (S80/S90/S100; 1974-1979)

5세대 크라운은 4세대의 곡선 위주 디자인에서 벗어나 직선 위주의 디자인을 채택하여 중후함과 보수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였다.[36] 세단, 하드탑 쿠페, 스테이션 왜건 외에 프레임리스 도어를 채택한 하드탑 세단이 처음 추가되어 오랫동안 크라운의 주류를 이루었다.[36] 하드탑 쿠페와 달리, 하드탑 세단은 B 필러가 적용되어 안전성을 높였다. 4륜 디스크 브레이크, 속도 감응식 파워 스티어링 휠, 세계 최초의 오버 드라이브 내장 4단 자동변속기 등 최신 편의 사양이 적용되었다.[36] 4세대에 먼저 적용된 ESC(ABS)는 새로운 설계를 통하여 작동 시의 느낌을 향상시켰다.[36]

1974년 일본에서 출시되어 1975년부터 수출이 시작되었다.[45] 4도어 세단, 2도어 하드탑 쿠페, 4도어 하드탑 세단, 왜건 및 밴으로 제공되었다.[45] 엔진은 2.0L 및 2.6L 가솔린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1977년 10월에는 2.2L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다.[45] 트림 레벨은 스탠다드, 디럭스, 슈퍼 살롱, 로얄 살롱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로얄 살롱 트림은 최고급 사양으로, 닛산 세드릭 및 닛산 글로리아의 대안이었다.[39]

토요타 크라운 정측면


토요타 크라운 후측면


전기형 토요타 크라운 슈퍼 디럭스 세단 (일본)


페이스리프트 모델 크라운 2600 슈퍼 살롱 (유럽)


로얄 살롱은 2.6L 엔진과 결합되어 더 긴 차체 길이를 가졌으며, 하위 트림 레벨은 더 짧은 차체 스타일과 2.0L 엔진을 사용했다. 수출 모델은 엔진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한 차체를 사용했다. 유럽에서는 이 모델들이 각각 87마력과 112마력의 출력을 냈다고 한다.[46]

1978년에 마이너 체인지가 이루어졌다. 이 크라운 버전은 전후방 차축에 디스크 브레이크와 ABS, 속도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 오버드라이브가 있는 4단 자동 변속기를 도입했다.[47] 1976년 이후 새로운 배출 가스 규제가 도입되면서 모든 일본 시장 크라운은 S100 시리즈 섀시 번호를 사용했다.[47]

처음에는 둥근 밸브 커버가 있는 "구형" 4M 엔진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나중 모델은 사각형 밸브 커버가 있는 새로운 4M 엔진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이 세대에서는 2.6L 4M 및 2.0L M 엔진 모두에 연료 분사 기능이 도입되었으며, TTC-C 기술과 결합하여 배기 시스템에 촉매 변환기를 추가했다.

하드탑 세단 모델은 프론트 크롬 그릴과 사각형 헤드라이트를 가지고 있었지만, "B" 필러가 포함되어 있어 더 이상 진정한 하드탑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이 시리즈 크라운은 로얄 살롱 트림 패키지에서 일본 규정에 따라 4.7m의 길이를 65mm 초과했지만, 토요타는 더 큰 6기통 엔진보다 연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구매자를 위해 더 짧은 차량에 2.0L 엔진을 계속 제공했으며, 자동차세 감면 혜택을 받았다.

뉴질랜드 모델은 SKD 방식으로 조립되었으며, 이전의 CKD 버전보다 더 많은 일본 부품 (유리 등)을 사용했다. 이 모델은 뉴질랜드에서 생산된 마지막 크라운이었으며, 1979년에는 크레시다 (마크 II)로 대체되었다. 이 세대 크라운은 호주에서 현지 조립되었으며[48], 가장 큰 2.6L 6기통 엔진만 사용할 수 있었다. 호주에서는 포드와 홀덴의 경쟁 모델보다 성능과 노면 유지 능력이 떨어져 판매가 저조했다.[49]

2. 6. 6세대 (S110; 1979-1983)

6세대 크라운은 직선 위주의 디자인을 유지하면서도 세련된 이미지를 더했다. 4세대에서 처음 적용된 후 5세대에서 잠시 사라졌던 차체 색상과 동일한 범퍼(충격 흡수식)가 다시 장착되어 디자인에 포인트를 주었다.[178] 운전석 파워 시트, 크루즈 컴퓨터, 2톤 차체 색상이 적용되었다. 1980년에는 스테이션 왜건에 파워 윈도우와 래디얼 타이어가 적용된 25주년 특별 기념 트림이 200대 한정 판매되었다.[178]

1979년에 출시된 6세대 모델은 엔진이 2.6L에서 2.8L 5M-EU 모델로 업그레이드되었다. 2리터 M 엔진은 터보차지 버전인 M-TEU와 함께 계속 제공되었다. 기화기 방식의 5M 엔진도 특정 시장에서 판매되었다. 이 시리즈에서 모델명은 엔진 배기량을 나타냈으며, MS110(2리터), MS111(2.6리터), MS112(2.8리터)였다. 이 모델은 4기통 가솔린 엔진을 탑재한 마지막 세대였다. 이 모델은 1980년부터 독일에서 판매된 최초의 크라운이었다.[47]

초기 모델은 직사각형 트윈 헤드라이트를 사용했고,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더 큰 모노블록 헤드라이트를 사용했다. 일본 내수 시장의 로얄 살롱은 큰 직사각형 헤드라이트를 사용했다. 하위 트림인 밴과 택시 모델은 둥근 헤드라이트를 채택했다. 로얄 살롱은 더 긴 범퍼와 더 큰 엔진을 특징으로 했으며, 이는 일본 정부의 세금 분류에 따라 더 큰 크기 규정에 해당했다. 최초의 크라운 '''터보'''는 1980년 10월 일본 시장에만 출시되었다.

토요타 크라운 정측면


토요타 크라운 후측면


이 세대는 2도어 하드탑 쿠페 차체의 마지막 세대로, 소어러로 대체되었다. 선택 가능한 옵션으로는 전자식 나침반, 유리 선루프, 전동 운전석, 크루즈 컨트롤, 전자식 스테레오 튜너, 투톤 페인트 등이 있었다. 자동 온도 조절 장치도 이 차량에 탑재되었으며 뒷좌석 승객을 위해 별도의 컨트롤이 설치되었고, 뒷좌석 에어컨 장치에 의해 냉각되는 뒷좌석 장착형 미니 냉장고도 갖춰졌다. 2.4리터 터보 디젤은 1982년 8월에 출시되었다.

  • 1979년 9월 18일 - 출시.
  • 1980년 6월 - 하드탑에 전동 슬라이드식 셰이드가 달린 유리 선루프가 옵션으로 설정.
  • 1980년 10월 - SOHC터보차저차(M-TEU형 엔진)가 추가.
  • 1981년 8월 - 마이너 체인지. 프론트 그릴 및 테일 램프 디자인 변경, 2.8L DOHC 엔진(5M-GEU) 및 ECT(전자 제어식 오토매틱) 탑재차 추가, 2.0L 베이직 엔진 1G-EU형으로 변경.
  • 1982년 8월 - 2.4L 터보 디젤(AT차는 전자 제어형 2L-TE, MT차는 분배형 2L-T) 탑재차 추가.


6대째의 판매 종료 전월까지의 신차 등록 대수의 누계는 32만 6891대이다.[179]

2. 7. 7세대 (S120; 1983-1987)

7세대 모델은 소어러의 출시에 따라 하드탑 쿠페가 단종되었다.[180] 세단은 '크리스탈 필러'라고 불리는 C 필러(수지 처리)가 특징이며,[180] 하드탑 세단의 아웃사이드 미러는 앞 펜더에서 도어로 위치가 변경되었다. 소형차 기준 개정(전장 4,700mm 이하)으로 휠베이스가 6세대에 비해 30mm 늘어난 2,720mm가 되었다. 최고급 트림인 로얄 살롱 G와 스포티 트림인 애슬리트가 7세대에 처음 등장하였다.[180]

1983년 출시 당시, 2.8L 엔진은 기화기 방식의 5M, 싱글 오버헤드 캠(SOHC) 멀티포인트 연료 분사 방식의 5M-E, 더블 오버헤드 캠(DOHC) 5M-GE의 세 가지 버전으로 제공되었다. 다른 엔진으로는 1G-GE 2.0L DOHC, M-TE 2.0L SOHC 터보, M-E 2.0L SOHC, 2L-TE 2.4L SOHC 터보 디젤, 2.4L SOHC 디젤 엔진 등이 있었다. 모든 2.0L 엔진에는 T-VIS(토요타 가변 흡기 시스템)가 장착되었다. 1985년 9월, 2리터 G 시리즈 6기통 엔진의 과급 버전이 터보차저 M 시리즈를 대체했다.[181]

기본 버전은 구형 2리터 M 시리즈 엔진을 대체하는 새로운 2리터 1G-E 엔진을 사용했다. 일본 시장의 스테이션 왜건 "밴" 버전(GS126V)은 상용차 배출 가스 기준 완화를 활용한 고유 엔진 변형(1G-EJ)을 사용했다. 일본에서는 택시 및 상용 버전도 LPG 구동 4기통 엔진(3Y) 및 3단 칼럼 시프트 수동 변속기와 함께 제공되었다. 이 엔진의 가솔린 연료 버전은 일부 유럽 및 "일반" 수출 시장에서 판매되었다.

하위 등급 모델에는 토요타의 F292 라이브 액슬 리어 서스펜션이 제공되었고, 나머지는 크라운 최초로 PEGASUS(정밀 설계 기하학적 고급 서스펜션)라는 4륜 독립 서스펜션을 도입했으며, TEMS는 로열 살롱 세단과 하드탑에 장착되었고, 토요타의 ECT 전자 제어 4단 자동 변속기 및 4ESC 안티록 브레이크와 결합되었다.

S120은 하드탑 세단(프레임리스 도어 유리), 세단 및 왜건 버전으로 제공되었지만, 로열 살롱 하드탑 및 세단은 더 큰 차체로만 제공되었으며 길이와 너비는 두 가지 다른 외부 치수를 가졌다.

최상위 트림 패키지는 로얄 살롱, 슈퍼 살롱 엑스트라, 하드탑 차체의 슈퍼 셀렉트, 로열 살롱 세단, 슈퍼 살롱 엑스트라 세단, 왜건은 슈퍼 살롱 엑스트라 순이었다.

슈퍼 살롱 엑스트라 및 로열 살롱 버전에는 듀얼 존 자동 온도 조절, 6개의 음향적으로 일치하는 스피커가 있는 AM/FM 카세트 스테레오, 헤드폰이 있는 별도의 리어 카세트 스테레오, 대시보드에 설치된 통합 CD 플레이어, 별도의 A/C 및 스테레오 제어 버튼이 리어 암레스트에 설치, 선반 장착 냉장고, 자동 헤드라이트, 모든 아웃보드 좌석 위치에 대한 독서등, 전기 조절식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칼럼과 스티어링 휠 및 시트 메모리 기능, 글로브 박스 장착 컨시어지 미러 등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 반면, 약간 낮은 트림 패키지인 슈퍼 셀렉트는 보다 간소하게 장착되었다.

세단의 C-필러 트림에 패턴 처리된 뒷면이 있는 투명 패널을 사용한 것이 이 세대의 독특한 스타일링 특징 중 하나이다. 일본 시장 전용으로, 토요타는 중간 사이클 업데이트를 위해 190마력 트윈캠 12밸브 3.0리터 6M-GE를 로열 살롱에 제공했다. 이 엔진은 동일한 시대의 수프라 및 크레시다에 장착하기 위한 인기 있는 교체 부품이다.

이것은 유럽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판매된 마지막 세대 크라운이었다. 유럽 트림의 연료 분사 방식 2.8리터 엔진은 5600 rpm에서 170마력의 출력을 냈으며, 당시 그곳에서 판매된 수프라와 동일한 사양을 가졌다.[54] 그러나 스위스 구매자는 특정 배출 가스 규정으로 인해 싱글 캠 140마력 ''5M-E'' 엔진을 사용해야 했다.[55]

동남아시아 및 GCC 국가와 같은 일반 수출 시장에서는 기화기 방식의 ''5M'' 엔진도 제공되었다. 이 버전은 5000 rpm에서 128마력의 출력을 냈으며, 4단 수동 변속기도 사용할 수 있었다.[56] 더욱 절약적인 구매자를 위해, 4600 rpm에서 88마력의 출력을 내는 기화기 방식의 OHV ''3Y'' 엔진도 제공되었다.[57]

  • 1983년 8월 31일 발매. 세단에서는 슈퍼 딜럭스 이하의 테일 램프도 차별화되어 수출 사양에 사용되던 것과 유사한 형태가 되었다.
  • 1984년 8월 일부 개선. 3넘버 차량(로얄 살롱 G, 로얄 살롱)의 엔진이 2.8L에서 3.0L의 6M-GEU형으로 변경(MS125형). 디젤에는 2L-THE(자동변속기 차량)가 추가. 도어 미러는 수동 격납식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전면에 크롬 면적이 많은 것(마크Ⅱ와 동일)으로 변경.
  • 1985년 9월 마이너 체인지. 1G-GZEU형 엔진을 탑재한 "2000 로얄 살롱 슈퍼차저"가 추가(국산 승용차 최초의 슈퍼차저 탑재 차량[181]). 이 그레이드의 등장으로 SOHC 터보의 M-TEU형 탑재 차량이 폐지. 내외장 변경, 도어 미러가 전동 격납식(4도어 하드탑만)으로 변경. 5넘버 차량의 안개등이 프론트 그릴에 통합, 4도어 하드탑의 3넘버 차량은 "왕관 엠블럼"이 그릴 상단에서 중앙으로 이동. 4도어 하드탑에는 "슈퍼 셀렉트"가, 스테이션 왜건에는 "슈퍼 살롱 엑스트라"가 설정.


7대 모델의 판매 종료 전월까지의 신차 등록 대수 누계는 53만 9485대[182]

토요타 크라운 정측면


토요타 크라운 정측면


2. 8. 8세대 (S130; 1987-1999)

8세대 크라운(S130, 1987년~1999년)은 7세대의 디자인을 계승하면서도 크리스탈 필러를 삭제하고 곡면 비율을 높여 더 유려한 외관을 갖췄다.
토요타 크라운 하드탑 세단 정측면
토요타 크라운 하드탑 세단 후측면
에어 서스펜션, 트랙션 컨트롤, CD-ROM 기반 내비게이션[73]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되었다. 특히, 1989년에는 로얄 살롱 G 모델에 세계 최초로 CD-ROM 기반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컬러 CRT 디스플레이를 갖추고 있었다.[59]

일본의 거품 경제 시기와 맞물려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으며,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코롤라, 마크 Ⅱ에 이어 연간 판매 순위 3위를 기록했다. 1990년에는 역대 최고 판매량인 239,858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1988년에는 에어백을 장착한 최초의 토요타 차량이 되었다.[15]

1991년 10월에 하드탑 세단 모델은 단종되었지만, 일반 세단은 1995년[62], 스테이션 왜건은 1999년[62]까지 생산되었다.

1993년에는 만리장성에서 S130의 비인가 복제품을 CC1020S라는 이름으로 제작했다.[63]

1989년에 크라운은 인도네시아에 다시 판매를 시작했다.[65][64]이 차량은 토요타 아스트라 모터(Toyota Astra Motor)에 의해 현지에서 조립되었다. 처음에는 2리터 ''1G-FE'' 직렬 6기통 엔진(GS131)이 장착되어 판매되었다. 2.0i 슈퍼 살롱 트림은 5단 수동 변속기, 2.0i 로얄 살롱 트림은 4단 자동 변속기가 제공되었다. 1995년에는 2.0 엔진이 ''2JZ-GE'' 3리터 엔진으로 대체되었다.[64] 인도네시아에서 독특하게, 크라운 3.0 슈퍼 살롱 트림은 5단 수동 변속기와 결합되었으며,[65] 더 비싼 3.0 로얄 살롱은 4단 자동 변속기를 사용할 수 있었다. 인도네시아에서 S130 크라운의 생산은 2000년에 중단되었다.[65]

1989년형 모델은 "언젠가는 크라운"이라는 캐치프레이즈로 인기를 얻었으며, "언크라"라는 약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1991년 8월, 크라운 하드탑이 재설계되어 S140 시리즈가 되었을 때, 크라운 세단과 왜건, 밴도 스타일이 변경되었지만 S130 모델 코드를 유지했다. 이 시점에서 1JZ-GE 및 2JZ-GE 엔진은 크라운 라인업과 일부 슈퍼차저 G 시리즈 모델의 M 시리즈 직렬 6기통 엔진을 대체했다.

1996년 9월, 1JZ-GE 2.5리터 엔진에 VVT-i가 적용되면서 출력이 증가했다. 왜건과 밴의 판매는 1999년 12월에 중단되었다.[62]

S130 크라운은 중국에서 공식적으로 판매되었지만, 동시에 다퉁 사이베이젠 자동차 공장에서 사이베이젠 크라운이라는 이름으로 재판매된 S130 크라운도 있었다.

2. 9. 9세대 (S140; 1991-1995)

9세대 크라운은 크라운 마제스타와 동시에 출시되었다.[188] 크라운 마제스타모노코크 차체가 적용되었으나, 크라운은 프레임 차체를 유지했다.[188] 하드탑 세단은 기본적으로 로얄 시리즈로 불렸고, 스포티 트림인 애슬리트 L을 대신하는 로얄 투어링이 등장하였다. 5단 자동변속기가 처음 적용되었고, 운전석 에어백 역시 선택 사양으로 처음 적용되었다.[188] 하드탑 세단만 풀 모델 체인지를 거쳤기 때문에 역대 크라운 중에서 유일하게 세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9세대부터는 앞 펜더에 트림명 엠블럼이 붙지 않게 되었다.[188]

8세대에 비하여 돌출감이 줄어든 디자인은 악평을 받아 4세대 이후의 실패작이라는 오명을 썼고,[188] 경쟁 차종이던 닛산 세드릭과 글로리아에도 밀렸다. 1993년에는 뒷 번호판의 위치를 범퍼에서 트렁크 리드로 옮겼고, 격자형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되는 등의 개선을 통해 판매량이 반등하였다.[188]

9세대 판매 종료 전 달까지의 신차 등록 대수의 누계는 마제스타와 합산하여 37만 921대이다.[188]

연도일본[149][150]미국중국[151]
크라운 시리즈크라운 크로스오버
1992155,744
1993117,673
1994113,859
1995130,068


2. 10. 10세대 (S150; 1995-2001)

10세대 크라운(S150, 1995년~2001년)은 1991년에 출시된 크라운 마제스타를 제외하면 역대 크라운 최초로 모노코크 차체가 적용되어 9세대에 비해 100kg 이상 경량화를 실현하였다.[189] 보수적인 이미지를 유지하면서도 쾌적성에서 성능 위주로 전환이 이루어졌다. 하드탑 세단과 일반 세단 모델이 함께 출시되었으며, 역대 크라운 중 처음으로 4륜구동이 적용되었다. 원가 절감을 위해 에어 서스펜션은 삭제되었다.[189]

토요타 크라운 하드탑 세단 정측면


토요타 크라운 하드탑 세단 후측면


1995년에 출시된 150 시리즈 크라운은 이전 세대보다 각진 스타일을 보였으며, 세단과 하드탑(프레임리스 도어 윈도우)으로만 제작되었다. 왜건은 1999년까지 구형 S130 섀시를 유지했다. 하드탑은 로열 엑스트라, 로열 살롱, 로열 살롱 G, 그리고 스포티한 로열 투어링 트림 레벨로 제공되었고, 세단은 슈퍼 딜럭스, 슈퍼 살롱, 슈퍼 살롱 엑스트라, 로열 살롱 트림으로 제공되었다.

가솔린 엔진은 2.0, 2.5, 3.0리터 직렬 6기통, LPG 버전의 2.0L 엔진, 그리고 2.4L 4기통 터보디젤 엔진이 제공되었다. 이전 세대와 마찬가지로 2.0L 엔진을 장착한 차량은 일본 정부의 치수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더 짧고 좁게 제작되었다. 로열 엑스트라와 로열 살롱에는 사륜구동이 제공되었으며, S150 크라운은 수동 변속기가 제공되는 마지막 세대였다.

1996년에는 자동차 연구자 및 저널리스트 회의 올해의 차 상을 크라운 마제스타와 공동 수상했다. S150 크라운은 주로 중국, 홍콩, 중동,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시장에 수출되었으며, 일부 카리브해 및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도 제한적으로 수출되었다. 수출된 크라운은 세단 차체를 가지고 있었으며, 2.0리터 1G-FE 또는 3.0리터 2JZ-GE 엔진이 장착되었다.

  • 1995년 8월 31일: 출시.
  • 1995년 12월: 세단 풀 모델 체인지 및 크라운 최초의 4륜 구동 차량 추가.
  • 1996년 9월: 2.5L 엔진 1JZ-GE (VVT-i) 엔진 탑재 차량 추가.
  • 1997년 8월: 마이너 체인지. 충돌 안전 바디 GOA, SRS 사이드 에어백 채용, VSC(차체 자세 제어 장치) 장비 확대 등의 개선. 쿠사카리 타미요가 출연한 TV 광고가 방영됨. 7인치 와이드 화면의 일렉트로 멀티 비전, 멀티 리플렉터식 헤드램프 디스차지 헤드램프 (로열 투어링만, 로열 살롱은 특별 한정 차종으로 채용), 크라운 최초의 옵티트론 미터 채용.[189] 로열 투어링에는 16인치 알루미늄 휠/게이트식 시프트 레버/스포티 타입의 프론트 그릴이 채용됨. 1G-FE 엔진 성능이 140 PS로 향상됨.
  • 1998년 8월: 일부 개량. 1G-FE 엔진이 VVT-i로 변경되어 160 PS로 성능 향상. 3.0L에도 4륜 구동 차량 추가. 일렉트로 멀티 비전의 CD 내비게이션은 메이커 옵션으로 준비됨. 1999년 9월 S17#형 출시 후 S15#형용 DVD 내비게이션이 판매점 장착 옵션 (내비게이션 컴퓨터만 교환)으로 판매됨. 스와노 아키코가 출연한 TV 광고 방영.
  • 1999년 9월: 하드탑 판매 종료. 세단은 계속 생산.
  • 2001년 8월: 세단 생산 및 판매 종료. 판매 종료 전까지의 신차 등록 대수 누계는 50만 3430대.[190]


2. 11. 11세대 (S170; 1999-2007)

11세대(S170)는 1999년 9월에 출시되었다.[196] 차체 강성을 높이기 위해 25년간 판매되던 프레임리스 도어 하드탑 세단은 폐지되었다.[70] 스포티 트림은 8세대까지 사용되던 애슬리트 명칭이 부활하였다. 8세대에 머물렀던 스테이션 왜건은 크라운 에스테이트로 차명이 변경되어 2007년까지 판매되었으나, 이후 단종되어 크라운 계보에서 스테이션 왜건은 사라지게 되었다.[70] 2001년부터는 하이브리드 사양이 최초로 추가되었다.[70]

토요타 크라운 로얄 시리즈 정측면


토요타 크라운 로얄 시리즈 후측면


1999년 9월에 출시된 170 시리즈는 전면 오버행을 줄여 실내 및 트렁크 공간을 극대화했다.[70] 4도어 살롱에는 '''로얄'''과 '''애슬리트'''의 두 가지 모델이 있었다. 4도어 하드탑은 단종되었고, 좌측 운전대 버전은 생산되지 않아 우측 운전대 시장으로의 수출이 제한되었다.[70] 1999년 12월에 출시된 170 시리즈 '''에스테이트'''는 130 시리즈 이후 처음으로 출시된 새로운 크라운 왜건이었다.[70] 장착된 엔진은 2.0, 2.5 또는 3.0 직렬 6기통 엔진이다. 애슬리트 V에는 2.5리터 1JZ-GTE 터보가 장착되었다.[70]

2001년 8월부터 시작된 업데이트된 '''애슬리트''' 버전의 경우, 테일 램프가 백열등에서 LED 등으로 변경되었고, 전면 그릴은 메쉬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회색 천 소재의 실내는 검은색 천으로 변경되었으며, 검은색 가죽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혁신적인 기능으로는 댐핑력과 롤 방향 제어를 위한 비선형 H-infinity 제어를 결합한 전자 제어(토요타 전자 제어 서스펜션) 에어 서스펜션이 있었다.[15]

  • 1999년 (헤이세이 11년) 9월 24일 - 출시.
  • 2000년 (헤이세이 12년)
  • * 4월 3일 - "'''2.0 로열 엑스트라'''"가 추가 (1G-FE 탑재).
  • * 8월 - 애슬리트 V를 제외하고 국토교통성 저 배출 가스 차량 인정 제도에서 25% 저감 레벨이 된다.
  • 2001년 (헤이세이 13년) 8월 - 마이너 체인지로 내외장을 변경. 3.0 로열 살롱에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THS-M)을 탑재.[195] 엔진 설정을 직분사 2.5 L로 확대. 로열에도 디스차지 헤드램프를 설정. 애슬리트에는 17인치 알루미늄 휠 & 45 편평비 타이어가 옵션으로 되었다.
  • 2003년 1월 7일 - 로열 살롱 프리미엄을 일부 개량. 프라이버시 유리를 장착한 외에 2.5L와 3.0L에 더해, 마일드 하이브리드에도 설정이 확대되었다.

2. 12. 12세대 (S180; 2003-2008)

12대째 크라운(S180)은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생산되었으며, "제로 크라운"이라는 광고 슬로건으로 잘 알려져 있다.[197] 오랫동안 사용되었던 직렬 6기통 엔진 대신 V형 6기통 엔진(토요타 GR 엔진)이 새롭게 적용되어 정숙성과 배기가스 감소를 실현했다.[197] 스포티하고 유려한 디자인은 기존의 보수적인 이미지를 탈피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공기 저항 계수(Cd)는 0.27을 기록했다. 2005년부터는 역대 크라운 최초로 중국에서 현지 생산이 시작되었다.[200]

토요타 크라운 로얄 시리즈 정측면


토요타 크라운 로얄 시리즈 후측면


토요타 크라운 중국 사양


2003년 출시된 S180 모델은 제로 크라운 콘셉트 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새로운 로얄 및 애슬리트 모델에는 V6 엔진이 탑재되었고, 크라운 마제스타는 V8 엔진만 사용했으며, 4륜구동 옵션이 포함된 4.3L 형태로 변경되었다. 새로운 엔진은 향상된 연비와 성능을 제공했다.[72] 2001년 이후 처음으로 좌측 운전석 크라운이 출시되었는데, 이는 중국 내수 시장 판매를 위해 톈진 FAW 토요타에서 생산되었다. 레이더 사전 충돌 방지 시스템에는 단일 디지털 카메라가 추가되어 충돌 예측 및 경고의 정확성과 제어 수준을 향상시켰다.[73][74][75]

이전 모델에 비해 휠베이스는 70mm, 차체 폭은 15mm 늘어나 동시대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나 BMW 7 시리즈보다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했다.[72]

플랫폼은 신개발 N 플랫폼으로 변경되었고, 변속기는 2.5L 모델이 5단 자동, 3.0L 모델은 시퀀셜 시프트 기능이 있는 6단 자동 변속기가 탑재되었다. 이 N 플랫폼은 토요타 마크 X, 크라운 마제스타, 렉서스 GS(S19#형)에도 사용되었다.

2005년 10월에는 마이너 체인지가 이루어져, 로열 및 애슬리트 모델의 헤드램프, 프론트 그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애슬리트 모델에는 렉서스 GS와 동일한 3.5L 2GR-FSE 엔진이 탑재되어 출력이 315PS로 향상되었다. 3.0L 엔진은 로열 계열에만 적용되었고, 2.5L 후륜구동 모델은 6단 자동 변속기로 변경되었다.[198] 또한, 순정 오디오에는 MP3를 지원하는 CD 데크와 HDD 방식의 내비게이션이 적용되었다.

2. 13. 13세대 (S200; 2008-2012)

13세대(S200)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생산되었다. 기존 로얄 시리즈는 로얄 살롱 시리즈로 변경되었으며, 12세대의 디자인을 계승하면서도 더욱 날카로운 곡선을 적용했다.[78] 듀얼 머플러는 범퍼에 매립된 형태로 제작되어 간결함을 추구했다.[78] 2009년에는 일본 내 크라운 누적 판매량이 500만 대를 돌파했다.[78]

하이브리드 사양에는 세계 최초로 전면 액정 판넬을 사용한 파인 그래픽 미터가 적용되었다.[78]

크라운은 G-BOOK과 결합된 3차원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갖춘 최초의 차량 중 하나로,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코너에서 댐퍼 강성을 조절하고, 고속도로 진출입 및 톨게이트 접근 시 변속 기어 변속 타이밍 및 엔진 브레이크를 변경할 수 있다.[78] 또한, 액티브 노이즈 컨트롤이 탑재된 최초의 토요타 차량이다.[78]

전면 측면 밀리미터파 레이더를 사용해 측면 충돌을 감지하는 세계 최초의 충돌 회피 시스템(PCS)이 적용되었다.[79] 이 시스템은 전면 또는 후면 충돌을 감지할 경우 뒷좌석을 위로 기울여 승객을 보다 이상적인 충돌 위치에 배치한다.[79] GPS-내비게이션 연동 브레이크 보조 기능을 갖춘 세계 최초의 PCS 충돌 회피 시스템도 탑재되었다.[79]

크라운 하이브리드에는 액티브 자동차 야간 시계 시스템의 최초 보행자 감지 기능이 도입되어, 보행자를 강조하고 운전자 앞의 LCD 디스플레이에 상자 형태로 표시한다.[80] 운전자의 눈이 제대로 떠 있는지 감지하는 업데이트된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도 적용되었다.[81] 2009년에는 세계 최초의 센터 에어백이 도입되었다.[78]

크라운 애슬리트는 0–100 km/h를 6초 이내에 주파하도록 테스트되었으며, 크라운 하이브리드는 하이브리드 모터의 추가 출력으로 인해 5.4초가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78]

연도일본[149][150]미국중국[151]
크라운 시리즈크라운 크로스오버
200874,90445,427
200940,21632,856
201040,52945,161
201129,92730,321
201229,96325,456


2. 14. 14세대 (S210; 2012-2018)

14세대 크라운은 2012년 12월 25일에 출시되어 새로운 스타일을 선보였다.[85] 로얄 살롱 시리즈는 로얄 시리즈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범퍼까지 연장된 대형 라디에이터 그릴은 왕관을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다.[204] 애슬리트 시리즈는 그릴 하단에 번개 모양의 칼 자국을 추가하여 속도감을 표현했다.

토요타 크라운 로얄 시리즈 정측면


토요타 크라운 로얄 시리즈 후측면


하이브리드 사양은 다운사이징을 거쳐 직렬 4기통 엔진이 적용되었고, 로얄 시리즈와 애슬리트 시리즈에 편입되었다.[204] 2013년에 출시된 6세대 토요타 크라운 마제스타는 롱 휠 베이스 버전으로 변경되어 마제스타 시리즈로 변모하였다.

14세대 크라운의 대부분의 기능은 토요타 멀티 오퍼레이션 터치 패널로 제어할 수 있다.[85]

2015년 3월, S210 크라운은 중국 시장에 출시되었다.[86] 일본 모델과 비교하여 중국 모델은 더 길고 넓으며, 낮은 차체를 가지고 있다. 또한, 휠베이스가 더 길고, 공차 중량이 더 가볍다.[84]

일본에서는 2018년 6월에 S210 시리즈 크라운이 단종되었고, S220 모델로 대체되었다.[87] 중국 시장에서는 2020년 5월에 생산이 종료되었으며, XX50 시리즈 아발론이 이를 대체했다.[87]

2013년 9월, 테리 이토와의 협업으로 제작된 특별판 핑크색 크라운이 한정 판매되었으며, 650건의 주문을 받았다.[209]

2. 15. 15세대 (S220; 2018-2022)

2017년 10월에 개최된 도쿄 모터쇼에서 콘셉트카가 선행 공개되었고, 2018년 6월 26일에 출시되었다.[92][93][94] 크라운 마제스타와 통합되면서 전장이 소폭 늘어나고 휠베이스가 확장되었다. 토요타의 새로운 후륜구동 플랫폼인 TNGA-L이 적용되었고, V8 엔진은 삭제되었다.[90][91] 15세대 크라운은 DCM(데이터 통신 모듈) 시스템을 최초로 탑재한 토요타 모델 중 하나이며, T-Connect[99] 가입자에게 다양한 커넥티드 서비스를 제공했다.[100]

파워트레인은 3가지 종류로, 이전 모델에서 계승된 직렬 4기통 2.0L 터보 "8AR-FTS" 엔진은 180kW(245PS)의 최고 출력을 낸다.[221] 변속기는 "8 Super ECT(수퍼 인텔리전트 8단 자동 변속기)"를 채용했다. 직렬 4기통 2.5L 하이브리드차는 캠리에서 처음 탑재된 "A25A-FXS형" 엔진으로 교체되어, 시스템 최고 출력 166kW(226PS)를 발휘하며 연비도 개선되었다. 3.5L 하이브리드차는 "멀티 스테이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TOYOTA 브랜드에서 처음 채용, "8GR-FXS"형(엔진)과 "2NM"형(모터) 양쪽의 출력을 제어하여 시스템 최고 출력 264kW(359PS)를 낸다.[221] 또한, 변속기는 "멀티 스테이지 하이브리드 변속기"라고 칭하는 전기식 무단 변속기를 탑재하여 10단 변속 제어를 실현했다. 2.5L / 3.5L 하이브리드차는 "2018년 기준 배출가스 75% 저감 레벨(☆☆☆☆☆)" 인증을 획득했다.

서스펜션은 전후륜 모두 멀티 링크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스티어링 강성 최적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 프론트 서스펜션 타워 채용 및 구조용 접착제 도포량 증가 등 차체의 고강성화를 통해 핸들링과 승차감을 향상시켰다.[221]

예방 안전 패키지 "Toyota Safety Sense P"는 제2세대 "Toyota Safety Sense"로 발전했다. Pre-Collision Safety는 야간 보행자와 주간 자전거 운전자의 감지 기능을 추가했다.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 사용 시, 동일 차선 내 중앙을 주행할 수 있도록 조향을 지원하는 레인 트레이싱 어시스트(LTA), 카메라로 인식한 도로 표지판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로드 사인 어시스트(RSA)가 추가되었다.[227]

2020년 11월 일부 개량[233]에서는 본 가죽 시트를 확대 설정하고, 표준 장착 T-Connect SD 내비게이션 시스템 디스플레이를 12.3인치 와이드(도요타 멀티 오퍼레이션 터치)로 대형화했다. "Toyota Safety Sense"의 기능이 향상되어, "운전자 이상 시 대응 시스템"과 커브 속도 억제 기능, "프리 크래시 세이프티"의 감지 범위 확대, "저속 시 가속 억제 기능" 및 "긴급 시 조작 회피 지원 기능"이 추가되었다.

모델엔진・전기 모터배기량
(cc)
타입변속기최고 출력
(kW (PS)/rpm)
최대 토크
(Nm (kgm)/rpm)
가솔린 엔진
2.0L 터보8AR-FTS형1,998직렬 4기통 직분사DOHC터보8단 AT(8 Super ECT)180kW(245PS) /5,200 - 5,800350Nm(35.7kgm) /1,650 - 4,400
하이브리드
2.5L 하이브리드A25A-FXS형2,487직렬 4기통 직분사 DOHC전기식무단 변속기135kW(184PS) /6,000221Nm(22.5kgm) /3,850 - 5,400
1KM형-교류 동기 전동기105kW(143PS)300Nm(30.6kgm)
시스템 최고 출력--166kW(226PS)-
3.5L 하이브리드8GR-FXS형3,456V형 6기통 직분사 DOHC전기식 무단 변속기 (멀티 스테이지 하이브리드 변속기)220kW(299PS) /6,600356Nm(36.3kgm) /5,100
2NM형-교류 동기 전동기132kW(180PS)300Nm(30.6kgm)
시스템 최고 출력--264kW(359PS)-


2. 16. 16세대 (S230; 2022-현재)

2022년 7월 15일에 일본에서 공개되었다.[236] 16세대는 세단, 크로스오버, 스포츠, 에스테이트(북미명은 시그니아)의 4가지 차체 형태로 구성되며, 이 중 크로스오버가 먼저 공개되었다.[236] 크로스오버, 에스테이트(시그니아), 스포츠는 캠리렉서스 ES에 적용되는 TNGA-K 전륜구동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고, 세단 모델은 이전 세대와 같이 TNGA-L 기반의 후륜구동 플랫폼을 유지하지만 패스트백 디자인을 채택했다.[236]

크로스오버 사양 전면부


크로스오버 사양 후면부


토요타는 아발론의 북미 시장 판매 부진을 이유로 단종시키고, 크라운을 북미를 포함한 해외 시장에 다시 출시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크라운은 50년 만에 북미 시장에 재진출하게 되었으며, 대한민국에도 아발론을 대체하여 크라운 크로스오버가 출시되었다.[236] 일본 내수용과 대한민국 판매분에는 앞면과 스티어링 휠 혼 부분에 크라운 전용 엠블럼이 적용되고, 토요타 엠블럼은 후면에만 적용된다.[236] 국제 시장용에는 앞/뒤 모두 토요타 엠블럼이 적용된다.[236]

국제 시장에는 크로스오버 모델이 우선 공개되었다. 파워트레인은 2.4L 듀얼부스트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엔진과 2.5L 다이나믹포스 가솔린 자연흡기 하이브리드 엔진이 적용되어 V6 엔진은 사라졌다.[236] 2.5리터는 일반 가솔린, 2.4리터 터보는 하이옥탄 대응이며, 자연흡기에는 CVT가, 듀얼부스트 터보 하이브리드에는 6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된다.[236]

대한민국에는 2023년 6월 5일에 크로스오버 하이브리드 모델이 출시되었다.[236] 2.4리터 듀얼부스트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와 2.5리터 자연흡기 가솔린 하이브리드가 모두 출시되며, 4륜구동(E-Four) 시스템이 적용된다.[236] 패스트백 디자인이지만 트렁크 도어가 해치식이 아니므로 세단으로 분류된다.[236]

2023년 말, 캠리가 일본 시장에서 단종되면서 크라운 크로스오버가 캠리의 빈자리를 간접적으로 대체하게 되었다.[236]

2022년에 출시된 16세대 크라운은 약 40개국에 수출될 예정이며, 연간 판매량은 약 20만 대로 예상된다.[6]

3. 파생 차종

택시 운전사들에게 인기가 많았던 S130 크라운 세단의 상용 모델을 대체하기 위해 토요타는 컴포트의 롱 휠베이스 버전을 '''크라운 컴포트'''라는 이름으로 출시했다.[142] 크라운 컴포트의 고급형 모델은 더 나은 편의 사양을 갖추고 일본에서 '''크라운 세단'''으로 독점 판매되었다. 이 모델들은 크라운의 이름표를 달고 있었지만, 단종된 X80 시리즈 마크 II를 기반으로 했다.[142] 크라운 컴포트는 일본, 홍콩, 싱가포르의 택시 운전사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지만, 더 나은 사양의 차량이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출시되면서 점차 인기를 잃었다.

크라운 컴포트는 2017년 5월 25일 토요타 일본 웹사이트에서 삭제되었으며, 기존 주문의 생산은 2018년 1월에 종료되었다.[143] 2017년 10월 제45회 도쿄 모터쇼에서 출시된 JPN 택시로 대체되었다.[144]

2021년 4월, 토요타는 2020년 중반 S210 크라운 세단이 단종된 직후, 중국 시장에서 FAW 토요타가 판매하는 고급 모델의 서브 브랜드로 "크라운"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45] 처음 출시된 모델은 크라운 클루거(Huángguàn Lùfàng/皇冠陆放중국어) SUV (하이랜더의 배지 엔지니어링)와 크라운 벨파이어(Huángguàn Wēiěrfǎ/皇冠威尔法중국어) 미니밴 (벨파이어에서 이름 변경)이었다.[146] 두 모델 모두 전면 토요타 로고를 대신하는 크라운 로고와 휠캡, 계기판, 스티어링 휠(크라운 클루거만 해당) 등에 크라운 로고가 적용되었다.[147]

로열 계통을 기반으로 하는 계보의 크라운 외 파생 차종은 다음과 같다.


  • '''크라운 마제스타''': 1989년 8월부터 2018년 6월까지 판매되었던 상위 모델.
  • '''크라운 에스테이트''': 스테이션 왜건으로 1999년 - 2007년에 판매되었던 11대 크라운 및 2023년도 등장 예정인 바리에이션 중 하나이다.
  • '''크라운 세단''': 1974년 10월부터 2018년 2월까지 판매되었던 계보 및 2023년부터 발매되고 있는 고급 세단.
  • '''토요타 XS10''': 토요타 컴포트의 자매차로 '''토요타 크라운 컴포트''' (1995년 12월 - 2017년 5월)가 존재했으며, '''토요타 크라운 세단''' (2001년 8월 - 2017년 6월)라는 모델이 설정되어 있었다.
  • '''크라운 벨파이어''': 이치링 토요타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 시장에서 판매했던 미니밴.
  • '''크라운 크루거''': 이치링 토요타가 2021년부터 중국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SUV.
  • '''크라운 크로스오버''': 2022년부터 판매되고 있는 크로스오버 SUV.
  • '''크라운 스포츠''': 2023년부터 발매되고 있는 해치백.
  • '''크라운 애슬리트''': 8대 및 11대에서 14대에는 "크라운 애슬리트"라는 등급이 설정되어 있었다.

4. 기타

2015년 11월, 우한시 위생 기계 유한공사는 크라운 로고가 자사의 중국 상표 등록 번호 217925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토요타와 우한에 본사를 둔 자동차 딜러를 상대로 중국에서 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토요타는 2014년 12월 이 상표 등록 취소를 요청했지만, CTMO에 의해 거부되었다.[148]

참조

[1] 웹사이트 Activities by Region – Oceania https://www.toyota-g[...] Toyota 2023-11-24
[2] 웹사이트 Timeline: Passenger Cars http://www.toyota50t[...]
[3] 웹사이트 Discover Crown spirit project スペシャルサイト 歴代Crownをもう一度走らせよう https://web.archive.[...] Toyota 2018-07-02
[4] 웹사이트 Activities by Region: North America https://www.toyota-g[...] Toyota 2022-09-07
[5] 웹사이트 Activities by Region: Latin America https://www.toyota-g[...] Toyota 2022-09-07
[6] 뉴스 Toyota Prepares to Release Iconic 'Crown' Cars in 40 Countries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22-07-15
[7] 웹사이트 Toyopet Crown https://www.toyota-g[...] Toyota 2023-10-16
[8] 웹사이트 Toyopet Crown – the car which laid the foundation of today's prosperity http://www.facm.net/[...]
[9] 웹사이트 Crown production data https://web.archive.[...] 2024-10-20
[10] 서적 Toyota: A history of the First 50 Years Toyota
[11] 웹사이트 Toyopet Crown pickup truck https://www.toyota-g[...] Toyota Motor Corporation 2024-06-10
[12] 문서 History Timeline of the Japanese automobile
[13] 문서 History Timeline of the Japanese automobile
[14] 문서 History Timeline of the Japanese automobile
[15] 웹사이트 Technical Development - Chassis http://www.toyota-gl[...]
[16] 서적 Miki Press
[17] 웹사이트 Affiliates (Toyota wholly-owned subsidiaries) - Toyota Motor East Japan, Inc. http://www.toyota-gl[...] Toyota
[18] 웹사이트 Toyota's Entry into the United States http://www.toyota-gl[...] Toyota 2014-01-31
[19] 서적 Classic Japanese Performance Cars CarTech Inc
[20] 웹사이트 Toyota USA Museum Passenger Car Timeline https://web.archive.[...] 2014-01-31
[21] 웹사이트 50th ANNIVERSARY OF TOYOTA IN THE USA https://web.archive.[...] Great Cars 2009-03-04
[22] 간행물 1961 Toyopet Crown Custom And 1967 Toyota Corona 1900 Classic Drive http://www.motortren[...] 2014-02-01
[23] 웹사이트 Toyota's Entry into the United States: Passenger car exports suspended http://www.toyota-gl[...] Toyota 2014-02-01
[24] 웹사이트 Overview of Overseas Production Affiliates: Oceania http://www.toyota-gl[...] Toyota 2014-07-11
[25] 논문 'Itaku' Automotive Production: An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Full-Line and Wide-Selection Production by Toyota in the 1960s Kyoto University
[26] 웹사이트 Toyota Crown S40 http://www.uniquecar[...] 2013-11-28
[27] 웹사이트 Toyota Crown – history of a living legend https://mag.toyota.c[...] Toyota 2015-08-06
[28] 웹사이트 Item 4. Exports of Completely-built Vehicles http://www.toyota-gl[...] Toyota 2013-01-22
[29] 웹사이트 Toyota Crown Eight https://www.toyota-g[...] Toyota Motor Corporation 2024-06-04
[30] 웹사이트 World Celebrated Car File: 1964 Toyota Crown Eight https://web.archive.[...] Toyota
[31] 웹사이트 Toyota Crown (1964-88) Buyers Guide https://www.tradeuni[...] 2011-11-11
[32] 웹사이트 https://shashi.shibu[...] Shibusawa Eiichi Memorial Foundation
[33] 서적 Automobil Revue '71 Hallwag SA 1971-03-11
[34] 문서 Toyota Commercial Cars (Catalog) Toyota
[35] 웹사이트 1976 Toyota Crown - Royal Flush http://www.ccar.com.[...]
[36] 서적 Toyota Vehicle Identification Manual http://members.iinet[...] Toyota Motor Corporation - Overseas Parts Department
[37] 서적 Quattroruote: Tutte le Auto del Mondo 74/75 Editoriale Domus S.p.A
[38] 웹사이트 Toyota Crown Hardtop 4th thru 6th https://www.toyota-g[...] Toyota Motor Corporation 2024-06-10
[39] 웹사이트 4th generation Crown Van http://www.toyota.co[...] Toyota
[40] 간행물 Toyota
[41] 간행물 Toyota Vehicle Identification Manual http://members.iinet[...] Toyota
[4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Toyota Crown https://blog.toyota.[...] Toyota (GB) 2015-08-06
[43] 웹사이트 Vintage R&T Review: 1972 Toyota Crown 2600 (S60) – There's Some Very Good Reasons The Crown Failed In The US https://www.curbside[...] 2020-10-13
[44] 웹사이트 Activities by Region – Oceania https://www.toyota-g[...] Toyota
[45] 서적 自動車ガイドブック [Japanese Motor Vehicles Guide Book] Jap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1978-10-10
[46] 간행물 La cote officielle de voitures des l'occasion Editions Auto-Magazine 1983-06-02
[47] 웹사이트 Toyota Crown S8/S9/S10 http://www.toyotaold[...] 2013-08-24
[48] 뉴스 New Toyota Crown released https://trove.nla.go[...] 1978-09-19
[49] 서적 What car is that? : in Australia & New Zealand Rigby
[50] 간행물 Referendum van de eigenaars: Toyota Crown Diesel Uitgeverij Auto-Magazine 1983-11-24
[51] 문서 Renaux
[52] 간행물 Perubahan-perubahan Toyota Crown, dari MS. 111 ke MS. 112 PT New Ratna Motor 1981-06
[53] 간행물 Loncatan Kijang PT Blora Mulya 1984-01-01
[54] 간행물 Autotieto 1985 TM-Julkaisu 1985-03-19
[55] 간행물 Automobil Revue 1985 Hallwag, AG 1985-03-07
[56] 간행물 Automobil Revue 1986 Hallwag AG 1986-03-06
[57] 문서 "Automobil Revue 1986"
[58] 웹사이트 About the cars made by Great Wall: a history before their official history. http://chinacarhisto[...] 2017-12-18
[59] 웹사이트 Toyota Crown Royal 1987 http://www.favcars.c[...] 2015-01-19
[60] 웹사이트 Spare parts for YS132L frame Crown http://toyota-genera[...]
[61] 웹사이트 Comprehensive data, Toyota Crown Y-LS130 https://www.goo-net.[...] Goo-net
[62] 웹사이트 First thru 11 Toyota Crown sedan https://www.toyota-g[...] 2020-12-01
[63] 웹사이트 The Big Read: Story of Great Wall Motor (Part 1) https://carnewschina[...] 2021-09-19
[6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oyota Crown (in Indonesia) http://bengkelspecia[...] 2020-12-01
[65] 웹사이트 Toyota Crown Robot S130 https://www.mobilmot[...] 2020-12-01
[66] 웹사이트 Crazy Car Production Days of Guangdong: Datong Saibeijian Auto Works https://chinacarhist[...] 2020-12-01
[67] 간행물 Beijing Jeep: A Case Study of Western Business in China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68] 웹사이트 Crazy Car Production Days of Guangdong: Introduction https://chinacarhist[...] 2020-12-01
[69] 뉴스 Zhanjiang buries ghost of scandal https://amp.scmp.com[...] 2020-12-01
[70] 웹사이트 Technical Development-HV and FC https://www.toyota-g[...] Toyota 2022-10-21
[71]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operation http://www.faw.com/i[...] Faw.com 2002-08-29
[72] 간행물 2004-01
[73] 웹사이트 Technical Development - Electronics Parts http://www.toyota-gl[...]
[74] 웹사이트 Toyota Crown Majesta undergoes complete redesign https://www.theautoc[...]
[75] 웹사이트 Safety Rules the Road - 2004-10-11 00:00:00 - Design News http://www.designnew[...]
[76] 웹사이트 Affiliates (Toyota wholly-owned subsidiaries)-Toyota Motor East Japan, Inc. http://www.toyota-gl[...] Toyota
[77] 웹사이트 Motomachi Plant http://www.toyota-gl[...] Toyota
[78] 간행물 Toyota Launches Redesigned Crown Majesta in Japan http://www.worldcarf[...] 2024-08-16
[79] 간행물 Toyota Adds to Pre-crash Safety Technologies https://newsroom.toy[...] Toyota 2009-02-26
[80] 웹사이트 Toyota introduces Night View on Japanese Crown Hybrid http://www.autoblogg[...] Autobloggreen.com 2008-05-31
[81] 간행물 Toyota Enhances Pre-crash Safety System with Eye Monitor https://newsroom.toy[...] Toyota 2008-01-22
[82] 웹사이트 Japanese Production Sites http://newsroom.toyo[...] Toyota 2015-03-06
[83] 뉴스 丰田皇冠正式停产,一个时代终结,曾经对标奥迪A6 https://auto.sina.cn[...] 2020-08-01
[84] 뉴스 New Toyota Crown is Ready for the Chinese car market https://carnewschina[...] 2015-02-10
[85] 간행물 Toyota Launches New 'Crown' Series Sedans in Japan http://www2.toyota.c[...] Toyota 2012-12-25
[86] 웹사이트 丰田中国 - 全线车系-CROWN 皇冠 http://www.toyota.co[...] Toyota
[87] 웹사이트 Ended Chinese S210 Crown production in FAW-Toyota https://www.markline[...] 2020-05-07
[88] 뉴스 Toyota Reborn Pink Crown Athlete – for the daring https://paultan.org/[...] 2013-10-03
[89] 웹사이트 トヨタ 取扱説明書 クラウン https://manual.toyot[...] Toyota
[90] 웹사이트 トヨタのTNGAとはプラットフォームのこと? https://prius-news.c[...] Toyota 2018-05-05
[91] 뉴스 Toyota GA-B Platform Unveiled, Likely To Underpin New Yaris https://www.drive.co[...] 2019-09-10
[92] 간행물 Toyota Rolls Out Completely Redesigned Crown https://newsroom.toy[...] Toyota 2018-06-26
[93] 뉴스 Toyota Launches All-New Crown In Japan With Connected Features As Standard https://www.carscoop[...] 2018-06-26
[94] 뉴스 Toyota's 'connected' Corolla and Crown signal shift to mobility https://asia.nikkei.[...] 2018-06-27
[95] 뉴스 トヨタ クラウン 新型、秋山チーフエンジニア「世界中どこでも戦えるクルマを目指した」 https://response.jp/[...] 2018-06-26
[96] 간행물 TOYOTA CROWN MENTERI 2019-2024 https://www.toyota.a[...] Toyota Astra Motor 2019-10-22
[97] 웹사이트 Crown's Essence to Live on in the 16th Generation https://toyotatimes.[...] Toyota 2022-10-03
[98] 뉴스 2021 Toyota Crown Gets An Early Update With Massive Touchscreen https://www.motor1.c[...] 2020-11-02
[99] 문서
[100] 간행물 Toyota to make "Connected Vehicles" its new standard in Japan https://newsroom.toy[...] Toyota 2018-06-26
[101] 간행물 Toyota to Commence Verification Testing with Toyota City for Road Maintenance Inspections Using Vehicle Data Obtained from Connected Cars https://newsroom.toy[...] Toyota 2018-07-18
[102] 간행물 Toyota to Roll Out 2nd Generation Toyota Safety Sense Active Safety Packages from 2018 https://newsroom.toy[...] Toyota 2017-11-27
[103] 뉴스 Toyota revamps Crown range, with new models including SUV to be sold outside Japan https://www.reuters.[...] 2022-07-15
[104] 뉴스 All-new Toyota Crown now offers crossover variant https://www.autoindu[...] AutoIndustriya.com 2022-07-15
[105] 웹사이트 新型クラウン今秋発売!! 残り3車種は2023年登場&開発コンセプト判明!! https://bestcarweb.j[...] 2022-07-16
[106] 간행물 World Premiere of the All-New Crown Series https://global.toyot[...] 2022-07-15
[107] 웹사이트 President Toyoda's message to the world: "This is Japan's Crown!" https://toyotatimes.[...] 2022-07-15
[108] 간행물 Crown's Essence to Live on in the 16th Generation https://toyotatimes.[...] Toyota 2023-02-09
[109] 웹사이트 Crown Design Sketches https://global.toyot[...] 2022-07-15
[110] 뉴스 2023 Toyota Crown unveiled as new series of models – no more sedan; four bodystyles, two hybrid engines https://paultan.org/[...] Driven Communications 2022-07-15
[111] 뉴스 2023 Toyota Crown Debuts As A Re-Imagined Full-Size Sedan For The Crossover Era https://www.carscoop[...] 2022-07-15
[112] 뉴스 2023 Toyota Crown revealed, replacing Avalon with an old name and new body https://www.autoblog[...] 2022-07-15
[113] 웹사이트 新型クラウンクロスオーバー、本日9月1日正式発売! 気になる販売現場の士気や如何に? https://bestcarweb.j[...] 2022-09-01
[114] 웹사이트 2023 Crown Product Information https://toyota-cms-m[...] Toyota of North America 2022-10-25
[115] 웹사이트 Crown https://toyota.com.b[...] Toyota 2023-11-03
[116] 웹사이트 2023 Toyota Crown Revealed: A Hybrid Sedan That Thinks It's A Crossover https://www.motor1.c[...] 2022-07-15
[117] 뉴스 2023 Toyota Crown Replaces the Avalon as a Lifted, Hybrid Sedan https://www.caranddr[...] 2022-07-15
[118] 웹사이트 Toyota Ditches Avalon and Replaces It With Funky, High-Riding 2023 Crown https://www.edmunds.[...] 2022-07-14
[119] 뉴스 FAW-Toyota releases all-new CROWN brand https://autonews.gas[...] Gasgoo.com Corporation 2022-11-16
[120] 뉴스 两款皇冠新品荣耀登场,一汽丰田全车系联袂出击 2022 广州车展 https://www.geekpark[...] 2022-12-30
[121] 뉴스 Toyota Crown 2.5 Hybrid 貴族版試駕|勇於突破但溫暖依舊,與第四代Crown睽違五十年後的相遇! https://www.mobile01[...] 2023-03-31
[122] 뉴스 토요타, 16세대 크라운 크로스오버 출시 https://autoview.co.[...] Autoview 2023-06-05
[123] 웹사이트 Al-Futtaim Toyota Launches The All-New 2023 Toyota Crown In UAE https://carprices.ae[...] 2023-06-14
[124] 웹사이트 A Pedigree of Excellence from 1955 to 2023; the new Toyota Crown launches in Saudi Arabia https://alj.com/en/n[...] 2023-06-14
[125] 웹사이트 All-new Toyota Crown arrives in Bahrain https://www.gdnonlin[...] 2017-12-05
[126] 웹사이트 Crown (Sport type) Design Sketches https://global.toyot[...] 2023-10-06
[127] 웹사이트 トヨタが第16世代の新型クラウンを世界初公開。ボディタイプは4種類を設定し、第1弾としてクロスオーバーを今秋に発売 https://www.caranddr[...] 2022-07-20
[128] 웹사이트 New Information on Three New Crown Models Toyota Global Newsroom https://global.toyot[...] 2023-04-12
[129] 간행물 Toyota Launches All-New Crown "Sport" in Japan https://global.toyot[...] Toyota Motor Corporation 2023-10-06
[130] 웹사이트 Crown Spec https://toyota.jp/pa[...] 2023-12-01
[131] 웹사이트 Toyota Crown 230 sedan (2023-) https://toyota-club.[...] 2023-12-26
[132] 웹사이트 トヨタ クラウン 機能・性能 走行性能 https://toyota.jp/cr[...] 2023-11-05
[133] 웹사이트 新型クラウンはやはりセダンだろ! 超イメチェンで世界一のデザインを目指す https://bestcarweb.j[...] 2022-09-01
[134] 웹사이트 新型クラウンを発売 トヨタ グローバルニュースルーム https://global.toyot[...] 2023-11-02
[135] 웹사이트 全新皇冠亮相广州车展,提供双外观,预售36.9万起,对标奥迪A6L https://k.sina.cn/ar[...] 2023-01-03
[136] 웹사이트 『クラウンセダン』は伝統のFRにFCEVを組み合わせる!初公開された左ハンドル仕様の内装も要チェック https://response.jp/[...] 2023-06-06
[137] 웹사이트 【图】全新普拉多45.98万起/全新皇冠29.9万起_汽车之家 https://www.autohome[...] 2024-04-24
[138] 웹사이트 US Customs records for Toyota Canada Inc. https://www.importge[...] 2024-01-21
[139] 웹사이트 Toyota Venza Departs after 2024 to Make Way for Crown Signia SUV https://www.caranddr[...] 2023-11-15
[140] 뉴스 Toyota Postpones Launch of New Crown Estate Model Amid Certification Scandal https://japannews.yo[...] 2024-06-15
[141] 웹사이트 The 2025 Crown Signia Is an SUV-ified Version of Toyota's Funky Sedan https://www.motor1.c[...] 2023-11-15
[142] 웹사이트 History of Toyota - 75 years - Crown Comfort vehicle lineage https://www.toyota-g[...] Toyota 2021-12-11
[143] 웹사이트 トヨタ 取扱説明書 クラウン セダン https://manual.toyot[...] Toyota 2022-04-11
[144] 뉴스 Toyota JPN Taxi is Japan's New Hybrid Cab http://www.motortren[...] 2017-10-23
[145] 웹사이트 Toyota Crown Minivan Makes Surprise Debut At Auto Shanghai https://www.motor1.c[...] 2021-04-24
[146] 웹사이트 Toyota also slapped a Crown badge on the Vellfire - Auto News https://www.autoindu[...] 2021-04-24
[147] 웹사이트 Toyota Crown SUV Officially Revealed Because Sedans Are So Yesterday https://www.motor1.c[...] 2021-04-24
[148] 웹사이트 Toyota trademark dispute over Crown logo http://www.webjd.cn/[...] 2016-01-28
[149] 웹사이트 あの時売れていた車は?人気乗用車販売台数ランキング https://www.sonysonp[...] 2021-04-28
[150] 웹사이트 トヨタ クラウン 新車販売台数の推移/売れ行きと生産状況は? - クルマを買う! https://kuru-ma.com/[...] 2023-04-16
[151] 웹사이트 Toyota Crown China auto sales figures https://carsalesbase[...] 2022-11-16
[152] 웹사이트 "【国産乗用車編】2020年12月&2020年1月~12月の登録車新車販売台数ランキング15を一挙公開!12月度も累計も全てトヨタ新型ヤリスが圧勝! {{error|Error: The retired template {{tn|!}} has been transcluded; see [[mw:Help:Magic words#Escaped characters]] for details. To fix this, use only the code {{Magic word|!}} to generate the | character.}} https://creative311.[...] 2021-01-12
[153] 간행물 Toyota Motor North America Reports 2023 U.S. Sales Results https://pressroom.to[...] Toyota 2024-01-03
[154] 문서
[155] 문서
[156]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157] 웹사이트 特集|「日本のクルマづくりを支える職人たち」第5回 プレス金型職人 和田安信|トヨタイムズ https://toyotatimes.[...] 2021-08-01
[158] 웹사이트 生産技術 https://www.tcmit.or[...] トヨタ産業技術記念館 2021-08-01
[159] 문서
[160] 문서
[161] 문서
[162] 웹사이트 トヨタ、豪州での54年にわたる生産を終了-豪州地域への継続的な貢献のため豪州トヨタ財団を設立- https://newsroom.toy[...] トヨタ自動車 2018-08-16
[163] 문서
[164] 문서
[165] 문서
[166] 문서
[167] 문서
[168] 문서
[169] 문서
[170] 웹사이트 “T-TIME” トヨタ博物館 館だより #94 https://www.toyota.c[...] "[[トヨタ博物館]]" 2017-10-15
[171] 문서
[172] 문서
[173] 문서
[174] 문서
[175] 문서
[176] 문서
[177] 문서
[178] 문서
[179] 문서
[180] 문서
[181] 문서
[182] 문서
[183] 문서
[184] 문서
[185] 문서
[186] 문서
[187] 문서
[188] 문서
[189] 문서
[190] 문서
[191] 웹사이트 自動車の42ボルト化――そのメリットと課題 https://www.itmedia.[...] 2016-11-22
[192] 웹사이트 車載LANと42V電源系の動向 ――高性能化,高機能化が求められる車載機器の開発 http://www.kumikomi.[...] 2016-11-22
[193] 간행물 車両電源の42V化 http://www.denso.co.[...] null 2003
[194] 문서
[195] 문서
[196] 문서
[197] 문서
[198] 문서
[199] 웹사이트 CROWN 皇冠 - 一汽丰田 - 一汽丰田汽车销售有限公司(FTMS) http://www.ftms.com.[...]
[200] 문서
[201] 문서
[202] 뉴스 ~トヨタ クラウン のエコカー傾向…ハイブリッドのベース車変更~記事 http://www.carview.c[...] カービュー 2010-06-01
[203] 문서
[204] 문서
[205] 뉴스 トヨタ、新型「クラウン」発表会で“どこでもドア仕様”が登場 https://car.watch.im[...]
[206] 간행물 TOYOTA、ピンクのクラウン特別仕様車注文受付期間を発表 http://www2.toyota.j[...]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3-07-26
[207] 문서
[208] 간행물 クラウンにピンクの特別仕様車"ReBORN PINK"を設定 http://www2.toyota.j[...]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3-08-30
[209] 간행물 ピンクのクラウン特別仕様車の受注結果について http://www2.toyota.c[...]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3-10-02
[210] 간행물 TOYOTA、クラウンにハイブリッドフルタイム四輪駆動車を追加 -同時に一部改良し、特別仕様車を発売- http://newsroom.toyo[...]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4-07-09
[211] 간행물 TOYOTA、クラウン誕生60周年記念 特別仕様車 空色・若草色クラウン注文受付期間を発表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5-01-07
[212] 문서 正式名称は「クールソーダメタリック」で、[[トヨタ・アクア|アクア]]に設定されているものと同一色。
[213] 간행물 TOYOTA、クラウン誕生60周年記念特別仕様車“空色 edition”ならびに“若草色 edition”を設定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5-03-25
[214] 문서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 週刊日本の名車第100号(最終号)1ページより。
[215] 간행물 TOYOTA、クラウンをマイナーチェンジ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5-10-01
[216] 문서 カラーコード:8X8。「ロイヤル」に設定の同名色(カラーコード:8S6)とは異なる。
[217] 문서 アドバンストパッケージの追加オプションになるため、同パッケージを選択できないアスリート・ロイヤル及びアスリートS・ロイヤルサルーンでオーディオレスにした場合は装備できない。
[218] 간행물 TOYOTA、トヨタ店創立70周年記念の特別仕様車を発売 -クラウン、ランドクルーザー、ランドクルーザープラドに設定-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6-08-29
[219] 간행물 TOYOTA、クラウンに特別仕様車“J-FRONTIER Limited”を設定-アクセルペダル踏み間違い時の衝突被害を軽減する安全機能を特別装備-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7-08-28
[220] 웹사이트 「クラウンパトカー」が超お買い得価格の驚き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1-05-05
[221] 뉴스 トヨタ クラウン 新型、秋山チーフエンジニア「世界中どこでも戦えるクルマを目指した」 {{!}} レスポンス(Response.jp) https://response.jp/[...]
[222] 문서 同日発売の[[トヨタ・カローラスポーツ|カローラスポーツ]]と同時。
[223] 웹사이트 開発者の本音、なぜ「ピンククラウン」は消えたのか「お客さまが付いてきてくれないという悩みがあった」 https://newswitch.jp[...] ニュースイッチ 2018-07-28
[224] 문서 商品名:ピラーエンブレム
[225] 문서 Adaptive Variable Suspension System(アダプティブ・バリアブル・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226] 간행물 TOYOTA、「CROWN Concept」を初公開 https://newsroom.toy[...]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7-10-04
[227] 간행물 TOYOTA、クラウンをフルモデルチェンジ https://newsroom.toy[...]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8-06-26
[228] 문서 先代は「アスリート」に設定
[229] 문서 先代は「ロイヤル」に設定
[230] 간행물 TOYOTA、クラウンに上質感を高めた特別仕様車を設定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9-07-08
[231] 간행물 TOYOTA、クラウンに上質さとスポーティさを高めた特別仕様車を設定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9-10-02
[232] 간행물 TOYOTA、クラウンに65周年を記念した特別仕様車を設定-ナビ・スマホ連携の追加や内装の質感向上などの一部改良も全車に実施-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9-10-02
[233] 간행물 クラウンに、さらなる質感を高めた内外装を採用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0-11-02
[234] 간행물 クラウン、コンセプトが異なる2つの特別仕様車を設定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1-06-30
[235] 간행물 新型「クラウン」のワールドプレミアを2022年7月15日(金)にオンラインで配信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2-07-06
[236] 간행물 新型「クラウン」を世界初公開-第1弾として新型クラウン(クロスオーバー)を2022年秋頃に発売-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2-07-15
[237] 문서 1999年12月から2007年6月まで、[[ステーションワゴン]]の「クラウンエステート」の車名で販売されていた
[238] 뉴스 トヨタ、新型「クラウン」米国上陸 豊田社長「クラウンの最高傑作になると思っております!」と世界に向けメッセージ https://car.watch.im[...] 2022-07-16
[239] 웹사이트 「今年のクルマ」候補の11台が決定! 「2022-2023 日本カー・オブ・ザ・イヤー」10ベストカーが発表 https://kuruma-news.[...] 2022-11-04
[240] 웹사이트 トヨタ新型「クラウン スポーツクロス」初公開! 海外唯一の「王冠」エンブレム採用!? 専門店を中国で展開も https://kuruma-news.[...] 2022-11-17
[241] 웹사이트 中国でクラウンセダン復活 広州モーターショー開幕 | 共同通信 https://web.archive.[...] 2022-12-30
[242] 웹사이트 3つの新しい「クラウン」、追加情報を公開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 2023-04-12
[243] 간행물 新型クラウン(スポーツ)を発売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3-10-06
[244] 간행물 新型クラウンを発売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3-11-02
[245] 문서 https://kuruma-news.jp/post/712022
[246] 문서 なお{{lang|en|crown}}は[[ラテン語]]の{{lang|la|corona}}に由来する。転じて[[コロナ|コロナ(太陽冠)]]に由来する車名が[[トヨタ・コロナ|コロナ]]である。
[247] 웹사이트 あの「リアル車将棋」を生で観てきた完全レポート! https://ascii.jp/ele[...] 2023-09-10
[248] 웹사이트 2020 S耐 Rd.1 富士|埼玉トヨペット https://www.saitama-[...] 2020-09-11
[249] 문서 本来ならばトヨタのハイブリッド専用モデルは全てのトヨタの販売店で販売される方針ではあるが、同一セグメントにおいて前述のカムリやハイブリッド車の設定がない[[トヨタ・マークX|マークX]]との競合を避けるため、あえて投入されていないという見方もある。
[250] 웹사이트 7代目までは東京トヨペット専売だった。 http://toyota.jp/inf[...]
[251] 문서 横浜都筑は[[ウエインズトヨタ神奈川]]、福岡天神は[[福岡トヨタ]]、愛知高辻は[[愛知トヨタ|愛知トヨタWEST]]、千葉中央は[[千葉トヨタ]]、開業予定の東京虎ノ門はトヨタモビリティ東京が運営。
[252] 뉴스 トヨタ、クラウン専門店限定の特別な「クラウンクロスオーバー」 手入れしやすいマットなボディカラーを採用 https://car.watch.im[...] CAR Watch 2023-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