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 소어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요타 소어러는 1981년부터 2000년까지 생산된 토요타의 고급 GT 쿠페로, 4세대에 걸쳐 모델이 출시되었다. 1세대는 1981년에 출시되어 1985년까지 생산되었으며, 2세대는 1986년부터 1991년까지, 3세대는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생산되었다. 4세대는 컨버터블 형태로 2001년부터 2005년까지 판매되었으며, 2005년 일본에서 렉서스 브랜드가 런칭되면서 렉서스 SC로 통합되었다. 소어러는 각 세대별로 다양한 엔진과 기술적 특징을 갖추었으며, 특히 3세대부터는 렉서스 SC와 플랫폼을 공유하며 해외에서도 렉서스 브랜드로 판매되었다. 모터스포츠에서도 드리프트 경기를 중심으로 활약했으며, "소어러"라는 차명은 최상급 글라이더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1년 도입된 자동차 - 닛산 맥시마
닛산 맥시마는 1981년 미국 시장에 처음 출시되어 닛산 블루버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후륜구동에서 전륜구동으로 변경되었고, 2000년대 이후 성능을 강화했으나, 2020년 한국 시장 철수와 함께 판매가 종료되었다. - 1981년 도입된 자동차 - 혼다 시티
혼다 시티는 1981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를 거치며 다양한 시장에서 판매된 혼다의 소형차로, 초기에는 "톨보이" 디자인으로 인기를 끌었으며, 현재는 세단과 해치백, 하이브리드 모델로 판매되고 있다. - 일본의 거품 경제 - 플라자 합의
플라자 합의는 1985년 미국 등 5개국이 달러 가치 하락과 엔화, 마르크화 가치 상승에 합의하여 미국의 무역 적자 감소에 기여했으나 일본 경제에는 불황을 초래한 사건이다. - 일본의 거품 경제 - 버블 붕괴
버블 붕괴는 1980년대 후반 일본의 자산 가격 거품 붕괴로 시작되어 주식 시장 폭락, 금융 시스템 위기를 초래하고, 일본 경제를 장기간의 침체에 빠뜨린 심각한 불황이다. - GT카 - 페라리 로마
페라리 로마는 2020년에 출시된 페라리의 2+2 GT 쿠페로, 클래식 페라리 모델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과 3.9리터 V8 트윈 터보 엔진을 탑재하여 3.4초 만에 100km/h에 도달하며, 디자인으로 여러 상을 수상했다. - GT카 - 렉서스 SC
렉서스 SC는 1991년부터 2010년까지 생산된 렉서스의 쿠페 및 컨버터블 모델이며, 1세대와 2세대에 걸쳐 다양한 엔진과 디자인 변화를 거쳐 모터스포츠에서도 활약하다가 2010년 단종되었다.
| 토요타 소어러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제조사 | 도요타 |
| 다른 이름 | 렉서스 SC (1991–2010) |
| 생산 기간 | 1981년 2월 – 2005년 7월 (후속 SC 모델은 2010년 7월까지 생산) |
| 조립 공장 | 일본: 아이치현 다하라시 (다하라 공장, 1981년 2월 – 1991년 2월) 아이치현 도요타시 (모토마치 공장, 1991년 4월 – 1997년 4월) 시즈오카현 스소노시 (히가시 후지 공장, 1989년 3월 시작) |
| 차종 | 그랜드 투어러 개인용 고급차 |
| 차체 스타일 | 2도어 쿠페 (1–3세대) 2도어 오픈카 (2세대) 2도어 컨버터블 (4세대) |
| 구동 방식 | 전륜 엔진, 후륜 구동 |
| 이전 모델 | 도요타 마크 II 쿠페 (X30/X40) 도요타 체이서 쿠페 (X30/X40) 도요타 크라운 쿠페 (S110) 도요타 카리나 쿠페 (A40) |
| 후속 모델 | 렉서스 SC 430 (일본, 2005) 렉서스 LC (V8 엔진) |
| 차세대 모델 | |
| 후속 차종 | 렉서스 SC |
2. 1세대 (Z10, 1981년-1985년)
1980년대에는 이미 마쓰다 코스모가 출시되어 있었고, 닛산 레오파드가 새롭게 등장했다. 이에 토요타 자동차는 자체적인 GT카 개발 필요성을 느껴 소어러 개발을 시작, 1981년 2월에 출시했다. 소어러는 코스모를 능가했지만, 닛산 레오파드를 넘어서지는 못했다.
소어러는 1980년 오사카 국제 모터쇼에서 EX-8로 처음 공개되었으며, 1981년 출시와 함께 일본 올해의 차 상을 수상했다. 토요타는 강력한 직렬 6기통 엔진, 고급 편의 시설, 현대적이고 공기역학적인 외관을 갖춘 그랜드 투어링 쿠페를 출시하고자 했다. 당시 서구에서 개인 럭셔리 카가 인기를 얻고 있었고, 토요타는 일본 구매자에게도 동일한 유형의 자동차를 제공할 기회를 보았다. 소어러는 일본의 외부 치수 규정을 준수했으며, 1세대 모델은 "소형차"로 분류되어 일본 구매자에게 세금 절감 혜택을 제공했다. 엔진 배기량 또한 2리터 이상 3리터 미만으로 제한되어 일본 구매자는 연간 자동차세를 얼마나 지불할지 결정할 수 있었다.
소어러는 당초부터 해외 수출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지만, 당시 토요타는 셀리카의 형제차인 셀리카 XX (수출명 수프라, 1986년 이후에는 일본 국내에서도 동명으로 변경)를 해외에서 판매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당 차량과의 판매를 고려하여 차별화를 꾀하지 못해, 초대 및 2대는 해외에서는 판매되지 않았다.
소아라의 개발은 초대 출시 5년 전인 1976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미 이 시기 일본차는 해외, 특히 미국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지만, 소형 대중차에 국한된 이야기였고, 상급 차종에 대해서는 그다지 평가를 얻지 못했다. 또한, 미국이나 유럽 시장에서는 자국 기업 보호를 위해 수출 대수 규제가 시행되었고, 이윤폭이 큰 상급 차종의 투입을 통한 수익 증가가 필요했다.
마침 배출 가스 대책 등이 일단락되면서, 토요타 사내에서도 "2000GT와 같은 새로운 이미지 리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세계 수준에서 통용되는 고급차, 구체적으로는 메르세데스-벤츠 SL 클래스나 BMW 6시리즈와 같은 유럽의 고급 GT 카를 목표로 개발되었다.
일본의 고급 퍼스널 카 시장에서는 닛산 레파드가 1980년에 등장했지만, 레파드가 기존 방식의 직렬 6기통 및 직렬 4기통 SOHC 엔진을 탑재한 데 반해, 소아라는 전 그레이드에 걸쳐 직렬 6기통 엔진을 탑재하고, 더욱이 최고 등급에는 DOHC를 채용하는 등, 성능 면에서 우위를 점했다. 이로써 소아라는 고급 퍼스널 쿠페로서의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켜, 시장에서의 판매에서 독주 상태가 되었다. 같은 차급의 2도어 차량이었던 크라운 2도어 하드탑은 소아라의 성공을 지켜본 후, 1983년을 기점으로 라인업에서 사라졌다.
또한, 소아라는 토요타 자동차의 첨단 기술을 최초로 채용한 이미지 리더 카이기도 했다. 초대에서 채용된 TCCS, ECT, TEMS, 전자 멀티 비전 등은 현재의 토요타 차량에도 진화하면서 계속 채용되고 있다.
- 1980년 "오사카 국제 모터쇼"에서 "EX-8"의 명칭으로 참고 출품되었다.
- 1981년 2월에 "소아라"가 출시되어 그리핀을 이미지한 엠블럼이 부착되었다. 생산은 토요타 자동차 타하라 공장. 캐치 카피는 "미체험 존으로." "SUPER GRAN TURISMO".
- * 제2회 '81-'82 일본 카 오브 더 이어를 수상했다.
- * 조작에 터치 패널을 사용한 마이컴식 오토 에어컨, 주행 가능 거리, 목적지 도착 시간을 마이컴으로 자동 연산하는 드라이브 컴퓨터 등이 상위 차종에 채용되었다.
- * VII 이상은 토요타 최초로 회전수 감응형 파워 어시스트 랙 앤 피니언 스티어링을 채용했다.
- * 기존 백색 도장보다 명도를 대폭 올린 "슈퍼 화이트"의 차체 색상을 최초로 채용했다.
- 1981년 7월, M-TEU형 직렬 6기통 SOHC・2,000cc 터보 엔진을 탑재한 2000VR 터보・2000VII 터보를 추가했다.
- 1982년 3월[19] 부분 개량으로 최저가 모델인 2000VI가 폐지되었고, 모든 등급이 디지털 미터가 되었다.
- 1983년 2월[20]에 마이너 체인지를 실시, 새롭게 1G-GEU 탑재 2.0GT가 추가되어 M-TEU 탑재차는 등급명으로 "2.0 터보"로 통합되었다. 2800GT 엑스트라는 폐지되었다. 외장에서는 전후 범퍼, 몰, 그릴, 테일 램프의 디자인이 변경되어 전장이 20mm 연장되었다.
- 1984년 1월[21] 부분 개량으로 전동 도어 미러(격납은 수동)가 설정되었고, AT차의 노브 형상이 변경되어 오버 드라이브 스위치가 붙었다.
- 1985년 1월[22] 부분 개량에서는, 2.8L의 5M-GEU에서 새롭게 3L의 6M-GEU 엔진이 탑재(MZ12형)되었다.
- * "토요타 일렉트로 멀티 비전"을 3.0GT 리미티드 AT차에 옵션으로 장착했다.
판매 종료 전 달까지의 신차 등록 대수의 누계는 8만 7973대[23]이다.
2. 1. 디자인 및 기술적 특징
A60 수프라를 기반으로 후륜구동 방식을 채택했으며[4], 전면에는 맥퍼슨 스트럿, 후면에는 코일 스프링이 있는 세미 트레일링 암 서스펜션을 사용했다. 최고급 및 중간급 모델에는 크루즈 컨트롤, 경고 메시지, 7방향 조절식 운전석, LED를 사용한 디지털 속도 및 회전 속도 표시기, 디지털 자동 온도 조절 장치가 적용되었다. 모든 바퀴에 통풍 디스크 브레이크와 자가 진단 유지 보수 알림을 비롯한 여러 전자 기능이 기본 장비로 제공되었다.[5]AM/FM 스테레오 카세트는 고품질의 메탈 테이프로 녹음할 수 있었고, 스테레오 전면에는 마이크를 연결할 수 있는 마이크 잭이 있었다. 디지털 계기판이 설치된 경우 트립 컴퓨터가 포함되었다. 디지털 계기판에는 디지털 회전 속도계, 디지털 속도계, 전자 연료 및 냉각수 레벨 게이지가 있었다. 트립 컴퓨터는 연비 (킬로미터/리터), 예상 도착 시간 (ETA) 및 목적지까지의 잔여 거리를 계산하고 표시할 수 있었다.[5]

새로운 중간 모델 출시와 함께 여러 기술 개선 사항이 추가되었다.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3.0 GT-Limited에는 디지털 속도계와 함께 Electro MultiVision 디스플레이가 추가되었다.[6] 이는 계기판에 설치된 6인치 CRT TV 디스플레이로, 엔진 회전 수, 변속 위치, 연료 소비 추세 및 TEMS 서스펜션 설정을 표시했다. 또한 연결된 시스템에 대한 유지 보수 경고가 필요한 경우 알림을 보냈다. 버튼을 터치하여 다양한 기능을 표시했지만, 화면은 터치 감지 기능이 없었다. 차가 정지 상태이고 변속기가 주차 상태이며 주차 브레이크가 걸려 있으면 방송 TV를 시청할 수 있었다.[5]
소어러는 토요타 전자 제어 서스펜션 (TEMS)[7]를 갖춘 최초의 토요타 자동차였으며, 조절식 쇼크 업소버와 ABS를 수용하기 위해 PEGASUS (Precision Engineered Geometrically Advanced SUSpension)라고 명명된 완전히 새로운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이 전면 및 후면 휠에 설치되었다.[7]
2. 2. 엔진 및 변속기
Z10 시리즈 토요타 소어러는 1981년 2월부터 1985년 12월까지 2.0L, 2.8L 또는 3.0L DOHC I-6 변형으로 생산되었으며, 모든 엔진에는 전자 연료 분사가 표준으로 제공되었다.[5] 초기 M-TEU 구동 MZ11 모델은 일부 측면에서 나중 MZ11과 달랐다. MZ11 엔진에 대한 후기 개선 사항으로는 수냉식 인터쿨러가 있으며, 초기 MZ11의 오일 냉각식 터보와 달리 오일 및 수냉식 터보에 추가 개선이 이루어졌다.[5]1981년 2월 출시 당시 엔진은 2800cc GT 계에 5M-GEU, 2000cc의 VX, VR, VII, VI에는 1G-EU를 탑재했다. 소어러용으로 신규 개발된 DOHC 엔진인 5M-GEU는 SOHC 5M-EU 블록에 알루미늄제 트윈캠 헤드를 올린 것으로, 170ps(+25ps), 24.0kg/m(+0.5kg/m)을 출력(JIS 그로스 값)했다. 캠 구동을 타이밍 체인에서 타이밍 벨트로 바꾸고, 캠과 밸브 사이의 틈을 항상 유압으로 0으로 유지하는 래쉬 어저스터를 채용(1G-EU와 동등)했다.
2종의 엔진에 조합되는 변속기는 5단 수동과 4단 자동이며, 1G-EU와 조합된 A42DL형 자동변속기는 오버 드라이브의 4단 시에 록업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2웨이 오버 드라이브 기구를 채용했다.
1981년 7월에는 M-TEU형 직렬 6기통 SOHC・2,000cc 터보 (145ps・21.5kg/m)를 탑재하는 2000VR 터보・2000VII 터보를 추가했다. 1982년 3월[19] 부분 개량으로 5M-GEU 탑재 AT차의 변속을 전자 제어하는 ECT 및 엔진을 컴퓨터로 통합 제어하는 TCCS를 동시에 채용했다.
1983년 2월[20]에 마이너 체인지를 실시, 새롭게 1G-GEU 탑재 2.0GT가 추가되어 M-TEU 탑재차는 등급명으로 "2.0 터보"로 통합되었다. 엔진은 1G-GEU형 직렬 6기통 DOHC・2,000cc (160ps・18.5kg/m)가 라인업되었고, M-TEU형은 수냉 인터쿨러 장착으로 160ps, 23.5kg/m이 되었다. TCCS는 5M-GEU 탑재차를 비롯해 1G-EU, M-TEU, 그리고 새롭게 채용된 1G-GEU에 채용을 확대했다.
1984년 1월[21] 부분 개량으로 5M-GEU 엔진은 압축비를 8.8에서 9.2로 올려 175ps, 24.5kg/m이 되었다. 1985년 1월[22] 부분 개량에서는, 2.8L의 5M-GEU에서 새롭게 3L의 6M-GEU (190ps, 26.5kg/m)가 탑재(MZ12형)된 외, 1G-EU가 진공 센서를 채용, 압축비 업으로 130ps로 파워업이 가능하게 되었다.
| 모델 | 연식 | 엔진 | 출력 (kW) | 토크 (Nm) | 터보 | 변속기 | 비고 |
|---|---|---|---|---|---|---|---|
| JZZ30 | 1991-1996 | 1JZ-GTE (2.5 L I6) | 트윈 병렬 | 수동 (R154), 자동 | |||
| 1997–2000 | 1JZ-GTE (2.5 L I6), VVT-i | 싱글 | 수동 (R154), 자동 | ||||
| JZZ31 | 1994-1996 | 2JZ-GE (3.0 L I6) | 없음 | 자동 | 렉서스 SC300과 동일 | ||
| 1997–2000 | 2JZ-GE (3.0 L I6), VVT-i | 없음 | 자동 | 렉서스 SC300과 동일 | |||
| UZZ30 | 1991-1993 | 1UZ-FE (4.0 V8) | 없음 | 자동 | 렉서스 SC400과 동일 | ||
| UZZ31 | 1991-1997 | 1UZ-FE (4.0 V8) | rowspan="2" | | rowspan="2" | | 없음 | 자동 | 에어백 서스펜션, "EMV" TV/터치스크린 시스템 |
| UZZ32 | 1991-1996 | 1UZ-FE (4.0 V8) | 자동 | 액티브 서스펜션, 4륜 조향, "EMV" TV/터치스크린 시스템 |
1986년 1월에 2세대 소어러가 출시되었다. 1세대의 디자인을 계승하면서도 곡선을 도입하여 세련된 스타일을 선보였다. 특히, 당시 일본 경제 호황기(버블 경제)와 맞물려 2세대 소어러는 5년간 30만 대 이상 판매되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는 1세대 모델이 닛산 레오파드와의 경쟁에서 판매 부진을 겪었던 것과는 대조적인 결과였다.
1986년 1월에 출시된 2세대 소어러의 엔진 라인업은 2,000cc가 1G-EU, 1G-GEU, 1G-GTEU, 3,000cc가 7M-GTEU를 라인업했다. 2세대 소어러용으로 신규 개발된 7M-GTEU는 6M-GEU를 실린더당 4밸브로 한 DOHC 헤드 채용과 함께 터보차저와 공랭 인터쿨러 장착으로 당시 일본 메이커에서 최고인 230PS/33.0kg・m(SAE 넷 값)를 발생했다.
1987년 1월, 7M-GTEU 탑재 차량에 5단 M/T 추가. 7M-GTEU 탑재 차량용 M/T 클러치는 일본 최초의 풀식 클러치 스프링을 채용. 1G-GEU는 노크 센서 추가, 밸브 타이밍, 흡기 매니폴드 변경 등으로 16.5kg・m에서 17.6kg・m로 토크 업했다.
1988년 1월, 마이너 체인지에서 7M-GTEU, 1G-GTEU는 프리미엄 가솔린 사양이 되어 240PS/35.0kg・m(7M-GTEU) 200PS/28.0kg・m(1G-GTEU)로 출력 업했다.
1989년 1월, VX에 1G-EU (105PS) 대신, 80계 마크 II에서 신규 채용된 하이 메카 트윈캠의 1G-FE (135PS) 채용. 1G-GEU는 밸브 타이밍 변경 및 피스톤 형상 변경에 의해 압축비를 9.1에서 9.5로 올려 140PS/17.6kg・m에서 150PS/18.6kg・m으로. 1G-GTEU는 터빈과 밸브 타이밍 변경으로 200PS에서 210PS로 각각 출력 업하여 1G 계열 엔진 모두에 개량이 실시되었다.
1991년 5월에 출시된 3세대 소어러의 엔진은, 마크 II 등에 탑재된 1JZ-GTE형 직렬 6기통·DOHC·2,500cc 트윈 터보(280ps)와 셀시오 등에 탑재된 1UZ-FE형 V8·DOHC·4,000cc(260ps)를 채용했다. 변속기는 4.0GT 계열에는 4단 AT, 2.5GT 계열에는 4단 AT와 5단 MT가 설정되었다.
1995년 5월의 소규모 변경에서는 1UZ 엔진의 개량으로 5ps와 1.0kg-m 업의 265ps/37.0kg-m이 된다.
1996년 8월, 마이너 체인지에서 2.5L 모델의 엔진은 JZX100계와 마찬가지로 VVT-i를 채용하여 싱글 터보가 되었다.
1997년 8월의 소규모 변경에서는 4.0L 모델을 폐지하고, 3.0L 모델의 2JZ-GE 엔진에 VVT-i가 채용되어, 파워 업과 저연비화가 이루어졌다.
3. 2세대 (Z20, 1986년-1991년)


1988년에는 TOM'S에서 7M-GTE 엔진을 탑재한 차량을 위해 C5라는 이름의 한정판 모델 패키지를 출시했다.
1989년 4월에는 500대 한정판 모델인 에어로캐빈이 출시되었다. 에어로캐빈은 전동 접이식 루프를 갖춘 2인승 모델이었다.
3. 1. 디자인 및 기술적 특징
2세대 소어러(Z20)는 1986년 1월부터 1991년 4월까지 생산되었으며, A70 시리즈 수프라와 플랫폼을 공유했다.[4] 디자인은 X80 시리즈 크레시다, 마크 II, 체이서 및 크레스타와 유사했다.[4]
Z20 소어러는 이전 세대의 전자식 멀티 비전 CRT 디스플레이 설치를 계기판에서 자동 온도 조절 장치 아래로 변경했으며, 터치 감지 인터페이스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었다. 새로운 기능으로는 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하여 업로드된 탐색 정보를 제공했으며, 이후 CD-ROM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8] 디지털 속도계 디스플레이가 업그레이드되어 한눈에 더 많은 정보를 제공했다. 직물 시트는 각 트림 패키지에 따라 고유했으며, 토요타 수프라 (A70)에 사용된 스포츠 버킷 시트는 직물 또는 가죽으로 덮인 GT 트림 패키지에만 제공되었다.[5]
1986년에는 이전 세대에서 계승된 전자 제어 (TEMS)가 적용되었으며,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은 이제 A70 수프라와 공유되었다.[7] 전자 제어 에어 서스펜션은 GT 리미티드 모델에서도 사용 가능했다.[5]
1988년, 소어러 Z20은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그릴과 후미등이 재설계되었고, 실내에 사소한 변화가 있었다 (온도 조절 장치, 대시보드).[9]
3. 2. 엔진 및 변속기
2세대 소어러는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고 있었다. 2.0L 엔진으로는 1G-E, 1G-GE, 1G-FE 그리고 1G-GTE 트윈 터보 엔진이 있었고, 3.0L 엔진으로는 7M-GTE 터보 엔진이 있었다.[4] 변속기는 5단 수동 (R154, W57/W58) 또는 4단 자동 (A340E)이 제공되었다.[4]
1988년에는 엔진 성능이 향상되어 1G-GTEU 엔진은 180PS에서 200PS로, 7M-GTEU 엔진은 230PS에서 240PS로 출력이 증가했다. 1989년 4월에는 500대 한정판 모델인 에어로캐빈이 출시되었는데, 이 모델은 7M-GTE 엔진과 4단 자동 변속기, 탠 가죽 인테리어를 갖추고 있었다.
A70 수프라와는 달리, 2.5L 트윈 터보 1JZ-GTE 엔진은 Z20 소어러에 제공되지 않았다.
| 모델 코드 | 섀시 코드 | 등급 | 연도 | 엔진 | 변속기 | 무게 (kg) | 터보 | 비고 | |
|---|---|---|---|---|---|---|---|---|---|
| GZ20 | HCMEE | 2.0 VZ | 1986.1-1987.12 | 1G-EU | W57 5단 M/T | 1300 | N/A | 87.1- +10 kg | |
| HCPEE | A42DL 4단 A/T | 1310 | |||||||
| HCMGE | 2.0 VX | 1986.1-1988.12 | W57 5단 M/T | 1320 | 88.1- +20 kg | ||||
| HCPGE | A42DE 4단 A/T | 1330 | |||||||
| HCMGK | 1989.1-1991.4 | 1G-FE | W57 5단 M/T | 1350 | ESC | ||||
| HCPGK | A42DE 4단 A/T | 1360 | |||||||
| HCMVF | 2.0 GT | 1986.1-1991.4 | 1G-GEU | W55 5단 M/T | 1330 | 87.1- +10 kg, 88.1- +30 kg 및 ESC | |||
| HCPVF | A42DE 4단 A/T | 1340 | 89.1- A340E 4단 A/T | ||||||
| HCMVZ | 2.0 GT-TWIN TURBO | 1G-GTE | W57 5단 M/T | 1400 | 트윈 CT-12 | 87.1- +10 kg 및 ESC, 88.1- +20 kg | 88.1- W58 5단 M/T | ||
| HCPVZ | A340E 4단 A/T | 1420 | |||||||
| HCMZZ | 2.0 GT-TWIN TURBO L | 1988.1-1991.4 | W58 5단 M/T | 1430 | ESC | ||||
| HCPZZ | A340E 4단 A/T | 1450 | |||||||
| MZ20 | HCMZZ | 3.0 GT | 1987.1-1991.4 | 7M-GTE | R154 5단 M/T | 1490 | CT-26 | 87.1- +20 kg, 88.1-+ 20 kg, 89.1- +10 kg | |
| HCPVZ | 1986.1-1991.4 | A340E 4단 A/T | 1470 | ||||||
| HJPVZ | 3.0 GT 에어로캐빈 | 1989.4 | A340E 4단 A/T | 1610 | 500대 한정 생산 | ||||
| HCMZZ | 3.0 GT LIMITED | 1987.1-1991.4 | R154 5단 M/T | 1520 | 87.1- +20 kg | 88.1- +10 kg | |||
| HCPZZ | 1986.1-1991.4 | A340E 4단 A/T | 1500 | ||||||
| MZ21 | HCMZZ | 1987.1-1991.4 | R154 5단 M/T | 1520 | 에어 서스펜션 | ||||
| HCPZZ | 1986.1-1991.4 | A340E 4단 A/T | 1520 | ||||||
| ESC (선택 사양) = +10 kg, 선루프 (에어로캐빈 제외 모든 모델 선택 사양) = +20 kg | |||||||||
4. 3세대 (Z30, 1991년-2000년)
1991년에 선보인 3세대 소어러는 이전 세대의 각진 디자인에서 벗어나 유선형 디자인으로 변경되었으며, 다양한 편의 장비들이 대거 적용되었다. 해외 시장에서는 렉서스 브랜드로 1세대 SC로 판매되었다.
일본 내수용 모델은 토요타 소어러, 해외 수출용 모델은 렉서스 SC로 판매되었으며, 플랫폼, 차체, 주요 부품을 공유했다. 그러나 1990년대 일본 버블 붕괴와 쿠페 수요 감소로 인해 일본 내 판매량은 이전 세대에 비해 저조했다.
3세대 소어러는 고급 GT카로서의 성격을 강화했다. 특히, UZZ31 및 UZZ32 모델은 UZZ30 및 6기통 모델, 심지어 미국 시장의 렉서스 SC300/400보다 더 많은 기능과 장비를 갖춘 럭셔리 GT 버전이었다. Z10 및 Z20 소어러에서 처음 도입된 ''EMV''(전기 멀티 비전) 터치스크린 시스템이 다시 제공되어 텔레비전, GPS 내비게이션, 차량 진단, 차량 컴퓨터, 후방 카메라, 실내 온도 조절 및 오디오 시스템의 모든 기능을 터치로 제어할 수 있었다. 오디오 시스템은 밸런스 신호 디지털 신호 처리, 12 디스크 CD 체인저, 서브우퍼가 있는 7개의 스피커를 갖춘 매우 정교한 시스템이었다.
세 가지 V8 모델은 모두 토요타의 1UZ-FE 쿼드 캠 4리터 V8 엔진으로 구동되었다. 터보차저 JZZ30에 비해 약간 낮은 출력과 토크를 냈지만(191kW@5,400rpm, 353Nm@4,600rpm), 4.0GT-L로 불리는 V8은 부드러움과 정교함으로 명성이 높았다. 1995년에는 응답성을 개선하고 출력을 195kW, 363Nm로 높이는 약간의 업데이트를 받았다.
UZZ31은 운전자가 승차 높이와 댐퍼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고압 공기는 차량 전면에 장착된 전기 펌프로 제공되었다. 또한 자동 헤드라이트(UZZ30과 공유), 속도 감지 와이퍼, 열선 기능을 추가 공장 옵션으로 갖춘 전동식 2단 메모리 시트, 메모리 기능이 있는 전자식 조절식 스티어링 컬럼, 옵션 후방 카메라,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1994년부터 JZZ31과 공유), 12 디스크 CD 플레이어가 있는 터치 스크린 TV, 터치 스크린 위성 항법 장치, TV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는 완전한 온보드 컴퓨터 진단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전자 기능이 탑재되었다. JZZ30과 마찬가지로 UZZ31에는 옵션 선루프와 후방 와이퍼가 제공되었다.
UZZ31은 EMV 없이 토요타 일본에서 "특별 주문"이 가능했으며, 대신 UZZ30의 라디오/CD 장치와 별도의 실내 온도 조절 장치가 장착되었다. 또한 UZZ30 및 JZZ30 모델의 전동 벨루어 시트는 표준 UZZ31/UZZ32 가죽 전동 시트 대신 특별 주문이 가능했다.[10] 이러한 특별 주문 차량은 주문 시점부터 제품 완성까지 단 일주일 만에 생산되었다. EMV가 없는 UZZ31은 흔하지 않으며, UZZ32는 더욱 희귀하다.
2000년 12월에 단종되었다.
4. 1. 디자인 및 기술적 특징
3세대 소어러(Z30)는 캘리포니아에 있는 토요타 디자인 스튜디오인 칼티(Calty)에서 디자인되었으며, 이전 세대의 각진 디자인에서 벗어나 유선형 디자인을 채택했다. 또한, 프레스 도어와 4링크식 도어 힌지를 계승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10]
3세대 소어러는 고급 기술을 대거 탑재하여 편의성을 높였다. 특히 일본 최초로 CD-ROM 기반 GPS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탑재하고, EMV(Electro Multi-Vision) 터치스크린을 통해 텔레비전, GPS 내비게이션, 차량 정보, 후방 카메라, 실내 온도 조절, 오디오 시스템 등을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오디오 시스템은 밸런스 신호 디지털 신호 처리, 12 디스크 CD 체인저, 서브우퍼를 포함한 7개의 스피커를 갖춘 정교한 시스템이었다.
V8 모델은 토요타의 1UZ-FE 4.0리터 V8 엔진을 탑재하여 부드럽고 정교한 주행 성능을 제공했다. 1995년에는 엔진 성능이 개선되어 응답성이 향상되고 출력이 증가했다. UZZ31 모델에는 운전자가 조절 가능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이 탑재되어 승차 높이와 댐핑 강도를 조절할 수 있었다. 또한 자동 헤드라이트, 속도 감지 와이퍼, 전동식 메모리 시트, 후방 카메라,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터치스크린 위성 항법 장치 등 다양한 전자 기능이 탑재되었다.
최상위 모델인 UZZ32는 토요타 액티브 컨트롤 서스펜션과 사륜 조향 시스템을 추가하여 더욱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했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를 통해 차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유압식 스트럿을 제어하여 차체 롤링을 최소화했다.[11] 그러나 유압 부품의 무게와 전력 소모로 인해 성능과 연비가 다소 감소했다. UZZ32는 높은 생산 비용과 가격으로 인해 873대만 한정 생산되었다.[12]
3세대 소어러는 다양한 색상으로 출시되었으며, 일부 색상은 한정판 또는 단종 모델로 제공되었다.
| 색상 | 코드 | 비고 |
|---|---|---|
| 펄 화이트 | 051 (초기) 057 (후기) | 1991-2000 |
| 블랙 오닉스 | 202 | 1992-2000 |
| 실버 | 176 (초기) 1A0 (중기) 1C0 (후기) | 1991-2000 |
| 로얄 제이드 펄 (일명 블루쉬 그린 메탈릭) | 6M2 | 1991-1996 |
| 클래식 그린 펄 | 6P2 | 1996-2000 |
| 베이지 메탈릭 | 4K9 | 1991-1993 |
| 레드 마이카 | 3K3 | 1991-1993 |
| 르네상스 레드 (일명 슈퍼 레드 IV) | 3L2 | 1994-2000 |
| 다크 블루 마이카 | 8J5 | 1991-1996 |
| 블루 마이카 메탈릭 | 8L5 | 1996-2000 |
| 실버 스프루스 메탈릭 (일명 틸) | 6M3 | 1991-1993 |
| 틸 미스트 메탈릭 (일명 틸) | 6N1 | 1994-1995 |
1996년에는 외부 색상 6P2가 6M2를, 8L5가 8J5를 대체했다.[14]
한편, 3세대 소어러는 튜닝 베이스로도 인기를 얻었다. 1980년대에는 야타베 최고 속도 트라이얼에서 닛산의 L28형 엔진 탑재 차량과 함께 최고 속도 경쟁에 사용되었으며, 트러스트에서 튜닝한 MZ11형 소어러는 312km/h를 돌파하기도 했다. 또한, D1 그랑프리에도 엔진과 트랜스미션을 JZ 계열로 교체한 차량이 출전하기도 했다.
4. 2. 엔진 및 변속기
3세대 소어러는 2.5L 트윈 터보(1JZ-GTE), 3.0L(2JZ-GE), 4.0L V8(1UZ-FE) 엔진 라인업으로 구성되었다. 4단 자동 또는 5단 수동 변속기가 제공되었다. 1996년에는 2.5L 엔진에 VVT-i(가변 밸브 타이밍) 및 싱글 터보가 적용되어 성능이 향상되었다.[10] UZZ32 모델에는 토요타 액티브 컨트롤 서스펜션과 4WS(사륜 조향) 옵션이 제공되었다.V8 4.0L 엔진(1UZ-FE)은 191kW(5,400rpm), 353Nm(4,600rpm)의 출력을 냈으며, 1995년에 195kW, 363Nm로 개선되었다. UZZ32 모델은 유압 공압식 스트럿을 사용한 토요타 액티브 컨트롤 서스펜션을 탑재하여 차체 롤링 없이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했지만, 110kg의 무게 증가와 전력 요구 사항으로 인해 성능과 연비가 감소했다.[11]
튜닝 내성이 높은 1JZ-GTE 엔진을 탑재한 2.5L 모델(JZZ30)은 5단 수동변속기(MT) 설정이 있었고, JZA80 수프라 순정 게트라그 6단 MT로 교체하는 튜닝도 이루어졌다.
5. 4세대 (Z40, 2001년-2005년)
4세대 소어러는 전동 개폐식 알루미늄 하드탑을 갖춘 컨버터블로 변화했다. 해외에서는 렉서스 브랜드를 통해 2세대 SC로 판매되었다. 2005년에 일본에서도 렉서스가 런칭됨에 따라 해외와 동일하게 렉서스 SC로 판매가 시작되면서 소어러라는 이름은 사라지게 되었다.[15]
40계는 브랜드가 변경된 렉서스 SC430이 SUPER GT와 D1 그랑프리에서 엔진 스왑을 통해 활약하고 있지만, 사용자 수준에서는 모델 체인지로 차급과 가격이 상승하면서 외장 외에 손을 대는 경우가 적다. 그러나 과거에는 TOM'S 등에서 수퍼차저 키트가 발매되기도 했다.
| 모델 코드 | Z40 |
|---|---|
| 생산 기간 | 2001년–2005년 (2006년에 렉서스 SC로 이름 변경) |
| 디자이너 | 소티리스 코보스 (1997–1998) |
| 차체 형태 | 2도어 하드탑 컨버터블 |
| 전장 | 4515mm |
| 전폭 | 1825mm |
| 전고 | 1355mm |
| 축간 거리 | 2620mm |
| 차량 중량 | 1730kg |
5. 1. 디자인 및 기술적 특징
40 시리즈 소어러 모델은 2001년부터 일본 외 지역에서 렉서스 SC 430으로 판매된 렉서스와 대체로 동일했다. Z40 시리즈 소어러 430SCV는 당시 메르세데스-벤츠 SL과 유사하게 차량의 트렁크에 접어 넣을 수 있는 하드탑을 특징으로 했다. 이 쿠페는 렉서스 LS 430 럭셔리 세단에 사용되었던 3UZ-FE VVTi (가변 밸브 타이밍) 4.3리터 V8 엔진을 탑재했다. 이 엔진은 208kW의 출력과 430Nm의 토크를 냈다. 이를 통해 쿠페는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6초 만에 가속할 수 있었다. Z40 시리즈 소어러/SC 430의 공유된 차체 스타일은 프랑스와 일본의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토요타 디자이너들이 개발했다. 일부 관찰자들은 Z30 시리즈와 비교했을 때 4세대가 더 작고 차체가 무거워 보이는 외관 때문에 시각적 스타일이 후퇴했다고 일반적으로 평가했다.[15]Z40 시리즈 소어러를 통해 디자인 및 생산 시너지가 이전 세대와 달리 소어러와 렉서스 모델 모두에 대한 단일 공유 디자인 구성을 개발하는 데 절정에 달했다. 토요타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렉서스의 부상은 별도의 토요타 브랜드 소어러 쿠페 시리즈가 아닌 렉서스 모델 구성에 대한 디자인 집중에도 기여했다.
5. 2. 엔진 및 변속기
40 시리즈 소어러 430SCV는 메르세데스-벤츠 SL과 유사하게 차량 트렁크에 접을 수 있는 하드탑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렉서스 LS 430 럭셔리 세단에 사용된 3UZ-FE VVTi (가변 밸브 타이밍) 4.3리터 V8 엔진을 탑재했다.[15] 이 엔진은 208kW의 출력과 430Nm의 토크를 냈으며,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6초 만에 가속할 수 있었다. 5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고, 2006년 렉서스 SC로 이름이 변경된 모델에는 6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6. 렉서스 SC로의 통합 (2005년)
4세대는 전동 개폐식 알루미늄 하드 탑을 갖춘 컨버터블로 탈바꿈했다. 해외에서는 렉서스 브랜드를 통해 2세대 SC로 판매되었다. 2005년에 일본에서도 렉서스가 런칭됨에 따라 해외와 동일하게 렉서스 SC로 판매가 시작됨에 따라 소어러라는 차명은 소멸되었다.
7. 모터스포츠
Z10은 반도 상회에서 JSS에 출전하였다.[31] Z30은 D1 그랑프리 등 드리프트 경기에서 VERTEX T&E Co.,Ltd 상노 선수 등이 활약했다. Z40(렉서스 SC430)은 SUPER GT와 D1 그랑프리에서 엔진 스왑을 통해 활약했지만, 모델 체인지로 차급과 가격이 상승하면서 외장 외에 손을 대는 경우가 적다. 그러나 과거에는 TOM'S 등에서 수퍼차저 키트가 발매되기도 했다.
8. 차명
차명은 영어 'Soarer'(최상급 글라이더)에서 유래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OYOTA MOTOR CORPORATION GLOBAL WEBSITE | 75 Years of TOYOTA | General Status of Plants in Japan | Tahara Plant
http://www.toyota-gl[...]
[2]
웹사이트
TOYOTA MOTOR CORPORATION GLOBAL WEBSITE | 75 Years of TOYOTA | General Status of Plants in Japan | Motomachi Plant
http://www.toyota-gl[...]
[3]
웹사이트
TOYOTA MOTOR CORPORATION GLOBAL WEBSITE | 75 Years of TOYOTA | General Status of Plants in Japan | Affiliates (Toyota wholly-owned subsidiaries)-Toyota Motor East Japan, Inc
http://www.toyota-gl[...]
[4]
웹사이트
ˇ m k i v
http://www.intellexu[...]
Intellexual.net
2004-10-27
[5]
웹사이트
Toyota Soarer
https://www.toyota-g[...]
Toyota Motor Corporation
2024-06-08
[6]
간행물
Toyota introduces Electro Multivision
https://global.toyot[...]
Toyota
1985-01-07
[7]
웹사이트
Technical Development – Chassis
http://www.toyota-gl[...]
Toyota Motor Corporation
2012
[8]
웹사이트
Technical Development Electronics Parts
http://www.toyota-gl[...]
Toyota Motor Corporation
2012
[9]
웹사이트
TOM'S C5 Soarer/Supra
https://imgur.com/ga[...]
Imgur
2024-06-25
[10]
웹사이트
Toyota Soarer FAQ
http://soarerrestore[...]
[11]
웹사이트
Toyota Soarer UZZ32
https://www.youtube.[...]
UZZ32
2014-11-02
[12]
웹사이트
トヨタ ソアラ(SOARER)4.0GT-L アクティブコントロールサスペンション仕様車(1995年5月)カタログ・スペック情報・モデル・グレード比較 (Toyota Soarer 1000888)
https://www.goo-net.[...]
2023-07-06
[13]
웹사이트
Toyota colour codes
http://members.iinet[...]
[14]
웹사이트
Colour Guide JZZ UZZ Soarer 1991-2000
http://soarerrestore[...]
2014-06-04
[15]
웹사이트
Love Object – The Lexus SC 430: Other drivers gawk, bikers grunt approval, and this reviewer swoons.
http://www.smartmone[...]
Smart Money
2001-06
[16]
문서
トヨタ・クラウン、日産・セドリックなどが輸出されていたが、日本では高級車であっても、アメリカの基準では大衆車並みのボディサイズおよび排気量の自動車であり、小さな車体に対して不釣り合いに装備が豪華ということで、極めて不評であった。
[17]
서적
昭和55年 写真生活
ダイアプレス
2017
[18]
문서
これ以外にも、アメリカ市場において直6エンジン搭載車種は高級車として認知されておらず、前述のクラウンやセドリックのアメリカ市場での不人気も、これが原因のひとつである。
[19]
서적
自動車ガイドブック
1982
[20]
서적
自動車ガイドブック
1983
[21]
서적
自動車ガイドブック
1984
[22]
서적
自動車ガイドブック
1985
[23]
문서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日本の名車第4号13ページより。
[24]
웹사이트
ソアラ(トヨタ)1986年1月~1991年4月生産モデル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3
[25]
문서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日本の名車第31号3ページより。
[26]
웹사이트
ソアラ(トヨタ)1991年5月~2001年3月生産モデル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3
[27]
문서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日本の名車第94号13ページより。
[28]
문서
アメリカでは2シーターはスポーツカーとみなされ保険料が高額になる。
[29]
웹사이트
ソアラ(トヨタ)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3
[30]
문서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日本の名車第95号17ページより。
[31]
서적
日本クルマ界 歴史の証人10人
講談社ビーシー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