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냐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라냐케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 남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2개의 선거구로 나뉘며, 각 선거구는 여러 바랑가이로 구성된다. 파라냐케는 마닐라 만과 인접하여 무역 및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바클라란 시장과 엔터테인먼트 시티가 위치해 있다. 1580년에 공식 설립되었으며, 1998년 도시로 승격되었다. 카라콜 축제와 같은 문화 행사로 유명하며, 필리핀 프로 농구 리그의 파라냐케 패트리어츠가 연고지이다. 교통으로는 LRT-1, PNR,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이 있으며, 다양한 교육 시설이 있다. 세부, 부산 해운대구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트로 마닐라 - 파사이
파사이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에 위치한 도시로, 스페인 식민지 시대 농업 지역에서 시작하여 도시로 성장했으며,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상원, 대규모 상업 시설 등이 위치해 있다. - 메트로 마닐라 - 케손시티
케손시티는 마닐라 과밀화 해결을 위해 계획적으로 건설되었으나 주택 가격과 교통 문제로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한때 필리핀 수도이자 주요 기관과 대학이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며, 현재는 290만 이상의 인구를 가진 도시이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파라냐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별칭 | 바이 더 베이 메가 시티 |
모토 | 신께 헌신 |
시가 | Bagong Parañaque (새로운 파라냐케) |
기본 정보 | |
국가 | 필리핀 |
지역 | 수도권 |
행정 구역 | 시 |
설립 | 1580년 5월 11일 |
시 승격 및 고도 도시 | 1998년 2월 13일 |
바랑가이 수 | 16 (바랑가이 목록 참조) |
시장 | 에릭 올리바레스 (라카스-CMD) |
부시장 | Joan Villafuerte (라카스-CMD) |
하원 의원 | 에드윈 올리바레스 (라카스-CMD) (제1지구) 구스타보 탐분팅 (NUP) (제2지구) |
시 의회 | 제1지구 Daniel Eric Baes Pablo Gabriel Jr. Brillante Inciong Pablo Olivarez II Vandolph Quizon Marvin Santos Allen Ford Tan Jose Maria Yllana 제2지구 Florencia Amurao Edwin Benzon Rafael Lito Dela Peña Maria Kristine Esplana Jerome Bart Frias Jose Enrico Golez Nina Celine Sotto John Ryan Yllana |
유권자 수 | 449,811 명 (2022년 필리핀 총선) |
정치 체제 | 지방 정부 |
면적 | 47.69 제곱킬로미터 |
고도 | 12 미터 |
최대 고도 | 108 m |
최소 고도 | 0 m |
인구 (2020) | 689,992 명 |
가구 수 | 174,435 |
인구 밀도 | 자동 |
인구 통계 | 파라냐케뇨 (남성) 파라냐케냐 (여성) |
시간대 | PST |
UTC 오프셋 | +8 |
우편 번호 | 1700–1720 |
PSGC | '137604000' |
지역 번호 | '2' |
웹사이트 | 파라냐케 시 공식 웹사이트 |
기후 | 열대 몬순 기후 |
토착 언어 | 타갈로그어 |
수호성인 | 성 안드레아, 파라냐케의 선한 사건의 성모 |
가톨릭 교구 관할 | 파라냐케 로마 가톨릭 교구 |
경제 | |
소득 등급 | 제1등급 |
빈곤 발생률 | 2.5% (2018) |
수입 | ₱ 8,796,045,191.23 (2020) |
자산 | ₱ 26,767,629,743.19 (2020) |
지출 | ₱ 7,840,539,652.93 (2020) |
부채 | ₱ 2,083,390,268.17 (2020) |
서비스 제공자 | |
전기 | MERALCO |
추가 정보 | |
라스피냐스-파라냐케 중요 서식지 및 생태 관광 지역 | 람사르 협약 등록지 |
2. 지리
파라냐케는 메트로 마닐라의 남부에 위치해 있다.[32] 두 개의 구로 나뉘며, 각 구는 8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된다. 제1선거구는 바클라란, 탐보, 돈 갈로(Don Galo), 산토 니뇨, 라 우에르타, 산 디오니시오, 산 이시드로, 비탈레스(Vitalez)를 포함한다. 제2선거구는 BF 홈즈, 산 안토니오, 마르셀로 그린(Marcelo Green), 선 밸리, 돈 보스코, 문워크, 머빌, 산 마르틴 드 포레스 바랑가이를 포함한다.[32]
파라냐케는 행정 구역상 16개의 바랑가이로 나뉜다.
바랑가이 | 선거구 | 인구[17] (2020년) | 면적 (km2) | 밀도 (/km2) | 우편번호 |
---|---|---|---|---|---|
바클라란(Baclaran) | 제1구 | 33,850 | 0.6372 | 33477.72 | 1702 |
BF 홈즈(BF Homes) | 제2구 | 92,752 | 7.695 | 10846.26 | 1720/1718 |
돈 보스코(Don Bosco) | 제2구 | 54,188 | 3.8475 | 12377.13 | 1711 |
돈 갈로(Don Galo) | 제1구 | 10,550 | 0.2322 | 46627.91 | 1700 |
라 우에르타(La Huerta) | 제1구 | 8,592 | 0.5372 | 16358.90 | 1703 |
마르셀로 그린(Marcelo Green) | 제2구 | 37,574 | 3.0619 | 9396.78 | 1714 |
머빌(Merville) | 제2구 | 26,615 | 3.044 | 6698.75 | 1709 |
문워크(Moonwalk) | 제2구 | 72,520 | 3.7728 | 15801.00 | 1709 |
산 안토니오(San Antonio) | 제2구 | 70,134 | 2.8719 | 20838.82 | 1707/1715 |
산 디오니시오(San Dionisio) | 제1구 | 72,522 | 6.6256 | 9199.32 | 1700 |
산 이시드로(San Isidro) | 제1구 | 79,372 | 3.6522 | 18902.31 | 1713 |
산 마르틴 드 포레스(San Martin de Porres) | 제2구 | 20,283 | 1.5565 | 13451.98 | 1712 |
산토 니뇨(Santo Niño) | 제1구 | 28,925 | 2.4597 | 11479.04 | 1704 |
선 밸리(Sun Valley) | 제2구 | 50,087 | 1.7775 | 21145.43 | 1711 |
탐보(Tambo) | 제1구 | 26,928 | 3.0969 | 8462.98 | 1701 |
비탈레스(Vitalez) | 제1구 | 5,100 | 0.572 | 7898.60 | 1705 |
1580년 성 아우구스티누스회의 프레이 디에고 데 에스피냐르가 파라냐케의 첫 지역 사제가 되면서 파라냐케는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같은 해 5월 11일, 결정자 평의회에서 팔라냐그(Palanyag) 마을은 파라냐케라는 독립적인 푸에블로(pueblo)로 인정받았다.[5] 1625년 8월 10일에는 파라냐케의 수호 성인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부엔 수세소 데 팔라냐그의 성상이 파라냐케 대성당(성 앤드류 성당)으로 옮겨졌으며,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마리아 성상이다.
파라냐케는 문틴루파와 미해결 영토 분쟁을 겪고 있다. 현재 문틴루파의 수캇 바랑가이 관할 아래 있는 바궁 실랑 시티오는 BF 홈즈 바랑가이와 분쟁 중이다. 이 지역은 4.1km2 면적에 달하는 국가전력공사(National Power Corporation)의 옛 부지이다.[18][19] 또한, 산 마르틴 드 포레스 바랑가이에 있는 파가카이사 시티오는 잘못되어 수캇의 일부로 간주되고 있다.
2001년경 파라냐케는 타기그와의 영토 분쟁을 해결하여 비쿠탄 시장과 비쿠탄 인터체인지가 파라냐케에 속한다는 데 합의했다.[20]
3. 역사
초기 파라냐케 주민들은 바다와 가까운 지리적 이점 덕분에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인도, 말레이시아와 무역을 했다. 전통적인 직업으로는 소금 제조, 어업, 벼농사, 구두 및 슬리퍼 제작, 직조 등이 있었다.[3]
1591년부터 1593년까지의 초기 스페인 인구 조사에 따르면, 돈 갈로(Don Galo)와 파라냐케는 약 800명의 조공 납부자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엔콤미엔다와 톤도 주의 지배를 받았다. 이 지역 사회는 바랑가이 우두머리와 프린시팔리아가 이끌었다.
파라냐케는 마닐라, 카비테, 바탕가스 주 사이의 교차로에 위치하여 필리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574년 중국 해적 리마홍의 침략 당시 파라냐케 사람들은 마닐라 공격을 막는 데 큰 도움을 주었으며, 이 사건은 "붉은 바다 사건"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762년 영국이 마닐라를 침략했을 때도 주민들은 스페인에 충성했지만, 이 사건은 스페인의 지배가 영원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1896년부터 1898년까지의 필리핀 혁명 동안 파라냐케는 카티푸난의 거점인 카비테로 가는 관문이자, 마닐라의 스페인 정부 중심지인 인트라무로스로 가는 관문으로 여겨졌다.
1901년 필리핀의 미국 통치 시대가 시작되면서 파라냐케는 새로 설립된 리살 주의 일부가 되었다. 1903년 10월 12일에는 라스피냐스가 파라냐케에 합병되었다가[6] 1907년 3월 27일 다시 분리되었다.[7]
1942년 1월 1일, 파라냐케는 마닐라, 퀘존 시티와 합쳐져 그레이터 마닐라 시를 형성하였다.[8]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필리핀 점령 기간 동안, 파라냐케는 게릴라 운동에 지도력과 물자를 제공했으며, 1945년 마닐라 전투 이후 빠른 회복을 보여주었다. 그레이터 마닐라 시는 1945년 8월 1일부로 해체되었다.[9]
1959년, 아르투로 포르쿠나는 세라핀 온을 살해하고 "보이 골든"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0][11]
1965년, 바클라란과 탐보가 분리되어 바클라란 시가 되었으나,[12] 필리핀 대법원은 이를 무효화하고 다시 파라냐케로 돌려보냈다.[13]
1975년 11월 7일, 파라냐케는 리살 주에서 분리되어 대마닐라(수도권)의 일부가 되었다.[14]
3. 1. 어원
파라냐케(Parañaque)라는 이름이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첫 번째 이야기는 지금의 파라냐케 강(Parañaque River) 어귀에 배처럼 생긴 웅장한 바테(balete, 반얀나무) 나무가 서 있었는데, 이 나무는 항해의 지점을 의미하는 "팔라야그(palayag)"에서 유래한 타갈로그어(Tagalog language) 단어인 "팔라냐그(Palanyag)"라는 이름을 얻었다는 것이다.[3]
두 번째 이야기는 스페인 사람들이 오기 전, 마닐라 만(Manila Bay) 근처에 살던 원주민(natives)들은 어업(pangingisdâ)을 생계로 삼았고, 동쪽 이웃인 현재의 문틴루파(Muntinlupa) 사람들은 농부여서 "타가-팔라얀(tagá-palayán)"("벼 논(Paddy field)의 사람들")이라고 불렸다는 것이다. 어느 날 어부들과 농부들이 잔치를 벌여 투바(tubâ, 코코넛 와인)에 취했는데, 한 농부가 협력과 친선의 표시로 그곳 전체를 "팔라얀(Palayán)"이라고 부르자고 제안했고, 한 어부는 "팔랄라야그(Palalayag)"라고 부르자고 항의했다. 타협으로 두 단어를 합쳐 "팔랄라냐그(Palalanyag)"라는 이름을 만들었고, 술에 취한 다른 손님이 "마부하이 앙 팔라냐그 앗 앙 므가 타가-팔라냐그!(Mabuhay ang Palanyag at ang mga tagá-Palanyag!)" ("팔라냐그와 팔라냐그 사람들이여 만세!")라고 외치자, 나머지 사람들이 이 단어를 더 좋아해 그곳은 "팔라냐그(Palanyag)"라고 불리게 되었다.[3]
세 번째 이야기는 말이 끄는 마차를 탄 스페인 병사들이 어떤 장소로 가달라고 요청했는데, 도착했을 때 한 병사가 "파라 아키! 파라 아키!(¡Para aquí! ¡Para aquí!)"("여기 멈춰! 여기 멈춰!")라고 명령했지만 마부는 이해하지 못했다. 병사가 명령을 반복하자, 마부는 마차에서 내려 다른 사람들에게 "이 스페인 사람들은 계속해서 '파라 아냐 아케... 파라 아냐 아케(para aniya ake...para aniya ake)'라고 말하고 있소"라고 말했고, 군중은 웃음을 터뜨렸다. 이 이야기가 퍼지면서 "파라 아냐 아케(Para Aniya Ake)"라는 용어가 굳어졌다고 한다.[3]
3.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80년 성 아우구스티누스회의 프레이 디에고 데 에스피냐르(Fray Diego de Espiñar)가 파라냐케의 첫 지역 사제가 되면서 파라냐케는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같은 해 5월 11일, 종교 수도회 지도자들의 회의인 결정자 평의회에서 팔라냐그(Palanyag) 마을은 파라냐케(Parañaque)라는 독립적인 푸에블로(pueblo)로 인정받았다.[5] 같은 날, 불라칸의 말롤로스, 파나이의 불라카베(Bulacabe), 세부의 반타얀(Bantayan) 등의 마을도 함께 설립되었다. 1625년 8월 10일에는 파라냐케의 수호 성인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부엔 수세소 데 팔라냐그(Nuestra Señora del Buen Suceso de Palanyag)의 성상이 파라냐케 대성당(성 앤드류 성당)으로 옮겨졌다. 이 성상은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마리아 성상이다.
1591년부터 1593년까지의 초기 스페인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닐라만을 따라 위치한 롱갈로(Longalo)와 파라냐케 두 마을은 약 800명의 조공 납부자들로 구성되었다. 정치적으로 돈 갈로(Don Galo)와 파라냐케는 엔콤미엔다(Encomienda)와 톤도 주의 지배를 받았다. 이 지역 사회는 바랑가이 우두머리(다투(datus) 족장의 서구화된 버전)와 프린시팔리아(principalía)(스페인화된 지역 귀족)가 이끌었는데, 이들은 스페인 식민 통치자들의 요구를 정당화하고 조절했다. 교육은 프린시팔리아 계층에게만 국한되었는데, 그들이 교육을 감당할 수 있는 유일한 계층이었기 때문이다.
파라냐케는 마닐라와 카비테, 바탕가스 주 사이의 교차로에 위치해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574년 중국 해적 리마홍의 침략 당시, 파라냐케 사람들, 특히 돈 갈로 출신 사람들은 마닐라 공격을 막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 사건은 산타 모니카(Santa Monica) 바리오 주민들의 희생으로 인해 "붉은 바다 사건(Red Sea Incident)"으로 알려졌다. 일로코스 출신의 후안 데 살세도(Juan de Salcedo) 선장이 이끄는 스페인군이 도착하면서 리마홍은 결국 격퇴되었고 마을 점령은 막을 수 있었다.
1762년 영국이 마닐라를 침략했을 때, 마을 주민들은 다시 한번 스페인 식민 통치자들에게 충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 침략은 스페인이 무적이 아니며 그들의 지배가 영원한 것이 아님을 보여주었다. 1896년에서 1898년까지의 필리핀 혁명 동안 스페인은 파라냐케가 혁명적인 카티푸난의 거점인 카비테로 가는 중요한 관문임을 깨달았다. 반대로 카비테에 주둔한 카티푸네로들은 파라냐케를 마닐라의 스페인 정부 중심지인 인트라무로스로 가는 관문으로 보았다. 마누엘 키오게(Manuel Quiogue)와 세속 사제 페드로 단단 이 마상카이(Pedro Dandan y Masangkay) 신부와 같은 파라케뇨(Paraqueño)들은 주요 혁명 인물이 되었다.
3. 3. 일본 점령 시대
1942년 1월 1일, 파라냐케는 리살 주의 여러 마을 중 하나로, 마닐라와 퀘존 시티와 합쳐져 그레이터 마닐라 시를 형성하였다.[8]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필리핀 점령 기간 동안, 파라냐케는 헌터스 ROTC와 같은 게릴라 운동에 지도력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식량과 무기를 공급하였다. 파라냐케는 해방된 최초의 마을 중 하나였으며, 그 게릴라들은 미국과 필리핀 연방군이 마닐라 남부로 진입하는 길을 열었다. 파라냐케는 1945년 장기간에 걸친 마닐라 전투에서 입은 피해 후 빠른 회복을 보여주듯이 필리핀의 정치적, 경제적 발전에 전략적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계속해서 수행하고 있다. 그레이터 마닐라 시는 1945년 8월 1일부로 해체되었다.[9]
3. 4. 필리핀 독립 이후
1959년 후반, 17세의 아르투로 포르쿠나(Arturo Porcuna)는 마닐라의 유명한 가문 출신인 필리핀 리세움 대학교 학생 세라핀 온(Serafin Ong)을 덕위 불러바드(Dewey Boulevard, 현재 로하스 불러바드)에 있는 바비큐 플라자(Barbecue Plaza)에서 살해했다. 이는 포르쿠나의 초기 범죄 행위 중 하나였으며, 그를 "보이 골든(Boy Golden)"이라는 별명의 악명 높은 갱스터로 만들었다.[10][11]
1965년, 파라냐케의 바클라란과 탐보 바랑가이(Barrio)는 새로 설립된 바클라란 시(Municipality of Baclaran)의 일부가 되도록 파라냐케에서 분리되었다.[12] 그러나 필리핀 대법원은 나중에 새로운 시의 설립을 무효화하여 위에서 언급한 바랑가이들을 파라냐케로 돌려보냈다.[13]
1975년 11월 7일, 파라냐케는 리살에서 분리되어 대마닐라 또는 수도권(National Capital Region)의 일부가 되었다. 이는 대통령령 제824호에 따른 것이다.[14]
3. 5. 시 승격
파라냐케는 1998년 2월 15일 피델 V. 라모스 대통령 재임 시절 도시 설립 418주년 기념식에서 메트로 마닐라의 11번째 도시로 승격되었다.[1] 초대 시장은 조이 마르케스였다.[1]
4. 문화
파라냐케는 카라콜(Caracol) 축제와 같이 활기찬 축제로 유명하다. 카라콜 축제는 배를 중심으로 한 축제이다.
순두안(Sunduan) 축제는 파라냐케시의 전통으로, 남자가 자신의 애인을 여자의 집에서 데려와 교회나 마을 광장으로 데려가는 행위를 묘사한다. 두 축제 모두 파라냐케 시 승격 기념일인 2월 13일부터 15일경에 열린다.[24]
이 도시에서는 성주간에 그리스도의 수난 재현극인 세나쿨로(cenaculo), 부활절에 파스코 응 파까부하이(Pasko ng Pagkabuhay), 5월에 그리스도의 참십자가 발견을 재현하는 행렬인 산타크루산(Santacruzan)을 개최한다. 그 직후에는 엘레나 황후(콘스탄티누스 성인의 어머니)가 십자가를 발견한 것을 기념하는 다채로운 플로레스 데 마요(Flores de Mayo) 축제가 열린다.
파라냐케 만의 역사적인 이 도시의 뛰어난 특징은 코메디야(komedya)와 바티-바티(bati-bati) 등의 문화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이며, 특히 여름철에 국내외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파라냐케는 경기장에서 행해지는 일종의 닭싸움인 사봉(sabong)으로도 알려져 있다.
5. 스포츠
파라냐케의 유일한 프로 스포츠팀은 마하리카 필리피나스 농구 리그(MPBL)의 파라냐케 패트리어츠이다. 패트리어츠는 2018 시즌에 시작하여 MPBL의 창립 멤버 10개 팀 중 하나이다. 패트리어츠는 올리바레스 칼리지 캠퍼스 내 올리바레스 칼리지 체육관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6. 교통
메트로 마닐라의 다른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파라냐케에서는 버스, 지프니, 모토트라이시클(Motorized tricycle)(필리핀), UV 익스프레스(UV Express)와 같은 대중교통(Public utility vehicles, PUV)이 시내 곳곳을 운행하여 통근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바랑가이 탐보(Barangay Tambo)에 위치한 파라냐케 복합 환승 터미널(Paranaque Integrated Terminal Exchange, PITx)은 PUV의
6. 1. 철도
파라냐케에는 LRT-1(파사이에 위치한 바클라란 역으로 간접 연결)과 PNR(비쿠탄 역)가 지난다. LRT-1은 바코르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2017년 5월 4일 목요일 LRT 1호선 남부연장사업 착공식이 열렸다. 이 공사가 완료되면, 파라냐케는 LRT-1 노선이 직접 지나게 된다(레뎀프토리스트 역, 마닐라 국제공항역, 아시아 월드 역, 니노이 아키노 역, Dr. A. 산토스 역). 바클라란에서 니오그, 바코르, 카비테까지 연장은 2021년 4분기까지 완료될 예정이었다.
LRT-1 남부 연장선(카비테 연장선)은 2024년 11월 16일 운영을 시작하여 레뎀토리스트-아세아나, MIA 로드, PITX, 니노이 아키노 애비뉴, 닥터 산토스 역을 통해 파라냐케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25] 기존 바클라란 역은 파라냐케와 파사이 경계 근처 파사이에 위치해 있지만 파라냐케 시를 이용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한편, PNR의 남부 본선은 고가 남북 통근 철도 건설로 인해 2024년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비쿠탄에 역이 설치될 예정이며, 마닐라 지하철의 일부로도 계획 중이다.
6. 2. 공항

파라냐케는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의 제1터미널이 있는 곳이며, 공항 단지는 파사이-파라냐케 경계에 걸쳐 있다.[1] 이 터미널은 니노이 아키노 애비뉴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많은 주요 국제 항공사들이 운항하고 있다.[1]
6. 3. 도로
마닐라-카비테 고속도로 및 메트로 마닐라 스카이웨이와 같은 고속도로는 칼라바르손 지방과 메트로 마닐라의 나머지 지역과 도시를 연결한다. 파라냐케의 메트로 마닐라 스카이웨이의 평면 부분은 서부 지선도로와 동부 지선도로라는 두 개의 지선도로가 있는데, 이것은 고속도로 근처에 있는 지역 공동체와 사업체를 모두 연결한다. NAIA 고속도로는 NAIA 1 터미널, 마닐라-카비테 고속도로, 메트로 마닐라 스카이웨이, 그리고 매립지에 개발 중인 엔터테인먼트 시티(Entertainment City)를 연결하는 공항 고속도로다.Dr. 산토스 애비뉴(구 수카트 로드), 록사스 대로, 도냐 솔다드 애비뉴, 엘피디오 퀴리노 애비뉴는 이 도시의 주요 간선 도로로서 역할을 한다. 매니 빌라 당시 상원의원과 관련된 토지 소유 논란에 휩쓸린 카를로스 P. 가르시아 애비뉴(C-5 남부연장선)과 고속도로로 제안된 C-6 로드가 2차 간선 도로 역할을 하고 있다.
BF 홈즈 파라냐케(BF Homes Parañaque)는 또한 간선 도로망을 통해 제공되며, 그 안에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카이웨이(Skyway), 남부 루손 고속도로(South Luzon Expressway), 마닐라-카비테 고속도로(Manila-Cavite Expressway (CAVITEX))와 같은 고속도로는 파라냐케를 메트로 마닐라(Metro Manila)와 칼라바르존(Calabarzon)의 다른 지역과 연결한다. 파라냐케에 있는 스카이웨이의 평면 도로 구간에는 서쪽 서비스 도로와 동쪽 서비스 도로라는 두 개의 서비스 도로가 있는데, 이 도로들은 고속도로 근처에 있는 주민들과 기업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NAIA Expressway는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Ninoy Aquino International Airport), CAVITEX, 스카이웨이 및 Entertainment City를 연결하는 고가의 공항 고속도로이다. 산토 니뇨에서 CAVITEX까지 CAVITEX–C-5 Link 구간은 건설 중이며, 순환도로 5호선(Circumferential Road 5 (C-5))을 CAVITEX와 직접 연결할 것이다.
산토스 박사 애비뉴(Dr. Santos Avenue)(구 수캇 로드), 록사스 대로(Roxas Boulevard), 도냐 솔레다드 애비뉴(Doña Soledad Avenue), 퀴리노 애비뉴(Quirino Avenue)는 파라냐케 시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한다. 당시 상원의원이었던 매니 빌라와 관련된 토지 소유권 분쟁에 휘말렸던 카를로스 P. 가르시아 애비뉴(C-5 남쪽 연장선)는 보조 간선도로 역할을 한다.
6. 4. 대중교통
메트로 마닐라의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파라냐케 전역에는 통근자를 위해 버스 및 지프니와 같은 대중교통(public utility vehicles, PUV)이 운행된다. 바랑가이 탐보(Barangay Tambo)에 위치한 파라냐케 복합 환승 터미널(Paranaque Integrated Terminal Exchange, PITx)은 PUV의 복합환승센터 역할을 한다.[34][35] PITx는 또한 향후 아시아 월드 LRT-1 역과 연결될 계획이다.[36]7. 교육
PATTS 항공 대학교(PATTS College of Aeronautics)는 항공 분야 전문 인력 양성에 주력하고, 올리바레스 대학교(Olivarez College)는 간호학, 방사선 기술, 물리 치료, 조산학 등 보건 관련 과학을 전문으로 하는, 필리핀 학교, 대학 평가 협회(PAASCU)와 필리핀 대학 협회 평가 위원회(PACUCOA)의 인증을 모두 받은 유일한 학교이다. 파라냐케 과학 고등학교(Parañaque Science High School), 세인트 앤드류스 학교(파라냐케)(St. Andrew's School (Parañaque)) (1917년 설립된 파라냐케에서 가장 오래된 사립학교), 세인트 폴 파라냐케 대학, 만레사 학교, 성심학교, 앤 아버 러닝 센터 등 많은 학교와 대학이 파라냐케에 있다.
2024년 기준으로 필리핀 교육부(Department of Education (Philippines)) 파라냐케 시 교육청은 시내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관할한다.[29] 문틴루파 시 교육청(SDO) 산하 수캇 초등학교 부속학교는 산 마르틴 드 포레스(Barangay San Martin de Porres)의 시티오 파가카이사에 있다.[30]
8. 저명한 인물
- 페드로 단단 이 마상카이 신부 (Fr. Pedro Dandan y Masangkay) - 혁명가이자 세속 가톨릭 사제, 필리핀 세속화 운동 회원[1]
- 마누엘 베르나베 (Manuel Bernabe) - 정치인, 언론인, 시인. "No Mas Amor Que El Tuyo" 찬송가 작곡가로 알려졌다.[1]
- 하이메 페레르 (Jaime Ferrer) - 제12대 필리핀 내무부 장관, 제2차 세계 대전 게릴라 및 독립 투사[1]
- 프란시스코 데 레온 대주교 (Most Rev. Francisco De Leon) - 제4대 안티폴로 로마 가톨릭 교구 주교[1]
- 테레시타 데 카스트로 (Teresita de Castro) - 사실상 제24대 필리핀 대법원장[1]
- 로일로 고레스 (Roilo Golez) - 전 의원, 전 하원의원, 전 필리핀 국가안보회의 안보보좌관[1]
- 프레디 웹 (Freddie Webb) - 배우, 코미디언, 라디오 진행자, 전 필리핀 농구 협회 선수, 전 상원의원[1]
- 레이라 드 리마 (Leila de Lima) - 변호사, 전 상원의원, 전 필리핀 법무부 장관[1]
- 리사 온티베로스 (Risa Hontiveros) - 활동가, 정치인, 상원의원[1]
- 필리타 코랄레스 (Pilita Corrales) - 가수, 배우, 코미디언, TV 진행자[1]
- 조이 마르케스 (Joey Marquez) - 배우, 코미디언, TV 진행자, 전 정치인, 전 농구 선수[1]
- 에드윈 올리바레스 (Edwin Olivarez) - 정치인, 전 시장, 현 하원의원[1]
- 안호 일라나 (Anjo Yllana) - 배우, 코미디언, TV 진행자, 광고 모델, 전 시의원, 전 부시장[1]
- 발 소토 (Val Sotto) - 배우, 코미디언, 전 시의회 의원[1]
- 알마 모레노 (Alma Moreno) - 배우, TV 진행자, 무용수, 시의회 의원 (제1선거구)[1]
- 로셀 나바 (Roselle Nava) - 가수, 배우, TV 진행자, 전 시의회 의원 (제1선거구)[1]
- 호마리 일라나 (Jomari Yllana) - 배우, 무용수, 시의회 의원 (제1선거구)[1]
- 에릭 프룩토소 (Eric Fructoso) - 배우, 코미디언, 무용수[1]
- 카렌 다빌라 (Karen Davila) - 방송인, TV 진행자, 기자[1]
- 헨리 오마가-디아즈 (Henry Omaga-Diaz) - 방송인, TV 진행자, 기자[1]
- 돌피 (Dolphy) - 배우, TV 진행자, 코미디언, 광고 모델[1]
- 지나 파레뇨 (Gina Pareño) - 배우[1]
- 앤드류 이 (Andrew E.) - 래퍼, TV 진행자, 코미디언[1]
- 제프 아이겐만 (Geoff Eigenmann) - 배우, TV 진행자, 전 MYX VJ, 광고 모델[1]
- 저필 플로레스 (Gerphil Flores) - 가수[1]
- 엔리케 길 (Enrique Gil) - 배우, 무용수, 모델, TV 진행자[1]
- 비앙카 곤잘레스-인탈 (Bianca Gonzalez-Intal) - TV 진행자, 광고 모델, "피노이 빅 브라더: 셀러브리티 에디션" 세 번째 유명인 참가자[1]
- 맥스 아이겐만 (Max Eigenmann) - 배우, 가수, 모델[1]
- 포에멜라 바란다 (Phoemela Barranda) - 모델, 진행자, 배우, 광고 모델[1]
- 켄 찬 (Ken Chan) - 배우, 가수, TV 진행자, 사진작가, 광고 모델[1]
- 리타 드 구즈만 (Rita De Guzman) - 배우, 가수, TV 진행자, 전 슈가팝스 멤버[1]
- 비앙카 마날로 (Bianca Manalo) - 비비닝 필리피나스-유니버스 2009, 배우, TV 진행자, 전 필리핀항공 승무원[1]
- 로이사 안달리오 (Loisa Andalio) - 전 PBB 하우스메이트, 배우, TV 진행자, 무용수, 전 걸트렌즈 멤버[1]
- 쟥스 세르지오 (Japs Sergio) - 전 리버마야 베이시스트/보컬[1]
- 지안 마гдан갈 (Gian Magdangal) - 가수, TV 진행자, 배우, 무대 배우[1]
- AJ 페레스 (AJ Perez) - 블로거, 동기 부여 연설가[1]
- 샘 핀토 (Sam Pinto) - 배우, 모델, TV 진행자, 전 PBB 하우스메이트[1]
- 스테프 프레스콧 (Stef Prescott) - 배우, TV 진행자, "스타스트럭" 배치 4 어벤져스 동문[1]
- 수 라미레즈 (Sue Ramirez) - 배우, TV 진행자, 모델, 광고 모델[1]
- 칼릴 라모스 (Khalil Ramos) - 가수, 배우, TV 진행자[1]
- 램 레빌라 (Ram Revilla) - 배우[1]
- 비보이 리베라 (Biboy Rivera) - 볼링 선수[1]
- 마리엘 로드리게스-파딜라 (Mariel Rodriguez-Padilla) - 배우, TV 진행자, 전 MTV VJ[1]
- 비앙카 우말리 (Bianca Umali) - 배우, TV 진행자, 광고 모델[1]
- 딤플스 로마나 (Dimples Romana) - 배우, TV 진행자, 광고 모델, 2000년 파라냐케시 미스 그랜드 우승자[1]
- 제이크 록사스 (Jake Roxas) - 배우[1]
- RJ 파딜라 (RJ Padilla) - 배우, 전 PBB 하우스메이트[1]
- 가비 가르시아 (Gabbi Garcia) - 배우, TV 진행자[1]
- 로이드 카데나 (Lloyd Cadena) - 유튜브 브이로그 제작자, 라디오 DJ, 코미디언[1]
- 도미닉 오초아 (Dominic Ochoa) - 배우, 코미디언, TV 진행자[1]
- 코리나 산체스-록사스 (Korina Sanchez-Roxas) - 방송인, TV 진행자, 애완동물 보호 운동가[1]
- 핑키 웹 (Pinky Webb) - 방송인, TV 진행자, 기자[1]
- 제이슨 웹 (Jason Webb) - 전 농구 선수, 스포츠 캐스터, 시의회 의원 (제1선거구), 현 퓨어푸즈 스타 핫샷 코치, 스포츠 해설가[1]
- 안드레아 아바야 (Andrea Abaya) - 전 PBB 하우스메이트, TV 진행자, 배우, 모델[1]
- 웬델 라모스 (Wendell Ramos) - 배우, TV 진행자, 코미디언[1]
- 셸던 겔라다 (Sheldon Gellada) - 헤일 밴드 베이시스트[1]
- 존단 살바도르 (Jondan Salvador) - 바라코 불 소속 PBA 농구 선수[1]
- 레이나테 하밀리 (Reynante Jamili) - 전 필리핀 권투 선수[1]
- 리처드 환 (Richard Hwan) - 전 PBB 하우스메이트, 모델[1]
- JC 드 베라 (JC de Vera) - 배우, TV 진행자[1]
- 리키 다바오 (Ricky Davao) - 배우, 감독[1]
- 테레즈 말바르 (Therese Malvar) - 배우, TV 진행자, 모델[1]
- 얌 콘셉시온 (Yam Concepcion) - 모델, 배우, 무용수[1]
- 안디 만자노 (Andi Manzano) - TV 진행자, 라디오 진행자, 모델, 전 MTV VJ[1]
- 크리스찬 바스케스 (Christian Vasquez) - 배우, 모델, 전 PBB 셀러브리티 하우스메이트[1]
- 마이클 크리스찬 마르티네스 (Michael Christian Martinez) - 2014 동계 올림픽과 2018 동계 올림픽에서 필리핀을 대표한 필리핀 피겨 스케이팅 선수.[1]
- 링컨 코르테즈 벨라스케스 (Lincoln Cortez Velasquez) (Cong TV) - 브이로그 제작자[1]
- 프레드 파야완 (Fred Payawan) - 배우, 모델[1]
- 미미유 (Mimiyuuuh) - 브이로그 제작자, 코미디언, 광고 모델[1]
- 반돌프 (Vandolph) - 배우, 코미디언, 광고 모델, 시의회 의원 (제1선거구)[1]
- 윈윈 마르케스 (Winwyn Marquez) - TV 진행자, 배우, 모델, 전 미인 대회 우승자[1]
- 알렉사 일라카드 (Alexa Ilacad) - 배우, 가수, 전 고잉 불릴릿 멤버, 전 PBB 하우스메이트[1]
- KD 에스트라다 (KD Estrada) - 배우, 싱어송라이터, 전 PBB 하우스메이트[1]
9. 자매 도시
파라냐케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국내 | 국외 |
---|---|
9. 1. 국내
9. 2. 국외
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웹사이트
Physical Profile
https://web.archive.[...]
Parañaque City
2013-03-07
[3]
웹사이트
Palanyag to Parañaque: A History
https://web.archive.[...]
City of Parañaque
2014-04-25
[4]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98 Vol. 5
http://www.gutenberg[...]
Arthur H. Clark Company
2020-05-12
[5]
웹사이트
ALAM MO BA? ANG EBOLUSYON NG OFFICIAL SEAL NG BAYAN NG PARANAQUE
https://www.facebook[...]
2024-05-11
[6]
간행물
An Act Reducing the Thirty-Two Municipalities of the Province of Rizal to Fifteen.
https://lawyerly.ph/[...]
1903-10-12
[7]
간행물
An Act Increasing the number of municipalities in the Province of Rizal from seventeen to nineteen, by separating from San Felipe Neri the former municipality of San Juan del Monte and from Parañaque the former municipality of Las Piñas, giving to each the territory which it comprised prior to the passage of Act Numbered Nine hundred and forty-two, and providing for the distribution of funds in the municipal treasuries of said municipalities.
https://lawyerly.ph/[...]
1907-03-27
[8]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https://web.archive.[...]
2022-05-28
[9]
간행물
Reducing the Territory of the City of Greater Manila
https://www.official[...]
1945-07-26
[10]
뉴스
Serafin Ong killing solved
The Manila Times Publishing Company, Inc.
1959-11-06
[11]
뉴스
Porcuna, 2 aides shot by foes
1963-12-24
[12]
간행물
Creating the Municipality of Baclaran in the Province of Rizal
https://www.official[...]
1965-12-03
[13]
서적
Palanyag to Parañaque: A History
https://books.google[...]
City of Parañaque, 2001
2001
[14]
간행물
Creating the Metropolitan Manila and the Metropolitan Manila Commission and for Other Purposest
http://www.lawphil.n[...]
Arellano University School of Law
1975-11-07
[15]
뉴스
Duty Free adds more Pinoy products in stores
https://www.philstar[...]
[16]
웹사이트
Parañaque City Official Website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and Municipality
https://web.archive.[...]
2020-05-01
[18]
간행물
Authorizing the National Power Corporation to Dispose of Its 4.1 Hectare Property Located in Sitio Bagong Silang, Sucat, Muntinlupa City to Its Bona Fide Occupants
https://www.official[...]
2002-01-20
[19]
뉴스
Muntinlupa, Parañaque in land dispute, too
https://www.manilati[...]
2023-08-19
[20]
웹사이트
Parañaque, Taguig to meet on Bicutan market jurisdiction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01-11-12
[21]
웹사이트
Parañaque: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2]
뉴스
Paranaque to issue own medical health card, upgrades hospital
https://www.philippi[...]
2013-09-05
[23]
뉴스
Parañaque's P4 billion satellite office nears completion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24-02-18
[24]
뉴스
Parañaque to hold Sunduan Festival
https://www.philstar[...]
[25]
뉴스
LRT-1 Cavite Extension Phase 1 partial opening this November —DOTR
https://www.gmanetwo[...]
2024-11-07
[26]
뉴스
Parañaque Terminal Exchange Starts Commercial Operations Nov. 10
https://web.archive.[...]
[27]
뉴스
Parañaque City transfers all public utility vehicle terminals to PITX
https://web.archive.[...]
[28]
뉴스
LOOK: The Parañaque Integrated Terminal Exchange
https://www.rappler.[...]
[29]
웹사이트
Paranaque Schools
https://depedparanaq[...]
[30]
웹사이트
School Directory
https://deped-muntin[...]
[31]
웹사이트
Las Piñas-Parañaque Critical Habitat and Ecotourism Area (LPPCHEA)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3-03-15
[32]
웹인용
Parañaque City Official Website
https://web.archive.[...]
[33]
웹인용
Parañaque: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34]
뉴스
Parañaque Terminal Exchange Starts Commercial Operations Nov. 10
https://www.entrepre[...]
[35]
뉴스
Parañaque City transfers all public utility vehicle terminals to PITX
https://news.mb.com.[...]
[36]
뉴스
LOOK: The Parañaque Integrated Terminal Exchange
https://www.rappler.[...]
2018-11-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필리핀서 무장강도에 납치됐던 한국 교민 1명 풀려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