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틀링깃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틀링깃족은 "조수의 사람들"을 의미하는 자칭 '링깃'으로 불리는 북아메리카 원주민으로, 알래스카 남동부와 캐나다 서부에 거주한다. 여러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족은 고유한 이름, 영토, 문화를 가지고 있다. 틀링깃족은 수천 년 전부터 해당 지역에 거주해왔으며, 전통적으로 정령 숭배를 했으나, 1800년대 후반 동방 정교회로 개종하기도 했다. 틀링깃어는 나데네어족에 속하며, 독특한 문법과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판자집에서 생활하며, 어업, 수공예, 관광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틀링깃족 - 쿠시타카
    쿠시타카는 알래스카 원주민 전설에 등장하는 변신 능력을 가진 초자연적인 존재로, 인간을 속이거나 돕는 이중적인 성격을 지니며 특정 약점을 가지고 틀링깃족 문화에서 중요한 존재로 여겨진다.
  • 북미 서북부 태평양 해안 원주민 - 토템폴
    토템폴은 북아메리카 태평양 북서부 원주민들이 가계와 문화유산을 나타내는 상징물로, 나무 기둥에 동물, 신화 속 인물 등을 조각하여 부족의 이야기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며 다양한 목적으로 세워졌으나, 문화 동화 정책으로 쇠퇴 후 문화 부흥 운동으로 복원되고 있다.
  • 유콘 준주 - 로건산
    로건 산은 캐나다 유콘 준주에 있는 캐나다 최고봉으로, 윌리엄 에드먼드 로건 경의 이름을 땄으며, 활발한 조산 활동, 혹한의 기후, 11개의 5,000m 이상 봉우리, 빙하의 발원지로 인해 등반가들의 목표가 되는 산이다.
  • 유콘 준주 - 유콘 준주의 기
    유콘 준주의 기는 1967년 제정된 유콘 준주의 공식 상징으로, 흰색(눈), 녹색(숲), 파란색(강과 호수) 세로 줄무늬 바탕에 유콘 문장이 있으며, 이 문장은 유콘의 역사와 문화를 나타내는 다양한 상징들로 구성되어 있고 가로세로 비율은 1:2이다.
틀링깃족
기본 정보
주노의 타쿠 부족의 아노트클로쉬 족장
타쿠족의 아노트클로쉬 족장, 칠카트 담요, 주노, 1913년경
공식 명칭링깃
로마자 표기Llingit
언어틀링깃어
의미조수의 사람들
거주 지역미국 (알래스카주),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유콘 준주)
인구 (2020년)22,601명 (미국)
인구 (2016년)2,110명 (캐나다)
종교기독교, 특히 러시아 정교회와 전통
지리
민족적 관계
관련 민족아사바스카어족
언어
사용 언어영어, 틀링깃어, 러시아어(역사적으로)
문화 및 사회
주요 씨족까마귀/늑대 (Yéil/Gooch) 와 독수리/킬러웨일 (Ch'áak'/Gunalchéesh)
역사
역사적 맥락틀링깃족은 노예 제도를 시행했음.
부족 정부
인정 기관미국 내무부 인디언 사무국에서 인정
주요 부족야쿠타트
문화 중심지싯카

2. 명칭

틀링깃족의 자칭은 Łingíttli이며, "조수의 사람들"을 의미한다.[13][14] 러시아어 이름인 (Колошиru)는 알류틱어 kulut'ruaqems에서 유래했으며, 여성들이 착용했던 순구를 뜻한다. 이 단어 또는 관련 독일어 이름인 Koulischende은 그리고리 셸리호프의 1796년 러시아령 아메리카 지도와 같이 오래된 역사 문헌에서 틀링깃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5]

3. 분포

틀링깃족은 알래스카 남동부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의 국경 지대(Alaska Panhandle)에 주로 분포한다. 알렉산더 제도 전체에 걸쳐 분포했으며, 해안 지역의 틀링깃족은 칠캇, 타쿠 등 여러 부족으로 나뉜다. 내륙 지역의 틀링깃족은 코스트 산맥과 세인트엘리어스 산맥 주위의 강 지역에 살면서 아사바스카계 민족과 교류했다.[16]

틀링깃족과 인접 민족


역사적으로 틀링깃족의 영토는 포틀랜드 운하에서 북쪽으로 코퍼강 삼각주 동남쪽 해안까지 뻗어 있었다. 프린스 오브 웨일스 섬 최남단 일부를 제외한 알렉산더 군도 거의 전부를 차지했다. 해안 틀링깃 부족은 칠키트강과 칠키트 반도에 사는 칠키트 틀링깃족(Jilḵáat Ḵwáantli), 칠쿠트 틀링깃족(Jilḵoot Ḵwáantli), 타쿠강을 따라 사는 타쿠 틀링깃족(Tʼaaḵu Ḵwáan:tli)으로 나뉜다.

후나, 알래스카, 글레이셔 베이 근처의 전통적인 틀링깃족 마을


내륙 틀링깃족은 알세크, 타트셴시니, 칠키트, 타쿠, 스티킨 강 등 주요 강을 따라 거주하며, 내륙의 애서배스칸 부족들과 교역 및 통혼했다. 애틀린, 테슬린, 태기시호 주변에 비교적 큰 규모의 틀링깃족 집단이 정착하기도 했다.

현재 틀링깃족의 영토는 미국과 캐나다 양쪽에 걸쳐 있고, 복잡한 법적, 정치적 문제로 인해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17] 캐나다에는 애틀린 (타쿠강 틀링깃족), 테슬린 (테슬린 틀링깃 위원회), 카크로스 (카크로스/태기시 퍼스트 네이션) 등에 보호 구역이 있다.[6] 알래스카에는 알래스카 원주민 청구 해결법에 따라 부족 정부가 관리하는 보호 구역 대신 실라스카 법인이 설립되어 알래스카의 틀링깃족, 하이더, 심시안족에게 봉사한다.[18]

틀링깃족은 알래스카의 상업 경제에 참여하며, 야쿠타트 주변, 알래스카 팬핸들을 거쳐 유콘 내륙의 호수에 이르는 땅을 자신들의 땅(Lingít Aanítli)으로 여긴다.

틀링깃족 영토는 생태학적, 언어학적, 문화적 구분에 따라 대략 네 구역으로 나뉜다.

  • 남부 틀링깃족: 프레데릭 사운드 남쪽, 서부 붉은 삼나무 숲 최북단 지역.
  • 북부 틀링깃족: 프레데릭 사운드에서 케프 스펜서, 글레이셔 베이, 린 운하에 이르는 지역, 가문비나무와 서부 헴록 숲.
  • 내륙 틀링깃족: 내륙의 큰 호수, 타쿠강 유역, 남부 유콘 지역, 가문비나무 타이가 혼합 지역.
  • 걸프 해안 틀링깃족: 케프 스펜서 북쪽, 알래스카 만 해안에서 컨트롤러 만과 카약 섬에 이르는 지역.


이러한 구분은 문화, 식량 수확, 방언 차이를 반영하며, 틀링깃족 집단은 인접 공동체와 교역한다.

3. 1. 주요 부족

틀링깃족은 생태학적, 언어학적, 문화적 구분에 따라 여러 부족(Ḵwáans)으로 나뉜다. 각 부족은 고유한 이름과 영토, 문화를 가지고 있다. 다음은 주요 부족 목록이다.

틀링깃 부족번역마을 또는 지역 위치영문화된, 고어 변형 또는 적용
G̱alyáx̱ Ḵwáantli연어 시내 부족야카타-컨트롤 베이 지역칼리아크
Xunaa Ḵáawutli북풍 방향의 부족 또는 사람들후나후나 사람들
S'awdáan ḴwáantliSoowtli(옥') daatli(주변), aantli(땅/나라/마을)에서 유래, 만이 옥색을 띄기 때문시덤섬덤
Tʼaḵjik.aan Ḵwáan:tli해안 마을 부족북부 프린스 오브 웨일스 섬턱세칸
Laax̱aayík Kwáan:tli빙하 내부 사람들야쿠타 지역야쿠타
Tʼaaḵu Ḵwáan:tli기러기 홍수 강 부족타쿠타쿠 틀링깃, 타쿠 사람들
Xutsnoowútli (a.k.a. Xudzidaatli) Ḵwáantli갈색 곰 요새, 일명 불탄 나무 부족앵군후치누 사람들, 후치누, 코츠나후
Hinyaa Ḵwáantli물 건너 부족클라워크헤냐, 하네가
G̱unaax̱oo Ḵwáantli아타바스칸 부족들 중드라이 베이구나후 사람들, 드라이 베이 사람들
Deisleen Ḵwáan:tli큰 힘줄 부족테슬린테슬린 틀링깃, 테슬린 사람들, 내륙 틀링깃
Shee Tʼikátli (a.k.a. Sheetʼkátli) Ḵwáantli지류의 외부 가장자리 부족시트카시트카, 시 아티카
Shtaxʼhéen Ḵwáantli쓴물 부족랭걸스티킨 사람들, 스티킨 틀링깃
Séet Ká Ḵwáantli빠른 물의 사람들페테르부르크세트 카 콰안
Jilḵáat ḴwáantliChaaltli (식량 저장고) xhaattli (연어) khwaantli (거주자)에서 유래: 연어 저장고 부족클룩완칠카트 사람들
Áa Tlein Ḵwáantli큰 호수 부족애틀린타쿠 강 틀링깃, 내륙 틀링깃
Ḵéex̱ʼ Kwáantli새벽 부족케이크케이크 사람들
Taantʼa Ḵwáantli바다 사자 부족포트 통가스 (과거) & 케치칸 (현재)통가스 사람들
Jilḵoot Ḵwáantli칠쿠트 부족헤인즈칠쿠트 사람들
Áakʼw Ḵwáantli작은 호수 부족오크 베이오크 사람들
Kooyu Ḵwáantli위장 부족쿠이우 섬쿠이우 사람들
Saanyaa Ḵwáantli남쪽 부족케이프 폭스 빌리지 (과거) & 색스먼 (현재)사냐 콰안, 케이프 폭스 법인을 소유한 색스먼 법인 소유


4. 역사

틀링깃족과 관련된 요소를 가진 인간 문화는 약 10,000년 전 스키나강과 나스강 하구 근처에서 기원했다. 역사 속 틀링깃족은 1741년 러시아 탐험가들과 처음 만났으며,[29] 1775년에는 스페인 탐험가들이 뒤따랐다. 틀링깃족은 독립을 유지했지만, 유럽인들이 가져온 천연두와 다른 전염병의 유행으로 고통받았다.[29] 1862년 태평양 북서부 천연두 유행으로 본토 틀링깃족의 약 60%, 섬 틀링깃족의 37%가 사망했다.

18세기 이후 알래스카 일대의 원주민들과 서양인의 접촉이 시작되었다. 서양인이 유입한 천연두 등의 감염병으로 인해, 면역력이 없었던 트링깃을 비롯한 일대 원주민들 사이에 뚜렷한 유행이 발생했다.[34]

민족 사진가 조지 T. 에몬스(w:George T. Emmons)는 19세기 말에 그들의 문화를 기록했으며 "틀링깃에 관한 뛰어난 연구가"로 평가받고 있다.[35]

5. 사회와 문화

틀링깃족의 문화는 다면적이고 복잡하며, 풍부한 자원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북서 태평양 연안 사람들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가족과 친족, 웅변 전통을 중요하게 여기며, 부와 경제력뿐만 아니라 관대함과 적절한 행동도 중요한 가치로 여겨진다. 이는 모두 "훌륭한 혈통"과 귀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징표이다. 예술과 정신성은 틀링깃 문화의 거의 모든 영역에 통합되어 있으며, 숟가락이나 보관함과 같은 일상적인 물건조차도 틀링깃족의 정신적 힘과 역사적 믿음으로 장식되고 부여된다.

틀링깃 사회는 까마귀와 독수리, 두 개의 모이어티로 나뉜다.[19] 이들은 다시 수많은 씨족으로 나뉘고, 씨족은 다시 가계 또는 가옥 집단으로 세분된다. 모계 사회를 이루고 있어 혈통과 상속은 어머니의 계통을 따르며, 이 집단들은 문장(紋章)을 가지고 있다. 문장은 토템 기둥, 카누, 연회 접시, 가옥 기둥, 직물, 보석 및 기타 예술 형식에 표시된다.[10] 틀링깃족은 신뢰를 나타내는 at.oowtli를 물려주는데, 오직 틀링깃족만이 상속할 수 있지만, 신뢰하는 사람에게 넘겨줄 수도 있다. 이 경우, 넘겨받은 사람은 그것을 관리할 책임은 있지만 정당하게 소유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북서 해안 원주민들과 마찬가지로, 틀링깃족은 세습 노예 제도를 시행했다.[20] 이들은 알래스카에서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 유콘 강 유역의 태평양 연안의 바다와 산에 둘러싸인 환경에 살며, 발달된 모계 사회의 수렵 채집 사회를 구축했다. 연어와 고래를 잡아 생활하며, 포틀래치와 토템 기둥 풍습으로 알려져 있다.

케치칸에 있는 틀링깃족의 토템 기둥


1903년, 쿠퍼 강 근처에 있는 두 명의 틀링깃 소녀들

5. 1. 철학과 종교

, 19세기 후반. 이미지에는 바다 늑대(범고래)가 묘사되어 있다.


틀링깃족의 사상과 신념은 공식적으로 성문화되지는 않았지만, 역사적으로 잘 정돈된 철학적, 종교적 체계였으며, 기본적인 공리들은 틀링깃족이 주변 세계를 바라보고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형성했다. 틀링깃족은 전통적으로 정령 숭배를 했으며, 사냥꾼들은 동물을 사냥하기 전에 의례적으로 정화했다. 주로 남성인 무당은 질병을 치료하고, 날씨에 영향을 미치며, 사냥을 돕고, 미래를 예측하고, 마법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했다.[21] 틀링깃족 신념 체계의 핵심 원리는 인간과 동물의 환생이다.[22]

1886년에서 1895년 사이, 천연두를 포함한 구세계 질병을 치료할 수 없는 무당들의 무능력함에 직면하여 많은 틀링깃족이 동방 정교회로 개종했다.[23] 러시아 정교회 선교사들은 그들의 전례를 틀링깃어로 번역했다. 일부 학자들은 틀링깃족이 동방 정교회장로교와 연관된 "미국식 생활 방식"에 대한 동화에 저항하는 방법으로 보았다고 주장한다.[24] 기독교의 도입 이후, 틀링깃족의 신념 체계는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25]

오늘날 일부 젊은 틀링깃족은 영감, 안전, 그리고 정체성을 찾기 위해 전통적인 부족 종교와 세계관을 되돌아본다. 많은 장로들이 기독교로 개종했지만, 현대의 틀링깃족은 "기독교와 '전통 문화'를 조화시킨다."[26]

5. 2. 언어

미국에서 녹음된 두 명의 틀링깃어 화자


알래스카 남동부와 캐나다 서부에 거주하는 틀링깃족은 나데네어족에 속하는 틀링깃어(Lingít)를 사용한다.[6] 틀링깃어는 복잡한 문법과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언어에서는 거의 들을 수 없는 특정 음소를 사용한다.[27]

틀링깃어는 미국에 약 200~400명, 캐나다에 100명의 원어민 화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6] 화자들은 영어를 이중 언어 또는 준 이중 언어로 구사한다. 실래스카 헤리티지 연구소, 골드벨트 헤리티지 연구소, 알래스카 동남부 대학교 등 부족, 기관 및 언어학자들은 틀링깃어와 문화를 부활시키고 보존하기 위해 알래스카 남동부에서 광범위한 활성화 프로그램을 펼치고 있으며, 클루크완과 앵군에서 지역 사회 강좌가 열린다.[6]

5. 3. 주거

틀링깃족은 역사적으로 삼나무로 만든 판자집을 지었으며, 오늘날에는 이를 씨족 가옥이라고 부른다. 이 가옥들은 바닥 아래에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기초를 다졌으며, 접착제나 못, 그 외 다른 종류의 고정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지어졌다.[35] 씨족 가옥은 보통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모양이었으며, 제작자가 어느 씨족과 반족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면 디자인과 토템 기둥이 있었다.

아이치현 리틀월드에 틀링깃족의 집이 복원되어 있다.

5. 4. 경제

많은 틀링깃족 남성은 어업에 종사하고, 여성은 통조림 공장이나 지역 수공예 산업에 종사한다.[28] 수공예품으로는 나무 조각품이나 짠 바구니 등이 있으며, 실용적인 목적이나 관광객 판매를 위해 제작된다.[28]

5. 5. 음식

음식은 틀링깃 문화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며, 땅은 풍요로운 자원을 제공한다. 알래스카 남동부 해변의 조간대는 대부분 식량으로 수확할 수 있을 만큼 풍요롭다. 해변에서 나는 음식으로 식사하는 것은 건강하고 다양한 식단을 제공하지만, 틀링깃족 사이에서는 "해변 음식"만 먹는 것을 가난의 상징으로 여겨 경멸했다. 실제로 샤먼과 그 가족은 해변에서 수집한 모든 음식을 삼갔고, 남자들은 전투나 격렬한 활동 전에 해변 음식을 먹으면 영적, 육체적으로 약화된다고 믿어 피했다. 따라서 영적인 이유와 식단 다양성을 위해 틀링깃족은 집 밖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것 외에도 많은 자원을 수확했다. 연어는 가장 중요한 음식 자원이며, 물개와 사냥감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게 여겨졌다.[30]

넙치, 조개류, 해초는 전통적으로 봄에, 늦봄과 여름에는 물개연어가 식량으로 제공되었다. 여름은 연어딸기, 비누 열매, 건포도와 같은 야생 및 재배 열매를 수확하는 시기이다.[31] 가을에는 수달을 사냥했다.[10] 청어열빙어 역시 중요한 주요 식량으로, 신선하게 먹거나 말려서 나중에 사용했다. 생선은 고기, 기름, 알을 제공했다.[31] 바다사자와 수달 같은 해양 포유류는 음식과 의류 재료로 사용되었다. 집 근처 숲에서 틀링깃족은 사슴, , 산양, 기타 작은 포유류를 사냥했다.

6. 유전학

일본 아이누족의 HLA I 및 HLA II 유전자와 HLA-A, -B, -DRB1 유전자 빈도에 대한 유전적 분석 결과, 아메리카 원주민, 특히 틀링깃족과 같은 태평양 북서부 해안 원주민 집단과 유전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2] 과학자들은 아이누족과 틀링깃족의 주요 조상이 남부 시베리아의 구석기 시대 집단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제안한다.[32]

7. 저명한 틀링깃족 인물


  • 토드 글로리아(1978년 출생), 정치인[35]
  • 노라 마크스 도엔하우어(1927–2017), 시인, 작가, 학자[35]
  • 어니스타인 헤이즈(1945년 출생), 시인, 회고록 작가, 교수[35]
  • 얼설라 허드슨, 칠카트 및 레이븐테일 직조공[35]
  • 네이선 잭슨 (예술가)(1938년 출생), 목각가[35]
  • 에스더 리틀필드(1906–1997), 예술가, 문화 해석가[35]
  • 바이런 말롯(1943–2020), 알래스카 부지사(2014–2018)[35]
  • 다-카-킨 메너, 사진작가 및 설치 예술가[35]
  • 래리 맥닐(1955년 출생), 사진작가[35]
  • 틸리 폴(1863–1952), 시민 운동가이자 교육자[35]
  • 윌리엄 폴(1885–1977), 변호사[35]
  • 엘리자베스 페트라토비치(1911–1958), 시민 운동가[35]
  • 클라리사 리잘(1956–2016), 칠카트 및 레이븐테일 직조공[35]
  • 디노 로시(1959년 출생), 정치인[35]
  • 마틴 센스마이어(1985년 출생), 배우[35]
  • 루이스 숏리지(1883–1937), 틀링깃족 인류학자이자 큐레이터[35]
  • 프레스턴 싱글레터리(1963년 출생), 유리 예술가[35]
  • 월터 소볼레프(1908–2011), 학자, 장로, 종교 지도자[35]
  • 제니 슬루노트(1891년경–1986), 칠카트 직조공[35]
  • X'unéi(미상), 예일삭과 전쟁을 벌인 강력한 야쿠탓 추장[35]
  • 예일삭(미상–1791), 유럽인과 처음 조우한 클루크완의 첫 번째 추장[35]
  • 베라 스타바드, 극작가 및 작가[35]
  • X̱ʼunei 랜스 트위첼, 학자이자 작가[35]
  • 민족 사진가 조지 T. 에몬스는 19세기 말에 그들의 문화를 기록했으며 "틀링깃에 관한 뛰어난 연구가"로 평가받고 있다.[35]

참조

[1] 웹사이트 Detailed Data for Hundreds of American Indian and Alaska Native Tribes https://www.census.g[...] 2024-10-24
[2] 웹사이트 Aboriginal Population Profile,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18-06-21
[3] 문서 As of the 1990s. Pritzker, 209
[4] 뉴스 Indian Entities Recognized and Eligible to Receive Services from the United States Bureau of Indian Affairs https://www.federalr[...] 2022-01-28
[5] 문서 Pritzker, 162
[6] 웹사이트 Lingít Yoo X'atángi: The Tlingit Language. http://www.tlingitla[...] Sealaska Heritage Institute. 2009-12-03
[7] 간행물 Notice Indian Entities Recognized by and Eligible To Receive Services From the United States Bureau of Indian Affairs https://www.federalr[...] 2024-01-08
[8] 웹사이트 Yakutat https://www.bia.gov/[...] 2023-09-01
[9] 웹사이트 Culture https://visitsitka.o[...] Visit Sitka 2024-05-21
[10] 문서 Pritzker, 210
[11] 문서 Moss, p. 27
[12] 웹사이트 SHI publishes about slavery in Alaska - https://sealaskaheri[...] 2024-02-08
[13] 웹사이트 Tlingit https://www.thecanad[...] 2019-11-01
[14] 문서 Pritzker, 208
[15] 서적 A Voyage to America 1783–1786. Limestone Press
[16] 문서 de Laguna, 203-28.
[17] 웹사이트 Taku River Tlingit http://www.trtfn.com[...]
[18] 웹사이트 Sealaska Corporation http://www.sealaska.[...]
[19] 서적 Alaska's Native Peoples Arctic Circle Enterprises
[20] 웹사이트 NEWS_Blog_Slavery_QA {{!}} Sealaska Heritage https://www.sealaska[...]
[21] 문서 Pritzker, 209–210
[22] 웹사이트 Tlingit Culture https://www.alaskan-[...]
[23] 문서 Boyd, 241
[24] 문서 Kan, Sergei. 1999. Memory eternal: Tlingit culture and Russian Orthodox Christianity through two centuries. P.xix-xxii
[25] 서적 Memory Eternal: Tlingit Culture and Russian Orthodox Christianity through Two Centurie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6] 문서 Sergei, 42
[27] 서적 The Tlingit Heritage Research
[28] 서적 Human: The Definitive Visual Guide [[Dorling Kindersley]]
[29] 문서 Pritzker, 209
[30] 웹사이트 Tommy Joseph. http://www.alaskanat[...] Alaska Native Artists. 2009-12-27
[31] 웹사이트 Sealaska – Programs – Language – Culture – Curriculum – Tlingit. http://www.sealaskah[...] Sealaska Heritage Institute. 2009-12-03
[32] 웹사이트 Genetic link between Asians and Native Americans: Evidence from HLA genes and haplotypes 2019-09-17
[33] 문서 カナ表記の他の例は'''リンギット'''
[34] 문서 Harvnb|Pritzker|2000|p=209
[35] 서적 カムチャツカ発見とベーリング探検 龍吟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