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그라이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그라이인은 에티오피아 북부에 거주하는 셈족 계통의 민족으로, 티그리냐어를 사용한다. 기원전 2000년 이전부터 이 지역에 거주했으며, 악숨 제국의 계승자로 여겨진다. 티그라이인은 에티오피아 인구의 약 6.1%를 차지하며,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가 대다수이다.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TPLF)은 한때 에티오피아 정권을 장악했으나, 2020년 티그라이 분쟁으로 인해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티그라이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민족 명칭 (티그리냐어) | ተጋሩ |
관련 민족 | 암하라족 아르곱바족 베타 이스라엘 구라게족 하라리족 티그레족 티그리냐족 자이족 기타 하베샤족 |
인구 | |
거주 지역 | 에티오피아 |
2007년 인구 | 4,483,776명 |
총 인구 (추정) | 약 700만 명 |
언어 | |
주요 언어 | 티그리냐어 |
종교 | |
주요 종교 | 기독교 (96%) |
소수 종교 | 이슬람교 (4%) |
기타 종교 | 가톨릭, 개신교 (4%) |
2. 역사
스코틀랜드 탐험가 제임스 브루스는 아비시니아가 지리적으로 두 개의 주로 나뉘었다고 기록했다. "티그레는 홍해에서 타카제 강까지, 아마라는 그 강에서 서쪽으로 갈라족까지 이어지며, 북서쪽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아비시니아 본토를 둘러싸고 있다." 그는 티그레가 "크고 중요한 주이며, 매우 부유하고 강력하다. 아라비아로 홍해를 건너는 모든 상품은 이 주를 통과해야 하므로, 주지사는 시장에서 모든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12]
2. 1. 고대
티그라이인들은 적어도 기원전 2000년 이전부터 이 지역에 존재했을 초기 셈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기원으로 한다.[8] 에드워드 울렌도르프에 따르면, 에리트레아와 티그라이의 티그리냐어 사용자들은 고대 아비시니아의 역사적, 문화적 전통의 진정한 계승자들이다.[9] 그는 현대 티그라이인들을 악숨 제국의 계승자로 여긴다.[10]
티그라이라는 용어의 변형은 10세기 코스마스 인디코플루스테스의 ''인디코플루스테스'' 주석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이는 악숨 시대 이후이다. 이 출처에 따르면, 이 지역의 집단 중 하나는 "티그레타이"와 "아가제"(즉, 아가지)였으며, 후자는 악숨인이었다.[11] 티그라이라는 지명은 원래 민족적인 것일 가능성이 높으며, "티그레타이"는 "아둘리스 근처의 부족들"을 의미한다. 이들은 오늘날 티그라이인, 에리트레아 부족인 티그레와 티그리냐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19세기 초, 에티오피아 내륙을 여행한 헨리 솔트는 에티오피아 지역을 티그레, 아마라, 쇼아 주 3개의 독립 국가로 나누었다.[13][14] 솔트는 티그레를 세 국가 중 가장 강력한 국가로 간주했는데, 그 이유는 그 나라의 자연적 강점, 주민들의 호전적인 성향, 해안과의 근접성 때문이었다. 이러한 이점을 통해 티그레는 그 나라로 수입되는 모든 소총을 독점할 수 있었다.[14] 그는 티그레 왕국을 여러 주로 나누었고, 국가의 중심지는 아드와 주변 지역인 티그레였다. 이 왕국의 다른 주들에는 라야, 엔더르타, 아가메, 워제라트, 템비엔, 쉬레가 포함된다.
2. 2. 중세 ~ 근세
티그라이인들은 기원을 적어도 기원전 2000년 이전부터 이 지역에 존재했을 초기 셈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서 찾는다.[8] 에드워드 울렌도르프에 따르면, 에리트레아와 티그라이의 티그리냐어 사용자들은 고대 아비시니아의 역사적, 문화적 전통의 진정한 계승자들이다.[9] 그는 현대 티그라이인들을 악숨 제국의 계승자로 여긴다.[10]티그라이라는 용어의 변형은 10세기 코스마스 인디코플루스테스의 ''인디코플루스테스'' 주석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이는 악숨 시대 이후이다. 이 출처에 따르면, 이 지역의 집단 중 하나는 "티그레타이"와 "아가제"(즉, 아가지)였으며, 후자는 악숨인이었다.[11] 티그라이라는 지명은 원래 민족적인 것일 가능성이 높으며, "티그레타이"는 "아둘리스 근처의 부족들"을 의미한다. 이들은 오늘날 티그라이인, 에리트레아 부족인 티그레와 티그리냐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19세기 초, 에티오피아 내륙을 여행한 헨리 솔트는 에티오피아 지역을 티그레, 아마라, 그리고 쇼아 주의 세 개의 별개의 독립 국가로 나누었다.[13][14] 솔트는 티그레를 세 국가 중 가장 강력한 국가로 간주했는데, 그 이유는 그 나라의 자연적 강점, 주민들의 호전적인 성향, 그리고 해안과의 근접성 때문이었다. 이러한 이점을 통해 티그레는 그 나라로 수입되는 모든 소총의 독점을 확보할 수 있었다.[14] 그는 티그레 왕국을 여러 주로 나누었고, 아드와 주변 지역인 국가의 중심지는 티그레 자체로 불렸다. 이 왕국의 다른 주들에는 라야, 엔더르타, 아가메, 워제라트, 템비엔, 그리고 쉬레가 포함된다.
2. 3. 현대
티그라이인들은 기원전 2000년경 이 지역에 거주했던 셈족 계통의 민족을 기원으로 삼을 수 있으며, 비문 등의 정보로부터 기원전 900년경에는 이미 존재가 알려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41]
8세기부터 10세기경에 작성된 코스마스 인디코플레우테스의 저작 사본 속에 티그레테스라는 부족에 대한 주석이 존재하며, 이것이 티그라이인에 대해 언급한 가장 오래된 자료로 여겨진다.
1660년에 포르투갈인이 작성한 지도에서는 미둘리 바리가 에티오피아로부터 독립한 에리트리아 고지대의 3개 주로 묘사되어 있다.[42] 16세기에는 홍해 진출을 노리는 오스만 제국의 세력이 이 지역에도 도달했다.[43] 제임스 브루스의 저서에는 “그들은 다음으로 마레브를 통과했다. 마레브는 티그레와 바하르나가슈의 경계에 위치한다.”라는 기록이 있다.[44]
19세기 초 에티오피아를 여행한 이집트 학자 헨리 소르트는 에티오피아를 티그레, 아므하라, 쇼아라는 3개의 왕국이 존재하는 지역으로 생각했으며,[45][46] 이 구별은 사람들이 말하는 언어에 따라 이루어졌다.[45] 그는 티그레가 삼국 중 가장 강력하다고 여겼다. 그 근거로는 험준한 지형, 호전적인 주민, 그리고 바다에 면해 있어 총기를 수입하기 쉽다는 점 등을 들고 있다.[46] 그는 또한 티그레 왕국을 여러 지역으로 나누어 왕국의 중심은 아드와에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TPLF)는 에티오피아 인민혁명민주전선(EPRDF)의 지도 정당으로서, 1974년에 성립된 군사 정권에 대한 반정부 운동을 주도했다. 1991년, EPRDF 부대는 에리트리아의 민족 정당 부대 등과 함께 아디스아바바에 진입, 군사 정권을 타도했다. 이후 에티오피아에서는 TPLF의 지도자 메레스 제나위가 총리에 취임했고, 2018년 아비 아흐메드가 총리에 취임할 때까지 티그라이인이 에티오피아의 국정을 지배했다.[47]
아비 정권 하, TPLF는 번영당에 합류를 거부하는 등 에티오피아 정부와의 대립 자세를 계속했다. 2020년 11월, 티그라이 주의 부대는 에티오피아 북부의 에티오피아군 기지를 공격했고, 이에 대해 에티오피아군이 티그라이 주에 대한 침공을 시작하여 티그라이 분쟁이 발발했다. 티그라이 주의 부대(티그라이 방위군)는 일시적으로 수도에서 200km 지점까지 접근했지만, 에티오피아군의 반격에 의해 티그라이 주까지 후퇴했다. 한편 아비 정권은 티그라이 주에 대한 인도적 지원 방해, 드론에 의한 공습, 티그라이인에 대한 학살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심각한 인도적 위기가 발생하고 있다.[48]
3. 인구 분포
티그라이인은 에티오피아 인구의 약 6.1%를 차지하며, 대부분 소규모 공동체 마을에 거주하는 소작농이다.[15] 오로모족, 암하라족, 소말리아족 다음으로 에티오피아에서 네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이다.[49] 주로 기독교인이며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헤도 교회 신자이고, 소수의 무슬림, 가톨릭교도, 개신교도가 있다. 에티오피아에서 티그라이인이 주로 거주하는 도시 중심지는 티그라이 주에 있으며, 메켈레(Mekelle), 아드와(Adwa), 악숨(Axum), 아디그라트(Adigrat), 쉬레 등의 도시가 포함된다. 또한 아디스아바바(Addis Ababa)와 곤다르(Gondar)와 같은 에티오피아의 다른 대도시에도 많은 티그라이인이 거주하고 있다.
티그라이인은 일반적인 동질성에 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고유한 사회문화적 전통을 가진 수많은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3세기 아둘리투스 기념비에 언급된 동 티그라이의 아가메(Agame)족, 후메라(Humera)의 목축민, 남동 티그라이의 평등주의적인 와자자라트(Wajjarat)족이 있다. 또한 이웃 나라 에리트레아와 미국, 캐나다, 호주, 유럽 등 해외에도 일부 티그라이인 이민자들이 있다.
에티오피아에서 티그라이인 인구 감소의 원인은 1958년 티그라이 기근으로 10만 명 이상이 사망한 데 있다.[16][17][18] 이후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Mengistu Haile Mariam)이 이끄는 잔혹한 군사 독재(military dictatorship)(데르그(Derg)])]는
4. 하위 집단
티그라이인은 공통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지만, 고유한 사회문화적 전통을 가진 여러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3세기 아둘리투스 기념비에 언급된 동 티그라이의 아가메(Agame)족, 후메라(Humera)의 목축민, 남동 티그라이의 평등주의적인 와자자라트(Wajjarat)족 등이 그 예시이다.[15] 또한 이웃 나라 에리트레아와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등 해외에도 일부 티그라이인 이민자들이 있다.
5. 언어
티그라이인의 모어는 티그리냐어이며, 이 언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에티오피아 셈어파에 속한다.[21] 에티오피아 국내에서 티그리냐어는 네 번째로 많은 화자가 있다. 발음, 어휘, 문법이 다른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크게 에리트레아 티그리냐어 방언과 에티오피아 티그라이 방언으로 나뉜다.[22] 표준어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티그리냐어는 암하라어, 티그레어(에리트레아에서는 티그리트라고 부름)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티그레어는 티그리냐어와 같은 에티오피아 셈어파에 속하며, 에리트레아, 수단에 거주하는 티그레인, 베자인 대부분이 사용한다. 티그리냐어와 티그레어는 암하라어보다 더 가깝지만, 서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티그리냐어는 암하라어, 티그레어와 마찬가지로 게에즈 문자로 쓴다.
6. 종교
티그라이인의 일상생활은 종교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기독교 전래 이전에는 대부분의 티그라이인들은 우투(Utu)와 알마카(Almaqah) 등 여러 신을 섬기는 이교를 믿었다. 일부 부족은 유대교를 믿기도 했다. 대표적인 다신교 왕국으로는 담트(D’mt)와 초기 악숨이 있었다.
6. 1. 기독교

고대부터 티그라이인들은 기독교를 주요 종교로 믿어왔다. 대부분 동방 정교회 신자이지만, 소수이지만 가톨릭과 펜타이 신자들도 있다.
6. 2. 이슬람교
티그라이주 무슬림들은 거의 모두 수니파이며, 소수의 아흐바시 신자들이 있다. 오늘날 무슬림 공동체는 주로 도시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23][56] 에리트레아에 사는 예베르티 사람들은 자신들이 그 지역의 티그리냐인과는 별개의 민족 집단이라고 주장하며, 모어를 아랍어와 티그리냐어로 여기며, 따라서 별개의 민족 종교 공동체로 간주된다.[23]7. 문화
티그라이인들의 문화는 사회 제도, 관습법, 음식 등으로 구성된다. 티그라이인들은 경쟁과 지역 분쟁 요소 때문에 때때로 “개인주의적”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24] 이는 오히려 더 강력한 개인이나 국가로부터의 간섭에 맞서 자신의 공동체와 지역 권리를 옹호하려는 경향을 반영하는 것이다.
티그라이인들의 음식은 채소와 매운 고기 요리가 주를 이루며, 특히 두꺼운 스튜인 ''tsebhi''(ፀብሒ|체비ti)를 인제라 위에 얹어 먹는 것이 특징이다. 티그라이인 대다수는 에티오피아 정교회(소수 무슬림 포함)에 속하기 때문에 종교적 이유로 돼지고기를 먹지 않으며, 수요일, 금요일, 그리고 7번의 금식 기간에는 고기와 유제품을 먹지 않아 채식 요리가 발달했다. 티그라이 지역에서는 가족과 손님들이 함께 음식 바구니인 ''mäsob''(መሶብ|마소브ti) 주위에 둘러앉아 식기 없이 오른손과 인제라를 사용하여 음식을 먹는 것이 관습이다.[27][28]
7. 1. 사회 제도
티그라이인들은 경쟁과 지역 분쟁 요소 때문에 때때로 “개인주의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24] 하지만 이는 오히려 더 강력한 개인이나 국가로부터의 당시 만연했던 간섭에 맞서 자신의 공동체와 지역 권리를 옹호하려는 강한 경향을 반영하는 것이다. 티그라이인 공동체는 강력한 네트워크 성격을 지닌 수많은 사회 제도의 특징을 보이는데, 관계는 상호 권리와 유대감에 기반한다. 경제적 지원 및 기타 지원은 이러한 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시 지역에서는 현대 지방 정부가 전통 협회의 기능을 인수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농촌 지역에서는 전통적인 사회 조직이 여전히 기능하고 있다. 이러한 확대된 가족의 모든 구성원은 강력한 상호 의무로 연결되어 있다.[25] 마을은 일반적으로 여러 혈통으로 구성된 계보 공동체로 인식된다.[5]
티그라이인들의 주목할 만한 유산 중 하나는 관습법이다. 티그라이에서는 관습법이 정치적 자치 조직과 형사 사건에서도 어느 정도까지 부분적으로 여전히 시행되고 있다. 또한 분쟁 해결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26]
7. 2. 관습법
티그라이 사회에는 많은 관습법이 남아 있다. 현재에도 행정 현장에서 이러한 관습법이 실천되는 경우가 있으며, 분쟁 해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26][60]
7. 3. 음식 문화
티그라이인들의 음식은 채소와 매운 고기 요리가 주를 이루며, 특히 두꺼운 스튜인 '체비'(ፀብሒti)를 인제라라는 큰 누룩빵 납작빵 위에 얹어 먹는 것이 특징이다.[27]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나 무슬림이 대부분인 티그라이인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 수요일과 금요일, 그리고 7번의 금식 기간에는 고기와 유제품을 먹지 않아 채식 요리가 발달했다. 가족과 손님들이 함께 음식 바구니인 '마소브'(መሶብti) 주위에 둘러앉아 식기 없이 오른손과 인제라를 사용하여 음식을 먹는 것이 티그라이 지역의 관습이다.[28]7. 3. 1. 지역 특색 음식
티흘로( ጥሕሎ|ṭïḥloti)는 아가메(Agame)와 아켈레 구자이 주에서 유래한 음식이다.[29],[63] 두 지역에서만 독특하게 먹는 음식이지만, 현재는 티그라이 지역 전체로 서서히 퍼져나가고 있다.[29] 티흘로는 적당한 농도가 되도록 반죽한 적신 볶은 보리 가루로 만들어진다.[29] 반죽을 작은 공 모양으로 떼어내어 매운 고기 스튜 그릇 주변에 놓는다.[29] 두 갈래의 나무 포크를 사용하여 공을 찍어 스튜에 담가 먹는다.[29] 이 음식은 보통 메스(꿀 와인의 한 종류)와 함께 제공된다.[29],[63]힐벳(Hilbet)은 메주, 렌틸콩, 잠두 가루로 만든 채식 크림 요리로, 보통 인제라와 함께 ''실시(Silsi)''(베르베레(berbere)와 함께 익힌 토마토)와 같이 제공된다.[30]
8. 저명한 인물
- 라스 아룰라 (아바 네가) (티그라이의 도갈리 전투 지휘관, 아도와 전투에서 에티오피아군 사령관)
-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 최초의 아프리카계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34]
- 멜레스 제나위 (전 에티오피아 총리)
- 데브레치온 게브레미카엘 (티그라이 주지사, 현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의장)
- 아베바 아레가위 (육상 선수, 세계 챔피언, 세계 실내 챔피언, 유럽 실내 챔피언)
- 아베베 페카두 (티그라이계-호주인 파워리프터)
- 아부네 마티아스 (에티오피아의 여섯 번째 총대주교이자 카톨리코스, 악숨 대주교이자 성 타클레하이마노트의 이체게)
- 아부네 파울로스 (전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헤도 교회 총대주교)
- 아르케베 오쿠베이 (정치인, 장관 겸 전 에티오피아 총리 하일레마리아 데살레그의 특별 고문)
- 아트세 바에다 마리아 (자칭 아트세, 라스 미카엘 세훌의 아들)[32]
- 다윗 케베데 (2010년 CPJ 국제 언론 자유상 수상자)
- 에야수 베르헤 (가수, 작가, 프로듀서, 시인이자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TPLF) 회원)
- 피세하 데스타 (에티오피아 부통령)
- 프레웨이니 메브라투 (2019년 CNN 히어로 오브 더 이어)
- 게브레그지아베르 게브레마리아 (세계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에서 5회 우승한 육상 선수)
- 게브레히워트 바이케다그 (에티오피아 의사, 경제학자, 지식인)
- 구다프 체가이 (육상 선수, 5,000m 및 10,000m 세계 챔피언, 5,000m 세계 기록 보유자)
- 고티톰 게브레슬라세 (육상 선수, 마라톤 세계 챔피언)
- 하고스 게브르히웨트 (육상 선수, 전 세계 주니어 기록 보유자 (5,000m))
- 하일레 셀라시에 구그사 (에티오피아 출신 데자즈마치)
- 하일롬 아라야 (에티오피아 육군 장군)[33]
- 일페네시 하데라 (미국 여배우, 아버지가 티그라이 출신)
- 킨페 아브라함 (에티오피아 평화연구소 설립자이자 아프리카 뿔 민주주의 및 개발 전 대표)
- 키로스 알레마예후 (다작의 작곡가이자 가수, 자신의 앨범을 통해 티그리냐어 노래를 티그리냐어를 사용하지 않는 에티오피아인들에게 알림)
- 레테센베트 기데이 (육상 선수, 10,000m 세계 챔피언 및 다수의 메달리스트, 두 개의 세계 기록과 하나의 세계 최고 기록 보유)
- 미카엘 세훌 (라스 에티오피아)
- 미루츠 이프터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를 획득한 육상 선수)
- 라스 멩게샤 요하네스 (라스 티그라이)
- 롭난 (유니버설 레코드와 계약한 유명 음악가이자 DJ)
- 세바트 게브레-에그지아베르 (에티오피아 작가)
- 시예 아브라하 (라이베리아에서 UN 개발 프로그램의 안보 부문 개혁을 이끌고 있다.)
- 테울데 베르한 게브레 에그지아베르 (세계적으로 유명한 환경 과학자)
- 차드칸 게브레텐사에 (중장이자 티그라이 방위군 중앙 사령부 소속)
- 츠가부 그르마이 (사이클 선수, 한때 아프리카 개인 도로 경주 챔피언)
- 웨르크네시 키다네 (2003년 세계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육상 선수)
- 월데 셀라시에 (라스 에티오피아)
- 야레드 누구세 (미국 프로 중거리 달리기 선수, 2024년 하계 올림픽 1500m 동메달리스트)
- 요하네스 4세 (에티오피아 황제, 템비엔 에티오피아 제국 출생)
- 요하네스 아브라함 (민주당 대선 후보 카멀라 해리스의 계획된 대통령직 인수를 이끌도록 선출)
- 제르세나이 알렘세게드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 인류학과 학과장을 역임한 고인류학자)
참조
[1]
웹사이트
Table 2.2 Percentage Distribution of Major Ethnic Groups: 2007
http://www.csa.gov.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22-04-22
[2]
논문
Ethiopian Genetic Diversity Reveals Linguistic Stratification and Complex Influences on the Ethiopian Gene Pool
2012-07-01
[3]
서적
Understanding contemporary Ethiopia
https://www.worldcat[...]
Hurst & Company
2015
[4]
서적
Greater Ethiopia: The Evolution of a Multiethnic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5]
백과사전
Tigrayans
Harrassowitz Verlag
2007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The Scarecrow Press, Inc.
[7]
서적
The Ethiopians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Aksum: A Civilization of Late Antiquity
University Press
1991
[9]
서적
The Ethiopians: An Introduction to Country and People
Clarendon Press
[10]
서적
The Ethiopians: An Introduction to Country and People
Clarendon Press
[11]
논문
Cosmas Indicopleustès
1968
[12]
서적
Bruce's Travels and Adventures in Abyssinia
https://archive.org/[...]
1860
[13]
서적
Penny Cyclopaedia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https://books.google[...]
Charles Knight
[14]
서적
A Voyage to Abyssinia
https://archive.org/[...]
M. Carey
1816
[15]
웹사이트
Country Level
http://www.csa.gov.e[...]
Central Statistical Agency (Ethiopia)
2010-07-13
[16]
서적
Bahru Zewde, [London: James Currey, 1991], p. 196. "A History of Modern Ethiopia: 1855–1974"
J. Currey
[17]
웹사이트
Famine and Foreigners: Ethiopia Since Live Aid
https://www.sahistor[...]
[18]
서적
Mesfin Wolde Mariam, "Rural Vulnerability to Famine in Ethiopia: 1958-77"
[19]
웹사이트
Ethiopia Drought/Famine (1983–1985)
http://pdf.usaid.gov[...]
[20]
웹사이트
Famine and Foreigners: Ethiopia Since Live Aid
https://www.sahistor[...]
[21]
웹사이트
Tigrinya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2]
서적
Documents Tigrigna (Éthiopien Septentrional): Grammaire et Textes
Librairie C. Klincksieck
1941
[23]
서적
Ashura - a Festival in al-Negash Mosque
Mekelle University
[24]
서적
Household and Society in Ethiopia, an Economic and Social Analysis of Tigray Social Principles and Household Organization
[25]
논문
Selbstbezeichnungen von Tegreññ-Sperchern (Habäša, Tägaru u.a.)
2005
[26]
논문
Traditional Civil Society in the Horn of Africa and its Contribution to Conflict Prevention: The case of Eritrea
2008
[27]
웹사이트
Countries and their Cultures- Tigray
http://www.everycult[...]
[28]
웹사이트
Ethiopian Treasures- Culture
http://www.ethiopian[...]
[29]
웹사이트
Tihlo
http://nutritionfort[...]
[30]
웹사이트
Lunchbreak: A Traditional Northern Ethiopian Recipe and Details on Chicago Chefs Cook for Tigray
https://wgntv.com/mi[...]
2022-09-12
[31]
논문
Characterization of ancestry informative markers in the Tigray population of Ethiopia: A contribution to the identification process of dead migrants in the Mediterranean Sea
https://www.fsigenet[...]
2020-03-01
[32]
서적
The Royal chronicle of Abyssinia, 1769–1840
University Press
[33]
서적
The Ethiopian Revolution: War in the Horn of Africa
Yale University
[34]
웹사이트
Together for a healthier world
https://www.who.int/[...]
[35]
논문
Ethiopian Genetic Diversity Reveals Linguistic Stratification and Complex Influences on the Ethiopian Gene Pool
2012-07-01
[36]
백과사전
Tegarus
Harrassowitz Verlag
2007
[3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The Scarecrow Press, Inc.
[38]
서적
The Ethiopians
Oxford University Press
[39]
백과사전
Tegarus
Harrassowitz Verlag
2007
[40]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https://www.worldcat[...]
[41]
서적
Aksum: A Civilization of Late Antiquity
University Press
1991
[42]
서적
Eritrea: Even the Stones are Burning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1998-08-26
[43]
서적
A Pawn in World Politics: Eritre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Florida Press
[44]
서적
Travels through part of Africa, Syria, Egypt ...
https://books.google[...]
1805
[45]
서적
Penny Cyclopaedia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https://books.google[...]
Charles Knight
[46]
서적
A Voyage to Abyssinia
https://archive.org/[...]
M. Carey
1816
[47]
웹사이트
80超す民族束ねるエチオピア 軍事衝突なぜいま起きた: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2-01-23
[48]
웹사이트
空爆で108人死亡 エチオピア北部、国連は人道危機警告:時事ドットコム
https://web.archive.[...]
2022-01-23
[49]
웹사이트
Country Level
http://www.csa.gov.e[...]
CSA
2013-01-18
[50]
서적
Bahru Zewde, [London: James Currey, 1991], p. 196. "A History of Modern Ethiopia: 1855–1974"
[51]
웹사이트
Famine and Foreigners: Ethiopia Since Live Aid
https://www.sahistor[...]
2019-03-03
[52]
서적
Rural Vulnerability to Famine in Ethiopia: 1958-77
[53]
웹사이트
Famine and Foreigners: Ethiopia Since Live Aid
https://www.sahistor[...]
2019-03-03
[54]
서적
Red Tears: War, Famine, and Revolution in Ethiopia
[55]
서적
Documents Tigrigna (Éthiopien Septentrional): Grammaire et Textes
1941
[56]
서적
Ashura - a Festival in al-Negash Mosque
Mekelle University
[57]
서적
Household and Society in Ethiopia, an Economic and Social Analysis of Tigray Social Principles and Household Organization
[58]
학술지
Selbstbezeichnungen von Tegreññ-Sperchern (Habäša, Tägaru u.a.)
2005
[59]
백과사전
Tegarus
Harrassowitz Verlag
2007
[60]
학술지
Traditional Civil Society in the Horn of Africa and its Contribution to Conflict Prevention: The case of Eritrea
2008
[61]
웹사이트
Countries and their Cultures- Tigray
http://www.everycult[...]
2022-04-10
[62]
웹사이트
Ethiopian Treasures- Culture
http://www.ethiopian[...]
2022-04-10
[63]
웹사이트
Tihlo
http://nutritionfort[...]
[64]
웹사이트
Together for a healthier world
https://www.who.int/[...]
[65]
서적
The Royal chronicle of Abyssinia, 1769–1840
University Press
1922
[66]
서적
The Ethiopian Revolution: War in the Horn of Africa
Yale Univers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